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521A -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521A
KR20150121521A KR1020140047481A KR20140047481A KR20150121521A KR 20150121521 A KR20150121521 A KR 20150121521A KR 1020140047481 A KR1020140047481 A KR 1020140047481A KR 20140047481 A KR20140047481 A KR 20140047481A KR 20150121521 A KR20150121521 A KR 20150121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hotographing
column
deck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521A/ko
Publication of KR2015012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34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of offshore co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는, 부유식 구조물의 데크유닛과 부력을 갖는 부유유닛 사이에서 부유유닛에 대해 데크유닛을 지지하는 컬럼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유닛; 및 레일유닛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유닛에 탑재되며, 컬럼유닛의 상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INSPECTION DEVICE OF FLOATING CONSTRUCTION, INSPECTION METHOD THEREOF, AND FLOATING CONSTRUCT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을 촬영하여 검사할 수 있는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해저유전의 개발이 점차 파랑이 거칠고 수심이 깊은 곳으로 옮겨감에 따라 종래의 고정식 구조물은 규모가 거대해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한계에 부딪히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수심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유식 구조물이다. 부유식 구조물의 부유체는 파도에 의한 6자유도 운동을 하므로 운동을 제어할 수 있는 특별한 설비가 필요하다.
부유체로는, 초기에 선박이 주로 이용되었지만, 운동성능이 우수한 반잠수식 구조물이 개발되면서 이를 대체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동이 자유롭고 인공위성을 통한 자동위치제어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어 오히려 선박형의 시추선(drillship)이나 생산, 저장, 하역기능을 함께 가진 FPSO 등이 건조되고 있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로는, 폰툰 구조물, 반잠수식 시추선, SPAR 구조물, 그리고 선박형 구조물이 있다.
이들 중 폰툰 구조물은, 고정식 구조물인 착저식 케이슨 구조물과 같이 부양가능한 바지(barge) 구조물에 갑판을 얹고 그 위에 시추 및 원유생산에 필요한 장비를 탑재한 자체 이동능력이 없는 비교적 간단한 형태의 소규모 구조물이다. 이러한 폰툰 구조물은, 부유식 구조물로서 작업현장에서는 앵커체인과 계류장치를 이용해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반잠수식 구조물은, 수심 100~500m 정도의 해역에서 주로 작업을 하는데, 특히 초기 북해 유전개발에 큰 역할을 수행했다. 갑판승강식 구조물과 함께 시추용 구조물의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반잠수식 구조물은, 해저석유 시추 및 생산에 사용될 뿐 아니라 해상 건설공사나 해저 배관 설치작업 등에도 사용되며, 보통 용량이 큰 크레인(300~5,000ton)을 1~2개 탑재하고 있다.
반잠식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상은, 하부선체(lower hull)라고 불리는 2개의 부체 상부에 컬럼(column)이라고 부르는 직경 3~10m 정도의 4~6개 정도의 수직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2~3층의 상자형 구조인 갑판(upper deck)이 설치된 구조이다.
갑판의 중앙부에는 시추작업을 위한 문플(moon pool)이 설치된다. 컬럼과 상하부 선체는, 적당한 수효의 경사진 보강재(brace)로서 입체적으로 결합된다.
전체 구조를 보면 종방향은, 하부선체, 컬럼, 갑판거더(deck girder)로 이루어진 프레임(frame) 구조, 횡방향은 컬럼, 갑판보, 보강재로 이루어진 트러스(truss) 구조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반잠수식 구조물의 하부선체의 형태만으로 볼 때, 잠수함의 선체와 같은 모습의 하부선체(lower hull)형과 부체(footing)형으로 나뉜다. 하부선체 형은, 주로 직사각형 갑판구조와 부력체인 2개의 하부선체를 직경3~10m 정도의 컬럼 4~8개로 연결한 것으로 파도에 따른 동요가 작으며 이동 시 전진저항이 적은 이점이 있다. 최근 건조되는 반잠수식 구조물은, 컬럼이 4개인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부체형은, 3~4각형 갑판 구조물을 지지하는 직경10m 정도의 컬럼(또는 케이슨)3~5개 하부에 각각 독립된 부체(footing)를 설치한 형태로 트러스 구조의 보강재로 각 컬럼이 연결된다.
이러한 부체형은, 초기 반잠수식 구조물에 주로 적용되었던 형식으로서 파도에 따른 운동량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여 위치유지가 쉽고, 상하동요가 작다는 장점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예인 시 저항이 커지는 단점이 있어서 현재는 건조되지 않는다.
하부선체형 및 부체형 내의 공간은 펌프실이나 밸러스트, 연료탱크, 체인로커룸(chain rocker room) 등으로 이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반잠수식 구조물은, 갑판 구조물이 모두 컬럼에 의해 지지되는데, 해상에서는 파랑에 의한 충격과 부식이 심하므로 갑판 구조물과 컬럼의 연결부는 크랙이나 피로에 의한 파단이 발생될 수 있어 수시로 점검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컬럼을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설치된 나선형의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육안검사를 실시하였는데, 파랑이 심하거나 부력을 줄려 갑판 구조물의 높이를 낮춘 경우 또는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해서는, 거친 파도 및 추락 등의 위험이 따르므로 육안검사를 실시하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02682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검사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 또는 해상환경에서 필요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안검사를 실시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검사를 위한 사다리와 같은 부가요소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들에 대한 유지관리가 불필요한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의 데크유닛과 부력을 갖는 부유유닛 사이에서 상기 부유유닛에 대해 상기 데크유닛을 지지하는 컬럼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유닛; 및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유닛에 탑재되며, 상기 컬럼유닛의 상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촬영유닛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촬영전동차; 및 상기 촬영전동차에 배치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전동차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가 촬영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로 설정 가능한 촬영베이스; 및 상기 촬영베이스가 탑재되며, 상기 레일유닛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이탈방지부재를 갖는 전동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디지털 촬영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카메라본체; 및 상기 카메라본체에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의 데크유닛과 부력을 갖는 부유유닛 사이에서 상기 부유유닛에 대해 상기 데크유닛을 지지하는 컬럼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컬럼유닛의 외곽부를 따르도록 상기 데크유닛의 저면부에 지지바에 의해 배치되는 레일유닛; 및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컬럼유닛의 상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유닛은, 상기 레일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촬영전동차; 및 상기 촬영전동차의 상부로 탑재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상작업을 위한 설비와 장비들이 탑재되는 데크유닛; 상기 데크유닛을 해상에 대해 지지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유닛; 상기 부유유닛과 상기 데크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유유닛에 대해 상기 데크유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부유유닛에 결합되는 컬럼유닛; 및 전술한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컬럼유닛에는, 상기 레일유닛 상으로 상기 촬영유닛을 탑재 또는 설치 가능토록 개폐 가능한 촬영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의 데크유닛과 부력을 갖는 부유유닛 사이에서 상기 부유유닛에 대해 상기 데크유닛을 지지하는 컬럼유닛의 상부에 레일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한 촬영유닛을 상기 레일유닛에 탑재하며,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상기 촬영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컬럼유닛의 상부를 데모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유닛으로부터 상기 컬럼유닛의 상부에 대한 데모영상을 모니터링하여, 촬영대상영역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촬영유닛의 촬영방향 및 촬영초점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촬영유닛의 촬영방향과 촬영초점을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로 설정한 후,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에 대한 촬영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에 대한 촬영에 의해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여 상기 연결부의 영상을 확대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촬영검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검사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 또는 해상환경에서 필요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안검사를 실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검사를 위한 사다리와 같은 부가요소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들에 대한 유지관리가 불필요한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컬럼검사장치가 설치된 부유식 구조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컬럼검사장치가 설치된 컬럼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컬럼검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컬럼검사장치가 설치된 부유식 구조물의 부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는, 부유식 구조물의 데크유닛(100)과 부력을 갖는 부유유닛(110) 사이에서 부유유닛(110)에 대해 데크유닛(100)을 지지하는 컬럼유닛(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유닛(135)과, 레일유닛(135)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유닛(135)에 탑재되며 컬럼유닛(120)의 상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유닛(14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130)는, 해상환경에서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영역에 대한 검사를 레일유닛(13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촬영유닛(140)에 의해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안검사를 실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검사를 위한 사다리와 같은 부가요소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들에 대한 유지관리가 불필요하여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된다.
본 실시 예에서 촬영도어(122)와 레일유닛(135)은, 예시적으로 하나의 컬럼유닛(120)에 대해서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컬럼유닛들에도 설치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의 전술한 주요구성요소들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130)는, 데크유닛(100)과 부유유닛(110)을 결합하며 부유유닛(110)에 대해 데크유닛(100)을 지탱해주는 컬럼유닛(120)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촬영유닛(140)은, 후술되는 촬영전동차(144)와 카메라모듈(150)로 구성될 수 있는데, 레일유닛(135)을 따라 주행되는 촬영전동차(144)에 탑재되는 카메라모듈(150)에 의해 주로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를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유닛(140)의 촬영은, 데크유닛(100)의 내부에서 작업자에 의해 원격으로 진행된다. 즉 촬영유닛(140)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원격 조정되어 레일유닛(135)을 따라 이동되며, 촬영이 필요한 영역에 대한 촬영을 진행한다.
이러한 촬영을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영유닛(1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촬영전동차(144)와, 촬영전동차(144)에 배치되는 카메라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전동차(144)는, 카메라모듈(150)에 의해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가 촬영되도록 카메라모듈(150)의 촬영방향을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로 설정 가능한 촬영베이스(146)와, 촬영베이스(146)가 탑재되며 레일유닛(135)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전동카(14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유닛(140)이 레일유닛(135)에 탑재될 때, 촬영유닛(140)의 촬영방향 및 촬영초점을 주로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로 설정한다.
여기서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는, 구조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부분으로서 크랙이 진행되거나 파단이 발생되는 구조적인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수시로 검사 및 진단이 진행된다.
작업자는, 검사를 위해 후술되는 컬럼유닛(120)의 촬영도어(125)를 개방한 후, 촬영유닛(140)을 레일유닛(135) 상에 설치할 수 있다. 평상 시에는, 레일유닛(135)만이 해상으로 노출되며, 촬영유닛(140)은 촬영이 필요할 때 레일유닛(135)에 탑재될 수 있다.
전술한 촬영유닛(140)의 촬영베이스(146)는, 카메라모듈(150)이 고정되며, 카메라모듈(150)의 촬영방향이 조절되도록 진행방향을 따른 중심라인을 축으로 롤링각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베이스(146)는, 롤링뿐만 아니라 전술한 중심라인에 수직하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요잉각이 전동식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복수의 전동 스테이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모듈(150)로는, 상용화된 고해상도 및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카메라가 촬영베이스(146) 상에서 위치 고정 및 탈부착 가능하도록 촬영베이스(146)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카메라용 고정브라켓이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모듈(150)로는 디지털카메라뿐만 아니라, CCTV 및 감시용으로 사용되는 고해상의 CCD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모듈(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방향으로 촬영영역이 고정된 고정식의 렌즈부(157)를 갖기도 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영역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구성된 렌즈부(157)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렌즈부(157)의 움직임이 가능한 카메라모듈(150)은, 디지털 촬영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카메라본체(155)와, 카메라본체(155)에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렌즈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의 데크유닛(100)과 부력을 갖는 부유유닛(110) 사이에서 부유유닛(110)에 대해 데크유닛(100)을 지지하는 컬럼유닛(120)의 상부에 배치되되 컬럼유닛(120)의 외곽부를 따르도록 데크유닛(100)의 저면부에 배치되는 레일유닛(135)과, 레일유닛(135)을 따라 이동하도록 레일유닛(135)에 설치되며, 컬럼유닛(120)의 상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유닛(140)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13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의 촬영유닛(140)은, 레일유닛(135)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촬영전동차(144)와, 촬영전동차(144)의 상부로 탑재되는 카메라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모듈(150)이 촬영전동차(144)의 상부로 탑재가 가능하도록 촬영전동차(144)에 촬영베이스(146)가 설치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130)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레일유닛(135)이 컬럼유닛(120)이 아닌 데크유닛(100)의 저면부에 지지바(159)에 의해 설치된다.
즉 전술한 실시 예의 촬영유닛(140)의 카메라모듈(150)이 레일유닛(135) 상에서 이동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유닛(140)의 카메라모듈(150)은, 데크유닛(100)의 저면부에 매달린 레일유닛(135) 상에 탑재되어 이동된다. 이에 따른 촬영유닛(140)은 전술한 실시 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촬영베이스(146)가 레일유닛(135)의 하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촬영베이스(146)가 전동카(184)에 매달린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레일유닛(135)은, 데크유닛(100)의 하부에 고정식으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되진 않았으나 데크유닛(100)의 저면부가 개방되어 하방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촬영유닛(140)은 레일유닛(135)에 미리 탑재되어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를 촬영할 수 있도록 레일유닛(135)과 하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들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130)는, 컬럼유닛(120)의 외면부를 따라 레일유닛(135)이 설치되며, 레일유닛(135)을 따라 이동하면서 주로 컬럼유닛(120)과 데크유닛(100)의 연결부(125)를 촬영 가능토록 촬영유닛(140)을 구현하여 컬럼유닛(120)과 데크유닛(100)의 연결부(125)를 촬영할 수 있으며, 컬럼유닛(120)과 데크유닛(100)의 연결부(125)에 대한 크랙 또는 파단발생을 미리 진단할 수 있으므로, 컬럼유닛(120)과 데크유닛(100)의 연결부(125)로부터 초래되는 구조적인 문제를 미리 해결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해상에서 육안검사를 진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해상작업의 위험요인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를 부가적인 요소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생산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술한 컬럼검사장치(130)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럼검사장치(130)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은, 해상작업을 위한 설비와 장비들이 탑재되는 데크유닛(100)과, 데크유닛(100)을 해상에 대해 지지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유닛(110)과, 부유유닛(110)과 데크유닛(100) 사이에 배치되어 부유유닛(110)에 대해 데크유닛(100)을 지지하도록 데크유닛(100)과 부유유닛(110)에 결합되는 컬럼유닛(120)과, 전술한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컬럼검사장치(130)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은,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요소를 포함하는 촬영유닛(140)과, 촬영유닛(140)이 컬럼의 주위를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레일유닛(135)이 마련되므로, 작업자가 컬럼유닛(120)의 내부에서 외벽부로 이동하여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에 대한 육안검사를 진행할 필요가 없이 레일유닛(135)을 따라 이동하는 촬영유닛(140)에 의해 원격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컬럼을 따라 배치되는 사다리와 같이 육안검사에 필요한 요소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육안검사에 필요한 요소들의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컬럼유닛(120)에는, 레일유닛(135) 상으로 촬영유닛(140)을 탑재 또는 설치 가능토록 개폐 가능한 촬영도어(125)가 마련될 수 있다.
촬영도어(125)는, 작업자가 촬영유닛(140)을 레일유닛(135)에 탑재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컬럼유닛(120)의 내부공간을 따라 배치된 사다리를 따라 이동하여 촬영도어(125)를 개방한 후, 촬영유닛(140)을 레일유닛(135)에 설치할 수 있으며, 촬영유닛(140)을 원격 조정하여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에 대한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방법은, 전술한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130)를 이용하여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에 대한 검사를 주로 진행하는 방법으로서, 컬럼검사장치(130)의 상세한 구조와 작동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예들과 대동소이한 것으로 상정하며, 이들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컬럼에 대한 촬영을 진행하는 순서를 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방법은, 부유식 구조물의 데크유닛(100)과 부력을 갖는 부유유닛(110) 사이에서 부유유닛(110)에 대해 데크유닛(100)을 지지하는 컬럼유닛(120)의 상부에 레일유닛(135)을 배치하는 단계와, 레일유닛(135)을 따라 이동 가능한 촬영유닛(140)을 레일유닛(135)에 탑재하며, 레일유닛(135)을 따라 촬영유닛(140)을 이동시켜 컬럼유닛(120)의 상부를 데모 촬영하는 단계와, 촬영유닛(140)으로부터 컬럼유닛(120)의 상부에 대한 데모영상을 모니터링하여, 촬영대상영역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촬영유닛(140)의 촬영방향 및 촬영초점을 조절하는 단계와, 촬영유닛(140)의 촬영방향과 촬영초점을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로 설정한 후,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에 대한 촬영을 진행하는 단계와,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에 대한 촬영에 의해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여 연결부(125)의 영상을 확대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유닛(140)은, 카메라모듈(150)은, 초점과 촬영방향이 자동으로 원격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카메라모듈(1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영상전송라인을 통해 작업자의 모니터로 전송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이를 확대 분석하여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에 대한 구조적인 결함이 있는지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방법에 의하면, 검사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지역 또는 해상환경에서 필요한 검사를 레일유닛(13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촬영유닛(140)에 의해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안검사를 실시할 때 발생되는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검사를 위한 사다리와 같은 부가요소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들에 대한 유지관리가 불필요하여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며, 데크유닛(100)과 컬럼유닛(120)의 연결부(125)에 대한 구조적인 위험을 미리 진단하여 연결부(125)의 구조적인 문제를 사전에 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데크유닛 110: 부유유닛
120: 컬럼유닛 122: 촬영도어
125: 연결부
130: 컬럼검사장치 135: 레일유닛
140: 촬영유닛 144: 촬영전동차
146: 촬영베이스 148: 전동카
150: 카메라모듈 155: 카메라본체
157: 렌즈부 159: 지지바

Claims (8)

  1. 부유식 구조물의 데크유닛과 부력을 갖는 부유유닛 사이에서 상기 부유유닛에 대해 상기 데크유닛을 지지하는 컬럼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레일유닛; 및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유닛에 탑재되며, 상기 컬럼유닛의 상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촬영전동차; 및
    상기 촬영전동차에 배치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전동차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가 촬영되도록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로 설정 가능한 촬영베이스; 및
    상기 촬영베이스가 탑재되며, 상기 레일유닛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전동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디지털 촬영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카메라본체; 및
    상기 카메라본체에 상하 또는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렌즈부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5. 부유식 구조물의 데크유닛과 부력을 갖는 부유유닛 사이에서 상기 부유유닛에 대해 상기 데크유닛을 지지하는 컬럼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컬럼유닛의 외곽부를 따르도록 상기 데크유닛의 저면부에 지지바에 의해 배치되는 레일유닛; 및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컬럼유닛의 상부를 촬영하도록 마련되는 촬영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촬영유닛은,
    상기 레일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는 촬영전동차; 및
    상기 촬영전동차의 상부로 탑재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6. 해상작업을 위한 설비와 장비들이 탑재되는 데크유닛;
    상기 데크유닛을 해상에 대해 지지하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유닛;
    상기 부유유닛과 상기 데크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부유유닛에 대해 상기 데크유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부유유닛에 결합되는 컬럼유닛; 및
    상기 제1 항 내지 제5 항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유닛에는, 상기 레일유닛 상으로 상기 촬영유닛을 탑재 또는 설치 가능토록 개폐 가능한 촬영도어가 마련되는 부유식 구조물.
  8. 부유식 구조물의 데크유닛과 부력을 갖는 부유유닛 사이에서 상기 부유유닛에 대해 상기 데크유닛을 지지하는 컬럼유닛의 상부에 레일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이동 가능한 촬영유닛을 상기 레일유닛에 탑재하며, 상기 레일유닛을 따라 상기 촬영유닛을 이동시켜 상기 컬럼유닛의 상부를 데모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유닛으로부터 상기 컬럼유닛의 상부에 대한 데모영상을 모니터링하여, 촬영대상영역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상기 촬영유닛의 촬영방향 및 촬영초점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촬영유닛의 촬영방향과 촬영초점을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로 설정한 후,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에 대한 촬영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에 대한 촬영에 의해 상기 데크유닛과 상기 컬럼유닛의 연결부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여 상기 연결부의 영상을 확대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의 촬영검사방법.
KR1020140047481A 2014-04-21 2014-04-21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150121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481A KR20150121521A (ko) 2014-04-21 2014-04-21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481A KR20150121521A (ko) 2014-04-21 2014-04-21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521A true KR20150121521A (ko) 2015-10-29

Family

ID=5443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481A KR20150121521A (ko) 2014-04-21 2014-04-21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5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56019B (zh) 具有脱离的系缆和/或立管系统的系泊系统
KR101750614B1 (ko) 수중 구조물 검사장치
CN105705852B (zh) 海上管道铺设和管线废置方法
GB2174648A (en) Installation and removal vessel
JPS598895A (ja) 可撓性流路配管を処理船へ繋ぐム−ンプ−ルプラグ
CA2872818A1 (en) Offshore aquaculture system
JPS61501017A (ja) 遠隔操作潜水艇
US20180136144A1 (en) Video camera inspection system
DE2543293B2 (de) Unterwasser-bohreinrichtung
US10471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underwater platforms
US334705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erecting, and salvaging off-shore structures
KR101753993B1 (ko) 부유식 구조물을 연결하는 방법
KR102630564B1 (ko) 진수 방법
US7849810B2 (en) Mating of buoyant hull structure with truss structure
Wang et al. A low-deck floatover installation technology with strand jack lifting scheme
KR20150121521A (ko) 부유식 구조물의 컬럼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20170106853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CN106458294A (zh) 具有可缩回式肘板框架组件的船舶
RU2519580C2 (ru) Морская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RU2581430C1 (ru) Плавучий док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объектов с несудовыми обводами
KR102544957B1 (ko) 침몰선 인양용 선박유닛
Sablok et al. Disconnectable arctic spar
KR101875917B1 (ko) 해저 파이프 라인 검사용 부유식 구조물
NO20131180A1 (no) Moonpool i sentrum
JP5351929B2 (ja) ハンガーレール装置組立用支持具、ハンガーレール装置の組立方法及びハンガーレール装置の取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