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952A -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 Google Patents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952A
KR20150136952A KR1020140064732A KR20140064732A KR20150136952A KR 20150136952 A KR20150136952 A KR 20150136952A KR 1020140064732 A KR1020140064732 A KR 1020140064732A KR 20140064732 A KR20140064732 A KR 20140064732A KR 20150136952 A KR20150136952 A KR 20150136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or
heating distributor
heating
receiving por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230B1 (ko
Inventor
홍성화
홍성정
홍석기
Original Assignee
(주)태양테크
홍성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양테크, 홍성정 filed Critical (주)태양테크
Priority to KR102014006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230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보일러가 설치된 장소에서 난방분배기만을 교환토록 할 경우에 열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한 보온을 위한 커버에 장착된 상태에서 빠짐을 방지하면서 유동이 가능토록 난방분배기의 양단으로 후렌지를 형성하고 , 상기 후렌지를 감쌀 수 있도록 커버의 양 내측벽으로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부를 형성하여 보온커버에 난방분배기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난방분배기의 설치장소에 따른 배관의 길이차이에 의하여도 난방분배기를 상,하로 유동토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후렌지의 수용을 위한 수용부가 하단수용부와 상단수용부로 구분하여 커버의 측벽에 고정되어진 하단수용부에 탈착요소에 의하여 상단수용부가 간단하게 탈착토록 함으로서 커버에 난방분배기의 다수의 분기관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관과 회수관의 유동가능한 조립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A heating dispenser}
본 발명은 난방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보일러가 설치된 장소에서 난방분배기만을 교환토록 할 경우에 난방분배기에 열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온커버에 난방분배기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난방분배기의 설치장소에 따른 배관의 길이차이에 의하여도 간단하게 설치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일반가정이나 연립주택등의 에너지관리가 취약한 지역에 설치되어진 보일러가 대부분 보온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즉 실외에 시공되어지는 다용도실에 설치되어짐으로서 특히 겨울철에는 실외온도 차이에 따라 난방분배기에서의 온도손실이 30%가량에 육박한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에너지 손실에 대하여 난방분배기를 설치할 경우에 보온등이 가능토록 난방 분배기를 감싸게 되는 커버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커버가 난방분배기가 시공될 경우에는 보일러 위치 등을 변경하면서 설치가 가능하지만 기존의 설치된 보일러에서 난방분배기만을 교환토록 할 경우에는 이러한 보일러의 설치된 위치의 고정에 따라 실질적으로 시공에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난방분배기와 난방분배기의 보온을 위한 커버가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난방분배기에 보일러의 급수관과 회수관을 연결할 경우에 기존의 보일러 설치위치에 따른 길이의 차이로 실질적으로 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간단하게 난방분배기의 위치를 유동토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교환이 가능토록 하면서도 견고한 고정설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난방분배기와 커버와의 조립도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제작과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난방분배기의 다수의 분기관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관과 회수관이 커버에 장착된 상태에서 빠짐을 방지하면서 유동이 가능토록 양단으로 후렌지를 형성토록 하고, 상기 후렌지를 감쌀 수 있도록 커버의 측벽으로는 수용부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상하로 유동토록 함으로서 보일러와의 길이차이를 보상토록 하면서 설치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후렌지의 수용을 위한 수용부가 후방수용부와 전방단수용부로 구분하여 커버의 측벽에 고정되어진 후방수용부에 탈착요소에 의하여 전방수용부가 간단하게 탈착토록 함으로서 커버에 난방분배기의 다수의 분기관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관과 회수관의 유동가능한 조립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난방분배기의 교환시 커버가 구비된 상태에서도 보일러의 고정된 위치에 따라 간단하게 난방분배기의 다수의 분기관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관과 회수관의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되면서 분배기를 간단하게 교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난방분배기가 설치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난방분배기가 커버의 수용부에 장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3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난방분배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보일러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5는 본 발명의 난방분배기의 설치가 완료된 사용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커버에 밀폐 보온을 위한 뚜껑이 결합되는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에 매립된 상태에서 난방분배기(20)와 연결되도록 노출된 다수의 난방배관(200)과 벽면에 설치된 보일러(100)에 동파를 방지하도록 보온을 위한 커버(10)가 감싸지도록 형성된 난방분배기(20)를 교환을 위한 설치에 이미 설치된 난방배관(200)과 보일러(100)의 연결을 위한 길이차이를 보상하여 간단하게 설치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난방분배기(20)의 다수의 분기관(23)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관(21)과 회수관(22)이 형성된 양단으로 후렌지(24)를 형성하고 상기 난방분배기(20)에 보온을 위한 커버(10)의 양 내측면에는 후렌지(24)를 감싸면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유동공간(31)이 형성된 수용부(30)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난방분배기(20)의 교환을 위하여 이미 설치된 보일러(100)에 연결시에 난방분배기(20)의 급수관(21)과 회수관(22)의 양단에 형성된 후렌지(24)가 수용부(30)에 감싸도록 위치되어져 유동공간(31)을 통하여 상,하로 유동되면서 길이차이를 보상하여 간단하면서 설치가 용이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용부(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수용부(32)와 후방수용부(33)로 등분되어져 커버(10)의 양 내측 벽으로 후방수용부(33)를 위치시켜 고정요소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수용부(32)를 고정된 후방수용부(33)와 맞물리도록 한 상태에서 탈착요소로 탈착가능하게 결합토록 함으로써 난방분배기(20)의 급수관(21)과 회수관(22)의 양단에 형성된 후렌지(24)가 수용부(30)로 간단하게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전방수용부(32)와 후방수용부(33)의 조립요소에 의한 조립을 위하여 전방수용부(32)와 후방수용부(33)의 양측단에 탈착요소로 결합되는 결합부(34)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수용부(32)와 후방수용부(33)는 모서리가 만곡된 직사각형으로 되어 내측 중앙으로 길이변으로 내입되게 절개되어 전방수용부(32)와 후방수용부(33)가 맞물림 상태가 되면 중앙으로 유동공간(31)이 형성되어 난방분배기(20)의 급수관(21)과 회수관(22)의 양단에 형성된 후렌지(24)가 길이변으로 형성된 유동공간(31)을 통해서 이미 설치된 보일러(100)와 연결시에 배관 연결길이가 맞지 않을 때 도3 내지 4와 같이 상,하로 급수관(21)과 회수관(22)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하여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방수용부(32)와 후방수용부(33)의 이면에는 급수관(21)과 회수관(22)의 양 측단에 형성된 후렌지(24)가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으로 빠지지 않도록 단턱부(35)를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10)는 급수관(21)과 회수관(22)을 장착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지고 양 외측벽 후면에는 벽면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13)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방된 전면에는 완전하게 밀폐되어 보온을 향상토록 커버(11)가 결합요소로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덮개(11)에는 급수관(21)과 회수관(22)의 다수의 분기관(23)에 형성된 밸브조절을 위하여 경첩으로 절첩되는 뚜껑(12)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난방분배기(20)의 급수관(21)과 회수관(22)을 이미 설치된 보일러(100)에 연결토록 할 경우에 연결부분의 길이가 맞지 않을 경우 보온을 위해 감싸지도록 형성된 커버(10)에 유동공간(31)이 형성된 수용부(30)를 형성하여 상기 수용부(30)의 유동공간(31)을 통해서 간단하게 상,하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커버 11: 덮개
12: 뚜껑 13: 고정부
20: 난방분배기 21: 급수관
22: 회수관 23: 분기관
24: 후렌지
30: 수용부 31: 유동공간
32: 전방수용부 33: 후방수용부
34: 결합부 35: 단턱부

Claims (4)

  1. 다수의 분기관(23)이 각각 연결되는 급수관(21)과 회수관(22)이 형성된 난방분배기(20)와
    상기 난방분배기(20)에 보온을 위한 커버(10)가 장착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난방분배기(20)의 양단으로 후렌지(24)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10)의 양 내측면에는 후렌지(24)를 감싸면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유동공간(31)이 형성된 수용부(30)를 형성하여 난방분배기(20)를 설치된 보일러(100)에 연결시에 난방분배기(20)를 상,하로 유동하여 설치가 용이토록 하는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30)는 난방분배기(20)의 후렌지(24)를 감싸지도록 전방수용부(32)와 후방수용부(33)로 등분되어져 커버(10)의 양 내측 벽에 후방수용부(33)가 고정요소로 고정되고 상기 전방수용부(32)는 고정된 후방수용부(33)와 맞물려진 상태에서 탈착요소로 탈착되게 형성됨을 특징을 하는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수용부(32)와 후방수용부(33)는 모서리가 만곡된 직사각형으로 되어 양측단에 탈착요소가 결합되는 결합부(34)가 형성되고 내측 중앙은 유동공간(31)이 형성되도록 길이변으로 내입되게 절개되면서 이면에 단턱부(35)가 형성되어 난방분배기(20)의 후렌지(24)가 상기 단턱부(35)에 위치되어 걸림되면서 보일러(100)의 위치에 따라서 난방분배기(20)가 유동공간을 통해 상,하로 유동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0)는 전면이 개방된 함체로 이루어져 양 외측벽 후면에 벽면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13)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경첩으로 절첩되는 뚜껑(12)이 형성된 덮개(11)이 결합요소로 밀폐되게 결합되어 커버(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난방분배기(20)를 보온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KR1020140064732A 2014-05-28 2014-05-28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KR101602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732A KR101602230B1 (ko) 2014-05-28 2014-05-28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732A KR101602230B1 (ko) 2014-05-28 2014-05-28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952A true KR20150136952A (ko) 2015-12-08
KR101602230B1 KR101602230B1 (ko) 2016-03-10

Family

ID=5487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732A KR101602230B1 (ko) 2014-05-28 2014-05-28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61Y1 (ko) * 2018-11-20 2020-06-02 엄세준 온수 분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475Y1 (ko) * 2003-03-19 2003-06-25 주식회사 원플라텍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KR100858694B1 (ko) * 2007-05-22 2008-09-17 주식회사 애강 급수용 매립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475Y1 (ko) * 2003-03-19 2003-06-25 주식회사 원플라텍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KR100858694B1 (ko) * 2007-05-22 2008-09-17 주식회사 애강 급수용 매립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230B1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7950B2 (en) Modular room heat exchange system with light unit
CN101978220B (zh) 室内供暖用的热水循环散热器
EP1840474A2 (en) Kit for solar water heating system
RU2541434C2 (ru) Внутренний блок кондиционера воздуха
CN203908004U (zh) 热泵热水器
JP2013113488A (ja) 熱交換器付設型貯湯装置
KR101602230B1 (ko)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WO2014084014A1 (ja) 流体制御装置
CN104930702A (zh) 热泵热水机
KR101739364B1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JP5812339B2 (ja) 燃焼装置
GB2426984A (en) Solar heating system comprising a heat transfer fluid flowing through bricks including apertures
JP5302230B2 (ja) 貯湯タンクユニット
KR101758012B1 (ko) 전기 온수기 겸용 온풍기
JP6653170B2 (ja) 給湯システム
KR20090074844A (ko) 난방과 온수 라인이 구별된 카본섬유 히터 보일러
EP2280229B1 (en) Space Heater
JP2013213618A (ja) 室外設置型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及びその配管接続金具用保温キャップ
JP2592408B2 (ja) 深夜用電力温水器
US11243011B2 (en) Heat emitting radiator
KR200461795Y1 (ko) 배관파이프 설치가 용이한 온수분배기
JP2010096364A (ja) 電気温水器
CN203771547U (zh) 迷你自立型散热器
KR20150047282A (ko) 보일러용 팽창탱크
CN205245332U (zh) 储水箱及具有其的燃气采暖热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