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653A - 보형물 삽입기구 - Google Patents

보형물 삽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653A
KR20150138653A KR1020140066836A KR20140066836A KR20150138653A KR 20150138653 A KR20150138653 A KR 20150138653A KR 1020140066836 A KR1020140066836 A KR 1020140066836A KR 20140066836 A KR20140066836 A KR 20140066836A KR 20150138653 A KR20150138653 A KR 20150138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inflator
guide wire
handle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754B1 (ko
Inventor
이상협
박헌국
장봉석
호 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40066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75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8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1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 A61F2/011Instruments for their placement or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8Inflatable balloon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08Guide wires having a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33Guide wires having specific material compositions or coatings; Materials with specific mechanical behaviours, e.g. stiffness, strength to transmit torq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형물 삽입기구에 관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중공형상의 손잡이;상기 손잡이에 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부관;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손잡이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외부관의 길이보다 긴 형태를 가지고, 일측에 팽창제가 유출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내부관;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사이에 마련되는 팽창체; 및 인체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형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형물 삽입기구는 자가확장형 스텐트를 짧은 시간 내에 간편하게 협착부위에 이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형물 삽입기구{APPARATUS FOR PROSTHESIS INSERTION}
본 발명은 보형물 삽입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강, 식도 등의 신체 협착부위를 치료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개시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보형물, 예하면 스텐트를 병변부위에 삽입하는 시술방법이다.
내강 내에 이식되는 스텐트는, 팽창제의 공급에 의해 확장되는 벌룬이 설치된 삽입기구에 의하여 내강 내에 삽입되고, 내강 내의 원하는 이식 위치까지 이송되어 이식이 행해진다. 즉, 먼저 스텐트는 삽입기구의 선단부에 설치된 벌룬 상에 축경된 상태로 설치된다. 다음, 삽입기구를 관통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기구에 선행하여 내강 내의 협착부위를 지나쳐서 삽입하고, 가이드 와이어에 따라 삽입기구를 내강 내에 삽입하고, 스텐트가 설치된 벌룬을 스텐트 이식 위치인 협착부위에 위치시킨다. 마지막으로, 벌룬이 스텐트와 함께 협착부위에 위치하면 벌룬에 팽창제를 공급하고 벌룬을 팽창시켜 스텐트를 확경시키고, 협착부위를 확장하는 치료를 진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삽입기구는 벌룬의 팽창에 의해 확경되는 벌룬 확장형 스텐트를 내강으로 이식할 수 있지만, 자가확장형 스텐트는 내강으로 이식할 수 없다. 자가확장형 스텐트는 내강으로 이식할 경우, 벌룬이 설치된 삽입기구를 이용하여 협착부위를 확장한 다음 자가확장형 스텐트가 설치된 삽입기구를 이용하여 자가확장형 스텐트를 협착부위에 이식해야 하므로, 시술과정이 번잡하고,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81066
본 발명은 자가확장형 보형물을 협착부위에 이식할 경우, 시술시간이 단축되고, 시술이 간편한 보형물 삽입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형물 삽입기구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중공형상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부관;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손잡이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외부관의 길이보다 긴 형태를 가지고, 일측에 팽창제가 유출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내부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사이에 마련되는 팽창체; 및 인체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형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형물 삽입기구는 상기 내부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내부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보형물 삽입기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와이어가 인입되는 앤드 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형물 삽입기구는 상기 내부관의 타측에 결합되는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내부관과 연통되어 팽창제를 주입하는 팽창제 주입구; 및 가이드 와이어가 인출되도록 상기 내부관과 연통되는 가이드 와이어 인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관의 내부에는, 상기 팽창제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팽창제가 공급되는 팽창제 공급통로; 및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되는 가이드 와이어 통과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재질은 니티놀, 스테인레스 스틸 및 고분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체는, 팽창 가능한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의 양쪽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관의 외부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체의 재질은 라텍스, 나일론,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체는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사이에서 상기 내부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형물은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사이에서 상기 내부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팽창부와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형물은 자가확장형 스텐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형물 삽입기구는 자가확장형 스텐트를 짧은 시간 내에 간편하게 협착부위에 이식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삽입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a는 도1의 보형물 삽입기구의 손잡이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팽창체와 보형물이 노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b는 도1의 보형물 삽입기구를 후방으로 이동하여 팽창체가 보형물의 내부에 위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c는 도1의 보형물 삽입기구의 팽창체의 팽창부이 팽창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보형물 삽입기구를 A-A선을 따라 절취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2a의 보형물 삽입기구를 B-B선을 따라 절취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팽창부이 팽창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형물 삽입기구(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삽입기구(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삽입기구(100)는 도1을 참조하면, 손잡이(110), 외부관(120), 내부관(130), 팽창체(140), 보형물(150), 앤드 팁(160), 및 허브(170)를 포함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10)는 중공형상이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110)는 사람의 손에 의한 회전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관(120)은 중공의 형상이고, 상기 손잡이(110)의 이동 방향으로 긴 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부관(120)은 상기 손잡이(110)에 후단이 결합되어 손잡이(110)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내부관(130)은 상기 손잡이(110)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외부관(120)의 길이보다 긴 형태를 가지고, 일부는 상기 외부관(1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부는 상기 외부관(120)의 내부에 수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외부관(120)은 손잡이(110)에 의하여 내부관(1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내부관(130)의 상기 일측에는 팽창제가 유출입되는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31)을 통하여 내부관(130)의 외부로 팽창제가 유출되거나 유출된 팽창제가 내부관(130)의 내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내부관(130)의 내부에는, 팽창제 공급통로(132) 및 가이드 와이어 통과통로(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팽창제 공급통로(132)는 주입된 팽창제를 상기 관통홀(131)로 공급하는 통로이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 통과통로(133)는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되는 통로이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가이드 와이어 통과통로(133)의 일단에 삽입되어 타단으로 인출된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전단이 유연하게 구성되어, 보형물 삽입기구(100)를 협착부위에로 가이드하는 과정에서 내강 내벽에 대한 손상을 줄인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니티놀, 스테인레스 스틸 및 고분자 중 어느 하나인 재질일 수 있고, 보형물 삽입기구(100)를 가이드하여 원하는 협착부위로 가이드 한다.
도2a는 도1의 보형물 삽입기구(100)의 손잡이(11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팽창체(140)와 보형물이 노출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도2a의 보형물 삽입기구(100)를 B-B선을 따라 절취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5는 도4의 팽창부(141)이 팽창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창체(140)는 얇은 막형상으로 팽창부(141)와 접합부(1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팽창체(140)는 라텍스, 나일론,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부(141)는 내부관(130)의 상기 관통홀(131)이 형성된 부분을 감싸고, 상기 내부관(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접혀 있다. 따라서, 팽창부(141)의 접힌 부분(143)이 펼쳐지면서 팽창가능하고, 외부관(120)과 내부관(130)의 사이에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142)은 일정한 넓이를 가지고, 팽창부(141)의 양쪽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관(130)에 접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합부(142)에 의하여 상기 내부관(130)과 상기 팽창부(141) 사이에 한정된 공간이 구성될 수 있고, 관통홀(131)로부터의 팽창제가 상기 공간에 충만되면 상기 팽창부(141)이 팽창한다. 상기 접합부(142)은 접착제 또는 열융착에 의하여 상기 내부관(130)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제는 공기, 식염수, 조영제, 및 셀라인(saline)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형물(150)은 상기 외부관(120)과 상기 내부관(130)의 사이에서 상기 내부관(13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팽창체(140)의 팽창부(141)와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보형물(150)은 상기 팽창체(140)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보형물(150)은 상기 팽창체(140)의 후방에 위치하는 자가확장형 스텐트이다.
상기 앤드 팁(160)은 양단으로 가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후단이 상기 내부관(130)의 상기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관(130)과 연통되고, 앤드 팁(160)의 전단으로 가이드 와이어가 인입된다. 상기 앤드 팁(160)의 전단은 앤드 팁(160)의 후단에 비하여 유연하므로 보형물 삽입기구(100)가 협착부위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굴곡도가 높은 내강의 내벽에 손상을 거의 주지 않는다.
상기 허브(170)는 상기 내부관(130)의 상기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관(130)과 연통되고, 팽창제 주입구(171)와 가이드 와이어 인출구(172)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제 주입구(171)는 상기 내부관(130)의 팽창제 공급통로(132)와 연통된다. 따라서, 팽창제는 상기 팽창제 주입구(171)를 통하여 내부관(130)의 팽창제 공급통로(132)에로 유입되고, 내부관(130)의 관통홀(131)을 통하여 유출되면서 팽창체(140)의 팽창부(141)을 팽창시킨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 인출구(172)는 상기 내부관(130)의 가이드 와이어 통과통로(133)와 연통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앤드 팁(160)의 전단으로 삽입되어 가이드 와이어 통과통로(133)를 통과하고 가이드 와이어 인출구(172)로 인출됨으로써, 보형물 삽입기구(100)가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형물 삽입기구(100)를 사용한 자가확장형 스텐트의 이식 수순은 도1 내지 도2c를 참조하면, 먼저 도1의 보형물 삽입기구(100)의 자가확장형 스텐트가 설치된 부분을 스텐트 이식 위치인 내강의 협착부위에 위치시킨 후, 손잡이(110)를 도 2a에서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외부관(120)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외부관(120)과 내부관(130)의 사이에 위치한 팽창체(140)와 자가확장형 스텐트가 차례로 노출된다. 또는, 팽창체(140)가 설치된 부분을 스텐트 이식 위치인 내강의 협착부위에 위치시킨 후, 손잡이(110)를 후방으로 이동하고, 팽창체(140)를 노출시킨다. 다음, 인디플레이터(indeflator) 등을 사용하여 팽창제 주입구(171)로부터 팽창제를 주입하여 팽창체(140)의 팽창부(141)을 팽창시켜 협착부위를 먼저 확장시킨다. 이어, 인디플레이터(indeflator) 등에 의하여 팽창제를 흡입하여 팽창부(141)을 원래 모양으로 회복시키고 보형물 삽입기구(100)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스텐트가 설치된 부분을 확장된 협착부위에 위치시킨 후, 손잡이(110)를 후방으로 이동하면 스텐트가 노출되면서 협착부위에 위치될 수도 있다. 스텐트는 형상기억합금 재질로 구성된 자가확장형이므로 노출되면서 기억된 모양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다음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형물 삽입기구(100)를 후방으로 이동하여 팽창체(140)를 스텐트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제 주입구(171)로부터 팽창제를 주입하여 팽창체(140)의 팽창부(141)을 팽창시키면서 자가확장형 스텐트를 병변부위의 내강 벽에 밀착시켜 위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보형물 삽입기구 141: 팽창부
110: 손잡이 142: 접합부
120: 외부관 143: 접힌 부분
130: 내부관 150: 보형물
131: 관통홀 160: 앤드 팁
132: 팽창제 공급통로 170: 허브
133: 가이드 와이어 통과통로 171: 팽창제 주입구
140: 팽창체 172: 가이드 와이어 인출구

Claims (10)

  1.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중공형상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부관;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손잡이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외부관의 길이보다 긴 형태를 가지고, 일측에 팽창제가 유출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내부관;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사이에 마련되는 팽창체; 및
    인체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형물;을 포함하는 보형물 삽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내부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보형물 삽입기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와이어가 인입되는 앤드 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삽입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타측에 결합되는 허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내부관과 연통되어 팽창제를 주입하는 팽창제 주입구; 및
    가이드 와이어가 인출되도록 상기 내부관과 연통되는 가이드 와이어 인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삽입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내부에는,
    상기 팽창제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팽창제가 공급되는 팽창제 공급통로; 및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되는 가이드 와이어 통과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삽입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의 재질은 니티놀, 스테인레스 스틸 및 고분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삽입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는,
    팽창 가능한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의 양쪽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관의 외부에 접합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삽입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의 재질은 라텍스, 나일론,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삽입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는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사이에서 상기 내부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삽입기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상기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사이에서 상기 내부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팽창부와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삽입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자가확장형 스텐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삽입기구.
KR1020140066836A 2014-06-02 2014-06-02 보형물 삽입기구 KR10166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836A KR101663754B1 (ko) 2014-06-02 2014-06-02 보형물 삽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836A KR101663754B1 (ko) 2014-06-02 2014-06-02 보형물 삽입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653A true KR20150138653A (ko) 2015-12-10
KR101663754B1 KR101663754B1 (ko) 2016-10-10

Family

ID=5497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836A KR101663754B1 (ko) 2014-06-02 2014-06-02 보형물 삽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869A1 (ko) * 2016-07-14 2018-01-1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협착병변부위 길이측정장치 및 길이측정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0918A (ko) * 1997-03-31 1998-11-25 피셀로버트이 스텐트 도출 카테테르 시스템
JP2009515647A (ja) * 2005-11-14 2009-04-1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バルーン折り畳み設計、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120081066A (ko) 2009-09-25 2012-07-18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의료용 카테터 장치
KR20120081025A (ko) * 2009-09-25 2012-07-18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의료용 카테터 장치
JP2012200368A (ja) * 2011-03-24 2012-10-22 Terumo Corp 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0918A (ko) * 1997-03-31 1998-11-25 피셀로버트이 스텐트 도출 카테테르 시스템
JP2009515647A (ja) * 2005-11-14 2009-04-1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バルーン折り畳み設計、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120081066A (ko) 2009-09-25 2012-07-18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의료용 카테터 장치
KR20120081025A (ko) * 2009-09-25 2012-07-18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의료용 카테터 장치
JP2012200368A (ja) * 2011-03-24 2012-10-22 Terumo Corp 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869A1 (ko) * 2016-07-14 2018-01-1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협착병변부위 길이측정장치 및 길이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754B1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6332B2 (ja) 生体内腔の分岐点の治療装置
EP1152711B1 (en) Bifurcation stent delivery system
ES2324300T3 (es) Sistema de cateteres de balon.
JP5350248B2 (ja) 分岐部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
JP4445125B2 (ja) 分岐部における病変のための拡張及びステント配送用カテーテル
US7344557B2 (en) Catheter balloon systems and methods
US6656213B2 (en) Stent delivery system
JP2999165B2 (ja) ステント供給装置
EP2296588B1 (en) Staggered two balloon bifurcation catheter assembly and methods
US20130060316A1 (en)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use
JPH11503341A (ja) 変形不能な自己拡張式平行フロー形成用脈管内ステント及び同ステントの挿入装置
JP2001025508A (ja) 内腔内人工器官搬送組立体及びその使用方法
JPH09276414A (ja) カテーテルアセンブリ
WO2007002423A2 (en) Balloon catheter
JP2004516886A (ja) 自己拡開ステント用の拡開支援式送達システム
JP2009501567A (ja) 自己拡張型血管内装置の展開に使用する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22509927A (ja) デュアル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方法
CA2728576C (en) Balloon for a body lumen and method of use
KR101663754B1 (ko) 보형물 삽입기구
JP2016034488A (ja) 脈管ライニングを有する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方法
CN114173697B (zh) 导管系统
EP1547546A2 (en) Bifurcation stent delive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