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307A -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 Google Patents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307A
KR20150124307A KR1020140051053A KR20140051053A KR20150124307A KR 20150124307 A KR20150124307 A KR 20150124307A KR 1020140051053 A KR1020140051053 A KR 1020140051053A KR 20140051053 A KR20140051053 A KR 20140051053A KR 20150124307 A KR20150124307 A KR 20150124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assembly
blocking
switch
charging devic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330B1 (ko
Inventor
박만욱
전두열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330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서기의 개폐 가능한 넓은 투입구를 통해 모재가 투입될 때, 사용이 안전하고 편리하도록 구성된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중공의 드럼(100); 상기 드럼(100) 내측에 위치하는 스크류 조립체(200); 및 상기 드럼(100)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드럼(100)을 향해 하부가 개방된 투입장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장치(400)는, 상기 투입장치(400)의 상부면인 주투입구(451)를 개폐하는 덮개부(410); 상기 덮개부(410)의 일측에 연결된 링크부(420); 상기 링크부(420)의 일측에 연결된 차단부(430); 및 상기 투입장치(4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스위치(442)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442)와 연결된 상기 링크부(4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차단부(43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에 의하면, 큰 과일이나 야채 등의 모재 투입이 편리하며, 사용의 안전성이 보장되며, 그리고 주서기의 내부가 먼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Juice extraction screw assembly with a safe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서기의 개폐 가능한 넓은 투입구를 통해 모재가 투입될 때, 사용이 안전하고 편리하도록 구성된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주서기는 일반적으로 야채나 과일 등과 같은 재료(이하, '모재'라 칭함)부터 녹즙이나 주스를 직접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가정에서 간편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주서기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주서기는 분쇄 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 내에 과일이나 야채와 같은 모재를 수용한 후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한 구동부를 이용하여 분쇄 스크류를 회전함으로써 모재를 분쇄하여 녹즙 또는 과즙을 추출한다. 여기서 모재 투입구에 모재를 넣기 전에, 투입구의 사이즈는 대략 2~3cm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투입구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사전에 모재를 잘게 절삭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었다. 최근 이러한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모재의 전처리가 필요 없도록 투입구의 사이즈를 크게 한 주서기들이 등장했다.
예를 들면, 국내특허등록 제20-0357015호는 배와 같이 강도가 강한 과일 종류를 작게 절삭하지 않고 통째로 투입하여 과즙을 짜낼 수 있도록 금속 칼날과 분쇄기를 사용하여 개선된 주스 제조기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투입구의 금속 칼날에 의한 안전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잠깐의 부주의에 이어 칼날에 의하여 사용자가 손을 다치기 쉽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국내특허등록 제10-1270140호는 투입구의 사이즈를 크게 하고 파쇄날과 파쇄가공부 사이에 모재가 말려들어감으로써 스크류에 공급됨과 동시에 파쇄되도록 구성된 착즙모듈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모재의 전처리 없이 주서기에 직투입이 가능하더라도 투입구가 넓어 회전하는 스크류에 사용자 또는 어린 아이의 손가락이 끼어서 다칠 우려가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종래 주서기에는 안전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확실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았다.
국내특허등록 제10-1300464호는 앞서 제시한 국내특허등록 제10-1270140호와 달리 안전커버를 더 포함하여 주서기의 착즙 스크류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한다. 여기서 제시된 안전커버는 제 1 커버부가 제 2 커버부와 대략으로 수직인 형태이고, 안전커버가 회전함으로써 투입되는 모재를 통과시키고, 사람의 손은 스크류에 닿지 않도록 막고, 회전축에 편향 스프링을 포함하여 투입 전의 위치로 커버부들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와 작용하는 편향력은 사용자가 포도나 방울토마토와 같은 작고 가벼운 모재 여러 개를 한꺼번에 투입시켰는데 편향력에 의하여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않고서는 모재가 안전커버를 완전히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사용이 불편해진다. 뿐만 아니라, 메론 또는 수박과 같이 수분이 많은 재료는 그 즙이 안전커버에 묻고, 표면이 공기와 노출되는 시간에 의하여 쉽게 마르고 굳어서 이로 인하여 세척이 한 단계 더 번거로워질 뿐만 아니라, 균과 먼지가 안전커버에 쉽게 묻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 전에 별도로 모재를 절삭해야하는 불편함이 없는 넓은 투입구의 종래 주서기들은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위험하거나, 안전장치가 구비되었어도 공기 속 먼지에 쉽게 노출되어 비위생적이고, 다량의 모재를 투입하고자 할 때 사용시에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KR 20-0357015 B KR 10-1300464 B KR 10-1270140 B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과일이나 야채 등의 모재를 통째로 투입할 수 있으며, 또한 다량의 모재를 한번에 투입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투입장치가 포함된 주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손이 스크류에 곧바로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상의 위험을 방지하는 투입장치가 포함된 주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넓은 투입구를 구비함으로써 주서기의 내부는 더 쉽게 먼지에 노출되지만, 이를 방지하는 투입장치가 포함된 주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공의 드럼(100); 상기 드럼(100) 내측에 위치하는 스크류 조립체(200); 및 상기 드럼(100)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드럼(100)을 향해 하부가 개방된 투입장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장치(400)는, 상기 투입장치(400)의 상부면인 주투입구(451)를 개폐하는 덮개부(410); 상기 덮개부(410)의 일측에 연결된 링크부(420); 및 상기 링크부(420)의 일측에 연결된 차단부(430)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투입장치(400)는 상기 투입장치(4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스위치(4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442)와 연결된 상기 링크부(4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차단부(430)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442)가 미리 결정된 A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442)가 미리 결정된 B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통로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부(430)의 단부는 상기 링크부(420)와 제 2 절점(424)에서 연결되며, 상기 연결된 부분의 상기 차단부(430)의 상기 단부는 굴곡진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부(430)의 상기 단부에는 고정 지지축(421)이 위치하며, 상기 고정 지지축(421)은 상기 투입장치(4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단부(43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410)가 상기 주투입구(451)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410)가 상기 주투입구(451)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통로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442)가 상기 A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덮개부(410)가 상기 주투입구(451)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442)가 상기 B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덮개부(410)가 상기 주투입구(451)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장치(400)의 내측에 지지부(460)가 고정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460)에 상기 덮개부(410)가 걸림으로써 상기 덮개부(410)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410), 상기 링크부(420) 및 상기 차단부(430)는 상호작용하여 제 1, 2 및 3 동작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410), 상기 링크부(420) 및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제 1 동작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442)는 상기 B위치에 있으며, 상기 덮개부(41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를 폐쇄하고,
상기 덮개부(410), 상기 링크부(420) 및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제 2 동작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442)는 상기 A위치에 있으며, 상기 덮개부(410)는 상기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의 상측면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덮개부(410), 상기 링크부(420) 및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제 3 동작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442)는 상기 A위치에 있으며, 상기 덮개부(410)는 상기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442)는 상기 덮개부(410)와 상기 링크부(420)가 연결되는 제 1 절점(423)에 상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442)가 상기 A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내측과 소정의 각도(a)를 이루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고정 지지축(4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큰 과일이나 야채 등의 모재가 통째로 혹은 다량으로 한번에 투입될 수 있는 넓은 투입구를 구비하여 모재 투입이 편리하다.
또한, 투입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차단부가 사용자의 손이 주서기의 착즙 스크류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또한, 투입장치의 덮개 및 차단부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주서기의 내부가 먼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2, 및 3 동작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X-X'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2, 및 3 동작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X-X'에 따라 일부가 절단된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주서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동일한 원리가 주서기 이외의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 착즙 스크류 조립체가 구비된 다른 기기에도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투입 장치를 구비한 주서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 주서기의 구성의 설명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주서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는, 중공의 드럼(100)과 그 내측에 위치하는 스크류 조립체(200); 드럼(100) 상부에 위치하여 드럼(100)을 향해 하부가 개방되며 드럼(100)과 투입통 하부(470)에서 연결되는 투입장치(400); 및 드럼(100)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더 필요에 따라 투입장치(40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개구(411)에 삽입될 수 있는 푸셔(미도시)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드럼(100)과 스크류 조립체(200)는 물론 투입장치(400)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로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투입장치(400)와 스크류 조립체(200) 등이 동심인 것으로 도시되나, 이심인 경우도 본 발명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투입장치(4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넓은 투입구를 구비한 주서기는 모재의 전처리 작업을 간편화시키는 대신에, 넓은 투입구를 통해 사용자의 손이 스크류 조립체(200)에 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져서, 사용시 안전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등장한 안전장치는 편리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투입장치(400)는, 상부면인 주투입구(451)를 개폐하는 덮개부(410); 덮개부(410)의 일측에 연결된 링크부(420); 및 링크부(420)의 일측에 연결된 차단부(430)를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편리하게 많은 양과 다양한 크기의 모재가 안전하게 투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장치(400)는 투입장치(4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스위치(442)를 더 포함하며, 스위치(442)와 연결된 링크부(420)의 동작에 의해 차단부(430)가 고정된다. 차단부(430)는 스위치(442)의 움직임에 따라 투입장치(400)의 통로의 일부를 폐쇄하는 위치, 또는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 두 가지 위치를 각각 A위치 또는 B위치로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일 실시예서, 스위치(442)가 스위치 홈(441) 내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와 연결된 링크부(420)도 스위치(442)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이때, 스위치의 형태 및 구성은 다른 변형예에서 유리하게 변형가능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스위치(442)와 링크부(420)의 연결지점인 제 1 절점(423)의 연장선에 위치하는 스위치(442)가 위로 올려짐으로써 링크부(420)가 함께 위로 이동하면서, 링크부(420) 하단에 위치하는 제 2 절점(424)에 연결된 차단부(430)가 따라서 움직이게 된다. 이때, 투입장치(400)의 내측에 고정된 고정 지지축(421)이 차단부(430)의 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차단부(430)의 단부가 상하로는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 지지축(421)에 대해 회전만 가능하다.
고정 지지축(421)과 연결된 측의 차단부(430)의 단부는 굴곡진 형태를 가짐으로써 고정 지지축(421)에 대해 회전하다가 투입장치(400)의 내측이 단부를 지지하게 되면서 차단부(430)가 특정 위치에 고정된다.
스위치(442)가 미리 결정된 A위치 또는 B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차단부(430)가 투입장치(400)의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폐쇄 또는 개방한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442)가 스위치 홈(441)의 상부에 위치할 때를 A위치, 그리고 하부에 위치할 때를 B위치라 하여 스위치(442)의 동작을 구별하도록 한다.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가 폐쇄되고 차단부(430)가 투입장치(400)의 통로를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 스위치(442)가 A위치로 이동될 시, 장력이 작용하여 링크부(420)와 제 2 절점(424)이 상향으로 당겨지며, 이러한 힘에 의하여 차단부(430)는 고정 지지축(421)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어 투입장치(400)의 내측에 굴곡진 단부가 고정되어 투입장치(400)의 통로의 일부를 폐쇄하게 된다. 굴곡진 단부는 예를 들면, 'ㄴ'자의 형상으로, 서로 수직을 이루는 각 측면이 투입장치(400)의 내측 표면에 접촉됨으로써 차단부(4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그 형상에 제한은 없다.
또한, 스위치(442)가 A위치에 있을 경우에 차단부(430)가 투입장치(400)의 내측과 이루는 소정의 각도(a)는 0도 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각도(a)가 90도 안팎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스위치(442)가 B위치로 이동될 시, 압력이 작용하여 링크부(420)와 제 2 절점(424)이 하방으로 눌러지며, 이러한 힘에 의하여 차단부(430)는 고정 지지축(421)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어 투입장치(400)의 내측에 굴곡진 단부가 고정되어 투입장치(400)의 통로가 다시 개방된다. 이때 차단부(430)는 투입장치(400)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인 수용부(452)에 위치하게 된다.
투입장치(400)는 수용부(452)에 의하여 일부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링크부(420) 및 차단부(430)가 위치할 수 있는 이러한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스위치(442)가 B위치인 경우에 있어서 덮개부(410)에 형성된 개구(411)를 통해 투입되는 모재가 링크부(420) 및 차단부(430)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여기서 개구(411)는 사용자가 작은 크기의 모재를 연속적으로 투입시키고 싶은 경우에 덮개부(410)를 개폐할 필요 없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덮개부(410)는 주투입구(451)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으며, 개폐가 편리하도록 양측에 돌출부(412)가 위치한다. 돌출부(412)는 주투입구(451)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다.
덮개부(410)가 주투입구(451)를 개방하는 경우, 차단부(430)가 투입장치(400)의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며, 덮개부(410)가 주투입구(451)를 폐쇄하는 경우, 차단부(430)가 투입장치(400)의 통로를 개방한다. 그리하여 주투입구(451)가 개방될 때마다 차단부(430)가 통로 일부를 폐쇄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스크류 조립체(200)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위의 내용을 참조하여, 도 4, 5에 도시된 각각의 동작위치별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좌상단이 제 1 동작위치이며, 우상단이 제 2 동작위치이며, 그리고 우하단이 제 3 동작위치이다.
덮개부(410), 링크부(420) 및 차단부(430)는 상호작용하여 스위치(442)의 위치와 주투입구(451) 및 차단부(430)의 개폐 상태에 따라 구별되는 제 1, 2 및 3 동작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덮개부(410), 링크부(420) 및 차단부(430)가 제 1 동작위치에 있는 경우, 스위치(442)는 B위치에 있으며, 덮개부(410)가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를 폐쇄하며 이와 동시에 차단부(430)가 이동하여 투입장치(400)의 통로가 개방되고 차단부(430)에 걸렸던 투입된 모재 일부가 자유낙하 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에 도달할 수 있다. 스위치(442)가 스위치 홈(441)의 하부에 위치하는 B위치에 있을 경우에, 정면 지지부(461) 및 하면 지지부(462)로 구성되며, 투입장치(400)의 내측에 고정되며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지지부(460) 사이에 제 1 절점(423)이 위치한다.
덮개부(410), 링크부(420) 및 차단부(430)가 제 2 동작위치에 있는 경우, 스위치(442)는 A위치에 있으며, 덮개부(410)는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의 상측면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제 2 동작위치가 있음으로, 주투입구(451)가 완전히 폐쇄되기 전까지는 차단부(430)가 투입장치(400)의 통로의 일부를 계속 폐쇄시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해준다. 또한, 잠시 주서기의 사용을 멈출 경우에는, 스위치(422)의 위치를 바꿀 필요없이 간편하게 덮개부(410)로 주투입구(451)를 가릴 수 있어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의 내부가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쉽게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덮개부(410), 링크부(420) 및 차단부(430)가 제 3 동작위치에 있는 경우, 스위치(442)는 A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차단부(430)는 투입장치(400)의 통로의 일부를 폐쇄하며, 덮개부(410)는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를 개방한다. 이때 세워진 덮개부(410)는 하면 지지부(462)가 지지하여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도 1 및 3을 참조하여 드럼(100) 및 몸체(3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특징은 투입장치(400)에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는 주서기 외에 다른 방식의 주서기, 믹서기, 원액기 등에도 모두 적용 가능함을 강조한다.
드럼(100)은 내부에 공간이 있는 중공 원통 형태의 용기 구조로서, 드럼(100) 내부 바닥면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턱(110), 안내턱(110)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홈(111), 내측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 홈(112), 찌꺼기 유동관(121), 착즙물 유동관(131)이 구비된다.
제 1 가이드 홈(111)은 드럼(100) 중앙을 중심으로 안내턱(110)의 외측에 안내턱(11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가이드 홈(111)에는 드럼(10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찌꺼기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제 2 가이드 홈(112)은 드럼(100) 중앙을 중심으로 안내턱(110)의 내측에 안내턱(11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 가이드 홈(112)에는 드럼(10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착즙물 배출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찌꺼기 유동관(121) 및 착즙물 유동관(131)은 각각 찌꺼기 배출공(미도시) 및 착즙물 배출공(미도시) 연통하여 드럼(100) 외부로 연장형성되어 찌꺼기 및 착즙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즉, 모재가 스크류 조립체(2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회전력에 의하여 착즙물과 찌꺼기로 구분되는데, 착즙물은 후술하는 메쉬망(276)을 통과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유동한 후, 제 2 가이드 홈(112)을 따라 유동하다가 착즙물 배출공(미도시) 및 착즙물 유동관 (131)을 통하여 주서기 외부로 배출되며, 찌꺼기는 메쉬망(276)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부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 후, 제 1 가이드 홈(111)을 따라 유동하다가 찌꺼기 배출공(미도시) 및 찌꺼기 유동관(121)을 통하여 주서기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한편, 찌꺼기 유동관(121)에는 착즙 초기에 찌꺼기가 한번에 배출됨으로써 착즙율 손실을 막을 수 있도록, 어느 정도 찌꺼기가 누적되어야 찌꺼기 유동관(121)을 개방하는 기능을 하는 탄성의 패킹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몸체(300)는 그 상부가 드럼(100)의 바닥면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드럼(100)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된다.
몸체(300)는 내부에 모터와 같은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전원을 인가하는 장치(미도시)가 몸체(300) 외면에 배치된다.
회전부재는 각형축(미도시)을 구비하며, 각형축(미도시)이 스크류 조립체(200)의 하부에 위치한 회전축(210)에 형성된 축공(212)에 삽입되고 체결되어 회전축(210)을 회전시키고, 회전축(210)을 둘러싸는 스크류 조립체(200)가 회전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스크류 조립체(200)는 조립체 상부(250)와 조립체 하부(270)로 이루어진다.
조립체 상부(250)와 조립체 하부(270)를 관통하도록 그 중앙에 회전축(210)이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에 의하여 회전력이 회전축(210)에 전달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스크류 조립체(200)가 회전하여 모재를 착즙한다.
조립체 상부(250)의 외부면에는 착즙날(251)이 구비된다. 착즙날(251)은 스크류 형식으로 구비되어, 착즙대상물이 착즙 스크류 조립체에 투입되면 착즙날에 의하여 분쇄 및 압착 작용이 이루어져서 착즙물과 찌꺼기로 분리되며, 분리된 착즙물과 찌꺼기는 스크류 형식의 착즙날(251)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다.
조립체 하부(270)의 외부면에는 착즙 리브(271)가 구비된다. 착즙 리브(271)는 드럼(100)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착즙대상물의 분쇄 및 압착 작용을 돕는다.
여기에서, 착즙 리브(271)는 조립체 상부(250)와 조립체 하부(270)의 장착시 착즙날(251)로부터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적으로 이어져야, 조립체 상부(250)에서의 착즙대상물 또는 착즙물 또는 찌꺼기가 스크류 형식의 착즙날(251)과 착즙 리브(271)를 타고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립체 하부(270)의 몸체는 다수의 개구부가 존재하는 하부 바디(275)와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메쉬망(276)을 포함한다.
하부 바디(275)는 조립체 하부(270)의 형태를 유지하는 뼈대 기능을 하며, 메쉬망(276)은 다수의 홀을 통하여 착즙물만 통과시키고 찌꺼기는 통과시키지 않는 기능을 한다. 메쉬망에 의하여, 스크류 조립체(200) 외부에서 분리된 착즙물과 찌꺼기가 메쉬망(276)을 경계로 구분됨으로써 제 1 가이드 홈(111)과 제 2 가이드 홈(112)으로 구분되어 유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되는 망의 종류는 제시된 메쉬망(276)뿐만 아니라, 메쉬망(276)의 홀의 크기나 모양이 상이한 다른 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2. 주서기의 동작 과정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동작위치에서의 투입장치(400)로부터 시작하여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모재의 크기가 작고, 연속적으로 모재를 투입하고 싶을 경우에는, 제 1 동작위치에서 스위치(442) 및 덮개부(410)를 이동시키지 않고서도 개구(411)를 통해 모재 투입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에는 모재를 투입하면서 주서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착즙이 가능하다. 모재의 크기와 사용자의 편리성에 따라 개구(411)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이다.
모재의 크기가 크고, 한 번에 많은 양의 모재를 투입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덮개부(410)가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를 개방하도록 스위치(442)를 B위치로부터 A위치로 바꾼다.
스위치(442)를 A위치로 바꿈으로써, 투입장치(400)는 제 2 동작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덮개부(410)는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의 상측면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서 차단부(430)는 투입장치(400)의 통로의 일부를 폐쇄시키고 있는 상태로 옮겨진다.
모재를 투입시키기 위해서 돌출부(412)를 사용하여 덮개부(410)를 위로 들어올려서 주투입구(451)를 개방시킨다. 제 3 동작위치에 있게 된 투입장치(400)의 세워진 덮개부(410)는 하면 지지부(462)가 지지하여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모재를 다 투입한 후, 다시 제 2 동작위치를 거쳐 제 1 동작위치에 있게 되도록 한다. 이때 스위치(442)가 B위치에 있게 되면서 차단부(430)가 이동되어 투입장치(400)의 통로를 개방시키면서, 차단부(430)에 걸렸었던 모재 일부가 스크류 조립체(200)로 자유 낙하한다. 이러한 안전장치로 인하여 편리하게 많은 양, 또는 크기가 큰 모재를 한번에 안전하게 투입할 수 있다.
주투입구(451)가 폐쇄되었을 때, 주서기의 전원을 인가시키면 본체(300) 내부의 회전부재가 구동되고, 이에 구비된 각형축(미도시)이 회전하여 각형축(미도시)과 연결된 회전축(210)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회전축(210)의 회전에 따라 이에 결합된 스크류 조립체(200)가 드럼(100) 내에서 회전하며 주서기의 동작이 개시된다. 주서기가 동작되면, 모재가 스크류 조립체(200)에 도달하여, 스크류 조립체(200)에 의해 분쇄 및 압착되어 착즙물과 찌꺼기로 구분되는데 착즙물과 찌꺼기 모두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부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다.
착즙물이 메쉬망(276)에 이르면 메쉬망(276)을 통과하여 스크류 조립체(200) 내측에서 하방으로 유동함으로써 제 2 가이드 홈(112), 착즙물 배출공(미도시) 및 착즙물 유동관(13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찌꺼기가 메쉬망(276)에 이르면 메쉬망(276)의 홀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스크류 조립체(200)의 외측에서 하방으로 유동함으로써 제 1 가이드 홈(111), 찌꺼기 배출공(미도시) 및 찌꺼기 유동관(1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착즙물과 찌꺼기가 구분되어 배출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드럼
110: 안내턱
111: 제 1 가이드 홈
112: 제 2 가이드 홈
121: 찌꺼기 유동관
131: 착즙물 유동관
200: 스크류 조립체
210: 회전축
211: 상부 회전축
212: 축공
250: 조립체 상부
251: 착즙날
270: 조립체 하부
271: 착즙 리브
275: 하부 바디
276: 메쉬망
300: 몸체
400: 투입장치
410: 덮개부
411: 개구
412: 돌출부
420: 링크부
421: 고정 지지축
423: 제 1 절점
424: 제 2 절점
430: 차단부
441: 스위치 홈
442: 스위치
451: 주투입구
452: 수용부
460: 지지부
461: 정면 지지부
462: 하면 지지부
470: 투입통 하부

Claims (16)

  1. 중공의 드럼(100);
    상기 드럼(100) 내측에 위치하는 스크류 조립체(200); 및
    상기 드럼(100)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드럼(100)을 향해 하부가 개방된 투입장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장치(400)는,
    상기 투입장치(400)의 상부면인 주투입구(451)를 개폐하는 덮개부(410);
    상기 덮개부(410)의 일측에 연결된 링크부(420); 및
    상기 링크부(420)의 일측에 연결된 차단부(430)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장치(400)는 상기 투입장치(4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스위치(4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442)와 연결된 상기 링크부(4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차단부(430)가 고정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442)가 미리 결정된 A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442)가 미리 결정된 B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통로를 개방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430)의 단부는 상기 링크부(420)와 제 2 절점(424)에서 연결되며, 상기 연결된 부분의 상기 차단부(430)의 상기 단부는 굴곡진 형태를 가지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430)의 상기 단부에는 고정 지지축(421)이 위치하며,
    상기 고정 지지축(421)은 상기 투입장치(4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단부(430)를 지지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10)가 상기 주투입구(451)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통로의 적어도 일부를 폐쇄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10)가 상기 주투입구(451)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통로를 개방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442)가 상기 A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덮개부(410)가 상기 주투입구(451)를 개방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442)가 상기 B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덮개부(410)가 상기 주투입구(451)를 폐쇄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장치(400)의 내측에 지지부(460)가 고정되어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460)에 상기 덮개부(410)가 걸림으로써 상기 덮개부(410)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10), 상기 링크부(420) 및 상기 차단부(430)는 상호작용하여 제 1, 2 및 3 동작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10), 상기 링크부(420) 및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제 1 동작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442)는 상기 B위치에 있으며, 상기 덮개부(41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를 폐쇄하고,
    상기 덮개부(410), 상기 링크부(420) 및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제 2 동작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442)는 상기 A위치에 있으며, 상기 덮개부(410)는 상기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의 상측면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덮개부(410), 상기 링크부(420) 및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제 3 동작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스위치(442)는 상기 A위치에 있으며, 상기 덮개부(410)는 상기 투입장치(400)의 주투입구(451)를 개방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442)는 상기 덮개부(410)와 상기 링크부(420)가 연결되는 제 1 절점(423)에 상응하게 위치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442)가 상기 A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투입장치(400)의 내측과 소정의 각도(a)를 이루도록 위치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430)가 상기 고정 지지축(4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1020140051053A 2014-04-28 2014-04-28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10225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53A KR102257330B1 (ko) 2014-04-28 2014-04-28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53A KR102257330B1 (ko) 2014-04-28 2014-04-28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307A true KR20150124307A (ko) 2015-11-05
KR102257330B1 KR102257330B1 (ko) 2021-05-31

Family

ID=5460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053A KR102257330B1 (ko) 2014-04-28 2014-04-28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3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2992A (zh) * 2016-01-06 2017-07-14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进料筒及具有其的料理机
KR102277131B1 (ko) * 2021-01-07 2021-07-15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조리물 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015Y1 (ko) * 1994-08-30 1998-07-01 김광호 녹즙기의 안전장치
KR200357015Y1 (ko) 2004-05-07 2004-07-21 (주)신창전자 주스 제조기
KR101270140B1 (ko) 2012-11-09 2013-05-3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00464B1 (ko) 2013-01-14 2013-08-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 모듈
KR20140031097A (ko) * 2013-07-15 2014-03-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안전 투입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015Y1 (ko) * 1994-08-30 1998-07-01 김광호 녹즙기의 안전장치
KR200357015Y1 (ko) 2004-05-07 2004-07-21 (주)신창전자 주스 제조기
KR101270140B1 (ko) 2012-11-09 2013-05-3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00464B1 (ko) 2013-01-14 2013-08-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 모듈
KR20140031097A (ko) * 2013-07-15 2014-03-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안전 투입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2992A (zh) * 2016-01-06 2017-07-14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进料筒及具有其的料理机
KR102277131B1 (ko) * 2021-01-07 2021-07-15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조리물 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330B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RU2523241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ковыжималки
JP2010503419A (ja) 容易に洗浄できる機能要素を備えた柑橘類果汁抽出用自動機械
KR102257331B1 (ko) 안전 개폐 구조를 가진 투입장치
US20160000136A1 (en) Juice Extractor
KR101858127B1 (ko) 분리형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US9918578B2 (en) Citrus fruit pr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essing juice from a piece of citrus fruit
KR20150124307A (ko)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KR102388822B1 (ko)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US20170071245A1 (en) Citrus fruit pr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essing juice from a piece of citrus fruit
KR200496302Y1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KR200475273Y1 (ko) 착즙기
KR20150022643A (ko) 찌꺼기 배출 조절이 가능한 주서기
KR20140000013A (ko) 야채 세절기
KR102257333B1 (ko) 회전가능한 일체형 구조를 가진 커버
KR20170013022A (ko) 이중 메쉬망을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102414A (ko)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KR102452432B1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261630B1 (ko) 탈착식 안전 투입장치
KR102291028B1 (ko) 펄프 조절부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358627B1 (ko) 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50094101A (ko) 전처리 칼날을 구비한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CN208551042U (zh) 原汁机的下料装置及原汁机
KR102162080B1 (ko) 순환식 믹서기
KR20130140933A (ko) 핸디형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 결합형 음식물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