KR20150139429A -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429A
KR20150139429A KR1020150066301A KR20150066301A KR20150139429A KR 20150139429 A KR20150139429 A KR 20150139429A KR 1020150066301 A KR1020150066301 A KR 1020150066301A KR 20150066301 A KR20150066301 A KR 20150066301A KR 20150139429 A KR20150139429 A KR 20150139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cathode
fuel cell
photocatalyst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783B1 (ko
Inventor
임광희
이은주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139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6Biochemical fuel cells, i.e. cells in which microorganisms function as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7

Abstract

본 발명은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극(Anode)을 포함하는 음극부와 양극(Cathode)을 포함하는 양극부 및 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양극부에 광원으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이 조사하는 광조사단계(S1단계)와; 상기 양극부에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는 광촉매반응단계(S2단계)와; 상기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로 코팅하거나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를 담지한 광촉매지지체를 상기 양극부에 충전하는 광촉매지지체 충전단계(S3단계)와;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담체 또는 슬러지를 충전하는 담체 충전단계(S4단계) 및;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하폐수를 미생물 기질로서 공급하는 하폐수 공급단계(S5단계)로 이루어져 낮은 에너지와 적은 비용으로 하수처리 시스템을 효율적 운전할 수 있고, 하폐수의 처리효율을 극대화하고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Photocatalytic Process Integr ated to Microbial Fuel Cell to Treat Pollutants of Wastewater}
본 발명은 미생물 연료전지 및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Anode)을 포함하는 음극부와 양극(Cathode)을 포함하는 양극부로 구성된 미생물연료전지에 있어서 양극(Cathode)에 광원으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여서 양극에서의 전자방출을 용이하게 하고 양극부에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반응공정이 통합된 수소를 생산하면서 하폐수를 처리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의 하폐수 처리방법과 수소생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 연료전지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으로써, 양성자 교환막에 의하여 나누어진 혐기성 조건의 산화전극 반응조와 호기성 조건의 환원전극 반응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산화전극 반응조의 미생물은 공급되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전자와 수소이온으로 변환시키며 생성된 수소이온은 양성자교환막을 통하여 양극(Cathode)으로 이동하고 생성된 전자는 외부서킷을 통해 양극(Cathode)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양극(Cathode)에서는 양성자교환막을 통하여 이동된 수소이온 및 회로를 통해 이동된 전자와 양극부 내부로 공급되는 산소분자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게 되며, 이때의 전자흐름이 전류로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미생물 연료전지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전자와 수소이온을 생성하고,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시킬 때에 발생하는 전자는 미생물 세포막에 존재하는 전자전달계를 통하여 ATP 형태의 에너지를 생산하게 되고 전자전달계를 빠져나온 전자는 최종 전자수용체를 환원시키며, 일부 미생물들은 전자를 체외에 존재하는 금속산화물과 같은 최종 전자수용체로 이동시킬 수가 있는바, 이러한 미생물들을 전자방출균(exoelectrogen)이라고 하며 이러한 미생물이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생촉매로 활용된다.
이와 같은 미생물 연료전지는 미생물 또는 박테리아 대사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데 폐기물을 포함한 모든 유기물질은 미생물의 먹이가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미생물 연료전지는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전기생산을 하고 하폐수의 처리도 하는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하수처리 시스템은 비교적 높은 에너지가 요구되므로 낮은 에너지와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 운전을 할 수 있는 미생물 연료전지 처리기술의 접목이 필요하다.
한편 하폐수 처리장에서 인 제거제로서 주로 수산화제이철을 사용하고, 하폐수처리장 유입폐수 대부분이 철을 높은 농도로 함유한다. 그에 따라 하폐수 처리시설 대부분의 활성슬러지에 제이철 환원세균이 존재하고 슬러지의 혐기적 저장상태에서 제이철 환원이 발생한다.
이러한 철환원 세균은 혐기상태에서 배양하면 세포내에서 유기물 산화로 발생한 전자를 세포 밖으로 내보내 세포 밖에서 제이철 이온을 환원하고, 철환원 세균인 쉬와넬라 푸트레파시엔스(Shewanella putrefaciens )는 전자 전달매개체 없이 전자 공여체로 젖산 또는 수소를 공급하여 전류를 발생한다.
한편 종래의 미생물 연료전지로서, 특허공개 제2003-0088263호의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가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공개 제2003-0088263호의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기존의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사용되어 왔던 미생물연료전지의 양극(Cathode)에서 이동되는 수소이온을 위한 양성자 교환막 대신에, 양극부와 음극부를 분리하는 글라스울(glass wool)과 글라스비드(glass bead)을 사용하는 양이온 교환막이 없고 폐수처리에 있어서 양극부에서 호기적 2차처리를 거치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미생물 연료전지에서는 양극(Cathode) 소재로서 탄소부직포 또는 금속을 사용하는 한편 음극(Anode) 소재로는 카본 직조물(carbon cloth), 카본지(carbon paper), 흑연 펠트(graphite felt), 흑연 그래뉼(graphite granule) 또는 흑연 브러쉬(graphite brush)를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카본 나노튜브(carbon nanotube)의 우수한 전자 전달능력 및 물질전달 능력, 뛰어난 기계적/구조적 성능, 우수한 내부식성 및 넓은 활성 표면적 및 적절한 기공도를 가진 구조와 같은 그 고유 특성에 대한 수요가 매우 증가하고 있는바, Pt 나 Au 촉매를 근간으로 하는 전극의 경우 우수한 물질전달 능력, 전극 민감성에서의 우수성이 있으나 비싼 Pt 및 Au 촉매를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카본 나노튜브(carbon nanotube)를 전극물질로 이용할 경우, 상기한 카본 나노튜브(carbon nanotube)의 고유특성 뿐만 아니라 귀금속 촉매보다 재료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전기생성미생물은 초산 같은 유기물을 에너지원으로 소모하여 전자와 양자를 생산하고 0.3 볼트까지의 전자포텐셜을 만든다. 전형적인 미생물연료전지에서는 이 전자포텐셜이 전력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미생물 전기분해 셀(microbial electrol ysis cell)은 미생물연료전지와 같으나 셀에 추가에너지를 부여하여 수소이온이 수소로 환원하여 수소를 생산한다. 이러한 환원에 필요한 에너지의 일부는 미생물 활성에서 유래한 한 것이고 추가에너지는 미생물 없이 물을 전기분해하는 에너지보다 적다. 수소생산은 0.8 볼트의 투입 전압에서 3.12m3H2/[m3d]까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고려하여 종래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하폐수처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낮은 에너지와 적은 비용으로 하수처리 시스템을 효율적 운전할 수 있는 미생물 연료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생물연료전지의 양극(Cathode)에 광원으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여서 양극에서의 전자방출을 용이하게 하고 양극부의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반응으로 미생물 기질로서 공급되는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고정상 또는 유동상 담체 또는 미생물 슬러지를 충전하여 하폐수의 처리효율을 극대화하고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 연료전지 및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공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공정은 음극(Anode)을 포함하는 음극부와 양극(Cathode)을 포함하는 양극부 및 광원으로 이루어져 상기 양극부의 양극(Cathode)에 광원으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광조사단계(S1단계)와; 상기 양극부에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는 광촉매반응단계(S2단계)와; 상기 광촉매반응단계(S2단계)는 상기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로 코팅하거나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를 담지한 광촉매지지체를 상기 양극부에 충전하는 광촉매지지체 충전단계(S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미생물담체 또는 슬러지를 충전하는 단계(S4단계) 및;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하폐수를 미생물 기질로서 공급하는 하폐수 공급단계(S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낮은 에너지와 적은 비용으로 하수처리 시스템을 효율적 운전할 수 있고, 하폐수의 처리효율을 극대화하고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와 이를 운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공정을 도시한 다이어그램,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공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공정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으로서, 본 발명 미생물 연료전지는 음극(Anode)을 포함하는 음극부와 양극(Cathode)을 포함하는 양극부 및 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양극부의 양극(Cathode)에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이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표면에 미생물을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슬러지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 슬러지로는 미생물 슬러지를 사용하고,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하폐수를 미생물 기질로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미생물로는 Alcaligenes eutrophus , E. Coli , Anacystis nidulans , Proteus vulgaris , Bacillus subtilis , Pseudomonas putida ,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latis , Shewanella oneidenesis 또는 Shewanella putrefaciens를 포함하는 철환원세균 또는 Geobacter sulfurreducens 중의 하나 또는 상기 미생물들의 컨소시엄이거나 하폐수처리장 혐기소화조 오니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미생물 슬러지로는 Alcaligenes eutrophus , E. Coli , Anacystis nidulans, Proteus vulgaris , Bacillus subtilis , Pseudomonas putida ,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latis, Shewanella oneidenesis 또는 Shewanella putrefaciens를 포함하는 철환원세균 또는 Geobacter sulfurreducens 중의 하나 또는 상기 미생물들의 컨소시엄이거나 하폐수처리장 혐기소화조 오니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양극부의 양극(Cathode)을 광원으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고 상기 양극부에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광촉매반응은 상기 양극부에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로 코팅하거나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를 담지한 광촉매지지체로 충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광촉매는 고체와 균일용액이 되는 화합물로 분류할 수 있다. 고체로 분류되는 광촉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는 TiO2 (anatase), TiO2 (rutile), ZnS, CdS, ZrO2, V2O3, WO3 등과 페롭 스카이트형 복합 금속산화물 (SrTiO3) 등이 있으며, 균일 용액이 되는 화합물로 분류되는 광촉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는 Co 착제제, Rh 착제제, 폴리비닐 유도체 (Zn, Al, Mg) 등이 있다. 자외선(UV) 응답형 광촉매는 TiO2, ZnS, CdS, ZrO2, V2O3 및 WO3 등을 들 수 있고, 가시광 응답형 광촉매는 BiVO4, AgNbO3, TiO2:Cr, Sb, Pt/SrTiO3:Cr, Sb, Pt/SrTiO3:Cr, Ta, Cu-ZnS, Ni-ZnS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극(Cathode)으로는 카본 나노튜브(CNTs), 카본 직조물(carbon clot h), 카본지(carbon paper), 흑연 펠트(graphite felt), 흑연 그래뉼(graphite gra nule), 흑연 브러쉬(graphite brush), 상기 카본 또는 흑연 관련 재료를 지지체로 하여 금속 또는 전이금속을 도핑 또는 코팅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금속 또는 전이금속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극(Cathode)으로 사용되는 금속으로는 아연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상기 양극에 조사되는 자외선(UV)의 최대파장은 286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극(Anode)으로는 카본 나노튜브(CNTs), 카본 직조물(carbon cloth), 카본지(carbon paper), 흑연 펠트(graphite felt), 흑연 그래뉼(graphite granul e), 흑연 브러쉬(graphite brush), 상기 카본 또는 흑연 관련 재료를 지지체로 하여 금속 또는 전이금속을 도핑 또는 코팅한 것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고, 금속 또는 전이금속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극(Anode)으로 사용되는 금속으로는 아연이, 상기 귀금속으로는 백금(Pt)이 전이금속으로는 타이타늄(Ti)이 각각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극부와 상기 양극부를 격리하는 이온교환막을 추가로 구성하여도 되고, 상기 이온교환막으로는 자외선차폐 불투명 글래스 또는 SiO2 비드(bead) 층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공정은 음극(Anode)을 포함하는 음극부와 양극(Cathode)을 포함하는 양극부 및 광원으로 이루어져 상기 양극부의 양극(Cathode)에 광원으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광조사단계(S1단계)와; 상기 양극부에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는 광촉매반응단계(S2단계)와; 상기 광촉매반응단계(S2단계)는 상기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로 코팅하거나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를 담지한 광촉매지지체를 상기 양극부에 충전하는 광촉매지지체 충전단계(S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미생물담체 또는 슬러지를 충전하는 단계(S4단계) 및;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하폐수를 미생물 기질로서 공급하는 하폐수 공급단계(S5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양극부 하부로부터 양극부 내부로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음극부로부터 이동된 수소이온 및 음극(Anode)으로부터 회로를 통해 이동된 전자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며 전자흐름이 전류로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고; 상기 음극부로부터 이동된 수소이온 및 음극으로부터 회로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양극(Cathode)에서 방출된 전자와 결합하여 수소를 생성하며; 상기 양극부 내부로 공급된 산소 또는 공기가 전자수용체로서 광촉매표면에서 광원에 의해 분리 생성되고 여기된 전자와 정공 간의 빠른 재결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광촉매의 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수소정제용 분리막 공정을 더 추가하여 수소정제용 분리막 공정을 정을 거쳐서 수소를 제조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공정의 작용을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 광조사단계(S1단계)에서 양극부의 양극(Cathode)에서 일어나는 원리에 대하여 살펴본다.
금속표면에 전자를 보유하는 힘을 그 금속의 워크 펑션(Work function)이라 한다. 양극(Cathode)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는 충분한 에너지의 빛을 양극에 조사하면 워크 펑션(Work function)보다 초과되는 양 만큼에 해당되는 최대 운동에너지를 가진 전자가 방출되고, 음극(anode)에서의 정공은 양극(cathode)을 통하여 빛에너지가 전달되게 해 준다. 아연(zinc) 판에 자외선을 조사할 때에 아연(zinc)의 워크 펑션(Work function)은 4.25 ∼ 4.33 eV로 알려져 있다. Electron-volt(eV)는 전자전하(1.602x10-19 coulombs(C))와 볼트(N-m/C 또는 J/C)의 곱으로서 1 eV는 1.602 x 10-19 J이다. 따라서 4.33 eV는 6.94 x 10-19 J이다. 광자 에너지(E)는 hv 또는 hc/λ로 표현되는데, c/λ λ는 각각 빛의 진동수와 파장을 일컫는다. 따라서 아연(zinc) 경우에 전자를 표면에서 방출하는 충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빛의 최대파장은 286 nm이다. 한편 열분해 그래파이트(HOPG)는 워크 펑션(Work function)이 4.6 eV이다. 주변환경이 오염되면 워크 펑션(Work function)이 약 0.5-1.0 eV 정도 변동하는 금속표면과는 다르게 열분해 그래파이트(HOPG)의 워크 펑션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한편 카본 나노튜브(CNTs)는 고유의 큰 애스펙트(aspect) 비와 매우 작은 굴곡반경을 가지는 1차원적인 모양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 낮은 전하장에서도 전자를 방출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이상적인 전계방출(Field-emitting)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먼저 광조사단계(S1단계)에서 양극부(9)의 양극(2)을 카본 나노튜브(CNTs)로 구성하여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을 광원(4)으로 조사하여 카본 나노튜브로 구성된 양극(2) 표면에서 용이하게 전자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광촉매반응단계(S2단계)에서 상기 양극부(9)에 광원(4)으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양극부(9)에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반응이 실행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양극부(9)의 양극(2)과 음극부(8)의 음극(21)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카본 나노튜브(CNTs)에 한정하지 않고 카본 직조물(carbon cloth), 카본지(carbon paper), 흑연 펠트(graphite felt), 흑연 그래뉼(graphite granule) 또는 흑연 브러쉬(graphite brush), 또는 상기 재료를 지지체로 하고 귀금속 또는 전이금속을 도핑 또는 코팅한 것 또는 백금, 아연 등 금속과 모든 전이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반응단계(S2)는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로 코팅하거나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를 담지한 광촉매지지체를 상기 양극부(9)에 충전하는 광촉매지지체 충전단계(S3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광촉매반응은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로 코팅되거나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를 담지한 허니컴형이나 막형 또는 입자형 또는 판형의 광촉매지지체(10)가 충전되는 양극부(9)의 빈 공간으로 음극부(8)에서 혐기소화조 오니(5)와 같은 미생물에 의해 혐기산화 처리된 하폐수가 통과하면서 광촉매산화 처리되는 반응이다.
여기서 상기 광촉매반응단계(S2단계)에는 산소 또는 공기를 전자수용체로서 상기 광촉매반응에서 하부로부터 산소 공급(12)하여 광촉매표면에서 광원(4)에 의해 생성된 여기된 전자와 정공 간의 빠른 재결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광촉매의 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광촉매반응단계(S2단계)에서 양극(2)에는 음극부(8)로부터 자외선차폐 불투명 비드층(15)을 통과하여 이동된 수소이온(11) 및 음극부(8)의 금속봉 또는 흑연봉(1)과 양극부(2)의 금속봉 또는 흑연봉(1) 및 금속환(3) 등의 회로를 통해 이동되는 전자(6)와 광촉매 활성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양극부(9) 내부로 공급되는 산소 또는 공기(19)에 포함된 산소분자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고, 이때의 전자흐름이 전류로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양극(2)로부터 전자가 방출되는 충분한 에너지의 빛을 양극(2)에 조사하면 워크 펑션(Work function)보다 초과되는 양 만큼에 해당되는 최대 운동에너지를 가진 전자가 방출되어 음극부(8)로부터 이동된 수소이온(11)과 반응하여 수소(20)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수소(20)는 반응기 수면으로 나와서 밀폐된 반응기(18)에서 포집 및 배출되어 수소정제용 분리막 공정(13)을 거쳐서 정제된 수소(14)를 제조한다.
미생물담체 또는 슬러지 충전단계(S4단계)에서 음극부(8)의 음극(Anode) 주위에 미생물담체 또는 슬러지를 충전하고, 마지막으로 하폐수 공급단계(S5단계)에서 상기 음극부(8)의 음극(21) 주위에 하폐수를 미생물 기질로서 공급하여 하폐수를 처리하였다.
그에 따라 음극부(8)의 금속스크린 또는 금속용기(7)에 충전된 음극(21) 주위에 고정되거나 부유하는 전자방출균인 혐기소화조 오니(5)와 같은 미생물 또는 미생물 슬러지에 의하여 하폐수가 혐기산화 처리되고, 미생물(전자방출균)로부터 음극(21)으로 방출된 전자는 음극부(8)의 금속봉 또는 흑연봉(1)과 양극부(9)의 금속봉 또는 흑연봉(1) 및 금속환(3) 등의 회로를 타고 양극부(9)의 양극(2)에 도달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은 1).음극(Anode)을 포함하는 음극부와 양극(Cathode)을 포함하는 양극부로 구성된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양극부의 양극에 광원으로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여서 양극에서의 전자방출을 용이하게 하고 2).양극부에 광원으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양극부에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반응을 일으켜 양극부의 빈 공간으로 음극부에서 미생물에 의해 혐기산화 처리된 하폐수가 통과하면서 광촉매산화 처리되어 하폐수 처리효율을 극대화하고 미생물 연료전지 효율을 제고하고 수소를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금속봉 또는 흑연봉 2 : 양극(카본나노튜브)
3 : 금속환 4 : 광원(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5 : 하수처리장 혐기소화조 오니 6 : 전자
7 : 금속스크린 또는 금속용기 8 : 음극부
9 : 양극부 10 : 광촉매 코팅 또는 광촉매를 담지한 지지체
11 : 수소이온 12 : 공기(또는 산소) 공급
13 : 수소정제 분리막공정 14 : 정제된 수소
15 : 자외선차폐 불투명 비드(bead) 층 16 : 폐하수 공급
17 : 처리된 폐하수 18 : 밀폐된 반응기
19 : 공기(또는 산소) 20 : 수소
21 : 음극(카본나노튜브)

Claims (20)

  1. 음극(Anode)을 포함하는 음극부와 양극(Cathode)을 포함하는 양극부 및 광원을 구비하여 상기 양극부의 양극(Cathode)에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이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표면에 미생물을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슬러지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Alcaligenes eutrophus , E. Coli , Anacystis nidulans , Proteus vulgaris , Bacillus subtilis , Pseudomonas putida , Pseudomonas aeruginosa , Streptococcus latis , Shewanella oneidenesis 또는 Shewanella putrefaciens를 포함하는 철환원세균 또는 Geobacter sulfurreducens 중의 하나 또는 상기 미생물들의 컨소시엄이거나 하폐수처리장 혐기소화조 오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는 미생물 슬러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슬러지는 Alcaligenes eutrophus , E. Coli , Anacystis nidulans , Proteus vulgaris , Bacillus subtilis , Pseudomonas putida ,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latis , Shewanella oneidenesis 또는 Shewanella putrefaciens를 포함하는 철환원세균 또는 Geobacter sulfurreducens 중의 하나 또는 상기 미생물들의 컨소시엄이거나 하폐수처리장 혐기소화조 오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는 하폐수를 미생물 기질로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에 광원으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양극부에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반응은 상기 양극부에 충전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로 코팅하거나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를 담지한 광촉매지지체에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Cathode)은 카본 나노튜브(CNTs), 카본 직조물(carbon cloth), 카본지(carbon paper), 흑연 펠트(graphite felt), 흑연 그래뉼(graphite granule), 흑연 브러쉬(graphite brush), 상기 카본 또는 흑연 관련 재료를 지지체로 하여 금속 또는 전이금속을 도핑 또는 코팅한 것, 귀금속 또는 전이금속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아연이고, 상기 양극에 조사되는 자외선(UV)의 최대파장은 286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Anode)은 카본 나노튜브(CNTs), 카본 직조물(c arbon cloth), 카본지(carbon paper), 흑연 펠트(graphite felt), 흑연 그래뉼(gr aphite granule), 흑연 브러쉬(graphite brush), 상기 카본 또는 흑연 관련 재료를 지지체로 하여 금속 또는 전이금속을 도핑 또는 코팅한 것, 귀금속 또는 전이금속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아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13. 제 9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귀금속은 백금(P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14. 제 9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금속은 타이타늄(T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부와 상기 양극부는 이들을 격리하는 이온교환막을 추가로 더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막은 자외선차폐 불투명 글래스 또는 SiO2 비드(bead)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17. 음극(Anode)을 포함하는 음극부와 양극(Cathode)을 포함하는 양극부 및 광원으로 이루어져 상기 양극부에 광원으로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광조사단계(S1단계)와; 상기 양극부의 양극(Cathode)에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반응을 일으키는 광촉매반응단계(S2단계)와; 상기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로 코팅하거나 자외선(UV) 또는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를 담지한 광촉매지지체를 상기 양극부에 충전하는 광촉매지지체 충전단계(S3단계)와;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담체 또는 슬러지를 충전하는 담체 충전단계(S4단계) 및; 상기 음극부의 음극(Anode) 주위에 하폐수를 미생물 기질로서 공급하는 하폐수 공급단계(S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UV) 응답형 광촉매는 TiO2, ZnS, CdS, ZrO2, V2O3 및 WO3 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는 CdS, V2O3, WO3, BiVO4, AgNbO3, Cr과 Sb가 도핑된 TiO2, Cr과 Sb가 도핑된 Pt/SrTiO3, Cr과 Ta가 도핑된 Pt/SrTiO3, Cu-ZnS 및 Ni-ZnS 중의 어느 하나이거나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 하부로부터 양극부 내부로 산소 또는 공기를 공급하여 음극부로부터 이동된 수소이온 및 음극(Anode)으로부터 회로를 통해 이동된 전자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며 전자흐름이 전류로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고; 상기 음극부로부터 이동된 수소이온 및 음극으로부터 회로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양극(Cathode)에서 방출된 전자와 결합하여 수소를 생성하며; 상기 양극부 내부로 공급된 산소 또는 공기가 전자수용체로서 광촉매표면에서 광원에 의해 분리 생성되고 여기된 전자와 정공 간의 빠른 재결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광촉매의 활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은 수소정제용 분리막 공정을 더 추가하여 수소정제용 분리막 공정을 거쳐서 수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
KR1020150066301A 2014-05-29 2015-05-12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 KR101825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5479 2014-05-29
KR1020140065479 2014-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429A true KR20150139429A (ko) 2015-12-11
KR101825783B1 KR101825783B1 (ko) 2018-02-06

Family

ID=5502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301A KR101825783B1 (ko) 2014-05-29 2015-05-12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78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9024A (zh) * 2016-04-20 2016-08-17 东南大学 Ag3PO4光催化耦合人工湿地微生物电池系统及其应用
CN106684419A (zh) * 2017-02-21 2017-05-17 南京大学 一种光助微生物燃料电池
CN108793422A (zh) * 2018-05-22 2018-11-13 大连理工大学 光催化电极耦合微生物燃料电池促进焦化废水处理方法
KR20190097435A (ko) * 2018-02-12 2019-08-21 (주)엠큐더블유 유수 절수 장치
CN110228851A (zh) * 2019-03-22 2019-09-13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抽屉式微生物电池耦合人工湿地系统
CN110451631A (zh) * 2019-07-31 2019-11-15 安徽环境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强化生物电化学原位污染水体修复的方法
CN110649289A (zh) * 2019-10-17 2020-01-03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光催化与人工湿地复合型燃料电池及污水处理方法
WO2022016768A1 (zh) * 2020-07-22 2022-01-27 南京理工大学 一种基于光激发空穴为电子受体的生物强化处理难降解有机污染物的方法
CN114551903A (zh) * 2022-02-25 2022-05-27 广州大学 微生物燃料电池阴极、制备方法及其应用
CN115093009A (zh) * 2022-01-24 2022-09-23 成都理工大学 一种用于地下水循环井的光催化微生物燃料电池处理组件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9024A (zh) * 2016-04-20 2016-08-17 东南大学 Ag3PO4光催化耦合人工湿地微生物电池系统及其应用
CN106684419A (zh) * 2017-02-21 2017-05-17 南京大学 一种光助微生物燃料电池
KR20190097435A (ko) * 2018-02-12 2019-08-21 (주)엠큐더블유 유수 절수 장치
WO2019223051A1 (zh) * 2018-05-22 2019-11-28 大连理工大学 光催化电极耦合微生物燃料电池促进焦化废水处理方法
CN108793422A (zh) * 2018-05-22 2018-11-13 大连理工大学 光催化电极耦合微生物燃料电池促进焦化废水处理方法
CN108793422B (zh) * 2018-05-22 2019-09-27 大连理工大学 光催化电极耦合微生物燃料电池促进焦化废水处理方法
CN110228851A (zh) * 2019-03-22 2019-09-13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抽屉式微生物电池耦合人工湿地系统
CN110451631A (zh) * 2019-07-31 2019-11-15 安徽环境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强化生物电化学原位污染水体修复的方法
CN110649289A (zh) * 2019-10-17 2020-01-03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光催化与人工湿地复合型燃料电池及污水处理方法
CN110649289B (zh) * 2019-10-17 2023-10-20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光催化与人工湿地复合型燃料电池及污水处理方法
WO2022016768A1 (zh) * 2020-07-22 2022-01-27 南京理工大学 一种基于光激发空穴为电子受体的生物强化处理难降解有机污染物的方法
CN115093009A (zh) * 2022-01-24 2022-09-23 成都理工大学 一种用于地下水循环井的光催化微生物燃料电池处理组件
CN115093009B (zh) * 2022-01-24 2023-07-18 成都理工大学 一种用于地下水循环井的光催化微生物燃料电池处理组件
CN114551903A (zh) * 2022-02-25 2022-05-27 广州大学 微生物燃料电池阴极、制备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783B1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783B1 (ko) 광촉매반응공정과 통합된 오염원 처리방법
Fischer Photoelectrode, photovoltaic and photosynthetic microbial fuel cells
US10683218B2 (en) Z-scheme microbial photoelectrochemical system (MPS) for wastewater-to-chemical fuel conversion
Xiao et al. Hybrid microbial photoelectrochemical system reduces CO2 to CH4 with 1.28% solar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Li et al. Enhanced electro-catalytic genera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for degradation of phenol wastewater using MnO2/Nano-G| Foam-Ni/Pd composite cathode
Tahir et al. A review on remediation of harmful dyes through visible light-driven WO 3 photocatalytic nanomaterials
Wang et al. A bio-electro-Fenton system with a facile anti-biofouling air cathode for efficient degradation of landfill leachate
US9492810B2 (en) Photocatalyst
CN102092820A (zh) 一种双池双效可见光响应光电芬顿去除水中有机物的方法及装置
Li et al. Bio‐electro‐Fenton systems for sustainable wastewater treatment: mechanisms, novel configurations, recent advances, LCA and challenges. An updated review
Dong et al. Cadmium sulfide nanoparticles-assisted intimate coupling of microbial and photoelectrochemical processes: Mechanisms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CN106630429B (zh) 一种基于生物电化学及光催化的污水原位处理系统及应用
Wang et al. Synergistic degradation for o-chlorophenol and enhancement of power generation by a coupled photocatalytic-microbial fuel cell system
CN109286026B (zh) 一种新型(膜)电极催化过一硫酸盐辅助构建光催化燃料电池系统
Rafieenia et al. Integration of microbial electrochemical systems and photocatalysis for sustainable treatment of organic recalcitrant wastewaters: Main mechanisms, recent advances, and present prospects
CN103367759A (zh) 可见光响应型光催化废水燃料电池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299463A (zh) 光燃料电池
Bhowmick et al. TiO2/Activated carbon photo cathode catalyst exposed to ultraviolet radiation to enhance the efficacy of integrated microbial fuel cell-membrane bioreactor
Shi et al. Enhanced bio-photodegradation of p-chlorophenol by CdS/g-C3N4 3D semiconductor-microbe interfaces
Yi et al. The ins and outs of photo-assisted microbial electrochemical systems for synchronous wastewater treatment and bioenergy recovery
Siddiqui et al. Wastewater treatment and energy production by microbial fuel cells
CN104817190B (zh) 一种利用太阳能降污产氢的生物电化学装置及方法
Chen et al. Hydroxyl radical and carbonate radical facilitate chlortetracycline degradation in the bio-photoelectrochemical system with a bioanode and a Bi2O3/CuO photocathode using bicarbonate buffer
Rahman et al. A review on semiconductor photocathode in bioelectrochemical systems: Mechanism, limitation,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
Liang et al. Ti3+ self-doped and nitrogen-annealed TiO2 nanocone arrays photoanode for efficient visible-LED-light-driven photoelectrocatalytic degradation of sulfamethaz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