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199A -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199A
KR20150125199A KR1020140052147A KR20140052147A KR20150125199A KR 20150125199 A KR20150125199 A KR 20150125199A KR 1020140052147 A KR1020140052147 A KR 1020140052147A KR 20140052147 A KR20140052147 A KR 20140052147A KR 20150125199 A KR20150125199 A KR 20150125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rice
culture
liquid
su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봉식
Original Assignee
엄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봉식 filed Critical 엄봉식
Priority to KR102014005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5199A/ko
Publication of KR20150125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sp.)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눈꽃동충하초를 액체배양 시 보다 효율적으로 액체배양이 가능한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통해 보다 고효율로 얻은 균사체와 고분자다당체를 각종 식품첨가제와 함께 적당량 배합한 인체 생리활성 증강용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는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에 있어서, 배지 조성 시 정제수, 쌀눈, 설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은 쌀눈, 정제수, 설탕, 한천을 포함하여 눈꽃동충하초 배양용 고형배지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고형배지에 눈꽃동충하초 균사체를 배양하는 제 2단계; 쌀눈, 정제수, 설탕을 포함하여 액체배지를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고형배지에서 배양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상기 액체배지로 옮겨 배양하는 제 4단계; 상기 쌀눈, 정제수, 설탕을 포함하여 대량 배양용 배지를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액체배지에서 배양완료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상기 대량 배양용 배지에 접종, 확대 배양하여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을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을 건강보조식품 및 액기스 형태로 가공하는 제 7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The method of culture for Paecilonyces japonica using a embryo bud of rice}
본 발명은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sp.)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눈꽃동충하초를 액체배양 시 보다 효율적으로 액체배양이 가능한 배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통해 보다 고효율로 얻은 균사체와 고분자다당체를 각종 식품첨가제와 함께 적당량 배합한 인체 생리활성 증강용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충하초균사체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 기능이 입증되면서 부터 한약제제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동충하초를 대량으로 배양하여 이러한 의약적 기능성을 광범위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량 배양기술이 필요한데, 주로 균사체 고체배양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또한 동충하초는 곤충을 먹고 자라는 버섯으로 유명하며 그 균주를 배양하기 위해서는 영양학적 비율을 맞추기 위하여 여러 가지 영양원을 섞어서 배양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영양비율이 맞지 않으며 배양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쌀눈은 쌀에 붙어있는 영양이 집결된 영양원으로써 쌀의 약 4~9%를 차지한다. 쌀눈은 현미에는 붙어있으나 쌀의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쌀눈의 양도 미강 속으로 분리되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쌀의 도정도가 높아지면 미강의 양적 감소 뿐 만 아니라 미강층에 존재하는 단백질, 지방질, 무기질, 비타민 및 섬유질 등 여러 영양성분도 감소된다. 그리고 쌀은 품종과 계통, 재배지역의 기후 및 토양조건 등에 따라 쌀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이 다를 뿐 아니라 영양소 함량 및 분포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Juliano, The rice grain and its gross composition.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Juliano, BO (2nd ed.), pp 37, Am Assn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innesota, USA, 1985).
우리나라의 2002년도 벼 생산량은 약 5,500,000톤 정도로 도정 시 발생하는 부산물인 왕겨는 약 1,180,000톤, 쌀겨(미강)는 약 470,000톤, 그리고 쌀눈은 약 200,000톤 내외로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된다(Juliano & Bechtel, The rice grain and its gross composition.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Juliano, BO (ed.), pp 17-57, Am Assn Cereal Chemists. Inc., St. Paul. Minnesota, USA, 1985; 농림부, 농림업 주요 통계연보, pp. 232, 2002). 벼 도정 시 얻어지는 쌀겨에는 상당량의 쌀눈이 함유되어 있으며, 섬유질과 왕겨 등 이물질이 많고 도정 후 리파제(lipase)의 작용으로 지방의분해가 급격히 일어나 일부 쌀겨유 제조용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식품으로서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Lu & Luh, Properties of the rice caryopsis. In Rice: Production. Luh BS(ed.), Vol 1, pp 389-419, VanNostrand Reinhold, New York, 1991; Luh et al., In rice production, 2nd ed., AVI, New York, p. 313, 1991).
쌀눈(rice germ)은 배유과 비교하여 단백질과 유지의 함량이 높고(신 및 정, 한국식품과학회지 30(1): 77-81, 1998; 신및 정, 한국식품과학회지 30(1): 241-243, 1998; 최 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5(4): 253-258, 2000), 무기질 및 비타민 B1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 가치가 높다(Juliano, Chemistry and Technology, Juliano (ed.), American Asson. Cerel Chem, Inc., St. Paul. Minnesota USA, 1994). 특히, 쌀눈유(rice germ oil)에는 올레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과 같은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McCaskill & Zhang, Food Chemistry, 53: 50-52, 1999) 있을 뿐 아니라 항암(Eitenmiller, Food Technol. 51: 78-81, 1997; Nesaretnam et al., Lipids 33: 461-469, 1998; Kawabata et al., Carcinogenesis 20: 2109-2115, 1999), 항고혈압(Stanton, Arch Int Pharmacodyn, 143: 195-204, 1963, Ohmori etal., Nippon Nogeikagaku Kaishi, 61: 1449-1451, 1987, Seetharamaiah & Chandrasekhara, J. Med Res 92: 471-475, 1990; Seetharamaiah et al., J Nutr Sci & Vitaminol 36: 291-297, 1990; Lichenstein et al., Arteriosclerosis & Thrombosis 14: 549-556, 1994; Rong et al., Lipids 32: 303-309, 1997; Rogers et al., J Am Oil Chem Soc 70: 301-307, 1993;), 항산화 (Seetharamaiah & Prabhakar, J Food Sci Technol 23: 170-176, 1986; Tomeo et al., Lipids 30:1179-1183, 1995; Wang et al., J Am Oil Chem Soc., 79: 1201-1205, 2002) 및 항노화성(Manyam et al., Arch Neurol 37: 352-358, 1980; Nakayama et al., Jpn J Pharmacol 44: 135-143, 1987; Roy et al., Arch Gen Psychiatry48: 428-434, 1991; Okada et al.,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7: 596-603, 2000)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진 가바(GABA, 감마-아미노락산, γ- aminobutyric acid), 피토스테롤(phytosterol), 감마-오리자놀(γ-oryzanol) 및 토콜유도체(tocols=tocopherol + tocotrienol)의 함량이 높아 국외에서는 쌀눈을 이용한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Juliano & Bechtel, American Asson. Cerel Chem, Inc., Minnesota p. 16, 1972; Juliano, American Asson. Cerel Chem, Inc., Minnesota p. 17, 1985; Sharp, In Handbook of Cereal Sci. & Technol., Marcel Dekker Inc., New York p. 301, 1991; Eitenmiller, Food Technol 51: 78-81, 1997), 국내에서는 쌀눈을 분리하여 상품화하고 있거나 숙취 음료로 각광받고 있는 쌀눈 발효액 제품, 쌀눈유 및 쌀눈 비누 등 여러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다(고등, 한국식품과학회지 35: 347-352, 2003). 그러나 쌀겨로부터 쌀눈의 순수 분리가 어렵고 쌀눈에 존재하는 리파제(lipase)나 리폭시다제(lipoxidase) (Yamamoto et al., Lipids 15: 1-5, 1980; Luh et al., In rice production, 2nd ed., AVI, New York, p. 313, 1991)에 의한 지방의 분해 및 산화 촉진과 더불어 쌀눈이 지니는 높은 유지 함량에 따른 저장 중 산패에 의한 품질 열화가 쉽게 초래됨으로서 쌀눈은 거의 미강에 혼입되어 사료로 사용되고 식품자원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까지 국외에서는 쌀겨(미강) 및 쌀배아로부터 기능성물질 분리 및 그들의 생리적작용에 관한 보고(Tabary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119: 549-555, 1984; Eitenmiller, Food Technol 51: 78-81, 1997; McCaskill & Zhang, Food Chemistry, 53: 50-52, 1999; Kawabata et al., Carcinogenesis 20: 2109-2115, 1999)와 더불어 가공 중 쌀눈의 기능성성분의 변화(Kim et al., J Am Oil Chem Soc 79: 413-418, 2002)에 관한 연구 보고가 있으나, 대부분 쌀겨 에 관한 연구이고 쌀눈에 관한 연구보고는 미비하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쌀눈유의 지방산 조성 및 저장 중 지질산화 안정성에 관한 보고(신 및 정, 한국식품과학회지 30(1): 77-81, 1998; 신 및 정, 한국식품과학회지 30(1): 241-243, 1998)와 더불어 국내에서 생산되는 쌀눈의 이화학적 성분(최 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5: 253-258, 2000) 및 쌀눈의 품질특성 및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볶음조건에 관한 보고(고등, 한국식품과학회지, 35: 347-352, 2003)가 있으나 쌀눈의 기능성물질의 특성 및 가공 중 그들 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 쌀눈을 미강에서 따로 분리기술이 계발되어 그 이용이 편리해졌으며, 채취 분리 후 살균공정을 통해 효소작용을 차단하여 산폐를 예방하는 형태의 원료가 시판되고 있어 이를 이용한 쌀눈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327695 호 쌀눈음료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눈꽃동충하초 균사체 배양함에 있어, 쌀눈을 배지로 이용한 액체배양을 실시하여 배양기간 중에 생리활성 기능이 우수한 고분자다당체가 보다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배지조성 비율을 제공함으로써 액체배양하여 얻은 눈꽃동충하초 균사체와 고분자 다당체를 함유하는 인체 생리활성 증강용 기능성 음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는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에 있어서, 배지 조성 시 정제수, 쌀눈, 설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은 쌀눈, 정제수, 설탕, 한천을 포함하여 눈꽃동충하초 배양용 고형배지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고형배지에 눈꽃동충하초 균사체를 배양하는 제 2단계; 쌀눈, 정제수, 설탕을 포함하여 액체배지를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고형배지에서 배양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상기 액체배지로 옮겨 배양하는 제 4단계; 상기 쌀눈, 정제수, 설탕을 포함하여 대량 배양용 배지를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액체배지에서 배양완료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상기 대량 배양용 배지에 접종, 확대 배양하여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을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을 건강보조식품 및 액기스 형태로 가공하는 제 7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눈꽃동충하초 균사체를 고농도로 배양하여 그 기능성을 활용하고자 하는 식품원료로 활용 시 균사체 배양의 효율성 달성을 위한 배지조성이 쌀눈과 설탕만을 이용하여 기존 대비 고효율의 균사체를 얻을 수 있어 건강기능성식품 원료 생산에 효율성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강기능성식품 원료로 주로 사용되는 동충하초를 효율적으로 생산하여 이를 이용한 인체면역증강,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저하, 운동력증가와 같은 인체 생리활성 증가에 좋은 기능성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채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비교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의 비교사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에 있어서, 배지 조성 시 정제수, 쌀눈, 설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에서는 상기 제시된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을 도면과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먼저, 제 1단계(S10)에서는 쌀눈, 정제수, 설탕, 한천을 포함하여 눈꽃동충하초 배양용 고형 배지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정제수 1중량부에 대하여 쌀눈 0.03 내지 0.20중량부, 설탕 0.05 내지 0.30 중량부, 한천 0.1 내지 0.3 중량부를 포함하여 고형 배지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2단계(S20)에서는 상기 고형 배지에 눈꽃동충하초 균사체를 배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한 배양용 배지에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조직분리하여 배양한다.
상기 사용한 균주는 농촌진흥청에서 농가에 보급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조직분리하여 계대배양한 원균을 4℃에서 보관하여 보존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 3단계(S30)에서는 쌀눈, 정제수, 설탕을 포함하여 액체 배지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정제수 1중량부에 대하여 쌀눈 0.03 내지 0.20중량부, 설탕 0.05 내지 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한 멸균된 액체 배지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제 4단계(S40)에서는 상기 고형배지에서 배양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상기 액체배지로 옮겨 배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형배지에서 배양한 눈꽃동충하고 균추를 상기 제조한 액체배지로 옮겨 20 내지 26℃에서 7 내지 10일간 교반하며 배양한다.
다음으로, 제 5단계(S50)에서는 대량 배양용 배지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정제수 1중량부에 대하여 쌀눈 0.03 내지 0.20중량부, 설탕 0.05 내지 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대량 배양용 배지를 제조한다.
상기 대량 배양용 배지는 액체 배지 기준으로 200 내지 600배 가량 확대된 배지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6단계(S60)에서는 상기 액체배지에서 배양완료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상기 대량 배양용 배지에 접종하여 확대 배양하여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체배지에서 배양과정을 거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상기 대량 배양용 배지에 접종하여 7 내지 15일간 확대 배양한다.
상기 눈꽃동충하초는 액체 배지 기준으로 대량 배양용 배지를 확대하여 제조할 때 확대한 비율에 따라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양기간이 7일 미만일 경우 배양이 완료되지 않아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으로서의 기능을 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15일을 초과할 경우 배양이 완료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제 7단계(S70)에서는 제조한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을 건강보조식품 및 엑기스 형태로 가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을 원료로 하여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거나 엑기스 형태로 가공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형배지, 액체배지, 대량 배양용 배지는 쌀눈 0.03 내지 0.20중량부, 설탕 0.05 내지 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하게 되는 데,
쌀눈이 0.03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쌀눈 내에 있는 영양원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0.20 중량부 이상 과도하게 혼합될 경우 전달할 수 있는 영양원의 한계점을 넘어서게 되므로 쌀눈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설탕이 0.05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에너지원이 부족하여 배양속가 현저히 늦어질 수 있으며, 0.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도한 증식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형배지, 액체배지, 대량 배양용 배지는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이동 시 배양이 원할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일한 양의 쌀눈과 설탕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는 상기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의 배양 효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실험한 실험 내용을 실시예 및 비교예, 표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비교예 1]
기존 PDA 배지에서 10일간 배양한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이다.
[비교예 2]
기존 PDA 배지에서 10일간 배양한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이다.
[실시예 1]
상기 제시한 방법으로 쌀눈 배지를 이용하여 10일간 대량 배양한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이다.
[실시예 2]
상기 제시한 방법으로 쌀눈 배지를 이용하여 10일간 대량 배양한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이다.
도 2는 비교예 1과 실시예 1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며, 도 3은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접종량(ml) 30 30 30 30
균사체량(ml) 94 115 199 17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눈꽃동충하초를 배양할 경우 기존 배양물 대비 배양속도 및 균사체가 150 내지 200% 증진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0. 쌀눈, 정제수, 설탕, 한천을 포함하여 눈꽃동충하초 배양용 고형배지를 제조하는 제 1단계
S20. 상기 고형배지에 눈꽃동충하초 균사체를 배양하는 제 2단계
S30. 쌀눈, 정제수, 설탕을 포함하여 액체배지를 제조하는 제 3단계
S40. 상기 고형배지에서 배양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상기 액체배지로 옮겨 배양하는 제 4단계
S50. 상기 쌀눈, 정제수, 설탕을 포함하여 대량 배양용 배지를 제조하는 제 5단계
S60. 상기 액체배지에서 배양완료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상기 대량 배양용 배지에 접종, 확대 배양하여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을 제조하는 제 6단계
S70. 상기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을 건강보조식품 및 액기스 형태로 가공하는 제 7단계

Claims (5)

  1.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에 있어서, 배지 조성 시 정제수, 쌀눈, 설탕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쌀눈 배지는 배지 조성 시 정제수 1중량부에 대하여 쌀눈 0.03 내지 0.20중량부, 설탕 0.05 내지 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3. 쌀눈, 정제수, 설탕, 한천을 포함하여 눈꽃동충하초 배양용 고형배지를 제조하는 제 1단계;
    상기 고형배지에 눈꽃동충하초 균사체를 배양하는 제 2단계;
    쌀눈, 정제수, 설탕을 포함하여 액체배지를 제조하는 제 3단계;
    상기 고형배지에서 배양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상기 액체배지로 옮겨 배양하는 제 4단계;
    상기 쌀눈, 정제수, 설탕을 포함하여 대량 배양용 배지를 제조하는 제 5단계;
    상기 액체배지에서 배양완료한 눈꽃동충하초 균주를 상기 대량 배양용 배지에 접종, 확대 배양하여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을 제조하는 제 6단계;
    상기 눈꽃동충하초 배양액을 건강보조식품 및 액기스 형태로 가공하는 제 7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제조 시 혼합비율은 정제수 1중량부에 대하여 쌀눈 0.03 내지 0.20중량부, 설탕 0.05 내지 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배양 기간은 7 내지 15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KR1020140052147A 2014-04-30 2014-04-30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5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47A KR20150125199A (ko) 2014-04-30 2014-04-30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47A KR20150125199A (ko) 2014-04-30 2014-04-30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199A true KR20150125199A (ko) 2015-11-09

Family

ID=5460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147A KR20150125199A (ko) 2014-04-30 2014-04-30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51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9113A (zh) * 2015-11-19 2016-01-20 河北大学 一种血芝-香蒲固态发酵功能饮品及制备方法
CN105394515A (zh) * 2015-11-19 2016-03-16 河北大学 一种凤尾菇-香蒲固态发酵功能饮品及制备方法
KR102065357B1 (ko) * 2018-07-31 2020-01-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이원이쌀눈 쌀눈발효음료 조성물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49113A (zh) * 2015-11-19 2016-01-20 河北大学 一种血芝-香蒲固态发酵功能饮品及制备方法
CN105394515A (zh) * 2015-11-19 2016-03-16 河北大学 一种凤尾菇-香蒲固态发酵功能饮品及制备方法
KR102065357B1 (ko) * 2018-07-31 2020-01-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에이원이쌀눈 쌀눈발효음료 조성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4428A (zh) 一种能抗重茬障碍的复合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283019A (zh) 人工快速繁育牛樟芝的方法
Zhou Cultivation of Ganoderma lucidum
CN104206169A (zh) 利用蛹虫草培养基制备营养麦片的方法
KR20150125199A (ko)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RU2409658C1 (ru) Посевной мицелий базидиомицет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CN101940130A (zh) 一种灰树花工厂化栽培方法
CN101658102B (zh) 一种白灵菇的栽培方法
KR101426501B1 (ko) 쇠비름 및 미강을 함유하는 발효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47148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버섯의 재배방법
KR101420392B1 (ko) 양만장 에너지 절감을 위한 뱀장어용 사료 및 사료첨가제
CN105725163B (zh) 一种香菇菌黑蒜酱
KR101180909B1 (ko) 풍미가 개선된 꿀벌 화분 발효액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꿀벌 화분 발효액
KR101540746B1 (ko)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생산방법
KR101446198B1 (ko) 기능성 막걸리 제조방법
KR102366791B1 (ko) 산천어 발효액 제조방법
JPWO2019130535A1 (ja) ラビリンチュラ類の培養方法
KR101540743B1 (ko) 공액리놀레산의 생산방법 및 콩 발효식품
CN105286014B (zh) 一种蛹虫草‑纳豆芽孢杆菌复合发酵功能食品原料的制作方法
KR20080067034A (ko) 복합 버섯균을 이용한 유기셀레늄 함유 농작물의 재배 방법
CN107048350B (zh) 一种猴头菇子实体植入马铃薯的营养全粉及其生产方法
KR100905286B1 (ko) 대추나무의 열매, 잎, 가지, 뿌리를 이용한 청국장제조방법
CN104489683A (zh) 一种黑枸杞玛卡粉及其制备方法
KR20140120693A (ko) 쌀눈 배지를 이용한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6158A (ko) 고농도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동충하초 배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