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983A -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983A
KR20150122983A KR1020140049216A KR20140049216A KR20150122983A KR 20150122983 A KR20150122983 A KR 20150122983A KR 1020140049216 A KR1020140049216 A KR 1020140049216A KR 20140049216 A KR20140049216 A KR 20140049216A KR 20150122983 A KR20150122983 A KR 2015012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peppermint
formulation example
m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700B1 (ko
Inventor
유지현
김미진
김혜림
채병근
강병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049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700B1/ko
Priority to CN201580021097.7A priority patent/CN106232101B/zh
Priority to PCT/KR2015/002965 priority patent/WO2015163589A1/ko
Priority to JP2016563931A priority patent/JP2017513876A/ja
Priority to SG11201608845PA priority patent/SG11201608845PA/en
Publication of KR2015012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983A/ko
Priority to JP2020034079A priority patent/JP6894991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M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NT VINEGAR}
본 발명은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공은 털이 자라나는 입구로, 땀구멍과는 다르며, 지름은 0.02~0.05㎜ 정도이고, 얼굴에만 약 2만여 개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모공을 통해 피지가 피부 표면으로 흘러나온다. 사춘기가 되면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면서 피지선이 커져 피지가 많이 분비되기 때문에 피지 분비 통로인 모공이 커지게 된다. 또 임신 중이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그리고 날씨가 따뜻할 때에도 피지 분비가 활발해져 모공이 커진다.
20대 후반이 되면 피부 노화가 시작되면서 모공벽을 지지하고 있던 콜라겐, 엘라스틴 등이 분해되거나 변질되므로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고 건조하여 피부가 늘어지면서 모공이 쳐지거나 늘어난다. 모공이 커지면 노폐물과 세균이 잘 침투하게 되어 여드름 등 여러 피부병을 일으킬 수 있다.
화장품 원료들은 대부분 효능이 미진하거나 피부 자극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피부 재생 증진 효과를 갖는 원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기술이 발전되면서 식물이나 기타 천연 원료로부터 유래되는 물질을 발효 기술을 통해서 얻어낸 2차 대사산물을 생리 활성 물질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 성분들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고기능성 화장품의 신원료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천연에 존재하는 물질이지만 그 양이 매우 적거나 피부에 적용하기는 어려웠던 고기능성 활성물질을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금까지 사용하지 못했던 신성분들을 개발하고 응용할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고객들의 요구가 증대하는 것만큼 신기능성 소재나 관련 기술의 발전이 충분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무수히 많은 신 기능성 성분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 발효 기술을 이용한 화장품은 다양한 피부 효능, 특히 항노화 효능 부분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될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0047692호 (2011.05.09)
피부 활성화와 피부 건강에 도움을 주는 박하의 효능을 극대화하여, 노폐물을 제거해줄 뿐만 아니라 모공의 관리도 가능하게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박하의 효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박하를 초산 발효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피부의 모공과 피지 청정 효과를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물 조성물은 박하를 유효한 유기산 중 하나인 초산균을 사용하여 발효한 박하초를 함유하여 피부의 혈액정화, 항균, 노화방지,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주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노폐물을 제거해줄 뿐만 아니라 모공의 관리도 가능하게 한다. 수렴작용이 뛰어나 모공이 크거나 탄력이 떨어진 피부에 좋고 가려움과 염증, 여드름에도 효과적인 성분인 박하를 초산 발효하여 모공이 넓어지는 것을 예방해주며, 늘어난 모공의 탄력을 살려주는 수축 효과가 있으며 소독 및 진정효과가 있다.
도 1은 시험예 1에 따른 피시험자의 제형예 1의 도포에 따른 모공 크기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좌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제형예 1 도포 전 사진이고, 우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제형예 1 도포 후 사진이다.
도 2는 시험예 1에 따른 피시험자의 비교 제형예 1의 도포에 따른 모공 크기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좌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비교 제형예 1 도포 전 사진이고, 우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제형예 1 도포 후 사진이다.
도 3은 시험예 1에 따른 피시험자의 비교 제형예 2의 도포에 따른 모공 크기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좌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비교 제형예 2 도포 전 사진이고, 우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제형예 2 도포 후 사진이다.
도 4은 시험예 1에 따른 피시험자의 제형예 1의 도포에 따른 피지 개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좌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제형예 1 도포 전 사진이고, 우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제형예 1 도포 후 사진이다.
도 5는 시험예 1에 따른 피시험자의 비교 제형예 1의 도포에 따른 피지 개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좌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비교 제형예 1 도포 전 사진이고, 우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비교 제형예 1 도포 후 사진이다.
도 6은 시험예 1에 따른 피시험자의 비교 제형예 2의 도포에 따른 피지 개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좌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비교 제형예 2 도포 전 사진이고, 우측 사진은 피시험자의 비교 제형예 2 도포 후 사진이다.
박하 (Mentha piperita)는 꿀 풀과의 다년생 초본으로써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랫동안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어온 천연 식물로서, 다양한 약리작용 못지않게 피부 건강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효과들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박하의 주요 성분들 중 정유의 함량은 2% 내지 3%, 꽃 잎에서 4% 내지 6%, 줄기에서 0.3%로 높은 정유 함량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박하 정유의 주요 성분으로 70% 내지90%는 멘톨로써, I-멘톨, 이소멘톤, 피넨, 캄펜, 리모넨 등의 생리 성분들이 다양한 피부 활성화와 피부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 밖에도 비타민C, 카로틴, 피톨, 베타인 등이 피부의 피로감을 해소화고 건강하고 밝은 피부를 유지하게 도와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박하초는 박하를 초산 발효한 것이다. 초산 발효는 초산균의 작용으로 알코올이 산화되어 초산을 생성하는 호기적 발효로, 초산균 (Acetobacter aceti)은 에탄올을 산화하여 초산 (Aceti acid)을 생성한다. 초산 발효는 대수기는 약 12 시간 내지48시간일 수 있으며, 산 생성량은 12~24시간에 급격히 증가한다. 초산 발효의 배양 온도는 30°C, 에탄올 4% 첨가 된 배지, pH 6.5 내지 7인 경우, 초산 생성능과 당분해능이 가장 안정적이다.
식초는 초산, 구연산, 아미노산, 호박산 등 60여 종 이상의 유기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비타민과 무기질 등 각종 영양소의 체내 흡수를 도와주는 촉진제 역할을 한다. 특히 우리의 살과 피를 깨끗이 하는 혈액 정화제 역할을 하며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자연 치유력을 최고도로 높여주는 효과가 있고 기미 및 주근깨를 억제하고 피부 노화의 주범인 과산화지질을 억제시키며 세포의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도와준다. 이뿐 아니라, 피부와 근육의 젖산을 분해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작용한다.
초산은 다른 유기산들에 비해 혈액정화, 항균, 노화방지, 신진대사촉진 능력이 뛰어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박하초는 액체의 표면에서 미생물을 번식시키는 배양법으로 제조된 것이다.
상기 배양법으로 제조된 박하초는 미생물의 막이 항상 공기와 접촉되어 있어 액체 표면에서 용해된 용존 산소를 잘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기존 박하가 가지고 있는 성분으로 인한 효능뿐 만 아니라 초산발효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 또한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박하는 박하의 잎 및 줄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박하 잎과 줄기는 살균, 구충 효과가 뛰어나고 구취를 방지하여 치약에 쓰인다. 잎을 갈아 습포제로 쓰면 피부의 염증, 타박상 치료에 효과가 있고 피부염, 가려움증에도 좋다. 크고 작은 상처로 인해 자극받은 피부를 진정시키는 한편 가려움 및 이상반응을 줄여주고 피부에 활력과 스트레스 해소를 부여하면서 가벼운 수렴작용 및 탄력 유지에 도움을 준다. 박하의 잎에는 2% 내지 3%의 정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박하의 줄기에는 1% 이내의 정유를 함유하고 있다. 정유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는 멘톨산은 박하 특유의 냄새와 약효를 내는 성분이다. 박하 고유의 향은 멘톨과 멘톤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멘톨의 경우 수렴하는 성질이 있어 늘어진 피부를 당겨주고 모공을 수축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피부에 좋은 효능을 부여한다. 또한 피부의 점막과 혈관을 수축시켜 국소부위에 청량감을 준다. 독특한 상쾌감이 있는 냄새가 나는 멘톨은 무색의 침상결정으로,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에탄올, 클로로포름에는 잘 녹는다. 박하의 잎이나 줄기를 통해 얻으며 많은 양을 입에 넣으면 혀를 찌르는 듯한 느낌이 있지만, 소량일 때에는 청량감이 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알파히드록시산 (AHA: α-Hydroxy Acid)을 함유한다. 알파히드록시산은 카르복시산 (Carboxylic acid)의 α 위치에 있는 탄소에 알코올기 (Alcohol group) 또는 히드록시기 (Hydroxy group)를 첨가한 화합물로 각질 세포의 이온결합 에너지를 낮추어 과각질을 제거하거나 새로운 세포의 형성을 촉진하여 피부가 노화되면서 길어지는 각질화 과정의 주기를 짧게 하여 피부세포의 활성을 촉진시켜 피부를 개선하여 준다. 또한, 섬유아세포 (Fibroblast)에 의한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를 탄력 있고, 부드럽게 하고 진피의 중요한 세포 외 기질 성분인 뮤코폴리사카라이드 (Mucopolysaccharide)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보습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박하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상기 박하초가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하고자 하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서는 박하초에 함유된 멘톨 성분에 의해 일시적인 자극감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모공 축소용이다. 박하가 초산 발효된 박하초는 수렴작용이 뛰어난 박하의 효능이 극대화되어 모공이 넓어지는 것을 예방해주며 늘어난 모공의 탄력을 살려주는 수축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피지 조절용이다. 박하가 초산 발효된 박하초는 피부의 혈액정화, 항균, 노화방지,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주는 효과가 있는 동시에 노폐물을 제거해줄 뿐만 아니라, 모공의 관리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타입 화장료의 제형화 될 수 있다.
이하, 시험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제형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초산균 (Merk사, 균주명: Acetobacter aceti KCTC 1010) 2~3g를 배지 (Mannitol Agar/YPM/Medium)에 미리 준비한 박하 재료 100 g (박하 잎 75~80중량%, 줄기 20~25중량%)을 첨가하고 접종한 후, 48시간 동안, 약 26℃ 온도에서 발효를 시킨 다음, 얻어진 발효물에 추출 용액 (정제수 20mL와 에탄올 50mL의 혼합액)을 첨가하여 상온 (25℃)에서 1시간동안 추출하였다. 1차 여과 (울트라 필터레이션 (pore size=50㎛))로 에탄올 및 재료를 제거한 후, 순수한 발효 상등액만을 취하였다. 상등액을 다시 원심분리 (초고속 원심분리기, 400rpm)와 2차 여과 (울트라 필터레이션 (pore size=10㎛))를 진행한 후 얻어진 여액에, 멸균 용액 100 mL (용액 전체의 부피를 기준으로 정제수 70%~94%, 부틸렌글라이콜 5%~10%, 디소듐이디티에이 0.01%~0.05% 및 방부제 (페녹시에탄올) 0.4%~1.0%)을 혼합하고 120℃에서 10~15분 가량 멸균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박하초 100mL를 제조하였다.
한편, 박하초의 효능과 대비하기 위하여, 박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 추출물은 박하 재료 100 g (박하 잎 75~80중량%, 줄기 20~25 중량%)에 추출 용액 100 mL (용액 전체의 부피를 기준으로 정제수 70%~95%, 부틸렌글라이콜 5%~30%)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추출하여, 박하 추출물 100mL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제형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의 제형예 1과 비교하기 위하여,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비교 제형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성분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2
수상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부틸렌글라이콜 3.0 3.0 3.0
베타인 1.5 1.5 1.5
카보머 0.2 0.2 0.2
베타글루칸 5.0 5.0 5.0
가용화상 에탄올 6.0 6.0 6.0
가용화제 0.3 0.3 0.3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추출물상 박하초 1.0 - -
박하 추출물 - 1.0 -
상온에서 투명하게 용해된 수상에 가용화상을 넣어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박하초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용해하여 제형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 제형예1은 상온에서 투명하게 용해된 수상에 가용화상을 넣어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박하초를 투입하지 않고 박하 추출물을 투입하여 제조하였다. 비교 제형예 2 는 상온에서 투명하게 용해된 수상에 가용화상을 넣어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박하초와 박하 추출물을 각각 투입하지 않고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효능 평가
상기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2의 피부 탄력회복 효과, 모공 축소 효과 및 피지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대 내지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각 군에 제형예 1 및 비교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2의 제형을 주고 안면 전체에 고르게 도포하게 한 후, 모공 축소 효과 및 피지 조절 효능평가하였다.
본 시험은 시험 목적에 적합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항온 항습 조건에서 해당 시험 제품을 1회 사용하도록 하였다. 모공 고민이 있는 여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시료를 사용하고, 시료의 사용 직후 모공관리 효능을 평가하였다.
세안 후 시료의 적당량 (2 mg/cm2)을 취하여 얼굴 전체에 손으로 부드럽게 문지르며 골고루 발라주도록 하였다. 시험 기간 중 피험자는 1회 시료 사용 전과 사용 직후에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피험자는 측정 시점에 방문하여 세안 직후 항온 항습 조건 (22±2℃, 40±5 RH %)에서 15분 이상 안정을 취한 후, 하기 표 2와 같이 측정 시점 별로 시료 사용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시험예의 시료의 피부 적용시의 모공 크기, 피지 크기 및 개수의 측정은 ㈜아모레퍼시픽에서 개발한 측정장비 Skin Touch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Skin Touch는 일체형 센서에 의해 피부의 유분, 수분, 탄력도 측정을 진행하며, 측정된 결과는 외부의 LCD 표시창으로 표현된다. 시료 사용 전, 시료 사용 1주, 2주 경과 후 등을 Skin Touch를 이용하여 시험부위를 측정함으로써 시료의 피부 적용시의 모공 크기, 피지 크기 및 개수를 평가하였다.
측정 시점 평가 항목 및 순서
시료 사용 전 세안 후 대기 (15분 이상)
피부 모공/피지 측정
시료 사용
시료 사용 직후 시료 사용 후 대기 (5분)
피부 모공/피지 측정
그 결과, 안면 모공부위의 경우 박하초를 함유한 시료 사용 전에 비하여 사용 직후, 피지의 개수, 피지의 크기 (단위: A.U.), 모공의 크기 (단위: A.U.)가 하기 표 3과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다.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2
피지 개수 평균 도포 전 21 25 23
도포 후 7 12 22
피지 크기 평균
(단위: A.U.)
도포 전 156 104 123
도포 후 79 131 135
모공 크기 평균
(단위: A.U.)
도포 전 121 121 116
도포 후 101 138 142
상기 표 3과 도 1 내지 6의 결과에서, 모공 축소 및 피지 조절 효과를 주는 제형예 1의 모공 수축, 피지 개수 감소 및 모공 개수 개선 효과가 비교 제형예 1, 비교 제형예 2에 대비하여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하초는 박하 추출물을 초산 발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산 발효는 초산균 (Acetobacter aceti)을 사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하 추출물은 박하의 잎 및 줄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알파히드록시산을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하초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모공 축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피지 조절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20140049216A 2014-04-24 2014-04-24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9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16A KR102249700B1 (ko) 2014-04-24 2014-04-24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1580021097.7A CN106232101B (zh) 2014-04-24 2015-03-26 作为有效成分含有薄荷醋的化妆品组合物
PCT/KR2015/002965 WO2015163589A1 (ko) 2014-04-24 2015-03-26 박하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6563931A JP2017513876A (ja) 2014-04-24 2015-03-26 有効成分としてミントビネガー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SG11201608845PA SG11201608845PA (en) 2014-04-24 2015-03-26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entha haplocalyx as active ingredient
JP2020034079A JP6894991B2 (ja) 2014-04-24 2020-02-28 有効成分としてミントビネガー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16A KR102249700B1 (ko) 2014-04-24 2014-04-24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983A true KR20150122983A (ko) 2015-11-03
KR102249700B1 KR102249700B1 (ko) 2021-05-10

Family

ID=5433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216A KR102249700B1 (ko) 2014-04-24 2014-04-24 박하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2017513876A (ko)
KR (1) KR102249700B1 (ko)
CN (1) CN106232101B (ko)
SG (1) SG11201608845PA (ko)
WO (1) WO201516358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590A1 (ko) * 2017-06-30 2019-01-03 (주)아모레퍼시픽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및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20190003165A (ko) *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190003145A (ko) *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20190003177A (ko) *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2119A1 (fr) * 2002-02-28 2003-09-04 Nihon Kefir Co., Ltd. Compositions a usage externe pour la peau
KR20100088880A (ko) * 2009-02-02 2010-08-1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발효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47692A (ko) 2009-10-30 2011-05-09 (주)아모레퍼시픽 위릉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110131820A (ko)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파비엘 박하 발효 추출물에 포함된 인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KR20130102712A (ko) * 2012-03-08 2013-09-23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7716A (ja) * 1987-05-18 1988-11-24 Hideko Nezu 入浴剤
IT1206794B (it) * 1987-06-30 1989-05-03 Iris Di Salvioli Michele E C S Fitopreparato per la cura di affezioni cutanee.
JP2001233726A (ja) * 2000-02-25 2001-08-28 Kanebo Ltd 化粧料および天然色素の退色防止方法
CN101756855A (zh) * 2008-10-27 2010-06-30 吉祥 一种大蒜爽肤水
KR101163069B1 (ko) * 2010-07-23 2012-07-04 함일한 주름 및 잡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2850B1 (ko) * 2011-08-09 2013-10-28 이상록 박하잎 추출물, 밀싹 추출물 및 길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N102370722B (zh) * 2011-10-02 2012-08-29 莫寿科 促进经络畅通美容美体的外敷药及其制备方法
WO2013102234A1 (en) * 2012-01-06 2013-07-11 Ubs Ultimate Relief Pty Ltd Formulation and method for treatment of pain and/or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a skin condition
KR20140115797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이숨 모발 피지 제거 효과를 갖는 한방 추출물 및 발효 부산물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2119A1 (fr) * 2002-02-28 2003-09-04 Nihon Kefir Co., Ltd. Compositions a usage externe pour la peau
KR20100088880A (ko) * 2009-02-02 2010-08-1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발효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47692A (ko) 2009-10-30 2011-05-09 (주)아모레퍼시픽 위릉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110131820A (ko) * 2010-05-31 2011-12-07 주식회사 파비엘 박하 발효 추출물에 포함된 인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KR20130102712A (ko) * 2012-03-08 2013-09-23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590A1 (ko) * 2017-06-30 2019-01-03 (주)아모레퍼시픽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피부장벽 강화용, 및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20190003165A (ko) *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190003145A (ko) *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또는 항염 조성물
KR20190003177A (ko) * 2017-06-30 2019-01-09 (주)아모레퍼시픽 박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00663A (ja) 2020-07-02
SG11201608845PA (en) 2016-11-29
WO2015163589A1 (ko) 2015-10-29
CN106232101B (zh) 2020-02-28
JP2017513876A (ja) 2017-06-01
KR102249700B1 (ko) 2021-05-10
JP6894991B2 (ja) 2021-06-30
CN106232101A (zh)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736B1 (ko)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샴푸 및 그 제조방법
JP6894991B2 (ja) 有効成分としてミントビネガー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CN103156801B (zh) 一种百白水嫩养颜爽肤水及其制备方法
CN106137916A (zh) 一种祛痘控油美白的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CN108553389A (zh) 一种植物保湿晒后修复霜及其制备方法
CN105902461A (zh) 一种含蜗牛粘液提取物的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06176556A (zh) 一种祛痘控油美白面霜
KR102326796B1 (ko)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332162B (zh) 一种鱼精蛋白-pdrn复合物、组合物及在制备护肤产品中的应用
CN103211730A (zh) 一种由天然中草药制成的美容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09431912A (zh) 皮肤油脂平衡组合物及其应用
KR102071627B1 (ko) 피부 각질제거용 필링 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822945A (zh) 一种赛天然酵母组合物、制备方法及在化妆品中应用
KR102292975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3712B1 (ko)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980B1 (ko) 피부 피지 조절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0534B1 (ko) 수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743826A (zh) 一种祛斑抗皱保湿乳液
CN103494737A (zh) 一种以姜花作为抗衰老护肤因子的化妆品制剂及制备方法
KR20100087522A (ko) 알로에 베라 추출물 및 마쉬맬로우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피부 보습용 또는 진정용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20080030773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0870A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2661A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354891B (zh) 一种舒缓乳霜及其制备方法
CN110613663A (zh) 一种皮肤修护组合物、护肤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