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870A - Method for constructing for guardrail and two stage piling chisel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structing for guardrail and two stage piling chi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870A
KR20150135870A KR1020140062978A KR20140062978A KR20150135870A KR 20150135870 A KR20150135870 A KR 20150135870A KR 1020140062978 A KR1020140062978 A KR 1020140062978A KR 20140062978 A KR20140062978 A KR 20140062978A KR 20150135870 A KR20150135870 A KR 20150135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supporting force
bar
reinforc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엘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엘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엘개발
Priority to KR1020140062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5870A/en
Publication of KR20150135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87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84Installing; Repairing; Adj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rail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ing a support force of a guardrail by two-stage piling and a two-stage piling chisel, wherein the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ing a support force of a guardrail by two-stage piling is to reinforce the support force of the guardrail installed on a slope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construct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on the outside of a post to reinforce a boundary part on the ground surface in the guardrail post. Moreover,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protrudes from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length, so the post on the ground is reinforced. Also, an area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is installed by being fixed to the ground so that the support force is reinforced by the ground. Also, damage to the guardrail is reduced so the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ing a support force of a guardrail by two-stage piling prevents a vehicle from escaping from a road. The two-stage piling chisel (50) hits the post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to combin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to the post for the guardrail. The two-stage piling chisel (50) includes: a center post piling unit (53) parallel to the top of the inner center part; a circular lower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piling unit (52) installed at the edge in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post piling unit (53); a pipe-shaped post reinforcing bar spacer pipe (54) connecting the lower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piling unit (52) on the lower side and the center post piling unit (53) on the upper side; and a piling device connection unit (51) wherein one side of a piling device is connected to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Description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및 이단차동시항타정{METHOD FOR CONSTRUCTING FOR GUARDRAIL AND TWO STAGE PILING CHISEL}{METHOD FOR CONSTRUCTION FOR GUARDIRE AND TWO STAGE PILING CHISEL}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면에 시설되는 가드레일에 대해 지면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이며, 가드레일 지주에 대해 지상면과 지반의 경계 부분에 대한 보강을 위해서 지주 외부로 지상지지력보강대가 더 부가되도록 시공하는 것으로, 지상지지력보강대가 소정 길이만큼 지상으로 돌출되어 지상의 지주를 보강하고, 또한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소정 길이만큼의 영역은 지반 내에 고정되어 시설됨으로써 지반에 의한 지지력을 보강하고, 가드레일의 손상을 줄여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및 이단차동시항타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rail, more particularly, to a guardrail provided on an inclined plane to reinforce a supporting force against a ground, and to reinforce the boundary between the ground plane and the ground with respect to the guardrail strut,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is projected 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reinforce the ground support, and the area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is fixed within the ground for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by the ground And to prevent the vehicle from falling off the road by reducing the damage of the guard rail.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wo-stage cargo rails,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시설되는 것으로, 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도로의 경계를 알게 하고 운전을 안전하게 안내하여 안전운전 및 안전도보가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단순히 도로의 경계만 알릴 뿐만 아니라, 차량의 운전이상으로 인하여 차량이 도로를 벗어나려는 것을 가드레일이 막아줌으로써, 차량의 전복사고를 방지하기도 한다.Generally, the guard rail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road, so that the driver and the pedestrian using the road know the boundaries of the road and guide the driving safely, so that the safe driving and the safety walk are performed. Especially, it not only informs the boundaries of the road but also prevents the vehicle from falling off because of the driving abnormality of the vehicle.

이를 위해 대부분의 가드레일 부재들은 다수의 시험을 통하여 차량의 추돌시에도 안전성이 확보되는지 확인한 후에라야 도로 가장자리에 시설될 수 있다. 이에 대부분의 가드레일에 대한 시험이 평지면에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해서 시험을 하게 된다. 이에 평지면이라고 하면, 가드레일 지주로부터 도로의 외측 방향으로 평평한 면이 60cm 이상 확보된 도로를 지칭하게 된다. 이와 같은 평지면에서는 지반에 삽입된 지주가 견고하게 지반에 삽입된 상태를 갖기 때문에 지반으로부터 지지력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것이다.For this purpose, most of the guardrail members can b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road only after confirming that safety is ensured even when the vehicle is collided through a plurality of tests. Most of the tests on the guard rails are performed on the guard rails provided on the ground. The flat surface refers to a road which has a flat surface of 60 cm or more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road from the guard rail support. In such a flat surface, since the pillar inserted in the ground is firmly inserted into the ground, it can sufficiently receive the supporting force from the ground.

다수의 지주에 걸쳐 띠 형상으로 가드레일바가 연결되기 때문에, 지반으로부터 견고한 지지력을 받는 다수의 지주에 의해 가드레일에 추돌되는 차량을 도로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하여 차량운행의 안전을 보장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도로는 가드레일이 시설된 곳으로부터 평지면을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에, 대부분 시행되었던 가드레일에 대한 안전성 시험을 극복하지 못하게 된다.Since the guard rail bars are connected in a strip shape over a plurality of struts, a vehicle collided with the guard rail is prevented from coming off the road by a plurality of struts receiving a strong supporting force from the ground, thereby assuring safety of vehicle operation. However, since most roads do not have a flat surface from where the guardrail is installed, most of the roads will not be able to overcome the safety tests for the guardrail that has been implemented.

즉 현실적인 가드레일 시설상황은, 대부분 경사면에 시설되기 때문에, 평지면에서 추돌 시험에 합격한 가드레일 및 가드레일 시공상태라 하여도, 막상 현실적인 경사면에서의 차량추돌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하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guard rail facility is provided on the inclined plane, even if the guard rail and the guard rail that pass the collision test on the flat surface are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secure safety against collision on a realistic slope .

특히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지주의 형태를 변형시켜 가드레일을 시공하나, 신설로 이루어진 도로의 시공에서는 새로 보강된 형태의 지주 또는 가드레일을 시설할 수 있지만, 기존 경사면에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해서는 새로운 지주를 그대로 적용하기는 곤란한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road,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newly reinforced type of guard or guard rail, but in the case of a guard rail provided on the existing slope, There is a real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as it is.

즉 기존의 가드레일을 뽑아내고 새로운 가드레일을 시공하는데 시공기일도 오래 걸리고, 타공장비에 더하여 많은 인력이 소요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시설되어 있던 가드레일 및 지주 등을 그대로 다 폐기함으로써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That is, it takes a long time to construct a new guard rail by pulling out the existing guard rail, and it requires a lot of manpower in addition to the percussion equip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ispose of the guard rail and the pillar There is also a problem of waste.

일부 가드레일에서 지주를 교체하지 않고 보강하는 기술이 선보이기는 하지만, 이들도 단지 도로의 경계석이나 측구 등에 연결하는 방식이 제안될 뿐이고, 이처럼 경계석이나 측구에 연결하게 되면, 경계석이나 측구를 훼손해야만 하기 때문에 오히려 도로의 시설물을 일부 파괴하는 과정이어서 도로 운행의 안전성을 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도로시설물을 파괴하면서 까지 보수하는 기술은 현실적으로 각종 규제로 적용받는 도로의 현실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한 무의미한 기술에 해당되는 문제점이 있다.Although some guardrails offer techniques to reinforce the landings without replacing the landings, they are merely proposed to connect to the roadway gutters or to the gutters, and if you connect to the gutters or gutters, you must damage the gutters or gutters Therefore, it is rather a process of destroying part of the facilities of the road,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safety of road operation.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chnique of repairing such road facilities until they are destroyed corresponds to the meaningless technology which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reality of the road which is practically applied to various regulations.

나아가 일부 보강 방법으로 지상으로 나온 지주에 여러 받침대를 부착하는 방법이 제안되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시설될 경우 가드레일의 심미감을 훼손하여 또한 가드레일 지주와 다수의 받침대를 연결해야 하는 등 아주 복잡한 과정이 수행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타격과 같이 단순한 과정으로 지주 및 가드레일을 보강할 수 있는 기술의 제안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이다.In addition, some methods of attaching various pedestals to the ground by the reinforcement method have been proposed. However, if the pedestal is installed by this method,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guard rail to the pedestals by damaging the aesthetics of the guard rail, There is a discomfort to be performed. 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propose a technique that can reinforce the support and the guard rail by a simple process such as hitting.

아울러 지주 및 가드레일에 차량이 추돌될 경우 차량의 추돌에 의한 힘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는 충격력이 작용하면 지주 및 가드레일이 어느 정도 휘어지는 파손만 발생한다. 반면 대형차량에 무거운 하중의 화물을 싣고 주행하다 추돌된 경우에는 추돌의 힘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지주 및 가드레일이 심하게 파손될 수 있고 이런 정도의 파손의 경우에는 일부 가드레일바가 끊어지거나 지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지주의 경우에도 지면과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서 절단되거나 절곡되는 등, 결국 차량이 지주 및 가드레일바를 넘어 도로를 이탈하여 추락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지주에 대해서 지상면의 경계 부분에서의 보강방법이 요구되고, 가드레일바의 경우에도 추돌시에도 쉽게 훼손되지 않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upport and guard rails, when the impact force that can overcome the collision force by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o some extent is applied, only the collapse of the support and guard rails occurs. 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vehicle is loaded with heavy cargoes and collided with the vehicle, the collision force of the collision can be severely damaged and the guardrail and guardrail may be severely damaged. In case of such damage, some guardrail bars may be broken or separated from the support have. Even in the case of the landlord, the vehicle may be cut or bent at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ground and the ground, and eventually the vehicle may fall off the road beyond the landing and guardrail bars and fall down. Therefore, a reinforcement method at the boundary of the ground surface is required for the strut, and a method which is not easily damaged even in the case of the guard rail bar or the collision is desperately required.

실용신안출원 제20-2003-0001906호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3-0001906 실용신안출원 제20-2006-0009544호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6-0009544 실용신안출원 제20-2010-0009362호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10-0009362 실용신안출원 제20-2010-0009825호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10-000982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사면에 시설되는 가드레일에 대해 지면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가드레일 지주에 대해 지상면과 지반의 경계 부분에 대한 보강을 위해서 지주 외부로 지상지지력보강대가 더 부가된 것으로, 지상지지력보강대가 소정 길이만큼 지상으로 돌출되어 지상의 지주를 보강하고, 또한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소정 길이만큼의 영역은 지반 내에 고정되어 시설됨으로써 지반에 의한 지지력을 충분히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reinforce the support force of the guard rail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against the grou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is added to the outside of the strut to reinforce the boundary between the ground surface and the ground with respect to the guard rail strut. The ground supporting strut reinforcing bar is protruded 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reinforce the ground support, The area of the reinforcing bar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ixed in the ground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by the ground can be sufficiently reinforced.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 외부로 결합되는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규격의 제품으로부터 인발한 인발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감쇠하면서도 지주에 대한 지상지지력보강대에 의한 보강이 월등하도록 마련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by applying the drawing pipe drawn from the product of the standard to the support forc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And the reinforcement by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is superior.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주 외부로 결합되는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상부로 보강대실링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로 이물질이나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로 타격되는 외부의 충돌력을 보강대실링수단에서 완충하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for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foreign matter or rainwater between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by providing the reinforcing member sealing mean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membe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And the external impact force is buffered by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를 하나의 이단차동시항타정으로 함께 동시에 항타함으로써 시설 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 동시에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를 설치함으로서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않고 시공되어 시공시 틀어짐이나 변형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동시에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가 시설됨에 의해 전체 가드레일의 안정성이 더욱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a facility by simultaneously and simultaneously mounting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brace together by a single two-stage differential test while simultaneously installing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brace, So that there is no risk of deformation or deformation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erefore, at the same time, the stability of the entire guardrail is improved by the provision of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반에 고정된 지주 및 지주에 결합된 가드레일바를 포함한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지주 일측을 내부에 포함하고 지반에 일부가 삽입되어 가드레일의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상지지력보강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상지지력보강대는: 저부가 지반에 삽입되어 매입되는 지반삽입영역; 및 상부가 지반에서 상향의 지상으로 돌출되는 지상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돌출형 지상지지력보강대가 구비된 가드레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uardrail including a guardrail bar coupled to a pillar and a pillar fixed to a ground, the guardrail including a pillar of the pillar and having a part thereof inserted into the grou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for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wherein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comprises: a ground insertion area in which a bottom portion is inserted and buried in the ground; And a top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ground to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ardrail provided with a ground protruding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지상지지력보강대는, 외경이 145mm 내지 155mm이고, 두께가 4mm 내지 5mm로 이루어지며, 지상으로 400mm 내지 500mm로 돌출되고, 상기 지주는 지상으로 650mm 내지 750mm로 돌출되고, 상기 지주에 가드레일바와 전면보강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돌출형 지상지지력보강대가 구비된 가드레일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has an outer diameter of 145 mm to 155 mm, a thickness of 4 mm to 5 mm, protruding from the ground to 400 mm to 500 mm, And a guard rail and a front reinforcing bar are coupled to the strut.

본 발명의 실시예로, 지반에 고정된 가드레일용 지주와 지주보다 큰 지름의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에 위치되는 보강대실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강대실링수단은 일측이 지주 외면에 접하고 타측이 지상지지력보강대 외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보강대실링수단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pport structure for a guard rail, comprising: a support for a guardrail fixed to a ground; and a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positioned between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upport, wherein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has,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for the guard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보강대실링수단은: 지주의 외면을 감싸는 지주커버부;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보강대커버부; 보강대실링수단의 몸체를 이루며 지주커버부와 보강대커버부가 상측과 하측에 연결되는 실링몸체; 및 실링몸체 내부 아래로 연장되어 지주 외면과 지상지지력보강대 내면 사이의 지주-보강대틈새에 삽입되어 기밀을 형성하는 실링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용 보강대실링수단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comprises: a columnar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 reinforcing bar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A sealing body that forms a body of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cover portion and the reinforcing bar cover portion; And a sealing insert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sealing body and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to form airtightness.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드레일용 지주에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는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에 있어서, 가드레일의 지주에서 가드레일바를 분리하는 가드레일바분리단계; 지상지지력보강대의 내부로 지주가 삽입되게 지주에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고 지면위로 지상지지력보강대가 위치되는 지상지지력보강대결합단계; 지상지지력보강대 하부를 지반에 삽입시키기 위한 이단차동시항타정을 지상지지력보강대에 위치시키는 항타준비단계; 이단차동시항타정에 의한 타격으로 지상지지력보강대 하부가 지반으로 삽입되는 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단계;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저부가 지반에 삽입되고 상부가 지상으로 소정 높이만큼 노출된 상태에서 이단차동시항타정을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로부터 분리시키는 항타완료단계;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저부가 지반에 삽입되고 상부가 지상으로 소정 높이만큼 노출된 상태에서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상부와 지주 외면을 감싸는 보강실링수단을 결합하는 보강실링수단결합단계; 및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상측 지주에 가드레일바 및 전면보강바를 결합시키는 지상지지력보강시공완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inforcing and supporting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for coupling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to a guardrail support, the method comprising: a guardrail bar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a guardrail bar from a pillar of a guardrail; Joining a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bar with a ground support force brace on the ground and a ground support force brace on the ground so that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ground support brace; A ground support force stage for inserting the bottom of the reinforced concrete bridge into the ground; Ground supporting force due to striking by two - stage differential pressure test Ground supporting force low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 step of completing a hitching operation in which a bottom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the upper portion is exposed 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two-stage differential driving force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and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A reinforcing sealing means joi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for en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in a state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the upper portion is exposed 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and constructing step of joining the guard rail bar and the front reinforcing bar to the upper support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드레일용 지주에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는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에 있어서, 가드레일 시공위치에 가드레일용 지주(13)를 위치시키는 지주준비단계(S10); 가드레일 시공위치에 지주(13)의 지지력보강을 위한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위치시키는 지상지지력보강대준비단계(S20);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내부로 지주(13)를 삽입시키고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시설위치에 위치시키는 지주지지력보강대위치단계(S30); 길이가 짧은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로 길이가 긴 지주(13)의 상측이 돌출되고,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저부가 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주(13)의 상부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위치시키는 이단차동시항타정위치단계(S40); 이단차동시항타정(50)과 결합된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이 지주(13)의 상부를 타격하여 지주(13)의 하측이 지반으로 삽입되는 지주항타단계(S50);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이 지주(13)를 타격하여 이단차동시항타정(50)의 아래부분에 길이가 짧은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가 접한 상태에서,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지주(13)와 함께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를 이단차동시항타정(50)에 의한 타격으로 지주(13)와 함께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하측이 지반으로 삽입되는 이단차동시항타단계(S60);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소정 깊이만큼 지반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로부터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제거하는 이단차동시항타완료단계(S70);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저부가 지반에 삽입되고 상부가 지상으로 소정 높이만큼 노출된 상태에서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와 지주(13) 외면을 감싸는 보강실링수단(30)을 결합하는 보강실링수단결합단계(S80);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측 지주(13)에 가드레일바(11)를 결합시키는 이단차항타지상지지력보강시공완료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of reinforcing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for coupling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to a guardrail support, comprising the steps of: (S10) placing a guardrail support (13) at a guardrail installation position; A ground supporting force augmenting step preparing step (S20) of placing a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rod 20 for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olumn 13 at a guard rail mounting position; A strut supporting force ridge position step (S30) for inserting a strut (13) into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positioning the stru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t a facility position; The upper side of the long strut 13 is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having a short length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tru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re positioned on the ground. A second-stage differential-driving-and-tabletting position step S40 for positioning the differential-driving differential gear 50 on the upper side; A step S50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trut 13 is inserted into the ground by strik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t 13 by the operation of the hitching device coupled with the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ablet 50;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end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two-stage differential porting tablet 50 by striking the supporting column 13 by the operation of the pivoting device, The low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long with the supporting column 13 by the impact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test plate 50 at the upper end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together with the column 13, Hoeing step S60; Stage simultaneous hitching completion step (step (c)) for removing the two-stage differential pressure test fixture 50 from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2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20 are inserted in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epth S70); A reinforcing sealing unit 30 which joins an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which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13 in a state where the bottom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Combining means (S80); And a step (S90) of reinforcing and supporting the above-mentioned carterlike supporting force for coupling the guard rail bar (11) to the upper support (13)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이단차동시항타단계(S60)에 있어서, 지주(13)의 상부는 이단차동시항타정(50)의 중앙 안쪽 상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중앙지주항타부(53)와 접하고, 지주(13) 외측을 감싸는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는 이단차동시항타정(50)의 아래 가장자리에 구비된 원형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와 접한 상태에서,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이단차동시항타(50)의 중앙지주항타부(53)에 의해 지주(13) 상부를 타격하고, 이보다 낮은 높이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해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를 동시에 타격하며,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높은 위치의 중앙지주항타부(53) 및 낮은 높이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한 이단차로 이루어져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동시에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t 13 is in contact with a central-landing main portion 53 formed flat on the upper center inside of the two-stage differential-driving tab 50,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olumn 13 is in contact with the round bottom lower floor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column 50,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s simultaneously struck by the lower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which is lower in height than the lower portion by the central landing pin portion 53 of the two- And the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ablet 50 is composed of a two-stage car made of a high-center-point main-spoke tip 53 and a low-height bottom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ridge 52 to support the stru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rack 20 A double-ended car featuring striking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sihang other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지주(13)는, 지상으로 650mm 내지 750mm로 돌출되고, 상기 지상지지력보강대(20)는, 외경이 145mm 내지 155mm이고, 두께가 4mm 내지 5mm로 이루어지며, 지상으로 400mm 내지 500mm로 돌출되고, 상기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상측의 중앙지주항타부(53)와 하측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 사이를 이어주는 파이프 형상의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를 포함하고,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의 내부 길이는 200mm 내지 300mm로 이루어지며, 지주(13)의 외경과 지상지지력보강대(20) 내경 사이의 틈새간격(d)은 1.5mm 내지 2.5m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을 제공한다.The ground support projecting bar 20 has an outer diameter of 145 mm to 155 mm and a thickness of 4 mm to 5 mm and is provided on the ground And the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 50 has a pipe support rib spacing pipe 54 for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center central inlet port 53 and the lower lower ground support force holding portion 52, And the gap d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ut 13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ground support biasing base 20 is 1.5 mm to 2.5 mm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 rib spacing pipe 54 is 200 mm to 300 m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two-end car simultaneous hanger guard rail.

본 발명의 실시예로, 지반에 고정된 지주 및 지주에 결합된 가드레일바를 포함한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지주 일측을 내부에 포함하고 지반에 일부가 삽입되어 가드레일의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상지지력보강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상지지력보강대는: 저부가 지반에 삽입되어 매입되는 지반삽입영역; 및 상부가 지반에서 상향의 지상으로 돌출되는 지상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는 이단차동시항타정에 의한 동시 타격으로 지반에 삽입되어 시설되며, 상기 지주 상부와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상부는 200mm 내지 300mm 간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돌출형 지상지지력보강대가 구비된 가드레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uardrail including a guardrail bar coupled to a pillar and a pillar fixed to the ground, the pillar including a side of the pillar and partially inserted into the ground to reinforce a supporting force of the guardrail against the grou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is provided,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comprises: a ground insertion region in which a bottom portion is inserted and embedded in the ground; And a top portion of the top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ground, wherein the bottom portion and the top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are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round by a simultaneous strike by the double- Wherein the guard rail is provided with a ground protruding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spaced from 200 mm to 300 mm.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드레일용 지주에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기 위해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구비하고, 상기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중앙 안쪽 상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중앙지주항타부(53); 중앙지주항타부(53)에 대해서 아래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원형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 상측의 중앙지주항타부(53)와 하측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 사이를 이어주는 파이프 형상의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 및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항타장비 일측이 결합되는 항타장비결합부(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용 이단차동시항타정을 제공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 50 for striking a support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 straint for engaging a ground support force re- straint to a guardrail support, A center-pipe main portion 53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lower bottom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provided at the lower edg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land counterpart 53; A pipe-shaped support rib spacing pipe 54 for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center-portion main-pipe portion 53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portion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on the lower side; And a hammering device coupling portion (51) to which one side of the hammering device is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로, 높은 위치의 중앙지주항타부(53) 및 낮은 높이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한 이단차로 이루어져, 지주(13)를 높은 위치의 중앙지주항타부(53)에 의한 타격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한 타격을 통해 동시에 항타작동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용 이단차동시항타정을 제공한다.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two-stage car made of a high-center-point main-spoke tip 53 and a low-height bottom-ground sup- porting reinforcing tip 52. The spindle 13 is supported on the center- And the hitting by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hitting by the lower floor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52. The two-way car simultaneous hanger guard rail reinforcing supporting two- .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의 내부 길이는 200mm 내지 300m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용 이단차동시항타정을 제공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length of the support rib spacing pipe 54 is 200 mm to 300 mm.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경사면에 시설되는 가드레일에 대해 지면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excellent effect of reinforcing the support force against the ground on the guard rail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특히 본 발명의 효과로써, 가드레일 지주에 대해 지상면과 지반의 경계 부분에 대한 보강을 위해서 지주 외부로 지상지지력보강대가 더 부가된 것으로, 지상지지력보강대가 소정 길이만큼 지상으로 돌출되어 지상의 지주를 보강하고, 또한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소정 길이만큼의 영역은 지반 내에 고정되어 시설됨으로써 지반에 의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것이다.Particularly, with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is further added to the outside of the strut to reinforce the boundary between the ground surface and the ground with respect to the guard rail strut.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is protruded 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reg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is fixed in the ground so as to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by the ground.

그리하여 가드레일의 손상을 줄여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by reducing the damage to the guard rail and preventing the vehicle from leaving the road.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지주 외부로 결합되는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규격의 제품으로부터 인발한 인발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감쇠하면서도 지주에 대한 지상지지력보강대에 의한 보강이 월등하도록 마련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by applying the drawing pipe drawn from the standard product to the support forc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And the reinforcement by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is superior.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지주 외부로 결합되는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상부로 보강대실링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로 이물질이나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로 타격되는 외부의 충돌력을 보강대실링수단에서 완충하도록 하는 것이다.Further,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illar, thereby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foreign matter or rainwater between the pillar and the ground supporting strength reinforcement, And the external impact force is buffered by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아울러 보강대실링수단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시설 조건에 따라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의 간극이 정원을 이루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보강대실링수단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 과정에서도 형태를 어느 정도 변형시키면서 결합할 수 있어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t is possible to easily join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even if the gap between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brace is not sufficient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the facilit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rry out the work.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를 하나의 이단차동시항타정으로 함께 동시에 항타함으로써 시설 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 동시에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를 설치함으로서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지않고 시공되어 시공시 틀어짐이나 변형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동시에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가 시설됨에 의해 전체 가드레일의 안정성이 더욱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Particularly,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facility operation by simultaneously mounting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with one double-step differential driving, and at the same time installing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So that there is no risk of deformation or deformation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erefore, at the same time, the stability of the entire guardrail is improved by the provision of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에서 일측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전체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에서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에 대한 결합관계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가 지반에 삽입되어 시설된 상태의 시설예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해 정면에서의 시설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 중에서 가드레일바에 대한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 중에서 가드레일바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면보강바에 대한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 중에서 지주에 대한 정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 중에서 지주의 외부로 결합되는 지상지지력보강대에 대한 정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 중에서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주캡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에 보강대실링수단이 결합된 상태에 대한 측방향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가드레일바에 결합되는 전면보강바에 대한 측단면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에 구비된 보강대실링수단에 대한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에 구비된 보강대실링수단에 대한 상측 방향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에 구비된 보강대실링수단에 대한 하측 방향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에 구비된 보강대실링수단에 대한 종방향 확대 단면도이며, 지주의 외경과 지상지지력보강대 사이의 틈새간격(d)이 형성됨을 보인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로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기 위한 이단차동시항타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로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기 위한 이단차동시항타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 지상지지력보강대 및 이단차동시항타정 등에 대한 분리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기 이전에 상부로 이단차동시항타정이 놓인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가 지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부에 이단차동시항타정이 위치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지상지지력보강대 중앙에 위치된 가드레일의 지주를 이단차동시항타정에 의해 타격하는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를 이단차동시항타정의 중앙에 구비된 중앙지주항타부로 타격하여 지주의 하측이 지반에 삽입되는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를 이단차동시항타정으로 타격하는 중에 이단차동시항타정의 아래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와 지상지지력보강대 상부가 접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를 이단차동시항타정으로 동시에 타격하여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 하측이 지반에 삽입되는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를 소정 깊이로 지반에 삽입한 후 이단차동시항타정을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가 소정 깊이로 지반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상지지력보강대 상부의 지주와의 사이에 보강대실링수단을 결합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이 적용되어 시설된 가드레일의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가 소정 깊이로 지반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주의 상부에 가드레일바 및 전면보강바 등을 결합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에 대한 시공 순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및 이단차동시항타정에 의해 시공된 가드레일에 대해 차량 충돌 시험의 시험결과이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및 이단차동시항타정에 의해 시공된 가드레일에 대해 차량 충돌 시험의 시험결과 사진과 도면이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및 이단차동시항타정에 의해 시공된 가드레일에 대해 차량 충돌 시험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및 이단차동시항타정에 의해 시공된 가드레일에 대해 차량 충돌 시험에 있어서 가드레일에 대형차량이 충돌하기 전과 후의 사진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및 이단차동시항타정에 의해 시공된 가드레일에 대해 차량 충돌 시험에 있어서 가드레일에 대형차량이 충돌한 후 시설물에 대한 사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및 이단차동시항타정에 의해 시공된 가드레일에 대해 차량 충돌 시험에 있어서 가드레일에 소형차량이 충돌하기 전과 후의 사진이다.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및 이단차동시항타정에 의해 시공된 가드레일에 대해 차량 충돌 시험에 있어서 가드레일에 소형차량이 충돌한 후 시설물에 대한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guard rail provided with a method of reinforcing and supporting a guardrail support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support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in a guard rail provided with a guard rail supporting force appl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guardrail provided with the method of reinforcing and supporting the guardrail support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upport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in a guard rail to which a method of reinforcing and supporting a guardrail support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ample of a facility in which a pillar of a guardrail installed with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ground.
FIG. 6 is a plan view of a guard rail to which a method of reinforcing and supporting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7 is a front view of an example of a guard rail provided with a guard rail supporting force appl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guardrail bar among guardrails provided with the method of reinforcing and supporting the guardrail support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a front reinforcing bar coupled to the front of a guardrail bar among guided rails provided with a method of reinforcing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the ground rail among the guard rails provided with the method of reinforcing and supporting the guardrail support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coupled to the outside of a pillar of a guardrail to which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2 is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a strut cap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a strut of a guardrail to which a method of reinforcing and supporting a guardrail support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is coupled between a support of a guard rail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to which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4 is a side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ront reinforcing bar coupled to a guard rail bar of a guard rail to which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provided between a support of a guardrail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d by a guard rail supporting force appl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of the guard rail and the support forc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applied by the method of reinforcing and supporting the guardrail support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provided between a support of a guardrail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provided with a guard rail supporting force appl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portion of FIG. 15, showing a longitudinal enlargement of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of the guard rail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provided with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guardrail supporting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that a clearance d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is formed.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o-stage differential pressure turbine for joining a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ing bar as a pillar of a guard rail to which a guard rail supporting force appl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uble-differential test fixture for assembling a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bar as a pillar of a guardrail to which a method of reinforcing a guardrail support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1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eparate state of a guardrail, a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ing bar, and a double-step tongue and tongue tablets installed with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double-differential differential pressure turbine is installed before hitting a support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of a guardrail to which a guard rail supporting force apply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of the guard rail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d by applying the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laced on the ground, and the double-ended differential test tablet is located on the ground.
FIG. 2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rut of a guardrail positioned at the center of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provided with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k by a double-differential driving force.
2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a strut is inserted into a ground by striking a strut of a guardrail to which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y a center strut landing portion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ouble- to be.
FIG. 2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portion under the double-end simultaneous hoeing definition are struck while the guard rail is struck with the double- Fig.
FIG. 2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of a guardrail, to which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simultaneously hit by a double- to be.
2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s of the guard rail to which the guard 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inserted into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n the two-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of a guardrail to which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inserted into a ground at a predetermined depth, As shown in Fig.
FIG. 30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ardrail bar reinforcem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guardrail bar and a front reinforcement bar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rrack, Fig.
31 is a construction flowchart of a method of reinforcing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2 is a test result of a vehicle crash test for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uard rail constructed by two-stage differential driving and puncturing.
FIG. 33 is a photograph and a photograph of a test result of a vehicle collision test for a guard rail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ouble-differential driving test.
FIG. 34 is a view showing a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vehicle crash test for a guard rail constructed by the method of reinforcing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by a double-differential test.
FIG. 35 is a photograph of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uard rail constructed by two-stage differential driving and puncturing before and after a large vehicle collides with a guard rail in a vehicle crash test.
FIG. 36 is a photograph of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acility after a large vehicle collides with a guard rail in a vehicle collision test with respect to a guard rail constructed by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ableting.
FIG. 37 is a photograph of the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uard rail constructed by the double-differential opening tableting before and after the collision of the small vehicle with the guard rail in the vehicle collision test.
FIG. 38 is a photograph of a facility after a small-sized vehicle collides with a guard rail in a vehicle crash test for a guard rail constructed by the guardrail supporting force applying method and the double-differential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지상돌출형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구비된 가드레일(10), 가드레일(10)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및 가드레일(10)용 보강대실링수단(30) 등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8 등에서와 같이, 지반에 고정된 지주(13) 및 지주(13)에 결합된 가드레일바(11)를 포함한 가드레일(10)에 관한 것이다.The guard rail 10 provided with the ground protruding typ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guard rail 10 and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30 for the guard rail 1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 rail 10 including a strut 13 fixed to a ground and a guardrail bar 11 coupled to the strut 13 as shown in Figs.

이러한 가드레일(10)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을 안내하고, 보행자를 보호하며 도로의 경계를 구분하는데 이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10)은 주위의 지면보다 도로가 높게 형성된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경우에 더욱 효과적이며, 이에 주행하는 차량 등의 외부 충격에서도 가드레일(10)의 파손이나 훼손이 적게하여 차량이나 사람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The guard rail 10 is used to guide the running of the vehicle running on the road, to protect the pedestrian, and to demarcate the boundaries of the road. Particularly, the guard rai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when it is installed at the edge of a road which is higher in road surface than the surrounding ground, and even if the guard rail 10 is damaged or damaged even in an external impact, To ensure the safety of the vehicle or person.

이를 위해 지반에 일부가 매입되어 시설되는 지주(13)를 보강하여 지반으로부터의 지지력을 더욱 양호하게 확보하기 위한 발명인 것이다.In order to accomplish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securing a supporting force from the ground better by reinforcing the column 13, which is partially embedded in the groun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10)에 대한 상세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The detailed construction of the guardrai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와 같이 가드레일(10)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시설되어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을 안내하면서 차량의 충돌이 가해질 경우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도 요구되고 있다. 특히 도 5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10)은 도로가 주위보다 높은 지대에 위치되어 도로 외부에 경사면(15)이 형성된 경우에 대한 것이며, 경사면(15)은 평지면(14)보다 가드레일(10) 지주(13)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적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주(13)와 함께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더 포함하여 가드레일(10)을 구성함으로써,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한층 높이도록 구성된 것이다.As in the exampl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guard rail 10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road, and is required to support the driving of the vehicle driving the road while supporting the vehicle not to leave the road when a collision of the vehicle is applied . 5, the guard rai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case where the road is locat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periphery and the slope 15 is formed outside the road, and the slope 15 is greater than the flat surface 14, (10) the supporting force for supporting the column 13 becomes small.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by constructing the guard rail 10 by further including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ing bars 20 together with the pillars 13. [

즉 상기 지주(13) 일측을 내부에 포함하고 지반에 일부가 삽입되어 가드레일(10)의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구비된 것이다.That is, a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provided which includes one side of the column 13 and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o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guard rail 10 against the ground.

이와 같은 상기 지상지지력보강대(20)는, 저부가 지반에 삽입되어 매입되는 지반삽입영역(21), 그리고 이와 함께 상부가 지반에서 상향의 지상으로 돌출되는 지상부영역(22)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ncludes a ground insertion region 21 in which a bottom portion is embedded and embedded in the ground, and a top portion 22 in which the top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ground.

대부분 지주(13)가 도 1, 도 6 등에서처럼 지반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수 지주(13)들을 연결하여 가드레일바(11)를 연결한 상태에서 차량이 추돌하게 되면, 대부분의 지주(13)는 지반과 접하는 부분에서 절단되거나 굽혀져, 가드레일(10) 전체가 훼손되면서 차량은 도로 외부로 이탈하게 된다. 경사면이 외부에 있는 도로의 경우 차량의 추돌을 막지 못하면 차량은 외부 낮은 지대인 논이나 계곡 등으로 추락하게 되어 인명피해 및 차량의 파손 등이 발생된다.Most of the pillars 13 are brought into collision with each other when the pillars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guardrail bars 11 are connected while the pillars 13 are fixed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s. Is cut or bent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so that the whole of the guard rail 10 is damaged and the vehicle leaves the road. In the case of a road with an inclined surface outside, if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can not be prevented, the vehicle will fall into a low-lying area such as rice paddies or valleys, resulting in personal injury or damage to the vehicle.

따라서 특히 경사면(15)이 있는 도로의 경우 지주(13) 및 가드레일(10) 등은 지면과 접하는 경계부분에 대한 강성이 아주 중요한 요건에 해당할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road including the slope 15 in particular, the stiffness of the column 13, the guard rail 10, and the like is very important for the boundary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10)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경우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지주(13)의 외부를 감싸면서,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측은 지반의 상부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고,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하측은 지반 속으로 삽입된 상태를 갖기 때문에, 결국 지상지지력보강대(20)는 지반의 상면에 대한 경계부분에서의 지주(13) 강성을 더욱 보강하게 된다. 이로써 차량의 추돌이 있더라도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는 지반의 상면 경계 부분에서의 절단이나 절곡의 우려를 없게 함으로써, 지주(13) 및 가드레일(10)의 변형 및 손상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물론 차량이 가드레일(10)에 추돌하면 다수 지주(13)들을 연결한 가드레일바(11) 등에서 일부 차량의 추돌 힘에 의해 약간의 변형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처럼 지상지지력보강대(20)에 의해 지주(13)를 감싸면서 지상 경계 부분에서의 강성을 월등히 높이기 때문에 대폭적인 지주(13), 가드레일바(11) 및 가드레일(10) 등의 파손을 방지하므로, 차량이 도로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추락 등의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guard rail 10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column 13 and the upper sid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the lower sid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so that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finally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supporting column 13 at the boundary por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do. Thus, even if there is a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20 do not cause cutting or bending at the upper surface boundary portion of the ground, thereby reducing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support 13 and the guard rail 10 . Of cours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guard rail 10, there may be some deformation due to collision forces of some vehicles in the guardrail bar 11 or the like connecting the multiple columns 13. However, since the rigidity at the ground boundary portion is remarkably increased by wrapping the strut 13 by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strut 13, the guard rail bar 11 and the guard rail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scale accident such as a fall of a vehicle from occurring 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leaving the road.

이와 같이 시설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는, 도로의 경계를 이루면서 다수 지주(13) 상부에 여러 가드레일바(11)들을 연결하여 가드레일(10)을 구성하기 때문에 지주(13)는 지상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 것이다. 대략 상기 지주(13)는 지상으로 650mm 내지 750mm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주의 돌출정도는 도로의 시공 조건이라던가 시방서 등의 규정에 의하여 정하여질 수도 있으며, 이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주(13)는 지상으로 700mm로 돌출되는 것이다. 그외 가드레일바의 규격이나 시설조건, 지주캡(16) 등과 같은 구성의 조건 등은 가드레일 시설상황이라던가 시방서 등의 조건에 알맞게 하여 정하여져 실시될 것이다.Since the guard rails 10 are formed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guard rail bars 11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truts 13 while forming the boundary of the road, . The struts 13 protrude from the ground to 650 mm to 750 mm.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trut may be determined by the construction conditions of the road or by the spec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more preferably, the strut 13 protrudes to the ground by 700 mm. The conditions of the guard rail bar, such as the size of the guard rail, the condition of the equip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cap 16, etc., will be determined and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 of the guard rail facility or the specifications.

아울러 지주(13)의 강성을 더욱 보강하기 위한 상기 지상지지력보강대(20)는, 외경이 145mm 내지 155mm이고, 두께가 4mm 내지 5mm로 이루어지며, 지상으로 400mm 내지 500mm로 돌출되는 것이다.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column 13 has an outer diameter of 145 mm to 155 mm and a thickness of 4 mm to 5 mm and protrudes from the ground to 400 mm to 500 mm.

특히 지상지지력보강대(20)는 지주(13)의 외부로 감싸면서 지주(13)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시설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지주(13) 외경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내경과의 간극은 최소한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로써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크기나 두께 등은 시설되는 조건에 알맞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지상지지력보강대(20)는, 외경이 152.4mm이고, 두께가 4.3mm로 이루어지며, 지상으로 450mm로 돌출되도록 시설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Particularly,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s provide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column 13 while enclosing the outside of the column 13. To this end, the gap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umn 13 and the inner- As shown in FIG. Thus, the size and the thickness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can be made suitable for the conditions to be installe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has an outer diameter of 152.4 mm and a thickness of 4.3 mm, As shown in Fig.

아울러 이러한 지상지지력보강대(20)는 규격으로 생산되는 파이프에 대해 인발파이프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지주(13)와 최적의 결합조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추돌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휘어지거나 절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드레일 및 지주의 파손을 줄여 차량의 추락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may use a drawing pipe for a pipe produced by a standard. Therefore, even when an external force due to a collision of the vehicle is applied, optimum collision conditions with the strut 13 are achieved, so that it is not easily bent or cut, thereby reducing the damage of the guard rail and the support, .

이와 같이 마련되는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의 크기 규격의 예를 보면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An example of a more preferable size standard for the column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to be prepared in this way may be as follows.

지주(13)는 지상으로 700mm로 돌출될 수 있고, 지주(13)의 외경(md)은 139.8mm, 지주(13) 두께는 4.5mm이며 지주(13) 내경은 130.8mm로 이루어진다. 지주(13)가 지반 내로 삽입되는 것까지 포함하면 전체 지주(13)는 2200mm로 이루어진다.The strut 13 can protrude to the ground by 700 mm and the strut 13 has an outer diameter md of 139.8 mm and the strut 13 has a thickness of 4.5 mm and the strut 13 has an inner diameter of 130.8 mm. When the struts 13 are inserted into the ground, the entire strut 13 is made of 2200 mm.

아울러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지상부영역(22)으로써 지상으로 450mm로 돌출되어 지상 부분에서 지주(13)를 충분히 감싸면서 차량 추돌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지상 부분에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Further, the ground support region 20 of the ground support portion 20 is protruded to the ground by 450 mm as a ground portion so as to sufficiently cover the strut 13 at the ground portion and to have sufficient stiffness at the ground portion even if an external force by the vehicle collision acts.

그리고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지반삽입영역(21)으로써 지반 내부로 750mm로 삽입되어 지하 부분에서 지반에 의한 지지력을 충분히 전달받고,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력을 주위 지반으로 충분히 전달되게끔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로써 전체 지상지지력보강대(20)에 대한 일 실시 길이는 1200mm를 이루게 된다.As a ground insertion region 21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the ball is inserted into the ground 750 mm to sufficiently receiv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ground in the ground portion, and when the external impact is applied, the impact force is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surrounding ground . As a result, one implementation length of the entir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becomes 1200 mm.

또한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외경은 152.4mm이고 두께는 4.3mm이며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내경(si)은 143.8mm를 이루는 것이다. 이에 지주(13)의 외경(md, 바람직한 실시예 규격 139.8mm)과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내경(si, 바람직한 실시예 규격 143.8mm) 사이의 간격(d)은 2.0mm를 이루는 것이다. 즉 약간의 간격으로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결합됨으로써 차량의 추돌의 힘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함께 이루어진 결합구조에 의해 외력을 완충하여 지반으로 충격력을 알맞게 각각 전달하면서 휘어지지 않도록 하는 강성을 더욱 보강하게 된다.Also, the outer diameter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base 20 is 152.4 mm, the thickness is 4.3 mm, and the inner diameter si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base 20 is 143.8 mm. The distance d between the outer diameter md of the column 13 (preferred embodiment dimension 139.8 mm) and the inner diameter si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the preferred embodiment dimension 143.8 mm) is 2.0 mm. That is, even if an external force such as a collision force of a vehicle acts,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at a slight interval, The impact force is appropriately transmitted to the ground by buffering, and the reinforcement is further reinforced so that it is not bent.

이에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수치(d = 2.0mm)이고, 이에 가드레일이나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 등의 시설조건에 따라서 3mm 내지 0.5mm 정도의 간격을 이루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의 간격은 너무 넓으면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함께 합하여진 상태로 보강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너무 간격이 좁으면 지주(13) 외부로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삽입하는 과정이 너무 어렵게 될 우려가 있을 것이다.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20 is the numerical value (d = 2.0 mm) in th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above examp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may be performed so as to have an interval of about 3 mm to 0.5 mm depending on the facility conditions. If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20 is too wide, the rigidity against the external impact may not be reinforced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20 are joined together,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nto the outside of the column 13 may become difficult.

대략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의 간격(d)이 대략 2.0mm 정도를 형성할 경우에는 지주(13)에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삽입하여 시설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고, 시설된 상태에서 차량 추돌에 의한 외력에 대한 강성도 충분히 보강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support pillars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s 20 is about 2.0 mm, it is easy to insert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s 20 into the pillars 13, The stiffness against external force due to the vehicle collision in the installed state can be sufficiently reinforced.

일반적으로 규격(KS 등)화된 파이프는 지름이 165.2mm(6 inch)를 갖는다. 이러한 규격의 파이프를 이용할 경우 지주(13)와의 사이가 너무 넓게 되어, 지주를 보강하는 강성 능력이 저하되고 지주와 지름 크기 차이가 커서 외관상 미관도 시각적으로 볼 때 저하될 우려가 있다.Generally, a standard pipe (KS, etc.) has a diameter of 165.2 mm (6 inches). When a pipe of such a standard is used, the distance between the pipe and the column 13 becomes too wide, so that the rigidity of reinforcing the column is deteriorated and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column and the column is large, and the appearance may be deteriorated visually.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발파이프를 이용하여 지주(13)의 바람직한 외경 139.8mm에 대해 인발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지상지지력보강대(20)는 바람직한 외경이 152.4mm이고 내경이 143.8mm로 되어, 결국 지주(13)와 인발파이프의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가 2.0mm 정도로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인발파이프의 지상지지력보강대(20)에 의하여 밀착된 상태를 갖기 때문에 지주(13)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지지력의 강성이 월등하게 된다. 또한 실제 지주와 거의 비슷한 외관이나 모양을 갖는 것이어서 시각적으로 외관이 미려한 심미감을 갖는 것이다. 아울러 도면의 예시에서처럼 가드레일바보다 소정 높이 만큼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가 올라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볼 때에는 가드레일바와 지주인듯 한 지상지지력보강대(20)만 보여서 시각적으로 안정적인 느낌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strip 2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de of a drawing pipe, has a preferable outer diameter of 152.4 mm and an inner diameter of 143.8 mm with respect to a preferable outer diameter of 139.8 mm of the strut 13,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base 20 of the drawing pipe are formed to be as narrow as about 2.0 mm. As a result, it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er (20) of the drawing pipe, so that the supporting post (13) is effectively supported and the rigidity of the supporting force is enhanced. Also, it has a similar appearance and shape to the actual landing, so it has an aesthetically pleasing visual appearance. In addition, as shown in the example of the drawings,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20 is raised by a predetermined height with respect to the guard rail bar.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only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s 20, .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지반에 고정된 가드레일용 지주(13)와 지주(13)보다 큰 지름의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에 위치되는 보강대실링수단(30)을 구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보강대실링수단(30)은 일측이 지주 외면에 접하고 타측이 지상지지력보강대(20) 외면에 접하는 것으로,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 끝단에 의해 지주(13)의 외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상지지력보강대(20) 상부 끝단이 파손되거나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ardrail support 13 fixed to the ground and a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30 positioned between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rods 20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upport pillars 13. [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30 has one side abutting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t and the other side abut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to prevent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ar 13 from being damaged by the upper end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prevents the upper end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from being broken or distorted.

또한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의 상부를 보강실링수단(30)에 의해 씌여짐으로써 사이 간격 내부로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이물질이 들어가게 되면 이후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강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 특히 빗물이 들어가게 되면 오랜 시간이 지나서는 지주(13) 또는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부식이 발생할 수 있고, 겨울철의 경우에 스며든 빗물이 얼었을 경우에는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강성을 저하시킬 우려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지지력 보강을 훼손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주(13) 외부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 상부에 보강실링수단(30)을 형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2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covered by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rainwater, In other words, if the foreign matter is contained, the rigidity of the pos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may be deteriorated. Particularly, when rainwater is contained, corrosion of the column 13 or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20 may occur after a long period of time. In the case of winter, when the rainwater freezing is frozen, the column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20 There may be a fear that the rigidity of the stiffener may deteriorate.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illar 13 and on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se 20 so as not to damage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while stably maintaining the state of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se 20 It is.

아울러 이러한 보강실링수단(30)은 재질이 금속재, 비금속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재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부식을 방지하는 재질이나 후처리(도금 등) 가공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강실링수단(30)은 좀더 바람직하게는 비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지재, 우레탄재, 탄소재, 고무재, 합성고무재, 실리콘재, 본드와 같은 젤타입으로 칠해져 굳어지는 과정에서 기밀되도록 하는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보강실링수단(30)은 전체적으로 탄성력과 복원력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이루어져 기밀을 요하는 끝단부분은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와의 밀착이 잘 되어 이물질 및 빗물 등이 스며들지 않도록 실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렉서블한 재질로 되는 보강실링수단(30)을 삽입하고 설치하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일부 가드레일(10)의 시설되는 상황에 따라서는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의 간격이 모두 균일한 정원의 간격을 이루지 못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한 재질의 보강실링수단(30)의 몸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삽입 및 결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 nonmetal material, or the like, and when i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is made of a material for preventing corrosion or a post-treatment (plating, etc.).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may more preferably be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In this case,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may be formed of a gel type such as a resin material, a urethane material, a carbon material, a rubber material, a synthetic rubber material, And a material to be air-tightly sealed. In addition,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as a whole, and the end portion requiring airtightnes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pillars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s 20 so that foreign matter, rainwater, It is preferable to be carried out not to lift.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easily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 pillars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s 20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of the flexible material can be easily inserted and fastened by using the body of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

이와 같은 상기 보강대실링수단(30)의 상세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30 is as follows.

보강실링수단(30)은, 지주(13)의 외면을 감싸는 지주커버부(31),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 외면을 감싸는 보강대커버부(32) 등을 형성한 것이다.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is formed with a columnar cover portion 31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13 and a reinforcing bar cover portion 32 surrounding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and the like.

아울러 이러한 보강대실링수단(30)의 몸체를 이루며 지주커버부(31)와 보강대커버부(32)가 상측과 하측에 연결되는 실링몸체(33)를 마련한 것이다.A sealing body 33 is formed which is a body of the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30 and in which the supporting cover portion 31 and the reinforcing bar cover portion 32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이러한 지주커버부(31)는 지주(13) 외면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지주(13)와 보강실링수단(30)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의 틈새를 없애도록 하여 내부로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보강대커버부(32)에 의해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로부터 소정 아래까지 외면을 감싸면서 밀착되는 것이며, 이로써 전체 보강실링수단(30)이 지상지지력보강대(20)로부터 요동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이탈되지 않아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이루는 것이다.Such a strut cover portion 31 is complet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t 13 so as to eliminate a gap between the strut 13 and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strip 20, Thereby preventing penetration. And the reinforcing bar covering portion 32 covers the outer surfac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er 20 to a predetermined lower portion so that the entir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is not pivoted or separated from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So that a stable coupling state is achieved.

아울러 실링몸체(33)는 보강실링수단(30)의 몸체를 이루는 것이며, 전체적인 보강실링수단(30)의 형태를 유지하여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나 그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aling body 33 constitutes the body of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and maintains the shape of the entir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so that the sealing body 33 can stably engage with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t is to maintain the form.

이에 더하여 보강실링수단(30)은, 실링몸체(33) 내부 아래로 연장되어 지주(13) 외면과 지상지지력보강대(20) 내면 사이의 지주-보강대틈새(35)에 삽입되어 기밀을 형성하는 실링삽입부(34)를 형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extends under the inside of the sealing body 33 and is inserted into the column-rib side gap 35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1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And the insertion portion 34 is formed.

이러한 실링삽입부(34)에 의하면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의 틈새에 삽입되어 기밀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로써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로 이물질이나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이다.The seal inserting portion 34 is inserted into a gap between the column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to form a hermetic seal so that the penetration of foreign matter or rainwater between the column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bar 20 .

특히 외부에서 차량 추돌의 힘이 가해질 경우, 추돌의 힘은 지주에 먼저 가해지거나 또는 지상지지력보강대(20)에 먼저 가해질 수 있다. 지주(13)에 먼저 가해진 추돌의 힘은 지상지지력보강대(20)에 앞서 보강실링수단(30)의 실링삽입부(34)에 의해 소정의 힘이 완충된 후 힘이 전달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지상지지력보강대(20)에 가해진 추돌의 힘은 보강실링수단(30)의 실링삽입부(34)에 의해 소정 완충된 후 지주(13)에 가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외부의 힘을 소정 완화시킨 후 다른 부재로 전달하기 때문에 전체 가드레일(10)의 손상을 줄이게 되는 작용을 갖는 것이다.In particular, when a vehicle collision force is exerted from the outside, the collision force can be applied to the strut first or to the ground support strength reinforcement 20 first. The collision force applied to the column 13 first will be transmitted after the predetermined force is buffered by the seal insertion portion 34 of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prior to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Likewise, the force of the collision applied to the ground support biasing base 20 may be applied to the support 13 after a certain amount of buffering by the sealing insertion portion 34 of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 Since the external force is relieved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then transmitted to another member, damage to the entire guard rail 10 is reduced.

이와 같이 마련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10)에는, 다수 상기 지주(13)에 가드레일바(11)와 전면보강바(12)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수 지주(13)들 사이를 가드레일바(11)가 연결되는 것이고, 이러한 가드레일바(11)의 전면에는 전면보강바(12)가 결합되는 것이다.In the guard rai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 rail bar 11 and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truts 13. The guard rail bar 11 is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columns 13 and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guard rail bar 11.

이러한 가드레일(10)의 가드레일바(11)는 도로 가장자리로 다수 개 설치된 지주들을 서로 연결하여 시설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지면에 고정된 지주(13)에 대해 길게 시설된 가드레일바(11)를 따라 운전자들은 차량 운전을 가이드하고, 혹여 발생할 수도 있는 차량의 추돌 및 도로 밖으로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The guard rail bar 11 of the guard rail 10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upports provided at the road edge to each other. Thus, along the guardrail bar 11, which is long with respect to the pillar 13 fixed to the ground, drivers guide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prevent collisions of the vehicle, which may occur, and fall out of the road.

이러한 가드레일바(11)는 다수의 지주(13)에 걸쳐서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지주(13)를 잇도록 가드레일바(11)는 도로를 따라 옆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가드레일바(11)는 길게 형성되는 방향인 종방향을 따라 길게 골과 마루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가드레일바(11)의 중간 부분에는 지주(13)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가드레일골(113)이 형성되고, 가드레일골(113)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가드레일마루(114)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드레일골(113)과 가드레일마루(114)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곡면형상으로 인하여 평평한 평면에 비해 차량 추돌시 충격량을 어느 정도 완충하게 될 것이다.The guardrail bar 11 is installed over a plurality of pillars 13 and the guardrail bar 11 is formed so as to extend laterally along the road so a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pillars 13. [ Particularly, the guardrail bar 11 is formed with long corrugations and floo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ch is a long formation direction. A guard rail trough 113 is formed at a middle portion of the guardrail bar 11 as a portion coupled to the strut 13 and a guard rail trough 114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uard rail trough 113 . Due to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including the guard rail troughs 113 and the guard rail floors 114, the impact amount at the vehicle collision will be somewhat buffered as compared with a flat plan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용 전면보강바(12)가 지주(13) 및 가드레일바(11)로 하는 가드레일(10) 전방면에 더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추돌로 인한 충격량을 더욱 완충하게 되는 것이다.The front reinforcing bar 12 for the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guard rail 10 made up of the strut 13 and the guard rail bar 11, will be.

즉 상기 전면보강바(12)는 차량이 상기 가드레일(10)에 충돌할 때 가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전면방향의 여유 공간을 갖도록 탄력성 있게 절곡 형성되고 다수의 절곡부분에 의하여 휨방지가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That is, the front reinforcement bar 12 is resiliently bent so as to have a space in the front direction so as to absorb an amount of impact applied when the vehicle collides against the guard rail 10, .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용 전면보강바(12)의 상세 구성을 보면, 상기 가드레일바(11)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가드레일바(11)의 전면에 일체로 연결된 상접촉면(121), 하접촉면(122) 등이 형성되어 가드레일(10)과 더욱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차량 추돌에 의한 충격이 가해져도 가드레일(10)과 일체로 되어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또한 차량 추돌에 의한 충격력이 가드레일(10)의 지주(13)로 전달되고, 지주(13)가 지면에 고정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The top reinforcing bar 12 for the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p contact surface 121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guardrail bar 11 so as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guardrail bar 11. [ The lower contact surface 122, and the like are formed and fixed more tightly to the guard rail 10. Thus, even if an impact caused by a vehicle collision is applied, it will be integrated with the guard rail 10 to maintain a rigid state. The impact force by the vehicle collision is transmitted to the strut 13 of the guard rail 10 and the strut 13 is fixed to the ground to have a stable state.

그리고 전면보강바(12)의 상접촉면(121)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전방하향으로 향하는 상휨방지부(123)가 구비되고, 하접촉면(122)에 대해 전방으로 절곡되어 전방상향으로 향하는 하휨방지부(124)가 구비되는 것이다.The top reinforcing bar 12 is provided with a top bending preventing portion 123 that is bent forward and direc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top contacting surface 121 of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The top bending preventing portion 123 is bent forward against the bottom contacting surface 122, (Not shown).

그리하여 상휨방지부(123)와 하휨방지부(124)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의 여유공간(125)에 의해 충격량을 흡수하면서 휨방지가 되게 탄력성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다.So that it is resilient enough to prevent the bending while absorbing the amount of impact by the clearance space 125 formed by the bending prevention part 123 and the lower bending prevention part 124.

이에 상접촉면(121)과 하접촉면(122) 등은 가드레일바(11)의 가드레일골(113)과 상측과 하측의 가드레일마루(114) 사이의 평평한 부분에 고정되는 것으로, 가드레일바(11)의 평평한 부분에 상접촉면(121)과 하접촉면(122)이 평면 상태로 밀착되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전면보강바(12)와 가드레일바(11)가 밀착된 상태가 견고하게 될 뿐만 아니라 충격량의 전달이 평평한 평면 전체에 걸쳐 전달되기 때문에 충격량 전달 효율이 높게 되는 것이다.The upper contact surface 121 and the lower contact surface 122 are fixed to a flat portion between the guard rail trough 113 of the guardrail bar 11 and the upper and lower guardrail floors 114, When the upper contact surface 121 and the lower contact surface 122 are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flat state on the flat surface of the front reinforcing bar 11, the state in which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and the guard rail bar 11 are tightly adhered However, since the transmission of the impulse is transmitted over the entire flat plane, the impact transmission efficiency becomes high.

아울러 가드레일골(113)에 최근접되어 상접촉면(121)과 하접촉면(122)이 위치되기 때문에 전면보강바(12)의 충격량이 가드레일골(113)로 빠르게 전달될 수 있고 그리하여 지주(13)로 곧바로 전달되어 충격량 전달 특성이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upper contact surface 121 and the lower contact surface 122 are located near the guard rail trough 113, the amount of impact of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can be rapidly transmitted to the guard rail trough 113, 13) so that the impuls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is improved.

특히 가드레일바(11)에서 상하 양측의 가드레일마루(114)에서 중앙의 가드레일골(113) 등에 의해 후방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완충 공간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전방으로 전면보강바(12)의 상휨방지부(123)와 하휨방지부(124) 등에 의한 전방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완충공간에 의하여 추돌에 의한 완충 효과는 더욱 극대화되는 것이다. 즉 완충의 효과는 형태 변형이 되는 작용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하고 또한 지면으로 충격량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가드레일바(11)와 함께 전면보강바(12)에 의해 형성되는 완충 공간의 형성에 의해 완충효과 및 충격량 전달의 효과도 함께 이루게 되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guard rail bar 11, a buffer space is formed in the guard rail floor 114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by a guardrail trough 113 at the center, and the front side of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The buffering effect due to the collision is further maximized by the buffering space form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top-bending preventing portion 123 and the bottom-bending preventing portion 124 and the like. In other words, the buffering effect must have a certain degree of the action of deforming the shap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be able to transmit the amount of impact to the ground. By forming the buffer space formed by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together with the guard rail bar 11 The effect of buffering effect and transmission of impact amount is also achieved.

특히 완충의 효과를 위한 완충공간이 가드레일 전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우선 전면보강바(12)에 의한 완충작용이 있는 이후에 가드레일바에 의한 완충의 작용이 있기 때문에 전체 가드레일도 함께 보호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buffer space for buffering effect is formed in front of the guard rail, there is a buffering action by the guard rail bar after the buffering action by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

또한 상기 상접촉면(121)과 상휨방지부(123) 사이에 절곡된 부분인 상절곡부(126)가 구비되고, 상기 하접촉면(122)과 하휨방지부(124) 사이에 절곡된 부분인 하절곡부(127)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절곡부(126), 하절곡부(127) 등이 다수 구성됨으로써 보다 높은 효율의 완충 작용 및 충격량 전달의 효과도 얻게 되는 것이다.The upper bending part 126 is a bent part between the upper contact surface 121 and the upper bending prevention part 123. The lower bending prevention part 124 is provided with an upper bending part 126, A curved portion 127 is provided. Since the phase bending section 126 and the lower valley section 127 are formed in a large number, the buffering action and the impact amount transmission effect of higher efficiency can be obtained.

이러한 가드레일바(11)의 형태 및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로는, 서로 겹치는 두 개의 가드레일바(11)의 가드레일골(113)이 형성되고, 이러한 가드레일골(113)에 형성된 기둥결합공에 체결되는 기둥체결부재(115)에 의해 양측 가드레일바(11)가 지주(13)에 고정되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shape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guardrail bar 11, guardrail troughs 113 of two guardrail bars 11 overlapping each other are formed, Side guardrail bars 11 are fixed to the pillars 13 by the column fastening members 115 fastened to the coupling holes.

그리고 첨부된 도면의 예에서 가드레일바(11)는 중앙에 하나의 가드레일골(113)과, 상하 두 개의 가드레일마루(114)가 형성되는 것으로, 연속되게 서로 결합되는 다수의 가드레일바(11)는 서로 겹치는 부분에 총 네 곳의 평면부분에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In the example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guard rail bar 11 has a single guard rail trough 113 and two upper and lower guard rail floors 114 at the center, (11) were brought into a state where they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at a total of four flat portions on the overlapping portions.

즉 상측 가드레일마루의 위쪽 평면부분인 제1접촉부(1161), 상측 가드레일마루와 가드레일골(113) 사이의 평면부분인 제2접촉부(1162), 가드레일골(113)과 하측 가드레일마루 사이의 평면부분인 제3접촉부(1163), 하측의 가드레일마루 아래쪽 평면부분인 제4접촉부(1164) 등이 서로 겹쳐지게 된다.A second contact portion 1162 which is a planar portion between the upper guardrail floor and the guardrail trough 113, a second contact portion 1162 which is a planar portion between the upper guardrail trough and the guardrail trough 113, a guard rail trough 113, A third contact portion 1163 as a flat portion between the floor and a fourth contact portion 1164 as a lower flat portion of the lower guardrail floor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이러한 제1접촉부(1161)에 제1체결부재(1171)가 체결되고, 제2접촉부(1162)에 제2체결부재(1172)가 체결되며, 제3접촉부(1163)에 제3체결부재(1173)가 체결되고, 제4접촉부(1164)에 제4체결부재(1174)가 체결됨으로써, 양측 서로 겹치는 가드레일바들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1171 is fasten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116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172 is fasten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62. The third fastening member 1172 is fastened to the third contact portion 1163, And the fourth fastening members 1174 are fastened to the fourth contact portions 1164, whereby the guard rail bars overlapping each other are firmly fixed to each other.

또한 전면보강바(12)의 상접촉면(121)의 상부면이 제2접촉부(1162)의 아래 전면에 접하게 되어 제2체결부재(1172)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갖게 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tact surface 121 of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1162 and is joined by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172. [

마찬가지로 전면보강바(12)의 하접촉면(122)의 아래면이 제3접촉부(1163)의 상부 전면에 접하게 되어 제3체결부재(1173)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ntact surface 122 of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contact portion 1163 and is joined by the third fastening member 1173.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전면보강바(12)의 결합은, 단지 일반적으로 기존에 시설되어 있는 가드레일(10)에서 단지 몇 개의 체결부재만 분리한 상태에서 그대로 가드레일 전면에 접하게 한 후, 분리한 기존의 체결부재를 다시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전면보강바(12)의 결합 및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join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guard rail in a state where only a few fastening members are separated from the existing guard rail 10, The joining and installation of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is completed by firmly coupling the existing fastening members agai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용 전면보강바(12)는 기존에 설치된 가드레일(10)에 대해 별도의 복잡한 해체과정 또는 복잡한 다른 구성의 추가결합구성이 없이도 단순 결합작업만으로 설치가 용이하여, 전체 전면보강바(12)의 시설작업이 간단하고 이에 따른 부재비용도 거의 소요되지 않는 등 경제적, 작업의 효율성 등에 상당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reinforcement bar 12 for a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only by a simple coupling operation without a separate complicated disassembly process or a complicated other configuration for the existing guard rail 10, The entire front reinforcement bar 12 is simple to install and the cost of the assembly is not required. Thus, it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in terms of work efficiency and the like.

특히 기존에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한 시공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용 전면보강바(12)의 시설시공에서 단지 기존의 가드레일 전면에 부착하는 공정만 있으면 되므로 기존의 가드레일의 구조적 안정성을 훼손하지 않고 또한 작업에 소요되는 경제적, 시설측면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로써 기존의 가드레일을 충분히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재시공 또는 보강시공시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시설물 폐기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2차, 3차의 자원낭비 또는 추가작업 등이 필요없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construction of the existing guard rail, since only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to the front surface of the existing guard rail is required in the installation of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for the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xcellent advantage of minimizing the economic and facility-related losses required for the oper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guard rails sufficiently, so that there is no waste of facilities that can generally occur in the re-construction or reinforcement construction, so that there is no need to waste secondary resources or additional work or the like.

또한 단지 기존의 일부 체결부재의 해체,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면보강바의 결합 등의 단순한 작업공정만 있어도 되기 때문에, 고도의 전문인력이 필요없어 인적자원의 조달이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Moreover, since only a simple work process such as disassembly of some existing fastening members and joining of the front reinforcement b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a high level of specialized manpower is not required and sufficient human resources can be procured.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용 전면보강바(12)는 상기 상휨방지부(123)의 전방 끝단과 상기 하휨방지부(124) 전방 끝단이 연결되는 중앙평면부(130)가 구비되는 것이다.The front reinforcing bar 12 for a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entral plane portion 130 to which a front end of the upper bending prevention portion 123 and a front end of the lower bending prevention portion 124 are connected will be.

이러한 상기 중앙평면부(130)는 상하로 수직면을 이루는 것으로, 중앙평면부(130)의 상부와 하부로는 상휨방지부(123)와 하휨방지부(124) 등과 굽어지는 부분인 평면상굽이부(135), 평면하굽이부(136) 등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central plane portion 130 is verticall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entral plane portion 130 are bent at a bent portion (135), a flat bottom portion (136), and the like.

따라서 이러한 중앙평면부(130)가 구성된 전면보강바(12)는 상접촉면(121) 및 하접촉면(122) 등과 상휨방지부(123) 및 하휨방지부(124)와의 사이에 절곡된 부분인 상절곡부(126) 및 하절곡부(127)에 더하여, 평면상굽이부(135) 및 평면하굽이부(136) 등으로 하는 다수의 절곡부분 및 굽이부분 등에 의해 완충효과가 더욱 양호하게 되고, 아울러 충격량을 효율적으로 지면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The front reinforcing bars 12 constituted by the central flat surface portion 130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121 and the lower contacting surface 122 and the upper bending prevention portion 123 and the lower bending prevention portion 124, In addition to the bent portion 126 and the lower curve portion 127, the buffering effect is further improved by the plurality of bent portions and the bent portions constituted by the planar bent portion 135 and the flat lower bent portion 136, The impact amount can be e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ground.

이러한 특성을 갖는 구성에 더하여 상기 중앙평면부(130)의 일측에는 후방으로 요입된 요입보강부(131)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요입보강부(131)는 후방으로 요입된 면인 요입면(132)과, 중앙평면부(130)와 요입면(132) 사이를 이으며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요입연결부(133)가 구비된 것이다.In addition to the structure having such characteristics, a recessed and recessed portion 131 recessed rearwar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entral plane portion 130. The recessed convex portion 131 is provided with a concave surface 132 that is recessed in the backward direction and a concave connecting portion 133 formed between the center flat surface portion 130 and the concave surface 132 and formed to be inclined rearward.

즉 다수의 요입보강부(131) 및 요입연결부(133) 등에 의한 구조의 변형으로 인하여 쉽게 형태가 일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부분이 더욱 증가되는 것이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ape from being easily distorted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due to the large number of concave / convex portions 131 and the concave connecting portions 133 and the like. Therefore, the portion for absorbing the shock caused by the vehicle collision is further increased.

이상에서와 같이 지면에 설치된 다수의 가드레일용 지주(13)와 함께 지상지지력보강대(20) 및 전면보강바(12) 등을 시설하는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펴본다. 이러한 가드레일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기존에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한 시공방법이 있고, 신설되는 가드레일에 대한 시공방법이 있다. 우선 기존에 시설된 가드레일에 대한 시공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reinforcing the support force of the guardrail supporting the ground supporting force 20 and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guard rails 13 provided on the ground will be described. In such a guardrail construction method, there is a construction method for an existing guardrail, and a construction method for a newly installed guardrail. First, let's look at the construction method for the existing guardrail.

이에 기존에 설치된 경우에는 선행적으로 가드레일(10)의 다수의 지주(13)에서 가드레일바(11) 및 전면보강바(12) 등을 분리하는 가드레일바분리단계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지면에는 가드레일의 다수 지주(13)들만 남아 있게 된다.A guard rail bar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guard rail bar 11 and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from the plurality of pillars 13 of the guard rail 10 is performed in advance. Thus, only a plurality of struts 13 of the guard rail remain on the ground.

이러한 상태에서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내부로 지주(13)가 삽입되게 지주(13)에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결합하고 지면위로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위치되는 지상지지력보강대결합단계를 수행한다.In this state,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joining step in which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coupled to the column 13 so that the column 13 is inserted into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positioned on the ground .

그리고 지상지지력보강대(20) 하부를 지반에 삽입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지상지지력보강대(20)에 위치시키는 항타준비단계를 수행한다.In addition, as a device for inse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nto the ground, an alternate preparation step in which the two-stage differential driving facing tab 50 is positioned on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performed.

이러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소정 길이로 형성된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상부로부터 타격하는 장치로,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타격하여 지반에 삽입한다.This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let 50 is a device for striking the ground support force re- straint 20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top, and the ground support force re- straint 20 is struck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이에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타격하기 위한 아래 부분인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가 마련되고, 중간은 파이프형태를 이루는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를 마련하며, 아울러 상부는 포크레인 등과 같은 항타장비에 결합하기 위한 항타장비결합부(51)가 마련된 것이다.In this case, the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ablet 50 is provided with a lower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which is a lower portion for hitting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a pipe supporting rib spacing pipe 54, And the upper portion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device coupling portion 51 for engaging with a hovering device such as a fork-lift.

즉 이러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타격력을 가하는 항타장비(예 : 포크레인과 같이 주로 중장비로 브레이커(breaker) 또는 일명 쁘레카, 파쇄기라고도 함, 미도시됨)에 연결되어,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타격하는 것이다.That is, the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let 50 is connected to a hammering device (for example, a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 bracket) that applies a hitting force to a breaker or a crusher or a crusher, ).

이와 같은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도 19 내지 도 28 등에서와 같이 상부로부터 항타장비결합부(51),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 중앙지주항타부(53) 및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 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9 to 28, the two-stage differential-driving tablet 50 has a pipe-like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hitching device coupling portion 51, a lower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a central landing gear portion 53, A reinforcing bar spacing pipe 54 and the like.

이러한 이단차동시항타정(50)에 의한 타격으로 지상지지력보강대(20) 하부가 지반으로 삽입되는 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단계를 수행한다. 즉 도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이용한 것으로, 지반에 고정된 지주(13)의 상부로 지상지지력보강대(20) 및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준비한다. 그리고 이단차동시항타정(50)으로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타격하면서 지반에 삽입한다.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straining bar hitching step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is performed by the hitting by the two-step differential opening tablet 50. That is, the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let 50 is used. The ground level support force 20 and the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let 50 are prepared on top of the column 13 fixed to the ground. Then,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while striking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with the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ab 50.

이로써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저부가 지반에 삽입되고 상부가 지상으로 소정 높이만큼 노출된 상태에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로부터 분리시키는 항타완료단계를 수행한다.The step of completing the hitching operation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ground support force support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the upper end is exposed 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

이후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저부가 지반에 삽입되고 상부가 지상으로 소정 높이만큼 노출된 상태에서,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와 지주(13) 외면을 감싸는 보강실링수단(30)을 결합하는 보강실링수단결합단계를 수행한다.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which surrounds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column 13 is combined with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while the bottom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joining step is performed.

끝으로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측 지주(13)에 가드레일바(11) 및 전면보강바(12) 등을 결합시키는 지상지지력보강시공완료단계를 수행하여 지주(13)에 지상지지력보강대(20) 및 보강실링수단(30) 등을 결합하는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Finally,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construction completion step of joining the guard rail bar 11, the front reinforcing bar 12, and the like to the upper support 13 of the ground support force bracket 20 is performed, 20,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and the like.

다음으로 신설되는 가드레일에 대한 시공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용 지주에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는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신설 가드레일 시공에 대한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construction method for a new guardrail will be described. That is, a guardrail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method for joining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to a guardrail support pil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tep by step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21 및 도 22에서처럼 가드레일 시공위치에 가드레일용 지주(13)를 위치시키는 지주준비단계(S10), 및 가드레일 시공위치에 지주(13)의 지지력보강을 위한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위치시키는 지상지지력보강대준비단계(S20)를 수행한다.A ground preparation step S10 for positioning the guard rail 13 at the guard rail installation position as shown in Figs. 21 and 22 and a ground support force bracket 20 for reinforcing the support force of the pillar 13 at the guard rail installation position. (S20). ≪ / RTI >

아울러 도 23에서처럼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내부로 지주(13)를 삽입시키고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시설위치에 위치시키는 지주지지력보강대위치단계(S30)를 수행한다.23, a strut supporting force restraining bar positioning step S30 for inserting the strut 13 into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positioning the stru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t the facility position is performed.

아울러 길이가 짧은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로 길이가 긴 지주(13)의 상측이 돌출되고,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저부가 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주(13)의 상부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도 24에서처럼 위치시키는 이단차동시항타정위치단계(S40)를 수행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long strut 13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having a shorter length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column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re positioned on the ground. The double-speed test pattern positioning step S40 in which the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 50 shown in Figs. 19 and 2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24 is performed.

이후 도 25에서처럼 이단차동시항타정(50)과 결합된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이 지주(13)의 상부를 타격하여 지주(13)의 하측이 지반으로 삽입되는 지주항타단계(S50)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점차로 지주(13)는 아래 부분이 지반으로 삽입되는 시설과정이 진행된다.As shown in FIG. 25, the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ablet 50 is struck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13 by the operation of the hitching device coupled with the two-stage differential column tablet 50, and the lower row of the column 13 is inserted into the ground. (S50). As a result, gradually the lower part of the strut 13 is inserted into the ground.

또한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이 지주(13)를 타격하여 도 26에서처럼 이단차동시항타정(50)의 아래부분에 길이가 짧은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가 접한 상태에서, 도 27에서처럼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지주(13)와 함께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를 이단차동시항타정(50)에 의한 타격으로 지주(13)와 함께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하측이 지반으로 삽입되는 이단차동시항타단계(S60)를 수행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6, the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est tablet 50 strikes the column 13 by the operation of the hammering devi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test strip 20 having a short lengt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double-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column 13 are struck by the striking by the two- (S60)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und.

이러한 상기 이단차동시항타단계(S60)에 있어서, 지주(13)의 상부는 이단차동시항타정(50)의 중앙 안쪽 상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중앙지주항타부(53)와 접하고, 지주(13) 외측을 감싸는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는 이단차동시항타정(50)의 아래 가장자리에 구비된 원형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와 접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이단차동시항타(50)의 중앙지주항타부(53)에 의해 지주(13) 상부를 타격하고, 이보다 낮은 높이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해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를 동시에 타격함으로써,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동시에 함께 타격되어 지반으로 시설되는 것이다.In the step S60,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t 13 is in contact with the center-of-gravity main portion 53 formed at the upper center in the middle of the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ab 50, The upper portion of the surrounding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ound bottom lower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port 50. [ Thus, the upper end of the strut 13 is struck by the center-of-gravity point portion 53 of the second-end simultaneous hunting 50 by the operation of the hunting device,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the struts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s 20 are struck together at the same time so as to be provided as a ground.

이에 이러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높은 위치의 중앙지주항타부(53) 및 낮은 높이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한 이단차로 이루어져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동시에 타격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이러한 이단차동시항타정(50)에 의한 동시 타격에 의하여 지주(13)나 지상지지력보강대(20) 단독으로 시설하는 것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시설 시공을 주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The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let 50 is composed of a two-stage car made of a high-center-point main-tactile portion 53 at a high position and a low-level bottom-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at a low height so that the supporting column 13 and the grou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faster and more accurately than the case where the support 13 or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s installed solely by simultaneous striking by the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ablet 50 will be.

다음으로 도 28에서처럼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소정 깊이만큼 지반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로부터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제거하는 이단차동시항타완료단계(S70)를 수행한다. 이로써 지반에 대한 기초 설비를 완료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8, the support shaft 13 and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member 20 are inserted in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epth. The support shaft 13 and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member 20, The simultaneous hire completion step S70 is performed. This completes the foundation installation for the ground.

이후 도 29에서처럼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저부가 지반에 삽입되고 상부가 지상으로 소정 높이만큼 노출된 상태에서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와 지주(13) 외면을 감싸는 보강실링수단(30)을 결합하는 보강실링수단결합단계(S80)를 수행한다.29, the bottom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is exposed 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ing column 13 (S80) of combining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또한 도 30에서처럼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측 지주(13)에 가드레일바(11)를 결합시키는 이단차항타지상지지력보강시공완료단계(S90)를 수행한다. 이로써 가드레일(10)에 대한 전체 시공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30, the step S90 of carrying out the second-stage car support-bearing reinforcing construction in which the guard rail bar 11 is engaged with the upper support 13 of the ground supporting-force supporting bar 20 is performed. Thereby completing the entire construction process for the guard rail 10.

이처럼 하나의 이단차동시항타정(50)으로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 등에 대한 동시 타격으로 지반에 대한 시설 시공이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며, 시설된 상태에 있어서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 등은 다음과 같이 시설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acility construction for the ground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simultaneous strike of the strut 13 and the ground support force supporting bar 20 with the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ablet 50. In the installed state,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20), etc. are provided as follows.

즉 상기 지주(13)는, 지상으로 650mm 내지 750mm로 돌출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mm로 시설되면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에 대한 안전에 도움이 된다.That is, the strut 13 protrudes from the ground to 650 mm to 750 mm. More preferably, when installed at 700 mm, it is safe for a vehicle traveling on the road.

그리고 상기 지상지지력보강대(20)는, 외경이 145mm 내지 155mm이고, 두께가 4mm 내지 5mm로 이루어지며, 지상으로 400mm 내지 500mm로 돌출되는 것이다. 특히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지상으로 450mm로 돌출됨으로써 전방에 시설되는 가드레일바(11) 등에 의해 지상지지력보강대(20) 상부가 가려져 전체적으로 일관된 지주가 시설된 것으로 보여 전체 미관이 양호하게 된다. 그러면서도 지주(13)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has an outer diameter of 145 mm to 155 mm and a thickness of 4 mm to 5 mm and protrudes from the ground to 400 mm to 500 mm. In particular, since the ground supporting force 20 is protruded to 450 mm above the g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s covered by the guard rail bar 11 or the like provided at the front. The support for the column 13 is reinforced.

아울러 이러한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동시에 함께 타격할 수 있는 상기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상측의 중앙지주항타부(53)와 하측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 사이를 이어주는 파이프 형상의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를 포함하고,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의 내부 길이는 200mm 내지 300mm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히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의 내부 길이는 시설된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 사이의 높이 차이가 되는 것이며, 이에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의 내부 길이가 250mm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 50 capable of simultaneously striking the column 13 and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bar 20 is provided with an upper central portion main portion 53 and a lower lower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And the inner length of the support rib spacing pipe 54 is 200 mm to 300 mm. Particularly, the internal length of the spacing pipe 54 of the supporting ribs is a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supporting pillars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s 20, and the internal length of the supporting rib spacing pipes 54 is preferably 250 mm Do.

그리고 지주(13)의 외경과 지상지지력보강대(20) 내경 사이의 틈새간격(d)은 1.5mm 내지 2.5mm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clearance d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lumn 13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base 20 is 1.5 mm to 2.5 mm.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용 지주에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기 위해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이단차동시항타정(50)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마련된다.In order to attach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to the guardrail support pill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step differential support tabs 50 striking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are described as follows.

즉 상기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중앙 안쪽 상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중앙지주항타부(53)와, 중앙지주항타부(53)에 대해서 아래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원형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 등을 구비한다.That is, the two-stage differential-driving tablet 50 includes a central-land main-tang portion 53 formed on the upper center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circular bottom-bottom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provided on the lower edge of the central- And the like.

또한 상측의 중앙지주항타부(53)와 하측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 사이를 이어주는 파이프 형상의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 그리고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항타장비 일측이 결합되는 항타장비결합부(51)를 포함하는 것이다.A pipe-shaped support rib spacing pipe 54 for connecting the upper-side central-landing main portion 53 and the lower-end ground supporting-force reinforcing ridge portion 52 on the upper side, and a hoeing device And a coupling portion 51.

이처럼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높은 위치의 중앙지주항타부(53) 및 낮은 높이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한 이단차로 이루어져, 지주(13)를 높은 위치의 중앙지주항타부(53)에 의한 타격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한 타격을 통해 동시에 항타작동을 이루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ablet 50 is composed of a two-stage car made of a high-position central-landing tab 53 and a low-height bottom-land holding force reinforcing tab 52, 5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re struck at the same time through striking by the lower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52. [

그리고 상기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의 내부 길이는 200mm 내지 300mm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mm를 이루는 것이다.The inner length of the rib support ribs 54 is 200 mm to 300 mm, and more preferably 250 mm.

이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에 대해 도 32 내지 도 38 등에서와 같이 차량의 실제 충돌시험에서도 대형차량이나 소형차량이라도 가드레일에 으ㅢ한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여 차량 파손을 방지하고 운전자를 보호하게 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S. 32 to 38, the guard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vehicle from falling off the guard rail even in the case of a large vehicle or a small vehicle, It can be seen that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10 : 가드레일 11 : 가드레일바
12 : 전면보강바 13 : 지주
20 : 지상지지력보강대 21 : 지반삽입영역
22 : 지상부영역 30 : 보강대실링수단
31 : 지주커버부 32 : 보강대커버부
33 : 실링몸체 34 : 실링삽입부
50 : 이단차동시항타정
10: Guard rail 11: Guard rail bar
12: front reinforcing bar 13: holding
20: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1: ground penetration area
22: overhead area 30: reinforcing bar sealing means
31: column cover part 32: reinforcing bar cover part
33: sealing body 34: sealing insertion part
50: Two-stage differential porting

Claims (7)

가드레일용 지주에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는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에 있어서,
가드레일 시공위치에 가드레일용 지주(13)를 위치시키는 지주준비단계(S10);
가드레일 시공위치에 지주(13)의 지지력보강을 위한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위치시키는 지상지지력보강대준비단계(S20);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내부로 지주(13)를 삽입시키고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시설위치에 위치시키는 지주지지력보강대위치단계(S30);
길이가 짧은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로 길이가 긴 지주(13)의 상측이 돌출되고, 지주(13)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저부가 지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지주(13)의 상부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위치시키는 이단차동시항타정위치단계(S40);
이단차동시항타정(50)과 결합된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이 지주(13)의 상부를 타격하여 지주(13)의 하측이 지반으로 삽입되는 지주항타단계(S50);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이단차동시항타정(50)이 지주(13)를 타격하여 이단차동시항타정(50)의 아래부분에 길이가 짧은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가 접한 상태에서,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지주(13)와 함께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를 이단차동시항타정(50)에 의한 타격으로 지주(13)와 함께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하측이 지반으로 삽입되는 이단차동시항타단계(S60);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가 소정 깊이만큼 지반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로부터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제거하는 이단차동시항타완료단계(S70);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측 지주(13)에 가드레일바(11)를 결합시키는 이단차항타지상지지력보강시공완료단계(S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A method of reinforcing a holding force of a guardrail for coupling a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to a guardrail support,
A post preparing step (S10) of placing the guard rail support (13) at the guardrail installation position;
A ground supporting force augmenting step preparing step (S20) of placing a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rod 20 for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olumn 13 at a guard rail mounting position;
A strut supporting force ridge position step (S30) for inserting a strut (13) into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nd positioning the stru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t a facility position;
The upper side of the long strut 13 is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having a short length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trut 13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are positioned on the ground. A second-stage differential-driving-and-tabletting position step S40 for positioning the differential-driving differential gear 50 on the upper side;
A step S50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trut 13 is inserted into the ground by strik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t 13 by the operation of the hitching device coupled with the two-stage differential opening tablet 50;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end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two-stage differential porting tablet 50 by striking the supporting column 13 by the operation of the pivoting device, The low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long with the supporting column 13 by the impact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test plate 50 at the upper end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together with the column 13, Hoeing step S60;
Stage simultaneous hitching completion step (step (c)) for removing the two-stage differential pressure test fixture 50 from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2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13 and the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20 are inserted in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epth S70); And
A step S90 of finishing the supporting operation of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20 by coupling the guard rail bar 11 to the upper supporting post 13;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단차동시항타완료단계(S70) 이후,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저부가 지반에 삽입되고 상부가 지상으로 소정 높이만큼 노출된 상태에서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와 지주(13) 외면을 감싸는 보강실링수단(30)을 결합하는 보강실링수단결합단계(S80)를 포함하고,
상기 이단차동시항타단계(S60)에 있어서, 지주(13)의 상부는 이단차동시항타정(50)의 중앙 안쪽 상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중앙지주항타부(53)와 접하고, 지주(13) 외측을 감싸는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는 이단차동시항타정(50)의 아래 가장자리에 구비된 원형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와 접한 상태에서, 항타장비의 작동으로 이단차동시항타(50)의 중앙지주항타부(53)에 의해 지주(13) 상부를 타격하고, 이보다 낮은 높이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해 지상지지력보강대(20)의 상부를 동시에 타격하며,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높은 위치의 중앙지주항타부(53) 및 낮은 높이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한 이단차로 이루어져 지주(13)와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동시에 타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nd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exposed to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reinforcing sealing means joining step (S80) for joining the reinforcing sealing means (30)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t 13 is in contact with the center-toothed portion 53 which is formed flat on the upper center in the middle of the two-stage differential-driving tab 50 in the second-stage simultaneous saddle stitching step S60,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is in contact with the round bottom lower floor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52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double differential driving turret 5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20 is simultaneously hit by the lower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lower portion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portion 52,
The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let 50 is composed of a two-stage car made of a high-position central-landing tab 53 at a high position and a low-level bottom-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racket 52 at low height to simultaneously strike the strut 13 and the ground-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3)는, 지상으로 650mm 내지 750mm로 돌출되고,
상기 지상지지력보강대(20)는, 외경이 145mm 내지 155mm이고, 두께가 4mm 내지 5mm로 이루어지며, 지상으로 400mm 내지 500mm로 돌출되고,
상기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상측의 중앙지주항타부(53)와 하측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 사이를 이어주는 파이프 형상의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를 포함하고,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의 내부 길이는 200mm 내지 300mm로 이루어지며,
지주(13)의 외경과 지상지지력보강대(20) 내경 사이의 틈새간격(d)은 1.5mm 내지 2.5m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lumn 13 protrudes from the ground to 650 mm to 750 mm,
The ground supporting force supporting bar 20 has an outer diameter of 145 mm to 155 mm and a thickness of 4 mm to 5 mm and protrudes from the ground to 400 mm to 500 mm,
The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let 50 includes a pipe-shaped support rib spacing pipe 54 for connecting between an upper center-pipe main portion 53 on the upper side and a lower-upper-floor support force reinforcing bar 52 on the lower side, The pipe 54 has an internal length of 200 mm to 300 mm,
Wherein the gap (d)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lar (13)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base (20) is 1.5 mm to 2.5 mm.
지반에 고정된 지주 및 지주에 결합된 가드레일바를 포함한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지주 일측을 내부에 포함하고 지반에 일부가 삽입되어 가드레일의 지반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상지지력보강대가 구비되고,
상기 지상지지력보강대는:
저부가 지반에 삽입되어 매입되는 지반삽입영역; 및
상부가 지반에서 상향의 지상으로 돌출되는 지상부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 및 지상지지력보강대는 이단차동시항타정에 의한 동시 타격으로 지반에 삽입되어 시설되며,
상기 지주 상부와 지상지지력보강대의 상부는 200mm 내지 300mm 간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돌출형 지상지지력보강대가 구비된 가드레일.
A guardrail including a guardrail bar coupled to a pillar and a pillar fixed to the ground,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se which includes the one side of the supporting column and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ground to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guard rail against the grou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comprises:
A ground insertion area embedded in the ground at the bottom; And
Wherein the upper portion includes an overland reg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ground to the ground,
The support and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in the ground at the same time by simultaneous blowing due to the double-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strut and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bar are spaced 200 mm to 300 mm apart.
가드레일용 지주에 지상지지력보강대를 결합하기 위해 지주와 지상지지력보강대를 타격하는 이단차동시항타정(50)을 구비하고,
상기 이단차동시항타정(50)은,
중앙 안쪽 상부에 평평하게 형성된 중앙지주항타부(53);
중앙지주항타부(53)에 대해서 아래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원형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
상측의 중앙지주항타부(53)와 하측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 사이를 이어주는 파이프 형상의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 및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항타장비 일측이 결합되는 항타장비결합부(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용 이단차동시항타정.
(50) for hitting a support and a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ement bar to engage a ground support force reinforcement member with a guardrail support,
The two-stage differential test tablet (50)
A central paper main portion 53 formed flat on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inside;
A lower bottom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provided at the lower edg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land counterpart 53;
A pipe-shaped support rib spacing pipe 54 for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center-portion main-pipe portion 53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portion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on the lower side; And
And a hitching device coupling part (51) to which one side of the hitching device is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제 5항에 있어서,
높은 위치의 중앙지주항타부(53) 및 낮은 높이의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한 이단차로 이루어져, 지주(13)를 높은 위치의 중앙지주항타부(53)에 의한 타격 및 지상지지력보강대(20)를 하단지상지지력보강대항타부(52)에 의한 타격을 통해 동시에 항타작동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용 이단차동시항타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1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ground supporting portion 53 20) is actuat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hitting by the lower ground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portion (52). The two-stage simultaneous hanger guard rails are supported by a differential pressure port for reinforcing.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보강대간격파이프(54)의 내부 길이는 200mm 내지 300mm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단차 동시항타 가드레일 지지력보강 시공용 이단차동시항타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inner length of the support rib spacing pipe (54) is 200 mm to 300 mm.
KR1020140062978A 2014-05-26 2014-05-26 Method for constructing for guardrail and two stage piling chisel KR2015013587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978A KR20150135870A (en) 2014-05-26 2014-05-26 Method for constructing for guardrail and two stage piling chis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978A KR20150135870A (en) 2014-05-26 2014-05-26 Method for constructing for guardrail and two stage piling chis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870A true KR20150135870A (en) 2015-12-04

Family

ID=5486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978A KR20150135870A (en) 2014-05-26 2014-05-26 Method for constructing for guardrail and two stage piling chi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587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6810A (en) * 2019-04-30 2019-08-09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Wave plate is installed on the positioning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fence uprigh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6810A (en) * 2019-04-30 2019-08-09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Wave plate is installed on the positioning devi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fence upright
CN110106810B (en) * 2019-04-30 2021-01-0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Positioning device for mounting corrugated plate on guardrail upright pos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28B1 (en) Guardrail
KR101066918B1 (en) Fixing device of post for guide rail
JP5962991B2 (en) Guard fence and installation method of guard fence
KR101198826B1 (en) Impact absorption intension guard fence
KR101344082B1 (en) Guard rail for reinforced pos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20587B1 (en) Equipped with a guard rail holding plate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036416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guardrail
KR20130013301A (en) A pillar support structure for guardrail
KR101253076B1 (en) Reinforcement guardrail combines the guard beam and reinforcement guardrail construction method
KR20150135870A (en) Method for constructing for guardrail and two stage piling chisel
CN206052547U (en) A kind of bridge-collision-avoidance hurdle
KR101452315B1 (en) Open double guard rail
KR101134563B1 (en) Guard rail
US20190242080A1 (en) A transition barrier for connecting a permanent barrier to a temporary barrier
KR20120007395A (en) Guard rail structure with improved impact absorption and shape resilent properties
KR20150108593A (en) Guardrail with fortifying apparatus of supporting force, method for constructing for guardrail and sealing apparatus for guardrail
KR101425733B1 (en) Guard rail structure having reinforced earthing power and high impact resistance, attachment for excavator and the method to build guard rail thereof
KR101854818B1 (en) Guard rai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high tensile square net and absorbing bump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76992B1 (en) Apparatus for fortifying supporting force, cushion device for guardrai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or guardrail
KR101458782B1 (en) Driving pipe apparatus for fortifying supporting force for guardrai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of fortifying supporting force for guardrail's support using driving pipe apparatus
KR101235823B1 (en) Safety fence for vehicle with impact absorption function
KR101611344B1 (en) Guardrail for a bridge
KR102127948B1 (en) median strip for road
KR102513935B1 (en) Road fence equipped with billboards
KR101835861B1 (en) High intensity impact absorbing guard rail with improved impact absorbing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