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526A - Transferring belt for scribe apparatus and scribe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ransferring belt for scribe apparatus and scribe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526A
KR20150138526A KR1020140065304A KR20140065304A KR20150138526A KR 20150138526 A KR20150138526 A KR 20150138526A KR 1020140065304 A KR1020140065304 A KR 1020140065304A KR 20140065304 A KR20140065304 A KR 20140065304A KR 20150138526 A KR20150138526 A KR 20150138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bstrate
weight roller
conveying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3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1253B1 (en
Inventor
황길연
노광석
최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65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253B1/en
Priority to CN201810234427.6A priority patent/CN108439781B/en
Priority to CN201410705620.5A priority patent/CN105293881B/en
Priority to CN201810234455.8A priority patent/CN108423980B/en
Publication of KR20150138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5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2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fer belt for a scribe apparatus, comprising: a transfer belt body which transfers a substrate; and a repetitive accommodating unit which is formed on the transfer belt body, and positions a whol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on the transfer belt body by accommodating a transfer unit which transfers through picking the substrat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ibe apparatus having the transfer belt.

Description

스크라이브 장치용 이송 밸트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TRANSFERRING BELT FOR SCRIBE APPARATUS AND SCRIBE APPARATUS HAV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belt for a scribe device, and a scribe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크라이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을 그립하여 이송하는 척과 이송 밸트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는 스크라이브 장치용 이송 밸트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ib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ibing apparatus for a scribe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a chuck and a transfer belt for gripping and transferring a substrate, and a scribe apparatus having the transfer belt.

일반적으로, 평판형 디스플레이로 이용되는 LCD나 유기EL패널, 무기EL패널, 투과형 프로젝터 기판, 반사형 프로젝터 기판 등은 유리와 같은 취성의 마더 글래스 패널(MOTHER GLASS PANEL)로부터 소정 크기로 절단된 단위 글래스 패널을 사용한다.Generally, an LCD, an organic EL panel, an inorganic EL panel, a transmissive projector substrate, a reflective projector substrate, and the like, which are used as a flat panel display, are made of a glass substrate, such as a moth glass panel (MOTHER GLASS PANEL) Panel.

상기 단위 글래스 패널의 절단은, 패널의 표면에 절단 예정선을 따라 다이아몬드와 같은 재질의 스크라이브 휠을 가압 이동시켜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공정과, 상기 단위 글래스 패널을 스크라이브 라인으로부터 분리하는 브레이킹 공정을 통해 수행된다.The cutting of the unitary glass panel includes a scribing step of forming a scribe line by pressing a scribe wheel made of diamond like material along the line to be cut on the surface of the panel and a breaking step of separating the unit glass panel from the scribe line Lt; / RTI >

이에 따라, 글래스 패널인 기판은 브레이킹 공정을 통해, 각 셀로 분단되고, 셀을 에워싸는 영역인 더미들은 셀 픽업 후 외부로 배출된다.Thus, the substrate, which is a glass panel, is divided into individual cells through a breaking process, and the dummies, which are the areas surrounding the cell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he cell pickup.

이와 같이 글래스 패널(이하, 기판이라 한다.)을 스크라이브하는 장치는 벨트 타입의 스크라이브 장치를 주로 사용한다.The apparatus for scribing the glass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ubstrate ") as described above mainly uses a belt-type scribing apparatus.

종래의 밸트 타입의 스트라이브 장치는 스크라이브된 기판에 대해 각 후속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각 후속 공정 마다 기판을 이송하고 해당 공정을 진행하는 밸트를 구비한다.A conventional belt-type strike apparatus has a belt for conveying a substrate for each subsequent process when a subsequent process is performed on a scribed substrate, and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예컨대, 어느 하나의 밸트를 통해 스크라이브된 기판을 이송하면서, 브레이킹 공정을 수행하고, 이를 다른 밸트에서 이어 받아 픽업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각 밸트들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For example, when the scribed substrate is transported through one of the belts and the braking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braking process is carried out on another belt, the pickup process is performed,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elts.

상기 이격 공간을 브레이킹된 기판이 이동되는 경우, 셀을 에워싸는 더미가 밸트들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substrate is moved in the spaced-apart space, the dummy surrounding the cell falls downward through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belts.

즉, 종래에는 각 후속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밸트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각 공정 마다 기판을 이송시 평탄도 유지가 어렵고, 밸트들 간 이동시 글라스의 정렬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each subsequent process, independently operated belts are us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flatness when the substrate is transferred for each process,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lignment of the glass when moving between belts.

또한, 기판이 밸트 간 이동시 충격이 발생되어 기판 자체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an impact is generated when the substrate moves between the belts, and the substrate itself is damaged.

이에 더하여, 기판의 저면이 다수의 단위 공정이 이루어지는 밸트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전체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함이 중요하다.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is stably seated in tot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lt on which a plurality of unit processes are performed.

즉, 밸트의 전단에서 포크에 의해 그립되어 이송되는 기판은, 포크의 이동에 의해 밸트에 순차적으로 안착된다. 그러나, 포크가 그립된 만큼의 기판의 후단은 밸트에 올려지기 이전에 그립이 해제된다.That is, the substrate gripped by the fork at the front end of the belt and transported is seated sequentially on the belt by the movement of the fork. However, the grip is released before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as much as the fork is gripped is lifted onto the belt.

따라서, 기판의 후단에 형성되는 더미가 밸트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mm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can not be stably positioned in the belt.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8081호(공개일: 2009년 12월 1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모 기판의 상하면에 대한 스크라이빙 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때 스크라이버들과 모 기판이 접촉하는 지점의 양측이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모 기판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128081 (published on December 15, 2009), which discloses a method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scribing process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other substrate Disclosed is a scribe device for spraying air onto a mother substrate such that both sides of a point where scribers contact the mother substrate are in a horizontal state.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을 그립하여 이송하는 척과 이송 밸트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는 스크라이브 장치용 이송 밸트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ed belt for a scribe device capable of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a chuck and a feed belt that grips and feeds a substrate and a scribe device having the feed bel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라이브 공정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위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 밸트 상으로 기판의 저면 전체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킴으로써, 기판의 후단에 형성되는 더미까지 안정적으로 이송 밸트로 전달할 수 있는 스크라이브 장치용 이송 밸트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tably mount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a substrate on a transfer belt for transferring a substrate so that a plurality of unit processes including a scribing process are successively carried out, And a scribe device having the transfer belt for a scribe device.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 밸트 몸체; 및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을 집어 이송하는 이송부를 수용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 전체를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안착시키는 반복 수용부를 포함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용 이송 밸트를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fer belt comprising: a transfer belt body for transferring a substrate; And a repeat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conveying belt body for receiving the conveying portion for picking up and transporting the substrate and placing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on the conveying belt body.

상기 반복 수용부는, 상기 이송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수용홈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peat receiving portion is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an interval in the conveying belt body to receive the conveying portion.

상기 이송부는, 상기 기판의 단부를 집는 포크를 구비한다.The transfer unit has a fork for holding an end of the substrate.

상기 수용홈은, 상기 포크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eiving groove preferably receives the fork.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상기 간격은,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상기 이송부의 동작 거리와 비례되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interval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an operation distance of the transfer section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판을 집는 포크를 구비하여,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기판을 이송하도록 이동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포크를 반복적으로 수용하여, 이송되는 상기 기판의 하면 전체를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이송 밸트를 포함하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transfer section having a fork holding a substrate, the transfer section being moved to transfer the substrate along a transfer path; And a feed belt disposed in the feed path and configured to repeatedly receive the fork and to seat and transport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fed.

상기 이송 밸트는, 상기 기판을 안착시켜 이송하는 이송 밸트 몸체; 및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포크를 반복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 전체를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안착시키는 반복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veyance belt includes a conveyance belt body for receiving and conveying the substrate; And a repetitio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on the conveying belt body and repeatedly accommodating the fork to seat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on the conveying belt body.

상기 반복 수용부는, 상기 포크가 수용되도록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수용홈인 것이 바림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petition accommodating portion is a receiving recess formed at the transfer belt body so as to accommodate the fork.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상기 간격은,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상기 이송부의 동작 거리와 비례되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terval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an operation distance of the transfer section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상기 스크라이브 장치는, 상기 이송 밸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이송 밸트를 가압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이송 밸트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판들에 대해 스크라이브 공정 및 후속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공정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The scribing device includes a process control unit for continuously advancing a scribing process and a subsequent process on the substrates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eed belt by releasing the pressing or pressing of the feed belt at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feed belt, .

상기 후속 공정은, 상기 기판을 브레이킹하는 브레이킹 공정 또는, 상기 기판을 픽업하는 픽업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sequent process is preferably a braking process for braking the substrate, or a pick-up process for picking up the substrate.

상기 공정 제어 유닛은, 상기 이송 밸트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 밸트에 제 1압력을 가하는 제 1웨이트 롤러와, 상기 이송 밸트를 기준으로 수직축 또는 수평축을 따라 외부 강제구동력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이송 밸트를 제 2압력으로 가압하거나 해제함으로써, 상기 이송 밸트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 2웨이트 롤러와, 상기 제 1웨이트 롤러 또는 제 2웨이트 롤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상기 이송 밸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이송 밸트를 그립하는 밸트 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cess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weight roller for applying a first pressure to the conveyance belt on the basis of the conveyance belt, and a second conveyance belt that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for driving along a vertical axis or a horizontal axis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belt, A second weight roller for controll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veyance belt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first weight roller or the second weight roller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first weight roller or the second weight roller, And a belt clamp for gripping the conveyance belt.

상기 제 1웨이트 롤러는 외부 강제구동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weight roller is driven by an external forced driving force.

상기 제 1웨이트 롤러는, 상기 수직축 또는 수평축을 따라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weight roller preferably flows along the vertical axis or the horizontal axis.

상기 제 2압력은 상기 제 1압력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pressure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first pressure.

상기 공정 제어 유닛은, 상기 이송 밸트를 강제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cess control unit preferably includes a drive roller for forcibly moving the feed belt.

상기 외부 강제구동력은, 직선 구동력 또는 탄성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rnal forced driving force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a linear driving force and an elastic force.

상기 제 1웨이트 롤러와 상기 제 2웨이트 롤러의 이동 경로는 상기 수직축 또는 상기 수평축을 따르는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weight roller and the second weight roller is preferably guided by the guide along the vertical axis or the horizontal axis.

본 발명은 기판을 그립하여 이송하는 척과 이송 밸트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interference between a chuck and a feed belt that grips and feeds a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은 스크라이브 공정을 포함하는 다수의 단위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 밸트 상으로 기판의 저면 전체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킴으로써, 기판의 후단에 형성되는 더미까지 안정적으로 이송 밸트로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stably seals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on a conveying belt for conveying the substrate so that a plurality of unit processes including a scribing process are sequentially performed, thereby stably holding the substrate until the dumm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transmitted.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이송 밸트를 사용하여 기판들을 스크라이브 공정과, 브레이킹 또는 픽업과 같은 후속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하여 공정들 간의 평탄도를 유지함과 이울러, 텍 타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scribing a substrate by using a single transfer belt and continuously performing a subsequent process such as braking or pickup to maintain flatness between processes, .

또한, 본 발명은 웨이트로 사용되는 제 1,2웨이트 롤러 중 어느 하나를 강제 구동력을 사용하여 수평축을 따라 강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장치 본체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used as a weight is forced to flow along the horizontal axis by using a forced driving force,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apparatus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은 웨이트로 사용되는 제 1,2웨이트 롤러 중 어느 하나를 강제 구동력을 사용하여 수평축을 따라 강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이송 밸트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고, 기판 이송시 이송 밸트 자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밸트가 늘어나는 등의 장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used as the weights is forcibly forced along the horizontal axis by using the forced driving force, thereby controll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eeding belt and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feeding belt itself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a device such as a belt being kept constant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은 제 1,2웨이트 롤러를 수평축을 따라 강제 구동시키는 경우, 제 1,2밸트 클램프의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의 경우에 있어서도 밸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are forcibly driven along the horizontal axi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lamps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refore, even in this case, the tension force of the belt can be maintained constant .

또한, 본 발명은 웨이트 롤러의 승강을 별도의 가이드를 사용하여 안내함과 아울러, 랙-피니언 기어 연결을 사용하여 승강을 안내하기 때문에, 제 1,2웨이트 롤러의 승강시 축 양단 간의 틀어짐을 방지하여 이송 밸트를 안정적으로 처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sinc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eight rollers is guided by using a separate guide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is guided by using the rack-pinion gear conn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So that the conveying belt can be stably squeezed.

또한, 본 발명은 외부 구동력을 통해, 이송 밸트를 처지게 하는 웨이트 롤러의 승강을 강제 승강함과 아울러, 승강 위치를 정학하게 제어함으로써, 이송 밸트가 이동되는 도중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eight rollers causing the conveyance belt to sag through the external driving force is forcibly lifted and lowered,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position is controlled to be controlled so as to effectively prevent slip from occurring during the movement of the feeding belt .

도 1은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용 이송 밸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브레이킹 공정과 픽업 공정이 시작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스크라이빙과 픽업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더미가 배출되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픽업 공정 영역에 기판이 이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의 다른 실시예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브레이킹 공정과 픽업 공정이 시작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스크라이빙과 픽업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더미가 배출되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픽업 공정 영역에 기판이 이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웨이트 롤러가 외부 구동력에 의해 유동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scri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livery belt for a scrib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cri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starting the braking process and the pick-up process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to be transferred.
7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cribing and picking up the substrate to be transferred.
8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dummy is discharged
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substrate is transferred to a pickup process region.
10 to 14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cri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starting a braking process and a pickup process for a transported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scribing and picking up the substrate to be transported.
1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dummy.
18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transferring a substrate to a pickup process region.
1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riven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스크라이브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scrib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용 이송 밸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scri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er belt for a scri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cri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이송 밸트 및 이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설명한다.1 to 3, a conveying belt and a scribing apparatus having the conveying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는 크게 본체(100)와, 이송부(50)와, 이송 밸트(200)와, 공정 제어 유닛(30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scri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main body 100, a transfer unit 50, a transfer belt 200, and a process control unit 300.

본체(100)In the main body 100,

상기 이송부(50)와 상기 이송 밸트(200)는 본체(100)에 설치된다.The transfer unit 50 and the transfer belt 200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상기 이송부(50)는 컨베이어 밸트(51)와, 척(60)으로 구성된다.The conveying unit 50 includes a conveyor belt 51 and a chuck 60.

상기 컨베이어 밸트(51)는 기판(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다수를 이루고, 서로 균등한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공간이 형성되는 밸트로 형성된다.The conveyor belts 51 are formed as a plurality of belts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 and having a plurality of spaces spaced equally from each other.

상기 척(60)은 도시되지 않은 이송기에 의해 기판(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The chuck 60 is reciprocat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 by a conveyor not shown.

상기 척(60)은 기판(10)의 단부, 바람직하게는 기판(10)의 후단의 다수 부분을 그립하거나 그립을 해제하는 다수의 포크(61)를 구비한다.The chuck 60 has a plurality of forks 61 that grip or release a plurality of portions of the end of the substrate 10, preferably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10.

상기 다수의 포크(61)는 척(60)의 이동에 따라 컨베이어 밸트(51) 사이의 공간들을 따라 이동된다.The plurality of forks 61 are moved along the spaces between the conveyor belts 51 as the chucks 60 move.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밸트(200)는 기판(10)의 이송 방향을 따라 이송부(50)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본체(100)에 설치된다.Meanwhile, the conveyance bel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onveyance portion 50 along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100)에는 하나의 이송 밸트(200)가 설치된다.In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conveying belt 200 is installed.

상기 이송 밸트(200)는 상기 본체(100)에 무한궤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eed belt 200 is installed on the body 100 so as to be rotatable on an endless track.

상기 이송 밸트(200)의 양단 각각은 한 쌍의 안내 롤러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Both ends of the conveyance belt 200 are rotatably supported by a pair of guide rollers.

상기 한 쌍의 안내 롤러는, 좌측 제 1,2안내롤러(210)와, 우측 제 1,2안내롤러(220)로 구성된다.The pair of guide rollers is constituted by left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210 and right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220.

상기 좌측 제 1,2안내롤러(210)는 이송 밸트(200)의 좌측단에서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이송 밸트(200)의 좌측단을 회전 지지한다.The left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21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left end of the conveying belt 200 so as to rotate and support the left end of the conveying belt 200.

상기 우측 제 1,2안내롤러(220)는 이송 밸트(200)의 우측단에서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이송 밸트(200)의 우측단을 회전 지지한다.The right first and second guide rollers 220 are vertically spaced from the right end of the conveying belt 200 to rotate and support the right end of the conveying belt 200.

이에 따라, 이송 밸트(200)에서 좌측단과 우측단을 수평으로 잇는 2개의 이동 경로(?,?)가 형성된다.Accordingly, two movement paths (?,?) Horizontally connecting the left end and the right end are formed in the transfer belt 200.

상기 2개의 이동 경로(?,?)는 좌측단에서 우측단을 따르는 제 1이동 경로(?)와, 우측단에서 좌측단을 따르는 제 2이동 경로(?)일 수 있다.The two movement paths? May be a first movement path (?) Along the right end in the left end and a second movement path (?) Along the left end in the right end.

실질적으로 기판이 이동되는 경로는 이동되는 이송 밸트(20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제 1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The path through which the substrate is substantially moved is moved along the first movement path? Formed by the transport belt 200 being moved.

여기서, 상기 이송 밸트(200)의 전방에는 전방측 이송 밸트(20)가 배치된다.Here, the front side conveying belt 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nveying belt 200.

상기 전방측 이송 밸트(20) 역시 무한궤도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기판을 연속적으로 이송한다.The front side transfer belt 20 is also mounted so as to rotate on an endless track, thereby continuously transferring the substrate.

그리고, 상기 전방측 이송 밸트(20)와 상기 이송 밸트(200)는 기판이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서로 수평을 이루어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front transfer belt 20 and the transfer belt 200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side by side so that the substrate can be moved horizontally.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밸트(200)의 전단에는 전방측 이송 밸트(20)에 의해 이송되는 기판을 XY 방향을 따라 스크라이브할 수 있는 스크라이브 유닛(110)이 설치된다.A scribing unit 11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conveying bel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scribe the substrate conveyed by the forward conveying belt 20 along the XY direction.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크라이브 유닛(110)은 기판에 XY 방향을 따라 스크라이브 할 수 있는 스크라이브 휠이 설치되며, 스크라이브 휠이 설치되는 헤드는 XY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scribe unit 110 is provided with a scribe wheel that can be scribed along the X and Y directions on the substrate, and the head on which the scribe wheel is installed can be moved along the X and Y directions.

그리고, 상기 이송 밸트(200) 상에는 후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영역이 형성된다.A region where a subsequent process is performed is formed on the transfer belt 200.

상기 후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영역에는 해당 공정이 진행되는 유닛이 설치된다.In the region where the subsequent process is performed, a unit in which the process is performed is installed.

본 발명에서, 후속 공정은 기판을 각 셀 별로 브레이킹하는 브레이킹 공정 또는 브레이킹된 셀을 픽업하는 픽업 공정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equent process may be a braking process for braking the substrate for each cell or a pick-up process for picking up the braked cell.

또한, 브레이킹 공정, 픽업 공정이 순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Further, the braking process and the pick-up process can be sequentially performed.

즉, 이송 밸트(200) 상에서 스크라이브 유닛(110)의 후방에는 브레이킹 유닛(120)이 배치되고, 상기 브레이킹 유닛(120)의 후방에는 픽업 유닛(130)이 배치된다.That is, the braking unit 120 is disposed on the conveying belt 200 behind the scribing unit 110, and the pick-up unit 130 is disposed behind the braking unit 120.

브레이킹 유닛(120)은 기판에서 스크라이브된 셀들을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The breaking unit 120 serves to cut cells scribed in the substrate.

상기 픽업 유닛(120)은 브레이킹된 셀들만을 픽업하여 언로딩 위치에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The pick-up unit 120 picks up only the braked cells and loads them at the unloading position.

다음은, 상술한 이송 밸트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veyance bel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특히,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밸트(200)는 상기 컨베이어 밸트(51)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일정의 거리를 이루도록 배치된다.1 and 2, the conveyance bel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onveyor belt 51, and is arranged to have a constant distance.

여기서, 상기 이송 밸트(200)는 평밸트로 구성된다.Here, the conveying belt 200 is formed of a flat belt.

상기 이송 밸트(200)는 척(60)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는 기판(10)이 안착되어 소정의 공정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기판(10)을 이송하는 장치이다.The transfer belt 200 is a device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10 so that the substrate 10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chuck 60 is seated and progressed in a predetermined process sequence.

특히, 상기 이송 밸트(200)는 포크들(61)을 반복적으로 수용하여, 이송되는 상기 기판(10)의 하면 전체를 안착시켜 이송시킨다.Particularly, the feed belt 200 repeatedly receives the forks 61 and seals and transports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to be fed.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이송 밸트(200)는 기판(100)의 이송 경로를 따르도록 컨베이어 밸트(5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이송 밸트 몸체(201)와, 상술한 다수의 포크(61)를 수용하는 반복 수용부(290)로 구성된다.2, the conveyance bel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ance belt body 201 disposed in parallel with a conveyor belt 51 so as to follow the conveyance path of the substrate 100, and a plurality of forks And a repeating accommodating portion 290 for accommodating the repeating accommodating portion 61.

상기 반복 수용부(290)는 이송 밸트 몸체(201)에 타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홈(291)으로 형성된다.The repeated receiving portion 290 is formed as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291 formed in the conveying belt body 201.

반복 수용부(290)는 이송 밸트 몸체(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repeat receiving portion 290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ing belt body 201.

예컨대, 반복 수용부(290)를 이루는 다수의 수용홈(291)은 제 1위치 및 제 2위치에서 이송 밸트 몸체(201)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포크들(61)의 간격에 상응하는 간격을 이루어 타공되어 형성된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291 constituting the repetition receiving portion 29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of the forks 61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ing belt body 201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 1위치와 상기 제 2위치의 간격은, 상술한 척(60)의 왕복 이송 속에 의해 다르게 형성되거나, 이송 밸트 몸체(201)의 회전 속도 자체를 변경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The gap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ciprocating feed of the chuck 60 or may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eed belt body 201 itself.

또한, 상기 다수의 수용홈(291)은 상술한 다수의 포크(61)가 수용되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포크(61)의 폭 보다 설정된 너바를 이루어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291 are formed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forks 61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grooves 291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ork 61.

따라서, 다수의 포크(61)에 의해 기판(10)의 후단을 그립한 척(60)이 컨베이어 밸트(51)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면, 기판(10)은 이동되는 이송 밸트 몸체(201)의 상단에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밸트 몸체(201) 역시 설정된 회전 속도를 이루어 무한 회전된다.When the chuck 60 gripping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10 by the plurality of forks 61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onveyor belt 51, And can be seated sequentially on top. Here, the conveying belt body 201 is also rotated at an established rotation speed.

이어, 이송 방향을 따라 전진하는 다수의 포크(61)가 이송 밸트 몸체(201)의 전단을 형하여 이동되고, 이송 밸트 몸체(201)의 제 1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수용홈(291)은 이송 밸트 몸체(201)의 회전에 의해 다수의 포크(6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A plurality of forks 61 advancing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are formed by moving the front end of the conveying belt body 201 and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291 formed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conveying belt body 201 are conveyed And is positioned so as to accommodate the plurality of forks 61 by the rotation of the belt body 201.

따라서, 다수의 포크(61)는 기판(10)의 후단을 그립한 상태로 다수의 포크(10)에 수용되고, 동시에 기판(10)의 후단의 그립을 해제한다.Therefore, the plurality of forks 61 are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forks 10 while gripping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10, and at the same time, the grips at the rear end of the substrate 10 are released.

이때, 상기 기판(10)의 저면 전체는 이송 밸트 몸체(201)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10 may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veying belt body 201.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판(10)을 이송하는 다수의 포크(61)를 이송 밸트 몸체(201)에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홈(290)에 수용함으로써, 다수의 포크(61)와 평밸트인 이송 밸트 몸체(201)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orks 61 for conveying the substrate 10 are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290 formed in the conveying belt body 201, Interference between the belt bodies 201 can be avoided.

공정 제어 유닛(300)The process control unit (300)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공정 제어 유닛(300)은 이송 밸트(2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이송 밸트(200)를 가압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이송 밸트(200)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이송되는 기판들에 대해 스크라이브 공정 및 브레이킹 공정 또는 픽업 공정과 같은 후속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한다.3, the process control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conveyance belt 200 by releasing the pressing or pressing of the conveyance belt 200 at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conveyance belt 200, Such as a scribing process and a braking process or a pick-up process, for the substrates to be transferred.

이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It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공정 제어 유닛(300)은, 크게 제 1웨이트 롤러(310)와, 제 2웨이트 롤러(320)와, 구동 롤러(330)와, 밸트 클램프(340)로 구성된다.The process control unit 300 mainly includes a first weight roller 310, a second weight roller 320, a drive roller 330, and a belt clamp 340.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제 1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되면서 이송 밸트(200)를 제 1압력으로 가압 및 가압을 해제하여, 이송 밸트(20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도록 한다.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disposed on the first movement path? And mov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to release the pressing and pressing of the conveying belt 200 to the first pressure, Control the direction of movement.

상기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이송 밸트(200)의 전단과, 후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다.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conveying belt 200 and a region where a subsequent process is performed.

상기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상기 배치되는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의 제 1이동 경로(?)와 직교를 이루는 수직축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dispos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a vertical axis orthogonal to the first movement path? Of the conveyance belt 200 at the disposition position.

상기 수직축은 이송 밸트(200)와 수직을 이루는 축일 수 있다.The vertical axis may be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belt 200.

상기 제 1웨이트 롤러(310)는 가이드(400)에 의해 승강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400)의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weight roller 310 can be guided up and down by a guide 400. The structure of the guide 400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상기 이송 밸트(200)의 전단은 스크라이브 영역이고, 상기 후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영역은 브레이킹 공정 영역이다.Here, the front end of the conveying belt 200 is a scribe area, and the area where the subsequent process is performed is a breaking process area.

상기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이송 밸트(200)의 전단과 후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후단 사이, 제 2이동 경로(?)와 수평을 이루는 수평축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conveying belt 200 and the rear end of the area where the subsequent process is performed, and is movable along a horizontal axis that is parallel to the second movement path?

특히, 상기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이송 밸트(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평축을 따라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이송 밸트(200)의 상하 사이즈를 축소하여 전체 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disposed inside the conveying belt 200 and is arranged to be able to flow along the horizontal axis. Therefore, the vertical size of the conveyance belt 200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apparatus.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제 2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며, 수평축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송 밸트(200)를 제 2압력으로 가압하여 이송 밸트(20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disposed on the second movement path? And moves along the horizontal axis to press the feed belt 200 to the second pressure to control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eed belt 200.

상기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외부 구동력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것이 좋다.The second weight roller 320 may be forcedly driven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이송 밸트(200)로 제 2압력으로 가압하되, 상기 제 2압력은 상술한 제 1압력 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pressed to the conveying belt 200 by the second pressure, and the second pressur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pressure.

또한, 외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수평축을 따라 신축 가능한 축(510)을 갖는 실린더(500), 또는 탄성 스프링(미도시)을 사용하여, 직선 구동력 또는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apparatus for generating an external driving force may generate a linear driving force or an elastic force by using a cylinder 500 having an axis 510 that can be stretched along a horizontal axis, or an elastic spring (not shown).

따라서, 실린더(500)를 사용하는 경우,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축(5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refore, when the cylinder 500 is used,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shaft 510. [

상기 구동 롤러(330)는 상기 이송 밸트(200)의 전단과 상기 제 2웨이트 롤러(3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이송 밸트(200)를 강제 회전 또는 구동시킨다.The driving roller 33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feeding belt 200 and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and forcibly rotates or drives the feeding belt 200.

상기 밸트 클램프(340)는 제 1웨이트 롤러(310)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각 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해당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를 그립하는 장치이다.The belt clamp 34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weight roller 310 and grips the conveyance belt 20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so as to prevent the conveyance belt 200 from moving at each grip position.

상기 밸트 클램프(340)는 제 1이송 경로(?)를 따라 제 1웨이트 롤러(310)의 전후에 각각 배치되는, 제 1밸트 클램프(341)와, 제 2밸트 클램프(342)로 구성된다.The belt clamp 340 is constituted by a first belt clamp 341 and a second belt clamp 342 which are respectively arranged before and after the first weight roller 310 along a first conveying path?

상기 제 1밸트 클램프(341)와, 제 2밸트 클램프(342)는 승강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first belt clamp 341 and the second belt clamp 342 are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상기 제 1밸트 클램프(341)는 스크라이브 영역과 제 1웨이트 롤러(310)의 사이인 제 1그립 위치에 배치된다.The first belt clamp 341 is disposed at a first grip position between the scribe area and the first weight roller 310.

상기 제 2밸트 클램프(342)는 제 1웨이트 롤러(310)와 픽업 영역의 사이인 제 2그립 위치에 배치된다.The second belt clamp 342 is disposed at a second grip position between the first weight roller 310 and the pickup area.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밸트 클램프(340)는 승강 장치에 의해 해당 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를 그립 또는 그립 해제하도록 승강됨으로써, 이송 밸트(200)의 이동을 강제 중지 또는 해제하는 장치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belt clamp 340 is a device for forcibly stopping or releasing the movement of the conveyance belt 200 by being lifted or lowered to grip or release the gripping belt 200 at the grip position by the lifting device to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웨이트 롤러(310)는 가이드(400)에 의해 상하로의 직선 유동이 안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weight roller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uided by the guide 400 in a linear flow upward and downwar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400)는 제 1,2웨이트 롤러(310)를 수직축을 따라 승강을 안내하는 장치이다.Referring to FIG. 4, the guid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310 along the vertical axis.

상기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중공 형상의 제 1웨이트 롤러 몸체(311)와, 상기 제 1웨이트 롤러 몸체(311)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며, 양단이 제 1웨이트 롤러 몸체(311)의 양단으로 돌출되는 제 1회전축(312)을 갖는다.The first weight roller 310 has a hollow first weight roller body 311 and a second weight roller body 311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inserted in the hollow of the first weight roller body 311, And a first rotating shaft 312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first rotating shaft 312.

상기 가이드(400)는 상기 제 1웨이트 롤러 몸체(311)의 양단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몸체(410)를 갖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몸체(410)는 본체(100)에 설치된다.The guide 400 has a pair of guide bodies 410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irst weight roller body 311 and the pair of guide bodies 410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몸체(410)에는, 수직 방향을 따르고, 제 1회전축(312)의 양단이 끼워지는 상태로 수직 방향 축을 따라 승강을 안내하는 일정 길이의 안내홀(420)이 형성된다.The pair of guide bodies 410 are formed with a guide hole 42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first rotation shaft 312 are fitted.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제 1웨이트 롤러(310)는 가이드(400)를 따라 승강이 안내된다.Therefore, the first weight roller 31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guided along the guide 400.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2에 도시되는 가이드를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제 2웨이트 롤러(320)가 수평축을 따라 유동되는 경우, 이를 안내하도록 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guide shown in Fig. 2 may be configured to be horizontal so that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can guide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when it flows along the horizontal axis.

이러한 경우, 제 2웨이트 롤러(320)의 유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는 이송 밸트(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In this case, the guide for guiding the flow of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preferably disposed inside the conveying belt 200.

이에 더하여,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회전축(312)의 양단에 한 쌍의 피니언 기어(430)가 설치되는 가이드(400')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a guide 400 'in which a pair of pinion gears 430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otation shaft 312 may be used.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를 수평으로 구성하여 제 2웨이트 롤러(320)의 유동을 안내할 수도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guide may be horizontally configured to guide the flow of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몸체(410)에는 상기 한 쌍의 피니언 기어(430)가 기어 연결되는 한 쌍의 랙(440)이 설치된다.The pair of guide bodies 410 are provided with a pair of racks 440 to which the pair of pinion gears 430 are gear-connected.

따라서, 제 1웨이트 롤러(310)가 승강되는 경우, 피니언(430)이 랙(440)과 기어 연결되기 때문에, 승강시 제 1회전축(312)의 양단이 뒤틀리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lifted and lowered, since the pinion 430 is gear-connected to the rack 44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both ends of the first rotation shaft 312 are twisted at the tim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또한, 제 2웨이트 롤러(320)가 수평축을 따라 유동되는 경우, 피니언(430)이 랙(440)과 기어 연결되기 때문에, 수평 유동시 제 2웨이트 롤러(320)의 제 2회전축(미도시)의 양단이 뒤틀리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moved along the horizontal axis, since the pinion 430 is gear-connected to the rack 440, the second rotation axis (not shown) of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t is possible to solve such a problem that the both ends of the endoscope are twisted.

다음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사용한 스크라이브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scribe method using the scribe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Fig.

도 6은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스크라이브 공정과, 후속 공정인 픽업 공정이 시작되는 과정을 보여준다.FIG. 6 shows a scribing process for a substrate to be transferred and a process of starting a pickup process, which is a subsequent process.

도 6을 참조 하면, 이송 밸트(200)는 구동 롤러(330)의 구동에 따라 무한궤도 회전된다.Referring to FIG. 6, the feed belt 200 is rotated in an endless track as the drive roller 330 is driven.

여기서, 이송 밸트(200)에는 제 1이동 경로(?)와 제 2이동 경로(?)가 형성된다.Here, a first movement path? And a second movement path? Are formed in the conveyance belt 200.

제 1기판(11)은 이송 밸트(200)의 전단에서 스크라이브 유닛(110, 도 1참조)에 의해 스크라이브되고, 제 1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The first substrate 11 is scribed by the scribing unit 110 (see Fig. 1) at the front end of the conveying belt 200, and is moved along the first movement path?.

이때, 상기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이송 밸트(200)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를 이루고, 제 2밸트 클램프(342)는 제 2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의 그립 상태를 해제한 상태를 이루며,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상승된 상태를 이룬다.At this time, the first weight roller 310 does not press the feed belt 200, and the second belt clamp 342 is in a state of releasing the grip state of the feed belt 200 at the second grip position And 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in an elevated state.

즉, 상기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이송 밸트(200)를 제 1압력으로 가압하지 않는 상태를 이룬다.That is, the first weight roller 310 does not press the feed belt 200 to the first pressure.

이와 동시에, 제 2이동 경로(?) 상에서,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축(5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실린더(500)의 축(510)이 삽입됨으로 인해, 수평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된다.At the same time, on the second movement path (?),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end of the shaft 510, and the axis 510 of the cylinder 500 is inse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여기서, 실린더(500)는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축(510)을 삽입 및 돌출시킬 수 있다.Here, the cylinder 50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ler (not shown) and can insert and protrude the shaft 510.

따라서,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유동되면서, 이송 밸트(200)를 제2압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이룬다.Thus,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in a state of being pressurized to the second pressure while the conveyance belt 200 is flowing.

즉, 상기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이송 밸트(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이송 밸트(200)를 제 2압력으로 가압하여 일정 길이 당기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functions to pull the conveying belt 200 to the second pressure and pull the conveying belt 200 to a certain length in a state where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disposed inside the conveying belt 200.

여기서, 외부 구동력인 제 2압력은 제 1압력 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송 밸트(200)가 기판들(11,12)을 각 공정 영역으로 이송하기 위해 회전되는 경우, 이송 밸트(200)의 텐션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Here, the second pressure, which is an external driving forc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pressure so that when the conveying belt 200 is rotated to convey the substrates 11 and 12 to each processing region, the tension of the conveying belt 200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ade uniform.

이미, 스크라이브된 제 1기판(11)은 후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영역인 픽업 공정 영역으로 이송된다.The scribed first substrate 11 is already transferred to the pick-up process area, which is the area where the subsequent process is performed.

이어, 제 2밸트 클램프(342)는 제 2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를 그립하여, 픽업 유닛(120, 도 1참조)을 사용하여 픽업 공정 영역으로 이송되는 제 1기판(11)에 대해 픽업이 진행되도록 한다.The second belt clamp 342 then grips the conveying belt 200 at the second grip position and grips the conveying belt 200 on the first substrate 11 conveyed to the pickup process area using the pick up unit 120 Allow pickup to proceed.

한편, 스크라이브 공정이 진행되기 이전의 제 2기판(12)은 전방측 이송 밸트(20)의 구동에 의해 스크라이브 유닛(100) 측으로 이송되는 상태를 이룬다.
On the other hand, before the scribing process is performed, the second substrate 12 is transferred to the scribing unit 100 side by driving the front side transfer belt 20.

도 7은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스크라이빙과 픽업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준다.7 shows the process of scribing and picking up the substrate to be transported.

도 7을 참조 하면, 픽업 공정이 시작된 후에, 하강된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이송 밸트(200)가 연속적으로 회전되고, 실린더(500)의 축(510)이 돌출되면서 수평축을 따라 유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7, after the pickup process is started, the lowered second weight roller 320 is moved along the horizontal axis while the feed belt 200 is continuously rotated and the shaft 510 of the cylinder 500 protrudes It can be returned to the home position.

이와 동시에, 제 1웨이트 롤러(310)는 하강되어 해당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를 제 1압력으로 가압하여 이송 밸트(200)의 이동 방향을 우회하도록 가변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lowered to pressurize the conveyor belt 200 to the first pressure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vary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200 to bypass.

여기서, 제 1밸트 클램프(341)는 이송 밸트(200)를 그립하지 않은 상태이다.Here, the first belt clamp 341 does not grip the feed belt 200.

이때, 전방측 이송 밸트(20)로부터 이송되는 제 2기판(12)은 스크라이브 영역에서 스크라이브 되면서 이송 밸트(200)를 따라 제 1이동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substrate 12 conveyed from the front side conveyance belt 20 is continuously moved along the first movement path? Along the conveyance belt 200 while being scribed in the scribe area.

또한, 상기 도 7에서의 제 1기판(11)은 픽업 공정 영역에서 각 셀이 픽업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cell can be picked up in the pickup process region of the first substrate 11 in FIG.

도 8은 더미가 배출되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dummy is discharged

도 8을 참조 하면, 제 1이동 경로(?)를 따라 제 2기판(12)이 스크라이브되면서 제 1웨이트 롤러(310) 측으로 이동되면, 제 1밸트 클램프(341)는 제 1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를 그립한다.8, when the second substrate 12 is scribed along the first movement path? And is moved to the first weight roller 310 side, the first belt clamp 341 moves from the first grip position to the second belt position? (Not shown).

그리고, 제 2밸트 클램프(342)는 제 2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의 그립 상태를 해제한다.Then, the second belt clamp 342 releases the grip state of the transfer belt 200 at the second grip position.

이와 동시에, 제 2이동 경로(?) 상에서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실린더(500)의 축(510)이 삽입됨으로 인해, 수평축을 따라 직선 이동되고, 이에 의해 해당 위치에서의 이송 밸트(200)는 제 2웨이트 롤러(320)에 의해 제 2압력을 제공받아 이동 방향이 우회도록 가변된다.At the same time,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on the second movement path? Is linearly moved along the horizontal axis due to the insertion of the shaft 510 of the cylinder 500, whereby the conveyance belt 200 Is supplied with the second pressure by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and is varied so as to bypass the moving direction.

이에 따라, 셀들의 픽업 공정이 진행되는 제 1기판(11)은 이송 밸트(20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고, 픽업되는 셀들을 제외한 더미는 이송 밸트(200)의 후방으로 낙하되어 제거된다.
Accordingly, the first substrate 11 on which the pick-up process of the cells proceeds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conveyance belt 200, and the dummy except for the picked-up cells drops to the rear of the conveyance belt 200 and is removed.

도 9는 픽업 공정 영역에 기판이 이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substrate is transferred to a pickup process region.

도 9를 참조 하면, 이어,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제 1밸트 클램프(341)는 제 1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의 그립 상태를 해제한다.Referring to FIG. 9,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belt clamp 341 releases the grip state of the transfer belt 200 at the first grip position.

따라서, 제 1,2밸트 클램프는 해당 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의 그립 상태를 모두 해제한다.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belt clamps release the grip state of the transfer belt at the grip position.

이어, 구동 롤러는 이송 밸트를 회전시킨다.Then, the drive roller rotates the conveyance belt.

이에 따라, 스크라이브된 제 2기판(12)은 후속 공정 영역인, 브레이킹 영역 또는 픽업 영역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라이브 공정 및 후속 공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cribed second substrate 12 is continuously moved to the braking area or pickup area, which is a subsequent process area, so that the scribing process and the subsequent process as shown in Figs. 4, 5, and 6 are continuously performed .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제 1웨이트 롤러(310)가 자중에 의해 수직축을 따라 하강되고, 이송 밸트(200)의 승강에 의해 밀어 올려져 상승되며, 제 2웨이트 롤러(320)가 실린더(500)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평축을 따라 강제 유동됨과 아울러, 이송 밸트(200)의 내부에 베치되는 예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였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lowered along its vertical axis by its own weight, is pushed up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onveyance belt 200, and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lifted up by the cylinder 500, For example, an apparatus such as a conveyor belt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이상, 상기에서는 후속 공정이 픽업 공정인 경우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였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subsequent process is a pick-up process is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그리고, 상기 후속 공정은 스크라이브되는 기판을 브레이킹할 수 있는 브레이킹 공정일 수도 있다.
The subsequent process may be a braking process capable of breaking the substrate to be scribed.

다른 실시예Other Embodiments

도 10 내지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스크라이브 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10 to 14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crib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 하면, 제 1, 2웨이트 롤러 모두 외부 구동력에 의해 유동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both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may be driven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제 1,2웨이트 롤러(310,320) 모두 실린더(550, 500)의 축(551, 510)이 신축됨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경우, 제 1,2웨이트 롤러(310,320) 각각은 독립적으로 유동되면서,이송 밸트(200)의 해당 위치에 제 1,2압력을 가한다.When the shafts 551 and 510 of the cylinders 550 and 500 are forced to flow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310 and 320,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310 and 320 independently move,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s are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pressure chambers 200.

특히, 제 1웨이트 롤러(310)를 수직축을 따라 승강시키는 실린더(550)는 이송 밸트(20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ylinder 550 for lifting the first weight roller 310 along the vertical axis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veyance belt 200 o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onveyance belt 200.

도 11을 참조 하면, 제 1웨이트 롤러(310)의 회전축 양단에 실린더(550)의 축(551)이 연결되어, 상기 제 1웨이트 롤러(310)를 승강시킴으로써, 실린더(550)의 축(551)은 이송 밸트(200)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11, the shaft 551 of the cylinder 55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weight roller 310 to move the first weight roller 310 up and down to thereby rotate the shaft 551 of the cylinder 550 May not interfere with the conveying belt 200.

여기서, 상기 제 1압력은 제 2압력 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제 2압력은 제 1압력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Here, the first pressure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pressure, or the second pressure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first pressure.

전자의 경우, 제 1,2웨이트 롤러(310,320)의 강제 유동을 실시하는 실린더들(550,500) 각각은 제어기(미도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 1압력이 제 2압력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좋다.In the former case, each of the cylinders 550 and 500 for performing the forced flow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310 and 320 is controlled such that the first pressur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pressure by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ler (not shown) It is good.

역으로, 후자의 경우 상기 실린더들(550,500) 각각은 제어기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 2압력이 제 1압력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좋다.Conversely, in the latter case, each of the cylinders 550 and 500 may be controlled such that the second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pressure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즉, 상대적으로 이송 밸트(200)에 가하는 압력이 작은 웨이트 롤러는 이송 밸트(20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압력으로 사용된다.That is, the weight roller having a relatively small pressure applied to the conveying belt 200 is used as a pressure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conveying belt 200.

이외, 도 10 및, 도 12 내지 도 14를 통한 공정은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10 and Fig. 12 to Fig. 14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and therefor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2웨이트 롤러가 수직축을 따라 모두 승강되어 이송 밸트를 가압하는 경우, 제 1,2 웨이트 롤러 중 어느 하나는 상술한 실린더와 같은 외부 구동력을 제공하는 장치에 의해 승강 유동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are all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vertical axis to press the conveyance belt,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provides an external driving force And may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apparatus.

예컨대, 이송 밸트의 하류에 위치되는 제 2웨이트 롤러가 외부 구동력에 의해 승강되는 경우, 승강으로 인해 이송 밸트를 가압하는 제 2압력은, 제 1웨이트 롤러가 이송 밸트를 가압하는 제 1압력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weight roller positioned downstream of the conveyance belt is moved up and down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the second pressure for pressing the conveyance belt due to the elevation is larger than the first pressure at which the first weight roller presses the conveyance belt .

또한, 이송 밸트의 하류 측의 제 2웨이트 롤러는 장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이송 밸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econd weight roller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nveyance belt is disposed inside the conveyance belt to reduce the size of the apparatus.

또 다른 실시예In another embodiment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웨이트 롤러는 수직축을 따라 유동되되, 이송 밸트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along the vertical axis, but can be disposed inside the conveyance belt.

도 15는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브레이킹 공정과 픽업 공정이 시작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스크라이빙과 픽업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더미가 배출되는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은 픽업 공정 영역에 기판이 이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5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starting the braking process and the pick-up process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to be transferred, FIG. 1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scribing and picking up the substrate to be transferred, FIG. 18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transferring a substrate to a pickup process region.

다른 실시예를 따르는 기판 이송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describing the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scription of the same constitution as in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5를 참조 하면,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상류측 이송 밸트(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수직축을 따라 승강 유동 가능하게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5, 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disposed inside the upstream-side transport belt 200, and is disposed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long a vertical axis.

상기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실린더(600)의 축(6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haft 610 of the cylinder 600.

상기 실린더(600)는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축(610)을 신축시키며,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상기 축(610)의 신축 동작에 따라 수직축을 따라 승강됨으로써, 이송 밸트(200)를 제 1압력으로 가압한다.The cylinder 60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ler (not shown) to extend and retract the shaft 610. 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lifted and lowered along a vertical axis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haft 610, The belt 200 is pressed to the first pressure.

또한,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이송 밸트(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수직축을 따라 자중에 의해 유동되어, 이송 밸트(200)를 제 2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16,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disposed inside the conveying belt 200, and flows by its own weight along the vertical axis to press the conveying belt 200 to the second pressure .

여기서, 상기 제 1압력은 제 2압력보다 크도록 설정된다.Here, the first pressure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second pressure.

즉,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상기 제 1압력으로 이송 밸트(200)를 가압함으로써, 이송 밸트(200)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That is, the first weight roller 310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conveyance belt 200 by pressing the conveyance belt 200 with the first pressure.

그리고,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제 1압력 보다 작은 제 2압력으로 이송 밸트(200)를 가압하여 이송 밸트(200)의 텐션을 균일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presses the feed belt 200 to a second pressure smaller than the first pressure to uniformly tension the feed belt 200.

다음은,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제 3실시예를 따르는 스크라이브 장치를 사용한 스크라이브 방법을 설명한다.Next, a scribe method using the scribe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9. Fig.

도 15를 참조 하면,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상류측 이송 밸트(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태로, 이송 밸트(200)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를 이루고, 제 2밸트 클램프(342)는 제 2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의 그립한 상태를 이룬다.15, 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placed in a lower portion of the upstream-side transfer belt 200, and the second belt clamp 342 is in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belt 200 is not pressed, And grips the feed belt 200 at the second grip position.

즉, 상기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이송 밸트(200)를 제 1압력으로 가압하지 않는 상태를 이룬다.That is, the first weight roller 310 does not press the feed belt 200 to the first pressure.

이와 동시에, 제 2이동 경로(?) 상에서, 제 2웨이트 롤러(320)는 하류측 이송 밸트(20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자중에 의해 유동하여 이송 밸트(200)를 제 2압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이룬다.At the same time, on the second movement path (?),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flows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ownstream-side transfer belt 200 by its own weight to press the transfer belt 200 to the second pressure Respectively.

따라서, 이송 밸트(200)는 제 2웨이트 롤러(320)에 의한 제 2압력에 의해 균일한 텐션을 유지하고 제 1기판(11)은 상류측 이송 밸트(200)에서 후속 공정 영역으로 이송된다.
Accordingly, the conveying belt 200 maintains uniform tension by the second pressure by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and the first substrate 11 is conveyed from the upstream conveying belt 200 to the succeeding processing region.

도 16은 이송되는 기판에 대해 스크라이빙과 픽업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을 보여준다.16 shows the process of scribing and picking up the substrate to be transported.

도 16을 참조 하면, 제 2밸트 클램프(342)가 이송 밸트(200)를 그립한 상태를 이루고, 실린더(600)의 축(610)이 상방으로 신장됨에 따라, 이송 밸트(200)의 내부에 배치된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이송 밸트(200)를 제 1압력으로 가압한다.16, the second belt clamp 342 grips the conveyor belt 200 and the shaft 610 of the cylinder 600 extends upwardly, The disposed first weight rollers 310 flow upward to press the feed belt 200 to the first pressure.

이와 동시에, 제 2웨이트 롤러(320)는 하류측 이송 밸트(200)의 상부로 이동되어 위치된다.At the same time,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downstream-side transport belt 200 and positioned.

따라서, 이송 밸트(200)는 제 1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고, 제 2기판(12)은 전방측 이송 밸트(20)로부터 이송되고, 스크라이브 유닛(110)에 의해 스크라이브되면서 이동되는 이송 밸트(200)에 의해 이송된다.The second substrate 12 is conveyed from the front side conveying belt 20 and conveyed while being scribed by the scribing unit 110. The conveying belt 200 is moved along the first movement path? And is transported by the belt 200.

한편, 후속 공정 예컨대, 브레이킹 공정이 완료된 제 1기판(11)은 픽업 공정 영역으로 위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bsequent process, for example, the first substrate 11 on which the braking process has been completed, may be located in the pickup process region.

도 17을 참조 하면, 제 1이동 경로(?)를 따라 제 2기판(12)이 스크라이브되면서 제 1웨이트 롤러(310) 측으로 이동되면, 제 1밸트 클램프(341)는 제 1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를 그립한다.17, when the second substrate 12 is scribed along the first movement path? And is moved to the first weight roller 310 side, the first belt clamp 341 moves from the first grip position to the second belt position (Not shown).

그리고, 제 2밸트 클램프(342)는 제 2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의 그립 상태를 해제한다.Then, the second belt clamp 342 releases the grip state of the transfer belt 200 at the second grip position.

이와 동시에, 제 1웨이트 롤러(310)는 실린더(600)의 축(610)이 하방으로 유동됨에 따라 수직축을 따라 하강되어, 이송 밸트(200)의 내부에 위치된다.At the same time, the first weight roller 310 is lowered along the vertical axis as the shaft 610 of the cylinder 600 flows downward, and is positioned inside the conveying belt 200.

이어, 제 1기판(11)은 이송 밸트(200)의 이송에 따라 이송되어 각 셀들이 픽업될 수 있고, 나머지 더미들은 이송 밸트(200)의 후류 외측으로 낙하되어 제거될 수 있다.Then, the first substrate 11 is transferred according to the feeding of the feeding belt 200 so that each cell can be picked up, and the remaining dummies can be dropped to the outside of the wake of the feeding belt 200 and removed.

또한, 제 2웨이트 롤러(320)는 수직축을 따라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되면서, 하류측 이송 밸트(200)를 제 2압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이룬다.
Further,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moves downward by its own weight along the vertical axis, and presses the downstream-side conveying belt 200 to the second pressure.

도 18은 픽업 공정 영역에 기판이 이송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transferring a substrate to a pickup process region.

도 18을 참조 하면, 이어, 도 15과 같은 상태에서 제 1밸트 클램프(341)는 제 1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의 그립 상태를 해제한다.Referring to FIG. 18, in a state as shown in FIG. 15, the first belt clamp 341 releases the grip state of the transfer belt 200 at the first grip position.

여기서, 제 1,2밸트 클램프(341,342)는 해당 그립 위치에서 이송 밸트(200)의 그립 상태를 모두 해제한 상태를 이룬다.Here, the first and second belt clamps 341 and 342 are in a state of releasing the grip state of the transfer belt 200 at the corresponding grip position.

이어, 스크라이브된 제 1기판(11)은 구동 롤러(33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 밸트(200)를 따라 후속 공정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scribed first substrate 11 may then be moved to a subsequent process zone along the transport belt 200 moved by the drive of the drive roller 330.

또 한편,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 2웨이트 롤러(320)를 별도의 실린더(700)를 통한 외부 구동력을 사용하여 수직축을 따라 승강 유동시켜 제 2압력으로 이송 밸트(200)를 가압하는 예를 보여준다.19,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is moved up and down along a vertical axis by using an external driving force through a separate cylinder 700 to pressurize the feed belt 200 with a second pressure, .

도면 번호 '710'은 상기 실린더(700)로부터 신축되며 단부에 제 2웨이트 롤러(320)가 연결되는 축(710)이다.Reference numeral 710 denotes a shaft 710 which is expanded and contracted from the cylinder 700 and connected to a second weight roller 320 at an end thereof.

이의 경우도, 제 1,2웨이트 롤러(310,320)는 이송 밸트(200)의 내부에 배치된다.In this case as well,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310 and 320 are disposed inside the conveying belt 200.

그리고, 제 1,2웨이트 롤러(310,320)는 각 실린더(600,700)의 구동을 통해 수직축을 따라 승강 유동 가능하다.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310 and 320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vertical axis through the driving of the cylinders 600 and 700.

다만,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제어기를 사용하여, 상술한 제 1압력이 제 2압력 보다 작용되도록 각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좋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driving of each cylinder so that the first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second pressure.

이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제 1웨이트 롤러(310)와 제 2웨이트 롤러를 이송 밸트(200)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이송 밸트(200)의 상하폭인 전체적인 장치의 패스 라인을 효율적으로 낮출 있다.By arranging the first weight roller 310 and the second weight roller inside the conveyance belt 200 through the constitution and action thereof, the pass line of the entire apparatus, which is the upper and lower width of the conveyance belt 200, is efficiently lowered .

또한, 제1 웨이트 롤러(310)를 외부 구동력을 사용하여 유동시킴으로써 이송 밸트(200)를 제 1압력으로 가압하여, 이송 밸트(200)를 이동시키는 메인 구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weight roller 310 can be used as a main drive for moving the conveyance belt 200 by pressurizing the conveyance belt 200 to the first pressure by using an external driving force.

또한, 제 1압력 보다 작은 제 2압력으로 제 2웨이트 롤러(320)의 유동을 통해 하류측 이송 밸트(200)를 가압함으로서, 이송 밸트(200)의 전체적인 텐션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Further, by pressing the downstream conveying belt 200 through the flow of the second weight roller 320 at a second pressure smaller than the first pressure, the overall tension of the conveying belt 200 can be uniformly maintained.

상기의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하나의 이송 밸트를 사용하여 기판들을 스크라이브 공정과, 브레이킹 또는 픽업과 같은 후속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하여 공정들 간의 평탄도를 유지함과 이울러, 텍 타임을 증가시킬 수 있다.Through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above apparatus,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scribing process by using a single transfer belt and a subsequent process such as braking or picking up to maintain the flatness between the processes This can increase the texture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웨이트로 사용되는 제 1,2웨이트 롤러 중 어느 하나를 외부 구동력을 사용하여 수평축을 따라 강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장치 본체의 기판 패스 라인을 축소할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ubstrate pass line of the apparatus main body by allow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used as the weights to forcedly flow along the horizontal axis using the external driving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웨이트로 사용되는 제 1,2웨이트 롤러 중 어느 하나를 외부 구동력을 사용하여 수평축을 따라 강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이송 밸트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고, 기판 이송시 이송 밸트 자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밸트가 늘어나는 등의 장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Furth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veyance belt by allow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used as the weights to forcedly flow along the horizontal axis by using the external driving forc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apparatus such as the belt being stretched by keeping the tension of itself consta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제 1,2웨이트 롤러를 수평축을 따라 강제 구동시키는 경우, 제 1,2밸트 클램프의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의 경우에 있어서도 밸트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weight rollers are forcibly driven along the horizontal axi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elt clamps can b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herefore, even in this case,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웨이트 롤러의 승강을 별도의 가이드를 사용하여 안내함과 아울러, 랙-피니언 기어 연결을 사용하여 승강을 안내하기 때문에, 제 1,2웨이트 롤러의 승강시 축 양단 간의 틀어짐을 방지하여 이송 밸트를 안정적으로 처지도록 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eight roller is guided by using a separate guide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is guided by using the rack-pinion gear connection, The feeding belt can be stably stoo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외부 구동력을 통해, 이송 밸트를 처지게 하는 웨이트 롤러의 승강을 승강시킴과 아울러, 승강 위치를 정학하게 제어함으로써, 이송 밸트가 이동되는 도중에 슬립이 발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eight rollers causing the conveyance belt to sag through the external driving force is elevated and lowered and the elevation position is controlled so as to be controlled so that the slip is generated efficiently during the movement of the conveyance belt. Can be prevented.

이상,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lthough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scrib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 제 1기판 12 : 제 2기판
50 : 이송부 51 : 컨베이어 밸트
60 : 척 61 : 포크
20 : 전방측 이송 밸트 100 : 본체
110 : 스크라이브 유닛 120 : 브레이킹 유닛
200 : 이송 밸트 210 : 제 1좌측 안내롤러
220 : 제 2좌측 안내롤러 300 : 공정 제어 유닛
310 : 제 1웨이트 롤러 320 : 제 2웨이트 롤러
330 : 구동 롤러 340 : 밸트 클램프
341 : 제 1밸트 클램프 342 : 제 2밸트 클램프
400,400' : 가이드 500,600,700 : 실린더
11: first substrate 12: second substrate
50: conveying section 51: conveyor belt
60: Chuck 61: Fork
20: forward side feed belt 100:
110: scribe unit 120: breaking unit
200: Feed belt 210: First left guide roller
220: second left guide roller 300: process control unit
310: first weight roller 320: second weight roller
330: drive roller 340: belt clamp
341: first belt clamp 342: second belt clamp
400, 400 ': guide 500, 600, 700: cylinder

Claims (17)

기판을 이송하는 이송 밸트 몸체; 및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기판을 집어 이송하는 이송부를 수용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 전체를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안착시키는 반복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용 이송 밸트.
A transfer belt body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And
And a repeat receiving part formed on the conveying belt body for receiving the conveying part for picking up and transporting the substrate and placing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on the conveying belt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수용부는,
상기 이송부가 수용되도록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용 이송 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And a receiving groove formed at an interval in the conveying belt body to receive the conveying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기판의 단부를 집는 포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포크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용 이송 밸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ork for holding an end of the substrate,
And the receiving groove accommodates the fork.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상기 간격은,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상기 이송부의 동작 거리와 비례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용 이송 밸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terval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an operation distance of the transfer section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기판을 집는 포크를 구비하여,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기판을 이송하도록 이동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 경로에 배치되며, 기판을 스크라이브 공정 영역 및 후속 공정 영역에 위치되도록 연속적으로 이송하되, 상기 포크를 반복적으로 수용하여, 이송되는 상기 기판의 하면 전체를 안착시켜 이송시키는 이송 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A transferring portion having a fork holding the substrate, the transferring portion being moved to transfer the substrate along a transfer path; And
And a transfer belt which is disposed in the transfer path and continuously transfers the substrate so as to be located in the scribing process region and the succeeding process region so as to repeatedly accommodate the fork and to seat and transf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transfer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ibe device compris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밸트는,
상기 기판을 안착시켜 이송하는 이송 밸트 몸체; 및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포크를 반복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기판의 하면 전체를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안착시키는 반복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veying belt
A conveyance belt body for receiving and conveying the substrate; And
And a repetition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on the conveying belt body for repeatedly accommodating the fork and seating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on the conveying belt bod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수용부는,
상기 포크가 수용되도록 상기 이송 밸트 몸체에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bove-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at an interval in the conveying belt body so as to receive the fork.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상기 간격은, 상기 기판을 이송하는 상기 이송부의 동작 거리와 비례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terval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an operation distance of the conveyance unit for conveying the substrat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 장치는,
상기 이송 밸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이송 밸트를 가압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이송 밸트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판들에 대해 스크라이브 공정 및 후속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공정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cribing device comprises:
And a process control unit for continuously advancing the scribing process and the subsequent process on the substrates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feed belt by releasing the pressing or pressing of the feed belt at at least one position of the feed belt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후속 공정은,
상기 기판을 브레이킹하는 브레이킹 공정 또는, 상기 기판을 픽업하는 픽업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ubsequent process may comprise:
A braking step of braking the substrate, or a pick-up step of picking up the substrat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제어 유닛은,
상기 이송 밸트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 밸트에 제 1압력을 가하는 제 1웨이트 롤러와,
상기 이송 밸트를 기준으로 수직축 또는 수평축을 따라 외부 구동력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이송 밸트를 제 2압력으로 가압하거나 해제함으로써, 상기 이송 밸트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제 2웨이트 롤러와,
상기 제 1웨이트 롤러 또는 제 2웨이트 롤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상기 이송 밸트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이송 밸트를 그립하는 밸트 클램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ocess control unit comprises:
A first weight roller for applying a first pressure to the conveyance belt on the basis of the conveyance belt,
A second weight roller which is moved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along a vertical axis or a horizontal axis with reference to the conveying belt and controls the conveying belt in a moving direction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conveying belt to a second pressure,
A driving unit that drives at least one of the first weight roller and the second weight roller to move the feeding belt,
And a belt clamp for gripping the conveyance belt.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웨이트 롤러는 외부 구동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weight roller is caused to flow by an external driving force.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웨이트 롤러는,
수직축 또는 수평축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제어 유닛은, 상기 이송 밸트를 이동시키는 구동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first weight roller comprises:
Wherein the scribing device is adapted to move along a vertical axis or a horizontal axis.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cess control unit comprises a drive roller for moving the conveyance bel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동력은,
직선 구동력 또는 탄성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xternal driving force
Wherein the scribing device is at least one of a linear driving force and an elastic forc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웨이트 롤러와 상기 제 2웨이트 롤러의 이동 경로는 상기 수직축 또는 상기 수평축을 따르는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weight roller and the second weight roller is guided by the guide along the vertical axis or the horizontal axis.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웨이트 롤러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는 제 1밸트 클램프와, 제 2밸트 클램프를 구비하되,
상기 제 1밸트 클램프의 그립이 해제되고 상기 제 2밸트 클램프에 의해 상기 이송 밸트가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웨이트 롤러가 외부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이송 밸트를 제 1압력으로 가압하거나 해제하여 상기 스크라이브 공정 영역의 이송 밸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기판들의 스크라이브 공정 및 상기 후속 공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2밸트 클램프의 그립이 해제되고 상기 제 1밸트 클램프에 의해 상기 이송 밸트가 그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웨이트 롤러는 상기 외부 구동력에 의해 압력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2웨이트 롤러는 상기 이송 밸트를 제 2압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후속 공정 영역의 이송 밸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후속 공정을 거친 기판들의 더미는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 1밸트 클램프와 상기 제 2밸트 클램프의 그립이 상기 이송 밸트로 부터 해제되고, 상기 구동 롤러가 상기 이송 벨트를 이동시켜 상기 스크라이브 공정이 완료된 기판이 상기 후속 공정 영역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A first belt clamp disposed on each of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irst weight roller, and a second belt clamp,
In a state in which the grip of the first belt clamp is released and the conveyance belt is gripped by the second belt clamp, the first weight roller is moved by the external driving force to pressurize or release the conveyance belt to the first pressure The scribing process of the substrates and the subsequent process are performed by moving the transfer belt in the scribing process area,
The first weight roller is moved in the direction to release the pressure by the external driving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grip of the second belt clamp is released and the conveyance belt is gripped by the first belt clamp, The roller presses the feed belt to the second pressure to move the feed belt in the subsequent process area so that the pile of substrates subjected to the subsequent proces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grips of the first belt clamp and the second belt clamp are released from the transfer belt and the drive roller moves the transfer belt so that the scribe process completed substrate is transferred to the subsequent process area Scribe device
제 1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압력은 상기 제 1압력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1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7,
Wherein the second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pressure.
KR1020140065304A 2014-05-29 2014-05-29 Transferring belt for scribe apparatus and scrib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6512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304A KR101651253B1 (en) 2014-05-29 2014-05-29 Transferring belt for scribe apparatus and scribe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810234427.6A CN108439781B (en) 2014-05-29 2014-11-27 Conveyor belt for scribing device and scrib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CN201410705620.5A CN105293881B (en) 2014-05-29 2014-11-27 Lineation device conveyer belt and the lineation device for having it
CN201810234455.8A CN108423980B (en) 2014-05-29 2014-11-27 Conveyor belt for scribing device and scrib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304A KR101651253B1 (en) 2014-05-29 2014-05-29 Transferring belt for scribe apparatus and scribe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526A true KR20150138526A (en) 2015-12-10
KR101651253B1 KR101651253B1 (en) 2016-08-26

Family

ID=5497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304A KR101651253B1 (en) 2014-05-29 2014-05-29 Transferring belt for scribe apparatus and scribe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1253B1 (en)
CN (3) CN10843978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157B1 (en) * 2015-03-16 2021-10-1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Scribing apparatus
CN108863034B (en) * 2018-08-29 2021-03-05 台玻安徽玻璃有限公司 Automatic cutting device is used in energy-conserving float glass production of low radiation coating film
CN111233313B (en) * 2018-11-29 2022-11-01 塔工程有限公司 Substrate cutt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778A (en)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Glass cutting system
KR20130135469A (en) * 2012-06-01 2013-12-11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Panel cutting device and method of transferring panel in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51867C (en) * 1978-02-07 1988-06-27 Malmoehus Invest Ab TRANSPORT MODULE FOR TRANSPORT AND CREATION OF FLEXIBLE, EQUIPPING MATERIALS
JPS5930606B2 (en) * 1980-03-28 1984-07-27 株式会社リコー Sheet conveyance device
EP0175483B1 (en) * 1984-08-20 1989-06-14 The Laitram Corporation Conveyor belt having insertable & selectable conveying members
JPH05246519A (en) * 1992-03-05 1993-09-24 Sankyo Seiki Mfg Co Ltd Substrate carrying device
IT1311461B1 (en) * 1999-11-19 2002-03-12 Bottero Spa METHOD AND MACHINE FOR THE REALIZATION OF A FLAT DEVELOPMENT GLASS ITEM PRESENTING AN EXTENDED SURFACE COVERED BY A
JP2001157997A (en) * 1999-12-02 2001-06-12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Continuously breaking device for rigid and brittle substrate
JP2003276835A (en) * 2002-03-27 2003-10-02 Tokyo Weld Co Ltd Part conveying/accommod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EP1647534B1 (en) * 2004-10-15 2018-12-19 Bystronic Maschinen AG Apparatus and process for braking open glass sheets
JP2006117337A (en) * 2004-10-19 2006-05-11 Nitta Ind Corp Conveyor belt with crosspie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777983B1 (en) * 2005-12-29 2007-11-2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Cutting Substrate
KR100586821B1 (en) * 2006-01-09 2006-06-0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Apparatus for breaking glass substrate
KR20080033761A (en) * 2006-10-13 2008-04-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rame transfer apparatus
JP5152469B2 (en) * 2007-04-11 2013-02-27 株式会社Ihi Substrate transfer device
KR101696718B1 (en) * 2009-12-15 2017-01-16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Scribing assembly and scribing method
IT1404269B1 (en) * 2011-02-23 2013-11-15 Bottero Spa BELT CONVEYOR FOR ADVANCING A GLASS SHEET.
KR101268297B1 (en) * 2011-07-12 2013-05-28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Feeding belt for strip-shaped ele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778A (en)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Glass cutting system
KR20130135469A (en) * 2012-06-01 2013-12-11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Panel cutting device and method of transferring panel in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39781B (en) 2021-03-19
CN108423980B (en) 2021-06-04
CN105293881A (en) 2016-02-03
CN105293881B (en) 2019-10-08
KR101651253B1 (en) 2016-08-26
CN108439781A (en) 2018-08-24
CN108423980A (en)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718B1 (en) Scribing assembly and scribing method
KR102310157B1 (en) Scribing apparatus
JP63430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workpieces
KR101651253B1 (en) Transferring belt for scribe apparatus and scrib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991267B1 (en) Apparatus for cutting substrate
KR101397487B1 (en) Dividing apparatus
KR101668778B1 (en) Scribe apparatus
CN101428708B (en) Substrate shif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330148B1 (en) Panel cutting device and panel cut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79598B1 (en) Scribe apparatus and scribe method
KR20170104033A (en) Scribing apparatus
JP2006327819A (en) Transfer device and transfer method for glass pane
KR20190059577A (en) Apparatus for cutting substrate
KR20190037830A (en) Substrate cutting apparatus
JP2008272704A (en) Dust removal device
KR102114025B1 (en) Apparatus for cutting substrate
JP2004131227A (en) Workpiece transfer device
JP2008280136A (en) Plate material carrying device
KR20190059576A (en) Apparatus for cutting substrate
JP2013119463A (en) Conveying equipment
JP2008189405A (en) Sheet feeding method
JP4896602B2 (en) Egg alignment supply device
JP6331883B2 (en) Plate-shaped material transfer device
JP2006080483A (en) Electronic component process handling equipment, process handling method and process handling program
CN117047292A (en) Material feeding and discharging process for thin film solar cell laser scribing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