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290A -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290A
KR20150124290A KR1020140051000A KR20140051000A KR20150124290A KR 20150124290 A KR20150124290 A KR 20150124290A KR 1020140051000 A KR1020140051000 A KR 1020140051000A KR 20140051000 A KR20140051000 A KR 20140051000A KR 20150124290 A KR20150124290 A KR 20150124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lock
lock bar
steering colum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662B1 (ko
Inventor
유희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40051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662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6Steering behaviour; Rolling behavi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락킹 상태에서는 하부의 락킹 위치에 배치되고, 언락킹 상태에서는 상부의 언락킹 위치로 이동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락 바와, 상기 락 바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를 상기 락 바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락 바와 상기 중량체 사이에 구비된 선택적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스티어링 컬럼의 원위치로의 복원력에 대응되는 하중을 기준으로 설정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간단하게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Apparatus for testing the endurance of Apparatus for Electronic Steering Column Lock}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과 이를 락킹시키는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 사이에 발생되는 실질적인 환경을 부여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간편하게 상기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는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주행 방향이 조절되는 스티어링 핸들이 스티어링 컬럼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스티어링 컬럼은 스마트키 시스템과 연동되어 차량의 도난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락홈에 삽입 또는 탈거됨으로써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락 바가 구비된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Electroni Steering Column Lock, 이하 'ESCL' 장치라 함)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티어링 컬럼은 정해진 원래의 위치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운전자에 의한 작용 외력이 제거되면 최초 위치인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되는 소정의 복원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ESCL 장치는, 상기 스마트키 시스템과 연동 작동되는 상기 락 바가 상기 복수의 락홈 중 어느 하나에 정확한 위치에서 삽입되어 락킹시킬 수 있으나,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상술한 원래의 위치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회 회전함으로써 소정의 복원력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락 바가 상기 복수의 락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락킹될 때에는 상술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락 바의 락킹 상태에서 언락킹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락 바가 상기 락홈 사이에 소정의 저항력이 발생하는 재밍(Jamming)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술한 재밍 현상은, 상기 ESCL 장치에 포함된 구동 모터 및 상기 락 바와 상기 락홈 사이에 상술한 저항력에 대응되는 소정의 피로도를 가중시킴으로써 상기 ESCL 장치의 전체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ESCL 장치의 내구성은 제품의 출하 전에 미리 내구 시험을 통하여 품질을 확보하여야 하는 것이지만, 실질적으로 차량의 다양한 종류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복원력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여 내구 시험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바, 이에 따른 품질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티어링 컬럼과 ESCL 장치의 락 바 사이에 발생하는 재밍 현상이 정확하게 구현되도록 시험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한 정확한 내구 시험 데이터를 확보하여 정확한 내구 시험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내구 시험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락킹 상태에서는 하부의 락킹 위치에 배치되고, 언락킹 상태에서는 상부의 언락킹 위치로 이동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락 바와, 상기 락 바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를 상기 락 바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락 바와 상기 중량체 사이에 구비된 선택적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스티어링 컬럼의 원위치로의 복원력에 대응되는 하중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적 연결 수단은, 상기 중량체의 상부에 결합된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고정되는 실린더 로드와,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상하 소정 길이만큼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부가 상기 락 바에 고정되는 커넥팅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락 바에 락바 연결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락 바의 락킹 위치 및 언락킹 위치의 이동시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를 상기 중량체 및 상기 선택적 연결 수단의 직상방에 고정시키는 시료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팅 바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소정 길이만큼 상하로 길게 장공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로드의 상단부에는 상기 커넥팅 바의 장공 슬롯이 구비된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채로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장공 슬롯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커넥팅 바 연결핀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로드의 상사점 및 하사점 사이의 거리(D3)는 상기 락 바의 락킹 위치 및 언락킹 위치 사이의 거리(D4)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공 슬롯은, 상기 실린더 로드가 하사점에 고정될 때 상기 락 바의 언락킹 위치에서 하단이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에 걸림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압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의 상사점 및 하사점에 대한 고정 위치를 공압으로 조절하는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락 장치의 상기 락 바의 락킹 위치 및 언락킹 위치에 대한 이동을 제어하는 ESCL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다양한 하중을 가진 중량체를 이용하여 실제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의 복원력을 반영하여 재밍 현상을 정확하게 구현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내구 시험이 가능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재밍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일반적인 상황과 재밍 현상이 발생하는 특수한 상황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락 바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중량체가 이동되게 선택적 연결 수단을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조절하는 공압실린더가 구비됨으로써 보다 간소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술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구성 및 기능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하여 당연히 도출되는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시료거치대를 포함하는 시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를 이용한 내구성 측정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시료거치대를 포함하는 시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Electronic Steering Column Lock, 이하 'ESCL 장치(200)'라 한다)와, 상기 ESCL 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ESCL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ESCL 장치(200)가 내구 시험을 위하여 설치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실제 차량에 장착되기 전의 상기 ESCL 장치(200)가 실제 차량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조건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ESCL 장치(20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상의 요홈부(205)를 가진 케이스(201)와, 상기 케이스(201)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요홈부(205)를 향하여 노출되거나 상기 요홈부(205)로부터 상기 케이스(201) 내부로 은닉되는 락 바(210)와, 상기 락 바(210)를 직선 이동시키는 구동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 바(210)는, 상기 요홈부(205)가 감싸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락홈(미도시)에 삽입되거나 이탈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락킹(구속)시키거나 언락킹(해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ESCL 장치(200)는, 차량의 스마트키 시스템과 연동됨으로써 차량의 도난 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런데, 상기 스티어링 컬럼은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보통 회전이 되지 않은 정위치를 기준으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정위치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가진다. 이와 같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상기 정위치에서 상기 락 바(210)가 상기 락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된 경우에는 아무 문제가 없으나, 상기 정위치에서 소정회 회전되는 경우, 즉 상기 복원력을 가질 경우에는 상기 락 바(210)가 상기 락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때 상기 락 바(210)와 상기 락홈 사이의 물리적인 내구성 및 상기 구동부(215)의 주요 구성인 모터의 내구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는, 상술한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내구성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품으로 제작되어 차량에 장착되기 전에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장착되는 상기 ESCL 장치(200)를 공통적으로 시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락 바(210)는, 락킹 상태에서는 상기 락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을 회전방향으로 걸림시키고, 언락킹 상태에서는 상기 락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운전자가 주행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자유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락킹 및 언락킹을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100)는, 상기 락 바(210)가 락킹 상태에서는 하부의 락킹 위치에 배치되고, 언락킹 상태에서는 상부의 언락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는, 상기 락 바(210)와, 상기 락 바(2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중량체(120)와, 상기 중량체(120)를 상기 락 바(210)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락 바(210)와 상기 중량체(120) 사이에 구비된 선택적 연결 수단(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적 연결 수단(110)은, 상기 중량체(120)의 상부에 결합된 공압실린더(130)와, 상기 공압실린더(130)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고정되는 실린더 로드(140)와,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 로드(140)에 상하 소정 길이만큼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부가 상기 락 바(210)에 고정되는 커넥팅 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량체(120)는, 상기 선택적 연결 수단(110)을 매개로 상기 락 바(210)에 연결되어, 상기 락 바(210)가 상기 하부의 락킹 위치에서 상기 상부의 언락킹 위치까지 이동할 때 연동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바닥면과 이격됨으로써 상기 락 바(210)에 하중을 부가하는 무게추이다.
상기 중량체(120)의 하중은, 시험 대상인 ESCL 장치(200)의 사양에 따라 상이하게 채택될 수 있다. 즉, 상기 중량체(120)는,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원위치로의 복원력에 대응되는 하중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10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ESCL 장치(200)의 상기 락 바(210)의 락킹 위치 및 언락킹 위치에 대한 이동을 제어하는 ESCL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SCL 장치(200)와 상기 ESCL 제어부(300)는 ESCL용 하네스(31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커넥팅 바(150)는 상기 락 바(210)에 락바 연결핀(151)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락바 연결핀(151)은 상기 커넥팅 바(150)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락바 연결핀 체결공(도면부호 미표기)을 상기 락바 연결핀(151)이 상기 락 바(210) 중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상기 락홈에 삽입되는 부분을 관통하는 동작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팅 바(150)가 상기 락바 연결핀(151)에 의하여 상기 락 바(210)와 연결될 경우, 상기 락 바(210)의 락킹 위치 및 언락킹 위치의 이동시 상기 락 바(210)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바(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 로드(140)에 상하 소정 길이만큼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팅 바(150)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소정 길이만큼 상하로 길게 장공 슬롯(15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로드(140)의 상단부에는 상기 커넥팅 바(150)의 장공 슬롯(153)이 구비된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141)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바(150)의 하단부는, 상기 삽입홀(141)에 삽입된채로 상기 삽입홀(141) 및 상기 장공 슬롯(153)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커넥팅 바 연결핀(143)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14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 로드(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압실린더(130)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사점 및 상기 하사점에 상기 실린더 로드(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공압실린더(130)와 연결되어 공압으로 상기 실린더 로드(140)의 상사점 및 하사점에 대한 고정 위치를 조절하는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410) 및 상기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4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린더 로드(140)는 상기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410)의 조절에 의하여 공압발생기(420)로부터 상기 공압실린더(130) 내부로 공압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상사점 및 상기 하사점에서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로드(140)가 상기 공압실린더(130)의 상사점에 위치된 경우 상기 락 바(210)에 의하여 상기 커넥팅 바(150)가 상하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장공 슬롯(153)의 범위에서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143)이 상대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커넥팅 바(150)에 상기 중량체(120)의 하중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처럼, 상기 중량체(120)의 하중이 상기 커넥팅 바(150)에 인가되지 않는 경우는, 실제로 차량에 장착된 상기 ESCL 장치(200)의 상기 락 바(210)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정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락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정상적인 경우의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 로드(140)의 상사점 및 하사점 사이의 거리(도 3의 도면부호 D3 참조)는 상기 락 바(210)의 락킹 위치 및 언락킹 위치 사이의 거리(도 3의 도면부호 D4)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상기 실린더 로드(140)가 상기 공압실린더(130)의 하사점에 위치된 경우 상기 락 바(210)에 의하여 상기 커넥팅 바(150)가 상하로 이동될 때,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143)이 상기 장공 슬롯(153)의 범주를 벗어나도록 상대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143)이 상기 장공 슬롯(153)의 하단에 걸림되어, 상기 중량체(120)의 하중이 상기 커넥팅 바(150)에 인가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중량체(120)의 하중이 상기 커넥팅 바(150)에 인가되는 경우는, 실제로 차량에 장착된 상기 ESCL 장치(200)의 상기 락 바(210)가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소정의 복원력을 가진 상태, 즉 상기 정위치에서 적어도 소정회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락 바(210)가 상기 락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경우의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장공 슬롯(153)은, 상기 실린더 로드(140)가 상기 하사점에 고정될 때 상기 락 바(210)의 언락킹 위치에서 하단이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143)에 걸림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중량체(120), 상기 공압실린더(130), 상기 실린더 로드(140), 상기 커넥팅 바(150) 및 상기 락 바(210)를 포함하는 상기 ESCL 장치(200)는, 시료 거치대(16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시료 거치대(160)는, 하측에 상기 중량체(120)가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161)가 형성될 수 있고, 상측에 상기 ESCL 장치(200)를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ESCL 고정부(16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ESCL 고정부(163)는, 상기 락 바(210)가 상기 커넥팅 바(150)와 연결된 채로 하부의 상기 실린더 로드(140)에 결합되도록 관통부(165)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료 거치대(160)에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161)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161) 없이 상기 중량체(120)가 바닥면에 직접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에 따른 내구성 시험 과정을 첨부된 도면(특히, 도 43)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를 이용한 내구성 측정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먼저, 도 4(a) 및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정위치에서 상기 락 바(210)가 상기 락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정상적인 경우를 상정하여 상기 ESCL 장치(200)의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 로드(140)는 상기 공압실린더(130)에 의하여 상기 상사점(이때, 상기 공압 실린더와 상기 상사점 사이의 이격 거리를 "D1"이라 한다)에 고정되는 바, 상기 커넥팅 바(150)는 상기 장공 슬롯(153)의 범위에서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143)이 걸림되지 않도록 상기 실린더 로드(14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게 된다.
즉, 도 4(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언락킹 위치에서 상기 락킹 위치로 상기 ESCL의 상기 락 바(210)가 이동되면, 상기 커넥팅 바(150)는 상기 장공 슬롯(153)의 범주에서 상기 실린더 로드(14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동안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143)에 전혀 걸림되지 않고,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 위치에서 상기 언락킹 위치로 상기 ESCL의 상기 락 바(210)가 이동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143)에 전혀 걸림되지 아니한다.
다음으로, 도 4(c) 및 도 4(d)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컬럼이 정위치에서 벗어난 소정의 복원력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락 바(210)가 상기 락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비정상적인 경우를 상정하여 상기 ESCL 장치(200)의 내구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 로드(140)는 상기 공압실린더(130)에 의하여 상기 하사점(이때, 상기 공압실린더(130)와 상기 하사점 사이의 이격 거리를 "D2"라 한다)에 고정되는 바, 상기 락 바(210)가 언락킹 위치에서 락킹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커넥팅 바(150)는 상기 장공 슬롯(153)의 범위에서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143)에 걸림없이 상기 실린더 로드(14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다가, 상기 락 바(210)가 락킹 위치에서 언락킹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커넥팅 바(150)는 상기 장공 슬롯(153)의 하단에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143)이 걸림됨으로써 상기 중량체(120)를 상기 시료 거치대(160)의 안착 플레이트(161)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들어올려 상기 중량체(120)의 하중이 상기 커넥팅 바(150)에 인가된다. 이는, 상기 커넥팅 바(150)의 상대 이동거리는 상기 락 바(210)의 락킹 위치 및 언락킹 위치 사이의 거리(D4)에 해당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140)의 상사점 및 하사점 사이의 거리(D1-D2=D3)는 상기 D4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장공 슬롯(153)은, 상기 실린더 로드(140)가 상기 하사점에 고정될 때 상기 락 바(210)의 언락킹 위치에서 하단이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143)에 걸림되는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부 및 상기 ESCL 제어부(3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횟수만큼 자동으로 상기 정상적인 경우 및 비정상적인 경우로 나누어 상기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410) 및 상기 ESCL 장치(20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횟수만큼 시험을 한 경우, 상기 ESCL 작동 및 상기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410)를 작동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본 발명에 바람직한 일실시예(100)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에 의한 내구성 측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내구 시험 장치 110: 선택적 연결 수단
120: 중량체 130: 공압실린더
140: 실린더 로드 150: 커넥팅 바
160: 시료 거치대 200: ESCL 장치
300: ESCL 제어부 400: 솔레노이드 제어부
410: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420: 공압 발생기

Claims (10)

  1. 락킹 상태에서는 하부의 락킹 위치에 배치되고, 언락킹 상태에서는 상부의 언락킹 위치로 이동하는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락 바와;
    상기 락 바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를 상기 락 바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락 바와 상기 중량체 사이에 구비된 선택적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중량체는,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스티어링 컬럼의 원위치로의 복원력에 대응되는 하중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연결 수단은,
    상기 중량체의 상부에 결합된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고정되는 실린더 로드와;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상하 소정 길이만큼 상대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부가 상기 락 바에 고정되는 커넥팅 바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락 바에 락바 연결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락 바의 락킹 위치 및 언락킹 위치의 이동시 연동하여 이동되는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를 상기 중량체 및 상기 선택적 연결 수단의 직상방에 고정시키는 시료 거치대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바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소정 길이만큼 상하로 길게 장공 슬롯이 형성된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로드의 상단부에는 상기 커넥팅 바의 장공 슬롯이 구비된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 바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채로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장공 슬롯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커넥팅 바 연결핀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에 고정된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로드의 상사점 및 하사점 사이의 거리(D3)는 상기 락 바의 락킹 위치 및 언락킹 위치 사이의 거리(D4)보다 작은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공 슬롯은, 상기 실린더 로드가 하사점에 고정될 때 상기 락 바의 언락킹 위치에서 하단이 상기 커넥팅 바 연결핀에 걸림되는 길이로 형성된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압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 로드의 상사점 및 하사점에 대한 고정 위치를 공압으로 조절하는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락 장치의 상기 락 바의 락킹 위치 및 언락킹 위치에 대한 이동을 제어하는 ESCL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KR1020140051000A 2014-04-28 2014-04-28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KR101608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00A KR101608662B1 (ko) 2014-04-28 2014-04-28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000A KR101608662B1 (ko) 2014-04-28 2014-04-28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290A true KR20150124290A (ko) 2015-11-05
KR101608662B1 KR101608662B1 (ko) 2016-04-04

Family

ID=5460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000A KR101608662B1 (ko) 2014-04-28 2014-04-28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6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0496A (zh) * 2019-07-02 2019-11-19 湖南华谊汽车电子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中控锁耐久性测试装置
CN110940535A (zh) * 2019-11-27 2020-03-31 合肥百川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防盗疲劳试验设备
CN113484041A (zh) * 2021-07-13 2021-10-08 豫北凯斯特隆(新乡)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外拉杆双工位耐久试验装置
CN113984412A (zh) * 2021-11-22 2022-01-28 荆州恒隆汽车技术(检测)中心 一种转向管柱调节机构的耐久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20230120891A (ko) * 2022-02-10 2023-08-17 (주)엠아이티코리아 차량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578B1 (ko) 2001-11-30 2004-11-10 박희재 동력조향장치용 입력축 검사기 및 그 검사방법
JP4358060B2 (ja) 2004-07-30 2009-11-0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の検査装置
KR101057981B1 (ko) 2009-03-30 2011-08-19 한국기계연구원 동력구동밸브 구동기 추력 부하시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0496A (zh) * 2019-07-02 2019-11-19 湖南华谊汽车电子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中控锁耐久性测试装置
CN110940535A (zh) * 2019-11-27 2020-03-31 合肥百川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防盗疲劳试验设备
CN113484041A (zh) * 2021-07-13 2021-10-08 豫北凯斯特隆(新乡)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外拉杆双工位耐久试验装置
CN113984412A (zh) * 2021-11-22 2022-01-28 荆州恒隆汽车技术(检测)中心 一种转向管柱调节机构的耐久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3984412B (zh) * 2021-11-22 2023-07-04 荆州恒隆汽车技术(检测)中心 一种转向管柱调节机构的耐久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20230120891A (ko) * 2022-02-10 2023-08-17 (주)엠아이티코리아 차량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662B1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662B1 (ko) 차량의 전동식 스티어링 컬럼 락 장치의 내구 시험 장치
US8091392B2 (en) High security lock
KR101457532B1 (ko) 디지털 도어락의 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KR102273248B1 (ko) 조향 장치용 레버 장치의 검사 장치
US10724271B2 (en) Independent RX spring cartridge for a mortise lock
WO2018077529A1 (de) Anordn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schliesszylinders
CN110057599B (zh) 一键启动式车辆防盗试验的测试系统及其测试方法
CN106767255B (zh) 一种汽车底盘综合检具装置及其作业方法
KR20070120097A (ko) 다중 홈 키로 작동 가능한 회전식 실린더 록
KR101457530B1 (ko) 디지털 도어락의 후면부 내구성 시험장치
CN101918662B (zh) 制造机动车门锁的方法
CN105319061A (zh) 卡扣耐久性测试装置
CN109030032A (zh) 电子转向柱锁测试方法及系统
EP2518202A2 (en) Drum test method
KR102016541B1 (ko) 도어락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생산시스템
KR20200072027A (ko) 카고 스크린의 인출력 검증장치
KR200482994Y1 (ko) 중장비 차량용 도어 개폐장치
EP2971415B1 (en) High security lock
CN203050249U (zh) 一种智能报警安全锁芯的开锁及反锁检测机构
CN116631131B (zh) 一种户外充电桩报警防盗系统
WO199401921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pedal lock anti-theft devices for cars
KR0131828Y1 (ko) 자동차 도어록실린더 내구시험장치의 스토퍼
CN102050079B (zh) 汽车脚踏锁
KR101230861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CN110259289A (zh) 防盗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