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620A -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620A
KR20150131620A KR1020140058540A KR20140058540A KR20150131620A KR 20150131620 A KR20150131620 A KR 20150131620A KR 1020140058540 A KR1020140058540 A KR 1020140058540A KR 20140058540 A KR20140058540 A KR 20140058540A KR 20150131620 A KR20150131620 A KR 20150131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information
supply source
customer
inven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863B1 (ko
Inventor
이재건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툴링
주식회사 인더스랩
주식회사 글로툴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툴링, 주식회사 인더스랩, 주식회사 글로툴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코리아툴링
Priority to KR102014005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86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1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공구들의 재고정보 분만 아니라 회사가 공구를 공급받는 공급처의 재고정보까지도 취합하여 관리하여 거래처에게 알려주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공구 재고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공급처로부터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고, 거래처가 접속한 경우에 거래처로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는 공구 재고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공급처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공구 재고정보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DB에 저장하는 재고정보 입력부;와 상기 거래처로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는 공구 재고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공급처와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공급처에서 제공하는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거래처의 공구 재고정보의 접근을 인증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Tool inven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구 재고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특히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재고정보뿐만 아니라 회사가 공급처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공구 재고정보까지 관리하여 거래처로 제공할 수 있는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구(tools)는 기계공작을 하는 과정에서 작동기계의 보조역할을 하는 도구를 말한다. 이러한 공구의 종류에는 바이트, 밀링커터 등과 같은 절삭공구, 연삭숫돌차 등과 같은 연삭공구, 금긋기바늘, 줄 등과 같은 손다듬질용 공구, 버니어 캘리퍼스, 각종 게이지 등과 같은 계측기, 스패너 등과 같은 손작업용 공구 및 목재재료를 가공하는 목공예용 공구 등이 있다.
이러한 공구들은 대략 120만여 품목이 있으므로 이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공구를 판매하는 대부분의 회사는 소규모 규모로 약 2~3만 가지 이상의 공구만을 관리하고 판매하기 때문에 실제 공구를 구매하고자하는 거래처에게 보다 다양한 공구정보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회사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공구들의 재고현황만을 거래처에게 제공할 수 있어 거래처가 원하는 공구가 회사에 없는 경우에는 거래처가 다른 회사로 거래를 옮길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KR 10-2011-0130696 인 '공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공구들을 다수 및 다종의 공구별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그 데이터베이스(DB)를 이용하여 공구를 관리하는 공구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특징이 기술되어 있으나, 이 역시 단지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공구들의 재고정보만을 거래처에게 알려주는 것에 불과하여 보다 다양하고 많은 공구들의 재고정보를 거래처에게 알려줄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공구들의 재고정보 분만 아니라 회사가 공구를 공급받는 공급처의 재고정보까지도 취합하여 관리하여 거래처에게 알려주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구 재고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공급처로부터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고, 거래처가 접속한 경우에 거래처로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는 공구 재고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공급처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공구 재고정보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DB에 저장하는 재고정보 입력부;와 상기 거래처로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는 공구 재고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공급처와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공급처에서 제공하는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거래처의 공구 재고정보의 접근을 인증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거래처에 상응하여 제공하는 공구 재고정보의 단계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설정된 정보에 상응하는 공구 재고정보만을 상기 거래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거래처에 따라 인증 단계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처가 B2B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에 해당 B2B 시스템에 접속하여 B2B 시스템에 맞는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거래처에 직접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공급처가 B2B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처로부터 수신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가 있는 경우에 수신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상기 DB에 저장한 후에 거래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a) DB(DATABASE)에 공구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b) 거래처로부터 공구 재고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c) 거래처를 인증하는 단계;와 d)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공급처의 해당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공급처의 B2B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e)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공급처로부터 제공받은 공구 재고정보를 분석하여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포맷에 맞게 공구 재고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f) 상기 DB 및 상기 공급처의 B2B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구 재고정보를 상기 거래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구 재고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거래처의 등급에 따라 인증절차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거래처의 등급에 따라 제공하는 공구 재고정보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래처에게 회사가 제공가능한 모든 공구들의 재고정보를 알려줌으로써 거래처가 원하는 공구들의 재고 현황을 알 수 있도록 하여 거래처는 원하는 공구의 재고 현황을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구 판매자인 회사가 보다 많은 공구 아이템들을 거래처에 제공할 수 있어 거래처로부터 신임도가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공구 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공구 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1번 및 2번 또는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회사란 공구를 판매하는 공구 판매사를 의미하고 공급처는 회사에게 공구를 공급하는 공구 제조사 또는 대형 공구 공급사를 의미하고 거래처는 회사로부터 공구를 구매하는 구매자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회사에서 구매하여 판매하고 있는 모든 공구들의 재고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하고 있는 공구 재고정보를 거래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회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고 물품의 정보뿐만 아니라 회사에 공구를 제공하는 공급처(200)가 보유하고 있는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거래처(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회사에서 현재 보유하고 있어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에 저장되어 있는 공구 재고정보를 거래처에 제공함을 물론, 현재 회사에는 보유하고 있지는 않으나 공급처(200)에 요청하여 공급처(2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처(200)가 보유하고 있는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까지도 거래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현재 회사에 보유하고 있는 공구들의 재고정보를 DB(160)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어 공구 재고정보를 실시간으로 거래처에 제공할 수 있으며, B2B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자체적으로 공구들의 재고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공급처(200)인 경우에는 해당 공급처의 B2B 시스템에 접속하고 해당 공급처(200)의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거래처(300)에 실시간으로 더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공급처(200)로부터는 해당 공급처가 보유하고 있는 공구들의 재고정보를 B2B 시스템이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해 획득하고 획득한 공구 재고 정보를 DB(160)에 저장한 후 거래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공급처(200)로부터는 획득하는 공구 재고정보는 각 공급처(200)마다 다른 포맷의 정보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수신한 공구 재고정보를 분석한 후,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DB(160)에 저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공구 재고관리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공급처(200)에 접속하는 경우에도 해당 공급처의 공구 재고정보를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의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DB(160)에 저장하고 있다가 거래처(3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거래처(300)를 등급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거래처의 등급에 따라 인증 절차를 달리하여 인증단계에 따라 공구 재고정보를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실적이 좋고 거래횟수가 많은 거래처(300)인 경우에는 등급을 좋게 주어 인증 절차를 간단히 하고 공구 재고정보를 보다 많이 제공하고, 거래 실적이 얼마 없고 거래 횟수도 적은 거래처(300)인 경우에는 등급을 낮게 주어서 인증 절차도 철저히 하고 공구 재고정보도 제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재고정보 입력부(120), 인증부(130), 제어부(140), 설정부(150) 및 DB(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유무선 통신을 통해 공급처(200)의 B2B 시스템에 접속하여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고, 거래처(300)가 접속한 경우에 거래처(300)로 DB(160)에 저장되어 있는 공구 재고정보 및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통신부(110)는 공급처와 통신을 수행하는 공급처 통신부(111)와 거래처와 통신을 수행하는 거래처 통신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재고정보 입력부(120)는 공급처(200)로부터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한 공구 재고정보를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에서 관리하는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DB(160)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공급처(200)로부터 수신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시스템의 관리자의 수작업을 통해 DB(160)에 저장할 수도 있고, 재고정보 입력부(10)를 통해서 자동적으로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되어 DB(16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엑셀 시트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해당 엑셀 시트에 포함된 단어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단어와 일치하는 공구의 재고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공구의 재고정보를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에서 이용하는 데이터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인증부(130)는 거래처(300)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거래처(300)가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인증부(130)는 거래처(300)에 따라 인증 단계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래 실적이 좋고 거래횟수가 많은 거래처(300)인 경우에는 인증 단계를 간단히 하고, 거래 실적이 얼마 없고 거래 횟수도 적은 거래처(300)인 경우에는 인증을 몇 단계를 거치도록 하여 인증이 확실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간단한 공구 재고정보만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인증 없이 모든 거래처(300)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거래처(300)가 공구 재고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 DB(160)에 저장되어 있는 공구 재고정보를 거래처(300)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거래처가 요구하는 공구 재고정보가 DB(16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공급처(200)의 재고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공급처(200)의 공구 재고정보를 확인하고 공급처(200)가 제공하는 해당 공구의 재고정보를 거래처(300)에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공급처(200)에 재고정보를 처리하는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처(200)로부터 공급처 재고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B2B 시스템을 통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신(예를 들어 메일이나 우편 등)하여 저장하고 있던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분석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에 맞도록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변환하여 DB(1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공구의 정보와 비록 회사가 현재 보유하고 있지는 않으나 공급처(200)가 보유하고 있어 단기간 내에 공급처(200)로부터 획득하여 거래처(300)로 제공할 수 있는 공구들의 정보를 거래처(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인중부(130)를 통해 인증된 거래처(300)의 인증단계에 따라 거래처(300)에게 제공하는 재고정보의 수준을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40)는 거래처(300)가 주요 거래처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보다 많고 상세한 공구 재고정보를 해당 거래처(300)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주요 거래처가 아닌 경우에는 제공하는 공구 재고정보를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설정부(150)는 회사가 거래하는 거래처(300)가 복수개 있는 경우에 각 거래처(300)마다 제공받을 수 있는 공구 재고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다.
이렇게 설정부(150)에 거래처가 제공받을 수 있는 공구 재고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40)는 설정부(150)에 설정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거래처(300)에 특화된 공구 재고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DB(160)는 회사에서 제공하는 모든 공구 재고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회사에서는 보유하고 있지는 않으나 공급처(2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공구들의 재고정보를 더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DB(160)는 전세계에서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는 모든 공구들의 정보를 DB화 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회사 및 공급처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공구들의 정보를 DB(160)에 저장되어 있는 전세계에서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는 모든 공구들의 정보와 비교하여, 회사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공급처(200)로부터도 공급받을 수 없는 공구들의 정보를 추출하여 거래처(300)로 알려 줄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공구 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S100 단계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공구 재고정보를 DB(16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S110 단계는 거래처(300)가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공구 재고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거래처(200)로부터 공구 재고정보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S120 단계는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이 접속한 거래처(300)를 인증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거래처(300)에 따라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는데 해당 아이디 마다 인증단계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주요 거래처인 경우에는 인증단계가 간편한 아이디를 부여하고 주요 거래처가 아닌 경우에는 인증단계가 상대적으로 복잡한 아이디를 부여할 수 있다.
S130 단계는 거래처 인증단계가 끝난 후에 거래처(300)로 보다 많은 재고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공급처(200) 중에서 자체적으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공급처를 구분하는 단계이다.
S140 단계는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공급처(20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S150 단계는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공급처로부터 B2B 시스템을 통해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와 DB(160)에 저장하고 있는 공구 재고정보를 거래처(200)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S160 단계는 S130 단계에서 판단 결과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공급처인 경우에 해당 공급처로부터 수신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처(200)로부터 메일 등으로 수신한 정보를 의미한다.
S170 단계는 S160 단계에서 판단결과 공급처로부터 수신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분석하여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에서 이용하고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DB(16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S180 단계는 DB(160)에 저장되어 있는 공구 재고정보를 거래처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DB(160)에 저장되어 있는 공구 재고정보는 회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모든 공구들의 재고 정보와 공급처(200)로부터 수신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로부터 추출하여 DB(160)에 저장한 공구 재고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공구 재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S200 단계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공구 재고정보를 DB(16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S210 단계는 회사가 공구를 공급받는 복수개의 공급처(200) 중에서 자체적으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관리하고 있는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공급처를 구분하는 단계이다.
S220 단계는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공급처(20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S230 단계는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공급처로부터 B2B 시스템을 통해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S240 단계는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공급처인 경우에 해당 공급처로부터 수신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처(200)로부터 메일 등으로 수신한 정보를 의미한다.
S250 단계는 수신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분석하여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에서 이용하고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S260 단계는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에서 이용하고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DB(16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S270 단계는 거래처(300)가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공구 재고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S280 단계는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이 접속한 거래처를 인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거래처의 등급에 따라 인증단계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S290 단계는 거래처 인증이 완료된 후에 거래처 등급에 맞는 공구 재고 정보를 DB(160)로부터 추출하여 거래처(200)로 제공하는 단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시예로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고 있는 공구 재고정보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의 품목은 공구의 종류를 의미하고 규격은 해당 공구의 규격, 제조사는 해당공구를 제조한 회사, 수량은 현재 회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해당 공구의 개수를 의미한다.
또한, 공급처 보유 현황은 회사가 공구들을 공급받는 공급처들이 보유하고 있는 해당 공구의 재고 개수를 의미한다.
도5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1번 품목의 공구에 대해서 현재 회사의 보유 개수는 500개이고 공급처A가 보유하고 있는 개수는 1000개이고, 공급처B가 보유하고 있는 개수는 0 개이고, 공급처C가 보유하고 있는 개수는 2000개이고, 공급처D가 보유하고 있는 개수는 0개이다.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공구 재고정보를 내부적으로는 도5와 같이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재고정보와 공급처(200)의 재고정보를 구분하여 관리하나, 거래처(300)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회사가 공급처(2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모든 재고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한다.
예를 들면, 품목 3에 해당하는 공구는 회사가 보유하고 있지는 않으나 공급처B의 재고 수량이 3000개이고 공급처D의 재고 수량이 1000개이므로 회사는 공급처로부터 모두 4000개의 해당 공구를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100)은 거래처(300)에게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품목 3에 해당하는 공구의 재고 수량이 4000개라고 표시하여 제공한다.
또한, 품목 4 를 예로 들면,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해당 공구의 재고 수량은 100개이나 공급처A의 재고 수량이 300개이고 공급처C의 재고 수량은 400개이고 공급처D의 재고 수량은 500개이므로 거래처(200)에게 제공되는 품목 4의 재고정보 수량은 1300개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공급처 보유 현황을 공급처를 기준으로 A,B,C,D 로 구분할 수도 있고, 회사로 공구를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시간을 기준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는 회사가 주문 후 1일 이내에 해당 공구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창고를 의미하고, B는 회사가 주문 후 2일 이내에 해당 공구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창고를 의미하고, C는 회사가 주문 후 3일 이내에 해당 공구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창고를 의미하고, D는 회사가 주문 후 4일 이내에 해당 공구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창고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110 : 통신부
120 : 재고정보 입력부
130 : 인증부
140 : 제어부
150 : 설정부
160 : DB(DATABASE)
200 : 공급처
300 : 거래처

Claims (7)

  1. 공구 재고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DATABASE);
    유무선 통신을 통해 공급처로부터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고, 거래처가 접속한 경우에 거래처로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는 공구 재고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공급처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공구 재고정보를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DB에 저장하는 재고정보 입력부;
    상기 거래처로 상기 DB에 저장되어 있는 공구 재고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공급처와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공급처에서 제공하는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거래처의 공구 재고정보의 접근을 인증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거래처에 상응하여 제공하는 공구 재고정보의 단계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설정된 정보에 상응하는 공구 재고정보만을 상기 거래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거래처에 따라 인증 단계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처가 B2B 시스템을 구축한 경우에 해당 B2B 시스템에 접속하여 B2B 시스템에 맞는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거래처에 직접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공급처가 B2B 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처로부터 수신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가 있는 경우에 수신한 공급처 공구 재고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상기 DB에 저장한 후에 거래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5. a) DB(DATABASE)에 공구 재고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 거래처로부터 공구 재고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거래처를 인증하는 단계;
    d)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공급처의 해당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공급처의 B2B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구 재고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e) B2B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공급처로부터 제공받은 공구 재고정보를 분석하여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포맷에 맞게 공구 재고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f) 상기 DB 및 상기 공급처의 B2B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공구 재고정보를 상기 거래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구 재고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거래처의 등급에 따라 인증절차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재고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거래처의 등급에 따라 제공하는 공구 재고정보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재고 관리 방법.
KR1020140058540A 2014-05-15 2014-05-15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1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40A KR101691863B1 (ko) 2014-05-15 2014-05-15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540A KR101691863B1 (ko) 2014-05-15 2014-05-15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620A true KR20150131620A (ko) 2015-11-25
KR101691863B1 KR101691863B1 (ko) 2017-01-02

Family

ID=5484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540A KR101691863B1 (ko) 2014-05-15 2014-05-15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165B1 (ko) 2021-06-01 2022-01-17 김미경 공구 재고관리 시스템
KR102486008B1 (ko) 2021-07-15 2023-01-09 주식회사 에이더블유시스템즈 재고 정보 처리 방법 및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581A (ko) * 2000-02-09 2002-09-27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판매 관리 방법, 판매 관리 시스템 및 상품 판매 시스템
KR20110130696A (ko) * 2010-05-28 2011-12-06 김성희 공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581A (ko) * 2000-02-09 2002-09-27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판매 관리 방법, 판매 관리 시스템 및 상품 판매 시스템
KR20110130696A (ko) * 2010-05-28 2011-12-06 김성희 공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863B1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70267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02844718B (zh) 透镜加工管理系统
US10740811B2 (en) Application sales management server systems and method
TWI391870B (zh) 購買操作系統、購買操作處理方法及購買操作處理程式產品
JP2013546079A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のサーバ
CN105761000A (zh) 交易数据处理及风险预警系统和方法
KR101691863B1 (ko) 공구 재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056972A (ja) 製造発注支援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035143A1 (en) Application sales management server system, application sales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controller, and distribution controller
WO2018179284A1 (ja) 企業グループ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155129B2 (ja) 文書分類器のパラメータを調整する文書分類装置及び方法
US20190028457A1 (en) Application sales management server system
CN109800933A (zh) 风险评估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KR102484378B1 (ko) 신뢰도 기반의 기계 견적 의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364122A (zh) 信息管理系统、服务器、信息管理方法以及记录介质
KR20010093522A (ko) 인터넷을 이용한 디자인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32067B1 (ko) 운영규칙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소품 조합 기능을 가지는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JP7335754B2 (ja) 市場対応案件管理制御装置、市場対応案件管理制御プログラム
JP7291036B2 (ja) 市場対応案件管理制御装置、市場対応案件管理制御プログラム
KR20140119305A (ko)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및 시뮬레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 디자인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비즈니스 모델 및 스마트 디자인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210000984A (ko) 주식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방법
CN115170040B (zh) 一种资产目录动态更新方法及系统
JP7335755B2 (ja) 市場対応案件管理制御装置、市場対応案件管理制御プログラム
KR102492265B1 (ko) 기계 거래의 견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114639A (ja) 検査証明書管理システム、検査証明書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