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508A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508A
KR20150129508A KR1020140056581A KR20140056581A KR20150129508A KR 20150129508 A KR20150129508 A KR 20150129508A KR 1020140056581 A KR1020140056581 A KR 1020140056581A KR 20140056581 A KR20140056581 A KR 20140056581A KR 20150129508 A KR20150129508 A KR 20150129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electric vehicle
charging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6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9508A/ko
Publication of KR20150129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91Battery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은 전기 자동차가 주차장 내를 자율 주행하며 가용한 주차 공간을 탐색하여, 제 1 주차 공간을 검출하는 단계, 제 1 주차 공간에 인접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하는 단계,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수신한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면 전기 자동차가 제 1 주차 공간에 주차하는 단계,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의 배터리를 연결하는 단계 및 전기 자동차가 연결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방법{METHOD FOR CHARGING BATTERY OF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장 또는 도로에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란, 휘발유 등의 화석연료가 아닌 전기에너지로 움직이는 차를 말한다. 전기 자동차는 화석 연료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배기가스를 분출하지 않게 되어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는 차내에 장착하는 배터리가 크고, 무거우며, 주행 거리가 짧고,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양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3-0142350호에는 스마트 전기자동차 및 이의 운용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최근, 자동차 업계는 전기 자동차가 가진 문제점으로 인해 화석 연료와 전기 에너지 모두를 이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자동차를 출시하고 있다. 하이브리드형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 인프라의 부족 문제와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출시된 모델이다. 따라서, 전기 에너지만을 이용한 전기 자동차의 보급화를 위해 충전 인프라의 확대와 다양한 전기 충전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유/무선 전력 공급을 통한 수시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으로서, 주차장 또는 도로에서 이용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시, 주위 차량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로 주행 중에도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기 자동차가 주차장 내를 자율 주행하며 가용한 주차 공간을 탐색하여, 제 1 주차 공간을 검출하는 단계, 제 1 주차 공간에 인접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하는 단계,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수신한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면 전기 자동차가 제 1 주차 공간에 주차하는 단계,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의 배터리를 연결하는 단계 및 전기 자동차가 연결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주차장 내에서 가용한 복수의 주차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 복수의 주차 공간에 인접하여 주차된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에 설정된 복수의 전기 공급 요건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 중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를 선택하는 단계, 전기 자동차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와 근접한 위치의 주차 공간에 주차를 하는 단계,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의 배터리를 연결하는 단계 및 전기 자동차가 연결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기 자동차가 도로 위를 자율 주행하는 단계, 전기 자동차가 전기 자동차와 인접하여 주행하는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에게 주행 정보 및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하는 단계, 수신한 전기 공급 자동차의 주행 정보 및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에 설정된 주행 정보 및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 중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를 선택하는 단계,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의 배터리를 연결하는 단계, 전기 자동차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유/무선 전력 공급을 통한 수시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시, 주위 차량으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로 주행 중에도 전기를 충전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에서의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에서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에서의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서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은 전기 자동차(110),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120) 및 주차 관리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기 자동차(110), 전기 공급 자동차(120) 및 주차 관리 서버(130)는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주차 관리 서버(13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기 공급 자동차(120)와 연결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기 자동차(110)는 주차장 내를 자율 주행하며 가용한 주차 공간을 탐색하여 주차 공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주차장 내에 주차된 복수의 자동차 중 전기 자동차(110)의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주차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를 감지하고, 감지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주위의 제 1 주차 공간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주차 관리 서버(130)로부터 복수의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주차 공간에 인접하여 주차된 전기 공급 자동차(120)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120)의 목록과 전기 공급 자동차(120) 각각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가용한 주차 공간에 인접하여 주차된 전기 공급 자동차(120)로 전기 공급 요건을 문의(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주차 공간에 인접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로 전기 공급 요건을 문의(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가용한 주차 공간에 인접하여 주차된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120)에 설정된 복수의 전기 공급 요건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공급 요건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가 제공하는 전기 용량 정보,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로부터 수신한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면, 전기 자동차(110)가 제 1 주차 공간에 주차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로부터 유선으로 전기를 공급받는 경우,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크기 또는 연결구의 위치에 따라 전면 주차 또는 후면 주차 등을 할 수 있다.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전기 자동차(110)가 주차장 내를 자율 주행하며 가용한 주차 공간을 탐색하여 제 2 주차 공간을 검출하고, 제 2 주차 공간에 인접한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122)로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하고,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122)로부터 수신한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면 전기 자동차(110)가 제 2 주차 공간에 주차할 수 있다.
또는, 전기 자동차(110)는 주차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전기 자동차(110)는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120) 중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를 선택하고, 전기 자동차(110)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와 근접한 위치의 주차 공간에 주차를 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를 식별하기 위해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를 촬영하거나 또는 주차 관리 서버(130)로부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자동차(110)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번호판, 차량 모델, 차량 색깔(패턴), 차량의 지붕에 부착된 표시물 등을 인식하고, 인식한 번호판, 차량 모델, 차량 색깔(패턴), 차량의 지붕에 부착된 표시물 등에 기초하여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가 전기 공급이 가능한 차량임을 인식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자동차(110)의 배터리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배터리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접촉식 충전 방식의 전기적 연결 장치를 통해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배터리와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유도식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배터리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자동차(110)가 연결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에 설정된 전기 공급 요건에 따라 전기 공급 시간이 완료되거나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가 출차하는 경우에 전기 자동차(110)의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공급 요건에 기초하여 충전된 전기에 대한 비용을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에 설정된 계정에 지불할 수 있다. 이 때, 비용은 비밀번호가 등록된 신용카드, NFC 등의 결제수단에 의해 결제될 수 있다.
전기 공급 자동차(120)는 주차장 내를 자율 주행하고 있는 전기 자동차(110)로부터 전기 공급 요건에 대한 문의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공급 요건은 전기 공급 자동차(120)가 제공하는 전기 용량 정보,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공급 요건으로서, 전기 용량 정보가 15kwh이고, 전기 가격 정보가 1kwh 당 500원이고,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가 2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기 공급 자동차(120)는 충전 전압 또는 충전 전류 등에 관한 충전 정보를 전기 자동차(110)로 문의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공급 자동차(120)의 공급 가능한 전압 및 공급 가능한 전류와 전기 자동차(110)의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전기 공급 자동차(120)는 전기 자동차(110)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공급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전기 자동차(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기 공급 자동차(120)는 전기 공급 자동차(120)의 배터리가 전기 자동차(110)와 배터리와 연결되면, 전기 자동차(110)에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공급이 완료되면, 전기 공급 자동차(120)는 전기 자동차(110)에게 충전된 전기량에 해당하는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서버(130)는 복수의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전기 자동차(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주차 관리 서버(130)는 주차장 내에 입차 또는 출차하는 복수의 자동차의 주차 정보를 인식하여 복수의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110)에 의해 수행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210에서 전기 자동차(110)가 주차장 내를 자율 주행하며 가용한 주차 공감을 탐색하여 제 1 주차 공간을 검출한다. 단계 S220에서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주차 공간에 인접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로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한다. 이 때, 전기 공급 요건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가 제공하는 전기 용량 정보,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로부터 수신한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한다. 단계 S240에서 비교 결과, 전기 고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면 전기 자동차가 제 1 주차 공간에 주차한다. 단계 S250에서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자동차(110)의 배터리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배터리를 연결한다. 단계 S260에서 전기 자동차(110)가 연결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 때, 단계 S26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가 출차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110)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기 자동차(110)는 비교 결과,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전기 자동차(110)가 주차장 내를 자율 주행하며 가용한 주차 공간을 탐색하여 제 2 주차 공간을 검출하는 단계, 제 2 주차 공간에 인접한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122)로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하는 단계,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122)로부터 수신한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면 전기 자동차(110)가 제 2 주차 공간에 주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기 자동차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번호판, 차량 모델, 차량 색깔 및 차량에 부착된 표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는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등의 충전 정보를 전기 자동차로 문의하고,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공급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전기 자동차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10 내지 S2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에서의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110)에 의해 수행되는 주차장에서의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110)에 의해 수행되는 주차장에서의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전기 자동차(110)는 주차장 내에서 가용한 복수의 주차 공간을 확인한다. 이 때, 단계 S310은 복수의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전기 자동차(110)는 복수의 주차 공간에 인접하여 주차된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120)에 설정된 복수의 전기 공급 요건을 수신한다. 이 때, 전기 공급 요건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가 제공하는 전기 용량 정보,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전기 자동차(110)는 복수의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한다. 단계 S340에서 전기 자동차(110)는 비교 결과,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120) 중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를 선택한다. 단계 S350에서 전기 자동차(110)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와 근접한 위치의 주차 공간에 주차를 한다. 단계 S360에서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자동차(110)의 배터리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배터리를 연결한다. 단계 S370에서 전기 자동차가(110)가 연결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 때, 단계 S370에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가 출차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110)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번호판, 차량 모델, 차량 색깔 및 차량에 부착된 표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공급 요건에 기초하여 충전된 전기에 대한 비용을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에 설정된 계정에 지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는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등의 충전 정보를 전기 자동차로 문의하고, 전기 자동차(110)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공급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전기 자동차(11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10 내지 S37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에서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110)가 주차장에 입차한 후, 주차장 내를 자율 주행을 하며, 복수의 주차 공간(401 내지 410) 중 가용한 주차 공간을 탐색하여 주차 공간을 검출한다고 가정하자.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가용한 주차 공간인 제 1 주차 공간(405), 제 2 주차 공간(406), 제 3 주차 공간(407) 및 제 4 주차 공간(409)을 탐색하고, 전기 자동차(110)의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제 3 주차 공간(407)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는 제 3 주차 공간(407)에 인접한 위치에 주차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에게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공급 요건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가 제공하는 전기 용량 정보,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의 공급 가능 전압 또는 공급 가능 전류와 전기 자동차(110)의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는 충전 전압, 충전 전류 등에 관한 충전 정보를 전기 자동차(110)로 문의할 수 있다.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는 전기 자동차(110)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공급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전기 자동차(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로부터 전기 공급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면 전기 자동차(110)가 제 3 주차 공간(407)에 주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의 전기 용량 정보가 15kwh이고, 전기 가격 정보가 1kwh 당 500원이고,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가 2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전기 자동차(110)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로부터 수신한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용량 정보가 18kwh이고, 전기 가격 정보가 1kwh 당 450원,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가 1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충전 요건과 전기 공급 요건을 비교한 후,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의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에 충족한다고 판단하여 제 1 주차 공간에 주차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의 번호판, 차량 모델, 차량 색깔(패턴), 차량의 지붕에 부착된 표시물 등에 기초하여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로부터 수신한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용량 정보가 15kwh이고, 전기 가격 정보가 1kwh 당 700원,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가 1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의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에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전기 자동차(110)는 주차장 내를 자율 주행하며 가용한 주차 공간을 탐색하여 제 4 주차 공간을 검출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제 4 주차 공간(409)에 인접한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112)로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하고,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412)로부터 수신한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비교 결과, 전기 공급 요건이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면 전기 자동차가 제 4 주차 공간(408)에 주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자동차(110)의 배터리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의 배터리를 연결한 후, 연결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의 배터리 충전 시간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에 다다르거나,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가 출차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자동차(110)의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되면,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공급 요건에 기초하여 충전된 전기에 대한 비용을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에 설정된 계정에 지불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는 비밀번호가 등록된 신용카드 또는 NFC 등을 이용하여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에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가 주차 관리 서버(130)로부터 복수의 주차 공간(401 내지 41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주차장 내에서 가용한 복수의 주차 공간(405, 406, 407 및 409)을 확인한다고 가정하자. 전기 자동차(110)는 가용한 복수의 주차 공간(405, 406, 407 및 409)에 인접하여 주차된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411 내지 412)에 설정된 복수의 전기 공급 요건을 수신하여 복수의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공급 요건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가 제공하는 전기 용량 정보,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로부터 전기 용량 정보가 15kwh이고, 전기 가격 정보가 1kwh 당 500원이고,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가 2시간으로 설정된 전기 공급 요건을 수신할 수 있고,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412)로부터 전기 용량 정보가 18kwh이고, 전기 가격 정보가 1kwh 당 450원,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가 1시간으로 설정된 전기 공급 요건을 수신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와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412)의 전기 공급 요건을 비교한 후, 전기 충전 요건에 가장 부합하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를 선택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와 근접한 위치의 주차 공간인 제 3 주차 공간(407)에 주차를 하고, 전기 자동차(110)의 배터리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의 배터리를 연결한 후, 연결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의 배터리 충전 시간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에 다다르거나,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가 출차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자동차(110)의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되면,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공급 요건에 기초하여 충전된 전기에 대한 비용을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에게 지불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는 비밀번호가 등록된 신용카드 또는 NFC 등을 이용하여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411)에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에서의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110)에 의해 수행되는 도로 상에서의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1)에 관하여 이미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110)에 의해 수행되는 도로에서의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전기 자동차(110)가 도로 위를 자율 주행한다. 단계 S520에서 전기 자동차(110)가 전기 자동차(110)와 인접하여 주행하는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120)를 검출한다. 단계 S530에서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120)에게 주행 정보 및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한다. 이 때,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는 주행 정보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방향 및 목적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공급 요건으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가 제공하는 전기 용량 정보,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전기 자동차(110)는 수신한 전기 공급 자동차(120)의 주행 정보 및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주행 정보 및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한다. 이 때, 단계 S540은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120)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주행 정보와 전기 자동차(110)의 주행 정보와의 일치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전기 자동차(11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120) 중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를 선택한다. 단계 S560에서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자동차(110)의 배터리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의 배터리를 연결한다. 단계 S570에서 전기 자동차(110)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공급 요건에 기초하여 충전된 전기에 대한 비용을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에 설정된 계정에 지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121)는 충전 전압, 충전 전류의 크기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전기 자동차(110)로 요청하고, 전기 자동차(110)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공급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전기 자동차(11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7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에서 전기 자동차를 충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110)는 도로 위를 자율 주행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는 복수의 자동차(601 내지 605)와 함께 도로 위를 주행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복수의 자동차(601 내지 605) 중 전기 자동차(110)와 인접하여 주행하는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복수의 자동차(601 내지 605) 중 비 전기 공급 자동차(604 내지 605)와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를 검출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에게 주행 정보 및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 각각의 주행 정보는 방향 및 목적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공급 요건은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 각각이 제공하는 전기 용량 정보,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의 공급 가능 전압 및 공급 가능 전류와 전기 자동차(110)의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는 충전 전압 또는 충전 전류 등에 관한 충전 정보를 전기 자동차(110)로 요청할 수 있다.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는 전기 자동차(110)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공급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를 전기 자동차(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로부터 전기 공급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수신한 경우,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의 주행 정보와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주행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가 현재 경부 고속도로의 '수원' 부근을 지나치고 있으며, '부산'을 최종 목적지로 한다고 가정하자.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601)로부터 최종 목적지인 '천안'을 포함하는 제 1 주행 정보,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602)로부터 최종 목적지인 '대전'을 포함하는 제 2 주행 정보, 제 3 전기 공급 자동차(603)로부터 최종 목적지인 '용인'을 포함하는 제 3 주행 정보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는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주행 정보와 전기 자동차(110)의 주행 정보와의 일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의 최종 목적지가 '부산'이므로, 전기 자동차(110)는 복수의 주행 정보 중 전기 자동차(110)의 주행 정보와의 일치도를 판단하여 제 1 주행 정보 및 제 2 주행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110)는 수신한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의 전기 공급 요건과 전기 자동차(110)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 중 어느 하나의 전기 공급 자동차(601 내지 603)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601)로부터 전기 용량 정보가 17kwh이고, 전기 가격 정보가 1kwh 당 450원이고,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가 2시간으로 설정된 전기 공급 요건을 수신할 수 있고,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602)로부터 전기 용량 정보가 15kwh이고, 전기 가격 정보가 1kwh 당 550원,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가 3시간으로 설정된 전기 공급 요건을 수신할 수 있고, 제 3 전기 공급 자동차(603)로부터 전기 용량 정보가 10kwh이고, 전기 가격 정보가 1kwh 당 700원이고,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가 1시간으로 설정된 전기 공급 요건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충전 요건이 15kwh의 전기 용량 정보, 1kwh 당 500원의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가 2시간으로 설정된 경우, 전기 자동차(110)는 주행 정보 및 전기 충전 요건에 가장 부합하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601) 및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602)를 선택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자동차(110)의 배터리와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601)의 배터리를 연결하고,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601)로부터 전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601)가 최종 목적지에 다다른 경우, 전기 자동차(110)는 배터리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되면,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공급 요건에 기초하여 충전된 전기에 대한 비용을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601)에 설정된 계정에 지불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는 기설정된 신용카드 번호 또는 NFC 등을 이용하여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601)에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110)는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601)에게 비용 지불이 완료되면,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602)에게 전기 충전 요청 신호를 보낸 후, 전기 자동차(110)의 배터리와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602)의 배터리를 연결하여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602)로부터 전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602)가 최종 목적지에 다다른 경우 또는 배터리 충전이 완료된 경우, 전기 자동차(110)는 배터리 충전을 중단시킬 수 있다. 충전이 완료되면, 전기 자동차(110)는 전기 공급 요건에 기초하여 충전된 전기에 대한 비용을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602)에 설정된 계정에 지불할 수 있다. 이 때, 전기 자동차(110)는 비밀번호가 등록된 신용카드 또는 NFC 등을 이용하여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602)에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전기 자동차
120: 전기 공급 자동차
121: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
122: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
130: 주차 관리 서버

Claims (20)

  1.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가 주차장 내를 자율 주행하며 가용한 주차 공간을 탐색하여, 제 1 주차 공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주차 공간에 인접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기 공급 요건과 상기 전기 자동차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전기 공급 요건이 상기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면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제 1 주차 공간에 주차하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와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의 배터리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연결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전기 공급 요건이 상기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주차장 내를 자율 주행하며 가용한 주차 공간을 탐색하여, 제 2 주차 공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2 주차 공간에 인접한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로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 2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기 공급 요건과 상기 전기 자동차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전기 공급 요건이 상기 전기 충전 요건을 충족하면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제 2 주차 공간에 주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의 번호판, 차량 모델, 차량 색깔 및 차량에 부착된 표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 요건은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가 제공하는 전기 용량 정보,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전기 공급 요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된 전기에 대한 비용을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에 설정된 계정에 지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는 충전 전압 또는 충전 전류의 크기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상기 전기 자동차로 문의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공급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전기 공급 가능 여부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전기 자동차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가 출차하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8. 주차장에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내에서 가용한 복수의 주차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에 인접하여 주차된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에 설정된 복수의 전기 공급 요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 공급 요건과 상기 전기 자동차에 설정된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 중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와 근접한 위치의 주차 공간에 주차를 하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와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의 배터리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연결된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주차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의 번호판, 차량 모델, 차량 색깔 및 차량에 부착된 표시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 요건은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가 제공하는 전기 용량 정보,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전기 공급 요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된 전기에 대한 비용을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에 설정된 계정에 지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는 충전 전압 또는 충전 전류의 크기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상기 전기 자동차로 요청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공급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전기 공급 가능 여부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전기 자동차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가 출차하는 경우, 상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5. 도로에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가 도로 위를 자율 주행하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전기 자동차와 인접하여 주행하는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에게 주행 정보 및 전기 공급 요건을 요청하는 단계;
    수신한 전기 공급 자동차의 주행 정보 및 전기 공급 요건과 상기 전기 자동차에 설정된 주행 정보 및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 중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와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의 배터리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전기 자동차가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전기를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의 주행 정보는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의 방향 및 목적지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공급 요건은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가 제공하는 전기 용량 정보, 전기 가격 정보, 전기 공급 가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전기 공급 요건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된 전기에 대한 비용을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에게 지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 및 전기 충전 요건을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기 공급 자동차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주행 정보와 상기 전기 자동차의 주행 정보와의 일치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 공급 자동차는 충전 전압 또는 충전 전류의 크기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상기 전기 자동차로 요청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 공급 가능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전기 공급 가능 여부에 대한 결과를 상기 전기 자동차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KR1020140056581A 2014-05-12 2014-05-12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방법 KR20150129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81A KR20150129508A (ko) 2014-05-12 2014-05-12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81A KR20150129508A (ko) 2014-05-12 2014-05-12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700A Division KR101705754B1 (ko) 2016-06-29 2016-06-29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508A true KR20150129508A (ko) 2015-11-20

Family

ID=5484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581A KR20150129508A (ko) 2014-05-12 2014-05-12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95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797B1 (ko) * 2016-12-20 2017-03-13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자율 주행 차량의 자동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61606A (ko) * 2021-05-27 2022-12-07 (주)블루네트웍스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의 신호를 인식하여 배터리를 자동으로 충전하는 방법 및 전기차 충전 단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797B1 (ko) * 2016-12-20 2017-03-13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자율 주행 차량의 자동 주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61606A (ko) * 2021-05-27 2022-12-07 (주)블루네트웍스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의 신호를 인식하여 배터리를 자동으로 충전하는 방법 및 전기차 충전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51694B (zh) 用于车辆的移动充电方法、装置及系统
US11420528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for activat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KR102181154B1 (ko) 전기차용 이동 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JP5482280B2 (ja) 情報処理装置、電動移動体、及び放電管理方法
KR20200011292A (ko) 전기차를 위한 충전 및 결제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470999B1 (ko) 충전 관리 서버 및 충전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
US201302650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KR101827790B1 (ko) 주행차량 충전 및 과금 시스템
US20200016985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structure
US8483901B2 (en) Power charging station administration device
EP2572922A1 (en) Method of charging an energy storage unit
US20190225107A1 (en) Recharging system, recharging controller, battery charger, information device, recharg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40337253A1 (en) Transmitting charge event information to electrical utility through telematic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US9937811B2 (en) Vehicle authentication for a BEV charger
KR102382606B1 (ko) 자동 인증이 가능한 전기차 충전 장치
JP2020054203A (ja) 充電管理システム
KR20190036112A (ko) 전기차 통합 관리 시스템
CN110020842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汽车智能管理方法及系统
JP7171537B2 (ja) バッテリ交換システム、管理装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05754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방법
KR20150129508A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충전 방법
KR20190036115A (ko) 전기 자동차 충방전 관리 시스템
KR20120076524A (ko)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55039A (ko) 이동식 전기차 충전소 운용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03826905A (zh) 用于为安装在电动机动车中的蓄电池充电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