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501A -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정보 제공서버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정보 제공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501A
KR20150129501A KR1020140056566A KR20140056566A KR20150129501A KR 20150129501 A KR20150129501 A KR 20150129501A KR 1020140056566 A KR1020140056566 A KR 1020140056566A KR 20140056566 A KR20140056566 A KR 20140056566A KR 20150129501 A KR20150129501 A KR 20150129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
mobile terminal
information
dimensional 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05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9501A/ko
Publication of KR20150129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차원 그래픽 코드 스캔 인터페이스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제1 단계; 상기 이차원 스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캔된 학습 교재에 포함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를 학습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학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교재에 포함된 학습 관련 컨텐츠 각각에 대한 학습정보를 학습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정보 제공서버{METHOD FOR PROVIDING STUDY INFORMATION BY APPLICATION AND A STUDY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학습정보 제공서버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학습자에게 효율적인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정보 제공서버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습도서는 과목별 및 수준별 난이도 등에 따라 구분되어 교과서, 참고서 및 문제집 등의 다양한 학습교재 또는 별도의 해설서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또한, 학습교재에 대한 관련 동영상 강의가 별도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강사별, 단원별 및 수준별 동영상 강의로 구성되어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한편, 학습자가 특정 학습교재만으로는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충분히 학습할 수 없는 경우, 이와 관련된 별도의 학습 교재들을 구매하여 학습할 수밖에 없게 되고, 특히 문제집이나 동영상 강의의 경우 별도 구매가 요구되며, 이에 따라 학습교재의 구매에 대한 비용 부담이 증가하게 되고, 여러 종류의 학습교재를 돌아가며 참조하여야 하는 등, 교재 취급에 대한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영상 강의가 지원되는 학습교재의 경우, 학습 교재에 대한 동영상 강의를 관련 사이트에서 일일이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동영상 강의를 열람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동영상 강의가 일정 분량 이상의 대용량으로 편집되어 제공되고 있어, 학습자가 자신이 원하는 특정 학습 주제와 관련된 부분만을 선별적으로 제공받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학습교재에 포함된 학습 관련 컨텐츠 각각에 대한 학습정보를 학습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정보 제공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차원 그래픽 코드 스캔 인터페이스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제1 단계; 상기 이차원 스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캔된 학습 교재에 포함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를 학습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학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이차원 그래픽 코드는 상기 학습 교재에 포함되는 각각의 학습 관련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학습 교재에 기재되는 코드일 수 있다.
상기 학습 관련 컨텐츠는 문제형 컨텐츠 및 설명형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가 상기 문제형 컨텐츠와 관련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인 경우 상기 학습정보는 상기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풀이 동영상일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은 실생활의 예를 이용하여 상기 문제형 컨텐츠의 해설 포인트를 보여주는 스토리텔링 방식의 풀이 동영상일 수 있다.
상기 인식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가 상기 설명형 컨텐츠와 관련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인 경우 상기 학습정보는 상기 설명형 컨텐츠에 대한 개념 설명 동영상일 수 있다.
상기 동영상은 실생활의 예를 이용하여 상기 설명형 컨텐츠의 개념을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설명하는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인식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가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 받아야 하는 문제형 컨텐츠와 관련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인 경우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 로부터 전송되는 정답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답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되어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제형 컨텐츠와 함께 기재된 이미지에 3차원의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 현실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3 단계에서는,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문제형 컨텐츠의 정오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송수신부; 이차원 그래픽 코드와 이에 대응되는 학습 관련 컨텐츠 및 학습정보를 저장하는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와 대응되는 학습 관련 컨텐츠를 식별하고, 상기 학습 관련 컨텐츠에 대응되는 학습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학습정보 제공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교재에 포함된 학습 관련 컨텐츠 각각에 대한 학습정보를 학습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학습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매체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들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정보 제공서버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학습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한 학습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매체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들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학습 제공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 유무선 통신망(110), 어플리케이션 서버(120), 학습정보 제공서버(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음성 및 화상 통화, 데이터 송수신,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단말로서, 예를 들면, 셀롤러폰, 영상 전화폰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PDA, 태블릿(tablet) 컴퓨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유무선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영상을 촬영하여 이차원 그래픽 코드인 바코드, QR 코드, 식별문자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2세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3세대, LTE(Long Term Evolution)/WiBro 기반의 4세대 또는 그 이상의 세대를 지원하는 무선 환경과, 인터넷 등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유선 환경을 모두 포함하는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고 수신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10)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20),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등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이들과 접속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자들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전송 받아 이를 각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하고,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공 비용의 결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중계 서비스로서 마켓 플레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켓 플레이스로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는 제작자들로부터 판매 대행 혹은 게재 요청을 받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각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이동 단말기(100)에는 학습정보 제공서버(130)와 연동되어 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로부터 다운되어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이동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에 접속하여 학습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S101).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S103) 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0)에 이차원 그래픽 코드 스캔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S105).
여기서,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고 수신할 수 있다.
즉, 이차원 그래픽 코드 스캔 인터페이스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학습 교재에 포함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스캔 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차원 그래픽 코드는 학습 교재에 포함되는 각각의 학습 관련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학습 교재에 기재되는 코드를 의미한다.
이때, 학습 관련 컨텐츠는 문제형 컨텐츠 및 설명형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형 컨텐츠란 특정 학습 내용에 대하여 설명을 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의미하며, 내용, 범위, 수준에 따라 더욱 상세히 분류가 가능하다. 내용에 따른 기준에 의하여 서술식 설명, 요약형 설명, 참고 및 보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범위에 따른 기준에 의하여 대단원, 중단원, 중분류, 소분류 및 소소분류 설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준에 따라 선행학습 설명, 기본학습 설명, 심화학습 설명 및 교과 과정 외 심화 설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문제형 컨텐츠란 학습한 내용에 따라 개개인의 학습, 이해 및 활용 수준 등을 진단하기 위한 컨텐츠를 의미한다. 문제형 컨텐츠는 학습문제, 평가문제, 서술형문제 및 창의사고력 문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문제형 컨텐츠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류 기준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으로서 선다, 단답, 완성, 진위, 서술, 단계, 연결, 선택 및 혼합과 같은 해답의 유형에 따른 분류 코드가 부여될 수 있으며, 제2 기준으로서 개념, 원리, 연산, 문장, 관계, 그리기, 자료보고 답하기 및 측정 등 학습 관련 컨텐츠의 유형에 따른 분류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준으로서 기출, 대표유형, 연습, 종합, 심화, 교과과정외 등의 문제 자체의 의의에 따른 분류 코드가 부여될 수 있고, 제4 기준으로서 기본, 유사 및 동일 등 문제 자체의 유사도에 관한 분류 코드가 부여될 수 있으며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기준의 분류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문제형 컨텐츠에는 문제, 풀이, 정답, 정오판정, 교사용 팁, 학생용 팁 및 관련 용어 등이 하나의 세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학습 관련 컨텐츠들은 각각의 유형에 따라 각각의 식별 데이터가 부여된 상태로 학습정보 제공서버(130)에 구비된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들어,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학습 관련 컨텐츠들은 다음과 같은 식별 데이터(식별 코드)가 저장되는 데이터 필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주제들을 학년, 영역, 사고능력, 고유식별코드 등으로 구분한 코드가 저장된다. 유아/유치원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의 경우 00의 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초등수학 및 중등수학의 경우 각각 01 내지 06의 코드와 07 내지 12의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영역과 관련하여, 수, 식, 도형, 확률/통계, 집합/함수, 실행활 응용, 논리, 벡터, 순열조합 및 미적분 등 컨텐츠의 분류 영역에 따른 코드가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고능력의 유형에 따라 집합, 연산, 관계(식), 정의, 공리, 정리 및 그래프/다이어그램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고유식별번호는 각각의 학습 관련 컨텐츠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 코드이다.
또한,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는 각각의 학습 관련 컨텐츠에 대해 추가로 이동 단말기(100) 제공될 수 있는 학습정보가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미 특정 이용자에게 제공된 기존의 학습교재에는 해당 이용자의 식별 정보(R1)와 이러한 식별 정보(R1)에 대응하는 이차원 그래픽 코드(R2)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학습교재에는 해당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설명형 컨텐츠(R3)와 각 설명형 컨텐츠(R3)의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한 문제형 컨텐츠(R5)가 포함되며, 해당 설명형 컨텐트(R3)와 문제형 컨텐츠(R5)에는 각각의 컨텐츠들을 식별하기 위한 이차원 그래픽 코드(R4, R6)가 구비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차원 스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학습교재에 포함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스캔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스캔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는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로 전송된다(S107).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학습 관련 컨텐츠를 식별한다(S109).
이어서,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는 학습 관련 컨텐츠와 관련하여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정보가 있는지를 조회하고, 관련된 학습정보가 있는 경우 학습정보를 산출하고(S111) 학습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13). 이어서, 이동 단말기(100)는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로부터 수신된 학습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S115).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학습정보는 식별된 학습 컨텐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로 추가로 제공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식별된 학습 관련 컨텐츠가 문제형 컨텐츠인 경우 학습정보는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풀이 음성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은 스토리텔링 형태의 풀이 동영상일 수 있으며, 실생활의 예들 들어 설명하며 문제의 핵심 포인트를 화면으로 보여줌으로써 학습자가 문제 풀이 대해 보다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식별된 학습 컨텐츠가 설명형 컨텐츠인 경우 학습정보는 설명형 컨텐츠에 대한 풀이 음성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은 스토리텔링 형태의 개념 동영상일 수 있다. 즉,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물건 등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수학의 개념을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쉽게 설명함으로써 교재에 기재된 텍스트를 통해 학습할 때보다 학습자가 학습개념의 이해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만약, 학습 관련 컨텐츠가 학습자의 정답 입력이 필요한 문제형 컨텐츠로 판단되는 경우(S117)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는 정답 요청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119).
이동 단말기(100)는 정답 요청 신호를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입력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S121). 여기서, 입력 인터페이스는 학습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답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로서, 학습자는 직접 디스플레이부를 손가락 등으로 터치하여 답을 입력하거나 문자 입력 방식을 통해 답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제형 컨텐츠와 함께 기재된 이미지에 3차원 가상물체를 겹쳐서 보여주는 증강현실(Argument Reality, AR)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례로, 문제형 컨텐츠가 3차원 도형과 관련된 수학문제인 경우 증강현실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형 이미지를 스캔하면, 3차원 가상 이미지가 도형 이미지에 겹쳐서 보여질 수 있다. 이때, 학습자는 문제형 컨텐츠에서 요구하는 정답을 3차원 가상 이미지의 터치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정답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증강현실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에게 보다 현실감 있는 문제의 이해 및 정답 입력을 유도함으로써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학습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답을 입력하는 경우 이에 대한 입력 정보는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로 전송된다(S123).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는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문제형 컨텐츠의 정오 여부를 판단(S125)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27). 이동 단말기(100)는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로부터 받은 정오 여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즉, 학습자가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정오를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입력하면, 이에 대한 정답을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바로 확인이 가능하므로, 학습의 재미가 고취될 수 있다.
또한, 단계(S111)에서 학습 관련 컨텐츠와 관련하여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정보가 없거나, 단계(S117)에서 정답 수신이 필요하지 않은 컨텐츠로 식별되는 경우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는 이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는 학습정보가 제공되지 않음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 본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학습 교재에 포함된 학습 관련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어 기재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가 스캔되는 경우 컨텐츠와 관련된 학습정보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는 학습 관련 컨텐츠 각각에 대한 학습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정보 제공서버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학습정보 제공서버(130)는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33) 및 제어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31)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33)는 이차원 그래픽 코드와 이에 대응되는 학습 관련 컨텐츠 및 학습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33)는 학습 관련 컨텐츠가 문제형 컨텐츠인 경우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정답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5)는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33)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와 대응되는 학습 관련 컨텐츠를 식별하고, 학습 관련 컨텐츠에 대응되는 학습정보를 산출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35)는 식별된 학습 관련 컨텐츠가 정답 입력을 요하는 문제형 컨텐츠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로 정답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정답에 대한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입력 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를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33)를 참조하여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이동 단말기 110: 유무선 통신망
120: 어플리케이션 서버 130: 학습정보 제공서버
131: 송수신부 133: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135: 제어부

Claims (16)

  1.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차원 그래픽 코드 스캔 인터페이스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제1 단계;
    상기 이차원 스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캔된 학습 교재에 포함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를 학습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학습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그래픽 코드는 상기 학습 교재에 포함되는 각각의 학습 관련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학습 교재에 기재되는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관련 컨텐츠는 문제형 컨텐츠 및 설명형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가 상기 문제형 컨텐츠와 관련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인 경우 상기 학습정보는 상기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풀이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실생활의 예를 이용하여 상기 문제형 컨텐츠의 해설 포인트를 보여주는 스토리텔링 방식의 풀이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가 상기 설명형 컨텐츠와 관련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인 경우 상기 학습정보는 상기 설명형 컨텐츠에 대한 개념 설명 동영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실생활의 예를 이용하여 상기 설명형 컨텐츠의 개념을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설명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인식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가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 받아야 하는 문제형 컨텐츠와 관련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인 경우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 로부터 전송되는 정답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답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되어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제형 컨텐츠와 함께 기재된 이미지에 3차원의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입력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 현실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여지는 가상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는,
    상기 학습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문제형 컨텐츠의 정오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12.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이동 단말기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송수신부;
    이차원 그래픽 코드와 이에 대응되는 학습 관련 컨텐츠 및 학습정보를 저장하는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된 이차원 그래픽 코드 정보와 대응되는 학습 관련 컨텐츠를 식별하고, 상기 학습 관련 컨텐츠에 대응되는 학습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학습정보 제공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관련 컨텐츠는 문제형 컨텐츠 및 설명형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학습정보 제공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정보는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풀이 동영상, 설명형 컨텐츠에 대한 개념 설명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서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학습 관련 컨텐츠가 정답 입력이 필요한 문제형 컨텐츠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정답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정답에 대한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서버.
KR1020140056566A 2014-05-12 2014-05-12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정보 제공서버 KR20150129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66A KR20150129501A (ko) 2014-05-12 2014-05-12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정보 제공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66A KR20150129501A (ko) 2014-05-12 2014-05-12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정보 제공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501A true KR20150129501A (ko) 2015-11-20

Family

ID=5484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566A KR20150129501A (ko) 2014-05-12 2014-05-12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정보 제공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95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443B1 (ko) * 2023-08-21 2023-10-16 주식회사 비전트리 온라인 모의고사 방법
KR102612014B1 (ko) * 2022-09-15 2023-12-07 최정수 영어 습득 및 집중력 강화 속독훈련 책자 및 이를 이용한 속독훈련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014B1 (ko) * 2022-09-15 2023-12-07 최정수 영어 습득 및 집중력 강화 속독훈련 책자 및 이를 이용한 속독훈련 시스템
KR102589443B1 (ko) * 2023-08-21 2023-10-16 주식회사 비전트리 온라인 모의고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 and training: pedagogical approaches and illustrative case studies
Buchner et al. Promoting Intrinsic Motivation with a Mobile Augmented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Roth et al. Global landscapes: Teaching globalization through responsive mobile map design
Abd Samad et al. The use of mobile learning in teaching and learning ses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Malaysia
KR20130100817A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n 스크린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461231A (zh) 信息显示控制装置以及信息显示控制方法
KR20130089962A (ko) 앱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영상 교육시스템
KR20160095543A (ko) 학습활동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29501A (ko)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학습정보 제공서버
KR102225443B1 (ko) 학습문제 풀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001827A (zh) 教具控制方法及装置、教学设备、存储介质
KR101305754B1 (ko) 교재코드와 위치기반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교재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커뮤니티 생성방법
KR20190092796A (ko) 가상환경 그래픽을 기반으로 하는 코딩 교육 방법
Koondhar et al. Pervasive Learning Environment for Educational Makerspaces with Emerging Technolog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Transformation
KR101003117B1 (ko) 체험학습시스템
de Oliveira et al. Paperclickers: Affordable solution for classroom response systems
Logothetis et al. Hand interaction toolset for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KR101342160B1 (ko) 단계별 힌트 제공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학습 시스템
JP2017194754A (ja) 採点支援装置、採点支援方法、採点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11598746A (zh) 教学交互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Vas et al. Ontology-based mobile learning and knowledge testing
Lan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in Supporting Peer Assessment: An Implementation in a Fundamental Design Course.
Trinh et al. Self-study activities of Vietnamese high school students via mobile devices
Gibson et al. Educational aspects of undergraduate research on 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Ramos et al. APP inventor as a tool to reach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