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389A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389A
KR20150121389A KR1020140046963A KR20140046963A KR20150121389A KR 20150121389 A KR20150121389 A KR 20150121389A KR 1020140046963 A KR1020140046963 A KR 1020140046963A KR 20140046963 A KR20140046963 A KR 20140046963A KR 20150121389 A KR20150121389 A KR 20150121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sulating layer
pixel
electrod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화
정광철
임태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389A/ko
Priority to US14/525,745 priority patent/US9601526B2/en
Publication of KR2015012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77Cells with plural compartments or having plurality of liquid crystal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ne microcell per pix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09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e.g.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switching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상기 화소 전극과 미세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지붕층, 상기 미세 공간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지붕층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여 상기 미세 공간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 부재, 상기 미세 공간을 채우고 있는 액정층, 및 상기 주입구를 덮도록 상기 지붕층 바로 위에 형성되어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덮개막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층은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며,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두 장의 표시판은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과 대향 표시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는 게이트 신호를 전송하는 게이트선과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선이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고,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과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대향 표시판에는 차광부재, 색필터, 공통 전극 등이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차광 부재, 색필터, 공통 전극이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두 장의 기판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두 장의 기판 위에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가 무겁고, 두꺼우며, 비용이 많이 들고,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기판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함으로써, 무게, 두께, 비용 및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마스크 수를 감소시키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개구율 저하를 막을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상기 화소 전극과 미세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지붕층, 상기 미세 공간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지붕층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여 상기 미세 공간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 부재, 상기 미세 공간을 채우고 있는 액정층, 및 상기 주입구를 덮도록 상기 지붕층 바로 위에 형성되어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덮개막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층은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다.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지붕층 돌출부는 가로 차광 부재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 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는 각각의 상기 미세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각각의 미세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제1 골짜기의 가로 차광 부재의 폭과,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제1 골짜기의 가로 차광 부재의 폭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마주 보는 미세 공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 부재에서, 하나의 미세 공간에 형성된 지지 부재는 계단 부재가 존재하지 않고, 다른 미세 공간에 형성된 지지 부재는 계단 부재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지붕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지붕층 사이에 절연층이 존재하며, 상기 절연층은 무기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지붕층은 유기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5000Å 내지 10000Å 일 수 있다.
상기 주입구에서 상기 지붕층의 가장자리, 상기 절연층의 가장자리 및 상기 공통 전극의 가장자리가 수직으로 일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상기 화소 전극과 미세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층, 상기 미세 공간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절연층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여 상기 미세 공간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 부재, 상기 미세 공간을 채우고 있는 액정층, 및 상기 주입구를 덮도록 상기 절연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덮개막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무기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5000Å 내지 10000Å 일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절연층 돌출부는 가로 차광 부재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 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는 각각의 상기 미세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각각의 미세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제1 골짜기의 가로 차광 부재의 폭과,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제1 골짜기의 가로 차광 부재의 폭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마주 보는 미세 공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 부재에서, 하나의 미세 공간에 형성된 지지 부재는 계단 부재가 존재하지 않고, 다른 미세 공간에 형성된 지지 부재는 계단 부재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화소 전극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절연층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절연층과 동일한 물질 및 덮개막과 동일한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에서 상기 절연층의 가장자리 및 상기 공통 전극의 가장자리가 수직으로 일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영역 내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 위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통 전극 위에 지붕층을 형-하고, 상기 개구부 내에 지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지붕층을 패터닝하여 주입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지붕층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희생층을 제거하고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미세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주입구를 통해 액정 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미세 공간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붕층 바로 위에 덮개막을 형성하여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붕층은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진다.
상기 지지 부재는 화소 전극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주입구에서 상기 지붕층의 가장자리 및 상기 공통 전극의 가장자리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영역 내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 위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통 전극 위에 절연층을 형-하고, 상기 개구부 내에 지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주입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절연층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희생층을 제거하고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미세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주입구를 통해 액정 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미세 공간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붕층 바로 위에 덮개막을 형성하여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는 화소 전극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주입구에서 상기 절연층의 가장자리 및 상기 공통 전극의 가장자리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하나의 기판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함으로써, 무게, 두께, 비용 및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주입구에 인접하여 지붕층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지붕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 부재 형성 위치만큼 지붕층이 돌출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개구율 감소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지붕층과 공통 전극 사이의 절연층을 생략하거나, 지붕층을 생략함으로써 사용 마스크의 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VI-VI선을 따라 잘라 나타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VII-VI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와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V-V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과 동일한 단면을 나타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 중 지지부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화소에 대하여 도 12와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7과 동일한 위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을 XVII-XV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7은 도 9 내지 도 15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편의상 도 1 및 도 2에는 일부 구성 요소만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은 복수의 화소 영역을 기준으로 지지 부재의 형성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복수의 미세 공간을 기준으로 지지 부재의 형성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기판(110), 기판(1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지붕층(360)을 포함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지붕층(360)이 제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편의를 위하여, 지붕층(360)이 존재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기판(110)은 복수의 화소 영역(PX)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 영역(PX)은 복수의 화소 행과 복수의 화소 열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화소 영역(PX)은 제1 부화소 영역(PXa) 및 제2 부화소 영역(PX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화소 영역(PXa) 및 제2 부화소 영역(PXb)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 사이에는 화소 행 방향을 따라서 제1 골짜기(V1)가 위치하고 있고, 복수의 화소 열 사이에는 제2 골짜기(V2)가 위치하고 있다.
지붕층(360)은 복수의 화소 행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골짜기(V1)에서는 지붕층(360)이 제거되어 지붕층(360)에 의해 덮여 있는 미세 공간(305)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주입구(307)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1 부화소 영역(PXa) 및 제2 부화소 영역(PXb)은 하나의 주입구(30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부화소 영역(PXa)의 하측변에 대응하여 주입구(307)가 형성되고, 제2 부화소 영역(PXb)의 상측변에 대응하여 주입구(307)가 형성되어, 두 주입구(307)는 서로 마주보게 된다.
지붕층(360) 아래에는 주입구(307)와 인접하여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어 있다. 지붕층(360)의 아래에는 미세 공간(305)이 형성되어 있으며, 미세 공간(305)의 입구에 해당하는 주입구(307)에서 지붕층(360)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서는 주입구(307)와 인접하여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어 지붕층(360)을 지지하게 되므로, 주입구(307) 주변의 지붕층(36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365)는 하나의 미세 공간(305)에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부화소 영역(PXa) 및 제2 부화소 영역(PXb)에 동일한 개수의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마주보는 미세 공간(305)에서 지지 부재(365)의 형성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부화소 영역(PXa)에 한 개의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고 제2 부화소 영역(PXb)에는 두 개의 지지부재(365)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도 1을 참고하면, 지붕층(360)은 지지부재(365)가 형성된 위치만큼 돌출되어 있다. 즉, 지붕층(360)은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영역으로 돌출된 돌출부(367)를 갖는다. 따라서,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쪽의 지붕층(360)의 가장자리는 평행하지 않으며, 지지 부재(365)의 수와 동일한 수의 돌출부(367)가 형성되어 있다. 지붕층(360)이 이렇게 지지 부재(365)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키며 지붕층(360)이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돌출하므로 개구율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조 및 효과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지지 부재(365)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미세 공간(305)의 마주보는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미세 공간(305)은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세 공간(305)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첫 번째 행의 미세 공간(305)의 하측 가장자리와 두 번째 행의 미세 공간(305)의 상측 가장자리가 서로 마주보게 된다. 이때, 지지 부재(365)는 서로 마주 보는 첫 번째 행의 미세 공간(305)의 하측 가장자리와 두 번째 행의 미세 공간(305)의 상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주입구(307)는 각각의 미세 공간(305)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미세 공간(305)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는 서로 마주보게 되며, 주입구(307)는 미세 공간(305)의 윗변과 아랫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365)는 각각의 미세 공간(305)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307) 중 어느 하나의 주입구(307)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주입구(307)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65)가 홀수 번째 행의 미세 공간(305)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형성되고, 상측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 부재(365)는 짝수 번째 행의 미세 공간(305)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형성되고, 하측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서로 다른 행에 위치한 미세 공간(305)들 사이에는 제1 골짜기(V1)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365)의 위치를 제1 골짜기(V1)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지지 부재(365)는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365)는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 및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 중 어느 하나의 제1 골짜기(V1)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제1 골짜기(V1)에 인접하여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65)가 첫 번째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두 번째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하나의 미세 공간(305)이 인접한 두 개의 화소 영역(PX)의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미세 공간(305)은 하나의 화소 영역(PX)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 대하여 더욱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V-V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VI-VI선을 따라 잘라 나타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VII-VII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는 지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화소를 도시하고 있고, 도 4 및 도 6은 지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화소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기판(110) 위에 복수의 게이트선(121), 복수의 감압 게이트선(123) 및 복수의 유지 전극선(131)을 포함하는 복수의 게이트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 및 감압 게이트선(123)은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게이트 신호를 전달한다. 게이트 도전체는 게이트선(121)으로부터 위아래로 돌출한 제1 게이트 전극(124h) 및 제2 게이트 전극(124l)을 더 포함하고, 감압 게이트선(123)으로부터 위로 돌출한 제3 게이트 전극(124c)을 더 포함한다. 제1 게이트 전극(124h) 및 제2 게이트 전극(124l)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돌출부를 이룬다. 이때, 제1, 제2, 및 제3 게이트 전극(124h, 124l, 124c)의 돌출 형태는 변경이 가능하다.
유지 전극선(131)도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공통 전압(Vcom) 등의 정해진 전압을 전달한다. 유지 전극선(131)은 위 아래로 돌출한 유지 전극(129), 게이트선(121)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아래로 뻗은 한 쌍의 세로부(134) 및 한 쌍의 세로부(134)의 끝을 서로 연결하는 가로부(127)를 포함한다. 가로부(127)는 아래로 확장된 용량 전극(137)을 포함한다.
게이트 도전체(121, 123, 124h, 124l, 124c, 131)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gate insulating layer)(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140)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제1 반도체(154h), 제2 반도체(154l), 및 제3 반도체(154c)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반도체(154h)는 제1 게이트 전극(124h) 위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반도체(154l)는 제2 게이트 전극(124l)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3 반도체(154c)는 제3 게이트 전극(124c)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반도체(154h)와 제2 반도체(154l)는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반도체(154l)와 제3 반도체(154c)도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반도체(154h)는 데이터선(171)의 아래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반도체(154h, 154l, 154c)는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금속 산화물(metal ox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반도체(154h, 154l, 154c) 위에는 각각 저항성 접촉 부재(ohmic contact)(도시하지 않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는 실리사이드(silicide) 또는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n+ 수소화 비정질 규소 따위의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반도체(154h, 154l, 154c) 위에는 데이터선(data line)(171), 제1 소스 전극(173h), 제2 소스 전극(173l), 제3 소스 전극(173c), 제1 드레인 전극(175h), 제2 드레인 전극(175l),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게이트선(121) 및 감압 게이트선(123)과 교차한다. 각 데이터선(171)은 제1 게이트 전극(124h) 및 제2 게이트 전극(124l)을 향하여 뻗으며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소스 전극(173h) 및 제2 소스 전극(173l)을 포함한다.
제1 드레인 전극(175h), 제2 드레인 전극(175l)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은 넓은 한 쪽 끝 부분과 막대형인 다른 쪽 끝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드레인 전극(175h) 및 제2 드레인 전극(175l)의 막대형 끝 부분은 제1 소스 전극(173h) 및 제2 소스 전극(173l)으로 일부 둘러싸여 있다. 제2 드레인 전극(175l)의 넓은 한 쪽 끝 부분은 다시 연장되어 'U'자 형태로 굽은 제3 소스 전극(173c)을 이룬다. 제3 드레인 전극(175c)의 넓은 끝 부분(177c)은 용량 전극(137)과 중첩하여 감압 축전기(Cstd)를 이루며, 막대형 끝 부분은 제3 소스 전극(173c)으로 일부 둘러싸여 있다.
제1 게이트 전극(124h), 제1 소스 전극(173h), 및 제1 드레인 전극(175h)은 제1 반도체(154h)와 함께 제1 박막 트랜지스터(Qh)를 형성하고, 제2 게이트 전극(124l), 제2 소스 전극(173l), 및 제2 드레인 전극(175l)은 제2 반도체(154l)와 함께 제2 박막 트랜지스터(Ql)를 형성하며, 제3 게이트 전극(124c),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은 제3 반도체(154c)와 함께 제3 박막 트랜지스터(Qc)를 형성한다.
제1 반도체(154h), 제2 반도체(154l), 및 제3 반도체(154c)는 서로 연결되어 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스 전극(173h, 173l, 173c)과 드레인 전극(175h, 175l, 175c) 사이의 채널 영역을 제외하고는 데이터 도전체(171, 173h, 173l, 173c, 175h, 175l, 175c) 및 그 하부의 저항성 접촉 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1 반도체(154h)에는 제1 소스 전극(173h)과 제1 드레인 전극(175h) 사이에서 제1 소스 전극(173h) 및 제1 드레인 전극(175h)에 의해 가리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있고, 제2 반도체(154l)에는 제2 소스 전극(173l)과 제2 드레인 전극(175l) 사이에서 제2 소스 전극(173l) 및 제2 드레인 전극(175l)에 의해 가리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있으며, 제3 반도체(154c)에는 제3 소스 전극(173c)과 제3 드레인 전극(175c) 사이에서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드레인 전극(175c)에 의해 가리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있다.
데이터 도전체(171, 173h, 173l, 173c, 175h, 175l, 175c) 및 각 소스 전극(173h/173l/173c)과 각 드레인 전극(175h/175l/175c) 사이로 노출되어 있는 반도체(154h, 154l, 154c) 위에는 보호막(18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180)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80) 위에는 각 화소 영역(PX) 내에 색필터(230)가 형성되어 있다. 각 색필터(230)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색필터(230)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옐로(yellow), 화이트 계열의 색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색필터(230)는 이웃하는 데이터선(171) 사이를 따라서 열 방향으로 길게 뻗을 수도 있다.
이웃하는 색필터(230) 사이의 영역에는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다. 차광 부재(220)는 화소 영역(PX)의 경계부, 박막 트랜지스터, 지지 부재(365)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 색필터(230)는 각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에 형성되고,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 사이에는 차광 부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차광 부재(220)는 게이트선(121) 및 감압 게이트선(123)을 따라 뻗어 위아래로 확장되어 있으며 제1 박막 트랜지스터(Qh), 제2 박막 트랜지스터(Ql) 및 제3 박막 트랜지스터(Qc) 등이 위치하는 영역을 덮는 가로 차광 부재(220a)와 데이터선(171)을 따라 뻗어 있는 세로 차광 부재(220b)를 포함한다. 즉, 가로 차광 부재(220a)는 제1 골짜기(V1)에 형성되고, 세로 차광 부재(220b)는 제2 골짜기(V2)에 형성될 수 있다. 색필터(230)와 차광 부재(220)는 일부 영역에서 서로 중첩될 수도 있다.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 위에는 제1 절연층(2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240)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절연층(240)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절연층(240), 차광 부재(220), 보호막(180)에는 제1 드레인 전극(175h)의 넓은 끝 부분과 제2 드레인 전극(175l)의 넓은 끝 부분을 각각 드러내는 복수의 제1 접촉 구멍(185h) 및 복수의 제2 접촉 구멍(185l)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절연층(240) 위에는 화소 전극(191)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 전극(191)은 게이트선(121) 및 감압 게이트선(12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어, 게이트선(121) 및 감압 게이트선(123)을 중심으로 화소 영역(PX)의 위와 아래에 배치되어 열 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부화소 전극(191h)과 제2 부화소 전극(191l)을 포함한다. 즉, 제1 부화소 전극(191h)과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1 골짜기(V1)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으며, 제1 부화소 전극(191h)은 제1 부화소 영역(PXa)에 위치하고,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2 부화소 영역(PXb)에 위치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1 접촉 구멍(185h) 및 제2 접촉 구멍(185l)을 통하여 각기 제1 드레인 전극(175h) 및 제2 드레인 전극(175l)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박막 트랜지스터(Qh)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Ql)가 온 상태일 때 제1 드레인 전극(175h) 및 제2 드레인 전극(175l)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 각각의 전체적인 모양은 사각형이며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 각각은 가로 줄기부(193h, 193l), 가로 줄기부(193h, 193l)와 교차하는 세로 줄기부(192h, 192l)로 이루어진 십자형 줄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각각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h, 194l), 부화소 전극(191h, 191l)의 가장자리 변에서 아래 또는 위로 돌출된 돌출부(197h, 197l)를 포함한다.
화소 전극(191)은 가로 줄기부(193h, 193l)와 세로 줄기부(192h, 192l)에 의해 4개의 부영역으로 나뉘어진다. 미세 가지부(194h, 194l)는 가로 줄기부(193h, 193l) 및 세로 줄기부(192h, 192l)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 있으며 그 뻗는 방향은 게이트선(121) 또는 가로 줄기부(193h, 193l)와 대략 45도 또는 135도의 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두 부영역의 미세 가지부(194h, 194l)가 뻗어 있는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부화소 전극(191h)은 외곽을 둘러싸는 외곽 줄기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는 가로부 및 제1 부화소 전극(191h)의 좌우에 위치하는 좌우 세로부(198)를 더 포함한다. 좌우 세로부(198)는 데이터선(171)과 제1 부화소 전극(191h) 사이의 용량성 결합, 즉 커플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화소 영역의 배치 형태,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 및 화소 전극의 형상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화소 전극(191) 위에는 화소 전극(191)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이격되도록 공통 전극(270)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 사이에는 미세 공간(microcavity, 305)이 형성되어 있다. 즉, 미세 공간(305)은 화소 전극(191) 및 공통 전극(27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미세 공간(305)의 폭과 넓이는 표시 장치의 크기 및 해상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 사이에 별도의 절연층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공통 전극(270)과 화소 전극(191)이 서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단락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 공정을 간단히 하고 사용되는 마스크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공통 전극(270)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통 전극(270)에는 일정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 사이에 전계가 형성될 수 있다.
화소 전극(191) 위에는 제1 배향막(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향막(11)과 마주보도록 공통 전극(270) 아래에는 제2 배향막(2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향막(11)과 제2 배향막(21)은 수직 배향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폴리 아믹산(Polyamic acid), 폴리 실록산(Polysiloxane), 폴리 이미드(Polyimide) 등의 배향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배향막(11, 21)은 화소 영역(PX)의 가장자리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 사이에 위치한 미세 공간(305) 내에는 액정 분자(310)들로 이루어진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다. 액정 분자(310)들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판(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 있을 수 있다. 즉, 수직 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공통 전극(270)과 함께 전기장을 생성함으로써 두 전극(191, 270) 사이의 미세 공간(305) 내에 위치한 액정 분자(310)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액정 분자(310)의 방향에 따라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휘도가 달라진다.
공통 전극(270) 위에는 제2 절연층(3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350)은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2 절연층(350) 위에는 지붕층(360)이 형성되어 있다. 지붕층(360)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절연층(350)은 무기 절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붕층(360)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통 전극 위의 층이 무기층 및 유기층의 이중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붕층(360)은 생략될 수 있으며, 지붕층이 생략된 대신에 제2 절연층(350)의 두께가 두꺼워져 지붕층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다만, 지붕층(360)이 생략되고 제2 절연층(350)이 지붕층으로 기능하는 경우, 하기 지붕층(360)에 대한 설명은 제2 절연층(3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지붕층(360)의 아래에는 미세 공간(305)이 형성되어 있고, 지붕층(360)은 경화 공정에 의해 단단해져 미세 공간(305)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지붕층(360)은 화소 전극(191)과 미세 공간(305)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붕층(360)은 화소 행을 따라 각 화소 영역(PX) 및 제2 골짜기(V2)에 형성되며, 제1 골짜기(V1)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즉, 지붕층(360)은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 사이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각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에서는 각 지붕층(360)의 아래에 미세 공간(30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골짜기(V2)에서는 지붕층(360)의 아래에 미세 공간(305)이 형성되지 않으며, 기판(110)에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골짜기(V2)에 위치하는 지붕층(360)의 두께가 각 제1 부화소 영역(PXa) 및 제2 부화소 영역(PXb)에 위치하는 지붕층(36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미세 공간(305)의 상부면 및 양측면은 지붕층(360)에 의해 덮여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지붕층(360)에는 미세 공간(305)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주입구(307)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307)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입구(307)는 제1 부화소 영역(PXa)의 하측 변, 제2 부화소 영역(PXb)의 상측 변에 대응하여 미세 공간(305)의 측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주입구(307)의 형성 위치를 미세 공간(305)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주입구(307)는 각각의 미세 공간(305)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307)에 의해 미세 공간(305)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주입구(307)를 통해 미세 공간(305) 내부로 배향액 또는 액정 물질 등을 주입할 수 있다.
주입구(307)에 인접하여 미세 공간(305)에 기둥 형상으로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365)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미세 공간(305)의 마주 보는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미세 공간(305)에는 두 개의 주입구(307)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미세 공간(305)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에 각각 주입구(307)가 위치하게 된다. 지지 부재(365)는 두 개의 주입구(307) 중 어느 하나의 주입구(307)에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주입구(307)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미세 공간(305)의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주입구(307)에 인접하여 지지 부재(36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미세 공간(305)의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주입구(307)에 인접한 위치에는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지 않는다.
지지 부재(365)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지지 부재(365)는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서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배향막(11) 및 제2 배향막(21)은 배향액을 주입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배향액의 건조 과정에서 고형분이 한 곳으로 몰리게 되어 배향막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서는 미세 공간(305)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주입구(307)에 인접하도록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미세 공간(305)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주입구(307)에서의 모세관력(capillary force)이 서로 상이하다.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307)에서의 모세관력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307)의 주변에서 배향막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배향막의 뭉침 현상이 발생한 지점에서는 광이 제대로 통과할 수 없어 화면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서는 배향막의 뭉침 현상이 제1 부화소 영역(PXa) 또는 제2 부화소 영역(PXb)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65)와 중첩하도록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므로 배향막의 뭉침 현상이 불량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365)를 주입구(307)에 가깝게 형성할수록 차광 부재(220)를 형성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개구율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배향막의 뭉침 현상이 발생한 부분에서는 지붕층(360)의 처짐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에서는 배향막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에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어 지붕층(360)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지붕층(36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365)는 지붕층(360)과 연결되어 있으며, 지붕층(36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부재(365)의 아래에는 제2 절연층(350) 및 공통 전극(270)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365)는 화소 전극(191)과 중첩되지 않으며, 공통 전극(270)과 중첩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지지 부재(365)는 지붕층(360)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 부재(365)의 아래에 제2 절연층(350) 및 공통 전극(270)이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지지 부재(365)는 화소 전극과 중첩하지 않는다. 지지 부재(365)는 화소 전극이 형성된 영역에 형성되지 않고 게이트 선 및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가로 차광 부재(220a)에 의하여 차단되는 영역 안에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제1 골짜기의 가로 차광 부재(220a)의 세로폭(B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지 않은 제1 골짜기의 가로 차광 부재(220a)의 세로폭(B2)이 동일하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붕층(360)은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영역으로 돌출된 돌출부(367)를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367)를 통해 지지 부재(365)가 지붕층(36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영역에만 지붕층(360)이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지붕층(360)이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까지 전체적으로 돌출된 경우에 비하여 개구율이 높아지게 된다.
지붕층 돌출부(367)는 지지 부재(365)의 형상과 유사하며, 지지 부재(365) 보다 크기가 커서 지지부재를 모두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붕층 돌출부(367)는 지지 부재(365)의 수와 동일 수로 존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65)가 가로 차광 부재(220a)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 내 존재하므로, 지붕층 돌출부(367) 또한 가로 차광 부재(220a)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 내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미세 공간(305)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지지 부재(365)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미세 공간(305)마다 2개의 지지 부재(365)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미세 공간(305)을 더 크게 형성하거나 지지 부재(365)의 크기를 더 줄일 경우에는 하나의 미세 공간(305)에 형성하는 지지 부재(365)의 개수를 더 늘릴 수 있다.
지지 부재(365)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부재(365)와 지붕층(360) 사이에는 계단 부재(36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계단 부재(362)는 지지 부재(365)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단 부재(362)는 지지 부재(365)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계단 부재(362), 지지 부재(365) 및 지붕층(360)이 모두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붕층(360) 위에는 덮개막(39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비교예에서는, 지붕층(360) 위에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제3 절연층(370)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는, 제3 절연층(370)을 생략하고 지붕층(360)위에 바로 덮개막(390)을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단히 하였다.
따라서, 제조 공정에서 지붕층(360)을 마스크로 하여 하부 구조물인 제2 절연층(350), 공통전극(270) 등을 식각하므로 지붕층에 처마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층(360)의 가장자리가 하부 구조물의 가장자리와 일치하게 존재한다.
덮개막(390)은 미세 공간(305)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주입구(307)를 덮도록 형성된다. 즉, 덮개막(390)은 미세 공간(305)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 분자(310)가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미세 공간(305)을 밀봉할 수 있다. 덮개막(390)은 액정 분자(310)과 접촉하게 되므로, 액정 분자(310)과 반응하지 않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덮개막(390)은 페릴렌(Paryle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막(390)은 이중막, 삼중막 등과 같이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중막은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삼중막은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인접하는 층의 물질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덮개막(390)은 유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층과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표시 장치의 상하부 면에는 편광판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편광판은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편광판은 기판(110)의 하부 면에 부착되고, 제2 편광판은 덮개막(390) 위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5와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의 V-V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앞선 실시예와 가장 큰 차이점은 제2 부화소 전극(Pxb)에 형성된 지지 부재(365)에 계단 부재(362)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부화소 전극(Pxa)에 형성된 지지 부재(365)에만 계단 부재(362)가 존재하고, 제2 부화소 전극(Pxb)에 형성된 지지 부재(365)에는 계단 부재(362)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제1 부화소 전극(Pxa)은 상대적으로 배향막의 뭉침에 취약하지만, 제2 부화소 전극(Pxb)은 상대적으로 배향막의 뭉치는 경우에도 강건하므로, 제1 부화소 전극(Pxa)의 지붕층 처짐을 막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즉, 제1 부화소 전극(Pxa)의 지지 부재(365)에만 계단 부재(362)를 형성함으로써, 제1 부화소 전극(Pxa)의 배향막 뭉침 및 지붕층 처짐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라 나타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0과 동일한 단면을 나타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동일한 부분이 상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앞선 실시예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지붕층(360)이 제거되고, 제2 절연층(350)이 지붕층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제2 절연층(350)은 무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지붕층 역할을 하는 제2 절연층(350)은 무기층일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2 절연층(350)의 두께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제2 절연층(35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2 절연층(350)의 두께는, 지붕층이 존재하는 표시 장치의 제2 절연층(350)의 두께보다 4배 이상 두꺼울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2 절연층의 두께는 5000Å 내지 10000Å 사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붕층을 제거함으로써 표시 장치 제조시 지붕층 형성 공정이 생략되므로 제조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지붕층의 역할은 두께가 두꺼워진 제2 절연층이 수행하므로, 표시 장치의 구조적 안정성 또한 충분히 확보된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 절연층(350) 또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지지 부재(365)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57)를 갖는다. 따라서 돌출부(357) 형성에 의한 개구율 개선 효과 및 구조적 안정성 확보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도 지지 부재(365) 및 제2 절연층 돌출부(357)가 가로 차광 부재(220a)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 내 존재하므로 개구율이 감소되지 않는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365)는 제2 절연층(350) 및 덮개막(39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절연층(350)이 지지 부재(365)의 일부를 채우고, 중앙의 빈 공간은 덮개막(390)으로 메워질 수 있다.
또는 도 11을 참고하면 지지 부재(365)는 제2 절연층(350)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제2 절연층(35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지지 부재(365)는 제2 절연층(350) 단독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2 절연층(350) 및 덮개막(390)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또는 지지 부재(365)는 제2 절연층(350) 및 덮개막(390)이 아닌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지지 부재(365)는 제2 절연층(350) 및 덮개막(390)과 상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제2 부화소 전극(Pxb)에 형성된 지지 부재(365)에 계단 부재(362)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제1 부화소 전극(PXa) 및 제2 부화소 전극(PXb)에 존재하는 지지 부재(365)에 계단 부재(362)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부화소 전극(Pxa)에 형성된 지지 부재(365)에만 계단 부재(362)가 존재하고, 제2 부화소 전극(Pxb)에 형성된 지지 부재(365)에는 계단 부재(362)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제1 부화소 전극(Pxa)은 상대적으로 배향막의 뭉침에 취약하지만, 제2 부화소 전극(Pxb)은 상대적으로 배향막의 뭉치는 경우에도 강건하므로, 제1 부화소 전극(Pxa)의 제2 절연층 처짐을 막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즉, 제1 부화소 전극(Pxa)의 지지 부재(365)에만 계단 부재(362)를 형성함으로써, 제1 부화소 전극(Pxa)의 배향막 뭉침 및 처짐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예 중 지지부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화소에 대하여 도 12와 동일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지붕층(360)이 존재하지 않고, 지붕층 대신 제2 절연층(350)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절연층(350)은 제1 골짜기(V1)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도 7과 동일한 위치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그러면,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지붕층(360)이 존재하지 않고 제2 절연층(350)이 두껍게 형성되었으며, 그 위에 덮개막(390)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지붕층(360)의 형성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지지 부재(365)는 가로 차광 부재(220a)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 내에 형성되며, 제2 절연층(350)이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영역으로 돌출된 돌출부(357)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365)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개구율이 감소하지 않아 높은 개구율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6 내지 도 1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의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을 XVII-XVII 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고로 하면 지지 부재(365)는 게이트 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과 중첩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365)는 게이트선 및 게이트 전극 하부 또는 상부에 분리되어 위치하고,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위치만큼 가로 차광 부재(220a)의 폭(B3)이 확장되어 있다. 즉, 본 발명 비교예에서는 지지 부재(365)의 형성으로 인해 차광 부재가 차지하는 면적이 늘어나고 개구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지지 부재(365)가 게이트 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과 중첩하여 형성되고, 가로 차광 부재(220a)의 폭(B1)이 확장되지 않으므로 개구율이 감소되지 않는다. 또한, 지붕층(또는 제3 절연층)이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부분만큼 돌출됨으로써 추가적인 개구율 감소를 막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 비교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경우 지붕층(360) 및 지붕층 위의 제3 절연층(370)이 모두 존재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 제조 과정에서 많은 수의 마스크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3 절연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3 절연층 및 지붕층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조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마스크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7을 참고로 하면, 지붕층(360) 및 지붕층 위의 제3 절연층(370)이 존재하는 본 발명 비교예의 경우, 제1 골짜기에서 지붕층(360)의 처마()가 생성되었다. 지붕층(360)의 처마란, 지붕층(360)의 일 끝보다 더 길게 제3 절연층(370)등이 형성된 영역이다. 즉 도 17에서 지붕층(360)의 측면에 형성된 제3 절연층(370)을 의미한다. 도 17에서 지붕층(360)의 가장자리가 하부 구조물의 가장자리와 일치하지 않는데, 이렇게 지붕층(360)은 형성되지 않았지만 하부 구조물이 존재하는 부분이 처마이다. 도 17에서는 처마가 제3 절연층(370)의 폭 정도로만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처마는 더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처마는 제조 공정에서 쉽게 깨지며 구조적 불안정성을 유발한다.
그러나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지붕층(360)위에 제3 절연층(370)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처마도 존재하지 않는다. 즉, 도 5를 참고하면 지붕층(360)의 가장자리와, 지붕층 하부 구조물의 가장자리가 일치한다. 따라서 처마 깨짐에 의한 구조적 불안정성을 예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지붕층(360)이 존재하지 않고, 제2 절연층(350)의 가장자리와 하부 구조물의 가장자리가 일치한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처마가 존재하지 않으며, 처마 깨짐에 의한 구조적 불안정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 내지 도 8, 도 18 내지 도 2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1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110) 위에 일방향으로 뻗어있는 게이트선(121)과 감압 게이트선(123)을 형성하고, 게이트선(12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게이트 전극(124h), 제2 게이트 전극(124l), 및 제3 게이트 전극(124c)을 형성한다.
또한, 게이트선(121), 감압 게이트선(123), 및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124h, 124l, 124c)와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31)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이어, 게이트선(121), 감압 게이트선(123),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124h, 124l, 124c), 및 유지 전극선(131)을 포함한 기판(110) 위의 전면에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이용하여 게이트 절연막(140)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금속 산화물(metal oxide) 등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제1 반도체(154h), 제2 반도체(154l), 및 제3 반도체(154c)를 형성한다. 제1 반도체(154h)는 제1 게이트 전극(124h)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제2 반도체(154l)는 제2 게이트 전극(124l)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며, 제3 반도체(154c)는 제3 게이트 전극(124c)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어, 금속 물질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타방향으로 뻗어있는 데이터선(171)을 형성한다. 금속 물질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데이터선(171)으로부터 제1 게이트 전극(124h) 위로 돌출되는 제1 소스 전극(173h) 및 제1 소스 전극(173h)과 이격되는 제1 드레인 전극(175h)을 함께 형성한다. 또한, 제1 소스 전극(173h)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소스 전극(173l) 및 제2 소스 전극(173l)과 이격되는 제2 드레인 전극(175l)을 함께 형성한다. 또한, 제2 드레인 전극(175l)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소스 전극(173c)과 이격되는 제3 드레인 전극(175c)을 함께 형성한다.
반도체 물질과 금속 물질을 연속으로 증착한 후 이를 동시에 패터닝하여 제1 내지 제3 반도체(154h, 154l, 154c), 데이터선(171), 제1 내지 제3 소스 전극(173h, 173l, 173c), 및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175h, 175l, 175c)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반도체(154h)는 데이터선(171)의 아래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제2/제3 게이트 전극(124h/124l/124c), 제1/제2/제3 소스 전극(173h/173l/173c), 및 제1/제2/제3 드레인 전극(175h/175l/175c)은 제1/제2/제3 반도체(154h/154l/154c)와 함께 각각 제1/제2/제3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Qh/Ql/Qc)를 구성한다.
이어, 데이터선(171), 제1 내지 제3 소스 전극(173h, 173l, 173c),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175h, 175l, 175c), 및 각 소스 전극(173h/173l/173c)과 각 드레인 전극(175h/175l/175c) 사이로 노출되어 있는 반도체(154h, 154l, 154c) 위에 보호막(180)을 형성한다. 보호막(180)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 보호막(180) 위의 각 화소 영역(PX) 내에 색필터(230)를 형성한다. 색필터(230)는 각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에 형성하고, 제1 골짜기(V1)에는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화소 영역(PX)의 열 방향을 따라 동일한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할 수 있다. 세 가지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하는 경우 제1 색의 색필터(230)를 먼저 형성한 후 마스크를 쉬프트 시켜 제2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제2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한 후 마스크를 쉬프트시켜 제3 색의 색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 보호막(180) 위의 각 화소 영역(PX)의 경계부 및 박막 트랜지스터 위에 차광 부재(220)를 형성한다.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골짜기(V1)에도 차광 부재(220)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각 화소 영역(PX)의 일측 가장자리에도 차광 부재(220)를 형성한다. 이후에 형성하게 될 지지 부재(365)와 중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차광 부재(220)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색필터(230)를 형성한 후 차광 부재(220)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차광 부재(220)를 먼저 형성한 후 색필터(2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 위에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제1 절연층(240)을 형성한다.
이어, 보호막(180), 차광 부재(220), 및 제1 절연층(240)을 식각하여 제1 드레인 전극(175h)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1 접촉 구멍(185h)을 형성하고, 제2 드레인 전극(175l)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2 접촉 구멍(185l)을 형성한다.
이어, 제1 절연층(240) 위에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금속 물질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제1 부화소 영역(PXa) 내에 제1 부화소 전극(191h)을 형성하고, 제2 부화소 영역(PXb) 내에 제2 부화소 전극(191l)을 형성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h)과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1 골짜기(V1)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다. 제1 부화소 전극(191h)은 제1 접촉 구멍(185h)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75h)과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2 접촉 구멍(185l)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75l)과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 각각에 가로 줄기부(193h, 193l), 가로 줄기부(193h, 193l)와 교차하는 세로 줄기부(192h, 192l)를 형성한다. 또한, 가로 줄기부(193h, 193l) 및 세로 줄기부(192h, 192l)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있는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h, 194l)를 형성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91) 위에 감광성 유기 물질을 도포하고, 포토 공정을 통해 희생층(300)을 형성한다.
희생층(300)은 복수의 화소 열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희생층(300)은 각 화소 영역(PX)을 덮도록 형성되고,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 사이에 위치한 제1 골짜기(V1)를 덮도록 형성된다.
즉, 포토 공정을 통해 제2 골짜기(V2)에 위치하는 감광성 유기 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포토 공정을 통해 희생층(30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개구부(301)를 형성한다. 개구부(301)는 제1 골짜기(V1)에 인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301)의 형성에 의해 감광성 유기 물질 아래에 위치한 제1 절연층(240)이 노출된다.
또한, 개구부(301)를 형성할 때, 개구부(301)의 주변을 슬릿 노광 또는 하프톤 노광하여 희생층(300)에 홈부를 더 형성한다. 홈부를 형성하기 위해 슬릿 마스크 또는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하여 희생층(300)을 패터닝할 수 있다. 홈부는 희생층(300)의 일부를 현상하여 형성한 것이므로,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희생층(300)의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홈부는 개구부(301)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홈부는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 중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부는 제1 부화소 전극에만 생성되고 제2 부화소 전극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층(300) 위에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금속 물질을 증착하여 공통 전극(270)을 형성한다.
이어, 공통 전극(270) 위에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제2 절연층(35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절연층(350)의 두께는 5000Å 내지 10000Å일 수 있다.
이어, 제2 절연층(350) 위에 유기 물질로 지붕층(360)을 형성하고, 개구부(301) 내에는 지지 부재(365)를 형성한다. 지붕층(360)과 지지 부재(365)는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지붕층(360) 및 지지 부재(365)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지지 부재(365)는 게이트선 및 게이트 전극등과 중첩되게 위치하여 가로 차광 부재 내에 존재하며, 지붕층(360)은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영역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다.
지붕층(360) 및 개구부(301)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희생층(300)의 홈부 내에는 계단 부재(36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제2 절연층(350)을 형성한 후 기판(110) 위의 전체에 유기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지붕층(360), 지지 부재(365), 및 계단 부재(362)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지붕층(360), 지지 부재(365), 및 계단 부재(362)는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계단 부재(362) 는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 중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단 부재는 제1 부화소 전극에만 생성되고 제2 부화소 전극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지붕층(360)과 지지 부재(365)의 아래에는 공통 전극(270) 및 제2 절연층(350)이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365)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기판(110)의 상부면에서 바라본 지지 부재(365)의 평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및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층(360)을 패터닝하여 제1 골짜기(V1) 에 위치하는 지붕층(360)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붕층(360)은 복수의 화소 행을 따라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층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2 절연층(350), 공통 전극(270)을 패터닝하여, 제1 골짜기(V1)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350), 및 공통 전극(270)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붕층(360) 형성 후 별도의 마스크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패터닝된 지붕층(360) 구조 자체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하부 구조물을 패터닝하므로 제조 공젱에서 사용되는 마스크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지붕층(360)과 공통 전극(270)을 패터닝함에 따라 제1 골짜기(V1)에 위치한 희생층(300)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어, 희생층(300)이 노출된 기판(110) 위에 현상액을 공급하여 희생층(300)을 전면 제거한다. 희생층(300)은 다른 방법으로도 제거될 수 있다.
희생층(300)이 제거되면, 희생층(300)이 위치하였던 자리에 미세 공간(305)이 생긴다.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은 미세 공간(30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화소 전극(191)과 지붕층(360)은 미세 공간(30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다. 공통 전극(270)과 지붕층(360)은 미세 공간(305)의 상부면과 양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지붕층(360) 및 공통 전극(270)이 제거된 부분을 통해 미세 공간(305)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주입구(307)라 한다. 주입구(307)는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주입구(307)는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주입구(307)는 제1 부화소 영역(PXa)의 하측 가장자리, 제2 부화소 영역(PXb)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미세 공간(305)의 측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상이하게, 주입구(307)가 제2 골짜기(V2)를 따라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주입구(307)와 지지 부재(365)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 부재(365)는 주입구(307)에 인접하여 미세 공간(305) 내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미세 공간(305)에는 두 개의 주입구(30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부재(365)는 두 개의 주입구(307) 중 어느 하나의 주입구(307)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지지 부재(365)의 위치를 제1 골짜기(V1)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지지 부재(365)는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365)는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 및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 중 어느 하나의 제1 골짜기(V1)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제1 골짜기(V1)에 인접하여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하나의 미세 공간(305)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지지 부재(365)를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미세 공간에서 형성된 지지 부재(365)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부화소 영역에 하나의 지지 부재(365)가 형성되고 제2 부화소 영역에 두 개의 지지 부재(365)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어, 기판(110)에 열을 가하여 지붕층(360)을 경화시킨다. 지붕층(360)에 의해 미세 공간(305)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후, 스핀 코팅 방식 또는 잉크젯 방식으로 배향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배향액을 기판(110) 위에 떨어뜨리면, 배향액이 주입구(307)를 통해 미세 공간(305) 내부로 주입된다. 배향액을 미세 공간(305)의 내부로 주입한 후 경화 공정을 진행하면 용액 성분은 증발하고, 배향 물질이 미세 공간(305) 내부의 벽면에 남게 된다.
따라서, 화소 전극(191) 위에 제1 배향막(11)을 형성하고, 공통 전극(270) 아래에 제2 배향막(2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향막(11)과 제2 배향막(21)은 미세 공간(305)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화소 영역(PX)의 가장자리에서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배향막(11, 21)은 미세 공간(305)의 측면을 제외하고는 기판(1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제1 및 제2 배향막(11, 21)에 UV를 조사하는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기판(110)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배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 잉크젯 방식 또는 디스펜싱 방식으로 액정 분자(310)들로 이루어진 액정 물질을 기판(110) 위에 떨어뜨리면, 액정 물질이 주입구(307)를 통해 미세 공간(305) 내부로 주입된다. 이때, 액정 물질을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 및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 중 어느 한 쪽의 주입구(307)에만 떨어뜨리면 된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65)가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면, 액정 물질을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에 떨어뜨리고,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에는 떨어뜨리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지지 부재(365)가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면, 액정 물질을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에 떨어뜨리고,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에는 떨어뜨리지 않아도 된다.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에 액정 물질을 떨어뜨리면 모세관력에 의해 액정 물질이 주입구(307)를 통과하여 미세 공간(305)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를 통해 미세 공간(305)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감으로써, 액정 물질이 미세 공간(305) 내부로 잘 들어가게 된다.
이어, 지붕층(360) 위에 액정 분자(310)와 반응하지 않는 물질을 증착하여 덮개막(390)을 형성한다. 덮개막(390)은 미세 공간(305)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주입구(307)를 덮도록 형성되어 미세 공간(305)을 밀봉한다.
이어,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표시 장치의 상하부 면에 편광판을 더 부착할 수 있다. 편광판은 제1 편광판과 제2 편광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10)의 하부 면에 제1 편광판을 부착하고, 덮개막(390) 위에 제2 편광판을 부착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도 9 내지 도 15, 도 22 내지 도 27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27은 도 9 내지 도 15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110) 위에 일방향으로 뻗어있는 게이트선(121)과 감압 게이트선(123)을 형성하고, 게이트선(121)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게이트 전극(124h), 제2 게이트 전극(124l), 및 제3 게이트 전극(124c)을 형성한다.
또한, 게이트선(121), 감압 게이트선(123), 및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124h, 124l, 124c)와 이격되도록 유지 전극선(131)을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이어, 게이트선(121), 감압 게이트선(123), 제1 내지 제3 게이트 전극(124h, 124l, 124c), 및 유지 전극선(131)을 포함한 기판(110) 위의 전면에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Nx)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이용하여 게이트 절연막(140)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140)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어,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다결정 실리콘(polycrystalline silicon), 금속 산화물(metal oxide) 등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제1 반도체(154h), 제2 반도체(154l), 및 제3 반도체(154c)를 형성한다. 제1 반도체(154h)는 제1 게이트 전극(124h)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제2 반도체(154l)는 제2 게이트 전극(124l)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며, 제3 반도체(154c)는 제3 게이트 전극(124c) 위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어, 금속 물질을 증착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타방향으로 뻗어있는 데이터선(171)을 형성한다. 금속 물질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데이터선(171)으로부터 제1 게이트 전극(124h) 위로 돌출되는 제1 소스 전극(173h) 및 제1 소스 전극(173h)과 이격되는 제1 드레인 전극(175h)을 함께 형성한다. 또한, 제1 소스 전극(173h)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소스 전극(173l) 및 제2 소스 전극(173l)과 이격되는 제2 드레인 전극(175l)을 함께 형성한다. 또한, 제2 드레인 전극(175l)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3 소스 전극(173c) 및 제3 소스 전극(173c)과 이격되는 제3 드레인 전극(175c)을 함께 형성한다.
반도체 물질과 금속 물질을 연속으로 증착한 후 이를 동시에 패터닝하여 제1 내지 제3 반도체(154h, 154l, 154c), 데이터선(171), 제1 내지 제3 소스 전극(173h, 173l, 173c), 및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175h, 175l, 175c)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반도체(154h)는 데이터선(171)의 아래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제2/제3 게이트 전극(124h/124l/124c), 제1/제2/제3 소스 전극(173h/173l/173c), 및 제1/제2/제3 드레인 전극(175h/175l/175c)은 제1/제2/제3 반도체(154h/154l/154c)와 함께 각각 제1/제2/제3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Qh/Ql/Qc)를 구성한다.
이어, 데이터선(171), 제1 내지 제3 소스 전극(173h, 173l, 173c), 제1 내지 제3 드레인 전극(175h, 175l, 175c), 및 각 소스 전극(173h/173l/173c)과 각 드레인 전극(175h/175l/175c) 사이로 노출되어 있는 반도체(154h, 154l, 154c) 위에 보호막(180)을 형성한다. 보호막(180)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 보호막(180) 위의 각 화소 영역(PX) 내에 색필터(230)를 형성한다. 색필터(230)는 각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에 형성하고, 제1 골짜기(V1)에는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화소 영역(PX)의 열 방향을 따라 동일한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할 수 있다. 세 가지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하는 경우 제1 색의 색필터(230)를 먼저 형성한 후 마스크를 쉬프트 시켜 제2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 제2 색의 색필터(230)를 형성한 후 마스크를 쉬프트시켜 제3 색의 색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 보호막(180) 위의 각 화소 영역(PX)의 경계부 및 박막 트랜지스터 위에 차광 부재(220)를 형성한다.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골짜기(V1)에도 차광 부재(220)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각 화소 영역(PX)의 일측 가장자리에도 차광 부재(220)를 형성한다. 이후에 형성하게 될 지지 부재(365)와 중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차광 부재(220)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색필터(230)를 형성한 후 차광 부재(220)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차광 부재(220)를 먼저 형성한 후 색필터(2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 색필터(230) 및 차광 부재(220) 위에 실리콘 질화물(SiNx), 실리콘 산화물(SiOx) 등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제1 절연층(240)을 형성한다.
이어, 보호막(180), 차광 부재(220), 및 제1 절연층(240)을 식각하여 제1 드레인 전극(175h)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1 접촉 구멍(185h)을 형성하고, 제2 드레인 전극(175l)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제2 접촉 구멍(185l)을 형성한다.
이어, 제1 절연층(240) 위에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금속 물질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제1 부화소 영역(PXa) 내에 제1 부화소 전극(191h)을 형성하고, 제2 부화소 영역(PXb) 내에 제2 부화소 전극(191l)을 형성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h)과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1 골짜기(V1)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다. 제1 부화소 전극(191h)은 제1 접촉 구멍(185h)을 통해 제1 드레인 전극(175h)과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제2 부화소 전극(191l)은 제2 접촉 구멍(185l)을 통해 제2 드레인 전극(175l)과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제1 부화소 전극(191h) 및 제2 부화소 전극(191l) 각각에 가로 줄기부(193h, 193l), 가로 줄기부(193h, 193l)와 교차하는 세로 줄기부(192h, 192l)를 형성한다. 또한, 가로 줄기부(193h, 193l) 및 세로 줄기부(192h, 192l)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있는 복수의 미세 가지부(194h, 194l)를 형성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191) 위에 감광성 유기 물질을 도포하고, 포토 공정을 통해 희생층(300)을 형성한다.
희생층(300)은 복수의 화소 열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희생층(300)은 각 화소 영역(PX)을 덮도록 형성되고,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 사이에 위치한 제1 골짜기(V1)를 덮도록 형성된다.
즉, 포토 공정을 통해 제2 골짜기(V2)에 위치하는 감광성 유기 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포토 공정을 통해 희생층(300)의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개구부(301)를 형성한다. 개구부(301)는 제1 골짜기(V1)에 인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301)의 형성에 의해 감광성 유기 물질 아래에 위치한 제1 절연층(240)이 노출된다.
또한, 개구부(301)를 형성할 때, 개구부(301)의 주변을 슬릿 노광 또는 하프톤 노광하여 희생층(300)에 홈부를 더 형성한다. 홈부를 형성하기 위해 슬릿 마스크 또는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하여 희생층(300)을 패터닝할 수 있다. 홈부는 희생층(300)의 일부를 현상하여 형성한 것이므로,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희생층(300)의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홈부는 개구부(301)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홈부는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 중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부는 제1 부화소 전극에만 생성되고 제2 부화소 전극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층(300) 위에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금속 물질을 증착하여 공통 전극(270)을 형성한다.
이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전극(270) 위에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무기 절연 물질로 제2 절연층(350)을 형성한다. 이때, 제2 절연층(350)의 두께는 5000Å 내지 10000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절연층(350)은 지붕층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지붕층은 별도로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붕층 형성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이-, 제2 절연층 형성시 개구부(301)내에 지지 부재를 형성한다. 제2 절연층(350)과 지지 부재(365)는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365)는 제2 절연층(350) 물질로만 채워질 수도 있으며, 또는 지지 부재(365)의 중앙은 이후에 덮개막(390) 물질로 채워질 수도 있다.
이때, 제2 절연층(350) 및 지지 부재(365)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지지 부재(365)는 게이트선 및 게이트 전극등과 중첩되게 위치하여 가로 차광 부재 내에 존재하며, 제2 절연층(350)은 지지 부재(365)가 형성된 영역으로 돌출된 돌출부(357)를 갖는다.
제2 절연층(350) 및 개구부(301)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희생층(300)의 홈부 내에는 계단 부재(362)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제2 절연층(350), 지지 부재(365), 및 계단 부재(362)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절연층(350), 지지 부재(365), 및 계단 부재(362)는 동일한 공정에서 동일한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계단 부재(362) 는 제1 부화소 전극 및 제2 부화소 전극 중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단 부재는 제1 부화소 전극에만 생성되고 제2 부화소 전극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지지 부재(365)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기판(110)의 상부면에서 바라본 지지 부재(365)의 평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및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연층(350)을 패터닝하여 제1 골짜기(V1) 에 위치하는 제2 절연층(350)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절연층(350)은 복수의 화소 행을 따라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패터닝된 제2 절연층(350)은 이후 식각 단계에서 마스크로 기능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연층(350)을 마스크로 하여 공통 전극(270)을 패터닝하여, 제1 골짜기(V1)에 공통 전극(270)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절연층(350) 형성 후 별도의 마스크를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패터닝된 제2 절연층(350) 구조 자체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하부 구조물을 패터닝하므로 제조 공젱에서 사용되는 마스크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2 절연층 위에 지붕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공정을 더욱 간단히 할 수 있다.
제2 절연층(350)과 공통 전극(270)을 패터닝함에 따라 제1 골짜기(V1)에 위치한 희생층(300)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어, 희생층(300)이 노출된 기판(110) 위에 현상액을 공급하여 희생층(300)을 전면 제거한다. 희생층(300)은 다른 방법으로도 제거될 수 있다.
희생층(300)이 제거되면, 희생층(300)이 위치하였던 자리에 미세 공간(305)이 생긴다.
화소 전극(191)과 공통 전극(270)은 미세 공간(30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고, 화소 전극(191)과 지붕층(360)은 미세 공간(305)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다. 공통 전극(270)과 지붕층(360)은 미세 공간(305)의 상부면과 양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지붕층(360) 및 공통 전극(270)이 제거된 부분을 통해 미세 공간(305)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를 주입구(307)라 한다. 주입구(307)는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주입구(307)는 제1 부화소 영역(PXa)과 제2 부화소 영역(PXb)의 가장자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주입구(307)는 제1 부화소 영역(PXa)의 하측 가장자리, 제2 부화소 영역(PXb)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미세 공간(305)의 측면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상이하게, 주입구(307)가 제2 골짜기(V2)를 따라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 스핀 코팅 방식 또는 잉크젯 방식으로 배향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배향액을 기판(110) 위에 떨어뜨리면, 배향액이 주입구(307)를 통해 미세 공간(305) 내부로 주입된다. 배향액을 미세 공간(305)의 내부로 주입한 후 경화 공정을 진행하면 용액 성분은 증발하고, 배향 물질이 미세 공간(305) 내부의 벽면에 남게 된다.
따라서, 화소 전극(191) 위에 제1 배향막(11)을 형성하고, 공통 전극(270) 아래에 제2 배향막(2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향막(11)과 제2 배향막(21)은 미세 공간(305)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화소 영역(PX)의 가장자리에서는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배향막(11, 21)은 미세 공간(305)의 측면을 제외하고는 기판(1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제1 및 제2 배향막(11, 21)에 UV를 조사하는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기판(110)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배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 잉크젯 방식 또는 디스펜싱 방식으로 액정 분자(310)들로 이루어진 액정 물질을 기판(110) 위에 떨어뜨리면, 액정 물질이 주입구(307)를 통해 미세 공간(305) 내부로 주입된다. 이때, 액정 물질을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 및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 중 어느 한 쪽의 주입구(307)에만 떨어뜨리면 된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65)가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면, 액정 물질을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에 떨어뜨리고,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에는 떨어뜨리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지지 부재(365)가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의 양측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면, 액정 물질을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에 떨어뜨리고,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에는 떨어뜨리지 않아도 된다.
홀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에 액정 물질을 떨어뜨리면 모세관력에 의해 액정 물질이 주입구(307)를 통과하여 미세 공간(305)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짝수 번째 제1 골짜기(V1)를 따라 형성된 주입구(307)를 통해 미세 공간(305)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감으로써, 액정 물질이 미세 공간(305) 내부로 잘 들어가게 된다.
이어, 제2 절연층 위에 액정 분자(310)와 반응하지 않는 물질을 증착하여 덮개막(390)을 형성한다. 덮개막(390)은 미세 공간(305)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주입구(307)를 덮도록 형성되어 미세 공간(305)을 밀봉한다.
이어,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표시 장치의 상하부 면에 편광판을 더 부착할 수 있다. 편광판은 제1 편광판과 제2 편광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10)의 하부 면에 제1 편광판을 부착하고, 덮개막(390) 위에 제2 편광판을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 제1 배향막 21: 제2 배향막
110: 기판 121: 게이트선
123: 감압 게이트선 124h: 제1 게이트 전극
124l: 제2 게이트 전극 124c: 제3 게이트 전극
131: 유지 전극선 140: 게이트 절연막
154h: 제1 반도체 154l: 제2 반도체
154c: 제3 반도체 171: 데이터선
173h: 제1 소스 전극 173l: 제2 소스 전극
173c: 제3 소스 전극 175h: 제1 드레인 전극
175l: 제2 드레인 전극 175c: 제3 드레인 전극
180: 보호막 191: 화소 전극
191h: 제1 부화소 전극 191l: 제2 부화소 전극
220: 차광 부재 230: 색필터
240: 제1 절연층 270: 공통 전극
300: 희생층 301: 개구부
303: 홈부 305: 미세 공간
307: 주입구 310: 액정 분자
350: 제2 절연층 357: 제2 절연층 돌출부
360: 지붕층 367: 지붕층 돌출부
362: 계단 부재 365: 지지 부재
370: 제3 절연층 390: 덮개막

Claims (20)

  1.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상기 화소 전극과 미세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지붕층,
    상기 미세 공간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지붕층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여 상기 미세 공간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 부재,
    상기 미세 공간을 채우고 있는 액정층, 및
    상기 주입구를 덮도록 상기 지붕층 바로 위에 형성되어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덮개막을 포함하고,
    상기 지붕층은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지붕층 돌출부는 가로 차광 부재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 내 존재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주입구는 각각의 상기 미세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각각의 미세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제1 골짜기의 가로 차광 부재의 폭과,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제1 골짜기의 가로 차광 부재의 폭이 동일한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서로 마주 보는 미세 공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 부재에서, 하나의 미세 공간에 형성된 지지 부재는 계단 부재가 존재하지 않고, 다른 미세 공간에 형성된 지지 부재는 계단 부재가 존재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지붕층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지붕층 사이에 절연층이 존재하며,
    상기 절연층은 무기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지붕층은 유기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5000Å 내지 10000Å 인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주입구에서 상기 지붕층의 가장자리, 상기 절연층의 가장자리 및 상기 공통 전극의 가장자리가 수직으로 일치하는 표시 장치.
  8.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위에 상기 화소 전극과 미세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통 전극,
    상기 공통 전극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층,
    상기 미세 공간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절연층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에 인접하여 상기 미세 공간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 부재,
    상기 미세 공간을 채우고 있는 액정층, 및
    상기 주입구를 덮도록 상기 절연층 위에 형성되어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덮개막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절연층은 무기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절연층의 두께는 5000Å 내지 10000Å 인 표시 장치.
  10. 제8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절연층 돌출부는 가로 차광 부재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 내 존재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주입구는 각각의 상기 미세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각각의 미세 공간의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지 않고,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제1 골짜기의 가로 차광 부재의 폭과,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제1 골짜기의 가로 차광 부재의 폭이 동일한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서로 마주 보는 미세 공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 부재에서, 하나의 미세 공간에 형성된 지지 부재는 계단 부재가 존재하지 않고, 다른 미세 공간에 형성된 지지 부재는 계단 부재가 존재하는 표시 장치.
  13. 제8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화소 전극과 중첩되지 않는 표시 장치.
  14. 제8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절연층과 동일한 물질인 표시 장치.
  15. 제8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절연층과 동일한 물질 및 덮개막과 동일한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8항에서,
    상기 주입구에서 상기 절연층의 가장자리 및 상기 공통 전극의 가장자리가 수직으로 일치하는 표시 장치.
  17.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영역 내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 위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통 전극 위에 지붕층을 형-하고, 상기 개구부 내에 지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지붕층을 패터닝하여 주입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지붕층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희생층을 제거하고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미세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주입구를 통해 액정 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미세 공간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붕층 바로 위에 덮개막을 형성하여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붕층은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화소 전극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주입구에서 상기 지붕층의 가장자리 및 상기 공통 전극의 가장자리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존재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영역 내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 위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 위에 공통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통 전극 위에 절연층을 형-하고, 상기 개구부 내에 지지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희생층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절연층을 패터닝하여 주입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절연층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희생층을 제거하고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미세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주입구를 통해 액정 물질을 주입하여 상기 미세 공간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붕층 바로 위에 덮개막을 형성하여 상기 미세 공간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지지 부재가 형성된 영역에서만 선택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지지 부재는 화소 전극과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주입구에서 상기 절연층의 가장자리 및 상기 공통 전극의 가장자리가 동일한 수직선상에 존재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40046963A 2014-04-18 2014-04-18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21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963A KR20150121389A (ko) 2014-04-18 2014-04-18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4/525,745 US9601526B2 (en) 2014-04-18 2014-10-28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963A KR20150121389A (ko) 2014-04-18 2014-04-18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389A true KR20150121389A (ko) 2015-10-29

Family

ID=5432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963A KR20150121389A (ko) 2014-04-18 2014-04-18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01526B2 (ko)
KR (1) KR201501213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3602B2 (en) 2014-10-15 2018-04-2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5373B (zh) * 2014-12-19 2017-11-2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造方法
KR20160090450A (ko) * 2015-01-21 2016-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6729A (en) * 1996-07-10 1999-11-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321718A (en) * 1997-01-31 1998-08-05 Nat Science Council LIquid crystal display
US6141072A (en) * 1997-04-04 2000-10-3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manufacturing of liquid crystal displays
US7123319B2 (en) * 2000-12-14 2006-10-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quid crystal display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comprising a stratified-phase-separated composite
JP4344726B2 (ja) * 2004-12-30 2009-10-14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97703B1 (ko) 2012-01-18 2017-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12214248A1 (de) * 2012-08-10 2014-02-1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auelement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uelementes
KR20140095120A (ko) * 2013-01-16 2014-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4902B1 (ko) * 2013-05-30 2016-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20909A (ko) * 2013-08-19 2015-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22899A (ko) * 2014-04-23 2015-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575349B2 (en) * 2014-05-14 2017-02-21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3602B2 (en) 2014-10-15 2018-04-2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01377A1 (en) 2015-10-22
US9601526B2 (en)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0610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8609A (ko) 표시 장치
KR20150015767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581866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141364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57970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465260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40354922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89264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0713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717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2079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95024A (ko) 표시 장치
KR20140142965A (ko) 표시 장치
KR2015012138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9063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0021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15123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8112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85732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216546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60086015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3668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6987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6531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