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683A -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0683A KR20150130683A KR1020140057558A KR20140057558A KR20150130683A KR 20150130683 A KR20150130683 A KR 20150130683A KR 1020140057558 A KR1020140057558 A KR 1020140057558A KR 20140057558 A KR20140057558 A KR 20140057558A KR 20150130683 A KR20150130683 A KR 201501306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 inlet
- housing
- food processor
- food wast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4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식물 처리기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누름 스위치를 이용하여 싱크대 밑에 설치된 리드스위치와의 접촉에 의해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몸체부에 공간부 또는 이격공간에 마련되기 때문에, 몸체부와 유입구의 돌출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부가 유입구 내부까지 삽입되어 음식물을 누를 수 있기 때문에, 절단부 위에 놓인 음식물이 절단부 위에서 겉돌지 않고, 신속하게 절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누름 스위치가 구비되는 돔과; 상기 돔과 연결되며 음식물 처리기의 입구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스위치와 싱크대 밑에 설치된 리드스위치와의 접촉에 의해 음식물 처리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식물 처리기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누름 스위치를 이용하여 싱크대 밑에 설치된 리드스위치와의 접촉에 의해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몸체부에 공간부 또는 이격공간에 마련되기 때문에, 몸체부와 유입구의 돌출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부가 유입구 내부까지 삽입되어 음식물을 누를 수 있기 때문에, 절단부 위에 놓인 음식물이 절단부 위에서 겉돌지 않고, 신속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연간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약 550만톤 이상으로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약 2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약 4천억원 이상 발생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은 국민 부담으로 고스란히 돌아가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하는 일반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는 철저하게 분리 수거하여 배출하고 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는 자원 재활용과 침출수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와, 효과적인 수거 및 자원화 시설로의 이송을 위해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여서 물기가 없는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가정에서 발생 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양과 수분이 많아 부패하기 쉽고, 분리수거가 용이하지 않으며, 재활용을 위해 자원화 시설로 이송 시 비용이 많이 들고, 침출수로 인한 환경오염 발생과 주거환경 위생 등에서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중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수분을 제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가 많이 시판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분이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뿐만 아니라, 미생물로 발효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도 많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에 관한 기술은 등록특허 10-0781109호에 그 기술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렇게 종래에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기술은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해 장시간 건조를 실시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오랜 시간 작동될 경우에 건조 효율은 좋아지나 그에 따른 전기세가 증가 되어 사용자의 요금 부담이 증가 되고,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또 다른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특정 시간 동안 기다리거나, 건조가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 상에 추가로 젖은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하여 건조를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또한, 갑작스런 정전이 발생할 경우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자체 전원은 차단되어 안전하나,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중지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가 이루어지게 되어 심한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재가동 시킬 때 까지 그대로 방치된 상태로 있는 방법 이외에는 다른 대처 방안이 없어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식물 처리기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누름 스위치를 이용하여 싱크대 밑에 설치된 리드스위치와의 접촉에 의해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몸체부에 공간부 또는 이격공간에 마련되기 때문에, 몸체부와 유입구의 돌출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부가 유입구 내부까지 삽입되어 음식물을 누를 수 있기 때문에, 절단부 위에 놓인 음식물이 절단부 위에서 겉돌지 않고, 신속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누름 스위치가 구비되는 돔과; 상기 돔과 연결되며 음식물 처리기의 입구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스위치와 싱크대 밑에 설치된 리드스위치와의 접촉에 의해 음식물 처리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부는 일단부에 마련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에서 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는 음식물 처리기에 마련되는 유입구에 형성된 돌출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누름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누름판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누름판의 이격공간은 음식물 처리기에 마련되는 유입구에 형성된 돌출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음식물 처리기의 유입구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음식물을 작은 덩어리로 변화시키는 돌출부와 간섭을 피하면서, 돌출부와 함께 음식물을 작은 덩어리로 분해하고, 유입구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들어갈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에 의하면, 음식물 처리기와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도, 누름 스위치를 이용하여 싱크대 밑에 설치된 리드스위치와의 접촉에 의해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몸체부에 공간부 또는 이격공간에 마련되기 때문에, 몸체부와 유입구의 돌출부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부가 유입구 내부까지 삽입되어 음식물을 누를 수 있기 때문에, 절단부 위에 놓인 음식물이 절단부 위에서 겉돌지 않고, 신속하게 절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음식물 처리기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음식물 처리기의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4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누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누름부재가 유입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누름 부재의 누름스위치와 리드스위치가 접촉하여 음식물 처리기가 작동되는 일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음식물 처리기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음식물 처리기의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4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누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누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누름부재가 유입구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누름 부재의 누름스위치와 리드스위치가 접촉하여 음식물 처리기가 작동되는 일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1)의 외관은 입구 하우징(100)과, 본체 하우징(200)과, 용기부(300)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 하우징(100)은 처리 대상이 되는 음식물이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 하우징(200)은 그 내부에 음식물을 절단하는 절단부(도 2, 3참조, 210)와, 절단된 음식물을 이송하는 이송부(도 2참조, 220)가 수용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200)은 절단된 음식물에서 나온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도시안됨)와,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송풍부(25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용기부(300)는 이송부(200)에 의하여 이송된 음식물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이 된다.
한편, 상기 본체 하우징(200) 일측에는 상기 절단부(210)나 이송부(220)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400)이 설치된다.
입구 하우징(100)에는 음식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된다.
유입구(110)의 중앙에는 음식물이 한꺼번에 많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설치된다.
즉, 유입구의 중앙부를 향하여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111)가 마련된다.
돌출부(111)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고, 마주보게 형성된다.
돌출부(111) 사이의 공간은 다른 공간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11)에는 금속이나 단단한 재질의 강도 보강부(112)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구에 큰 부피의 음식물을 넣고 누르면, 해당 음식물이 돌출부(111) 및 강도 보강부(112)와 접촉하고, 결국은 분리되거나, 일정 부분 부서진다.
따라서, 많은 양의 음식물이 한꺼번에 유입되어 절단부를 막거나, 큰 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음식물 처리기의 사용 중에 손이 유입구(110)에 들어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해 주고, 강도 보강부(112)의 길이를 길게 혹은 짧게 설치하여 음식물 투입량을 조절해 준다.
한편, 사용자가 입구에 음식물을 넣고 절단이 잘되도록 리모컨 겸용 누름 부재(500)가 마련된다.
리모컨 겸용 누름부재(500)의 일단부는 돔(510) 형태로 마련되고, 돔(510)의 단부에는 누름스위치(520)가 마련되고, 그 반대편에는 개방부(530)가 마련된다.
그 측면에는 개방부(530)에서 연결된 공간부(531)가 마련된다.
공간부(531)에 의하여 개방부(530) 테두리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530) 테두리의 공간은 상기 돌출부(111)의 형상에 대응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모컨 겸용 누름부재(50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누르면 그 단부가 유입구(110) 깊숙이 들어가고,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절단부(2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돔(510) 부분을 싱크대 상판, 즉 싱크대 상판 밑에 리드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는 부위에 접촉시키면 음식물 처리기(1)가 작동된다.
이는 원격으로 음식물 처리기(1)를 제어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본체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동작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각종 스위치부(600)가 마련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위에서 본 것이고, 도 3은 아래에서 본 것이다.
입구 하우징(100)의 아래에는 음식물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 하우징(120)이 마련된다.
안내 하우징(120)은 입구 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형의 상부 결합부(121)와, 그 아래의 통로부(122)와, 그 아래의 하부 결합부(123)를 구비한다.
하부 결합부(123)는 제1본체 하우징(201) 내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 하우징(260)과 결합된다.
내부 하우징(260)은 제1내부 하우징(261)과, 제2내부 하우징(262)을 포함한다.
제1내부 하우징(261)은 제2내부 하우징(262) 내부에 수용되며, 제1내부 하우징(261)의 외벽과 제2내부 하우징(262)의 외벽은 일정 간격 이격된다.
제1내부 하우징(261)에는 2개의 회전 커터 어셈블리(211, 212)로 구현되는 절단부(210)가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내부 하우징(261)에는 회전 커터 어셈블리(211, 212)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2개의 지지공(2611, 2612)이 마련된다.
한편, 제1내부 하우징(261)의 일측에는 결합판(270)이 마련된다.
결합판(270)에는 회전 커터 어셈블리(211, 212)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한편, 타단부에 결합된 기어가 지지되는 지지공(271, 272)이 형성된다.
2개의 회전 커터 어셈블리(211, 212)가 상호 맞물려서 회전하여 음식물을 절단한다.
절단부(210)의 하부에는 이송부(220)가 마련된다.
이송부(22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이송 스크류로 구현된다.
이송부(220)의 일부는 내부 하우징(260)에 수용되고, 나머지는 그 바깥에 위치한다.
이송부(220)의 역할은 절단부(210)에서 절단되어 낙하한 음식물을 내부 하우징(260)의 바깥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송부(220)가 스크류로 구현되고, 이송부(220)가 회전하면, 음식물이 내부 하우징(260) 바깥으로 배출된다.
이송부(220)가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경우, 음식물이 이송부(220)와 내부 하우징(260) 사이에서 압착되어 수분이 제거된다.
음식물로부터 제거된 수분은 제1내부 하우징(261) 아래로 떨어지고, 제2 내부 하우징(262) 내부 하면에 고였다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외부로 배출된다.
음식물로부터 제거된 수분의 배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내부 하우징(261)과, 제2내부 하우징(262)에는 이송부(220)가 배치되는 이송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 공간의 일측에는 통공(2613, 2623)이 형성된다.
제1내부 하우징(261)의 하부에는 수많은 작은 구멍이 형성된 수분배출부(264)가 마련된다.
절단부(210)에 의하여 절단되거나, 이송부(2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음식물에서 수분이 빠져나올 수 있다.
이러한 수분은 수분 배출부(264)를 통해서 빠져나와서 제2내부 하우징(262)의 하부에 누적된다.
한편, 수분 배출부(264)의 구멍이 매우 작기 때문에, 절단된 음식물은 제2 내부 하우징(262) 하부로 이동하지 못한다.
안내 하우징(120), 내부 하우징(260), 스크류 하우징(290), 송풍부(250)는 본체 하우징(200) 내부에 수용된다.
본체 하우징(200)은 제1본체 하우징(201)과, 그 옆에 배치되는 제2본체 하우징(202)을 포함한다.
제2본체 하우징(201)의 아래에는 용기부(300)가 마련되는데, 제2본체 하우징(201)과, 용기부(300) 사이에는 결합링(30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본체 하우징(201)의 옆에는 모터 하우징(400)이 배치된다.
모터 하우징(400)에는 절단부(210)에 연결된 기어 및 이송부에 연결된 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가 배치된다.
제1내부 하우징(261)에 마련된 거름망 형태의 수분 배출부(264)와, 제2내부 하우징(262)의 집수 챔버(2624) 사이에는 이물질 제거 도구(280)가 마련된다.
이물질 제거 도구(280)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분 배출부(264)의 구멍에 끼여서 그 바깥으로 돌출된 이물질을 긁어내서 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집수 챔버(2624)와 배수 유로(2625) 사이에 이물질로 막혀 통수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두 가지 기능을 갖는다.
이물질 제거 도구(280)는 소정의 작동 로드나 봉과 같은 작동 도구(288)을 끼워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수분 배출부(264)의 외주면과 집수 챔버(2624)와 배수 유로(2625) 사이, 즉 채널부에서 직선운동을 한다.
이물질 제거 도구(280)의 외면의 일부는 수분 배출부(264)의 외주면에 직접 닿고, 일부는 채널부 중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물질 제거 도구(280)가 구멍에 끼여서 돌출된 이물질을 밀면 해당 이물질이 제거되고 막힌 구멍이 뚫릴 수 있고, 집수 챔버(2624)와 배수 유로(2625) 사이인 배수로를 뚫어 줄 수 있다.
한편, 통공(2613, 2623)을 통해서 이송부(220)의 일단부가 내부 하우징(26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송부(220)는 회전축(221)과, 회전축에 다단으로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222)와, 테이퍼지게 형성된 배출 스크류(223)로 구현된다.
회전축(221)의 일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그 부분에 기어부가 결합이 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222)는 다단 형태로 마련되고, 각각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는 나선 형태의 리브(2221)가 형성된다.
배출 스크류(223)는 그 외주면에 계단 형태의 나선형 단차부(2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차부(2231)에 의하여 배출 방향으로 음식물을 밀어낼 수 있다.
즉, 배출하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배출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60) 외부로 노출된 이송부(220)는 스크류 하우징(290)에 의하여 수용된다.
스크류 하우징(290)의 구성을 보면, 제1 스크류 하우징(291)과, 제2스크류 하우징(292)과, 제1, 2스크류 하우징(291, 292)을 결합시키는 결합노브(293)를 포함한다.
제1스크류 하우징(291)은 짧은 원통관 형상이고,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2911)이 형성된다. 이는 결합노브(293)와의 결합을 위함이다
제1스크류 하우징(291)에서 나사산이 없는 부분은 내부 하우징(260)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나사산(2911)이 있는 부분은 통공(2613, 2623)을 통하여 내부 하우징(260) 외부에 위치한다.
제2스크류 하우징(292)은 제1스크류 하우징(291) 내부에 그 일부가 수용된다.
제2스크류 하우징(292)은 그 직경이 일정한 삽입부(2921)와, 그 직경이 출구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진 원추형부(2922)를 구비한다.
삽입부(2921)와 원추형부(2922) 사이에는 걸림턱(2923)이 마련된다.
제2스크류 하우징(292)을 제1스크류 하우징(291)에 삽입하면, 삽입부(2921)는 삽입되지만, 걸림턱(2923)이 걸려서, 원추형부(2922)는 제1스크류 하우징(291) 외부로 노출된다.
그 상태에서 결합노브(293)를 제2스크류 하우징(292)에 끼우면, 결합 노브(293)는 걸림턱(2923)에 걸림과 동시에, 제1스크류 하우징(291)의 나사산(2911)에 결합된다.
이에 의하여, 스크류 하우징(290)이 내부 하우징(260)에 결합된다.
제2스크류 하우징(292)의 출구(2924)는 용기부(300)를 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이송부(220)에 의하여 이송된 음식물은 출구(2924)에서 빠져나와 용기부 안으로 최종적으로 쌓인다.
한편, 스크류 하우징(290) 위쪽에는 송풍부(250)가 마련된다.
송풍부(250)는 내부 하우징(260)에서 나와 용기부(300)에 쌓인 음식물이 부패하거나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수분의 경우, 하수구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배수 파이프(2627)를 따라 배출된다. 송풍부(250)는 악취가 수분과 함께 배수 파이프(2627)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송풍부(250)는 내부 하우징(260) 옆에 배치되는 팬 하우징(251)과, 팬 하우징 내부의 팬(252)과, 팬 하우징(251) 위에 배치되는 팬 모터(253)를 포함한다.
또한, 송풍부(250)는 팬 하우징(251)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송풍파이프(254)를 포함한다.
송풍파이프(254)는 체크 밸브(255)에 연결되고, 체크 밸브(255)는 제2내부 하우징(262)에 마련되는 배수 유로(2625)에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송풍팬(252)을 거쳐 송풍파이프(254), 체크 밸브(255)로 이동하는 바람은 배수 유로(2625)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체크 밸브(255)는 설거지를 안할 때는 송풍 압력에 의해 열려 건조를 위한 송풍이 배수 유로(2625)를 통해 하수구로 나가고, 설거지 하는 동안은 물의 압력에 의해 체크 밸브(255)가 닫혀 물이 송풍 파이프(254)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는 리모컨 겸용 누름부재(이하 '누름 부재'라고 한다)(5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와 도 4b는 누름 부재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에서 나타난 누름 부재의 제1실시예를 보면, 돔(510)과, 돔에서 연장되어 있는 몸체부(511)를 포함하고 있다.
몸체부(511)의 아래에는 개방부(530)가 마련되어 있고, 몸체부(511)의 측면에는 개방부(530)와 연통되어 절개된 형태의 공간부(531)가 마련된다.
몸체부(511)는 음식물 처리기의 유입구(110)에 삽입될 수 있는데, 이는 유입구(110)에 음식물에 용이하게 들어가서 절단되게 하기 위함이다.
다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10)에는 유입되는 음식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돌출부(111) 및 강도 보강부(112)가 마련된다.
사용자가 유입구(110) 위에 큰 음식물을 올려놓고, 누름부재(500)의 몸체부(511)의 끝으로 누르면, 그것이 압력을 받아서 음식물이 잘 절단되도록 도와준다.
다만, 몸체부(511)가 외주면이 막힌 원통이 된다면, 돌출부(111)와 간섭된다.
이러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공간부(531)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부재(500)를 누르면, 공간부(531)가 돌출부(111)를 지나가기 때문에 몸체부(511)가 소정 깊이 유입구(110)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한편, 돔(510)에는 누름 스위치(520)가 마련된다.
사용자가 몸체부(511)를 손으로 잡고, 돔(510) 부분의 누름스위치(520)를 싱크대 상판 밑에 부착되어 있는 리드스위치(521)에 대면 음식물 처리기(1)가 작동되고 돔(510)을 잡고 유입구(110)로 몸체부(511)를 밀어 넣으면 음식물이 압력을 받아 잘 절단된다. 즉, 누름부재(500)의 기능은 스위치 기능과 음식물을 누르는 기능을 갖는다(도 7 참조).
이는 음식물 처리기(1)의 동작을 원격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도 4b는 누름 부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돔(540)의 아래에 누름판(542)로 구현되는 몸체부(541)가 마련된다.
누름판(542)는 복수의 복수개가 마련되어 일측부는 상호 접합되어 있고, 타측부는 상호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판(542)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되는데, 이 이격공간은 유입구(110)의 돌출부(111)와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은 구조를 제외하고 그 기능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은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누름부재(500)를 유입구(110)에 넣는 경우, 공간부(531)에 돌출부(111) 및 강도 보강부(112)가 위치하여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누름부재(500)를 유입구(110)에 넣는 경우, 이격공간(531)에 돌출부(111) 및 강도 보강부(112)가 위치하여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기능이나, 효과는 도 5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500: 누름 부재
510, 540: 돔
511, 541: 몸체부 520: 누름 스위치
531: 공간부 542: 누름판
511, 541: 몸체부 520: 누름 스위치
531: 공간부 542: 누름판
Claims (4)
- 누름 스위치가 구비되는 돔과;
상기 돔과 연결되며 음식물 처리기의 입구에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스위치와 싱크대 밑에 설치된 리드스위치와의 접촉에 의해 음식물 처리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단부에 마련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테두리에서 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형성된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는 음식물 처리기에 마련되는 유입구에 형성된 돌출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누름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누름판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누름판의 이격공간은 음식물 처리기에 마련되는 유입구에 형성된 돌출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음식물 처리기의 유입구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음식물을 작은 덩어리로 변화시키는 돌출부와 간섭을 피하면서, 돌출부와 함께 음식물을 작은 덩어리로 분해하고, 유입구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들어갈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용 리모컨 겸용 누름 부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7558A KR101625994B1 (ko) | 2014-05-14 | 2014-05-14 |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7558A KR101625994B1 (ko) | 2014-05-14 | 2014-05-14 |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0683A true KR20150130683A (ko) | 2015-11-24 |
KR101625994B1 KR101625994B1 (ko) | 2016-05-31 |
Family
ID=5484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7558A KR101625994B1 (ko) | 2014-05-14 | 2014-05-14 |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599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86654B2 (en) | 2018-10-17 | 2022-03-29 | Squall E.M.T Ltd. | Waste disposer with embedded sprinkler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03644B2 (ja) * | 1992-01-30 | 2000-10-30 | 松下冷機株式会社 | 密閉型圧縮機 |
JP5325425B2 (ja) * | 2008-01-23 | 2013-10-23 | 浩一 新矢 | 生ゴミ処理装置 |
KR200453756Y1 (ko) * | 2009-09-04 | 2011-05-26 | 주식회사 대성아트론 | 주서기의 자유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주입봉 |
-
2014
- 2014-05-14 KR KR1020140057558A patent/KR10162599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86654B2 (en) | 2018-10-17 | 2022-03-29 | Squall E.M.T Ltd. | Waste disposer with embedded sprinkler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5994B1 (ko) | 2016-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2941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625989B1 (ko) | 음식물 처리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1106332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159338Y1 (ko) | 주방쓰레기처리장치 | |
JP2010058055A (ja) | 固液分離装置 | |
KR20150130681A (ko) | 음식물 처리기의 배출 장치 | |
JP2002018397A (ja) | 含水ゴミ脱水乾燥装置 | |
KR200410006Y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625994B1 (ko) |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 |
KR101625993B1 (ko) | 음식물 처리기의 물 및 음식물 분리 장치 | |
KR101308800B1 (ko) |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 |
KR101188338B1 (ko) | 음식물처리기의 압축탈수부재 | |
KR101625991B1 (ko) |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 | |
KR101625990B1 (ko) |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구 조절장치 | |
KR100716499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10036206A (ko) | 음식찌꺼기 하수 처리장치 | |
KR20150130680A (ko) | 음식물 처리기의 배출 스크류 | |
KR20150130676A (ko) | 음식물 처리기의 내부하우징 | |
KR100425758B1 (ko) |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 |
KR100744971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503650B1 (ko) |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605035B1 (ko) | 음식물 처리기용 수거통의 무게감지장치 | |
KR100912379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60020764A (ko) |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장치 | |
KR200312537Y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