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7467A -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7467A
KR20150127467A KR1020140054345A KR20140054345A KR20150127467A KR 20150127467 A KR20150127467 A KR 20150127467A KR 1020140054345 A KR1020140054345 A KR 1020140054345A KR 20140054345 A KR20140054345 A KR 20140054345A KR 20150127467 A KR20150127467 A KR 2015012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nut
hole
nut unit
he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945B1 (ko
Inventor
황석환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54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945B1/ko
Priority to US14/578,624 priority patent/US9605706B2/en
Priority to CN201510097911.5A priority patent/CN105090215B/zh
Priority to DE102015104152.9A priority patent/DE102015104152A1/de
Publication of KR2015012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4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3/00Features common to bolt and nut
    • F16B33/002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of screw-thread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6Rivet sets, i.e. tools for forming heads; Mandrels for expanding parts of hollow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2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2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 F16B37/06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riveting with the use of separate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에 리벳팅 되어 상기 각 판재를 상호 접합시키면서, 볼트가 체결되는 리벳 너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각 판재에 가공된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판재의 상면에 하면이 지지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에 삽입되고, 단부가 상기 홀을 관통한 상태로, 일정부분이 돌출되어 리벳팅 시, 상기 판재의 하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절곡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에 가공된 홀에 장착되어 상기 판재를 접합하는 동시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홀에 리벳 너트 유닛을 리벳팅하는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홀에 대응하여 상기 판재의 하부에 고정다이를 배치하고, 상기 리벳 너트 유닛의 삽입부가 상기 고정다이에 안착되도록 상기 홀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한 상태로, 상기 고정다이에 대응하여 상기 판재의 상부에서 상, 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다이가 상기 고정다이에 안착된 상기 삽입부의 단부가 상기 삽입부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상기 리벳 너트 유닛의 헤드부 상부를 가압하여 리벳팅을 완료한다.

Description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RIVET NUT UNIT AND MOUN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에 접합과 너트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작업공정 및 사이클 타임을 줄이고,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이종소재로 이루어지는 각종 차체 패널의 기계적 체결은 웰드너트(weld nut)와 볼트를 이용하여 다른 부품과의 연결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한 기계적 체결법은 반드시 용접이 가능한 단품패널 상의 일측에 가공된 홀을 기준으로 웰드너트를 위치시킨 후, 프로젝션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이를 용접해야 하는 용접 공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프로젝션 용접을 통해 용접되는 웰드너트가 스틸소재에 국한되어 있는 바, 스틸소재를 갖는 한 장 또는 두 장의 중첩된 스틸 판재에서 너트를 통전시켜 접합해야만 하지만, 통전면의 형상과 통전 전류, 전압값, 및 가압력의 제어가 어렵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차체의 경량화 추세에 따라 알루미늄과 같은 비철금속재가 적용되고 있는데, 차체의 소재로 상기 알루미늄만 적용할 부분이 있고, 알루미늄과 스틸을 동시에 적용할 부분이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과 스틸로 형성되는 이종소재의 판재에는 프로젝션 용접을 통한 웰드너트의 장착이 어려워 별도의 너트 장착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웰드너트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계적 체결법으로 리벳이음이나 스크루에 의한 체결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상기한 리벳이음이나 스크루 체결이 웰드너트와 볼트에 의한 체결력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리벳이음의 타점 또는 스크루 체결부가 불필요하게 많이 형성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를 접합하는 동시에, 너트의 기능을 일체화함으로써, 작업공정을 축소하고, 사이클 타임을 줄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하나 이상으로 적층된 이종소재 판재의 체결력을 높이도록 하는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에 리벳팅 되어 상기 각 판재를 상호 접합시키면서, 볼트가 체결되는 리벳 너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각 판재에 가공된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판재의 상면에 하면이 지지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에 삽입되고, 단부가 상기 홀을 관통한 상태로, 일정부분이 돌출되어 리벳팅 시, 상기 판재의 하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절곡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는 내주면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로 삽입된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로 삽입된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판재의 홀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은 상기 삽입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판재의 상면에 대응하는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헤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헤드부의 하면과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 일측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재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된 두 장의 판재가 상호 겹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에 가공된 홀에 장착되어 상기 판재를 접합하는 동시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홀에 리벳 너트 유닛을 리벳팅하는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홀에 대응하여 상기 판재의 하부에 고정다이를 배치하고, 상기 리벳 너트 유닛의 삽입부가 상기 고정다이에 안착되도록 상기 홀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한 상태로, 상기 고정다이에 대응하여 상기 판재의 상부에서 상, 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다이가 상기 고정다이에 안착된 상기 삽입부의 단부가 상기 삽입부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상기 리벳 너트 유닛의 헤드부 상부를 가압하여 리벳팅을 완료한다.
상기 고정다이는 상기 홀에 대응하는 상면 중앙에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로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삽입로드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진 안내홈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은 상기 고정다이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홀의 하부로 돌출된 상기 삽입부의 단부를 상기 상부다이의 작동에 의한 가압 시, 상기 삽입로드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상부다이는 상기 헤드부의 중심에 대응하는 하면 중앙에 지지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면 외측에는 상기 헤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단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로드에 대응하여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로 삽입되어 돌출된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공구를 통해 고정이 가능하도록 일정두께를 가지며, 외형이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를 접합하는 동시에, 너트의 기능을 일체화함으로써, 작업공정을 축소하고, 사이클 타임을 줄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기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판재가 적층되어 중첩된 상태에서, 이종소재 판재의 체결력을 높임으로써, 접합 강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원활하게 볼트 등을 체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판재에 접촉되는 리벳 너트 유닛의 헤드부 하면에 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각 판재을 관통하여 결합된 리벳 너트 유닛의 체결 토크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리벳 너트 유닛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계별 장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의 투영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P)를 접합하는 동시에, 너트의 기능을 일체화함으로써, 작업공정을 축소하고, 사이클 타임을 줄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하나 이상으로 적층된 이종소재 판재의 체결력을 높이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10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P1, P2)에 리벳팅 되어 상기 판재(P1, P2)를 상호 접합시키면서 볼트가 체결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판재(P1, P2)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된 두 장의 판재(P1, P2)가 상호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홀(H)이 가공된다.
여기서, 상기 판재(P1, P2)는 알루미늄 소재의 판재(P1)와 스틸 소재의 판재(P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각 판재(P1, P2)의 위치는 서로 변경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된 판재(P1)가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스틸 소재로 형성된 판재(P2)와 상호 겹쳐질 수도 있고, 이와는 반대로, 스틸 소재로 형성된 판재(P2)가 상부에 배치된 상태로,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된 판재(P1)와 상호 겹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된 판재(P1)가 상부에 배치되고, 스틸 소재로 형성된 판재(P2)가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벳 너트 유닛(100)은,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110)와 삽입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헤드부(110)는 상기 각 판재(P1, P2)에 가공된 홀에(H)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판재(P1, P2) 중, 상부에 배치된 판재(P1)의 상면에 하면이 지지된다.
이러한 헤드부(110)는 일정두께를 가지고, 공구에 따라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6각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 둘레에 나사산(N)이 형성되어 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110)는 상기 판재(P1, P2)의 상면에 대응하는 하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13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30)는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110)의 하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리벳 너트 유닛(100)의 리벳팅 시, 상기 판재(P1, P2) 중, 상부에 배치된 판재(P1)의 상면에 가압되어 상기 헤드부(110)의 체결 토크를 상승시키게 됨으로써,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헤드부(110)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헤드부(110)에 미도시된 볼트의 체결 시, 리벳 너트 유닛(100)이 상기 홀(H)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헤드부(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H)에 삽입되고, 단부가 상기 홀(H)을 관통한 상태로, 일정부분이 돌출되어 리벳팅 시, 상기 홀(H)을 중심으로 상기 판재(P1, P2) 중, 하부에 배치된 판재(P2)의 하면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120)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H)로 삽입된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120)는 리벳팅 시, 라운드지게 형성된 끝단이 고정다이(10)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삽입부(12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원활하게 절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200)을 첨부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리벳 너트 유닛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P1, P2)를 접합하는 동시에, 너트의 기능을 일체화함으로써, 작업공정을 축소하고, 사이클 타임을 줄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하나 이상으로 적층된 이종소재 판재(P1, P2)의 체결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으로서, 헤드부(210)와 삽입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210)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이하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200)에서 상기 삽입부(220)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H)로 삽입된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판재(P1, P2)의 홀(H)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221)은 상기 삽입부(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부(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120°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220)는 홀(H)로 삽입되어 하부에 배치된 판재(P2)로부터 돌출된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부(220)는 리벳팅 시, 라운드지게 형성된 끝단이 고정다이(10)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각 절개홈(221)을 기준으로 120°각도로 상기 삽입부(22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원활하게 절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300)은 전술한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와 같이, 헤드부(310)와 삽입부(320)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고, 지지부(33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에 대해 첨부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300)은 헤드부(310)와 삽입부(320)로 구성되며, 이는 전술한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이하,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300)에서 상기 판재(P1, P2)의 상면에 대응하는 상기 헤드부(3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330)는 상기 헤드부(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헤드부(310)의 하면과 상기 삽입부(320)의 외주면 일측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330)는 리벳팅이 완료될 경우, 상기 홀(H)과 상기 삽입부(320)의 사이에서 상기 헤드부(310)의 하면을 상부에 배치된 판재(P1)에 가압시켜 상기 헤드부(310)의 체결 토크를 상승시키게 됨으로써,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헤드부(310)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헤드부(310)에 미도시된 볼트의 체결 시, 리벳 너트 유닛(300)이 상기 홀(H)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100, 200, 300)의 장착방법을 첨부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계별 장착 상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100, 200, 300)에 모두 적용되며, 하기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100)의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은 동일한 소재 또는 이종소재로 구성되어 상호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 두 장의 판재(P1, P2)에 가공된 홀(H) 상에 장착되어 상기 각 판재(P1, P2)를 접합하는 동시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홀(H)에 리벳 너트 유닛(100)을 리벳팅하기 위해 적용된다.
먼저, 도 7의 (S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 두 장의 판재(P1, P2)에 가공된 상기 홀(H)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판재(P1, P2)의 홀(H) 하부에 고정다이(10)를 배치한다.
그런 후, 작업자 또는 로봇은, 도 7의 (S2)와 같이, 상기 리벳 너트 유닛(100)의 삽입부(120) 끝단이 상기 고정다이(10)에 안착되도록 상기 홀(H)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의 (S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다이(10)에 대응하여 상기 판재(P1, P2)의 상부에서 상, 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다이(20)는 상기 고정다이(10)에 안착된 상기 삽입부(130)의 단부가 상기 삽입부(13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상기 리벳 너트 유닛(100)의 헤드부(110) 상부를 가압해 리벳팅을 완료함으로써, 리벳 너트 유닛(100)의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다이(10)는 상기 홀(H)에 대응하는 상면 중앙에 상기 삽입부(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로드(1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삽입로드(11)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진 안내홈(1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홈(13)은 상기 홀(H)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다이(1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삽입부(120)의 단부를 상기 상부다이(20)의 작동에 의한 가압 시, 상기 삽입로드(11)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삽입부(120)는 그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오목하게 라운드진 상기 안내홈(13)에 접촉된 상태로,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홀(H)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하부에 배치된 판재(P1, P2)를 리벳팅 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다이(2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헤드부(110)의 중심에 대응하여 하면 중앙에 지지돌기(21)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면 외측에는 상기 헤드부(110)를 고정시키는 고정단(2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다이(20)는 상기 헤드부(110)가 일정두께를 가지며, 외형이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부다이(20)의 하강에 의한 가압 시, 상기 지지돌기(21)와 각 고정단(23)을 통해 상기 헤드부(110)의 회전을 방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하강된다.
이에 따라, 상기다이(20)는 헤드부(110)의 회전을 방지한 상태로, 고정다이(10) 측으로 가압해 상기 각 판재(P1, P2)의 홀(H)로부터 돌출된 삽입부(120)를 절곡시켜 리벳팅 함으로써, 상호 겹쳐진 상태의 각 판재(P1, P2)를 접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벳 너트 유닛(100, 200, 300) 및 그 장착방법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P1, P2)를 접합하는 동시에, 너트의 기능을 일체화함으로써, 작업공정을 축소하고, 사이클 타임을 줄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 판재(P1, P2)가 적층되어 중첩된 상태에서, 이종소재 판재(P1, P2)의 체결력을 높임으로써, 접합 강성을 향상시키고, 보다 원활하게 볼트 등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판재(P1, P2)에 접촉되는 리벳 너트 유닛(100, 200, 300)의 헤드부(110, 210, 310) 하면에 지지부(130, 230, 33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각 판재(P1, P2)를 관통하여 결합된 리벳 너트 유닛(100, 200, 300)의 체결 토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고정다이
11 : 삽입로드
13 : 안내홈
20 : 상부다이
21 : 지지돌기
23 : 고정단
100, 200, 300 : 리벳 너트 유닛
110, 210, 310 : 헤드부
120, 220, 320 : 삽입부
221 : 절개홈
130, 230, 330 : 지지부
P1, P2 : 판재
H : 홀

Claims (1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에 리벳팅 되어 상기 각 판재를 상호 접합시키면서, 볼트가 체결되는 리벳 너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각 판재에 가공된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판재의 상면에 하면이 지지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홀에 삽입되고, 단부가 상기 홀을 관통한 상태로, 일정부분이 돌출되어 리벳팅 시, 상기 판재의 하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절곡되는 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내주면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로 삽입된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로 삽입된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판재의 홀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삽입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설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판재의 상면에 대응하는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단면의 형상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헤드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헤드부의 하면과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 일측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된 두 장의 판재가 상호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재에 가공된 홀에 장착되어 상기 판재를 접합하는 동시에,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홀에 리벳 너트 유닛을 리벳팅하는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에 있어서,
    상기 홀에 대응하여 상기 판재의 하부에 고정다이를 배치하고, 상기 리벳 너트 유닛의 삽입부가 상기 고정다이에 안착되도록 상기 홀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한 상태로, 상기 고정다이에 대응하여 상기 판재의 상부에서 상, 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다이가 상기 고정다이에 안착된 상기 삽입부의 단부가 상기 삽입부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상기 리벳 너트 유닛의 헤드부 상부를 가압하여 리벳팅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다이는
    상기 홀에 대응하는 상면 중앙에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로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삽입로드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진 안내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고정다이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홀의 하부로 돌출된 상기 삽입부의 단부를 상기 상부다이의 작동에 의한 가압 시, 상기 삽입로드의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다이는
    상기 헤드부의 중심에 대응하는 하면 중앙에 지지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면 외측에는 상기 헤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로드에 대응하여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로 삽입되어 돌출된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공구를 통해 고정이 가능하도록 일정두께를 가지며, 외형이 원형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 너트 유닛 장착방법.
KR1020140054345A 2014-05-07 2014-05-07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 KR101594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345A KR101594945B1 (ko) 2014-05-07 2014-05-07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
US14/578,624 US9605706B2 (en) 2014-05-07 2014-12-22 Rivet nut unit and mounting method thereof
CN201510097911.5A CN105090215B (zh) 2014-05-07 2015-03-05 铆螺母单元及其安装方法
DE102015104152.9A DE102015104152A1 (de) 2014-05-07 2015-03-19 Annietmuttereinheit und Montageverfahren hierz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345A KR101594945B1 (ko) 2014-05-07 2014-05-07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467A true KR20150127467A (ko) 2015-11-17
KR101594945B1 KR101594945B1 (ko) 2016-02-17

Family

ID=5478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345A KR101594945B1 (ko) 2014-05-07 2014-05-07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9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154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판재의 접합방법
CN111853007A (zh) * 2019-04-25 2020-10-30 宾科精密部件(中国)有限公司 紧固机构
EP3734065A1 (en) * 2019-04-30 2020-11-04 Memetis GmbH Actuato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63Y1 (ko) * 2001-07-23 2001-11-17 공성표 리벳
JP2004286088A (ja) * 2003-03-20 2004-10-14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締結具
KR20050036183A (ko) * 2003-10-15 2005-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셀프 피어싱 리벳
JP2006009926A (ja) * 2004-06-25 2006-01-12 Nissan Motor Co Ltd リベット及びこのリベットを用いた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963Y1 (ko) * 2001-07-23 2001-11-17 공성표 리벳
JP2004286088A (ja) * 2003-03-20 2004-10-14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締結具
KR20050036183A (ko) * 2003-10-15 2005-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셀프 피어싱 리벳
JP2006009926A (ja) * 2004-06-25 2006-01-12 Nissan Motor Co Ltd リベット及びこのリベットを用いた接合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154A (ko) * 2018-06-04 2019-12-1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판재의 접합방법
CN111853007A (zh) * 2019-04-25 2020-10-30 宾科精密部件(中国)有限公司 紧固机构
EP3734065A1 (en) * 2019-04-30 2020-11-04 Memetis GmbH Actuator assembly
US11136968B2 (en) 2019-04-30 2021-10-05 Memetis Gmbh Actua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945B1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2954B2 (ja) マウンティングアセンブリ、接合装置および製品の製造方法
US8484930B2 (en) Boxed frame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e
US20070273179A1 (en) Joining Area for Attaching an Add-On Piece to a Vehicle Body
US6270152B1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1594945B1 (ko) 리벳 너트 유닛 및 그 장착방법
KR101896093B1 (ko) 3방향 클램프 용접을 위한 회전형 용접 클램핑 장치
KR20130041755A (ko) 공작물 팔레트 위치결정 고정장치
KR20160125148A (ko) 리벳 스크류 드릴
KR20190139386A (ko) 휠 얼라이먼트를 위한 드롭아웃 장착 구조
US9579993B2 (en) Seat device
KR20190031933A (ko) 셀프 피어싱 클린칭 너트
JP2012177281A (ja) 屋根上搭載機器の取付け金具
KR20180009892A (ko) 리벳 너트 유닛
CN102941430A (zh) 一种钢板座总成焊接快速拼装夹具
KR20160036337A (ko) 리벳 너트 유닛
CN106392279A (zh) 一种用于机器人焊接汽车铰链支座焊接总成的弧焊工装
KR20150100132A (ko) 하이브리드 용접기
KR101667260B1 (ko) 리벳형 너트 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벳형 너트 접합 구조체
CN206578419U (zh) 一种用于机器人焊接汽车铰链支座焊接总成的弧焊工装
KR101622959B1 (ko) 셀프 피어싱 리벳
JP2007070915A (ja) 足場板支持用ブラケット
KR20170069499A (ko) 연질 소재 접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접합 구조체
KR20180001748A (ko) 다단구조를 포함하는 용접지그
KR20180066505A (ko) 시트장착용 프레임의 구조
JP2003307032A (ja) 柱鋼管の接合方法及び固定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