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990A -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 Google Patents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990A
KR20150135990A KR1020140063348A KR20140063348A KR20150135990A KR 20150135990 A KR20150135990 A KR 20150135990A KR 1020140063348 A KR1020140063348 A KR 1020140063348A KR 20140063348 A KR20140063348 A KR 20140063348A KR 20150135990 A KR20150135990 A KR 20150135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bolt
groove
nut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806B1 (ko
Inventor
석수애
Original Assignee
석수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수애 filed Critical 석수애
Priority to KR102014006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8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와;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나사산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너트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볼트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풀림방지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축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쐐기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풀림방지나사부는 하부가 상기 쐐기걸림홈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쐐기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볼트와 너트의 결합시에 풀림방지나사부의 쐐기가 볼트의 쐐기걸림홈이 걸림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풀림방지 볼트조립체{LOOSING PREVENTION BOLT ASSEMBLY}
본 발명은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가공이 용이하며 장기간 안정적인 풀림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볼트와 너트는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력을 유지하는 체결요소로서 오래전부터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볼트와 너트는 암나사와 수나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체결력이 유지되므로, 충격과 진동에 의해 쉽게 풀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후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연구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19896호에 볼트와 홈붙이 너트의 풀림방지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구조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홈붙이 너트와, 그 홈붙이 너트의 고정홈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고정발이 돌출 형성된 볼트를 포함한다. 이 구조는 볼트 끝단에 연장형성된 고정발의 가공이 어려우며, 체결 후 고정발을 일일이 절곡시켜주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9648호에 볼트 너트 풀림방지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볼트 너트 풀림방지 구조는 볼트와 너트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고정핀에 의해 동시에 결합된다. 이 경우, 볼트 내부에 고정핀이 삽입되는 홀이 가공되어야 하므로 가공이 번거롭고, 볼트 내부에 장공을 형성해야하므로 볼트 자체의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이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풀림방지 기능이 구현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체결물의 두께와 형상에 따라 다양한 결합각도로 호환되어 체결되며 풀림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쐐기와 쐐기걸림홈의 걸림결합에 의한 구속력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장기간 풀림방지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한 범위의 결합각도도 조절할 수 있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는,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와;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나사산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너트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볼트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풀림방지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축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쐐기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풀림방지나사부는 하부가 상기 쐐기걸림홈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쐐기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쐐기걸림홈을 형성하는 내벽면 중 상기 볼트와 너트가 풀려지는 방향으로 구비된 선단벽은 상기 볼트의 중심과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선단벽에 대향되는 타측벽은 상기 선단벽과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쐐기걸림홈의 상단에 연속되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제3나사산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쐐기걸림홈은 상기 볼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풀림방지나사부는, 상기 쐐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력을 상기 쐐기로 전달하며, 상기 제3나사산에 대응되는 제4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쐐기의 외부 이탈을 차단하는 나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사와 상기 쐐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가 상기 쐐기걸림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쐐기가 상기 쐐기걸림홈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쐐기걸림홈의 일측벽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가 삽입되는 각도가 조절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쐐기의 평단면형상은 다각형이며, 상기 쐐기걸림홈은 상기 쐐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평단면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는 볼트의 외주면에 쐐기걸림홈이 일정깊이 형성되고, 너트를 관통하여 쐐기가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쐐기걸림홈의 형상이 수직벽과 경사벽의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쐐기가 걸림결합되므로, 쐐기의 유입이 용이하고, 쐐기가 수직벽에 걸려 볼트와 너트의 풀림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쐐기걸림홈이 볼트의 원주면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다양한 두께의 피체결부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쐐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쐐기가 쐐기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장기간 신뢰성 있게 볼트와 너트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의 볼트와 너트로 풀림방지나사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가 피체결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사용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는 캡(120)이 구비된 앵커볼트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 외에도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피체결부재를 결합시키는 모든 종류의 볼트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는 볼트(110)와, 볼트(11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30)와, 너트(130)를 관통하여 볼트(110)에 걸림결합되어 볼트(110)와 너트(130)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나사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는 앵커볼트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므로, 볼트(110)에 결합되는 캡(120)을 더 포함한다.
볼트(110)는 캡(120)이 결합되며 피체결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볼트본체(111)와, 볼트본체(111)의 전단 외주면에 일정길이 형성되는 제1나사산(113)과, 제1나사산(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형성되는 쐐기걸림홈(115)을 포함한다.
볼트본체(111)는 캡(120)이 씌워진 상태에서 해머(미도시)와 같은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피체결부재(A)의 내부로 삽입된다. 볼트본체(111)의 후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여타 영역에 비해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가압부재의 가압시에 캡(120)이 확장되어 피체결부재(A)에 삽입 지지되도록 한다.
제1나사산(113)은 너트(130)의 제2나사산(133)과 서로 나사결합되어 볼트(110)와 너트(130)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1나사산(113)과 제2나사산(133)은 암나사산과 수나사산 중 어느 하나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는 제1나사산(113)이 수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제2나사산(133)은 암나사산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다.
쐐기걸림홈(115)은 제1나사산(113)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쐐기걸림홈(115)은 볼트(110)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된다. 쐐기걸림홈(115)은 풀림방지나사부(140)의 쐐기(141)가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도록 한다.
도 3은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걸림홈(115)은 제1나사산(113)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이 때, 쐐기걸림홈(115)의 단면형상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면방향에 있어서, 제1나사산(113)과 제2나사산(133)이 풀려지는 방향에 대해 쐐기걸림홈(115)을 형성하는 선단벽(115a)은 볼트(110)의 중심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1나사산(113)과 제2나나산(133)이 결합되는 방향의 후단벽(115b)은 선단벽(115a)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후단벽(115b)은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수직한 선닥벽(115a)과의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쐐기걸림홈(115)의 형상에 의해 쐐기(141)가 삽입될 때는 경사진 후단벽(115b)을 따라 안내되어 용이하게 하부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선단벽(115a)에 걸림결합되어 볼트(110)와 너트(130)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된다.
여기서, 쐐기걸림홈(115)의 깊이는 제1나사산(113) 보다 깊게 가공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볼트(110)의 내구성을 약화시키지 않는 범위내이어야 한다.
쐐기걸림홈(115)은 볼트(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체결부재(A)와 제2체결부재(B1) 및 제3체결부재(B2)를 결합시킬 때, 제2체결부재(B1) 및 제3체결부재(B2)의 개수와 두께에 따라 너트(130)가 볼트(110)에 결합되는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쐐기걸림홈(115)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됨에 따라 너트(130)의 다양한 결합위치에 대응되게 쐐기(141)가 삽입되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쐐기걸림홈(115)은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 60도 간격, 30도 간격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쐐기걸림홈(115)이 형성되는 각도 간격이 좁을수록 다양한 두께의 피체결부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가공시간이 길어지고 제1나사산(113)과 제2나사산(133)의 나사결합시 마찰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어 적절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130)는 볼트(110)에 나사결합되어 피체결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너트(130)는 너트본체(131)와, 너트본체(13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133)과, 너트본체(13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풀림방지나사부(140)가 삽입되는 결합홈(135)을 포함한다.
결합홈(13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본체(131)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형성되어 제2나사산(133)까지 이어진다. 결합홈(135)은 볼트(110)의 쐐기걸림홈(115)에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결합홈(135)은 선단벽(115a)에 수직하게 일측벽이 형성되고, 후단벽(115b)에 연장되게 경사면(135a)이 형성된다.
동축상에 배치되었을 때 결합홈(135)과 쐐기걸림홈(115)은 하나의 연속된 홈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쐐기(141)가 경사면(135a)과 후단벽(115b)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결합홈(135)의 상부에는 제3나사산(135b)이 형성된다. 제3나사산(135b)은 풀림방지나사부(140)의 나사머리(143a)에 형성된 제4나사산(143b)과 나사결합된다. 제3나사산(135b)과 제4나사산(143b)이 나사결합되며 나사(143)가 결합홈(135)의 상부에 위치가 고정된다.
풀림방지나사부(140)는 너트(130)를 통해 삽입되어 볼트(110)에 걸림결합되어 볼트(110)와 너트(130)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풀림방지나사부(140)는 쐐기걸림홈(115)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는 쐐기(141)와, 쐐기(141)가 쐐기걸림홈(115)에 걸림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45)와, 탄성부재(145)를 가압하는 나사(143)를 포함한다.
쐐기(141)는 결합홈(135)을 통해 쐐기걸림홈(115)에 삽입된다. 쐐기(141)는 하부의 일정길이(a)가 쐐기걸림홈(115)에 수용되고, 나머지 길이(b)가 결합홈(135)에 수용된다. 이 때, 쐐기걸림홈(115)에 수용되는 볼트삽입단(141a)은 결합홈(135)에 수용되는 너트삽입단(141b)에 비해 경사각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카로운 볼트삽입단(141a)가 쐐기걸림홈(11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너트(130)가 회전하며 볼트(110)와 결합되는 상태, 즉 결합홈(135)과 쐐기걸림홈(115)이 동축상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 쐐기(141)가 삽입될 때, 날카로운 볼트삽입단(141a)이 쐐기걸림홈(115)에 삽입되며 쐐기걸림홈(115)과 결합홈(135)의 축방향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쐐기(141)는 결합홈(135)과 쐐기걸림홈(115)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결합홈(135)과 쐐기걸림홈(115)에 억지끼워맞춤 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볼트(110)와 너트(130)에 쐐기(141)가 한번 삽입되면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쐐기(141)는 내구성을 갖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143)는 너트(130)의 제3나사산(135b)에 나사결합되어 탄성부재(145)를 가압한다. 나사(143)는 드라이버(미도시) 등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머리(143a)와, 나사머리(143a)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4나사산(143b)을 포함한다. 제4나사산(143b)은 제3나사산(135b)과 나사결합된다.
탄성부재(145)는 나사(143)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며 쐐기(141)가 쐐기걸림홈(115)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E)을 작용한다. 탄성부재(145)가 인가하는 탄성력(E)에 의해 쐐기(141)는 쐐기걸림홈(115)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캡(120)이 결합된 볼트본체(111)를 해머 등의 가압부재(미도시)를 이용해 제1피체결부재(A)와 제2피체결부재(B1) 및 제3피체결부재(B2)를 관통하여 삽입한다. 외부로 노출된 제1나사산(113)에 너트(130)를 결합시킨다. 너트(130)를 회전시켜 제2피체결부재(B2)와 접촉되게 배치시킨다.
이 때, 쇄기(141), 탄성부재(145) 및 나사(143)가 너트(130)의 결합홈(135)에 체결된 후에 너트(130)가 볼트(110)에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너트(130)가 볼트(110)에 체결된 후에 쐐기(141), 탄성부재(145) 및 나사(143)가 너트(130)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너트(130)의 결합홈(135)에 삽입 및 체결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너트(130)의 결합홈(135)으로 쐐기(141)를 삽입한다. 쐐기(141)는 결합홈(135)의 경사면(135a)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고, 볼트(110)의 쐐기걸림홈(115)으로 볼트삽입단(141a)이 삽입된다.
탄성부재(145)를 쐐기(141)의 상부에 배치하고, 작업자가 나사(143)를 결합홈(135)에 나사결합시킨다. 나사(143)의 제3나사산(135b)과 결합홈(135)의 제4나사산(143b)이 나사결합됨에 따라 탄성부재(145)가 점차 압축되며 하부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쐐기(141)는 점차 하부로 더 가압되어 이동되고 결합홈(135)과 쐐기걸림홈(115)에 끼워맞춤된다.
이 때, 쐐기걸림홈(115)은 볼트(110)와 너트(130)가 풀리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선단벽(115a)이 형성되므로 외력에 의해 볼트(110)와 너트(130)가 풀리려고 할 때, 쐐기(141)가 쐐기걸림홈(115)에 걸림지지되어 회전이 차단된다. 따라서, 볼트(110)와 너트(130)의 풀림이 방지되고, 구속력이 안정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a)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는 쐐기걸림홈(115)의 선단벽(115a)이 수직하게 형성되었다. 이 경우 쐐기걸림홈(115)과 결합홈(135)이 동축상으로 배치되었을 때, 쐐기걸림홈(115)과 결합홈(135)의 형상이 서로 연장되게 일치해야만 쐐기(141)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피체결부재의 두께에 의해 쐐기걸림홈(115)과 결합홈(135)이 동축상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쐐기(141)를 삽입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a)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쐐기걸림홈(115)의 선단벽(116)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선단벽(116)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일정간격(d) 만큼 점차 넓어지게 계단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141)가 삽입되는 위치가 다단구조에 맞게 좌우로 일정각도 쉬프트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쐐기(141)의 결합위치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될수록 쐐기(141)가 점차적으로 깊게 볼트에 삽입된다. 이 때, 탄성부재(145)가 나사(143)에 의해 가압되는 정도가 커지므로 탄성부재(145)의 압축한계 길이를 고려하여 선단벽(116)의 단차 개수와 폭(d)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바람직한 실시예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에 비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a)가 보다 더 다양한 두께의 피체결부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결합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들에서 쐐기는 평단면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었다. 쐐기의 평단면형상이 원형일 경우 가공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삽입후 결합홈 내부에서 쐐기의 자전이 가능하다. 즉, 쐐기의 자전에 의해 너트가 볼트로부터 풀릴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쐐기의 평단면형상을 삼각형,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는 볼트의 외주면에 쐐기걸림홈이 일정깊이 형성되고, 너트를 관통하여 쐐기가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쐐기걸림홈의 형상이 수직벽과 경사벽의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쐐기가 걸림결합되므로, 볼트와 너트의 풀림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쐐기걸림홈이 볼트의 원주면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다양한 두께의 피체결부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쐐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쐐기가 쐐기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장기간 신뢰성있게 볼트와 너트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110 : 볼트
111 : 볼트본체 113 : 제1나사산
115 : 쐐기걸림홈 115a: 선단벽
115b : 후단벽 120 : 캡
130 : 너트 131 : 너트본체
133 : 제2나사산 135 : 결합홈
135a : 경사면 135b : 제3나사산
140 : 풀림방지나사부 141 : 쐐기
141a : 볼트삽입단 141b : 너트삽입단
143 : 나사 143a : 나사머리
143b : 제4나사산 145 : 탄성부재

Claims (7)

  1.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와;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나사산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너트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볼트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풀림방지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축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쐐기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풀림방지나사부는 하부가 상기 쐐기걸림홈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쐐기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걸림홈을 형성하는 내벽면 중 상기 볼트와 너트가 풀려지는 방향으로 구비된 선단벽은 상기 볼트의 중심과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선단벽에 대향되는 타측벽은 상기 선단벽과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쐐기걸림홈의 상단에 연속되게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제3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걸림홈은 상기 볼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나사부는,
    상기 쐐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력을 상기 쐐기로 전달하며, 상기 제3나사산에 대응되는 제4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쐐기의 외부 이탈을 차단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와 상기 쐐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가 상기 쐐기걸림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쐐기가 상기 쐐기걸림홈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걸림홈의 일측벽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쐐기가 삽입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의 평면형상은 사각형이며, 상기 쐐기걸림홈은 상기 쐐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KR1020140063348A 2014-05-26 2014-05-26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KR101602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48A KR101602806B1 (ko) 2014-05-26 2014-05-26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348A KR101602806B1 (ko) 2014-05-26 2014-05-26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90A true KR20150135990A (ko) 2015-12-04
KR101602806B1 KR101602806B1 (ko) 2016-03-11

Family

ID=5486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348A KR101602806B1 (ko) 2014-05-26 2014-05-26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8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4215B2 (en) 2016-02-24 2018-06-26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anti-loosening handle
KR101973762B1 (ko) * 2018-11-06 2019-04-30 (주)신영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CN109774883A (zh) * 2019-03-06 2019-05-21 浙江同博科技发展有限公司 船载通信终端底座防拆、防松结构
CN110098586A (zh) * 2019-05-17 2019-08-06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输电线路xgu型线夹挂板与船体的连接结构及使用方法
CN115008709A (zh) * 2022-06-06 2022-09-06 嘉善子凡展示道具有限公司 一种塑料制品生产设备用加热结构
KR102444220B1 (ko) * 2021-11-02 2022-09-19 주식회사 지스 연료전지 스택용 풀림방지 체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565U (ja) * 1991-12-26 1993-07-20 東京シート株式会社 シートにおける玉縁の端末部構造
KR20040078783A (ko) * 2003-03-05 2004-09-13 최종걸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체결장치
KR20100094186A (ko) * 2009-02-18 2010-08-26 동양기전 주식회사 피스톤 너트의 풀림 방지 구조가 개선된 유압 실린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565U (ja) * 1991-12-26 1993-07-20 東京シート株式会社 シートにおける玉縁の端末部構造
KR20040078783A (ko) * 2003-03-05 2004-09-13 최종걸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체결장치
KR20100094186A (ko) * 2009-02-18 2010-08-26 동양기전 주식회사 피스톤 너트의 풀림 방지 구조가 개선된 유압 실린더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4215B2 (en) 2016-02-24 2018-06-26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anti-loosening handle
KR101973762B1 (ko) * 2018-11-06 2019-04-30 (주)신영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의 누전방지용 접속구조
CN109774883A (zh) * 2019-03-06 2019-05-21 浙江同博科技发展有限公司 船载通信终端底座防拆、防松结构
CN109774883B (zh) * 2019-03-06 2023-09-08 浙江同博科技发展有限公司 船载通信终端底座防拆、防松结构
CN110098586A (zh) * 2019-05-17 2019-08-06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输电线路xgu型线夹挂板与船体的连接结构及使用方法
KR102444220B1 (ko) * 2021-11-02 2022-09-19 주식회사 지스 연료전지 스택용 풀림방지 체결구
CN115008709A (zh) * 2022-06-06 2022-09-06 嘉善子凡展示道具有限公司 一种塑料制品生产设备用加热结构
CN115008709B (zh) * 2022-06-06 2023-11-24 祁阳碧锦塑胶有限公司 一种塑料制品生产设备用加热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806B1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806B1 (ko)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KR101625007B1 (ko)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US4116573A (en) Fastening
US7226261B1 (en) Toggle assembly
US10066654B2 (en) Fastening arrangement
WO2015118702A1 (ja) 緩み止め機能を備えたボルト
CN110869622A (zh) 安装件
NL8600135A (nl) Bevestigingsorgaan.
US10273995B2 (en) Tarp connector
US20160160906A1 (en) Swivel hanger
KR100897721B1 (ko) 패널용 앵커볼트 및 그 설치방법
CN107956776B (zh) 安装系统和方法
JP2019078405A (ja) 係合インジケータを備えたファスナー
KR20120035976A (ko) 석재 고정용 셋트앵커
KR200467577Y1 (ko) 가구용 조립구
US10132347B2 (en) Swivel hanger system
DE2701871A1 (de) Verbindungsbeschlag fuer moebelkorpusteile
KR101966705B1 (ko) 가림판 장착용 싱크대 다리
US11566656B2 (en) Fastener with retention element
WO2015162975A1 (ja) アンカーボルト
JP5696834B2 (ja) 共回り防止機能付拡張アンカー
KR20190000657U (ko) 스프링 볼트
KR101355651B1 (ko) 가구용 받침다리
KR101174387B1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트러스바에 사용되는 티볼트
US11905987B2 (en) Securi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