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486A -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486A
KR20150122486A KR1020140048816A KR20140048816A KR20150122486A KR 20150122486 A KR20150122486 A KR 20150122486A KR 1020140048816 A KR1020140048816 A KR 1020140048816A KR 20140048816 A KR20140048816 A KR 20140048816A KR 20150122486 A KR20150122486 A KR 20150122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inge hole
bar
frame
auxiliar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961B1 (ko
Inventor
이범호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9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96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은, 대상물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주몸체와 보조몸체가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 일측면 및 보조몸체의 일측면은 탄성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주몸체 또는 보조몸체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어느 하나에 대하여 텔레스코핑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CLAMP UNIT AND TRUSS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간격 조절 가능한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지지기둥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 공사 시에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서 사전에 거푸집 테두리를 설치해야 하는데, 거푸집 테두리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는 골조에 비계를 설치하고, 그 위에 올라가 나사, 못 등을 이용하여 목재로 된 거푸집 테두리를 연결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테두리 판넬을 설치하게 된다.
근래에는 거푸집 테두리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정형화된 거푸집 테두리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거푸집 테두리는 크기가 다른 다종의 규격화된 판넬을 마련하고, 그 판넬의 일측면 테두리에 프로파일(profile : 콘크리트 거푸집 테두리 지지용 형재)과 알루미늄 형강을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정형화된 거푸집 테두리 연결방법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웨지핀, 알폼핀 등 핀류, 볼트류, 못, 리벳과 같은 체결요소를 이용하여 프로파일과 알루미늄 형강에 통공을 뚫어 연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체결방법은 작업이 번거롭고 거푸집 테두리에 손상을 주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수반하는바, 핀류, 볼트류, 못, 리벳 등을 사용하기 위해 프로파일과 알루미늄 형강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것은 물론, 구멍 뚫기 가공을 위해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며, 프로파일 및 알루미늄 형강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 테두리를 해체 작업하는 경우 나사를 풀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리벳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머리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4-0008002호(1994.04.18)에는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결합 대상물을 가압하는 제1누름편을 보유하고, 몸체에는 쐐기공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몸체 내측으로 슬라이딩 안내되며 그 저면에 제1경사이가 형성된 기부와, 제1누름편에 대향하여 반대측에서 제1, 2거푸집 테두리를 가압하는 제2누름편을 보유하는 슬라이더 부재와, 제1경사이와 치차 결합되는 제2경사이를 보유하여 쐐기공으로 관통됨에 따라 그 진행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쐐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클램프에 의하면 제1, 2거푸집 테두리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고서도 부재 결합 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며, 제1, 2거푸집 테두리의 결합 및 해체 작업을 손쉽게 행할 수 있고, 제1, 2누름편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1, 2거푸집 테두리의 크기나 종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클램프의 경우 제1, 2거푸집 테두리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 정형화된 제1, 2누름편 때문에 거푸집 테두리를 결속하지 못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클램프를 좌, 우를 바꾸어 설치하는 경우 쐐기를 하부에서 상부로 체결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불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 시에 타설 충격에 의해 해체될 수도 있으며, 작업자의 이동에 따른 작은 충격에도 해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92031호(2007.12.28)에는 "거푸집 테두리 결속용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상술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4-0008002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 대상물인 두 개의 거푸집 테두리 크기나 유형이 다르거나, 기본적으로 갖추어진 걸림턱을 사용하여 거푸집 테두리를 잡을 수 없는 경우 각각의 거푸집 테두리에 맞는 별도의 클램프를 일일이 제조하지 않고, 제1, 2압착편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어댑터를 체결하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거푸집 테두리를 결속할 수 있는 거푸집 테두리 결속용 클램프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작업자가 어댑터 체결을 위해 나사, 핀 등을 조이고, 푸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7365호(2013.09.03)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336663호(2013.11.28)에는 "트러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슬라브 폼의 수직 지지부재 사이에 좌굴 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수평부재와 수직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며, 주몸체와, 이러한 주몸체에 장착되는 보조몸체 및 주몸체 사이에 형성된 쐐기 관통공에 이동 가능하게 경사부가 형성되어 주몸체와 보조몸체를 접근시키는 쐐기유닛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트러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트러스 장치는, 주몸체와 보조몸체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하면서 그 사이 간격을 조절하며, 원하는 간격이 형성된 경우 쐐기유닛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지기둥의 두께 변화에 대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트러스 장치는 작업자가 지지기둥의 부피에 따라 주몸체와 보조몸체의 간격을 조절할 때 쐐기유닛을 해체한 상태에서 그 간격을 조절하고, 다시 쐐기유닛을 고정해야 하는바,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즉, 쐐기유닛을 해체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간격 유지를 위해 주몸체와 보조몸체를 잡아야만 하고, 이 상태에서 쐐기유닛을 하강시켜야만 하는바, 정교한 작업을 위해서는 최소 2인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한편 지지기둥은 겉대와 속대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겉대 및 속대의 규격은 정형화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겉대 및 속대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선행기술에서 제시하고 있는 제1후크부 및 제2후크부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홈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고정된 회전축에 해당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주몸체와 보조몸체를 회전시켜 그 간격을 조절한다고 해도, 정형화된 겉대 및 속대의 걸림홈에 제1후크부 및 제2후크부를 후크 결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선행문헌 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4-0008002호(1994.04.18) (선행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792013호(2007.12.28) (선행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7365호(2013.09.03) (선행문헌 4) 한국등록특허 제10-1336663호(2013.11.28)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탄성체 및 이동 가능한 힌지축을 이용함으로써 정형화된 겉대 및 속대의 크기에 따라 그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유닛은, 대상물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주몸체와 보조몸체가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 일측면 및 보조몸체의 일측면은 탄성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주몸체 또는 보조몸체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어느 하나에 대하여 텔레스코핑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몸체는, 상면 플레이트와, 하면 플레이트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 및 하면 플레이트의 일측면을 매개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플레이트 및 하면 플레이트에는 각각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에 끼워져 그 일측면이 상기 보조몸체를 가압하여 상기 보조몸체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웨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웨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의 길이보다 그 폭이 좁은 하단바와, 이 하단바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바와, 상기 상부 슬롯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굴곡 연장 형성된 상단바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이 형성된 상면 프레임과, 이 상면 프레임의 일측에서 하향 절곡 형성된 측면 프레임과, 이 측면 프레임의 하단에서 상기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하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의 일측면은 상기 상면 프레임 타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 힌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 힌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힌지홀은, 상부 좌측 힌지홀과, 상부 우측 힌지홀과, 상기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기 상부 우측 힌지홀을 연결하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부 우측 힌지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1매개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힌지홀은, 하부 좌측 힌지홀과, 하부 우측 힌지홀과,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상기 하부 우측 힌지홀을 연결하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하부 우측 힌지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2매개홀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은,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부 우측 힌지홀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 헤드와, 이 헤드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매개홀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1중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매개홀 및 제2매개홀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제1중간바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권취바와, 이 권취바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중간바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제2중간바와, 이 제2중간바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하부 우측 힌지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테일바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권취바에 권취되며 그 일단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접하고, 그 타단은 상기 보조몸체의 일측면에 접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상면 프레임의 평면은 상기 상면 플레이트의 저면과 접하고, 상기 하면 프레임의 저면은 상기 하면 플레이트의 평면에 접하며, 상기 상면 프레임의 타측은 상기 연결바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가압홈이 굴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주몸체의 내측으로 굴곡 형성되며 그 끝단이 치 형으로 형성된 제1후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보조몸체의 내측으로 굴곡 형성되며 그 끝단이 치 형으로 형성된 제2후크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일바를 수평으로 관통하며 그 일단 및 타단은 상기 테일바에서 돌출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제2중간바에 권취되며 그 상단은 상기 권취바의 저면에 접하고, 그 하단은 상기 스토퍼에 접하는 복원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좌굴을 방지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수직 지지부재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주몸체와 보조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주몸체 및 보조몸체의 일측면은 탄성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되, 상기 주몸체 또는 보조몸체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어느 하나에 대하여 텔레스코핑 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주몸체는, 상면 플레이트와, 하면 플레이트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 및 하면 플레이트의 일측면을 매개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플레이트 및 하면 플레이트에는 각각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에 끼워져 그 일측면이 상기 보조몸체를 가압하여 상기 보조몸체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웨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웨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의 길이보다 그 폭이 좁은 하단바와, 이 하단바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바와, 상기 상부 슬롯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굴곡 연장 형성된 상단바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이 형성된 상면 프레임과, 이 상면 프레임의 일측에서 하향 절곡 형성된 측면 프레임과, 이 측면 프레임의 하단에서 상기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하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의 일측면은 상기 상면 프레임 타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 힌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 힌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힌지홀은, 상부 좌측 힌지홀과, 상부 우측 힌지홀과, 상기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기 상부 우측 힌지홀을 연결하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부 우측 힌지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1매개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힌지홀은, 하부 좌측 힌지홀과, 하부 우측 힌지홀과,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상기 하부 우측 힌지홀을 연결하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하부 우측 힌지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2매개홀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은,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부 우측 힌지홀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 헤드와, 이 헤드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매개홀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1중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매개홀 및 제2매개홀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제1중간바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권취바와, 이 권취바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중간바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제2중간바와, 이 제2중간바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하부 우측 힌지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테일바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권취바에 권취되며 그 일단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접하고, 그 타단은 상기 보조몸체의 일측면에 접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상면 프레임의 평면은 상기 상면 플레이트의 저면과 접하고, 상기 하면 프레임의 저면은 상기 하면 플레이트이 평면에 접하며, 상기 상편 프레임의 타측은 상기 연결바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가압홈이 굴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주몸체의 내측으로 굴곡 형성되며 그 끝단이 치 형으로 형성된 제1후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보조몸체의 내측으로 굴곡 형성되며 그 끝단이 치 형으로 형성된 제2후크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일바를 수평으로 관통하며 그 일단 및 타단은 상기 테일바에서 돌출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제2중간바에 권취되며 그 상단은 상기 권취바의 저면에 접하고, 그 하단은 상기 스토퍼에 접하는 복원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중심 회전축에 해당하는 힌지축을 이동시켜 보조몸체를 텔레스코핑시킴으로써 수직 지지부재의 규격에 부합하도록 클램핑 유닛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탄성수단 및 웨지를 이용하여 더 쉽게 클램핑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클램핑 작업시 필요한 작업 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이 크기가 작은 속대를 결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이 크기가 큰 겉대를 결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는, 한 쌍의 수직 지지부재(3) 사이에 설치되어 좌굴을 방지하는 수평부재(5)와, 클램프 유닛(1)을 포함한다.
통상 슬라브 폼을 지지하기 복수 개의 수직 지지부재(3)가 사용되는데, 콘크리트 타설시 작용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수직 지지부재(3)는 수평부재(5)로 연결된다.
클램프 유닛(1)은 주몸체(100), 보조몸체(200), 힌지축(500), 탄성수단(300), 웨지(400)를 포함한다.
주몸체(100)와 보조몸체(200)는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바, 수직 지지부재(3)의 크기에 따라 힌지축(500)을 중심으로 주몸체(100)에 대하여 보조몸체(200)를 회전시켜 그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을 갖는 수직 지지부재(3)를 클랭핑할 수 있다.
주몸체(100) 및 보조몸체(200)의 일측면은 탄성수단(300)을 매개로 연결된다.
탄성수단(300)은 주몸체(100) 및 보조몸체(200)의 일측면에 양 단이 접하여 탄성력으로 주몸체(100) 및 보조몸체(200) 사이의 각도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웨지(400)는 주몸체(100)와 보조몸체(200)를 관통하여 보조몸체(200)의 일면을 가압하여 보조몸체(200)가 힌지축(50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바, 웨지(400)가 주몸체(100) 및 보조몸체(200)를 관통하여 하강하는 정도에 따라 보조몸체(200)의 회전 각도가 조절된다.
즉, 웨지(400)가 주몸체(100) 및 보조몸체(200)를 관통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몸체(100) 및 보조몸체(200) 사이에 형성되는 클램핑 각도는 탄성수단(300)에 의해 최대가 되고, 웨지(400)의 하강 정도에 따라 보조몸체(20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각도가 좁아지면서 조절되며, 웨지(400)가 최대한 하강된 상태에서 주몸체(100)와 보조몸체(200) 사이의 클램핑 각도는 최소화 된다.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1)은 수직 지지부재(3)를 구성하는 정형화된 규격의 속대(3b) 및 겉대(3a) 모두에 적용될 수 있도록 주몸체(100) 또는 보조몸체(200)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어느 하나의 부재에 대하여 텔레스코핑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중요한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클램프 유닛(1)이 정형화된 규격의 속대(3b) 및 겉대(3a) 등 모든 규격의 수직 지지부재(3)를 클램핑하기 위해서는 주몸체(100) 및 보조몸체(200)의 회전 중심축에 해당하는 힌지축(500)의 위치가 고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는 힌지축(500)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클램프 유닛(1)과 수직 지지부재(3)의 결속력 강화를 위해 겉대(3a) 및 속대(3b)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클램프 유닛(1)의 끝단이 정확하게 걸림 결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규격의 수직 지지부재(3)에 형성된 걸림홈에 주몸체(100) 및 보조몸체(200) 각각의 끝단이 걸릴 수 있도록 주몸체(100) 및 보조몸체(200) 중의 어느 하나가 나머지 부재에 대하여 텔레스코핑될 수 있도록 클램프 유닛(1)의 구조를 개선하였다.
회전 중심축에 해당하는 힌지축(500)이 이동하여 주몸체(100) 및 보조몸체(20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게 함(텔레스코핑 작동)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수직 지지부재(3)를 클램핑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주몸체(100), 보조몸체(200) 중 어느 하나의 부재가 나머지 하나의 부재에 대하여 텔레스코핑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인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보조몸체(200)가 주몸체(100)에 대하여 텔레스코핑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주몸체(100)가 보조몸체(200)에 대하여 텔레스코핑 작동 가능한 구성으로 설계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몸체(100)는 상면 플레이트(110), 하면 플레이트(120), 상면 플레이트(110) 및 하면 플레이트(120)의 일측면을 매개하는 측면 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바,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면 플레이트(110) 및 하면 플레이트(120)에는 각각 볼트공(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부재(5)가 상면 플레이트(110)와 하면 플레이트(120)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B)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면 플레이트(110) 및 하면 플레이트(120)에는 웨지(400)가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상부 슬롯(110a) 및 하부 슬롯(120a)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상부 슬롯(110a) 및 하부 슬롯(120a)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웨지(400) 형상을 고려하여 상부 슬롯(110a)의 길이를 하부 슬롯(120a)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지(400)는 상부 슬롯(110a) 및 하부 슬롯(120a)에 끼워져 그 일측이 보조몸체(200)를 가압함으로써 보조몸체(2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물론, 주몸체(100)와 보조몸체(200) 사이에 형성된 각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웨지(400)는 하단바(410), 연결바(420), 상단바(430)를 포함하고, 보조몸체(200)는 상면 프레임(210), 측면 프레임(230), 하면 프레임(2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바(410)는 상부 슬롯(110a) 및 하부 슬롯(120a)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 슬롯(110a) 및 하부 슬롯(120a)의 길이보다 그 폭이 좁게 형성되며, 하부 슬롯(120a)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도록 하부 슬롯(120a)이 형성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탈방지편(410a)이 돌출 형성된다.
하단바(410)의 상단에는 연결바(420)가 연장 형성되는데 이러한 연결바(420)의 일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웨지(400)가 상부 슬롯(110a)에 걸릴 수 있도록 연결바(420)의 상단에는 상단바(430)가 일측으로 굴곡 연장 형성된다.
보조몸체(200)의 상면 프레임(210) 및 하면 프레임(220)에는 힌지축(5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210a) 및 제2관통홀(220a)이 각각 형성되며, 상면 프레임(210) 및 하면 프레임(220)의 일측은 측면 프레임(230)을 매개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웨지(400)가 하강함에 따라 연결바(420)의 경사진 면이 상면 프레임(210)의 타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보조몸체(20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웨지(400)의 하강 정도에 따라 가압하는 힘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보조몸체(200)의 회전 각도가 더욱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상면 프레임(210)의 평면은 상면 플레이트(110)의 저면과 접하고, 하면 프레임(220)의 저면은 하면 플레이트(120)의 평면에 접하며, 상면 프레임(210)의 타측은 연결바(420)의 경사면에 의해서 보조몸체(200)의 회전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가압홈(210b)이 굴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압홈(210b)은 상면 프레임(210) 및 하면 프레임(220)에 각각 형성되는데, 하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웨지(400)의 형상을 고려하여 상면 프레임(210)에 형성된 가압홈(210b)의 깊이를 하면 프레임(220)에 형성된 가압홈(210b)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웨지(400)의 측면이 상, 하면 프레임(210,220)에 각각 형성된 가압홈(210b)에 접촉되므로 힘 전달력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1)의 측면 플레이트(130) 및 측면 프레임(230)의 일단은 각각 수직 지지부재(3)를 클램핑 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굴곡 형성된 제1후크(130a) 및 제2후크(230a)가 형성되고, 이러한 제1후크(130a) 및 제2후크(230a)의 끝단은 상술한 가압홈(210b)과 대응될 수 있도록 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을 텔레스코핑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요부인 주몸체(100)의 상면 플레이트(110) 및 하면 플레이트(120)에는 힌지축(500)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 힌지홀(110b) 및 하부 힌지홀(120b)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 힌지홀(110b) 및 하부 힌지홀(120b)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면 플레이트(110) 및 하면 플레이트(12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바, 상면 프레임(210) 및 하면 프레임(220)에 각각 형성된 제1관통홀(210a) 및 제2관통홀(22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축(500)은 상부 힌지홀(110b) 및 하부 힌지홀(120b)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회전 중심축에 해당하는 힌지축(50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이다.
상부 힌지홀(110b)은 상부 좌측 힌지홀(110L), 상부 우측 힌지홀(110R), 상부 좌측 힌지홀(110L)과 상부 우측 힌지홀(110R)을 연결하되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부 좌측 힌지홀(110L) 및 상부 우측 힌지홀(110R)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1매개홀(110M)을 포함한다.
하부 힌지홀(120b) 역시 하부 좌측 힌지홀(120L), 하부 우측 힌지홀(120R), 하부 좌측 힌지홀(120L)과 하부 우측 힌지홀(120R)을 연결하되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하부 좌측 힌지홀(120L) 및 하부 우측 힌지홀(120R)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2매개홀(120M)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부 힌지홀(110b) 및 하부 힌지홀(120b)의 형상은 아령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부 힌지홀(110b) 및 하부 힌지홀(120b)의 형상에 대응하여 힌지축(500)은 헤드(510), 제1중간바(520), 권취바(530), 제2중간바(540), 테일바(5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510)는 상부 좌측 힌지홀(110L) 내지 상부 우측 힌지홀(110R), 제1관통홀(210a)을 통과할 수 없도록 그 직경이 상부 좌측 힌지홀(110L), 상부 우측 힌지홀(110R) 및 제1관통홀(210a)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주몸체(100)와 보조몸체(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510)는 상부 좌측 힌지홀(110L) 또는 상부 우측 힌지홀(110R)를 통과하지 못 하고, 그 테두리 저면이 주몸체(100)의 상면 플레이트(110)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헤드(5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제1중간바(520), 권취바(530), 제2중간바(540) 및 테일바(550)가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중간바(520)는 헤드(510)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제1매개홀(110M)보다는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제1중간바(520)에서 수직 방향으로 권취바(530)가 연장 형성되고, 권취바(530)로부터 제2중간바(54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2중간바(54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테일바(550)가 연장 형성된다.
테일바(550)는 하부 좌측 힌지홀(120L) 및 하부 우측 힌지홀(120R), 제2관통홀(220a)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탄성수단(300)은 압축 스프링(310)을 포함하는바, 압축 스프링(310)은 권취바(530)에 권취되어 그 일단이 측면 플레이트(130)에 접하고, 그 타단은 보조몸체(200)의 측면 프레임(230)에 접한다.
힌지축(500)이 상부 좌측 힌지홀(110L) 및 하부 좌측 힌지홀(120L)에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 우측 힌지홀(110R) 및 하부 우측 힌지홀(120R)로 이동하여, 보조몸체(200)와 주몸체(10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텔레스코핑 작동을 위해서 제1중간바(520) 및 제2중간바(540)의 위치가 상부 좌측 힌지홀(110L) 및 하부 좌측 힌지홀(120L)의 위치에 이를 때까지 헤드(510)를 잡고 힌지축(500)을 들어 올린다.
제1중간바(520) 및 제2중간바(540)는 각각 제1매개홀(110M) 및 제2매개홀(120M)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보다 그 직경이 작기 때문에 제1매개홀(110M) 및 제2매개홀(120M)을 거쳐 상부 우측 힌지홀(110R) 및 하부 우측 힌지홀(120R)로 이동 가능하다.
힌지축(500)이 상부 우측 힌지홀(110R) 및 하부 우측 힌지홀(120R)로 이동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헤드(510)를 놓으면 힌지축(500)은 낙하하며 헤드(510) 저면 테두리부가 상부 우측 힌지홀(110R) 주변의 상면 플레이트(110) 평면에 걸리면서 텔리스코핑 작동이 완료된다.
이로 인해 주몸체(100) 및 보조몸체(200) 사이 간격이 더 멀어지게 된다.
한편 테일바(550)에는 수평 방향으로 테일바(550)를 관통하며 그 양단이 돌출된 스토퍼(550a)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원 스프링(600)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복원 스프링(600)은 제2중간바(540)에 권취되되, 그 상단은 권취바(530)의 저면에 접하고 그 하단은 스토퍼(550a)에 상면에 접하게 되는바, 복원 스프링(600)은 힌지축(500)을 텔레스코핑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헤드(510)를 드는 경우 압축되었다가 이동 완료 후에 작업자가 헤드(510)를 놓으면 힌지축(500)이 수직 방향으로 낙하하여 헤드(510)가 상면 플레이트(110)에 걸릴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복원 스프링(600) 상단과 권취바(530)의 저면 및 복원 스프링(600) 하단과 스토퍼(550a) 상면 사이에는 부시(H)가 개재될 수도 있다.
스토퍼(550a)는 복원 스프링(600)이 테일바(5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1)은 주몸체(100)의 측면 플레이트(130)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제1후크(130a)와 보조몸체(200)의 측면 프레임(230)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제2후크(230a)가 수직 지지부재(3)의 속대(3b)를 클램핑함으로써 수직 지지부재(3)의 좌굴을 방지한다.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속대(3b)를 클램핑할 때에는 압축 스프링(310)의 양 단은 주몸체(100)의 측면 플레이트(130)와 보조몸체(200)의 측면 프레임(230)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는 웨지(400)의 연결바(420)에 형성된 경사면이 측면 프레임(230)에 형성된 가압홈(210b)에 걸림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 유닛(1)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수직 지지부재(3)의 겉대(3a)를 클램핑하기 위해서는 힌지축(500)의 위치 이동이 필요하다.
즉, 힌지축(500)이 위치 이동함으로써 보조몸체(200)와 주몸체(10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텔레스코핑 작동이 진행되어야 한다.
텔레스코핑 작동을 위해 작업자가 제1중간바(520) 및 제2중간바(540)를 각각 제1매개홀(110M) 및 제2매개홀(120M)과 동일한 높이에 이르도록 힌지축(500)의 헤드(510)를 들어올리고 힌지축(50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위치 이동된 힌지축(500)을 중심으로 보조몸체(200)를 회전시켜 수직 지지부재(3)를 클램핑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더 큰 수직 지지부재(3)의 겉대(3a)를 클램핑하기 위해서는 보조몸체(200)의 회전 각도가 더 커져야 하고, 이를 위해 웨지(400)를 들어올려야 한다.
웨지(400)를 들어올리면 양 단이 측면 플레이트(130) 및 측면 프레임(230)에 접하여 압축 상태에 있던 압축 스프링(310)의 복원력에 의해 보조몸체(200)가 주몸체로부터 더 큰 각도를 가지고 회전하게 되며, 웨지(400) 연결바의 경사면은 측면 프레임(230)의 가압홈(210b)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회동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클램프 유닛 3 : 수직 지지부재
3a : 겉대 3b : 속대
5 : 수평부재 100 : 주몸체
110 : 상면 플레이트 110a : 상부 슬롯
110b : 상부 힌지홀 110L : 상부 좌측 힌지홀
110R : 상부 우측 힌지홀 110M : 제1매개홀
120 : 하면 플레이트 120a : 하부 슬롯
120b : 하부 힌지홀 120L : 하부 좌측 힌지홀
120R : 하부 우측 힌지홀 120M : 제2매개홀
130 : 측면 플레이트 130a : 제1후크
200 : 보조몸체 210 : 상면 프레임
210b : 가압홈 210a : 제1관통홀
220 : 하면 프레임 220a : 제2관통홀
230 : 측면 프레임 230a : 제2후크
300 : 탄성수단 310 : 압축 스프링
400 : 웨지 410 : 하단바
410a : 이탈방지편 420 : 연결바
430 : 상단바 500 : 힌지축
510 : 헤드 520 : 제1중간바
530 : 권취바 540 : 제2중간바
550 : 테일바 550a : 스토퍼
600 : 복원 스프링

Claims (18)

  1. 대상물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주몸체와 보조몸체가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 유닛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 일측면 및 보조몸체의 일측면은 탄성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주몸체 또는 보조몸체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어느 하나에 대하여 텔레스코핑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는, 상면 플레이트와, 하면 플레이트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 및 하면 플레이트의 일측면을 매개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플레이트 및 하면 플레이트에는 각각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에 끼워져 그 일측면이 상기 보조몸체를 가압하여 상기 보조몸체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웨지를 더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의 길이보다 그 폭이 좁은 하단바와, 이 하단바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바와, 상기 상부 슬롯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굴곡 연장 형성된 상단바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이 형성된 상면 프레임과, 이 상면 프레임의 일측에서 하향 절곡 형성된 측면 프레임과, 이 측면 프레임의 하단에서 상기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하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의 일측면은 상기 상면 프레임 타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유닛.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 힌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 힌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홀은, 상부 좌측 힌지홀과, 상부 우측 힌지홀과, 상기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기 상부 우측 힌지홀을 연결하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부 우측 힌지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1매개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힌지홀은, 하부 좌측 힌지홀과, 하부 우측 힌지홀과,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상기 하부 우측 힌지홀을 연결하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하부 우측 힌지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2매개홀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은,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부 우측 힌지홀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 헤드와, 이 헤드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매개홀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1중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매개홀 및 제2매개홀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제1중간바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권취바와, 이 권취바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중간바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제2중간바와, 이 제2중간바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하부 우측 힌지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테일바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권취바에 권취되며 그 일단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접하고, 그 타단은 상기 보조몸체의 일측면에 접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면 프레임의 평면은 상기 상면 플레이트의 저면과 접하고, 상기 하면 프레임의 저면은 상기 하면 플레이트의 평면에 접하며,
    상기 상면 프레임의 타측은 상기 연결바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가압홈이 굴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주몸체의 내측으로 굴곡 형성되며 그 끝단이 치 형으로 형성된 제1후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보조몸체의 내측으로 굴곡 형성되며 그 끝단이 치 형으로 형성된 제2후크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유닛.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테일바를 수평으로 관통하며 그 일단 및 타단은 상기 테일바에서 돌출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제2중간바에 권취되며 그 상단은 상기 권취바의 저면에 접하고, 그 하단은 상기 스토퍼에 접하는 복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
  10. 한 쌍의 수직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좌굴을 방지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와 수직 지지부재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수직 지지부재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주몸체와 보조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주몸체 및 보조몸체의 일측면은 탄성수단을 매개로 연결되되, 상기 주몸체 또는 보조몸체 중 어느 하나가 나머지 어느 하나에 대하여 텔레스코핑 가능하게 결합된 클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주몸체는, 상면 플레이트와, 하면 플레이트와, 상기 상면 플레이트 및 하면 플레이트의 일측면을 매개하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 플레이트 및 하면 플레이트에는 각각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에 끼워져 그 일측면이 상기 보조몸체를 가압하여 상기 보조몸체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웨지를 더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 슬롯 및 하부 슬롯의 길이보다 그 폭이 좁은 하단바와, 이 하단바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바와, 상기 상부 슬롯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바의 상단에서 일측으로 굴곡 연장 형성된 상단바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힌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홀이 형성된 상면 프레임과, 이 상면 프레임의 일측에서 하향 절곡 형성된 측면 프레임과, 이 측면 프레임의 하단에서 상기 상면 프레임과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된 하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바의 일측면은 상기 상면 프레임 타측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 힌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힌지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 힌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홀은, 상부 좌측 힌지홀과, 상부 우측 힌지홀과, 상기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기 상부 우측 힌지홀을 연결하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부 우측 힌지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1매개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힌지홀은, 하부 좌측 힌지홀과, 하부 우측 힌지홀과,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상기 하부 우측 힌지홀을 연결하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하부 우측 힌지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2매개홀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축은, 상부 좌측 힌지홀 및 상부 우측 힌지홀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 헤드와, 이 헤드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매개홀보다 그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제1중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제1매개홀 및 제2매개홀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제1중간바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권취바와, 이 권취바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중간바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제2중간바와, 이 제2중간바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좌측 힌지홀 및 하부 우측 힌지홀보다 큰 직경을 갖는 테일바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권취바에 권취되며 그 일단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 접하고, 그 타단은 상기 보조몸체의 일측면에 접하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상면 프레임의 평면은 상기 상면 플레이트의 저면과 접하고, 상기 하면 프레임의 저면은 상기 하면 플레이트의 평면에 접하며,
    상기 상편 프레임의 타측은 상기 연결바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가압홈이 굴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주몸체의 내측으로 굴곡 형성되며 그 끝단이 치 형으로 형성된 제1후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기 보조몸체의 내측으로 굴곡 형성되며 그 끝단이 치 형으로 형성된 제2후크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테일바를 수평으로 관통하며 그 일단 및 타단은 상기 테일바에서 돌출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제2중간바에 권취되며 그 상단은 상기 권취바의 저면에 접하고, 그 하단은 상기 스토퍼에 접하는 복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클램프 유닛을 이용한 트러스 장치.
KR1020140048816A 2014-04-23 2014-04-23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 KR101579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16A KR101579961B1 (ko) 2014-04-23 2014-04-23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16A KR101579961B1 (ko) 2014-04-23 2014-04-23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86A true KR20150122486A (ko) 2015-11-02
KR101579961B1 KR101579961B1 (ko) 2016-01-11

Family

ID=5459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816A KR101579961B1 (ko) 2014-04-23 2014-04-23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9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002A (ko) 1992-09-18 1994-04-28 쓰지 하루오 투영형 노광장치용 필터
JP2005126936A (ja) * 2003-10-22 2005-05-19 Alinco Inc 足場用階段
KR20070122123A (ko) * 2006-12-28 2007-12-28 주식회사 플라젠 스프링집게 타입의 아크릴 성형용 고정클램프
KR100792013B1 (ko) 2006-05-23 2008-01-04 김상명 일방향 주름 직물의 제직 방법 및 그에 따른 일방향 주름 직물
KR101195139B1 (ko) * 2011-03-29 2012-10-31 (주)미래엔지니어링 직경조절이 가능한 파이프용 클램프
KR20130097365A (ko) 2012-02-24 2013-09-03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트러스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002A (ko) 1992-09-18 1994-04-28 쓰지 하루오 투영형 노광장치용 필터
JP2005126936A (ja) * 2003-10-22 2005-05-19 Alinco Inc 足場用階段
KR100792013B1 (ko) 2006-05-23 2008-01-04 김상명 일방향 주름 직물의 제직 방법 및 그에 따른 일방향 주름 직물
KR20070122123A (ko) * 2006-12-28 2007-12-28 주식회사 플라젠 스프링집게 타입의 아크릴 성형용 고정클램프
KR101195139B1 (ko) * 2011-03-29 2012-10-31 (주)미래엔지니어링 직경조절이 가능한 파이프용 클램프
KR20130097365A (ko) 2012-02-24 2013-09-03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트러스 장치
KR101336663B1 (ko) 2012-02-24 2013-12-04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트러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961B1 (ko) 201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5606B2 (en) Safety rai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KR101579961B1 (ko) 클램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장치
KR102041392B1 (ko) 슬라브패널 드롭시공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장치
KR101679542B1 (ko) 가설난간용 지주대
EP1134332B1 (en) Clamp for interconnecting components of shoring apparatus
KR20180000638U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KR20180046603A (ko) 비계형성용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작업용 발판거치대
JP6438236B2 (ja) 連結具
JP2000274083A (ja) 仮設足場用移動安全装置
KR102050079B1 (ko) 비계파이프 결합용 체결장치
KR101846143B1 (ko) 거푸집 연결장치
KR20150098771A (ko) 가설 난간용 지주
KR20140127995A (ko) 슬래브 거푸집용 지지장치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CN210975545U (zh) 一种用于连接桥面板和分配梁的装置
KR200386882Y1 (ko) 거푸집용 지지대 고정구
JP3186642U (ja) 仮設足場における壁つなぎ材の固定装置
KR200469870Y1 (ko) 장선과 멍에 체결장치
KR101748128B1 (ko) 시스템 동바리 u헤드
CN216166424U (zh) 工作凳
TWI434983B (zh) With the structure of the eagle frame pedal
KR200482375Y1 (ko) 거푸집용 클램핑장치
KR102131807B1 (ko) 롤러가 구비된 사다리 고정장치
CN214834704U (zh) 一种建设项目用优化效果好的模板
CA2680504C (en) Stud alignment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