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271A -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271A
KR20150137271A KR1020140064846A KR20140064846A KR20150137271A KR 20150137271 A KR20150137271 A KR 20150137271A KR 1020140064846 A KR1020140064846 A KR 1020140064846A KR 20140064846 A KR20140064846 A KR 20140064846A KR 20150137271 A KR20150137271 A KR 20150137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scattering
heating
hot ai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6716B1 (ko
Inventor
이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이피
Priority to KR102014006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71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30/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preservation of materials in order to produce animal feeding-stuffs
    • A23K30/20Dehyd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8Thin layer-, drum- or roller-drying
    • A23L3/485Drum- or roller-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특히 두부 부산물을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고, 이후 열품 건조 드럼에 수분이 제거된 두부 부산물을 배치한 상태에서 가열과 동시에 분쇄하여 건조된 두부 부산물만을 분리 추출함으로서 사료 자원화가 극대화된 두부 부산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두부를 원심분리하여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원심분리장치(100)와; 상기 원심분리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분이 일정부분 배출된 두부를 가열하고 아울러 비산시켜 건조가 완료된 두부를 추출하는 가열 및 비산장치(200)와; 상기 가열 및 비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하는 두부 부산물의 길목을 가로막아 분쇄된 두부가 용이하게 포집되도록 보조하는 비산보조장치(300)와; 상기 가열 및 비산장치의 케이스 일단에 설치되며 케이스 내부를 부분 냉각시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 냉각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A Tofu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부 부산물을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고, 이후 열품 건조 드럼에 수분이 제거된 두부 부산물을 배치한 상태에서 가열과 동시에 분쇄하여 건조된 두부 부산물만을 분리 추출함으로서 사료 자원화가 극대화된 두부 부산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두에는 양질의 수용성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의 가공방법중에 두부로 가공하는 방법은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두부 생산의 부산물로 생산되는 비지와 순물은 그 생산량이 1991년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년간12만톤 및 60만톤에 이르고 있는데, 해마다 그 양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비지는 아미노산, 특히 필수아미노산인 리신의 함량이 높아 단백질의 이용효율값도 높고 양질의 식이 섬유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식품으로서 가치가 높고 또 종래에는 널리 식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한편 이렇듯 영양이 높을 뿐 아니라 수분이 함유량이 약 80∼83% 정도로 높아 방치하면 단시간내,즉 여름에는 6시간내에 변성되어 식품재료 및 사료용으로 이용되기가 어려우며 더욱이 당일 처리하지 못하면 심한 악취를 내는 등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한편 비지에 대한 영양적 가치가 새로이 인식되면서, 비지를 식품의 소재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하에 연구가 행히진 결과 비지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 건조하여 보관하는 방법등이 제안되었으나, 건조에는 비용이 많이 들며 건조후에도 비지끼리 서로 단단하게 접착되어 다시 마쇄하여야 하는 결점이 있다. 그리고 냉동저장하는 경우에는 후자의 문제점은 없으나 비용이 과다하게 든다. 또한 생비지는 생산지에서 가공지까지 수송되는 도중에 변패되는 경유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신선한 비지를 식품에 이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대두로부터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응고압착 과정중에 발생하는 순물은 현재 폐수로 처리되고 있으며, 대두단백질의 총량의 9%에 해당하는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기질 또한 다량 함유하고 있어 BOD도 10,000ppm에 이른다.
과거에는 순물이 가축의 사료로서 또한 세탁 및 머리를 감는데도 널리 사용되어 그 처리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오늘날 두부 생산량이 많아지면서 순물의 발생량도 증가 추세에 있고, 두부제조 공정의 영세화로 인하여 순물이 제조로 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치 및 방류되므로서 온도가 조금만 높으면 부패되어 악취를 낼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순물은 영양분의 조성상 작물이 이용할 수 있는 질소원과 무기성분이 풍부하여 액체 비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두채류의 재배 및 기타 야채의 수경 재배용 액체 비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즉 순물은 주 단백질23%), 무기물(2%) 및 탄수화물(0.18%)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액체 비료로 뿐만 아니라 균체 단백질 생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미생물 발효에 유익한 영양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있기 때문에 단시간만 방치하여도, 즉 여름에는 6시간, 겨울에는 48시간만 방치하거나 방류후에 금방 부패되도록, 부패시 발생하는 악취와 독소가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두부 제조후에 남는 부산물인 비지와 순물의 부패를 방지하여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면 폐기물을 재활용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이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두부공장의 생산여건과 시설을 감안할 때 두부와 순물의 저장방법은 그 처리법이 간편하고 경제적인 방법이 채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건조로(10), 동력공급부(20), 분쇄기(21),배출함(30), 가스배관(40)을 구비하고, 건조로(10)는 투입구(11), 투입개폐부(12), 가스 배출구(15), 배출구(13), 배출개폐부(14)를 구비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투입구(11)를 통해 건조로(10)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로(10) 내부에서 분쇄, 교반 및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건조로 하측부에 동력공급부(20)에 연동하여 고속으로 회전되게 설치한 분쇄기(21)와 상기 분쇄기(21)에 분쇄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가열기(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기에 의해 증발된 수분을 배출하는 가스 배출구(15)와 건조공정을 완료한 뒤 분쇄/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구(13)를 통해 자동 배출시키도록 개폐되는 배출개폐부(14)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후 나오는 부산물은 그대로 버려져 중앙집하장으로 이동되어 소각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건조된 부산물이 젖은 음식물과의 접촉으로 인해 다시 젖은 음식물로 되어 음식물 처리기에서 처리한 것이 무효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충분히 건조된 상태가 되지 못하기 때문에 가축사료등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두부 부산물을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고, 이후 열품 건조 드럼에 수분이 제거된 두부 부산물을 배치한 상태에서 가열과 동시에 분쇄하여 건조된 두부 부산물만을 분리 추출함으로서 사료 자원화가 극대화된 두부 부산물을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두부를 원심분리하여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원심분리장치(100)와; 상기 원심분리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분이 일정부분 배출된 두부를 가열하고 아울러 비산시켜 건조가 완료된 두부를 추출하는 가열 및 비산장치(200)와; 상기 가열 및 비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하는 두부 부산물의 길목을 가로막아 분쇄된 두부가 용이하게 포집되도록 보조하는 비산보조장치(300)와; 상기 가열 및 비산장치의 케이스 일단에 설치되며 케이스 내부를 부분 냉각시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 냉각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원심분리장치(100)는, 원심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관(110)과; 상기 원료 공급관으로부터 두부 원료를 공급받고 원심 회전력에 의해서 수분을 걸러내는 원심력통(120)과; 상기 원심력통의 하부 일단에 연결되며 원심력통에 의해서 걸러진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관(130)과; 상기 원심력통 내부에 설치되며 두부 부산물 원료를 고르게 배합하기 위한 회전날개(140)와; 상기 원심력통(120)과 회전날개(140)에 동력을 제공하여 두부 부산물을 고르게 펼치고 동시에 두부 부산물로부터 수분을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유도하는 구동모터(150)와 기어부(151)와; 상기 원심력통 하단에 설치되며 수분이 배출된 두부 원료를 이송시키는 배출용 컨베이어(160)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두부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원료 배출관(17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가열 및 비산장치(200)는, 수분이 배출된 두부 부산물이 투입되는 두부 부산물 투입구(210)와; 상기 두부 부산물 투입구가 연결되며 열풍을 제공하여 원료를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드럼(220)과; 상기 열풍 건조드림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열풍을 만들어내는 열풍 공급부(230)와; 상기 열풍 공급부(230)와 열풍 건조드럼 사이에 설치되어 생성된 열풍을 열풍 건조드럼에 공급하는 송풍날개(250)와; 상기 송풍 날개의 후방에 설치되어 송풍날개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모터(240)와; 상기 열풍 건조드럼의 하단에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서 두부 부산물을 분쇄시킴과 동시에 비산시키는 분쇄 및 날림부(260)와; 상기 분쇄 및 날림부(26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70)와; 상기 열풍 건조드럼의 뚜껑 일단에 설치되며 비산된 두부를 다른 영역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두부 부산물 포집 호스(280)와; 상기 두부 부산물 포집 호스(280)에 연결되어 두부를 포집하는 두부 부산물 포집기(29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비산 보조장치(300)는, 가열 및 비산장치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310)와; 상기 회전모터에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스크류(320)와; 상기 스크류에 연결되어 스크류의 회전움직임을 상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승하강하는 동력전달부(330)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동력전달부의 유동에 상응하여 승하강하는 비산조절부(340)와; 스크류의 외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동력전달부 및 비산조절부를 승하강시키도록 가이드홈(351)을 갖는 가이드(35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부분 냉각장치(400)는,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가열 및 비산장치의 케이스에 위치하는 냉각판(410)과; 상기 냉각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가열 및 비산장치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열전반도체(420)와; 상기 열전반도체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반도체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하는 방열판(430)과; 상기 방열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팬을 식히는 방열팬(440)과; 상기 냉각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판 및 열전반도체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판 이송부(450)와; 상기 가열 및 비산장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온도센서(460)와; 상기 온도센서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해 구동모터(450b)를 작동하여 스크류(450a)를 회전시킴으로서 냉각판(410) 및 열전반도체(420)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시키는 제어부(4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부 부산물을 원심분리장치를 이용하여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고, 이후 열품 건조 드럼에 수분이 제거된 두부 부산물을 배치한 상태에서 가열과 동시에 분쇄하여 건조된 두부 부산물만을 분리 추출함으로서 사료 자원화가 극대화된 두부 부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두부 원심 분리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두부 원심 분리기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열 및 비산처리 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열 및 비산처리 장치에 두부를 넣는 동작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가열 및 비산처리 장치에 넣은 두부를 분쇄하는 동작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가열 및 비산처리 장치로부터 분쇄되는 두부를 추출중인 동작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가열 및 비산처리 장치로부터 분쇄된 두부를 포집하는 동작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비산 보조장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비산 보조장치의 비산조절부를 하강시킨 동작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비산 보조장치의 비산 조절부를 상승시킨 동작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를 상승시킨 동작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를 하강시킨 동작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 회로구성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두부 원심 분리기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두부 원심 분리기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열 및 비산처리 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열 및 비산처리 장치에 두부를 넣는 동작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가열 및 비산처리 장치에 넣은 두부를 분쇄하는 동작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가열 및 비산처리 장치로부터 분쇄되는 두부를 추출중인 동작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가열 및 비산처리 장치로부터 분쇄된 두부를 포집하는 동작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비산 보조장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비산 보조장치의 비산조절부를 하강시킨 동작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비산 보조장치의 비산 조절부를 상승시킨 동작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를 상승시킨 동작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를 하강시킨 동작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부분 냉각장치 회로구성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두부 부산물 수분 원심 분리장치(100)와, 두부 부산물 가열 및 비산장치(200)와, 비산 보조장치(300)와, 부분 냉각장치(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심분리장치(100)는 두부를 원심분리하여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열 및 비산장치(200)는 원심분리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분이 일정부분 배출된 두부를 가열하고 아울러 비산시켜 건조가 완료된 두부를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비산보조장치(300)는 가열 및 비산장치 내부에 설치되며 가열된 두부가 용이하게 비산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분 냉각장치(400)는 가열 및 비산장치의 케이스 일단에 설치되며 케이스 내부를 부분 냉각시켜 과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부분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두부 부산물 수분 원심 분리장치(100)는 원료 공급관(110)과, 원심력통(120)과, 수분 배출관(130)과, 회전날개(140)와, 구동모터(150)와, 기어부(151)와, 배출용 컨베이어(160)와, 원료 배출관(170)으로 이루어진다.
즉, 원료 공급관(110)은 원심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원료를 공급하는 관이고, 원심력통(120)은 원심력이 제공되어 회전에 의해서 수분이 걸러지는 통이며, 수분 배출관(130)은 원심력통에 의해서 걸러진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관이다.
상기 회전날개(140)는 두부 부산물 원료를 고르게 배합하기 위한 수단이며, 구동모터(150)와 기어부(151)는 원심력통(120)과 회전날개(140)에 동력을 제공하여 두부 부산물을 고르게 펼치고 동시에 두부 부산물로부터 수분을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배출용 컨베이어(160)는 수분이 배출된 두부 원료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원료 배출관(170)은 수분이 배출된 원료를 아래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두부 부산물 가열 및 비산장치(200)는 두부 부산물 투입구(210)와, 열풍 건조드럼(220)과, 열풍 공급부(230)와, 송풍모터(240)와, 송풍 날개(250)와, 분쇄 및 날림부(260)와, 모터(270)와, 두부 부산물 포집 호스(280)와, 두부 부산물 포집기(290)로 이루어진다.
즉, 두부 부산물 투입구(210)는 원심분리되어 수분이 제거된 두부 부산물이 투입되는 곳이고, 열풍 건조드럼(220)은 열풍을 제공하여 원료를 건조시키는 곳이며, 열풍 공급부(230)는 열풍을 만들어내는 곳이고, 송풍날개(250)는 열품을 열풍 건조 드럼(220)으로 유입시키는 수단이다. 그리고, 분쇄 및 날림부(260)는 회전에 의해서 두부 부산물을 잘게 분쇄하여 공중에 띄우는 역할을 하며, 모터(270)는 분쇄 및 날림부(26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이고, 두부 부산물 포집 호스(280)는 분쇄되고 건조된 두부 부산물을 옮기기 위한 호스이며, 두부 부산물 포집기(290)는 분쇄후 건조된 두부 부산물을 모으는 수단이다.
상기 비산 보조장치(300)는 뚜껑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310)와, 상기 회전모터에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스크류(320)와, 상기 스크류에 연결되어 스크류의 회전움직임을 상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승하강하는 동력전달부(330)와, 상기 동력전달부(330)에 연결되어 동력전달부(330)의 유동에 상응하여 승하강하는 비산조절부(340)와, 스크류(320)의 외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동력전달부 (330) 및 비산조절부(340)를 승하강시키도록 가이드홈(351)을 갖는 가이드(3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하에서 부분 냉각장치(4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부분 냉각장치는 냉각판(410)과, 열전반도체(420)와, 방열판(430)과, 방열팬(440)과, 냉각판 및 열전반도체 이송부(450)와, 온도센서(460) 및, 제어부(4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판(410)은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열풍 건조드럼(220) 케이스에 위치한다.
상기 열전반도체(420)는 냉각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함체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열판(430)은 열전반도체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반도체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한다.
상기 방열팬(440)는 방열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팬을 식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판 이송부(450)는 냉각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판 및 열전반도체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킨다.
상기 온도센서(460)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470)는 온도센서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70)는 온도센서의 정보에 따라 필요 구간을 냉각시키는바, 구동모터(450b)를 작동하여 스크류(450a)를 회전시킴으로서 냉각판(410) 및 열전반도체(420)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면 상기 냉각판(410)과 열전반도체(420)가 존재하는 부분은 냉각이 이루어져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냉각판(410)과 열전반도체(420)가 위치한 부분에 냉각열이 전달되어 급속히 냉각되고, 열전반도체(420)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판(430)을 통해 이동하게 되며, 방열판(430)에 부착된 방열팬(440)에 의해서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보다 더 강력하게 부분 냉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열전반도체(420)가 방열판을 보다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하기 위해 방열판(430)에 레일(430a)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상응하여 열전반도체(420)의 표면은 레일홈(420a)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반도체(420)가 레일(430a)을 타고 보다 자연스럽게 좌우 유동이 가능토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레일(430a) 및 레일홈(420a)은 다수개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동작을 살펴보면, 두부 부산물을 두부 부산물 수분 원심 분리장치(100)에 투입하는바, 두부 부산물을 원료 공급관(110)을 통해 공급하고, 구동모터(150)와 기어부(151)에 의해서 회전하는 원심력통(120)이 회전하면서 두부 부산물에 포함된 수분을 외부로 분리시킨다.
그리고, 분리된 수분은 수분 배출관(130)을 통해 외부로 출력되며, 두부 부산물이 고르게 펼쳐질 수 있도록 회전날개(140)가 원심력통(120)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수분이 분리된 두부 부산물은 배출용 컨베이어(160)와 원료 배출관(17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상기 원심분리되어 수분이 제거된 두부 부산물은 가열 및 비산장치(200)를 거치면서 적당한 온도로 가열되고 비산되어 두부 부산물 포집기(290)로 모이게 된다.
즉, 두부 부산물 투입구(210)를 통해 절단된 두부 부산물을 투입시키며, 투입된 두부 부산물에는 열풍 공급부(230)와 송풍날개(250)를 이용하여 열풍을 제공하여 건조시키고, 동시에 분쇄 및 날림부(26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여 두부 부산물을 분쇄하여 공중에 띄운다.
그러면, 잘게 분쇄되고 열풍에 의해 충분히 건조된 두부 부산물에 공중에 상승하면서 두부 부산물 포집 호스(280)를 통해 이동하여 두부 부산물 포집기(290)에 모이게 된다.
이때, 잘게 분쇄된 두부 부산물만이 두부 부산물 포집 호스(280)를 통해 두부 부산물 포집기(290)에 모이게 되며, 아직 덜 분쇄되거나 덜 건조된 두부 부산물은 열풍 건조 드럼(220) 내부에 계속 남아 있게 되고, 남아 있는 두부 부산물에는 계속적으로 열풍을 제공하고 아울러 분쇄 및 날림부(260)에 의해서 잘게 쪼개져서 결국 잘게 잘리고 충분히 건조되는 두부 부산물만이 연속적으로 두부 부산물 포집호스(280) 및 두부 부산물 포집기(290)를 통해 모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비산 보조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는바, 초기에는 비산 조절부(340)가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최상층에 위치한 두부 부산물만이 비산 조절부(340)에 걸려서 두부 부산물 포집호스(280) 및 두부 부산물 포집기(290)를 통해 유동하고, 이어 열풍이 계속 공급되어진 상태에서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회전모터를 작동시켜 스크류(320)를 회전시킴으로서 동력전달부(330) 및 비산 조절부(340)를 하강시켜 아래에 존재하는 두부 부산물도 두부 부산물 포집호스(280) 및 두부 부산물 포집기(290)를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부분 냉각장치(400)를 설치하는바, 열풍 건조 드럼(220) 내부의 온도가 필요이상으로 급상승하면 재료가 과열될 수 있기 때문에 온도가 급격히 상승한 부분을 냉각시키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냉각판(410)과 열전반도체(420)가 방열판(430)의 상부에서 좌우로 이동하도록하였는바, 이를 위해 냉각판(410)에 스크류(450a)를 관통설치하며, 스크류(450a)의 일측 끝단은 구동모터(450b)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450b)를 작동하여 스크류(450a)가 회전하는 동력에 의해서 냉각판(410) 및 열전반도체(420)가 방열판(430)의 상부에서 유동되도록하였다.
상기와 같이 냉각판(410)과 열전반도체(420)가 유동하게 되면 냉각이 필요한 지점만을 집중적으로 냉각시키게 되어 열풍 드럼 내부의 과열된 영역을 순간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두부 부산물을 적절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료화하는데 매우 용이하고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100: 두부 부산물 수분 원심 분리장치
110: 원료 공급관
120: 원심력통
130: 수분 배출관
140: 회전날개
150: 구동모터
151: 기어부
160: 배출용 컨베이어
170: 원료 배출관
200: 가열 및 비산장치
210: 두부 부산물 투입구
220: 열풍 건조드럼
230: 열풍 공급부
240: 송풍모터
250: 송풍 날개
260: 분쇄 및 날림부
270: 모터
280: 두부 부산물 포집 호스
290: 두부 부산물 포집기
300: 비산 보조장치
310: 회전모터
320: 스크류
330: 동력전달부
340: 비산조절부
350: 가이드
351: 가이드홈
400: 부분 냉각장치
410: 냉각판
420: 열전반도체
430: 방열판
440: 방열팬
450: 냉각판 및 열전반도체 이송부
460: 온도센서
470: 제어부

Claims (5)

  1. 두부를 원심분리하여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한 원심분리장치(100)와;
    상기 원심분리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분이 일정부분 배출된 두부를 가열하고 아울러 비산시켜 건조가 완료된 두부를 추출하는 가열 및 비산장치(200)와;
    상기 가열 및 비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하는 두부 부산물의 길목을 가로막아 분쇄된 두부가 용이하게 포집되도록 보조하는 비산보조장치(300)와;
    상기 가열 및 비산장치의 케이스 일단에 설치되며 케이스 내부를 부분 냉각시켜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 냉각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분리장치(100)는,
    원심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관(110)과;
    상기 원료 공급관으로부터 두부 원료를 공급받고 원심 회전력에 의해서 수분을 걸러내는 원심력통(120)과;
    상기 원심력통의 하부 일단에 연결되며 원심력통에 의해서 걸러진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분 배출관(130)과;
    상기 원심력통 내부에 설치되며 두부 부산물 원료를 고르게 배합하기 위한 회전날개(140)와;
    상기 원심력통(120)과 회전날개(140)에 동력을 제공하여 두부 부산물을 고르게 펼치고 동시에 두부 부산물로부터 수분을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유도하는 구동모터(150)와 기어부(151)와;
    상기 원심력통 하단에 설치되며 수분이 배출된 두부 원료를 이송시키는 배출용 컨베이어(160)와;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두부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원료 배출관(17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및 비산장치(200)는,
    수분이 배출된 두부 부산물이 투입되는 두부 부산물 투입구(210)와;
    상기 두부 부산물 투입구가 연결되며 열풍을 제공하여 원료를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드럼(220)과;
    상기 열풍 건조드림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열풍을 만들어내는 열풍 공급부(230)와;
    상기 열풍 공급부(230)와 열풍 건조드럼 사이에 설치되어 생성된 열풍을 열풍 건조드럼에 공급하는 송풍날개(250)와;
    상기 송풍 날개의 후방에 설치되어 송풍날개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모터(240)와;
    상기 열풍 건조드럼의 하단에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서 두부 부산물을 분쇄시킴과 동시에 비산시키는 분쇄 및 날림부(260)와;
    상기 분쇄 및 날림부(26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70)와;
    상기 열풍 건조드럼의 뚜껑 일단에 설치되며 비산된 두부를 다른 영역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두부 부산물 포집 호스(280)와;
    상기 두부 부산물 포집 호스(280)에 연결되어 두부를 포집하는 두부 부산물 포집기(29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 보조장치(300)는,
    가열 및 비산장치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310)와;
    상기 회전모터에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스크류(320)와;
    상기 스크류에 연결되어 스크류의 회전움직임을 상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승하강하는 동력전달부(330)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연결되어 동력전달부의 유동에 상응하여 승하강하는 비산조절부(340)와;
    스크류의 외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동력전달부 및 비산조절부를 승하강시키도록 가이드홈(351)을 갖는 가이드(35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냉각장치(400)는,
    알루미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가열 및 비산장치의 케이스에 위치하는 냉각판(410)과;
    상기 냉각판의 하부에 부착되며 외부 전기공급에 따라 냉각판에 냉각열을 전달하여 가열 및 비산장치 내부를 급속냉각시키는 열전반도체(420)와;
    상기 열전반도체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고 열전반도체의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포집하는 방열판(430)과;
    상기 방열판에 부착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서 방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빠른 속도로 외부로 전달시켜 방열팬을 식히는 방열팬(440)과;
    상기 냉각판에 연결하되 스크류로 연결하여 자체 회전에 의해서 냉각판 및 열전반도체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하여 그 부분을 급속 냉각시키는 냉각판 이송부(450)와;
    상기 가열 및 비산장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온도가 기준이상 높은 부분이 있는가를 파악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온도센서(460)와;
    상기 온도센서의 정보 결과를 토대로 냉각판 이송부를 구동하여 좀더 냉각이 필요한 지점에 위치되어 그부분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해 구동모터(450b)를 작동하여 스크류(450a)를 회전시킴으로서 냉각판(410) 및 열전반도체(420)를 필요한 지점으로 이송시키는 제어부(4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KR1020140064846A 2014-05-29 2014-05-29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KR101606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846A KR101606716B1 (ko) 2014-05-29 2014-05-29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846A KR101606716B1 (ko) 2014-05-29 2014-05-29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271A true KR20150137271A (ko) 2015-12-09
KR101606716B1 KR101606716B1 (ko) 2016-03-28

Family

ID=5487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846A KR101606716B1 (ko) 2014-05-29 2014-05-29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5728A (zh) * 2018-12-11 2019-01-29 连云港日丰钙镁有限公司 一种全利用豆粉豆干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642A (ko) * 1997-11-19 1998-03-30 김주식 원심 건조방식 피건조물 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350057A (ja) * 2001-05-28 2002-12-04 Nara Nojo:Kk 乾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乾燥おからの製造方法
KR100957245B1 (ko) * 2008-06-05 2010-05-12 김용남 부산물 또는 슬러지 건조장치
KR100994166B1 (ko) * 2008-05-20 2010-11-15 (주)나노원플러스 음식물쓰레기 분쇄건조장치용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642A (ko) * 1997-11-19 1998-03-30 김주식 원심 건조방식 피건조물 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350057A (ja) * 2001-05-28 2002-12-04 Nara Nojo:Kk 乾燥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乾燥おからの製造方法
KR100994166B1 (ko) * 2008-05-20 2010-11-15 (주)나노원플러스 음식물쓰레기 분쇄건조장치용 냉각장치
KR100957245B1 (ko) * 2008-06-05 2010-05-12 김용남 부산물 또는 슬러지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5728A (zh) * 2018-12-11 2019-01-29 连云港日丰钙镁有限公司 一种全利用豆粉豆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716B1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842B1 (ko) 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8041653B (zh) 一种家畜饲料机
JP2001259466A (ja) 飲食廃棄物の自動処理および飼料製造装置
JP2007044047A (ja) 生動物素材の処理方法
JP4235747B2 (ja) 有機廃棄物の粉砕及び排水装置
CN106717675A (zh) 集成式秸秆粉碎装置
KR101606716B1 (ko) 두부 부산물 처리장치
KR10080362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694418B1 (ko) 폐 동식물 분쇄 건조 장치
KR101779105B1 (ko) 가축 부산물 분쇄장치
KR101606717B1 (ko) 인삼 부산물 처리장치
US4122208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nd drying a meal of cooked animal material, especially fish and fish pulp
JP2002001145A (ja) 生ゴミ処理装置
CN116982486B (zh) 一种秸秆粉碎装置
KR20200013347A (ko) 폐가축처리장치
CN206149919U (zh) 超大型多功能菌袋分离机
CN203373284U (zh) 全自动无害化动物处理一体机
KR101697346B1 (ko) 쓰레기 처리 시스템
JP3789914B2 (ja) 固液分離装置
Wang et al. Peanut oil processing technology
KR101107744B1 (ko) 사료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WO2018014228A1 (zh) 一种自动化秸秆垃圾切碎机
KR102044122B1 (ko) 엽채류의 미분쇄 구현이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첨가용 보리어린잎 분말 제조방법
KR20140035115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1582839B1 (ko) 감귤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