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868A -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868A
KR20150121868A KR1020140047995A KR20140047995A KR20150121868A KR 20150121868 A KR20150121868 A KR 20150121868A KR 1020140047995 A KR1020140047995 A KR 1020140047995A KR 20140047995 A KR20140047995 A KR 20140047995A KR 20150121868 A KR20150121868 A KR 20150121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ower supply
luminaire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논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논엘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논엘이디
Priority to KR1020140047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868A/ko
Publication of KR2015012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손상유무를 원활하게 파악하며 신속하게 이러한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시설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입,출되는 전력량을 감지하여 전원공급의 이상유무를 판별하고, 이상유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첫째,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고장유무를 원활하게 판별하며 효율적인 관리를 이룰 수 있어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다양한 장소의 시설관리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둘째,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장비 또는 등기구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원활하게 식별하며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 및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며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 시설물의 안정적인 관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를 공원, 학교, 놀이시설 등에 다수개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전기 시설물의 관리를 이룰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손상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만을 표시하여 사용하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이를 신속히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어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손상에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수리와 보수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POWER MANAGING SYSTEM OF LAMP DEVICE USING LEDs}
본 발명은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를 제어하며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고장여부를 판별하여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등기구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 등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따라 점등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어두운 장소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등기구는 학교, 공원, 놀이시설 등 일정한 장소를 비추거나 넓은 장소에 다수개 설치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밝은 환경을 이룰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상술한 등기구는 등기구의 on/off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장비 또는 기구 등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이러한 등기구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점등시키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등이 제안되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등기구는 대개, 설치된 장소에서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에만 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하여 고장을 일으킨 등기구를 교체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서, 등기구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신속히 판단하여 고장을 일으킨 등기구만을 선별하기는 어려운 사용상의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에 따라 다수개의 등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량을 식별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가 손상을 일으켜 육안으로 식별되는 경우에만 이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비와 등기구의 관리를 이룰 수 있는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효율적인 관리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에 따란, 공원, 학교, 놀이공원 등의 시설물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어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가 설치된 시설물의 전체적인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시설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입,출되는 전력량을 감지하여 전원공급의 이상유무를 판별하고, 이상유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는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며 관리하는 전원관리부와, 상기 전원관리부의 전원공급 이상유무를 표시하고, 관리자의 전원공급 on/off 명령을 대기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전원부로 인가되는 전원인가여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이상 유무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전원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상기 보조전원부를 on/off 시키는 점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여 외부전원 이상 시, 상기 보조전원부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전력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되는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전력량 감지에 따라 이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엘이디등과,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전력량 감지를 상기 전원공급부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고장유무를 원활하게 판별하며 효율적인 관리를 이룰 수 있어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다양한 장소의 시설관리를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다.
둘째,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손상된 장비 또는 등기구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원활하게 식별하며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 및 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며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 시설물의 안정적인 관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셋째,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를 공원, 학교, 놀이시설 등에 다수개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전기 시설물의 관리를 이룰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넷째,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손상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만을 표시하여 사용하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가 손상되는 경우에도 이를 신속히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어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손상에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수리와 보수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의 전원공급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의 보조전원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의 전원공급부에 비상전원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입출되는 전력량을 감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6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전원공급부(100)와, 상기 전원공급(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시설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200)와, 상기 전원공급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입,출되는 전력량을 감지하여 전원공급의 이상유무를 판별하고, 이상유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보조전원부(200)와 디스플레이부(300)로 전원을 공급하여 보조전원부(200)와 디스플레이부(300)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100)는 본 발명에서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전원공급부(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미도시), 발전기(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0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원공급부(100)에는 별도의 장비를 더 구성하여 전원공급부(100)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간, 또는 할당된 비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할당된 전력만이 전원공급부(100)로 인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부(1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원공급부(100)는 도 2에서와 같이,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며 관리하는 전원관리부(110)와, 상기 전원관리부(110)의 전원공급 이상유무를 표시하고, 관리자의 전원공급 on/off 명령을 대기하는 입력부(120)와, 상기 입력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전원부(200)로 인가되는 전원인가여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1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이상 유무를 송신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관리부(110)는 상기 전원공급부(100)로 인가되는 외부전원의 이상 유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세히 도시하여 설명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원관리부(110)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하여 별도의 전원저장부(미도시), 안정기(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전원관리부(110)의 전원공급에 따른 이상유무를 표시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100)의 전력을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조전원부(200)와 디스플레이부(300)로 인가할 수 있도록 on/off의 신호를 결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입력부(120)를 사용자가 제어하며 전원공급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조전원부(200)와 디스플레이부(300)의 사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원제어부(130)는 상기 입력부(120)의 신호에 따라 보조전원부(200)로 전력의 공급이 결정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보조전원부(200)로 외부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상기 입력부(120)와 전원제어부(130)의 구성은 전원공급부(100)로 인가되는 외부 전원을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보조전원부(200)와 디스플레이부(300)의 안정적인 제어를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술한 입력부(120)와 전원제어부(130)를 통하여 보조전원부(200)와 디스플레이부(300)로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보조전원부(200)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된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의 전력 이상 유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판별하는 경우, 이러한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의 이상 유무를 외부로 정해진 신호에 따라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후술할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의 이상 유무가 판별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확인하는 사용자는 물론 별도의 상급기관 또는 수리기관으로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의 이상을상태를 알려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전원부(20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100)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을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상기 수신부(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상기 보조전원부(200)를 on/off 시키는 점등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전원공급부(100)의 전력을 상기 수신부(210)와 점등부(220)를 통하여 인가받아 도 1에서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로 전원공급부(100)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부(1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여 외부전원 이상 시, 상기 보조전원부(200)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상전원부(150)는 상술한 전원공급부(100)로 안정적인 외부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며 별도의 배터리(미도시) 또는 발전기(미도시)의 전원을 상기 전원공급부(100)로 긍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00)로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원공급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10)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시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구성을 상기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전력량을 감지하는 감지부(310)와,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되는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전력량 감지에 따라 이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엘이디등(320)과, 상기 감지부(310)를 통하여 감지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전력량 감지를 상기 전원공급부로 송신하는 송신부(330)로 구성한다.
상기 감지부(310)는 상기 보조전원부(200)를 통하여 전력을 인가받는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의 전력량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이상 유무가 발생되는 경우, 감지된 신호를 상술한 엘이디등(320)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감지부(310)와 엘이디등(3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부(310)로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의 전력 이상유무가 발견되는 경우에는 이상이 발견된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에 해당하는 엘이디등(320)이 점멸, 점등, 소등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이상이 발견된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의 정확한 상태와 위치를 사용자가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엘이디등(320)은 도 5에서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의 설치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이상을 일으킨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를 원활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다수개 구비되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송신부(330)는 상기 감지부(310)를 통하여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러한 신호를 전원공급부(100)로 송신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00)를 통한 전기적 장비(10) 또는 등기구(20)의 이상유무에 대한 대응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입출되는 전력량을 감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는 즉, 상기 전원공급부(100)를 통하여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전달되는 전원이 약 800~1100MA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설정된 전원의 입,출되는 전력량을 디스플레이부(300)가 지속적으로 감지하고, 감지되는 전력량에 따른 신호를 사용자에게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전원공급부 110: 전원관리부
120: 입력부 130: 전원제어부
140: 제어부 150: 비상전원부
200: 보조전원부 210: 수신부
220: 점등부 300: 디스플레이부
310: 감지부 320: 엘이디등
330: 송신부

Claims (5)

  1. 전원공급부(100)와,
    상기 전원공급(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시설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전원부(200)와,
    상기 전원공급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로 입,출되는 전력량을 감지하여 전원공급의 이상유무를 판별하고, 이상유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00)는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며 관리하는 전원관리부(110)와,
    상기 전원관리부(110)의 전원공급 이상유무를 표시하고, 관리자의 전원공급 on/off 명령을 대기하는 입력부(120)와,
    상기 입력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전원부(200)로 인가되는 전원인가여부를 제어하는 전원제어부(1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이상 유무를 송신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부(200)는
    상기 전원공급부(100)의 작동에 따라 공급되는 전원을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상기 수신부(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상기 보조전원부(200)를 on/off 시키는 점등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여 외부전원 이상 시, 상기 보조전원부(200)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전력량을 감지하는 감지부(310)와,
    상기 감지부를 통하여 감지되는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전력량 감지에 따라 이를 표시하는 다수개의 엘이디등(320)과,
    상기 감지부(310)를 통하여 감지된 전기적 장비 또는 등기구의 전력량 감지를 상기 전원공급부로 송신하는 송신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KR1020140047995A 2014-04-22 2014-04-22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KR20150121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995A KR20150121868A (ko) 2014-04-22 2014-04-22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995A KR20150121868A (ko) 2014-04-22 2014-04-22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868A true KR20150121868A (ko) 2015-10-30

Family

ID=5443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995A KR20150121868A (ko) 2014-04-22 2014-04-22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8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2095B2 (en) 2016-06-14 2019-07-02 Lg Electronics Inc. Input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rear combination lamp, rear combination lamp, and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2095B2 (en) 2016-06-14 2019-07-02 Lg Electronics Inc. Input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for rear combination lamp, rear combination lamp, an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81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icating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lighting system
WO2013191145A1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およびその点消灯モード切替方法
JP3171658U (ja) 緊急用照明装置
JP2008043001A (ja) 配電システム
JP5658731B2 (ja) 配電システム
CN111526635A (zh) 基于集中控制型集中电源的消防应急照明系统和方法
KR101419754B1 (ko) 비상조명시스템의 모니터링 및 고장표시장치
KR20150121868A (ko)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 전원 관리 시스템
JP2012164678A (ja) 誘導灯点灯装置
KR20110101915A (ko) 축전지의 잔여용량 지시기능을 갖는 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KR101410551B1 (ko) 엘이디 조명기구 고장진단 장치
KR101169756B1 (ko) 배터리에 의한 신호등 구동을 제어하는 교통신호기의 신호구동 장치 및 방법
JP5615198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内照明装置
JP2011249133A (ja) 非常用照明装置
KR101608263B1 (ko) 자가 진단기능을 갖는 경광등 및 전광판 시스템
KR101448125B1 (ko) 분수장치의 고장 알림 시스템
CN108224314A (zh) 备用电源组件、照明组件、照明系统及其安装方法
JP5532884B2 (ja) 照明装置
WO2019192966A1 (en) Luminaire for indoor or outdoor lighting
KR200431785Y1 (ko) 조명등 전원선로 이상 감시장치
KR200460392Y1 (ko) 태양광모듈용 공용접속반
JP7172384B2 (ja) 調光装置
KR100938688B1 (ko) 상태표시기가 설치된 등기구
JP201003385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200318831Y1 (ko) 유도등의 전원 입력 상태 표시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