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822B1 -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 Google Patents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822B1
KR102388822B1 KR1020170040819A KR20170040819A KR102388822B1 KR 102388822 B1 KR102388822 B1 KR 102388822B1 KR 1020170040819 A KR1020170040819 A KR 1020170040819A KR 20170040819 A KR20170040819 A KR 20170040819A KR 102388822 B1 KR102388822 B1 KR 102388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juicer
hopper
cutt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480A (ko
Inventor
장민석
이남호
문성일
김성욱
강희주
김근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5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47J43/0711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Abstract

착즙 대상물을 전처리 커팅하는 전처리부를 포함한 주서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처리부(800); 상기 전처리부(800) 하측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한 스크류(200); 및 상기 스크류(200)가 장착되는 드럼(300)을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800)에 상부 커터(811)와 하부 커터(821)가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시, 상기 상부 커터(811)와 상기 하부 커터(821)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고정되는 주서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A juicer comprising a scissor type pre-cutting module}
본 발명은 주서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처리부를 포함하여 스크류에 의한 착즙 이전에 착즙대상물의 전처리 커팅을 구현한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수직형 원심분리식 주서기는, 과일, 채소 등의 착즙대상물이 투입되어 절단, 이송, 분쇄, 압착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스크류는 드럼 내측에 구비되고, 메쉬망을 포함하여, 착즙대상물이 메쉬망과 드럼의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착즙이 이루어지고 착즙물과 펄프로 구분된다. 착즙물과 펄프는 드럼 하부에 별도로 모이며, 각각의 배출부를 통하여 분리되어 배출된다.
종래의 수직형 원심분리식 주서기는, 망드럼을 채택한 형식과 망드럼을 채택하지 않고 메쉬망이 스크류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형식으로 구분된다. 전자의 예시로서, 한국공개번호 제2012-0029638호를 들 수 있으며, 후자의 예시로서 한국공개번호 제2012-0042606호를 들 수 있다.
메쉬망이 스크류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형식 중에서도, 착즙물과 펄프 모두가 드럼 내에서 하강하여 배출되는 방식과, 펄프만을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드럼 측면으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펄프 배출 부분에 적절한 기구를 장착시킴으로써 펄프량 조절이 가능하며, 펄프에서 착즙물을 다시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의 예시로서, 한국공개번호 제2013-0042991호를 들 수 있으며, 후자의 예시로서, 한국공개번호 제2016-0014959호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서기에서 착즙대상물의 착즙을 위해서는 모재인 착즙대상물이 주입구를 통하여 스크류가 위치한 드럼에 투입되어야 한다. 그런데, 엽체류 등의 질긴 제품이 착즙대상물로 투입될 경우, 여기에 포함된 길이가 긴 섬유질 등에 의하여 메쉬망이나 배출부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처리를 구현한 주서기가 존재한다.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공개번호 제2015-0102414호, 제2015-0094101호 및 제2015-0115259호에서는, 전처리를 위한 커터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공통적으로 사용자가 힘으로 착즙대상물을 주입구 내로 밀어 넣어야만 전처리 커팅이 가능하여 불편하였다. 이를 해결하고 커팅 기능을 향상시키고자 커터의 날을 날카롭게 할 경우 착즙대상물을 주입구에 밀어 넣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베일 수 있는 안전 상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번호 제2012-0029638호
(특허문헌 2) 한국공개번호 제2012-0042606호
(특허문헌 3) 한국공개번호 제2013-0042991호
(특허문헌 4) 한국공개번호 제2016-0014959호
(특허문헌 5) 한국공개번호 제2015-0102414호
(특허문헌 6) 한국공개번호 제2015-0094101호
(특허문헌 7) 한국공개번호 제2015-01152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엽채류와 같이 질긴 착즙대상물, 또는 부피가 큰 착즙대상물이 투입되어도 자동으로 전처리 커팅이 되어 길이가 긴 섬유질에 의하여 메쉬망이나 배출부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사용이 편리한 주서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처리부(800); 상기 전처리부(800) 하측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한 스크류(200); 및 상기 스크류(200)가 장착되는 드럼(300)을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800)에 상부 커터(811)와 하부 커터(821)가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시, 상기 상부 커터(811)와 상기 하부 커터(821)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고정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처리부(800)는, 호퍼(810); 및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상기 호퍼(8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절단 모듈(82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커터(811)는 상기 호퍼(810)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커터(821)는 상기 절단 모듈(820)에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시 상기 상부 커터(811)가 고정되고 상기 하부 커터(821)가 회전하여, 착즙대상물을 가위형으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810)는 착즙대상물이 통과하는 제 1 주입공간부(817)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터(811)의 칼날 부분이 상기 제 1 주입공간부(817) 상에 위치하되, 상기 칼날 부분은 방사상 내측을 향해서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처리부(800)의 상측에 주입구(130)가 위치하며, 상기 주입구(130)가 상기 제 1 주입공간부(817)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 모듈(820)은 착즙대상물이 통과하는 제 2 주입공간부(827)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터(821)의 칼날 부분이 상기 제 2 주입공간부(827)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처리부(800)는 상기 절단 모듈(820)의 하측에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스크류 안착부(8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안착부(830)에 상기 스크류(200)가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 안착부(830)는 상기 제 2 주입공간부(827)와 연결되는 제 3 주입공간부(83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200)는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리브(22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안착부(830)의 하부면에는 상기 리브(220) 중 최상리브가 안착되는 최상리브 안착부(838)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200)는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211)은, 아래에서부터 위쪽으로 상기 스크류 안착부(830)의 하부 축삽입부(839) 및 상기 절단 모듈(820)의 중간 축삽입부(829)를 통과하여, 상기 호퍼(810)의 축공(81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상리브 안착부(838)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시 상기 최상리브 안착부(838)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 안착부(830) 및 상기 절단 모듈(820)이 회전하면서, 상기 전처리부(800)가 상기 스크류(200) 및 상기 드럼(300)에서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200) 하측에 메쉬망(270)이 위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스크류(200)와 상기 드럼(300) 사이에 망드럼이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스크류(200A)
상기 스크류(200A)가 장착되는 드럼(300); 상기 드럼(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호퍼(810A); 및 상기 호퍼(810A) 안으로 투입되는 착즙 대상물을 전처리 커팅하는 전처리부(800A)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800A)는, 상기 호퍼(810A)의 배출구(140)에 형성된 호퍼 커팅날(142); 상기 스크류(200A)의 상단면(280)에 형성된 스크류 커팅날(291,291)을 포함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상기 호퍼 커팅날(142)과 상기 스크류 커팅날(291,291)은 각각 톱니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퍼 커팅날(142)의 톱니 형상과 상기 스크류 커팅날(291,292)의 톱니 형상은 상호 정합 관계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크류(200A)의 상단면(280)은 스크류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동일 형상의 제1 및 제2 수평면(281,28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수평면(281,282) 각각의 둘레 모서리에는 그 절반 부분에 스크류 커팅날(291,29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엽채류 또는 부피가 큰 착즙대상물이 투입되어도 자동으로 전처리 커팅이 되어 길이가 긴 섬유질에 의하여 메쉬망이나 배출부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일반 커터와 다르게 가위형으로 착즙대상물을 커팅하기에 사용자가 힘으로 착즙대상물을 주입구에 밀어 넣지 않아도 되기에, 커팅 효율이 우수하고 안전하다.
종래의 주서기의 부품을 대부분 그대로 변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가 간편하고 비용 경제적이다.
최상리브 안착부에 의하여 회전이 필요한 부품만 자연스럽게 회전하며 전처리부의 부품들이 간편하게 결합된다. 주서기는 사용자의 분리 세척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결합 방식에 의하여 분리 세척이 간편하다.
또한, 전처리부 커팅을 수행하는 커팅날들을 톱니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사용자의 손이 그 커팅날들에 접촉될 경우 다칠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다치더라도 그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부를 아래에서부터 위를 향하여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호퍼의 저면도 및 스크류의 평면도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에 의해 착즙대상물이 전처리되는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서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동일한 원리가 주서기 이외의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믹서기, 녹즙기 등에도 본 발명의 범위가 미칠 것이다.
이하에서, "착즙대상물"은 주서기에 의하여 착즙되는 대상물이다. 예를 들어, 과일, 야채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으나, 그 종류에 제한이 없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 "분쇄"와 "착즙"을 구분하여 기술한다. "분쇄"는 리브 등에 의하여 수회 절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착즙"은 압착에 의하여 착즙대상물 내의 즙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분쇄물"은 착즙되기 전 수회 절단된 상태의 착즙대상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물론, "분쇄"시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음은 당연하기에, "분쇄물"이 전혀 착즙되지 않은 상태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한다.
이하에서, "착즙물"은 착즙대상물이 메쉬망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소정의 수준으로 분쇄 및 착즙되어 배출되는 일종의 액체이고 "펄프"는 메쉬망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분쇄 및 착즙되지 못하여 배출되는 일종의 고체를 의미한다. 물론, 액체와 고체로 완전히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결과적으로 메쉬망을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착즙물과 펄프의 구분이 가능하다. 즉, 메쉬망을 구성하는 공극의 크기를 달리 함으로써 착즙물과 펄프의 비율이 달라질 수도 있다.
"펄프"는 찌꺼기일 수도 있으나, 또는 음용시 식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착즙물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렌지를 착즙한 경우 오렌지주스가 착즙물이 되고 알갱이 등이 펄프가 될 수 있는데, 사용자에 따라 펄프(즉, 오렌지 알갱이 등)를 오렌지주스와 함께 음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펄프가 찌꺼기가 되어 별도로 배출되어 버려질 수 있으나, 함께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펄프(즉, 오랜지 알갱이 등)가 착즙물과 함께 배출되어 사용자가 음용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의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주서기의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의 전체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주서기는, 스크류(200), 드럼(300), 본체(400)와 전처리부(800)를 포함한다. 전처리부(800)는 덮개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투입되는 착즙대상물을 전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전처리부(800)에는 주입구(130)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주입구(130)를 통하여 착즙대상물을 드럼(300)의 내측 공간으로 투입할 수 있다.
스크류(200)는 본체(400)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 등의 동력 부재(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 드럼(300)과 함께 협동 작용하여 착즙대상물을 분쇄하고 착즙한다.
스크류(200)에는 회전축(211)이 구비되며, 회전축(211)의 하측이 본체(400)의 각형축(410)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드럼(300)의 회전축 삽입부를 통하여 연결된다.
스크류(200)의 상부와 드럼(30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주입구(130)로부터 착즙대상물이 투입되면 해당 공간에 이른다.
스크류(200)의 상부에는 리브(220)가 위치하여, 스크류(200)가 회전함에 따라 리브(220)가 드럼(300) 내벽면의 드럼 리브(321)와 상호 작용하여 착즙대상물을 절단 및 분쇄하여 착즙물과 펄프로 분리한다.
스크류(200)의 하부에는 메쉬망(270)이 위치한다. 스크류(200) 하방으로 분리된 착즙물과 펄프가 유동하는데, 그 중에서 착즙물은 메쉬망(270)을 통과하여 스크류(200)의 내측으로 유동하고, 펄프는 메쉬망(270)을 통과하지 못하여 스크류(200)의 외측에서만 유동한다.
드럼(300)은 본체(400)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내측 공간에는 스크류(20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드럼(300)의 바닥면에는 유입방지리브에 의하여 구분되는 방사상 외측의 제 1 가이드홈과 방사상 내측의 제 2 가이드홈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스크류(200) 내측으로 유동한 착즙물은 제 2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고, 스크류(200) 외측으로 유동한 펄프는 제 1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한다.
제 1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는 펄프는 드럼(300) 측면의 제 1 배출부(3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제 2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하는 착즙물은 드럼(300)의 다른 측면의 제 2 배출부(3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체(400)는 드럼(300)을 지지하며 외부 전원과 연결된다.
본체(400) 내측에는 동력 부재(미도시)가 실장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인가되면 각형축(410)를 통하여 스크류(2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본체(400)의 일측에는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되 드럼(300)의 외부 일측이 닿을 수 있는 드럼 지지체(430)가 위치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처리부(8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부(800)에는 상부 커터(811)와 하부 커터(821)가 구비되며, 상부 커터(811)와 하부 커터(821)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하여 가위와 같은 커팅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부 커터(811) 및 하부 커터(821)의 회전 속도가 다르거나, 또는 둘 중 하나만 회전하고 다른 하나는 고정되어 있는 방식으로, 가위형 전처리부의 구성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전처리부(800)는, 스크류(200)의 회전시에도 고정되어 위치하는 호퍼(810)와, 스크류(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호퍼(8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절단 모듈(820)과, 역시 스크류(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절단 모듈(820)에 연결되는 스크류 안착부(830)를 포함한다.
호퍼(810)에 상부 커터(811)가 구비된다. 상부 커터(811) 및 호퍼(810)는 스크류(200)의 회전시 고정되어 있다.
호퍼(810)의 중앙의 축공(819)에는 스크류(200)의 회전축(21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스크류(200)의 회전 동안에도 호퍼(810)의 정위치 고정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분리 세척이 용이하다.
호퍼(810)는 착즙대상물이 통과하는 제 1 주입공간부(817)를 포함한다. 전처리부(800)의 상측의 주입구(130)가 제 1 주입공간부(817)와 연통되어, 착즙대상물이 통과한다.
제 1 주입공간부(817) 상에는 상부 커터(811)의 칼날 부분이 돌출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터(811)의 칼날 부분은 방사상 내측을 향해서 스크류(200)의 회전 방향(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착즙 대상물의 가운데 부분이 외측 부분보다 상부 커터(811)에 의해 먼저 커팅되어 본체(400)에 구비된 동력 부재(미도시)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절단 모듈(820)에 하부 커터(821)가 구비된다. 스크류(200)의 회전시 하부 커터(821)와 절단 모듈(820)이 함께 회전한다.
절단 모듈(820)의 중앙에는 스크류(200)의 회전축(211)이 통과하는 중간 축삽입부(829)가 위치한다.
절단 모듈(820)은 착즙대상물이 통과하는 제 2 주입공간부(827)를 포함한다.
하부 커터(821)의 칼날 부분이 제 2 주입공간부(827) 상에 위치한다.
상부 커터(811)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 커터(821)가 스크류(200)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착즙대상물은 가위 작용과 같이 절단된다.
스크류 안착부(830)는 제 2 주입공간부(827)와 연결되는 제 3 주입공간부(837)를 포함한다.
스크류 안착부(830)의 하부면에는 스크류(200)가 안착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류 안착부(830)의 하부면에는 스크류(200)의 리브(220) 중 최상리브가 안착되는 최상리브 안착부(838)가 위치한다. 최상리브 안착부(838)의 양 측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200)의 리브(220)의 형상이 맞추어진 돌기부이다.
최상리브 안착부(838)에 의하여 스크류(200)가 회전하면 자연스럽게 스크류 안착부(830)가 회전하며, 이에 연결된 절단 모듈(82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하부 커터(822)까지 회전하는 구조이다.
최상리브 안착부(838)가 스크류(200) 상에 단순히 얹어지는 구성이기에, 전처리부(800)와 스크류(200)를 연결하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처리부(800)의 호퍼(810), 절단 모듈(820) 및 스크류 안착부(830)가 용이하게 분리되어 세척 가능하다.
스크류 안착부(830)의 중앙에는 스크류(200)의 회전축(211)이 통과하는 하부 축삽입부(839)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회전축(211)은, 아래에서부터 위쪽으로 스크류 안착부(830)의 하부 축삽입부(839) 및 절단 모듈(820)의 중간 축삽입부(829)를 통과하여, 호퍼(810)의 축공(81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서기를 이용한 착즙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주서기를 동작시켜 스크류(200)를 회전시키면서 주입구(130)에 착즙대상물을 투입한다.
착즙대상물이 드럼(300)을 향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되어 있는 호퍼(810)의 제 1 주입공간부(817)를 통과한다. 제 1 주입공간부(817) 바로 아래에는 절단 모듈(820)이 회전하고 있다. 이 때에 회전하는 하부 커터(821)와 고정된 상부 커터(811)의 가위 작용에 의하여 착즙대상물이 전처리 커팅된다. 커터가 1개뿐이라면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커팅이 잘 되지 않거나 사용자가 힘으로 밀어 넣어야 할 것이나, 본 발명의 가위 작용에 의하여 커팅 효과가 우수하다.
전처리 커팅된 착즙대상물은 제 2 주입공간부(827)와 제 3 주입공간부(837)를 통과하여 드럼(300)의 내측 공간에 이른다.
드럼(300) 내측에서는 스크류(200)의 리브(220)와 드럼(300)의 내벽면 및 드럼 리브(321)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착즙이 이루어지고, 착즙대상물이 펄프와 착즙물로 구분된다.
구분된 착즙물은 스크류(200)의 메쉬망(270)을 통과하여 스크류(200) 내측 공간으로 유동하고, 펄프는 메쉬망(270)을 통과하지 못하고 하강한다. 이 때에 펄프는 전처리부(800)에서 커팅된 펄프이기 때문에 엽체류가 투입된 경우라도 길이가 긴 섬유질 등은 없게 된다.
펄프는 제 1 배출부(3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착즙물은 제 2 배출부(36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의 전처리부는 어떠한 형식의 주서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200) 하측에 메쉬망(270)이 있는 형식의 주서기는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크류(200)와 드럼(300) 사이에 망드럼이 위치하는 형식의 주서기(한국공개번호 제2012-0029638호)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2. 주서기의 제2 실시예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는 호퍼(810A), 스크류(200A), 전처리부(800A), 드럼(300) 및 본체(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드럼(300) 및 본체(400)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주서기에 구비된 것들과 차이가 없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부(800A)는 호퍼(810A)에 구비된 호퍼 커팅날(142) 및 스크류(200A)에 구비된 스크류 커팅날(291,292)을 포함한다.
호퍼 커팅날(142)은 호퍼(810A)의 배출구(140)에 형성된다.
호퍼(810A)의 배출구(140)는 대략 타원형 모양의 둘레를 갖는데, 그 둘레의 양단부 중 어느 한 단부 측에 호퍼 커팅날(142)이 형성된다.
스크류 커팅날(291,292)은 스크류(200A)의 상단면(280)에 형성된다.
스크류(200A)의 상단면(280)은 전체적으로 수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지되, 스크류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동일 형상의 제1 및 제2 수평면(281,282)으로 구성된다. 스큐류 커팅날(291,292)은 제1 및 제2 수평면(281,282) 각각에 형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수평면(281,282)의 둘레 모서리의 절반 부분에 형성된다.
이처럼 스크류 커팅날(291,292)이 스크류(200A)의 상단면(280) 상의 두 곳에 형성됨으로써 스크류(200A)가 1회전하는 동안 두 번의 커팅 작업이 수행된다.
상술한 호퍼 커팅날(142)과 스크류 커팅날(291,292)은 각각 톱니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호퍼 커팅날(142)과 스크류 커팅날(291,292)은 형상적으로 서로 정합 가능한 관계에 있다. 즉, 호퍼 커팅날(142)과 스크류 커팅날(291,292)은 위치 면에서 약간의 높이 차가 있어서 커팅이 진행되는 동안에 실제로 서로 맞물려지지는 않지만 동일 평면 상에 놓여진 경우라면 상호 정합될 수 있는 톱니 형상을 갖는다.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서기를 이용한 착즙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주서기 가동을 통해 스크류(200A)를 회전시키면서 주입구(130)에 착즙 대상물을 투입하면, 호퍼(810A)의 배출구(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호퍼 커팅날(142)과 스크류 커팅날(291,292)의 가위 작용에 의해 착즙 대상물이 전처리 커팅된다.
이때, 호퍼 커팅날(142)과 스크류 커팅날(291,292)이 상호 작용하면서 그 사이에 위치한 착즙 대상물에 전단력을 가하기 때문에 착즙 대상물에 대한 전처리 커팅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호퍼 커팅날(142)과 스크류 커팅날(291,292)이 직선형의 일반 커팅날 형상이 아니라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사용자의 손이 호퍼 커팅날(142)이나 스크류 커팅날(291,292)에 접촉될 경우 다칠 가능성이 줄게 되고 다치더라도 그 정도가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30: 주입구
200: 스크류
220: 리브
270: 메쉬망
300: 드럼
321: 드럼 리브
340: 제 1 배출부
360: 제 2 배출부
400: 본체
410: 각형축
430: 드럼 지지체
800: 전처리부
810: 호퍼
811: 상부 커터
817: 제 1 주입공간부
819: 축공
820: 절단 모듈
821: 하부 커터
827: 제 2 주입공간부
829: 중간 축삽입부
830: 스크류 안착부
837: 제 3 주입공간부
838: 최상리브 안착부
839: 하부 축삽입부

Claims (17)

  1. 착즙 대상물을 전처리 커팅하는 전처리부(800);
    상기 전처리부(800) 하측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한 스크류(200); 및
    상기 스크류(200)가 장착되는 드럼(300)을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부(800)는,
    상부 커터(811)가 위치하는 호퍼(810); 및
    하부 커터(821)가 위치하고,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상기 호퍼(81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절단 모듈(8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터(811)의 칼날 부분은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 방향 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커터(821)의 칼날 부분은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 반대 방향 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200)를 따라 상기 절단 모듈(820)이 회전할 때, 상기 하부 커터(821)가 상기 상부 커터(811)의 하측에서 상대 이동하여 상기 착즙 대상물이 절단되는,
    주서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810)는 착즙대상물이 통과하는 제 1 주입공간부(817)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터(811)의 칼날 부분이 상기 제 1 주입공간부(817) 상에 위치하는,
    주서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800)의 상측에 주입구(130)가 위치하며,
    상기 주입구(130)가 상기 제 1 주입공간부(817)와 연결되는,
    주서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모듈(820)은 착즙대상물이 통과하는 제 2 주입공간부(827)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터(821)의 칼날 부분이 상기 제 2 주입공간부(827) 상에 위치하는,
    주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800)는 상기 절단 모듈(820)의 하측에 연결되도록 위치하는 스크류 안착부(8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안착부(830)에 상기 스크류(200)가 안착되는,
    주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안착부(830)는 상기 제 2 주입공간부(827)와 연결되는 제 3 주입공간부(837)를 포함하는,
    주서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200)는 착즙대상물을 착즙하는 리브(220)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안착부(830)의 하부면에는 상기 리브(220) 중 최상리브가 안착되는 최상리브 안착부(838)가 위치하는,
    주서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200)는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211)은, 아래에서부터 위쪽으로 상기 스크류 안착부(830)의 하부 축삽입부(839) 및 상기 절단 모듈(820)의 중간 축삽입부(829)를 통과하여, 상기 호퍼(810)의 축공(819)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서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리브 안착부(838)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200)의 회전시 상기 최상리브 안착부(838)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 안착부(830) 및 상기 절단 모듈(820)이 회전하며, 상기 전처리부(800)가 상기 스크류(200) 및 상기 드럼(300)에서 탈착 가능한,
    주서기.
  12.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200) 하측에 메쉬망(270)이 위치하는,
    주서기.
  13.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200)와 상기 드럼(300) 사이에 망드럼이 위치하는,
    주서기.
  14. 스크류(200A);
    상기 스크류(200A)가 장착되는 드럼(300);
    상기 스크류(200A) 및 드럼(3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호퍼(810A); 및
    상기 호퍼(810A) 안으로 투입되는 착즙 대상물을 전처리 커팅하는 전처리부(800A)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부(800A)는,
    상기 호퍼(810A)의 배출구(140)에 형성된 호퍼 커팅날(142);
    상기 스크류(200A)의 상단면(280)에 형성된 스크류 커팅날(291,292)을 포함하되,
    상기 호퍼 커팅날(142)은, 상기 스크류(200A)의 회전 반대 방향 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커팅날(291,292)은, 상기 스크류(200A)의 회전 방향 측에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200A)의 회전 시 상기 호퍼 커팅날(142)에 대한 상기 스크류 커팅날(291,292)의 상대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착즙 대상물이 절단되는,
    주서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커팅날(142)과 상기 스크류 커팅날(291,292)은 각각 톱니 형상을 갖는,
    주서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커팅날(142)의 톱니 형상과 상기 스크류 커팅날(291,292)의 톱니 형상은 상호 정합 관계에 있는,
    주서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200A)의 상단면(280)은 스크류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동일 형상의 제1 및 제2 수평면(281,28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면(281,282) 각각의 둘레 모서리에는 그 절반 부분에 스크류 커팅날(291,292)이 형성된,
    주서기.
KR1020170040819A 2016-11-22 2017-03-30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388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56088 2016-11-22
KR1020160156088 2016-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480A KR20180057480A (ko) 2018-05-30
KR102388822B1 true KR102388822B1 (ko) 2022-04-21

Family

ID=6230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819A KR102388822B1 (ko) 2016-11-22 2017-03-30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9559A4 (en) 2019-10-22 2022-12-07 Hurom Co., Ltd. JUICER
KR200494287Y1 (ko) * 2019-10-23 2021-09-09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KR200493484Y1 (ko) * 2019-11-22 2021-04-16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WO2023219333A1 (ko) * 2022-05-12 2023-11-16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080B1 (ko) * 2013-05-21 2014-10-27 김성문 착즙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2471B1 (fr) * 2011-11-14 2013-12-20 Seb Sa Appareil d'extraction de jus alimentaire
KR20150084492A (ko) * 2014-01-14 2015-07-22 코웨이 주식회사 교체가능한 절단모듈을 구비한 덮개를 포함한 주서기
KR102221753B1 (ko) * 2014-02-10 2021-03-02 코웨이 주식회사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080B1 (ko) * 2013-05-21 2014-10-27 김성문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480A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822B1 (ko)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KR101178850B1 (ko) 주서 모듈
US8869686B2 (en) Devices and methods to disintegrate foods
KR100966607B1 (ko) 주서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 모듈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US20140033934A1 (en) Pre-triturating device of food processing machine and juicer with pre-triturating device
WO2014048097A1 (zh) 榨汁机
KR102536304B1 (ko) 미세홀을 포함하는 주서기
TWM473791U (zh) 榨汁機與用於榨汁機的硏磨座
US9918578B2 (en) Citrus fruit pr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essing juice from a piece of citrus fruit
KR102452432B1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392592Y1 (ko) 주스제조기용 절단부재의 구조
KR20120029739A (ko) 과일분쇄장치
KR102515513B1 (ko) 펄프와 착즙물의 혼합을 방지하는 주서기
KR20150102414A (ko)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KR20210031144A (ko) 식품 조리기
KR20130142497A (ko) 다기능 커터기
CN107334356B (zh) 一种研磨头及榨汁机
KR102375072B1 (ko) 하단 착즙부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580558B1 (ko) 주서기의 착즙모듈
KR102466894B1 (ko) 양파 전용 생즙기
KR101334448B1 (ko) 다기능 커터기
KR100883369B1 (ko) 소채류 분쇄장치
KR102162080B1 (ko) 순환식 믹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