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626A -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Google Patents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626A
KR20150138626A KR1020140066757A KR20140066757A KR20150138626A KR 20150138626 A KR20150138626 A KR 20150138626A KR 1020140066757 A KR1020140066757 A KR 1020140066757A KR 20140066757 A KR20140066757 A KR 20140066757A KR 20150138626 A KR20150138626 A KR 20150138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fastening member
battery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935B1 (ko
Inventor
서재현
김성태
이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06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935B1/ko
Priority to US15/314,366 priority patent/US10283744B2/en
Priority to PCT/KR2015/005348 priority patent/WO2015186923A1/ko
Priority to JP2016569595A priority patent/JP6474836B2/ja
Priority to EP15803727.5A priority patent/EP3151307B1/en
Priority to PL15803727T priority patent/PL3151307T3/pl
Priority to CN201510295617.5A priority patent/CN105304833B/zh
Priority to CN201520371898.3U priority patent/CN204680700U/zh
Publication of KR20150138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1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2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with thread-engaging surfaces formed by inserted coil-springs, discs, or the like; Independent pieces of wound wire used as nuts; Threaded inserts for holes
    • F16B37/122Threaded inserts, e.g. "rampa bolts"
    • F16B37/125Threaded inserts, e.g. "rampa bolts" the external surface of the insert being threa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로서, 상기 전지셀이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단위모듈 다수 개가 지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는 구조의 단위모듈 적층체; 상기 단위모듈 적층체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단 플레이트와 하단 플레이트로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에는 상기 관통구에 연통되는 제 1 체결구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하단 플레이트에는 상기 관통구에 연통되는 제 2 체결구가 천공되어 있는 구조의 상단 플레이트 및 하단 플레이트; 상기 하단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단위모듈 적층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과 하단 플레이트의 하면을 감싸며, 상기 제 2 체결구에 연통되는 제 3 체결구가 천공되어 있는 구조의 모듈 하우징; 하기 제 2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 홀이 중심축을 따라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 1 체결구 및 관통구를 통과한 후 제 2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 1 체결부재 및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3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 또는 보조 전력장치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보조 전력장치 또는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단위전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전지모듈로 이루어진 고용량/고출력의 전지팩은 다수의 전지셀들 또는 전지모듈을 인접하여 적층한 뒤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전지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볼트 및 전지모듈의 프레임과 베이스 플레이트에 면접촉하는 별도의 고정 브라켓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볼트 및 고정 브라켓을 이용한 체결 구조는, 전지팩에 과도한 충격이 발생시 전지셀 적층방향 또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지의 안전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고정 브라켓으로 전지팩 내부의 공간이 협조해질 뿐만 아니라, 전지팩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고정 브라켓을 별도로 체결하는 과정은 전체 공정 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조립 구조의 전지모듈 개발의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지모듈의 고정 구조가 공고히 유지될 수 있고, 전지팩 내에 전지모듈들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필요 없으므로 전지팩의 내부 공간이 증가되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지팩의 조립 및 교체시 전지모듈의 탈착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전체 작업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로서,
상기 전지셀이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단위모듈 다수 개가 지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는 구조의 단위모듈 적층체;
상기 단위모듈 적층체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단 플레이트와 하단 플레이트로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에는 상기 관통구에 연통되는 제 1 체결구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하단 플레이트에는 상기 관통구에 연통되는 제 2 체결구가 천공되어 있는 구조의 상단 플레이트 및 하단 플레이트;
상기 하단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단위모듈 적층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과 하단 플레이트의 하면을 감싸며, 상기 제 2 체결구에 연통되는 제 3 체결구가 천공되어 있는 구조의 모듈 하우징;
하기 제 2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 홀이 중심축을 따라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 1 체결구 및 관통구를 통과한 후 제 2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 1 체결부재; 및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3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지팩은 다수개의 단위모듈을 포함하는 단위모듈 적층체 및 상기 단위모듈 적층체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상하단 플레이트를 모듈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하는 특정 구조의 제 1 및 제 2 체결부재에 의해, 전지팩에 대해 외부 충격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지모듈의 고정 구조가 공고히 유지될 수 있고, 별도의 장착 고정 부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전지팩의 내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체결구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헤드와, 상기 제 1 체결구 및 관통구에 삽입되는 체결 바(bar) 및 상기 제 2 체결구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 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체결단을 포함하는 있고, 상기 헤드, 체결 바 및 제 1 체결단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 홀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이고, 상기 제 2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관통 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헤드와,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관통 홀에 삽입되는 삽입 바 및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관통 홀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3 체결구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 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체결단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헤드에는 제 2 체결부재의 헤드가 도입 안착되기 위한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 바의 상단 내면에 렌칭 볼트의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만입부는 적어도 제 2 체결부재의 헤드의 높이 이상으로 만입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체결부재의 헤드에 렌칭 볼트의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단 플레이트 및 하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후,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제 3 체결구에 체결되어 상기 모듈 하우징과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제 2 체결구 및 제 3 체결구에는 상기 제 1 체결부재 및 제 2 체결부재의 제 1 체결단과 제 2 체결단이 회전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스크류 구조가 각인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체결부재 및 제 2 체결부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고, 상기 상하단 플레이트는 각각 금속 소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카트리지는, 전지셀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지셀에 대응하는 장방형 구조로서, 단위모듈 적층체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 1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4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예를 들어,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셀은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로서, 전체적으로 폭 대비 두께가 얇은 대략 직육면체 구조인 판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셀은 일반적으로 파우치형의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지케이스는 내구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외부 피복층; 수분, 공기 등에 대해 차단성을 발휘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차단층; 및 열융착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내부 실란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케이스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2 단위의 부재로서 상부 및/또는 하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 케이스 외주면의 상하부 접촉부위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은 본 출원인의 PCT 국제출원 제PCT/KR2004/00331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은 참조로서 본 발명의 내용에 합체된다. 그러나, 전지케이스가 1 단위의 부재로서 상부 및/또는 하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 케이스 외주면의 상하부 접촉부위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구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열융착의 내부 수지층, 차단성 금속층, 및 내구성을 발휘하는 외부 수지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을 단위체로 포함하는 고출력 대용량의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한다. 상기 중대형 전지팩은 요구되는 용량 또는 출력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전지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바, 상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 저장장치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부싱 체결 구조의 체결부재에 의해, 진보, 낙하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지모듈의 고정 구조가 공고히 유지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지모듈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 등의 별도의 수단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전지팩 내부 공간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전지모듈에 장착되는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모듈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의 단위모듈 적층체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의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의 체결부재의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단위모듈에 장착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전지셀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도 1의 분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전지셀(200)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00) 내부에,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가 그것의 양극 및 음극 탭들(220, 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단자(222, 2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케이스(100)는 전극조립체(21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142)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140)와 그러한 본체(140)에 일체로서 연결되어 있는 덮개(150)로 이루어져 있다.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의 구조를 가진 전극조립체(210)는 다수의 양극 탭들(220)과 다수의 음극 탭들(230)이 각각 융착되어 전극단자(222, 232)에 함께 결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40)의 잉여부(144)와 커버(150)가 열융착기에 의해 열융착될 때 그러한 열융착기와 전극단자(222, 232)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극단자(222, 232)와 전지케이스(100)와의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극단자(222, 232)의 상하면에 절연필름(240)이 부착된다.
케이스 본체(140)와 커버(150)는 외측 수지층(110), 차단성 금속층(120) 및 내측 수지층(130)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측 수지층(130)은 케이스 본체(140)의 외면과 커버(150)의 외면에 가해지는 열융착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열과 압력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전해액이 함침된 전극조립체(210)를 수납부(142)에 안착한 상태에서 케이스 본체(140)의 잉여부(144)와 커버(150)의 접촉부위를 열융착시키면 실링부가 형성된다.
도 3 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모듈 적층체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도 3의 단위모듈 적층체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도 5의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500)은 전지셀들(200)이 각각 장착된 상태로 지면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다수개의 카트리지들(20)을 포함하는 단위모듈 적층체(300), 카트리지들(20)의 최상단과 최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단 플레이트(10)와 하단 플레이트(30) 및 하단 플레이트(30) 상에 장착된 단위모듈 적층체(300)의 측면들과 하단 플레이트(30)의 하면을 감싸는 구조의 모듈 하우징(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들(20)에는 4 모서리 부위에 관통구들(21)이 천공되어 있고, 상단 플레이트(10)에는 관통구들(21)에 연통되도록 대응하는 부위에 제 1 체결구들(11)이 천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단 플레이트(30)에는 관통구들(21)에 연통되도록 대응하는 부위에 제 2 체결구들(도시하지 않음)이 천공되어 있다.
모듈 하우징(70)에는 상기 제 2 체결구들에 연통되도록 대응하는 부위에 제 3 체결구들(71)이 천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체결구들 및 제 3 체결구들(71)의 내주면에는 제 1 체결부재(50) 및 제 2 체결부재(60)에 형성되어 있는 하기의 제 1 체결단(도 7: 54)과 제 2 체결단(도 7: 63)이 회전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스크류 구조(도시하지 않음)가 각인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체결부재(50)의 제 1 체결단(54)이 하단 플레이트(30)의 상기 제 2 체결구에 결합되고, 제 2 체결부재(60)의 제 2 체결단(63)이 모듈 하우징(70)의 제 3 체결구들(71)에 용이하게 결합된다.
도 7 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도 7 의 체결부재의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9 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체결부재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6 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따른 체결부재는 제 1 체결부재(50)와 제 2 체결부재(60)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체결부재(50)에는 내경(W1)보다 큰 외경(W2)을 가진 헤드(51), 제 1 체결구(11) 및 관통구(21)에 삽입되는 체결 바(52) 및 제 2 체결구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 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체결단(54)이 형성되어 있고, 중심축을 따라 관통 홀(55)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체결부재(50)의 헤드(51)에는 제 2 체결부재(60)의 헤드(61)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한 만입부(57)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 바(52)의 상단 내면에는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렌칭 볼트의 구조(5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체결부재(60)는 상기 제 1 체결부재(50)의 관통 홀(55)의 내경(W3)보다 큰 외경(W1)을 가진 헤드(61), 제 1 체결부재(50)의 관통 홀(55)에 삽입되는 삽입 바(62) 및 관통 홀(55)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3 체결구(71)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 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체결단(63)이 형성되어 있고, 헤드(61)에는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렌칭 볼트의 구조(6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들(20)을 포함하는 단위모듈 적층체(300)와 상단 플레이트(10) 및 하단 플레이트(30)는 제 1 체결부재(50)가 카트리지(20)의 관통구들(21), 상단 플레이트(10)의 제 1 체결구들(11) 및 하단 플레이트(30)의 제 2 체결구들(도시하지 않음)에 차례로 관통되어 장착되고, 제 2 체결부재(50)가 제 1 체결부재(50)에 간섭없이 삽입되면서 모듈 하우징(70)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체결구들(71)에 제 2 체결부재(50)의 제 2 체결단(63)이 회전 결합됨으로써, 단위모듈 적층체(300), 상단 플레이트(10), 하단 플레이트(30) 및 모듈 하우징(70)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5)

  1.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로서,
    상기 전지셀이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구조의 단위모듈 다수 개가 지면을 기준으로 상하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는 구조의 단위모듈 적층체;
    상기 단위모듈 적층체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상단 플레이트와 하단 플레이트로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에는 상기 관통구에 연통되는 제 1 체결구가 천공되어 있고, 상기 하단 플레이트에는 상기 관통구에 연통되는 제 2 체결구가 천공되어 있는 구조의 상단 플레이트 및 하단 플레이트;
    상기 하단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단위모듈 적층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과 하단 플레이트의 하면을 감싸며, 상기 제 2 체결구에 연통되는 제 3 체결구가 천공되어 있는 구조의 모듈 하우징;
    하기 제 2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 홀이 중심축을 따라 천공되어 있고, 상기 제 1 체결구 및 관통구를 통과한 후 제 2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 1 체결부재; 및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관통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3 체결구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체결구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헤드;
    상기 제 1 체결구 및 관통구에 삽입되는 체결 바(bar); 및
    상기 제 2 체결구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 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체결단;
    을 포함하는 있고, 상기 헤드, 체결 바 및 제 1 체결단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 홀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관통 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진 헤드;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관통 홀에 삽입되는 삽입 바; 및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관통 홀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제 3 체결구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 산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체결단;
    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헤드에는 제 2 체결부재의 헤드가 도입 안착되기 위한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 바의 상단 내면에 렌칭 볼트의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는 적어도 제 2 체결부재의 헤드의 높이 이상으로 만입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재의 헤드에 렌칭 볼트의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단 플레이트 및 하단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후,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제 3 체결구에 체결되어 상기 모듈 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구 및 제 3 체결구에는 상기 제 1 체결부재 및 제 2 체결부재의 제 1 체결단과 제 2 체결단이 회전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스크류 구조가 각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재 및 제 2 체결부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단 플레이트는 각각 금속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전지셀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전지셀에 대응하는 장방형 구조로서, 상기 단위모듈 적층체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제 1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4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케이스가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는 열융착의 내부 수지층, 차단성 금속층, 및 내구성을 발휘하는 외부 수지층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모듈 둘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 저장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KR1020140066757A 2014-06-02 2014-06-02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82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57A KR101820935B1 (ko) 2014-06-02 2014-06-02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15/314,366 US10283744B2 (en) 2014-06-02 2015-05-28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PCT/KR2015/005348 WO2015186923A1 (ko) 2014-06-02 2015-05-28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2016569595A JP6474836B2 (ja) 2014-06-02 2015-05-28 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EP15803727.5A EP3151307B1 (en) 2014-06-02 2015-05-28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PL15803727T PL3151307T3 (pl) 2014-06-02 2015-05-28 Moduł akumulatora i zawierający go pakiet akumulatorów
CN201510295617.5A CN105304833B (zh) 2014-06-02 2015-06-02 电池模块和电池组
CN201520371898.3U CN204680700U (zh) 2014-06-02 2015-06-02 电池模块和电池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57A KR101820935B1 (ko) 2014-06-02 2014-06-02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626A true KR20150138626A (ko) 2015-12-10
KR101820935B1 KR101820935B1 (ko) 2018-01-22

Family

ID=5418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757A KR101820935B1 (ko) 2014-06-02 2014-06-02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83744B2 (ko)
EP (1) EP3151307B1 (ko)
JP (1) JP6474836B2 (ko)
KR (1) KR101820935B1 (ko)
CN (2) CN105304833B (ko)
PL (1) PL3151307T3 (ko)
WO (1) WO201518692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688A (ko) * 2016-03-16 2017-09-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모듈용 연결 구조체
WO2018052189A1 (ko) * 2016-09-19 2018-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9017644A1 (ko) * 2017-07-18 2019-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WO2021075666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011500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포스코 배터리팩 프레임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6087A (ja) * 2016-05-30 2017-12-07 株式会社東芝 組電池
WO2018033880A2 (en) 2016-08-17 2018-02-22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GB2553577B (en) * 2016-09-12 2021-06-16 Hyperdrive Innovation Ltd Battery pack enclosure
CN110383526A (zh) 2017-01-04 2019-10-25 形状集团 节点模块化的车辆电池托盘结构
WO2018213306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US10483510B2 (en) 2017-05-16 2019-11-19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WO2018213383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s
WO2019017631A1 (ko) 2017-07-19 2019-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고정 장치
CN111108015A (zh) 2017-09-13 2020-05-05 形状集团 具有管状外围壁的车辆电池托盘
US10661646B2 (en) 2017-10-04 2020-05-26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WO2019169080A1 (en) 2018-03-01 2019-09-0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CN108807762B (zh) * 2018-06-12 2024-04-05 福建云众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可重组变换的电池模组
KR20200131022A (ko) * 2019-05-13 2020-1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12544A (ko) * 2019-07-25 2021-02-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CN113036299A (zh) * 2019-12-09 2021-06-25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
KR20210087815A (ko) *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선된 결합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10095398A (ko) * 2020-01-23 2021-08-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내진동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2764U (ko) * 1981-06-19 1982-12-23
US6842339B2 (en) * 2002-03-01 2005-01-11 High Tech Computer, Corp Affixing device for affixing front cover, back cover and battery unit of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4848733B2 (ja) 2004-10-22 2011-12-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組電池
JP4431029B2 (ja) * 2004-12-14 2010-03-10 株式会社オリンピア 締結装置
JP2008282639A (ja) * 2007-05-10 2008-11-20 Calsonic Kansei Corp バッテリ構造
KR101271567B1 (ko) * 2010-08-16 2013-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정부재가 플레이트들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2070782A2 (ko) * 2010-11-22 2012-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KR101305218B1 (ko) * 2010-12-28 2013-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공 구조의 고정부재와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305224B1 (ko) * 2010-12-28 2013-09-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271883B1 (ko) 2011-07-22 2013-06-0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모듈
KR101292984B1 (ko) 2011-08-22 2013-08-0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모듈
JP6091921B2 (ja) * 2013-02-15 2017-03-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及び組電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688A (ko) * 2016-03-16 2017-09-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모듈용 연결 구조체
WO2018052189A1 (ko) * 2016-09-19 2018-03-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0608221B2 (en) 2016-09-19 2020-03-31 Lg Chem, Lt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WO2019017644A1 (ko) * 2017-07-18 2019-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190009153A (ko) * 2017-07-18 2019-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11349172B2 (en) 2017-07-18 2022-05-3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WO2021075666A1 (ko) * 2019-10-18 2021-04-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011500A (ko)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포스코 배터리팩 프레임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74836B2 (ja) 2019-02-27
WO2015186923A1 (ko) 2015-12-10
CN105304833A (zh) 2016-02-03
PL3151307T3 (pl) 2020-05-18
KR101820935B1 (ko) 2018-01-22
US10283744B2 (en) 2019-05-07
EP3151307A1 (en) 2017-04-05
US20170200925A1 (en) 2017-07-13
JP2017517117A (ja) 2017-06-22
EP3151307B1 (en) 2019-10-23
CN204680700U (zh) 2015-09-30
CN105304833B (zh) 2018-04-20
EP3151307A4 (en)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935B1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EP2988344B1 (en) Battery module having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101492019B1 (ko) 벤팅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00935B1 (ko)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KR101478704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281811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305218B1 (ko) 중공 구조의 고정부재와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478707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어셈블리용 베이스 플레이트
KR20140056835A (ko)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055852B1 (ko) 변형된 리드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EP2999024B1 (en) Base plate for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novel structure
CN107534107A (zh) 电池组及其制造方法
KR20150000090A (ko) 가압 브라켓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17044B1 (ko) 다수의 전극조립체 수납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297858B1 (ko) 다공성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6855662B2 (ja) 溶接用柱を含む円筒型二次電池
KR101671483B1 (ko) 냉매 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73224B1 (ko) 삽입형 온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881120B1 (ko) 전극단자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60019664A (ko) 탄성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셀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KR101722978B1 (ko) 직접 고정 방식의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KR20060037624A (ko) 이차 전지와 이의 캡 조립체
KR101735805B1 (ko) 열융착 부위가 절곡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KR20170036216A (ko) 내충격성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