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991B1 -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991B1
KR101625991B1 KR1020140057554A KR20140057554A KR101625991B1 KR 101625991 B1 KR101625991 B1 KR 101625991B1 KR 1020140057554 A KR1020140057554 A KR 1020140057554A KR 20140057554 A KR20140057554 A KR 20140057554A KR 101625991 B1 KR101625991 B1 KR 10162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ood
discharge
cutting surfa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679A (ko
Inventor
박학구
Original Assignee
박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학구 filed Critical 박학구
Priority to KR102014005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991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crew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환봉 형상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다수개 연동되도록 끼워진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일단이 끼워지고, 회전축의 끝단에 타단이 끼워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의 배출 스크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REMOVING DEVICE OF FOOD WAST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축 전체에 걸쳐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공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제1수평커팅면 내지 제4수평커팅면에 의해 유기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축, 이송 스크류 및 배출 스크류 각각에 정확한 힘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연간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약 550만톤 이상으로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약 2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약 4천억원 이상 발생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비용은 국민 부담으로 고스란히 돌아가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하는 일반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는 철저하게 분리 수거하여 배출하고 있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는 자원 재활용과 침출수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와, 효과적인 수거 및 자원화 시설로의 이송을 위해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여서 물기가 없는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가정에서 발생 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양과 수분이 많아 부패하기 쉽고, 분리수거가 용이하지 않으며, 재활용을 위해 자원화 시설로 이송 시 비용이 많이 들고, 침출수로 인한 환경오염 발생과 주거환경 위생 등에서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중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수분을 제거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가 많이 시판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분이 많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뿐만 아니라, 미생물로 발효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도 많이 출시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에 관한 기술은 등록특허 10-0781109호에 그 기술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렇게 종래에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기술은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해 장시간 건조를 실시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오랜 시간 작동될 경우에 건조 효율은 좋아지나 그에 따른 전기세가 증가 되어 사용자의 요금 부담이 증가 되고,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또 다른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특정 시간 동안 기다리거나, 건조가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 상에 추가로 젖은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하여 건조를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또한, 갑작스런 정전이 발생할 경우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자체 전원은 차단되어 안전하나,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중지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가 이루어지게 되어 심한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재가동 시킬 때 까지 그대로 방치된 상태로 있는 방법 이외에는 다른 대처 방안이 없어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의 이송 및 배출 스크류가 삽입되는 회전축은 전체에 걸쳐 단차면을 가공하여야 하므로 가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축 전체에 걸쳐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공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제1수평커팅면 내지 제4수평커팅면에 의해 유기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축, 이송 스크류 및 배출 스크류 각각에 정확한 힘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환봉 형상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다수개 연동되도록 끼워진 이송 스크류;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일단이 끼워지고, 회전축의 끝단에 타단이 끼워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의 배출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축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환봉 형상으로 타측 단부에 상기 배출 스크류에 끼워져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수평커팅면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 스크류의 내부는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제1수평커팅면에 대응하는 제2수평커팅면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 스크류의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이송 스크류와 결합되도록 제3수평커팅면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 들은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들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3수평커팅면에 대응하는 제4수평커팅면이 형성된 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첫째, 회전축 전체에 걸쳐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공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둘째, 제1수평커팅면 내지 제4수평커팅면에 의해 유기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셋째, 회전축, 이송 스크류 및 배출 스크류 각각에 정확한 힘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음식물 처리기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음식물 처리기의 분리된 상태를 하측에서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이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이송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이송부의 배출 스크류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1)의 외관은 입구 하우징(100)과, 본체 하우징(200)과, 용기부(300)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 하우징(100)은 처리 대상이 되는 음식물이 유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 하우징(200)은 그 내부에 음식물을 절단하는 절단부(도 2, 3참조, 210)와, 절단된 음식물을 이송하는 이송부(도 2참조, 220)가 수용된다.
상기 본체 하우징(200)은 절단된 음식물에서 나온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도시안됨)와, 악취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송풍부(250)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용기부(300)는 이송부(200)에 의하여 이송된 음식물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이 된다.
한편, 상기 본체 하우징(200) 일측에는 상기 절단부(210)나 이송부(220)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400)이 설치된다.
입구 하우징(100)에는 음식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된다.
유입구(110)의 중앙에는 음식물이 한꺼번에 많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설치된다.
즉, 유입구의 중앙부를 향하여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돌출부(111)가 마련된다.
돌출부(111)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고, 마주보게 형성된다.
돌출부(111) 사이의 공간은 다른 공간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111)에는 금속이나 단단한 재질의 강도 보강부(112)가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구에 큰 부피의 음식물을 넣고 누르면, 해당 음식물이 돌출부(111) 및 강도 보강부(112)와 접촉하고, 결국은 분리되거나, 일정 부분 부서진다.
따라서, 많은 양의 음식물이 한꺼번에 유입되어 절단부를 막거나, 큰 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음식물 처리기의 사용 중에 손이 유입구(110)에 들어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해 주고, 강도 보강부(112)의 길이를 길게 혹은 짧게 설치하여 음식물 투입량을 조절해 준다.
한편, 사용자가 입구에 음식물을 넣고 절단이 잘되도록 리모컨 겸용 누름 부재(500)가 마련된다.
리모컨 겸용 누름부재(500)의 일단부는 돔(510) 형태로 마련되고, 돔(510)의 단부에는 누름스위치(520)가 마련되고, 그 반대편에는 개방부(530)가 마련된다.
그 측면에는 개방부(530)에서 연결된 공간부(531)가 마련된다.
공간부(531)에 의하여 개방부(530) 테두리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부(530) 테두리의 공간은 상기 돌출부(111)의 형상에 대응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모컨 겸용 누름부재(50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누르면 그 단부가 유입구(110) 깊숙히 들어가고, 효과적으로 음식물을 절단부(2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돔(510) 부분을 싱크대 상판, 즉 싱크대 상판 밑에 리드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는 부위에 접촉시키면 음식물 처리기(1)가 작동된다.
이는 원격으로 음식물 처리기(1)를 제어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본체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동작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각종 스위치부(600)가 마련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위에서 본 것이고, 도 3은 아래에서 본 것이다.
입구 하우징(100)의 아래에는 음식물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 하우징(120)이 마련된다.
안내 하우징(120)은 입구 하우징(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원형의 상부 결합부(121)와, 그 아래의 통로부(122)와, 그 아래의 하부 결합부(123)를 구비한다.
하부 결합부(123)는 제1본체 하우징(201) 내에 삽입되어 있는 내부 하우징(260)과 결합된다.
내부 하우징(260)은 제1내부 하우징(261)과, 제2내부 하우징(262)을 포함한다.
제1내부 하우징(261)은 제2내부 하우징(262) 내부에 수용되며, 제1내부 하우징(261)의 외벽과 제2내부 하우징(262)의 외벽은 일정 간격 이격된다.
제1내부 하우징(261)에는 2개의 회전 커터 어셈블리(211, 212)로 구현되는 절단부(210)가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내부 하우징(261)에는 회전 커터 어셈블리(211, 212)의 일단부가 지지되는 2개의 지지공(2611, 2612)이 마련된다.
한편, 제1내부 하우징(261)의 일측에는 결합판(270)이 마련된다.
결합판(270)에는 회전 커터 어셈블리(211, 212)의 타단부가 지지되는 한편, 타단부에 결합된 기어가 지지되는 지지공(271, 272)이 형성된다.
2개의 회전 커터 어셈블리(211, 212)가 상호 맞물려서 회전하여 음식물을 절단한다.
절단부(210)의 하부에는 이송부(220)가 마련된다.
이송부(22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이송 스크류로 구현된다.
이송부(220)의 일부는 내부 하우징(260)에 수용되고, 나머지는 그 바깥에 위치한다.
이송부(220)의 역할은 절단부(210)에서 절단되어 낙하한 음식물을 내부 하우징(260)의 바깥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송부(220)가 스크류로 구현되고, 이송부(220)가 회전하면, 음식물이 내부 하우징(260) 바깥으로 배출된다.
이송부(220)가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경우, 음식물이 이송부(220)와 내부 하우징(260) 사이에서 압착되어 수분이 제거된다.
음식물로부터 제거된 수분은 제1내부 하우징(261) 아래로 떨어지고, 제2 내부 하우징(262) 내부 하면에 고였다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외부로 배출된다.
음식물로부터 제거된 수분의 배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내부 하우징(261)과, 제2내부 하우징(262)에는 이송부(220)가 배치되는 이송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송 공간의 일측에는 통공(2613, 2623)이 형성된다.
제1내부 하우징(261)의 하부에는 수많은 작은 구멍이 형성된 수분배출부(264)가 마련된다.
절단부(210)에 의하여 절단되거나, 이송부(2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음식물에서 수분이 빠져나올 수 있다.
이러한 수분은 수분 배출부(264)를 통해서 빠져나와서 제2내부 하우징(262)의 하부에 누적된다.
한편, 수분 배출부(264)의 구멍이 매우 작기 때문에, 절단된 음식물은 제2 내부 하우징(262) 하부로 이동하지 못한다.
안내 하우징(120), 내부 하우징(260), 스크류 하우징(290), 송풍부(250)는 본체 하우징(200) 내부에 수용된다.
본체 하우징(200)은 제1본체 하우징(201)과, 그 옆에 배치되는 제2본체 하우징(202)을 포함한다.
제2본체 하우징(201)의 아래에는 용기부(300)가 마련되는데, 제2본체 하우징(201)과, 용기부(300) 사이에는 결합링(30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본체 하우징(201)의 옆에는 모터 하우징(400)이 배치된다.
모터 하우징(400)에는 절단부(210)에 연결된 기어 및 이송부에 연결된 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가 배치된다.
제1내부 하우징(261)에 마련된 거름망 형태의 수분 배출부(264)와, 제2내부 하우징(262)의 집수 챔버(2624) 사이에는 이물질 제거 도구(280)가 마련된다.
이물질 제거 도구(280)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분 배출부(264)의 구멍에 끼여서 그 바깥으로 돌출된 이물질을 긁어내서 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집수 챔버(2624)와 배수 유로(2625) 사이에 이물질로 막혀 통수가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두 가지 기능을 갖는다.
이물질 제거 도구(280)는 소정의 작동 로드나 봉과 같은 작동 도구(288)을 끼워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수분 배출부(264)의 외주면과 집수 챔버(2624)와 배수 유로(2625) 사이, 즉 채널부에서 직선운동을 한다.
이물질 제거 도구(280)의 외면의 일부는 수분 배출부(264)의 외주면에 직접 닿고, 일부는 채널부 중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물질 제거 도구(280)가 구멍에 끼여서 돌출된 이물질을 밀면 해당 이물질이 제거되고 막힌 구멍이 뚫릴 수 있고, 집수 챔버(2624)와 배수 유로(2625) 사이인 배수로를 뚫어 줄 수 있다.
한편, 통공(2613, 2623)을 통해서 이송부(220)의 일단부가 내부 하우징(26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송부(220)는 회전축(221)과, 회전축에 다단으로 결합되는 이송 스크류(222)와, 테이퍼지게 형성된 배출 스크류(223)로 구현된다.
회전축(221)의 일단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그 부분에 기어부가 결합이 되어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222)는 다단 형태로 마련되고, 각각 결합되며, 그 외주면에는 나선 형태의 리브(2221)가 형성된다.
배출 스크류(223)는 그 외주면에 계단 형태의 나선형 단차부(2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차부(2231)에 의하여 배출 방향으로 음식물을 밀어낼 수 있다.
즉, 배출하는 힘이 분산되지 않고, 배출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60) 외부로 노출된 이송부(220)는 스크류 하우징(290)에 의하여 수용된다.
스크류 하우징(290)의 구성을 보면, 제1 스크류 하우징(291)과, 제2스크류 하우징(292)과, 제1, 2스크류 하우징(291, 292)을 결합시키는 결합노브(293)를 포함한다.
제1스크류 하우징(291)은 짧은 원통관 형상이고,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2911)이 형성된다. 이는 결합노브(293)와의 결합을 위함이다
제1스크류 하우징(291)에서 나사산이 없는 부분은 내부 하우징(260)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나사산(2911)이 있는 부분은 통공(2613, 2623)을 통하여 내부 하우징(260) 외부에 위치한다.
제2스크류 하우징(292)은 제1스크류 하우징(291) 내부에 그 일부가 수용된다.
제2스크류 하우징(292)은 그 직경이 일정한 삽입부(2921)와, 그 직경이 출구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진 원추형부(2922)를 구비한다.
삽입부(2921)와 원추형부(2922) 사이에는 걸림턱(2923)이 마련된다.
제2스크류 하우징(292)을 제1스크류 하우징(291)에 삽입하면, 삽입부(2921)는 삽입되지만, 걸림턱(2923)이 걸려서, 원추형부(2922)는 제1스크류 하우징(291) 외부로 노출된다.
그 상태에서 결합노브(293)를 제2스크류 하우징(292)에 끼우면, 결합 노브(293)는 걸림턱(2923)에 걸림과 동시에, 제1스크류 하우징(291)의 나사산(2911)에 결합된다.
이에 의하여, 스크류 하우징(290)이 내부 하우징(260)에 결합된다.
제2스크류 하우징(292)의 출구(2924)는 용기부(300)를 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이송부(220)에 의하여 이송된 음식물은 출구(2924)에서 빠져나와 용기부 안으로 최종적으로 쌓인다.
한편, 스크류 하우징(290) 위쪽에는 송풍부(250)가 마련된다.
송풍부(250)는 내부 하우징(260)에서 나와 용기부(300)에 쌓인 음식물이 부패하거나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마련되었다.
수분의 경우, 하수구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배수 파이프(2627)를 따라 배출된다. 송풍부(250)는 악취가 수분과 함께 배수 파이프(2627)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송풍부(250)는 내부 하우징(260) 옆에 배치되는 팬 하우징(251)과, 팬 하우징 내부의 팬(252)과, 팬 하우징(251) 위에 배치되는 팬 모터(253)를 포함한다.
또한, 송풍부(250)는 팬 하우징(251)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송풍파이프(254)를 포함한다.
송풍파이프(254)는 체크 밸브(255)에 연결되고, 체크 밸브(255)는 제2내부 하우징(262)에 마련되는 배수 유로(2625)에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송풍팬(252)을 거쳐 송풍파이프(254), 체크 밸브(255)로 이동하는 바람은 배수 유로(2625)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체크 밸브(255)는 설거지를 안할 때는 송풍 압력에 의해 열려 건조를 위한 송풍이 배수 유로(2625)를 통해 하수구로 나가고, 설거지 하는 동안은 물의 압력에 의해 체크 밸브(255)가 닫혀 물이 송풍 파이프(254)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이송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이송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이송부의 배출 스크류의 내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220)는 내부 하우징(260)에 일부 수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내부 하우징(260)의 통공에 결합되는 스크류 하우징(290)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하우징(260)에서 상기 이송부(220)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이 스크류 하우징(290)으로 이송되면 배출 스크류(223)에서 압착 탈수 및 절단되어 용기부(300)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220)는 일측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환봉 형상의 회전축(221)과, 상기 회전축(221)의 외주면에 다수개 연동되도록 끼워진 이송 스크류(222)와, 상기 이송 스크류(222)에 일단이 끼워지고, 회전축(221)의 끝단에 타단이 끼워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의 배출 스크류(223)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221)과 배출 스크류(223)와 이송 스크류(222)가 결합된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회전축(221)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환봉 형상으로 타측 단부에 상기 배출 스크류(223)에 끼워져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수평커팅면(221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 스크류(223)의 내부는 상기 회전축(221)의 제1수평커팅면(2211)에 대응하는 제2수평커팅면(22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 스크류(223)의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이송 스크류(222)와 결합되도록 제3수평커팅면(2233)이 형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222) 들은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들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3수평커팅면(2233)에 대응하는 제4수평커팅면(2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21)의 제1수평커팅면(2211)과 배출 스크류(223)의 제2수평커팅면(2232)이 맞물려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수평커팅면(2232)와 제3수평커팅면(2233)은 동일 구성요소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3수평커팅면(2233)과 제4수평커팅면(2222)이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221)과 배출 스크류(223)와 이송 스크류(222)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평커팅면(2211) 및 제3수평커팅면(2233)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평커팅면(2232) 및 제4수평커팅면(2222)은 각각 상기 제1수평커팅면(2211) 및 제3수평커팅면(2233)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는 상기 회전축(221) 전체에 테이퍼가 형성되도록 가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감소하고 가공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스크류(222)에는 음식물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리브(222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 스크류(223)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송 스크류(222)로부터 이송된 음식물을 배출방향으로 가압하는 다수의 나선형 단차부(22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선형 단차부(2231)는 기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제2스크류 하우징(292)의 원추형부(2922)의 내부에 위치한 음식물이 배출되는 방향과 수평인 수평면(2231a)과, 음식물이 배출되는 방향과 수직인 수직면(2231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출 스크류(223)의 출구측 단부에는 경사커팅면(2231c)이 경사지게 커팅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음식물 처리기
220 : 이송부 221 : 회전축
2211 : 제1수평커팅면 222 : 이송 스크류
2221 : 리브 2222 : 제4수평커팅면
223 : 배출 스크류 2231 : 단차부
2232 : 제2수평커팅면 2233 : 제3수평커팅면
290 : 스크류 하우징 291 : 제1스크류 하우징
292 : 제2스크류 하우징 293 : 결합노브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환봉 형상의 부재로서, 일측에 구동력이 전달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다수개 연동되도록 끼워진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은 회전축의 타측 단부에 끼워지는 테이퍼진 형상의 배출 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의 타측 단부에 상기 배출 스크류가 끼워져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수평커팅면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 스크류의 내부는 상기 회전축의 제1수평커팅면에 맞물려 배출 스크류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제2수평커팅면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 스크류는 그 일측 내주면에 상기 이송 스크류와 결합되도록 제3수평커팅면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이송 스크류는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그들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3수평커팅면에 대응하는 제4수평커팅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크류(222)에는 음식물을 배출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리브(222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 스크류(223)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송 스크류(222)로부터 이송된 음식물을 배출방향으로 가압하는 다수의 나선형 단차부(2231)가 형성되며;
    상기 나선형 단차부(2231)는 기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제2스크류 하우징(292)의 원추형부(2922)의 내부에 위치한 음식물이 배출되는 방향과 수평인 수평면(2231a)과; 음식물이 배출되는 방향과 수직인 수직면(223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 스크류(223)의 출구측 단부에는 경사커팅면(2231c)이 경사지게 커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













KR1020140057554A 2014-05-14 2014-05-14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 KR101625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54A KR101625991B1 (ko) 2014-05-14 2014-05-14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54A KR101625991B1 (ko) 2014-05-14 2014-05-14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79A KR20150130679A (ko) 2015-11-24
KR101625991B1 true KR101625991B1 (ko) 2016-06-01

Family

ID=5484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54A KR101625991B1 (ko) 2014-05-14 2014-05-14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9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249B1 (ko) * 2004-04-10 2006-12-08 박학구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KR100793322B1 (ko) 2007-07-31 2008-01-11 강명숙 음식물쓰레기의 압착분쇄기
KR101113209B1 (ko) 2009-08-19 2012-02-20 지호현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515B1 (ko) * 2012-07-30 2014-06-12 김주완 길이 조절이 되는 스크루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249B1 (ko) * 2004-04-10 2006-12-08 박학구 음식물 처리기의 탈수 장치
KR100793322B1 (ko) 2007-07-31 2008-01-11 강명숙 음식물쓰레기의 압착분쇄기
KR101113209B1 (ko) 2009-08-19 2012-02-20 지호현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79A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94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5989B1 (ko) 음식물 처리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0011352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5992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배출 장치
JP2010058055A (ja) 固液分離装置
KR20041000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5993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물 및 음식물 분리 장치
KR100948744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036488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1625994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KR101308800B1 (ko)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KR100753808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KR101625991B1 (ko)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장치
KR10162599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구 조절장치
KR20150130680A (ko) 음식물 처리기의 배출 스크류
KR100425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150130676A (ko) 음식물 처리기의 내부하우징
KR10074497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03650B1 (ko)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094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05035B1 (ko) 음식물 처리기용 수거통의 무게감지장치
KR20160020764A (ko)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장치
KR20031253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2282824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0240024Y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