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423A - 전달 세트 - Google Patents

전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423A
KR20150130423A KR1020157028142A KR20157028142A KR20150130423A KR 20150130423 A KR20150130423 A KR 20150130423A KR 1020157028142 A KR1020157028142 A KR 1020157028142A KR 20157028142 A KR20157028142 A KR 20157028142A KR 20150130423 A KR20150130423 A KR 20150130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uter sleeve
sleeve
bott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터 크래머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헬스케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헬스케어 엘엘씨 filed Critical 바이엘 헬스케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13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65Connecting means having aligning and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25Snap-fi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1Connecting means having tap means, e.g. tap means activated by sl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5Connecting means having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61J1/2075Venting means for external ven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10Coring prevention means, e.g. for plug or septum piecing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전달 세트는 대체로 내부 슬리브의 통로가 병의 스토퍼 위에 배치되도록 병에 내부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 외부 슬리브를 포함한다. 전달 세트는 캡이 외부 슬리브에 연결되고 외부 슬리브에 대한 캡의 회전을 통해 외부 슬리브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외부 슬리브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캡을 더 포함한다. 캡은 내부 공간과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캠을 가지고, 내부 슬리브, 내부 슬리브 내의 스파이크는 캡이 외부 슬리브에 연결될 때 내부 공간 내로 연장하며, 캡이 외부 슬리브로부터의 캡의 분리를 위해 외부 슬리브에 대해 회전할 때 캠은 종동자와 상호작용하여 스파이크를 스토퍼를 향해 병진시킴으로써 스토퍼를 천공한다.

Description

전달 세트 {TRANSFER SET}
본 내용은 일반적으로 전달 세트, 더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내부로 또는 용기의 외부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종래의 전달 세트는 밀봉된 용기에 부착되며, 용기의 밀봉부를 파괴하여 용기와의 유체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천공 장치를 포함한다. 이들 종래의 전달 세트를 동작시키기 위해, 밀봉부를 파괴하도록 천공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 인가력이 종종 요구된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전달 세트의 적절한 동작은 사용자에게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더 손쉬운 전달 세트가 필요하다.
일 실시양태에서, 스토퍼(stopper)에 의해 밀봉된 병 내로 또는 그 외부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는 일반적으로 종축을 따라 내부 슬리브를 통해 연장하는 통로를 가지는 내부 슬리브와, 상기 통로가 병의 스토퍼 위에 배치되게 병에 내부 슬리브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외부 슬리브를 포함한다. 전달 세트는 종동자를 포함하는 스파이크(spike)와, 캡(cap)을 포함하고, 스파이크는 내부 슬리브의 통로 내에 배치되며, 스토퍼를 천공하기 위해 통로를 따라 종방향 병진하도록 구성되고, 캡은 캡이 외부 슬리브에 연결되고, 외부 슬리브에 대한 캡의 회전을 통해 외부 슬리브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외부 슬리브 내로 삽입되게 구성된다. 캡은 폐쇄된 상단 벽, 폐쇄된 상단 벽으로부터 연장하여 캡의 내부 공간과 개방된 저부를 형성하는 환형 측부 벽 및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캠(cam)을 포함하고, 캡이 외부 슬리브에 연결될 때 내부 슬리브와 스파이크는 내부 공간 내로 연장하며, 외부 슬리브로부터 캡을 분리하기 위해 캡이 외부 슬리브에 대해 회전될 때, 캠은 종동자와 상호작용하여 스파이크를 스토퍼를 향해 병진시킴으로써 스토퍼를 천공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스토퍼에 의해 밀봉된 병 내로 또는 그 외부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는 일반적으로 내부 슬리브와 내부 슬리브 내에 배치된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제1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내부 슬리브는 밀봉된 병의 스토퍼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스파이크는 스토퍼를 천공하도록 내부 슬리브 내에서 병진하도록 구성된다. 전달 세트는 외부 슬리브와, 캡을 포함하는 제2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캡은 외부 슬리브에 대해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캡이 외부 슬리브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외부 슬리브에 연결된다. 외부 슬리브는 제1 결합 유닛이 밀봉된 병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 상태와 제1 결합 유닛이 밀봉된 병에 제거불가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상태로 내부 슬리브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2 결합 유닛이 제1 결합 유닛에 연결될 때 제1 결합 유닛 및 제2 결합 유닛은 종축을 따라 정렬된다. 제2 결합 유닛이 제1 결합 유닛에 연결될 때 제2 결합 유닛에 종방향 힘을 인가함으로써, 제2 결합 유닛은 제1 결합 유닛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되어 제2 결합 유닛과 제1 결합 유닛의 연결을 제1 연결 상태로부터 제2 연결 상태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2 연결 상태에서 외부 슬리브로부터 캡을 분리하기 위해 외부 슬리브에 대해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캡은 스파이크를 병진시켜 스토퍼를 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스토퍼에 의해 밀봉된 병 내로 또는 그 외부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는 일반적으로 종축을 따라 슬리브를 통해 연장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슬리브는 통로가 스토퍼 위에 배치되도록 병에 대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전달 세트는 또한 스파이크를 포함하며, 스파이크는 통로 내에 배치되고, 슬리브가 병에 연결될 때 스토퍼를 천공하도록 통로를 따라 종방향 병진하게 구성되며, 스파이크는 종동자 표면을 갖는다. 전달 세트는 캠 표면을 포함하는 캡을 더 포함하고, 캠은 캠 표면이 종동자 표면과 접촉하도록 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캡을 회전시키면 캡의 캠 표면이 스파이크의 종동자 표면과 상호작용하여 스파이크를 스토퍼를 향해 병진시켜 스토퍼를 천공하고, 종동자 표면은 종동자 표면을 따라 변하는 경사를 갖는다.
도 1은 전달 세트의 일 실시양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달 세트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전달 세트의 내부 슬리브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내부 슬리브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내부 슬리브의 저면도이다.
도 6은 개스킷이 그 위에 배치되어 있는, 도 3의 내부 슬리브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 7-7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영역 8에서 취한, 도 7의 단면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의 전달 세트의 스파이크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파이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스파이크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2는 액체 필터와 공기 필터가 제거되어 있는, 도 12의 스파이크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액체 필터와 공기 필터가 제거되어 있는, 도 12의 스파이크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평면 14-1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 및 도 2의 전달 세트의 외부 슬리브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외부 슬리브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외부 슬리브의 상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구획 18에서 취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5의 평면 19-19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영역 20에서 취한 도 19의 단면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1 및 도 2의 전달 세트의 캡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캡의 저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평면 23-23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평면 24-24를 따라 취한 다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조립된 구성의, 도 3의 내부 슬리브 및 도 9의 스파이크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조립된 구성의, 도 3의 내부 슬리브 및 도 9의 스파이크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평면 27-27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평면 28-28을 따라 취한 단면이다.
도 29는 도 1의 전달 세트의 조립 동안의, 도 15의 외부 슬리브 및 도 21의 캡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조립된 구성의, 도 15의 외부 슬리브 및 도 21의 캡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평면 31-31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9의 조립된 구성의 확대된 영역이다.
도 33은 도 1의 전달 세트의 조립 동안의, 도 3의 내부 슬리브 및 도 9의 스파이크(도 25의 조립된 구성)와 도 15의 외부 슬리브 및 도 21의 캡(도 29의 조립된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조립된 구성의, 도 3의 내부 슬리브, 도 9의 스파이크, 도 15의 외부 슬리브 및 도 21의 캡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평면 35-3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6은 그 위에 전달 세트가 덮여지게 되는 병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병에 덮여진 것처럼 덮여진 구성의, 도 1의 전달 세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대응 참조 문자는 다수의 도면들 전반에 걸쳐 대응 부분을 나타낸다.
이제, 도면, 특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양태에 따른 전달 세트는 전체가 참조 번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예시된 전달 세트(100)는 내부 슬리브(200), 개스킷(300)(예를 들어, O-링), 스파이크(400), 외부 슬리브(500) 및 캡(600)을 포함하고, 이들은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종축(Y)(도 2)을 따라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100)는 주사기와 밀봉된 병(예를 들어, 동결건조된 의료 약물을 수용하는 병) 사이에서 액체(예를 들어, 희석제)를 전달하기 위한 재구성 장치로서 구성된다. 그러나, 전달 세트(100)의 실시양태는 임의의 적절한 물질을 수납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용기 사이에서 액체를 전달하는 데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내부 슬리브(200)는 관형 상부 구획(202)과 관형 하부 구획(204)을 갖는다.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상부 구획(202) 및 하부 구획(204)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총체적으로 단일체형 내부 슬리브(200)를 형성한다. 이 방식에서, 통로(208)(도 4)는 내부 슬리브(200)를 통해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부 구획(202) 및 하부 구획(204)은 서로 별개로 형성되고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예시된 상부 구획(202)은 상부 단부(210), 내부 표면(212) 및 외부 표면(214)을 갖는다. 개구의 배열이 내부 표면(212)으로부터 외부 표면(214)까지의 상부 구획(202)을 통해, 즉, 상부 개구(216)와 하부 개구(218)의 쌍을 통해 연장한다. 하부 개구(218)는 베이스 영역(220)과 한 쌍의 이격된 다리부 영역(222)을 가지며, 이 다리부 영역들은 하부 개구(218)가 대체로 U 형상이 되도록 베이스 영역(220)으로부터 상향 연장한다. 상부 개구(216)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하부 개구(218)는 다리부 영역(222)의 쌍이 또한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상부 개구(216)로부터 종방향으로 하향 이격되며, 다리부 영역(222) 각각은 상부 개구(216) 중 각각의 하나와 종방향으로 정렬된다. 하부 개구(218) 아래에서, 환형 시트(224)가 외부 표면(214)에 의해 형성되며, 이 시트(224)는 더 상세히 후술될 바와 같이 개스킷(300)을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원주방향", "환형" 또는 그 임의의 변형어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등)을 갖는 대상물의 주연부 둘레로 연장하는 파라미터를 지칭하며, 원형 형상을 갖는 대상물의 주연부 둘레로 연장하는 파라미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반경방향" 또는 그 임의의 변형어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등)을 갖는 대상물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파라미터를 지칭하며, 원형 형상을 갖는 대상물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파라미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상향", "상부", "위", "상단" 또는 그 임의의 변형어는 종축(Y)(도 2)의 단부 지점(A)에 근접한 상대적 위치를 갖는 것을 지칭하며, 용어 "하향", "하부", "아래", "밑", "하측", "저부" 또는 그 임의의 변형어는 종축(Y)(도 2)의 단부 지점(B)에 더 근접한 상대적 위치를 갖는 것을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내부", "내향", "내측", "안" 또는 그 임의의 변형어는 종축(Y)(도 2)에 횡방향으로 더 근접한 상대적 위치설정을 지칭하며, 용어 "외부", "외향", "외측", "밖" 또는 그 임의의 변형어는 종축(Y)(도 2)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더 먼 상대적 위치설정을 지칭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구획(202)의 내부 표면(212)은 상부 단부(210)로부터 종방향 하향 연장하는 반경방향 내향 돌출 내부 스플라인의 배열, 즉, 제1 내부 스플라인(226), 제2 내부 스플라인(228), 제3 내부 스플라인(230), 제4 내부 스플라인(232), 제5 내부 스플라인(234), 제6 내부 스플라인(236) 및 제7 내부 스플라인(238)을 형성하며, 이들은 순차적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등거리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된다. 제1 및 제2 내부 스플라인(226, 228)은 제3, 제4, 제5, 제6 및 제7 내부 스플라인(230, 232, 234, 236, 228)보다 좁다. 또한, 도 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구획(202)의 내부 표면(212)은 또한 반경방향 내향 돌출하는 정지부(242)와 사면(240)을 형성한다. 사면(240)은 상부 개구(216)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그리고, 상부 개구 아래에 종방향으로 정렬되며, 하부 개구(218)를 향해 종방향 하향 연장하고, 사면(240)이 통로(208) 내로 돌출하는 정도는 사면(240)의 베이스(244)(상부 개구(216) 부근)로부터 사면(240)의 정점(246)(하부 개구(218)의 다리부 영역(222) 사이)까지 점진적으로 더 커진다. 정지부(242)가 사면(240) 아래의 통로(208) 내로 반경방향 내향 돌출하도록 정지부(242)는 이격된 관계로 사면(240)의 정점(246) 종방향 아래에 정렬된다.
예시된 하부 구획(204)은 반경방향 내향 돌출 벌크헤드(248), 반경방향 외향 돌출 플랜지(250), 조인트(254)에 의해 각각 플랜지(250)로부터 현수되는 복수의 이격된 치형부(252) 및 한 쌍의 인접 치형부(252)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내향 굴곡된 대체로 U 형상의 웨브(256)를 포함한다(도 7 및 도 8 참조). 이 방식에서, 내부 슬리브(212)의 외부 표면(214)은 하부 구획(204) 상에서, 플랜지(250) 위의 실질적 환형 에지(258); 플랜지(250)의 주변부에 형성된 실질적 환형 절결부(260)로서, 부분적으로 평탄하고 부분적으로 경사진 하부 경계(261)를 갖는 절결부(260); 절결부(260)를 통해 플랜지(250)를 분기시키는 한 쌍의 대향 종방향 연장 홈(262); 각 조인트(254)와 대응하는 외부 만입부(264)로서 경사진 하부 경계(266)를갖는 외부 만입부(264); 각 치형부(252) 상의 외부 돌출부(268); 각 외부 돌출부(268) 내에 형성된 리세스(270); 및 각 외부 돌출부(268) 아래의 외부 경사진 에지(272)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내부 슬리브(200)의 내부 표면(212)은 하부 구획(204) 상에서, 외부 만입부(264)에 대향하는, 각 조인트(254)에 대응하는 내부 만입부(274); 외부 돌출부(268)에 대향하는, 각 치형부(252) 상의 내부 돌출부(276); 및 각 내부 돌출부(276) 아래의 내부 경사진 에지(278)를 형성한다. 또한, 예시된 벌크헤드(248)는 환형이며, 통로(208) 내로 반경방향 내향 연장하고, 그에 의해, 통로(208)의 목부(280)(또는 협소부)를 생성한다. 벌크헤드(248)는 컷아웃(282), 상부 표면(284) 및 하부 표면(286)을 가지고, 하부 표면(286)은 환형 프롱(288)을 형성한다.
이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예시된 스파이크(400)는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내부 슬리브(200)의 상부 구획(202) 내로의 삽입을 위해 크기설정된다. 스파이크(400)는 본체 구획(402), 본체 구획(402)으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커넥터 구획(404) 및 본체 구획(402)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팁 구획(406)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본체 구획(402), 커넥터 구획(404) 및 팁 구획(406)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총체적으로 단일체형 스파이크(400)를 형성한다. 이 방식에서, 도관(408)(도 14)은 커넥터 구획(404)으로부터 팁 구획(406)까지 종축(Y)(도 2)을 따라 스파이크(400)를 통해 연장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체 구획(402), 커넥터 구획(404) 및 팁 구획(406)은 서로 별개로 형성되고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도 14를 계속 참조하면, 커넥터 구획(404)은 관형 구조이며, 이러한 관형 구조는 내측에서 도관(408)의 상부 섹션을 형성하는 테이퍼진 암형 피팅(410)을 제공하고, 외측에서 나사부의 배열, 즉, 서로 대향 배열된 제1 나사부(412) 및 제2 나사부(414)를 제공한다. 이 방식에서, 커넥터 구획(404)은 주사기 또는 다른 적절한 용기와 루어형(luer-type)(예를 들어, 루어 로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커넥터 구획(404)은 본체 구획(402)에서 환형의 두꺼운 인터페이스(416)를 가지며, 커넥터 구획(404)은 높이(H)(본체 구획(402)과 커넥터 구획(404) 사이의 인터페이스로부터 상향 측정됨)를 갖는다. 각 나사부(412, 414)는 부분적(또는 반 환형) 나사부이며, 이는 커넥터 구획(404)의 원주의 단지 일부(예를 들어, 단지 실질적 절반) 둘레로 연장(전체 원주가 아님)하여 커넥터 구획(404)의 높이의 단지 실질적 절반에만(전체 높이(H)가 아님) 걸쳐진다. 추가적으로, 액체 필터(418)(도 11)는 액체 필터(418)가 도관(408)을 가로질러 연장하여 미립자 물질이 커넥터 구획(404)을 초과하여 도관(408) 내에서 하향 통과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암형 피팅(410)의 저부에서 본체 구획(402)에 부착된다.
예시된 본체 구획(402)(도 9 및 도 14 참조)은 내부 본체(420) 및 외부 본체(422)를 포함하고, 외부 본체(422)는 상부 벽(424)(그로부터 커넥터 구획(404)의 두꺼운 인터페이스(416)가 상향 연장함) 및 복수의 반경방향 리브(426)를 통해 내부 본체(420)와 결합되며, 외부 본체(422)는 그에 의해 내부 본체(420)와 외부 본체(422) 사이에서 본체 구획(402)이 실질적으로 중공이 되게 하도록 내부 본체(42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외피로서 작용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체 구획(402)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파이크(400)가 기능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돕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외부 본체(422)는 반경방향 외향 돌출 종동자 배열, 즉, 제1 종동자(428) 및 제2 종동자(430); 제1 종동자(428)에 인접하면서 그 반경방향 내측의 몰드-릴리즈(432)(도 11); 제1 종동자(428)와 몰드-릴리즈(432) 반경방향 사이의 견부(434); 제1 종동자(428) 아래에 배치된 제1 알코브(436)(도 10); 제2 종동자(430) 아래에 위치된 제2 알코브(438)(도 14); 및 제2 알코브(438) 내에 현수된 클립(440)(도 9)를 갖는다. 도 9 및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종동자(428)는 경사진(예를 들어, 대체로 나선형으로 경사진) 제1 종동자 표면(442)을 가지고, 제2 종동자(430)는 경사진(예를 들어, 대체로 나선형으로 경사진) 제2 종동자 표면(444)을 가지며, 제2 종동자 표면(444)은 제1 종동자 표면(442)에 대향한다(예를 들어, 제1 종동자 표면(442) 및 제2 종동자 표면(444)은 대체로 이중 나선 방식으로 경사짐). 견부(434)(도 11)는 몰드-릴리즈(432)로부터 제1 종동자 표면(442)을 분리시킨다.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클립(440)은 U 형 또는 등자형 배열로 제2 알코브(438) 내로 하향 연장하는 제1 가요성(또는 탄성) 현수 부재(예를 들어, 제1 다리부(446); 제1 다리부(446)에 대향한 제2 알코브(438) 내로 하향 연장하는 제2 가요성(또는 탄성) 현수 부재(예를 들어, 제2 다리부(448)); 제1 다리부(446)로부터 제2 다리부(448)로 제2 알코브(438)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보유 부재(즉, 크로스바아(450); 제1 다리부(446)와 크로스바아(450)의 접합부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제1 포획부(452) 및 제2 다리부(448)와 크로스바아(450)의 접합부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제2 포획부(454)를 포함한다. 각 포획부(452, 454)는 종축(Y)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상부 표면(456)과 종축(Y)(도 14)에 대해 기울어지게(즉, 경사지게) 배향된 하부 표면(458)을 갖는다.
도 12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본체(422)는 또한 종동자 표면(442, 444)으로부터 종방향 하향 연장하는 반경방향 외향 돌출 외부 스플라인의 배열, 즉, 서로에 관하여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외부 스플라인(460), 제2 외부 스플라인(462), 제3 외부 스플라인(464), 제4 외부 스플라인(466), 제5 외부 스플라인(468), 제6 외부 스플라인(470) 및 제7 외부 스플라인(472)을 포함한다. 제1 공간(474)은 제2 외부 스플라인(462)으로부터 제1 외부 스플라인(460)을 분리시키고, 제1 내부 스플라인(226)의 크기에 대응하고, 제2 공간(476)은 제3 외부 스플라인(464)으로부터 제2 외부 스플라인(462)을 분리시키고 제2 내부 스플라인(228)의 크기에 대응하고, 제3 공간(478)은 제4 외부 스플라인(466)으로부터 제3 외부 스플라인(464)을 분리시키고 제3 내부 스플라인(230)의 크기에 대응하며, 제4 공간(480)은 제5 외부 스플라인(468)으로부터 제4 외부 스플라인(466)을 분리시키고, 제4 내부 스플라인(232)의 크기에 대응하며, 제5 공간(482)은 제6 외부 스플라인(470)으로부터 제5 외부 스플라인(468)을 분리시키고 제5 내부 스플라인(234)의 크기에 대응하고, 제6 공간(484)은 제7 외부 스플라인(472)으로부터 제6 외부 스플라인(470)을 분리시키고, 제6 내부 스플라인(236)에 대응하며, 제7 공간(486)은 제1 외부 스플라인(460)으로부터 제7 외부 스플라인(472)을 분리시키고 제7 내부 스플라인(238)의 크기에 대응한다.
도 14의 실시양태에서, 내부 본체(420) 및 팁 구획(406)은 각각 도관(408)의 중간 및 하부 섹션을 형성하고, 총체적으로 팁 구획(406)으로부터 제1 알코브(436) 내의 내부 본체(420)의 외부 상에 형성된 공기 통기구(492)로 이어지는 공기유동 경로(490)를 형성한다(도 14). 통기구(492)는 통기구(492)의 주연부 둘레에서 내부 본체(420)의 외부에 초음파 용접되는 소수성 공기 필터(494)(도 11)에 의해 덮여지고(환형 비드(496)를 통해), 내부 본체(420)와 일체로 형성되고 통기구(492) 내에 배치된 복수의 스터드(498)(또는 스페이서)에 의해 중앙에 지지된다. 일련의 세장형 포트(497)는 도관(408)과 유체 연통하여 팁 구획(406)의 원위 단부(495) 부근에 제공되고, 팁 구획(406)은 오목한(또는 대체로 컵 형상의) 경계 표면(489)을 가지고, 이 경계 표면은 도관(408)의 하부 단부를 형성하고, 경계 표면(489)은 액체가 포트(497)로부터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종축(Y)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팁 구획(406)의 원위 단부(495) 부근에는 공기유동 경로(490)로의 입구(499)가 제공된다. 특히, 입구(499)는 스캘럽형이고, 입구(499)의 개방된 저부(493)는 포트(497)의 개방된 저부(491)보다 팁 구획(406)의 원위 단부(495)로부터 더 상방으로 이격되며, 그에 의해,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입구(499)를 통해 공기유동 경로(490) 내로의 액체 진입을 억제한다. 또한, 스파이크(400)의 제조 동안, 스파이크(400)는 몰드로부터의 제거 이후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낙하되고, 팁 구획(406)의 원위 단부(495)에서의 컨베이어 벨트와 스파이크(400)의 충격(몰딩 동작 이후 따뜻한 동안)은 바람직하지 못하게 원위 단부(495)가 굴곡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원위 단부(495)가 뭉툭해지기 때문에, 다른 대상물과 팁 구획(406)의 충격시 원위 단부(495)의 굴곡이 억제된다.
이제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예시된 외부 슬리브(500)는 관형이고,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내부 슬리브(20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외부 슬리브(500)는 상단 표면(502), 저부 표면(504), 내부 표면(506) 및 외부 표면(508)을 갖는다. 외부 슬리브(500)의 내부 표면(506)에 의해 림(510), 상부 립(512) 및 하부 립(514)이 형성된다. 림(510)은 한 쌍의 대향 슬롯(516)에 의해 분기되고, (도 18을 참조로) 각 슬롯(516)의 제1 측부(520)에 인접한 상단 표면(502)으로부터 종방향 하향으로 그리고 그 반경방향 내향으로 오프셋된 비교적 평탄한 리지(518); 각 슬롯(516)의 대향한 제2 측부(524)에 인접한 상단 표면(502)으로부터 종방향 하향으로, 그리고, 그 반경방향 내향으로 오프셋된 경사진 리지(522)로서, 경사진 리지(522)는 상단 표면(502) 상으로의 문턱으로서 작용하는 피크(528)와 슬롯(516) 내로의 문턱으로서 작용하는 베이스(526)를 가지는, 경사진 리지; 및 경사진 리지(522)의 피크(528)의 원주방향 전방에서 상단 표면(502)으로부터 종방향 하향 그리고, 그 반경방향 내향 오프셋된 폴(530)(예를 들어, 가요성 핑거)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경사진 리지(522)는 경사진 하부측부(532) 및 단차진 상단측부를 포함하고, 상단측부는 베이스(526)로부터 피크(528)로 순차적 순서로 제1 단차부(534), 제1 경사면(536), 제2 단차부(538) 및 제2 경사면(540)을 포함한다.
상부 립(512)은 환형이고, 실질적 환형 채널(542)이 림(510)과 상부 립(512) 사이에 제공되도록 림(510) 아래로 이격되며, 채널(542)로의 종방향 유입 또는 채널로부터의 유출은 슬롯(516)을 경유한다. 특히, 채널(542)은 림(510)과 상부 립(512)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리지, 즉, 경사진 리지(522)의 제1 단차부(534) 아래에 배치된 제1 리지(544) 및 경사진 리지(522)의 제2 단차부(538) 아래에 배치된 제2 리지(546)에 의해 중단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지(544, 546) 각각은 제1 측부(548)(인근 슬롯(516)을 향해 향하는) 및 제2 측부(550)(인근 슬롯(51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를 갖는 대체로 삼각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 프로파일은 제2 측부(550)가 제1 측부(548)보다 더 급준하게 경사지도록 비대칭적이다(예를 들어, 제2 측부(550)는 상부 립(512)의 내부 면(552)에 거의 수직이다). 상부 립(512) 아래에는 하부 립(514)(도 16)이 이격 배치되어 있고, 이는 외부 슬리브(500)의 저부 표면(504)에 인접한다. 하부 립(514)은 하부 립(514)을 통해 상부 립(512)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한 쌍의 대향 설상부(554)에 의해 분기되고, 하부 립(514)은 내부 면으로부터 저부 표면(504)으로 연장하는 경사진 표면(558)과 내부 면(미도시)을 갖는다(도 16).
외부 표면(508)(또는 외부)은 한 쌍의 환형 격리된(즉, 환형으로 연속적이지 않은), 만입된(또는 평탄화된) 파지 영역(560)을 포함하고, 이 파지 영역은 실질적으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고, 실질적 환형 탄성 폴리머 파지 링(562)(도 16)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며(즉, 프로파일이 상단 표면(502)으로부터 저부 표면(504)으로 연장할 때 외부 슬리브 프로파일은 외부 슬리브(500)의 전체 원주 둘레로 연속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만입된다(또는 평탄화된다)). 이 때문에, 외부 슬리브(500)는 외부 슬리브(500)의 중간 영역을 통해 취해진 타원형(또는 비원형) 단면 윤곽을 갖는다(도 19).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파지 링(562)은 한 쌍의 대향한 시각적 정렬 마커에 의해 분할되고, 그 각각은 스웹 가이드라인(swept guideline)(564) 형태이고(도 16), 이는 상단 표면(502)으로부터 저부 표면(504)으로 실질적으로 외부 표면(508)을 따라 연장한다. 다른 적절한 실시양태에서, 외부 표면(508)의 만입된(또는 평탄화된) 윤곽(상단 표면(502)으로부터 저부 표면(504)으로 연장할 때)은 전체 외부 슬리브(500) 둘레에서 환형으로 연속적일 수 있거나(즉, 환형으로 격리되지 않음) 외부 슬리브(500)는 만입된 또는 평탄화된 영역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외부 표면(508)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배열된 임의의 적절한 시각적 정렬 마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예시된 캡(600)은 도 3 내지 도 8의 내부 슬리브(200)의 상부 구획(202)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외부 슬리브(500) 내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도록 크기설정된다. 캡(600)은 대체로 컵 형상이고, 폐쇄된 상단 벽(602), 환형 저부 에지(604)(캡의 개방된 저부를 둘러쌈) 및 폐쇄된 상단 벽(602)으로부터 저부 에지(604)로 연장하는 환형 측부 벽(606)을 포함한다. 도 2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캡(600)의 내부 내의 폐쇄된 상단 벽(602)의 하부표면으로부터 종방향 하향 연장하면서(측부 벽(606)과 이격된 관계로)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은 캠 배열, 즉, 제1 팁(610)을 갖는 제1 캠(608) 및 제2 팁(614)을 갖는 제2 캠(612)이다. 제1 캠(608)은 경사진(예를 들어, 대체로 나선형으로 경사진) 제1 캠 표면(616)을 가지고, 제2 캠(612)은 제1 캠 표면(616)에 대향한 경사진(예를 들어, 대체로 나선형으로 경사진) 제2 캠 표면(618)을 가진다(예를 들어, 제1 캠 표면(616) 및 제2 캠 표면(618)은 도 9 및 도 10의 제1 및 제2 종동자 표면(442, 444)이 경사지는 대체로 이중 나선 방식과 대체로 경면 대칭인 대체로 이중 나선 방식으로 경사진다). 캠(608, 612)은 폐쇄된 상단 벽(602)으로부터 그 종방향 하향 연장부에서, 그리고, 측부 벽(606)과 그 이격된 관계로, 측부 벽(606)으로부터 캠(608, 612)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지지 리브(620)를 거쳐 지지된다.
도 21을 다시 참조하면, 캡(600)의 외부에는 저부 에지(604)에 인접한 캡(600)의 대향 측부들 상에 배치된 한쌍의 탭(622), 저부 에지(604) 위에 이격된 환형 돌출 표면(624) 및 복수의 래치형 치형부(626)(예를 들어, 다른 측부보다 더 급준하게 경사진 일 측부를 갖는 비대칭 치형부)가 형성되며, 복수의 래치형 치형부는 저부 에지(604)와 돌출 표면(624) 사이에서 캡(60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치형부(626)는 한 쌍의 대향 갭(628)에 의해 분리된 한 쌍의 대향 세트로 배열되고, 갭 각각을 통해 주름부(630)가 돌출 표면(624)으로부터 저부 에지(604)로 연장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탭(622) 위에는 돌출 표면(624)으로부터 하향 연장하는 안내 표면의 구조가 있고, 이 안내 표면의 구조는 탭(622) 중 각각의 하나 위에 정렬된 제1 평탄한 표면(632); 제1 평탄한 표면(632)의 일 측부에 인접하고 제1 평탄한 표면(632)으로부터 종방향 상방으로 오프셋된 제2 평탄한 표면(634); 및 제1 평탄한 표면(632)의 대향 측부에 인접하고 제1 평탄한 표면(632)으로부터 돌출 표면(624)으로 연장하여 제1 평탄한 표면(632) 및 돌출 표면(624)과 매끄럽게 혼화되는 경사진 표면(636)을 포함한다.
또한, 캡(600)의 외부 상에는 한 쌍의 환형으로 격리된(즉, 환형으로 연속적이지 않은), 만입된(또는 평탄화된) 파지 영역(638)(도 22)이 형성되고, 이 파지 영역은 실질적으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며, 한 쌍의 대향 폴리머 파지 표면(640)(도 2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즉, 캡 프로파일은, 폐쇄된 상단 벽(602)으로부터 저부 에지(604)로 프로파일이 연장할 때, 캡(600)의 전체 원주 둘레에서 연속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만입(또는 평탄화)된다). 이 때문에, 캡(600)은 캡(600)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로부터 볼 때 타원형(또는 비원형) 외부 윤곽을 갖는다. 파지 표면(640) 각각은 회전 방향 표시자(예를 들어, 도 21에서 볼 때 화살표 642)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폐쇄된 상단 벽(602)으로부터 돌출 표면(624)으로 연장하는 스웹 가이드라인(644)의 형태의 시각적 정렬 마커에 의해 측벽형성된다(화살표 642로 표시된 방향으로). 다른 적절한 실시양태에서, 만입된(또는 평탄화된) 캡 프로파일(폐쇄된 상단 벽(602)으로부터 저부 에지(604)로 프로파일이 연장할 때)은 전체 캡(600) 둘레에서 환형으로 연속적일 수 있거나, 캡(600)은 만입된 또는 평탄화된 영역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캡(600)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배열된 회전 방향 표시자(들) 또는 임의의 적절한 시각적 정렬 마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제, 도 25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전달 세트(100)를 조립하기 위해, 스파이크(400) 및 내부 슬리브(200)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연결되어 제1 조립(또는 결합) 유닛(700)(도 25 내지 도 28)을 형성하고, 외부 슬리브(500)와 캡(600)이 함께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제2 조립(또는 결합) 유닛(800)(도 29 내지 도 32)을 형성한다.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제1 조립 유닛(700) 및 제2 조립 유닛(800)은 그후 도 3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함께 연결되어 조립된 전달 세트(100)(도 1 및 도 34 - 도 35)를 형성한다. 특히, 제1 조립 유닛(700)은 제2 조립 유닛(800)의 형성 이전, 이후 또는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8을 특히 참조하면, 제1 조립 유닛(700)은 내부 슬리브(200)의 제1 및 제2 내부 스플라인(226, 228)을 스파이크(400)의 제1 및 제2 공간(474, 476)과 정렬시키고, 그후, 스파이크(400)를 내부 슬리브(200)의 통로(208) 내로 삽입함으로써 내부 슬리브(200)의 내부 스플라인(226, 228, 230, 232, 234, 236, 238)이 스파이크(400)의 외부 스플라인(460, 462, 464, 466, 468, 470, 472)과 정합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스파이크(400)는 내부 슬리브(200)에 대해 특정 배향을 가져야만 하기 때문에(즉, 클립(440)은 개구(216, 218)와 원주방향으로 정렬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내부 슬리브(200)의 벌크헤드(248) 내의 컷아웃(282)은 후술된 전달 세트(100)의 조립 동안 툴링(예를 들어, 지그 또는 픽스쳐) 상에 내부 슬리브(200)를 적절히 배향하기 위한 정렬 특징부로서 기능하며, 스파이크(400)의 내부 슬리브(200)의 더 좁은 내부 스플라인(226, 228)(그리고, 더 근접하게 이격된 외부 스플라인(460, 462, 464))은 내부 슬리브(200) 내로 스파이크(400)를 적절히 삽입하기 위한 키이결합 특징부로서 기능한다(즉, 스파이크(400)가 내부 슬리브(200)에 대해 특정한 원주방향 위치로 배향되었을 때에만 내부 슬리브(200) 내로의 스파이크(400)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내부 슬리브(200)의 더 좁은 내부 스플라인(226, 228) 및 컷아웃(282)은 조립 동안 부적절하게 삽입된 스파이크(400)에 의해 더 적은 폐기물이 유발되게 하고 더 양호한 반복성을 촉진한다.
클립(440)의 포획부(452, 454)가 스파이크(400)의 외부 스플라인(460, 462, 464, 466, 468, 470, 472)의 외부 윤곽을 초과하여 반경방향 외향 돌출하기 때문에(도 14), 포획부(452, 454)는 스파이크(400)의 본체 구획(402)이 통로(208)에 진입할 때 내부 슬리브(200)의 상부 단부(210)와 접촉하도록 크기설정된다. 포획부(452, 454)의 하부 표면(458)이 내부 슬리브(200)의 상부 단부(210)와 접촉할 때, 클립(440)의 다리부(446, 448)는 종축(Y)에 대해 경사진 하부 표면(458)에 기인하여 제2 알코브(438) 내로 반경방향 내향 굴곡(또는 절곡)된다. 이 방식에서, 클립(440)은 내부 슬리브(200)의 상부 단부(210)를 횡단하는 포획부(452, 454)의 결과로서 실질적으로 스프링 부하된다. 포획부(452, 454)가 내부 슬리브(200)의 상부 개구(216)와 조우할 때, 클립(440)은 외향 스냅될 수 있게 되고, 그에 의해, 그 그 스프링 부하된 상태와 연계된 위치 에너지를 해제하며, 각 포획부(452, 454)는 상부 개구(216) 중 각각의 하나에 진입한다.
포획부(452, 454)는 그에 의해 내부 슬리브(200) 내에서 제1 고정 위치(도 27) 내에서 스파이크(400)를 보유하며, 스파이크(400)와 내부 슬리브(200)는 총체적으로 제1 조립 유닛(700)을 형성한다(도 25 내지 도 28). 특히, 제1 조립 유닛(700) 상에서, 스파이크(400)의 팁 구획(406)의 원위 단부(495)는 통로(208)의 목부(280) 내에 배치되지만, 벌크헤드(248)의 하부 표면(286)을 초과하여 연장하지 않는다(도 40). 이 때문에, 제1 조립 유닛(700)은 내부 슬리브(200) 내의 제1 고정 위치(도 27)에 스파이크(400)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보관 또는 수송될 수 있다(즉, 스파이크(400) 및 내부 슬리브(200)는 함께 보관 또는 수송될 수 있다).
이제, 특히, 도 29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제2 조립 유닛(800)은, 외부 슬리브(500)의 슬롯(516)과 캡(600)의 탭(622)을 정렬시키고, 그후, 탭(622)이 슬롯(516)에 진입하고, 캡(600)의 돌출 표면(624)은 외부 슬리브(500)의 상단 표면(502)과 접촉하거나 그로부터 근접하게 이격되도록 캡(600)을 외부 슬리브(500)(도 29) 내로 삽입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캡(600) 상의 가이드 포메이션(도 32) 각각은(즉, 제1 평탄한 표면(632), 제2 평탄한 표면(634) 및 경사진 표면(636)) 그에 의해, 외부 슬리브(500)의 대응하는 평탄한, 그리고, 경사진 리지(518, 522)와 정합한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가이드 포메이션은 각각의 한 쌍의 평탄한 그리고 경사진 리지들(518, 522)과 정합하며, 그래서, 가이드 포메이션의 제2 평탄 표면(634)은 평탄한 리지(518) 상에 배치되거나 그로부터 근접하게 이격되고, 가이드 포메이션의 제1 평탄한 표면(632)은 경사진 리지(522)의 제1 단차부(534) 상에 배치되거나 그로부터 근접하게 이격되고, 가이드 포메이션의 경사진 표면(636)은 경사진 리지(522)의 제1 경사면(536) 상에 배치되거나 그로부터 근접하게 이격된다. 따라서, 캡(600)의 각 탭(622)(외부 슬리브(500)의 그 각각의 슬롯(516)을 통과시키고 외부 슬리브(500)의 상부 립(512) 위에 배치함으로써)은 외부 슬리브(500)의 그 각각의 경사진 리지(522)의 베이스(526)로부터 종방향 하향,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탭(622)이 슬롯(516) 내로 삽입된 이후, 각 폴(530)은 캡(600)의 대향 주름부(630) 중 각각의 하나 내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 캡(600)의 측부 벽(606)과 접촉하거나 그와 근접하게 이격된 관계로 존재한다.
외부 슬리브(500) 내로의 캡(600)의 삽입 이후, 캡(600)은 그후 외부 슬리브(500)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된다(캡이 위로부터 보여질 때 반시계방향으로 또는 달리 말하면, 외부 슬리브(500)가 도 31에서와 같이 아래로부터 보여질 때 시계 방향(R)으로). 캡(600)이 회전함에 따라, 각 탭(622)은 외부 슬리브(500)의 채널(542)에 진입하도록 외부 슬리브(500)의 인근 경사진 리지(522)의 베이스 아래(526)를 통과하고, 각 탭(622)은 그후 대응 제1 리지(544)의 제1 측부(548)를 횡단함으로써 인근 베이스(526) 종방향 아래에, 그리고, 대응 제1 리지(544)와 그 연계된 제2 리지(546)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위치된다.
인근 경사진 리지(522)의 베이스(526) 각 텝(622)이 통과하는 것과 동시에, 캡(600)의 각 가이드 포메이션의 경사진 표면(636)은 각각의 경사진 리지(522)의 제1 경사면(536)과 접촉하여 캡(600)을 상방으로 구동한다(즉, 각각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차부(534) 및 평탄한 리즈(518)의 외부로 또는 그로부터 더 멀리 가이드 포메이션의 제1 평탄한 표면(632) 및 제2 평탄한 표면(634)을 들어올림으로써). 탭(622)이 제1 리지(544)를 횡단한 이후, 탭(622)은 제2 리지(546)의 제1 측부(548)와 조우하고, 지속적 회전에 대한 저항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으며, 이때, 탭(622) 각각이 원주방향으로 대응 리지들(544, 546)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그리고, 그 대응 베이스(526) 종방향 아래에 머무르도록 회전이 중단되며, 각 가이드 포메이션의 제1 평탄한 표면(632)은 대응 경사진 리지(522)의 제2 단차부(538) 상에 배치되거나 그로부터 근접하게 이격 배치된다(외부 슬리브(500)의 가이드라인(564)은 그 대응 리지들(544, 546) 사이에 탭(622) 각각이 적절하게 위치되었다는 시각적 지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캡의 가이드라인(644)과 정렬된다). 이런 위치에서, 리지들(544, 546) 사이에 위치된 탭(622)에 부분적으로 기인하여 캡(600)의 회전(어느 한 방향으로의)은 방지된다(즉, 탭(622)의 회전은 리지들(544, 546)에 의해 방해된다). 또한, 외부 슬리브(500)에 대한 캡(600)의 종방향 변위도 경사진 리지(522)의 베이스(526) 아래에 위치되는 탭(622)에 부분적으로 기인하여 억제된다(도 31 및 도 32).
특히, 슬롯(516)을 통한 탭(622)의 삽입 이후 캡(600)이 회전될 때, 각 폴(530)은 대향 세트의 치형부(626) 사이에서 캡(600)의 측부 벽(606)과 접촉하여 연계된 갭(628)을 따라 활주하도록 반경방향 외향으로 굴곡에 의해 캡(600)의 그 각각의 주름부(630)를 횡단한다. 이 때문에, 그 대응 주름부(630)를 횡단할 때, 각 폴(530)은 실질적으로 스프링 부하된다. 폴(530)이 치형부(626)를 향해 그 각각의 갭(628)을 따라 계속 활주할 때, 각 폴은 그 각각의 세트의 제1 치형부(626)와 조우한다(예를 들어, 접촉하지만 횡단하지는 않는다)(도 31).
이런 배열에서 함께 연결되어, 캡(600)과 외부 슬리브(500)는 총체적으로 제2 조립 유닛(800)을 형성한다(도 29 내지 도 32). 제2 조립 유닛(800)은 그후 캡(600)이 외부 슬리브(500) 내에 유지된 상태로 보관 또는 수송될 수 있다(즉, 캡(600)과 외부 슬리브(500)는 결합적으로 보관 또는 수송될 수 있다).
특히,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제1 조립 유닛(700)(즉, 결합된 내부 슬리브(200) 및 스파이크(400)) 및 제2 조립 유닛(800)(즉, 결합된 외부 슬리브(500) 및 캡(6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별개로 형성되고, 제2 조립 유닛(800)은 그후 내부 슬리브(200)의 홈(262)과 외부 슬리브(500)의 설상부(554)를 정렬시키고 내부 슬리브(200)(그리고, 스파이크(400))를 외부 슬리브(500)(그리고 캡(600))내로 삽입함으로써 제1 조립 유닛(700)에 연결되며, 설상부(554) 및 홈(262)은 정합 관계가 된다(도 33).
전달 세트(100)의 조립 동안의 내부 슬리브(200)와의 캡(600)의 부적절한 정렬이 캠(608, 612)(또는 다른 특징부)에 대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전달 세트(100)의 적절한 조립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 슬리브(500)는 스파이크(400)에 대해 캡(600)을 적절히 배향하기 위해 의존된다. 구체적으로, 설상부(554) 및 홈(262)은 전달 세트(100)의 조립 동안 스파이크(400)와 캡(600)을 정렬하는 키이결합 특징부로서 작용함으로써, 스파이크(400)의 종동자(428, 430)와 캡(600)의 캠(608, 612)의 자가 정렬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더 양호한 반복성을 돕고, 종동부(428, 430)와 캠(608, 612)의 부적절한 정함으로부터 초래되는 손상된 캠(608, 612)에 의해 유발되는 낭비가 더 적어지게 한다.
설상부(554)가 홈(262)에 진입할 때, 하부 슬리브(500)의 하부 립(514)은 에지(258)에서 내부 슬리브(200)의 플랜지(250)와 접촉하고, 하부 립(514)의 경사진 표면(558)은 플랜지(250)의 에지(258)를 따라 하향 활주함으로써 외부 슬리브(500)를 반경방향 외향 확장(또는 굴곡)시킨다. 플랜지(250)의 에지(258)를 횡단한 이후, 외부 슬리브(500)는, 내부 슬리브(200)가 외부 슬리브(500) 내로 계속 삽입될 때 하부 립(514)의 내부 면(556)이 플랜지(250)의 주연부에 대해 압력을 작용하도록 플랜지(250)에 대해 클램핑한다. 외부 슬리브(500)의 하부 립(514)이 플랜지의 절결부(260)와 조우할 때, 외부 슬리브(500)는 부분적 수축이 허용되며(또는 굴곡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이완되며), 그에 의해, 플랜지(250)에 대한 하부 립(514)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 중 일부를 경감시키고, 절결부(260) 내에 하부 립(514)을 고정한다. 이 위치에서, 하부 립(514)의 내부 면(556)은 절결부(260)의 하부 경계(261)의 평탄화된 부분 부근에서 절결부(260) 내에 배치되고, 하부 립(514)의 경사진 표면(558)은 절결부(260)의 하부 경계(261)의 경사진 부분에 대해 절결부(260) 내에 배치된다(도 35). 외부 슬리브(500)는 절결부(260) 내의 외부 슬리브(200)의 플랜지(250)에 대해 외부 슬리브(500)의 하부 립(514)에 의해 인가된 압력을 통해 내부 슬리브(200) 상에 유지되며, 압력(또는 클램핑력)은 외부 슬리브(500)의 팽창으로부터 초래된다.
이 방식에서, 플랜지(250)(예를 들어, 플랜지(250)의 반경방향 외향 돌출부, 절결부(260)의 반경방향 깊이, 절결부(260)의 하부 경계(261)의 경사진 부분의 길이에 대한 절결부(260)의 하부 경계(261)의 평탄화된 부분의 길이, 및 절결부(260)의 하부 경계(261)의 경사진 부분의 각도)는 병 상의 전달 세트(100)의 수송/배치 동안 절결부(260) 내에 하부 립(514)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클램핑력을 플랜지(250) 상에 외부 슬리브(500)가 부여할 수 있게 하지만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병의 캡핑 동안 내부 슬리브(200)의 하부 구획(204) 위에서의 제2 조립 유닛(800)의 종방향 하향 변위를 허용하도록 최적화된다.
하부 립(514)이 절결부(260) 내에 배치될 때, 캡(600)의 캠(608, 612)은 스파이크(400)의 종동자(428, 430)와 대체로 정합된다(즉, 캡(600)의 캠 표면(616, 618)은 캠 표면(616, 618)과 종동자 표면(442, 444)이 이격된 관계로 서로 정합적으로 대면하도록 스파이크(400)의 종동자 표면(442, 444)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도 35). 제1 조립 유닛(700) 및 제2 조립 유닛(800)은 따라서 도 33 내지 도 35에 예시된 전달 세트(100)의 조립된 구성을 결합적으로 형성하도록 함께 연결된다. 조립된 전달 세트(100)는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병에 대한 후속 부착(즉, 병 상에 배치 또는 캡핑)을 위해 보관 또는 수송될 수 있다.
이제, 도 36을 참조하면, 전달 세트(100)는 수납체(예를 들어, 밀봉된 병(900)) 내로의 및/또는 그 외부로의 액체의 전달 돕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병(900)은 중공이며, 본체(902), 본체(902)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환형 목부(904) 및 목부(904)로부터 외향 연장하는 환형 림(906)을 포함한다. 목부(904)는 외부 표면(908)을 가지고, 림(906)은 주연 에지(910) 및 측부 표면(912)을 갖는다. 본체(902)는 물질(예를 들어, 동결건조 의료 약물)을 수용하기 위한 체적을 형성하고, 목부(904)는 병(900)의 헤드공간을 형성한다. 병(900)을 밀봉하는 스토퍼(914)가 림(906) 상에 배치되고 목부(904) 내로 연장하며, 스토퍼(914)는 림(906)을 덮는(그러나, 주연 에지(910)는 제외) 플랜지 부분(916)과 목부(904)의 헤드공간을 덮는 중앙 부분(918)(플랜지 부분(916) 내부)을 구비한다. 특히, 중앙 부분(918)은 체적 내로 물질을 도입 또는 체적으로부터 물질을 인출하기 위해 스토퍼(914)의 밀봉부를 파괴할 때 천공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체적 내에 보관된 약물과의 혼합을 위해 병(900) 내로 희석제를 도입하기 위해, 그리고, 주사기를 통한 혼합물의 자가 투약을 위해 병(900)으로부터 혼합물을 인출하기 위해). 다른 실시양태에서, 병(90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전달 세트(100)가 기능할 수 있게하는 것을 돕는 임의의 적절한 물질을 수용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구성된 임의의 적절한 수납체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밀봉된 병(900)은 병(900)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또는 병 상에 "캡핑된") 전달 세트(100)를 갖는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사용자가 전달 세트(100)를 단순히 활성화시키고 주사기를 활성화된 전달 세트(100)(추가로 후술된 바와 같이)에 부착함으로써 재구성 동작을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달리 말하면, 병(900)은 병(900)의 밀봉부를 파괴하지 않는 방식으로(병(900) 내에 수용된 물질의 보관 수명 전반에 걸쳐 무균성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전달 세트(100)로 캡핑되지만, 사용자가 재구성 동작을 수행하기를 원할 때 병(900)의 밀봉부가 파괴될 수 있게 한다. 이 때문에, 병(900) 및 전달 세트(100)는 병(900)에 전달 세트(100)가 영구적으로(또는 제거불가하게) 연결되는 단일 결합 조립체(즉, 키트)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구성되고, 재구성 동작이 수행되고 결과적 혼합물이 병(900)으로부터 인출된 이후 병(900)과 함께 폐기될 수 있다(즉, 전달 세트(100)가 일회 사용 폐기형으로 구성된다).
도 35 및 도 36과 도 37을 다시 참조하면, 조립된 전달 세트(100)로 병(900)을 "캡핑"하기 위해(도 35), 조립된 전달 세트(100)는 내부 슬리브(200)의 하부 구획(204) 내로 병(900)의 림(906)을 삽입함으로써 병(900)의 스토퍼(914) 상에 먼저 배치된다. 그러나, 병(900) 상에 전달 세트(100)를 배치하기 이전에, 캡(600)의 캠(608, 612)은 윤활제에 침지되고 그래서, 캠(608, 612)의 팁(610, 614)(그리고, 캠 표면(616, 618)의 적어도 일부)가 윤활제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608, 612)에 윤활제를 적용함으로써,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종동자 표면(442, 444)과 캠 표면(616, 618)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 함으로써 전달 세트(100)의 더 매끄러운 작동이 촉진된다.
병(900)의 림(906)이 내부 슬리브(200)의 하부 구획(204)에 삽입될 때, 내부 슬리브(200)의 치형부(252)는 병(900)의 림(906)의 주연 에지(910)와 접촉하고, 치형부(252)의 내부 경사 에지(278)는 주연 에지(910)를 따라 하향 활주하여 치형부(252)를 반경방향 외향 구동함으로써 치형부(252)의 조인트(254)를 굴곡(또는 절곡)시키고 웨브(256)를 치형부(252) 사이에서 긴장시킴으로써(또는 벌림으로써) 하부 구획(204)의 직경이 림(906)을 수용하도록 확장되게 한다. 하부 구획(204)이 그 확장 상태가 된 이후(즉, 내부 경사 에지(278)가 림(906)의 주연 에지(910)를 초과하여 하향 활주한 이후), 각 치형부(252)의 내부 돌출부(276)는 치형부(252)가 측부 표면(912)을 따라 종방향 하향 활주할 때 림(906)의 측부 표면(912)에 압력을 인가하기 시작한다.
림(906)의 측부 표면(912)을 지나 활주한 이후, 림(906)의 측부 표면(912)에 대해 내부 돌출부(276)에 의해 인가된 압력이 경감됨으로써 조인트(254)가 굴곡해제될 수 있게 하고, 웨브(256)가 긴장 상태로부터 실질적으로 이완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부 구획(204)을 수축시키고 내부 돌출부(276)를 반경방향 내향으로 병(900)의 목부(906)의 외부 표면(908)을 향해 구동하며, 내부 슬리브(200)의 하부 구획(204)은 림(906)이 하부 구획(204)의 내부 만입부(274)를 점유하도록 병(900)의 림(906)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합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슬리브(200)의 벌크헤드(248)(도 27)가 스토퍼(914) 위에 배치되고, 프롱(288)(도 27)은 스토퍼(914)와 접촉(또는 스토퍼를 다소 압축)시키고, 스토퍼(914)의 중앙 부분(918)을 둘러싼다. 이 위치에서, 전달 세트(100)는 병(900) 상에 배치되어 있지만, 병(900)은 아직 전달 세트(100)로 "캡핑"되어 있지 않다(즉, 전달 세트(100)는 병(900)으로부터 여전히 제거될 수 있고, 아직 영구적으로 병(900) 상에 고정되지 않았다).
특히, 전달 세트(100)가 병(900) 상에 배치될 때 내부 슬리브(200)의 치형부(252)가 비의도적으로 내향 굴곡되고 벌크헤드(248)(도 27)와 스토퍼(914)의 플랜지 부분(916) 사이에 포획되는 경우, 병(900) 상의 전달 세트(100)의 밀봉(더 상세히 후술됨)이 훼손될 수 있다. 치형부(252)의 이런 내향 굴곡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슬리브(200)의 웨브(256), 치형부(252) 및 조인트(254)는 치형부(252)가 병(900) 상의 전달 세트(100)의 배치 동안 벌크헤드(248)와 스토퍼(914) 사이에 포획되는 정도로 내향 굴곡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강성적이다(즉, 치형부(252), 조인트(254) 및/또는 웨브(256)는 치형부(252)가 도 27에 도시된 종축(Y)에 대하여 90도 각도(또는 대안적으로 45도 각도)로 내향 굴곡될 수 없기에 충분하게 강성적이다). 치형부(252)가 이런 정도로 내향 굴곡될 수 없게 함으로써, 내부 슬리브(200)가 병(900) 상에 배치될 때 치형부(252)의 더 양호한 정렬이 달성되고, 이는 각 캡핑된 병(900)을 위한 더 높은 품질의 밀봉, 캡핑된 병(900)과 다음 캡핑된 병(900) 사이의 더욱 일관성있는 밀봉 및 밀봉 이후 그리고 캡핑 이전(예를 들어, 전달 세트(100)가 병(900) 상에 배치된 이후(그러나, 아직 캡핑되지 않은 상태)에 캡핑 라인 아래로 이동하는 동안)의 그 각각의 병(900) 상의 각 내부 슬리브(200)의 직립 배향을 보증하는 것을 돕는다.
계속 도 35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조립된 전달 세트(100)가 병(900) 상에 배치된 이후, 병(900)은 돌출 표면(624)이 외부 슬리브(500)에 캡(600) 상에 부여된 임의의 종방향 힘(F)을 전달하여 캡(600) 및 외부 슬리브(500)를 하방으로(결합적으로 함께) 구동하여 플랜지(250)의 절결부(260)로부터 외부 슬리브(500)의 하부 립(514)을 분리시키도록 캡(600)(및/또는 외부 슬리브(500)의 폐쇄된 상단 벽(602)에 종방향 힘(F)(도 35)을 부여함으로써 전달 세트(100)로 캡핑된다(즉, 제2 조립 유닛(800)은 제1 조립 유닛(700)에 대해 종방향 하향 변위되어 병(900)을 캡핑한다). 더 구체적으로, 외부 슬리브(500)에 부여된(예를 들어, 캡(600)을 경유하여)종방향 힘(F)은 하부 립(514)의 경사진 표면(558)이 절결부(260)의 하부 경계(261)의 경사진 부분을 따라 하향 활주하게 하여, 다시, 외부 슬리브(600)가 반경방향 외향으로 확장되게 함으로써, 그에 대한 반경방향 지향 압력을 유지하면서 하부 립(514)의 내부 면(556)이 플랜지(250)의 외부를 따라 하향 활주되게 한다.
하부 립(514)이 플랜지(250)를 지나쳐 하향 활주되고 나면(즉, 하부 립(514)이 하부 구획(204)의 외부 만입부(264)와 조우하고 나면), 플랜지(250) 상에 하부 립(514)에 의해 인가된 반경방향 압력이 경감되고, 외부 슬리브(500)는 수축이 허용되어 하부 립(514)을 외부 만입부(264) 내로 구동한다. 캡(600) 및/또는 외부 슬리브(500)에 대한 종방향 힘(F)의 지속적 인가에 의해, 외부 슬리브(500)는 저부 표면(504), 경사진 표면(558) 및/또는 외부 슬리브(500)의 내부 면(556)이 외부 만입부(264)의 경사진 하부 경계(266)와 조우하고 경사진 하부 경계(266)를 따라 하향 활주하여 치형부(252)(즉, 내부 돌출부(276) 및 외부 돌출부(268))를 병(900)의 목부(904)의 외부 표면(908)을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구동할 때까지 슬리브(200)의 하부 구획(204)에 대한 그 하향 변위를 지속한다.
외부 슬리브(500)의 하부 립(514)이 외부 만입부(264)의 하부 경계(266)를 지나쳐 활주한 이후, 하부 립(514)은 내부 슬리브(200)의 외부 경사진 에지(272)와 조우할 때까지 외부 돌출부(268)를 따라 계속 하향 활주하며, 이 시점에서 하부 립(514)은 외부 슬리브(500)의 내부 표면(506)이 병(900)의 목부(904)의 외부 표면(908)에 대해 치형부(252)를 압박하는 상태로 외부 경사 에지(272)(도 37)를 파지한다(즉, 아래를 감싼다). 특히, 하부 립(514)이 외부 경사 에지(272)를 파지하는 것과 동시에, 상부 립(512)은 플랜지(250)의 에지(258) 상에 배치된다. 이 방식에서, 외부 슬리브(500)는 외부 슬리브(500)의 하부 립(514)이 치형부(252)와 결합하여 내부 슬리브(200)에 대한 외부 슬리브(500)의 종방향 상향 변위를 방지하고 외부 슬리브(500)의 상부 립(512)이 내부 슬리브(200)의 플랜지(250)와 결합하여 내부 슬리브(200)에 대한 외부 슬리브(500)의 종방향 하향 변위를 방지하는 상태로 내부 슬리브(200)의 하부 구획(204) 상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이런 배열에서, 병(900)은 전달 세트(100)로 "캡핑"된다고 불려진다.
내부 슬리브(200)에 대한 외부 슬리브(500)의 하향 변위 동안, 캡(600)의 탭(622)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슬리브(500)의 리지(544, 546) 사이에 배치되어 유지된다(즉, 전달 세트(100)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는다). 이에 관하여, 캠(600)의 캠 표면(616, 618)이 스파이크(400)에 대한 캡(600)의 종방향 변위 동안 스파이크(400)의 종동자 표면(442, 444)에 대면하여(정합 관계로) 유지되는 동안, 캠 표면(616, 618)과 종동자 표면(442, 444)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변위 동안 감소됨으로써, 외부 슬리브(500)는 도 3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 슬리브(200)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때, 캠 표면(616, 618)이 종동자 표면(442, 444)과 접촉하거나 그로부터 근접하게 이격된다.
또한, 병(900)이 전달 세트(100)로 캡핑될 때, 캡(600) 내의 내부 공간은 전달 세트(100)의 활성화가 시작될 때까지 내부적 무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밀봉되어야만 한다. 이런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제2 조립 유닛(800)이 제1 조립 유닛(700)에 대해 변위될 때, 캡(600)의 저부 에지(604)는 개스킷(300과 환형으로 접촉하고(즉, 개스킷을 압축 및/또는 개스킷 내로 물려지며), 스토퍼(914)가 프롱(288)에 의해 압축되는 크기가 증가하고, 그에 의해, 캡(600)과 개스킷(3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거쳐 캡(600)의 내부 공간과, 프롱(288)과 스토퍼(914)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밀봉한다. 특히, 개스킷(300)을 위한 시트(224)의 깊이는 캡(600)이 개스킷(300) 위에 배치될 때(및/또는 내부로 물려질 때), 개스킷(300)과 캡(600) 사이의 밀봉을 최대화하고,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전달 세트(100)를 활성화할 때 캡(600)의 회전에 대해 개스킷(300)의 마찰 대립을 최소화하기에 충분하게 내부 슬리브(200)의 상부 구획(202)의 외부 표면(214)을 초과하여 개스킷(300)이 돌출할 수 있게 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이에 관하여, 캡(600)의 저부 에지(604)는 캡(600)이 개스킷(300) 위에 배치될 때(및/또는 그 내부로 물려질 때), 캡(600)과 개스킷(300) 사이의 밀봉을 최적화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저부 에지(604)는 개스킷(300)을 파괴시키지 않고 개스킷(300)과 밀봉 접촉할 수 있게 하도록 둥글거나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전달 세트(100)로 병(900)을 캡핑하는 동안, 병(900)은 다수의 다른 병(900)을 따라 직립 배향으로 캡핑 라인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문에, 기울어진 하나의 병(900)이 캡핑 라인에 도미노 효과를 유발하는 경우, 각 병(900)의 직립 배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달 세트(100)가 병(900) 상에 배치된 이후(또는 캡핑된 이후) 기울어짐을 억제하기 위해, 전달 세트(100)의 중량은 최소화되며, 그에 의해, 캡핑 이후 병(900) 상의 전달 세트(100)의 상단 무게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무게 감안 디자인의 일 예는 외부 본체(422)와 내부 본체(420) 사이에서 중공인 스파이크(400)와 리세스(270)를 갖는 치형부(252)이다(도 8에 가장 잘 예시됨). 이러한 중량 감소는 조립체와 연계된 문제를 최소화하며, 사용자 관점으로부터 성가심을 감소시키고, 장치 제조시 재료 비용을 저하시킨다.
캡핑된 구성에서(병(900) 없이 도 37에 도시됨), 전달 세트(100)와 병(900)은 병(900) 내부의 물질의 재구성을 원할때까지 보관 또는 수송될 수 있다(즉, 병(900)이 전달 세트(100)로 캡핑되어 있는 경우에도 병(900)이 밀봉되어 유지된다). 그러나, 병(900) 내의 물질의 재구성을 원할 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 외부 슬리브(500)를 파지하고(예를 들어, 외부 슬리브(500)의 외부 표면(508)의 오목한(또는 평탄화된) 파지 영역 및/또는 파지 링(562)을 파지), 동시에, 또한, 다른 손으로 캡(600)을 파지한다(즉, 캡(600)의 측부 벽(606)의 오목한(또는 평탄화된) 파지 영역(638) 및/또는 파지 표면(640)을 파지). 그후, 사용자는 화살표 642로 표시된 방향으로 외부 슬리브(500)에 대해 캡(600)을 수동 회전시킨다(즉, 캡(600)이 위로부터 보여질 때 반시계 방향으로 또는 달리 말해서, 외부 슬리브(500)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관찰될 때 시계 방향(R)으로).
도 31 및 도 32를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가 캡(600)을 회전시킬 때, 캡(600)의 탭(622) 각각은 외부 슬리브(500)의 그 각각의 제2 리지(546)를 횡단하고, 각 연계된 가이드 포메이션의 제1 평탄한 표면(632)은 그 대응 경사진 리지(522)의 제2 단차부(538)를 따라 이동한다(즉,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와 접촉하거나 그로부터 근접하게 이격되어). 각 탭(622)이 그 연계된 경사진 리지(522)의 베이스(526)를 원주방향으로 초과하여 이동한 이후, 각 가이드 포메이션의 경사진 표면(636)은 그 대응 경사진 리지(522)의 제2 경사면(540)과 조우한다. 캡(600)의 지속적 회전시, 각 가이드 포메이션의 경사진 표면(636)은 제1 평탄한 표면(632)이 접촉하고 외부 슬리브(500)의 상단 표면(502)을 따라 활주하도록 경사진 리지(522)의 정점(528)을 횡단할 때까지 대응 경사진 리지(522)의 제2 경사면(540)과 접촉하고 그를 따라 상방으로 활주한다.
특히, 각 가이드 포메이션의 경사진 표면(636)이 대응 경사진 리지(522)의 제2 경사면(540) 위로 활주될 때, 캡(600)의 돌출 표면(624)은 외부 슬리브(500)의 상단 표면(502)과의 접촉 상태로부터 분리되고(또는 그로부터 추가로 이격되고), 캡(600)의 저부 에지(604)는 개스킷(300)으로부터 적어도 약간의 압력을 제거한다(또는 그로부터 추가적으로 멀리 이격된다). 추가적으로, 폴(530)은 순차적으로 캡(600)의 치형부(626)를 횡단하고(즉, 캡(600)의 치형부(626)의 그 관련 세트와의 상호작용하는 각 폴(530)이 각 치형부(626) 위로 활주하도록 반경방향 외향 굴곡되고 후속하여 다음 치형부간 간격 내로 반경방향 스냅됨), 그에 의해, 대향 방향으로의 캡(600)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시계 방향(R)으로 캡(600)의 지속적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개스킷(300) 상의 캡(600)의 압력이 감소되거나 전체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캡(600)의 회전에 대한 개스킷의 마찰적 대치는 마찬가지로 감소 또는 전체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외부 슬리브(500)에 대한 캡(600)의 더 용이한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즉, 그 위로 캡(600)이 회전하는 거리의 대부분을 통해, 개스킷(300)의 추가된 마찰 저항(캡(600)에 대하여 러빙되는 개스킷(300)에 의해 유발되는)이 감소되거나 전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스파이크(400)의 원위 단부(495)는 캡핑된 병(900)의 수송 및 보관 동안 스토퍼(914)의 수 밀리미터 내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캡(600)의 가장 미소한 회전도 스파이크(400)가 스토퍼(914)를 천공하기 시작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캡(600)이 활성화 시작 이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세트 내의 제1 치형부(626)는 따라서 스토퍼(914)의 천공이 시작되고 나서 그 각각의 폴(530)에 의해 즉시(그리고 완전히) 결합되도록 전략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탭(622)이 그 연계된 제2 리지(546)를 횡단하고, 폴(530)이 그 연계된 치형부(626) 세트의 제1 치형부(626)를 횡단하고 나서, 활성화 프로세스는 반전될 수 없다. 대신, 추가로 더 상세히 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달 세트(100)의 활성화가 완료될 때까지 캡(600)을 계속 회전시켜야만 한다. 특히, 한 쌍의 대향 폴(530)(단일 폴(530) 대신)을 제공하는 것은 상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보증하는 추가된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도 35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외부 슬리브(500)에 대한 캡(600)의 회전 동안, 캠(608, 612)은 캡(600)의 회전을 스파이크(400)의 병진으로 변환하도록 종동자(428, 430)와 상호작용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캠 표면(616)은 제1 종동자 표면(442)을 따라 상향 활주하고, 제2 캠 표면(618)은 제2 종동자 표면(444)을 따라 상향 활주한다. 그러나, 내부 슬리브(200)에 대한 스파이크(400)의 회전이 내부 슬리브(200)와 스파이크(400)의 스플라인형 결합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도 28), 그리고, 외부 슬리브(500)에 대한 캡(600)의 종방향 변위가 채널(542) 내에 구속되는 탭(622)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도 32), 캠(608, 612)의 회전은 스파이크(400)가 병(900)의 스토퍼(914)를 향해 종방향 하향 활주하게 한다.
이제, 도 27을 다시 참조하면, 캡(600)에 의해 스파이크(400)가 하향 병진되기 시작할 때, 스파이크(400)의 포획부(452, 454)는 내부 슬리브(200)의 상부 개구(216)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하고, 포획부(452, 454)의 경사진 하부 표면(458)은 상부 개구(216)의 하부 주연부를 따라 하향 활주함으로써 클립(440)을 반경방향 내향으로, 그리고, 제2 알코브(438) 내로 더 깊이 변위시킴으로써 클립(440)의 다리부(446, 448)가 클립(440)을 실질적으로 스프링 부하시키도록 굴곡된다. 포획부(452, 454)가 상부 개구(216)로부터 분리되고난 이후, 크로스바(450)는 내부 슬리브(200)의 통로(208) 내에서 램프(240)의 기부(244)와 조우하고, 크로스바(450)는 스파이크(400)가 병진을 지속함에 따라 기부(244)로부터 정점(246)으로 램프(240)를 따라 하향 활주한다. 통로(208) 내로의 램프(240)의 돌출은 램프(240)의 베이스(244)로부터 램프(240)의 정점(246)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다리부(446, 448)가 겪는 굴곡(또는 절곡)의 크기는 크로스바(450)가 경사로 아래로 활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한다(그리고, 클립(440)의 스프링 부하의 크기는 크로스바(450)가 램프(240) 아래로 활주함에 따라 대응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크로스바(450)가 램프(240)의 정점(246)을 횡단하고 나면, 크로스바(450)는 하부 개구(218)의 베이스 영역(220)과 조우하고, 포획부(452, 454)는 하부 개구(218)의 영역(222)과 조우한다. 이 때문에, 클립(440)은 크로스바(450)를 램프(240)의 정점(246) 아래에 위치시키고 포획부(452, 454)를 하부 개구(218)의 다리부 영역(222) 내로 삽입하기 위해 반경방향 외향 스냅되게 될 수 있다(클립(440)의 스프링 부하 해제). 이러한 방식에서, 클립(440)(그리고, 따라서, 스파이크(400))의 상향 변위는 램프(240)와의 크로스바(450)의 간섭 및 하부 개구(218)의 다리부 영역(222)의 상부 주연부와의 포획부(452, 454)의 간섭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정지부(242)는 클립(440)의 종방향 하향 변위에 대한 하부 제한부를 제공한다(즉, 크로스바(450)는 스파이크(400)의 과도한 하향 변위시 정지부(242)와 접촉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클립(440)은 제2 고정 위치에서 스파이크(400)를 유지하도록 하부 개구(218)에서 로킹된다. 경사면(240) 아래로 클립(440)의 크로스바(450)가 활주하는 것과 동시에, 스파이크(400)의 팁 구획(406)의 원위 단부(495)는 병(900)의 스토퍼(914)의 중앙 부분(918)과 조우하여 그를 천공하도록 통로(208)의 목부(280)를 통과한다(즉, 벌크헤드(248)를 통과한다)(도 36).
특히, 전달 세트(100)의 활성화 동안, 스파이크(400)의 병진에 대한 저항에 대한 다양한 기여자가 존재한다. 예로서, 스파이크(400)의 포획부(452, 454)는 내부 슬리브(200)의 상부 개구(216)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며, 그후, 스파이크(400)의 클립(440)의 크로스바(450)는 램프(240) 상의 클립(440)의 다리부(446, 448)를 굴곡시킴으로써 부여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저항에 대하여 내부 슬리브(200)의 램프(240) 아래로 하향 활주하여야 하며, 스파이크(400)의 팁 구획(406)은 그후 병(900)에 진입하기 이전에 스토퍼(914)를 천공하여야 한다. 캡(600)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토크를 감소시키는 것을 돕고 캡(600)의 전체 회전 전반에 걸쳐 더욱 일정한 토크 요구를 제공하도록, 스파이크(400) 상의 종동자 표면(442, 444)의 경사는 병진 동안 스파이크(400) 상에 부여되는 가변적 저항에 따라 변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종동자 표면(442, 444)은 더 적은 저항이 예상되는 위치에서보다 더 많은 저항이 예상되는 위치에서 다른 경사를 갖는다. 따라서, 각 종동자 표면(442, 444)의 경사는 종동자 표면(442, 444)의 상단으로부터 종동자 표면(442, 444)의 저부까지 일정하지 않다. 대신, 경사는 저항이 가장 큰 경우 가장 큰 기계적 장점을 제공하고, 저항이 최소인 경우 최소의 기계적 장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캠 표면(616, 618)(도 24)은 또한 더 적은 저항이 예상되는 위치에서보다 더 많은 저항이 예상되는 위치에서 다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 캠 표면(616, 618)의 경사는 따라서 상단으로부터 저부까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역시 캠 표면(616, 618)의 경사는 저항이 가장 큰 경우 가장 큰 기계적 장점을 제공하고, 저항이 최소인 경우 최소의 기계적 장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가변적 경사는 사용자에 의한 전달 세트(100)의 더 손쉬운 활성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캡(600)이 회전되고 캠(608, 612)이 스파이크(400)를 병진시키기 위해 종동자(428, 430)와 결합할 때, 캠(608, 612)은 자연적으로 스파이크(400)를 하향 구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반경방향 외향 굴곡되는(팁(610, 614)이 반경방향 내향 지향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종동자 표면(442, 444) 위로 이동하는 캠 팁(610, 614)에 대한 반경방향 내향 방해물에 대한 임의의 가능성이 완화되어야 한다. 이 방식에서, 캠(608, 612)이 종동자(428, 430)를 하향 구동하고 잠재적으로는 반경방향 외향 굴곡되어 활성화 동안 전달 세트(100)가 오기능하게 되는 가능성을 약화시킬 때 견부(434)(도 11)는 제1 캠(608)의 제1 팁(610)이 제1 종동자 표면(442) 부근에서 몰드-릴리즈(432)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적으로, 스파이크(400)는 제1 고정 위치로부터 제2 고정 위치로의 내부 슬리브(200) 내에서 병진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반면, 이들 두 고정 위치 각각으로부터의 스파이크(400)의 비의도적 진행 및 회귀는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포획부(452, 454)가 내부 슬리브(200)의 상부 개구(216) 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포획부(452, 454)의 평탄한 상부 표면(456)은 제1 고정 위치로부터 상방으로의 스파이크(400)의 비의도적 분리를 억제한다. 포획부(452, 454)의 경사진 하부 표면(458)이 상부 개구(216)로부터 하방으로의 포획부(452, 454)의 더 용이한 분리를 촉진하도록 구성되면, 램프(240)는 스파이크(400)가 제1 고정 위치로부터 비의도적으로 하향 분리되는 경우에 스파이크(400)의 하향 변위를 제한하는 것을 돕는다(클립(440)에 대한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이에 관하여, 클립(440)의 다리부(446, 448)의 가요성은, 전달 세트(100)의 활성화 동안 스파이크(400)의 의도된 하향 변위를 과도하게 저지하지 않고, 스파이크(400)가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경우에 스파이크(400)의 하향 변위를 제한하도록 램프(240)에 대한 충분한 저항을 제공하도록 최적화된다.
도 31 및 도 32를 다시 참조하면, 스토퍼(914)가 천공된 이후, 전달 세트(100)의 활성화가 완료되고, 캡(600)의 지속적 회전은 탭(622) 각각이 슬롯(516)과 정렬되게 하며, 이 슬롯은 탭(622)이 내부로 삽입된 슬롯(516)에 대향한다(즉, 전달 세트(100)의 활성화 동안, 각 탭(622)은 하나의 슬롯(516)(채널(542) 내로의 "유입 슬롯(516)")으로부터 대향 슬롯(516)(채널로부터의 "유출 슬롯(516)")으로의 채널(542) 내에서 외부 슬리브(500) 둘레의 실질적 절반을 회전한다). 따라서, 탭(622) 중 하나를 위한 유입 슬롯(516)은 탭(622) 중 나머지를 위한 유출 슬롯(516)이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 방식에서, 캡(600)은 그 대응 유입 슬롯(516)과 유출 슬롯(516) 사이에서 외부 슬리브(500)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 그러나, 그 관련 유입 슬롯(516)에 도달시, 각 탭(622)은 채널(542)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캡(600)이 외부 슬리브(500)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사용자는 전달 세트(100)의 완전한 활성화 이후 캡(600)의 과도한 회전이 불가능하고, 그에 의해, 캡(600)이 외부 슬리브(500)로부터 제거되어 활성화 완료 이후 재구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변경되었다는 촉각적 지표를 제공받는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채널(542)의 그 관련 유출 슬롯(516)을 초과하여 캡(600)의 탭(622)을 회전시키기를 시도하는 경우, 탭(622) 각각은 대응 유출 슬롯(516) 부근에 있는 경사진 리지(522)의 베이스(526)와 접촉함으로써 활성화 완료 이후 과도한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캡(600)의 치형부(626)가 캡(600)의 상반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가이드 포메이션의 제1 평탄한 표면(632)(도 21)이 외부 슬리브(500)의 상단 표면(502) 상에 배치되고, 따라서, 외부 슬리브(500) 내에서의 캡(600)의 종방향 하향 변위를 방지하기 때문에, 그리고, 유출 슬롯(516)과 연계된 경사진 리지(522)의 기부(526)가 활성화 이후 캡(600)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종방향 상방이 아닌 임의의 방향으로 캡(600)을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전달 세트(100)의 활성화 이후 외부 슬리브(500)로부터의 캡(600)의 제거는 더욱 직관적이다.
도 14를 다시 참조하면, 외부 슬리브(500)로부터의 캡(600)의 제거시, 스파이크(400)의 커넥터 구획(404)이 노출되고, 사용자는 커넥터 구획(404)의 나사부(412, 414) 상으로의 주사기의 나사결합 및 커넥터 구획(404)의 암형 피팅(410) 내로의 주사기의 수형 피팅의 삽입에 의해 커넥터 구획(404)에 주사기(예를 들어, 희석제를 포함하는 주사기)를 연결하는 것이 허용되며, 그에 의해, 주사기를 스파이크(400)의 도관(408)에 유체 연통 상태로 연결하는 것이 허용된다. 특히, 커넥터 구획(404)이 스파이크(400)에 대한 주사기의 견고한 부착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긴 나사부를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어떠한 나사부도 가시적인 상태로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커넥터 구획(404) 상으로 주사기를 과도하게 나사결합하고 싶어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이러한 과도한 주사기의 나사결합(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진 이후)은 스파이크(400)의 커넥터 구획(404) 및/또는 주사기에 대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된 스파이크(400)의 커넥터 구획(404)은 주사기가 스파이크(400)에 충분히 부착되고 나서 스파이크(400) 상으로의 주사기의 나사결합을 정지시키기 위한 시각적 큐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커넥터 구획(404) 상의 최적화된 원주방향 및 종방향 연장부를 구비하는 나사부(412, 414)를 구비한다. 커넥터 구획(404) 상으로의 주사기의 과도한 나사결합이 이에 의해 좌절된다.
주사기로부터 스파이크(400)의 도관(408) 내로의 액체(예를 들어, 희석제)의 배출을 개시할 때, 액체는 액체 필터(418)를 통해 유동하고, 궁극적으로 액체가 포트(497)로부터 병(900) 내로 액체가 배출되도록 팁 구획(406)의 결합 표면(489)과 접촉한다. 액체가 포트(497)로부터 배출되어 병(900)에 진입할 때, 병(900) 내부로부터의 공기는 팁 구획(406)의 입구(499)를 통해 병(900)을 벗어나고, 공기 유동 통로(490)를 통해 통기구(492) 내로 유동하여, 통기구(492)로부터 공기 필터(494)를 통해 제1 알코브(436) 내로 배기된다. 병(900) 내로의 주사기의 액체의 배출 및 병(900)의 물질과의 액체의 혼합 이후, 혼합물은 후속하여 혼합물이 액체 필터(418)를 통해 그리고 주사기 내로 유동하도록 병(900)으로부터 포트(497)를 거쳐 주사기 내로 후속하여 인출될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이 병(900)으로부터 인출될 때, 제1 알코브(436) 내부로부터의 공기는 공기 필터(494), 통기구(492), 공기유동 경로(490) 및 입구(499)를 통해 병(900) 내로 흡인된다.
특히, 의료 약물 재구성시, 병(900)의 저부에서 의료 약물의 직접적으로 희석제를 배출하는 것은 발포 효과를 유발할 수 있고, 발포는 특히, 단백질 약물의 경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 때문에, 팁 구획(406)의 포트(497) 및 도관(408)의 단부에서 팁 구획(406)의 오목한 경계 표면(489)은 병(900)의 저부에 배치된 동결건조 약물을 향해 종방향으로 하향하는 대신, 병(900)의 본체(902)의 측부 벽을 향해 반경방향으로(예를 들어, 종축(Y)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희석제를 배출하는 것을 돕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희석제의 이러한 반경방향 배출은 재구성 동안 병(900) 내의 발포를 감소시킨다. 또한, 입구(499)의 스캘럽형 형상에 추가로 포트(497)의 개방된 저부(491)에 대한 입구(499)의 개방된 저부(493)의 상향 오프셋 배치는 재구성 동안 팁 구획(406)의 원위 단부(495)에서 형성되는 액체의 액적이 공기유동 경로(490) 내로 흡인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돕는다.
추가적으로, 스파이크(400)의 커넥터 구획(404)과 본체 구획(402) 사이의 연결 지점이 제조 동안(즉, 몰드로부터 인출과 연계된 힘), 그리고, 사용 동안(주사기의 부착 및 사용과 연계된 힘) 현저한 응력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응력이 연결부 부근에서 스파이크(400) 내에 균열을 유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관하여, 예시된 실시양태에서 커넥터 구획(404) 및 본체 구획(402)의 두꺼운 인터페이스(416)는 스파이크(400)의 구조적 완전성을 추가하고, 스파이크(400)가 전달 세트(100)의 제조 또는 사용 동안 균열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또한, 스파이크(400)가 전달 세트(100)의 활성화 동안 병(900)의 스토퍼(914)를 천공하기 때문에, 미립자가 스토퍼(914)로부터 병(900)에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의료 용례에서, 이들 또는 임의의 다른 미립자가 병(900)으로부터 주사기 내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도관(408) 내에 내장, 초음파 용접된 액체 필터(418)가 주사기에 미립자가 진입하는 것을 억제한다. 유사하게, 스파이크(400)의 통기구(492) 위에 배치된 소수성 공기 필터(494)가 공기유동 경로(490)를 통한 병(900) 내로의 미립자 진입을 억제하고, 공기 필터(494)의 습윤이 공기 필터(494)가 막히게 하고 전달 세트(100)의 무균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 병(900) 내로의 습기의 진입 및 유출을 초래할 수 있는 공기 필터(494)의 습윤을 저지한다.
마지막으로, 병(900)으로부터 주사기 내로의 혼합물의 인출 이후, 전달 세트(100)를 통한 재구성이 완료되고, 사용된 전달 세트(100)는 사용된 병(900)과 함께 폐기된다. 특히, 전달 세트(100)가 병(900)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사용된 병(900)이 사용된 전달 세트(100)를 파괴하지 않고 사용된 전달 세트(100)로부터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사용된 전달 세트(100)의 재사용이 방지된다.
따라서, 일 실시양태에서, 스토퍼에 의해 밀봉된 병의 내외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는 일반적으로 종축을 따라 내부 슬리브를 통해 연장하는 통로를 갖는 내부 슬리브와 통로가 병의 스토퍼 위에 배치되도록 병에 내부 슬리브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외부 슬리브를 포함한다. 전달 세트는 종동자를 포함하는 스파이크와 캡을 포함하고, 스파이크는 내부 슬리브의 통로 내에 배치되고, 스토퍼를 천공하도록 통로를 따라 종방향 병진하도록 구성되고, 캡은 외부 슬리브에 연결되고 외부 슬리브에 대한 캡의 회전을 통해 외부 슬리브로부터 분리되도록 외부 슬리브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캡은 폐쇄된 상단 벽, 폐쇄된 상단 벽으로부터 연장하여 캡의 내부 공간과 개방된 저면을 형성하는 환형 측부 벽 및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캠을 포함하고, 내부 슬리브와 스파이크는 캡이 외부 슬리브에 연결될 때 내부 공간 내로 연장하며, 캡이 외부 슬리브로부터 캡의 분리를 위해 외부 슬리브에 대해 회전될 때, 캡은 스토퍼를 천공하기 위해 스토퍼를 향해 스파이크를 병진시키도록 종동자와 상호작용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외부 슬리브는 외부 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캡을 유지하기 위한 림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캡은 또한 외부 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캡을 유지하기 위해 림 아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탭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캡은 림 아래에 배치된 한 쌍의 리지를 더 포함하며, 리지는 캡의 회전 동안 탭 중 하나에 의해 횡단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리지 각각은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가지고, 제1 측부는 제2 측부 이전에 탭 중 하나에 의해 횡단되도록 배향되고, 제2 측부는 제1 측부보다 더 급준하게 경사진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외부 슬리브는 림에 형성된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슬롯 각각은 탭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복수의 탭은 한 쌍의 대향 탭을 포함하고, 복수의 슬롯은 한 쌍의 대향 슬롯을 포함하며, 슬롯 각각은 탭 중 하나를 위한 림을 통한 유입을 제공하고, 탭 중 나머지를 위한 림을 통한 유출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림은 캡의 회전 동안 림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캡을 구동하기 위한 경사진 리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경사진 리지는 단차형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캡은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치형부를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는 캡의 회전 동안 캡의 래칫작용을 제공하도록 치형부와 결합하는 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폴은 치형부 각각을 횡단하도록 굴곡되는 가요성 핑거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외부 슬리브는 캡의 회전 동안 캡의 래칫작용을 제공하도록 치형부와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폴을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스토퍼에 의해 밀봉된 병의 내외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는 내부 슬리브와 내부 슬리브 내에 배치된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제1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내부 슬리브는 밀봉된 병의 스토퍼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스파이크는 스토퍼를 천공하도록 내부 슬리브 내에서 병진하도록 구성된다. 전달 세트는 외부 슬리브에 연결된 캡을 포함하는 제2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캡은 외부 슬리브에 대하여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슬리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외부 슬리브는 제1 결합 유닛이 밀봉된 병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 상태 및 제1 결합 유닛이 밀봉된 병에 제거불가하게 연결되는 제2 연결 상태에서 내부 슬리브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2 결합 유닛이 제1 결합 유닛에 연결될 때 제1 결합 유닛 및 제2 결합 유닛은 종축을 따라 정렬된다. 제2 결합 유닛이 제1 결합 유닛에 연결될 때 제2 결합 유닛에 종방향 힘을 인가함으로써, 제2 결합 유닛은 제2 결합 유닛과 제1 결합 유닛의 연결을 제1 연결 상태로부터 제2 연결 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제1 결합 유닛에 대한 종방향 변위를 위해 구성된다. 제2 연결 상태의 외부 슬리브로부터 캡을 분리시키기 위해 외부 슬리브에 대하여 캡을 회전시킴으로서, 캡은 스토퍼를 천공하도록 스파이크를 병진시킨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외부 슬리브는 림을 포함하고, 캡은 종방향 힘이 캡에 인가될 때, 캡은 외부 슬리브의 림 상에 배치됨으로서 외부 슬리브에 종방향 힘을 전달하도록 외부 슬리브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캡은 캡으로부터 외부 슬리브로 종방향 힘을 전달하기 위해 림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돌출 표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캡은 캡이 외부 슬리브에 연결될 때 림 아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탭을 포함하며, 이 탭은 회전 이전의 외부 슬리브로부터 캡의 분리를 방지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내부 슬리브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는 제1 연결 상태에서 플랜지에 대한 연결을 위해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외부 슬리브는 제1 연결 상태에서 플랜지에 외부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해 플랜지 상에 클램핑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하부 립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플랜지는 절결부를 포함하고, 하부 립은 절결부 내의 플랜지 상에서 클램핑력을 인가함으로써 제1 연결된 상태에서 플랜지에 외부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해 절결부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부 립은 제2 결합 유닛은 제1 결합 유닛에 대해 변위될 수 있도록 종방향 힘이 제2 결합 유닛에 인가될 때 절결부의 외부로 하부 립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경사 표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절결부는 경사진 하부 경계를 가지며, 하부 립의 경사진 표면은 종방향 힘이 제2 결합 유닛에 인가될 때 절결부의 외부로 하부 립을 구동하도록 경사진 하부 경계를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내부 슬리브는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와 치형부는 제2 연결 상태에서 밀봉된 병으로부터 이동불가한 제1 결합 유닛을 총체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내부 슬리브는 복수의 웹을 포함하며, 각 웨브는 제1 연결 상태와 제2 연결 상태에서 밀봉된 병에 제1 결합 유닛을 연결하는 것을 돕도록 치형부의 인접한 치형부들에 걸쳐진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웨브 각각은 제1 결합 유닛이 병에 연결될 때 병을 향해 내향 굴곡되도록 대체로 U 형상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내부 슬리브는 복수의 홈을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는 복수의 설상부를 포함한다. 설상부는 외부 슬리브가 내부 슬리브에 연결될 때 외부 슬리브와 내부 슬리브를 정렬시키도록 홈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스토퍼에 의해 밀봉된 병의 내외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는 종축을 따라 슬리브를 통해 연장하는 통로와 통로 내로 돌출하는 종방향으로 경사진 램프를 포함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통로가 스토퍼 위에 배치되도록 병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전달 세트는 클립을 포함하는 스파이크를 더 포함하고, 스파이크는 통로 내에 배치되고 스토퍼를 천공하도록 통로를 따라 종방향 병진하도록 구성되며, 클립은 스파이크가 통로를 따라 병진될 때 램프의 경사면 위로 탄성적으로 활주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슬리브는 개구를 포함하고, 클립은 통로 내의 고정된 위치에서 스파이크를 유지하도록 개구와 결합하기 위한 포획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슬리브는 복수의 내부 스플라인을 포함하고, 스파이크는 복수의 외부 스플라인을 포함하며, 내부 및 외부 스플라인은 스파이크의 단 하나의 원주방향 배향으로만 내부 슬리브 내로의 스파이크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클립은 하나의 원주방향 배향으로 개구와 종방향으로 정렬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클립은 실질적으로 U 형상이고, 다리부 쌍 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로스바아와 다리부 쌍을 포함하며, 다리부는 크로스바아가 램프의 경사면 위로 활주할 때 굴곡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램프는 베이스와 정점을 가지며, 슬리브는 크로스바아가 램프의 정점을 횡단할 때 다리부가 굴곡해제되게 허용되도록 구성되며, 크로스바아는 그후 램프의 베이스를 향한 스파이크의 종방향 병진이, 크로스바아가 크로스바아와 램프 사이의 간섭에 부분적으로 기인하여 제한되도록 위치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슬리브는 크로스바아가 크로스바아와 정지부의 간섭에 부분적으로 기인하여 램프의 정점을 횡단한 이후 램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스파이크의 종방향 병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정지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슬리브는 한 쌍의 개구를 포함하고, 클립은 통로 내의 고정된 위치에서 스파이크를 유지하도록 개구 쌍과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포획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슬리브는 한 쌍의 이격된 다리부 영역을 갖는 실질적 U 형상 개구를 더 포함하고, 램프는 베이스와 정점을 포함한다. 개구 쌍은 램프의 베이스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실질적 U 형상 개구는 개구 쌍이 다리부 영역의 쌍과 종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램프의 정점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포획부 쌍은 램프의 베이스를 따라 활주되기 이전에 개구 쌍과 결합하고 램프의 피크를 횡단한 이후 다리부 영역의 쌍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포획부 각각은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을 포함하고, 하부 표면은 스파이크가 통로 내에 배치될 때 종축에 대하여 경사진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부 표면은 스파이크가 통로 내에 배치될 때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스토퍼에 의해 밀봉된 병 내외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는 종축을 따라 슬리브를 통해 연장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통로가 스토퍼 위에 배치되도록 병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달 세트는 통로 내에 배치되면서 슬리브가 병에 연결될 때 스토퍼를 천공하도록 통로를 따른 종방향 병진을 위해 구성되는 스파이크를 포함하고, 스파이크는 종동자 표면을 갖는다. 전달 세트는 캠 표면을 포함하는 캡을 더 포함하고, 캡은 캠 표면이 종동자 표면과 접촉하도록 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캡을 회전시키는 것은 캡의 캠 표면이 스파이크의 종동자 표면과 상호작용하게 함으로써 스토퍼를 천공하기 위해 스토퍼를 향해 스파이크를 병진시키고, 종동자 표면은 종동자 표면을 따라 변하는 경사면을 갖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종동자 표면은 일반적으로 나선형으로 경사진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캠 표면은 대체로 나선형으로 경사진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스파이크는 한 쌍의 종동자 표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종동자 표면은 대체로 이중 나선 방식으로 경사진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스파이크는 한 쌍의 캠 표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캠 표면은 실질적으로 이중 나선 방식으로 경사진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캠 표면이 대체로 경사지는 대체로 이중 나선 방식은 종동자 표면이 경사지는 대체로 이중 나선형 방식과 대체로 거울면 대칭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캡은 내부 공간을 가지고, 캠 표면은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다. 캡은 캠 표면이 캡의 내부 공간 내의 종동자 표면과 접촉하도록 내부 공간 내에 스파이크와 내부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스토퍼에 의해 밀봉된 병의 내외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는 종축을 따라 내부 슬리브를 통해 연장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내부 슬리브를 포함한다. 또한, 전달 세트는 환형 외부를 갖는 외부 슬리브를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는 통로가 스토퍼 위에 배치되도록 밀봉된 병에 내부 슬리브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전달 세트는 또한 내부 슬리브의 통로 내에 배치되도록, 그리고, 스토퍼의 천공을 위해 통로를 따라 종방향으로 병진되도록 구성된 스파이크를 포함한다. 전달 세트는 환형 외부를 갖는 캡을 더 포함하고, 캡은 캡이 외부 슬리브에 대한 캡의 회전을 통해 외부 슬리브로부터 분리되도록 내부 슬리브와 스파이크 위에 외부 슬리브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슬리브 외부와 캡 외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환형으로 격리된 파지 영역을 갖는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환형으로 격리된 파지 영역은 만입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환형으로 격리된 파지 영역은 평탄화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환형으로 격리된 파지 영역은 실질적으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관계로 쌍을 이룬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환형으로 격리된 파지 영역은 캡 외부와 슬리브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타원형 환형 윤곽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환형으로 격리된 파지 영역은 탄성 중합체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외부 슬리브는 탄성 중합성 재료로부터 형성된 환형 파지 링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캡과 외부 슬리브 각각은 외부 슬리브와 캡이 정렬되는 시각적 지표를 제공하도록 시각적 정렬 마커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시각적 정렬 마커 중 적어도 하나는 가이드라인의 형태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캡은 회전 방향 지시자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회전 방향 지시자는 화살표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스토퍼에 의해 밀봉된 병의 내외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는 일반적으로 종축을 따라 슬리브를 통해 연장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슬리브는 통로가 스토퍼 위에 배치되도록 병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전달 세트는 또한 스파이크를 더 포함하고, 스파이크는 본체 구획, 본체 구획으로부터 연장하는 커넥터 구획 및 커넥터 구획에 대향한 본체 구획으로부터 연장하는 팁 구획을 포함한다. 스파이크는 통로 내에 배치되고, 팁 구획을 통해 스토퍼를 천공하도록 통로를 따라 종방향 병진하도록 구성된다. 액체 도관은 커넥터 구획으로부터 팁 구획으로 스파이크를 따라 연장하며, 공기흐름 통로는 본체 구획으로부터 팁 구획으로 스파이크를 통해 연장한다. 공기 유동 경로는 본체 구획에 의해 형성되는 통기구를 가지고, 스파이크는 통기구를 덮는 공기 필터와 도관 내에 배치된 액체 필터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공기 필터는 소수성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공기 필터는 본체 구획에 초음파 용접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팁 구획은 공기유동 경로로의 입구를 포함하며, 입구는 스캘럽형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팁 구획은 복수의 포트와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도로 도관으로부터 포트를 통해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오목한 결합 표면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입구와 액체 포트 각각은 개방된 저부를 가지고, 입구의 개방된 저부가 액체 포트의 개방된 저부로부터 종방향 상향 오프셋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본체 구획은 내부 본체와 외부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 구획은 내부 본체와 외부 본체 사이에서 중공형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스파이크는 본체 구획과 커넥터 구획의 접합부에서 두꺼운 계면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커넥터 구획은 높이 및 원주를 가지고, 커넥터 구획은 원주의 실질적 절반 만의 둘레로 연장하면서 높이의 실질적 절반만에 걸쳐지는 나사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전달 세트의 팁 구획은 뭉툭한 원위 단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는 그 양호한 실시양태(들)의 요소의 소개시, 관사 "일", "이" 및 "상기"는 요소 중 하나 이상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의도한다. 용어 "포함하는", "내포하는" 및 "갖는"은 포함적인 것을 의도하며, 나열된 요소 이외의 추가적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상술한 구성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 포함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자료는 예시적이고 제한적 의미가 아닌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스토퍼에 의해 밀봉된 병의 내외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이며,
    종축을 따라 내부 슬리브를 통해 연장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내부 슬리브,
    통로가 병의 스토퍼 위에 배치되도록 병에 내부 슬리브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외부 슬리브,
    종동자를 포함하고, 스파이크는 내부 슬리브의 통로 내에 배치되고 스토퍼를 천공하도록 통로를 따라 종방향 병진하도록 구성되는 스파이크, 및
    외부 슬리브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캡으로서, 캡은 외부 슬리브에 연결되고, 외부 슬리브에 대한 캡의 회전을 통해 외부 슬리브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캡을 포함하고,
    캡은
    폐쇄된 상단 벽,
    폐쇄된 상단 벽으로부터 연장하여 개방된 저부와 캡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환형 측부 벽, 및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캠
    을 포함하고,
    내부 슬리브와 스파이크는 캡이 외부 슬리브에 연결될 때 내부 공간 내로 연장하며,
    캡이 외부 슬리브로부터 캡을 분리하기 위해 외부 슬리브에 대해 회전될 때, 캠은 스토퍼를 천공하기 위해 스토퍼를 향해 스파이크를 병진시키도록 종동자와 상호작용하는 전달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슬리브는 캡을 외부 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림을 포함하는 전달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캡은 외부 슬리브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캡을 유지하기 위해 림 아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탭을 더 포함하는 전달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캡은 복수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치형부를 더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는 캡의 회전 동안 캡의 래칫작동을 제공하도록 치형부와 결합하는 폴을 포함하는 전달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폴은 치형부 각각을 횡단하도록 굴곡되는 가요성 핑거인 전달 세트.
  6. 스토퍼에 의해 밀봉된 병의 내외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이며,
    내부 슬리브와 내부 슬리브 내에 배치된 스파이크를 포함하는 제1 결합 유닛으로서, 내부 슬리브는 밀봉된 병의 스토퍼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스파이크는 스토퍼를 천공하기 위해 내부 슬리브 내에서 병진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합 유닛, 및
    외부 슬리브와, 외부 슬리브에 연결된 캡을 포함하는 제2 결합 유닛으로서, 캡은 외부 슬리브에 대해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외부 슬리브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외부 슬리브는 제1 결합 유닛이 밀봉된 병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된 제1 연결 상태와 제1 결합 유닛이 밀봉된 병에 제거불가하게 연결된 제2 연결 상태에서 내부 슬리브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1 결합 유닛 및 제2 결합 유닛은 제2 결합 유닛이 제1 결합 유닛에 연결될 때 종축을 따라 정렬되며,
    제2 결합 유닛이 제1 결합 유닛에 연결될 때 제2 결합 유닛에 종방향 힘을 인가함으로써, 제2 결합 유닛은 제2 결합 유닛과 제1 결합 유닛의 연결을 제1 연결 상태로부터 제2 연결 상태로 변환하도록 제1 결합 유닛에 대해 종방향 변위되도록 구성되며,
    제2 연결 상태에서 외부 슬리브로부터 캡을 분리시키도록 외부 슬리브에 대해 캡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캡은 스토퍼를 천공하도록 스파이크를 병진시키는 전달 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외부 슬리브는 림을 포함하고, 캡은 종방향 힘이 캡에 인가될 때, 외부 슬리브의 림 상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캡이 외부 슬리브에 종방향 힘을 전달하도록 캡이 외부 슬리브에 연결되는 전달 세트.
  8. 제6항에 있어서, 내부 슬리브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는 제1 연결 상태에서 플랜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전달 세트.
  9. 제6항에 있어서, 내부 슬리브는 복수의 치형부를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와 치형부는 제2 연결 상태에서 밀봉되나 병으로부터 제거불가하게 제1 결합 유닛을 결합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세트.
  10. 제6항에 있어서, 내부 슬리브는 복수의 홈을 포함하고, 외부 슬리브는 복수의 설상부를 포함하며, 설상부는 외부 슬리브가 내부 슬리브에 연결될 때 내부 슬리브를 외부 슬리브와 정렬하도록 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전달 세트.
  11. 스토퍼에 의해 밀봉된 병 내외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세트이며,
    종축을 따라 슬리브를 통해 연장하는 통로를 포함하고, 통로가 스토퍼 위에 배치되도록 병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슬리브,
    통로 내에 배치되고 슬리브가 병에 연결될 때 스토퍼를 천공하도록 통로를 따라 종방향 병진하도록 구성되는 스파이크로서, 종동자 표면을 포함하는 스파이크, 및
    캠 표면을 포함하는 캡으로서, 캠 표면이 종동자 표면과 접촉하도록 슬리브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된 캡을 포함하고,
    캡을 회전시키는 것은 캡의 캠 표면이 스파이크의 종동자 표면과 상호작용하여 스파이크를 스토퍼를 향해 병진시켜 스토퍼를 천공하고,
    종동자 표면은 종동자 표면을 따라 변하는 경사면을 갖는 전달 세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종동자 표면은 대체로 나선형으로 경사지는 전달 세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스파이크는 한 쌍의 종동자 표면을 포함하는 전달 세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종동자 표면은 대체로 이중 나선 방식으로 경사지는 전달 세트.
  15. 제11항에 있어서, 캡은 내부 공간을 가지고, 캠 표면은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고, 캠 표면이 캡의 내부 표면 내에서 종동자 표면과 접촉하도록 내부 표면 내에 스파이크와 내부 슬리브를 수용하도록 캡이 구성되는 전달 세트.
KR1020157028142A 2013-03-14 2014-03-14 전달 세트 KR201501304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84512P 2013-03-14 2013-03-14
US61/784,512 2013-03-14
PCT/US2014/027120 WO2014152249A1 (en) 2013-03-14 2014-03-14 Transfer 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423A true KR20150130423A (ko) 2015-11-23

Family

ID=5158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8142A KR20150130423A (ko) 2013-03-14 2014-03-14 전달 세트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60000653A1 (ko)
EP (1) EP2968068A4 (ko)
JP (1) JP2016512135A (ko)
KR (1) KR20150130423A (ko)
CN (1) CN105007882A (ko)
AU (1) AU2014239974A1 (ko)
BR (1) BR112015021136A2 (ko)
CA (1) CA2905955A1 (ko)
HK (1) HK1215153A1 (ko)
IL (1) IL240694A0 (ko)
MX (1) MX2015012009A (ko)
PE (1) PE20160032A1 (ko)
RU (1) RU2015143699A (ko)
SG (1) SG11201506569QA (ko)
WO (1) WO2014152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7300B2 (en) 2006-04-12 2009-06-16 Icu Medical, Inc. Vial adaptor for regulating pressure
WO2010022095A1 (en) 2008-08-20 2010-02-25 Icu Medical, Inc. Anti-reflux vial adaptors
AU2010276522B2 (en) 2009-07-29 2016-03-10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EP2744469B1 (en) 2011-08-18 2022-10-19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CN104168948B (zh) 2012-01-13 2017-03-01 Icu医学有限公司 控压型管形瓶接头和方法
WO2013142618A1 (en) 2012-03-22 2013-09-26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AU2014209594B2 (en) 2013-01-23 2018-09-13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US9089475B2 (en) 2013-01-23 2015-07-28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CN110638645B (zh) 2013-07-19 2022-10-18 伊库医学有限公司 压力调节流体输送系统和方法
ES2805051T3 (es) 2013-11-25 2021-02-10 Icu Medical Inc Procedimientos y sistema para llenar bolsas I.V. con líquido terapéutico
EP3157491B1 (en) 2014-06-20 2022-06-22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DE102015201275A1 (de) 2015-01-26 2016-07-28 Bayer Pharma AG Vorrichtung zum Überführen einer Flüssigkeit zwischen einem Lagerbehälter und mindestens einem weiteren Gebrauchsbehälter
DE102015201285B3 (de) * 2015-01-26 2016-06-30 Bayer Pharma AG Vorrichtung zum Überführen einer Flüssigkeit zwischen einem Lagerbehälter und mindestens einem weiteren Gebrauchsbehälter sowie Set aus Überführungsvorrichtung und Lagerbehälter
DE102015201288B4 (de) * 2015-01-26 2017-01-05 Bayer Pharma AG Hohlnadel-Baugruppe
CA3233913A1 (en) 2015-12-04 2017-06-08 Icu Medical, Inc. Systems, methods, and components for transferring medical fluids
EP4043001A1 (en) 2016-01-29 2022-08-17 ICU Medical, Inc. Pressure-regulating vial adaptors
USD851745S1 (en) 2016-07-19 2019-06-18 Icu Medical, Inc. Medical fluid transfer system
AU2017302557B2 (en) 2016-07-25 2022-10-13 Icu Medical, Inc. Systems, methods, and components for trapping air bubbles in medical fluid transfer modules and systems
CA3033377C (en) 2016-08-22 2021-01-12 Eli Lilly And Company Secured medication transfer system
JP7063891B2 (ja) 2016-09-30 2022-05-09 アイシーユー・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バイアルアダプタ
WO2019030684A1 (en) 2017-08-10 2019-02-14 Teva Medical Ltd. SYRINGE ADAPTER AND COMPLEMENTARY FLUID PORT ADAPTER
USD907193S1 (en) * 2018-02-21 2021-01-05 Eli Lilly And Company Secured medication transfer set
IL257778B (en) * 2018-02-27 2022-07-01 Equashield Medical Ltd Device for securing device connections
IT201900014292A1 (it) * 2019-08-07 2021-02-07 Ufi Filters Spa Assieme di filtrazione comprendente una cartuccia filtrante e un corpo filtro
US11590057B2 (en) 2020-04-03 2023-02-28 Icu Medical, Inc. Systems, methods, and components for transferring medical fluid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8788A (en) * 1995-10-25 1998-06-02 Merck & Co., Inc. Piercing container cap
FR2783808B1 (fr) * 1998-09-24 2000-12-08 Biodome Dispositif de connexion entre un recipient et un contenant et ensemble pret a l'emploi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US7232419B2 (en) * 2002-02-11 2007-06-19 Baxter International Inc. Enclosure with cam action snap release
EP2134391B1 (en) * 2007-03-09 2017-12-13 Eli Lilly and Company Delay mechanism for automatic injection device
US9039047B2 (en) * 2008-05-02 2015-05-26 Terumo Kabushiki Kaisha Connector assembly
US8092476B2 (en) * 2008-08-14 2012-01-10 Abbott Diabetes Care Inc. Adjustable cap and lancing device and method of use
WO2011088471A1 (en) * 2010-01-15 2011-07-21 Bayer Healthcare Llc Device
JP5875974B2 (ja) * 2010-03-30 2016-03-02 テルモ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43699A (ru) 2017-04-20
WO2014152249A1 (en) 2014-09-25
US20160000653A1 (en) 2016-01-07
SG11201506569QA (en) 2015-09-29
BR112015021136A2 (pt) 2017-07-18
HK1215153A1 (zh) 2016-08-19
MX2015012009A (es) 2015-12-01
CA2905955A1 (en) 2014-09-25
CN105007882A (zh) 2015-10-28
JP2016512135A (ja) 2016-04-25
PE20160032A1 (es) 2016-02-03
EP2968068A4 (en) 2016-11-09
AU2014239974A1 (en) 2015-09-24
EP2968068A1 (en) 2016-01-20
IL240694A0 (en) 2015-10-29
RU2015143699A3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0423A (ko) 전달 세트
US11808389B2 (en) Medical connectors with luer-incompatible connection portions
EP3419582B1 (en) Fluid transfer connector
US5526853A (en) Pressure-activated medication transfer system
JP5677288B2 (ja) 遠位側端部の拡大された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薬剤送達器材
KR102502276B1 (ko) 밸브식 카테터 어셈블리 및 관련 방법
KR101415017B1 (ko)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액세서리들을 구비한 분배 조립체
AU2003217342B8 (en) Vial Adapter for Use with Vial Closures of Different Sizes
EP2526919B1 (en) Reconstitution device
JP2020116434A (ja) 液体移送アダプタの面取りしたスパイク
KR102349983B1 (ko) 커넥터용 캡 및 캡이 달린 커넥터
WO2012150587A1 (en) Vial adaptor
KR101578685B1 (ko) 캡용 잠금 장치
EP2931207A1 (en) Vial adapters
CA2977030A1 (en) Lever lock 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assembly
JP2013545548A (ja) ヒンジ式シールドアセンブリ及び関連する方法
CN107530503B (zh) 铰接护罩组件和相关方法
KR102307797B1 (ko) 약병접속소켓
KR20040015061A (ko) 용기와 수납기 사이의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즉시사용 가능한 조립체
JP4706276B2 (ja) 流体容器用注出装置
US10159788B2 (en) Attachment device for medical fluid container
JP5691648B2 (ja) メス型コネクタ
US11674614B2 (en)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EP4049708A1 (en) Connector assembly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me
EP3708216B1 (en) Fluid bag adap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