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468A - 골 소실의 방지를 위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골 소실의 방지를 위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468A
KR20150120468A KR1020157025674A KR20157025674A KR20150120468A KR 20150120468 A KR20150120468 A KR 20150120468A KR 1020157025674 A KR1020157025674 A KR 1020157025674A KR 20157025674 A KR20157025674 A KR 20157025674A KR 20150120468 A KR20150120468 A KR 20150120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shaft
longitudinal axis
dental implant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2184B1 (ko
Inventor
보리스 디.에스. 바비너
Original Assignee
보리스 디.에스. 바비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리스 디.에스. 바비너 filed Critical 보리스 디.에스. 바비너
Publication of KR2015012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5Self-screwing with multiple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어버트먼트의 부위에서, 협측골의 소실 등과 같은 조직의 결손을 억제하기 위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외주 중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각각 연장되어 있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 및 무나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는 샤프트를 따라 연장되는 내부 통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샤프트는 내부 통로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원뿔대형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어버트먼트는 원위 연결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연결 단부는 그 외주 중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원뿔대형 영역을 포함하여 원뿔대형 연결 영역과 비원뿔대형 연결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골 소실의 방지를 위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ENDOSSEOUS DENTAL IMPLANT AND ABUTMENT FOR PREVENTION OF BONE LOSS}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3년 2월 2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767,958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임플란트/어버트먼트의 부위에서, 협측골(頰側骨)의 소실 등과 같은 조직의 결손을 억제하기 위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생체 골 및 조직에 어버트먼트를 통해 치과 보철물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임플란트는 어버트먼트와 어버트먼트에 부착된 보철물에 대해 견실한 기초를 제공하도록 골 조직에 자리 잡는다.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이들 요소의 보철물은 여러 용도로 쓰이며, 예컨대 치아 또는 다른 보철물에 대향 배치되어 저작(咀嚼) 작용이 일어날 수 있게 하는 경우에 상당하는 씹기 용도; 감각의 입력과 접촉을 제공함으로써 상하 치아의 압출을 방지하는 용도; 및 미적 외관을 제공하는 용도로 쓰인다.
임플란트를 턱뼈에 자리잡게 하려면, 임플란트의 설치를 위한 부위를 마련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드릴 또는 그 밖의 도구, 예컨대 확장기 및 압전 팁 등으로, 임플란트의 설치를 위한 부위를 성형할 필요가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압출 직후에 또는 압출 부위를 이식재를 이용하여 혹은 이식재를 이용하지 않고서 치료한 직후에 설치될 수 있다. 종종, 필요로 하는 협측골의 두께를, 보철물을 충분히 지지하기에 적합한 폭을 지닌 임플란트로 달성하는 것은 곤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임플란트 주위에서 혈액 공급 표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협측골의 부족이 지지 조직(뼈와 잇몸)의 결손을 초래할 수 있다. 협측골의 부족은 임상 의사에게 딜레마를 야기하는 데, 그 이유는 협측골 내에 보다 잘 끼워질 수 있는 보다 좁은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 중에 교합력이 과도하게 걸려 낭패를 경험하게 될 수 있는 반면에, 보다 넓은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관을 해칠 수 있고 잠재적인 조직 결손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상기한 잠재적인 뼈 및/또는 잇몸 조직 결손 후유증과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면서, 보철물을 충분히 지지하고 미관을 유지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는 것은 개선책일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 분야에 대한 개선책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착되는 치과용 보철물을 충분히 지지하고 이와 아울러 임플란트 주위의 충분한 골 조직에서 골 조직 결손 등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방지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가 제공된다. 이러한 점과 관련하여,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종축을 가로지르는 제1 횡방향에서, 치과용 보철물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크기인 제1 폭을 갖는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제1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있는 양 측면에 있어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외주에는, 환자의 턱뼈에의 삽입을 위해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기 제1 횡방향에 수직한 제2 횡방향으로,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다 작은 제2 폭은, 제2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에 있는 양 측면에 배치된 임플란트 표면 가까이에 추가적인 골 질량을 제공하도록, 환자의 턱뼈 내에서 배향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임플란트의 보다 작은 제2 폭의 제공에는, 임플란트에 부착되는 치과용 보철물을 만족스럽게 지지하면서 상기한 보다 작은 제2 폭을 차지하는 신규 어버트먼트의 사용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점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기계적 완전성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연결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임플란트의 제1 폭과 제2 폭에 대응하게 제1 폭과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치과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 영역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편평한 연결 벽(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원뿔형 테이퍼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는, 서로 다른 횡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대적으로 보다 큰 폭은 필요한 지지를 제공하며,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폭은 이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폭을 획정하는 임플란트 표면 부근에서 골 조직의 두께가 증대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부위에서 골 소실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을 갖고 환자의 턱뼈에 삽입하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한 구성에서, 임플란트는 근위 접촉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종축을 갖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샤프트는 해당 종축에 수직한 외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종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의 외주 중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외주 중에서 상기 제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위치에 있는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근위 접촉 단부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종축을 따라 내부 통로가 연장될 수 있고, 이 내부 통로는 상기 샤프트의 근위 접촉 단부에 인접한 내부 통로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원뿔대형 영역을 포함하여 원뿔대형 연결 영역과 비원뿔대형 연결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샤프트의 근위 접촉 단부에 인접해 있고 상기 종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절두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근위 접촉 단부에 인접한 내부 통로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원뿔대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샤프트의 근위 접촉 단부에 인접한 내부 통로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은 내부 통로의 대향하는 둘레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 사이 각각에는 제1 및 제2 평면 표면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의 외주 중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이 마련될 수 있고,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은, 샤프트의 외주 둘레에 있어서 종축을 가로질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임플란트는 또한, 상기 종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의 외주 중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은,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의 사이에서, 샤프트의 외주 둘레에 있어서 종축을 가로질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은, 종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제1 직경을 따라 측정되는 제1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은, 상기 평면에서 제2 직경을 따라 측정되는 제2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작다. 예시적인 구성에서,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평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 및/또는 나사 형성 영역 등과 같은 선택된 표면은 그 안에서의 골 성장을 조장하도록 텍스처링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는, 종축과 이 해당 종축에 수직한 외주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성에서, 어버트먼트는 원위 연결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연결 단부는 그 외주 중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1 원뿔대형 영역을 포함하여 원뿔대형 연결 영역과 비원뿔대형 연결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비원뿔대형 연결 영역은 상기 종축에 평행하거나 또는 상기 종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평면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단부의 외주 중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2 원뿔대형 영역이 마련될 수 있고,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은 외주의 대향하는 둘레방향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외주의 대향하는 둘레방향 위치에서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 사이 각각에는 제1 및 제2 평면 표면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전술한 개요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보다 더 이해될 수 있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샤프트의 종축을 가로질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2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형성 영역과, 이들 나사 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된 2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a, 도 1b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d, 도 1e는 도 1a, 도 1b의 치과용 임플란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수용하는 내부 통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도 2b는 환자의 턱뼈 내의 제자리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도 1a, 도 1b의 치과용 임플란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로서, 어버트먼트의 연결부에서 대향하는 둘레방향 위치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 사이 각각에 배치되는 2개의 평면 표면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a,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1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형성 영역과, 이 나사 형성 영역에 인접한 1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원뿔과 평면의 교차에 의해 형성된 원뿔 섹션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제, 전체적으로 유사한 요소에 대해 유사한 도면 부호가 붙여져 있는 도면들을 참조해 보면, 도 1a~도 1e는 환자의 식립 부위에서 조직의 결손을 억제 또는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100)의 예시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점과 관련하여,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임플란트(100)의 종축(109)에 수직한 제1 선택 방향에서 직경 D1을 갖고, 상기 제1 선택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 D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대적으로 보다 큰 직경 D1으로 인해 임플란트의 안정성이 증대되고,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 직경 D2로 인해, 임플란트(100)가 삽입되는 골 조직(10)의 협측 표면(11) 및 설측(舌側) 표면(13)과 임플란트(100)의 선택된 표면(103, 105) 사이의 간격이 증대됨으로써(예컨대, 도 2a에 참조), 조직의 결손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협측 표면(11) 및 설측 표면(13)과 임플란트(100) 사이에 추가적인 골 조직이 존재함으로써, 골의 흡수 및 소실이 방지 또는 억제될 수 있다.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10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a,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100)로서,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102, 104)과, 평면 또는 그 밖의 적절한 형상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는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103, 105)을 갖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의 예시적인 구성을 직교하는 두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102, 104)은 임플란트(100)의 외주 중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될 수 있고, 종축(109)을 가로질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도 1a, 도 1c 참조).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103, 105)은 임플란트(100)의 외주 중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될 수 있고, 종축(109)을 가로질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도 1b, 도 1c 참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102, 104)과 무나사 영역(103, 105)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해 있을 수 있고, 그 결과 종축(109)에 수직한 단면에서는 2개의 대향하는 나사 형성 영역(102, 104)과 이들 나사 형성 영역 사이에 배치된 2개의 대향하는 무나사 영역(103, 105)이 존재한다(도 1a~도 1c 참조). 따라서, 제1 직경 D1은, 종축(109)에 수직한 평면에서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 형성 영역(102, 104)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직경 D2는, 상기 수직한 평면에서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103, 105)의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직경 D1은 4.3 ㎜, 4.8 ㎜, 또는 5.8 ㎜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제2 직경 D2는 3.3 ㎜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종축(10)을 내포하고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102, 104)과 교차하는 평면에서 근위 접촉 단부(108)로부터 원위 단부(106)까지 테이퍼져 있을 수 있다(도 1a 참조). 반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103, 105)은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100)에 있어서 테이퍼지지 않은 단면을 제공하도록 서로 평행할 수 있다(도 1b 참조). 단면은 절두 원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도 1c 참조);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절두 원"은, 원을 자르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갖는 원을, 예컨대 이중 절두 원형의 단면을 제공하도록 2개의 대향 코드를 갖는 도 1c에 도시된 절두 원 등과 같은 원을 지칭한다. 임플란트(100)의 특정 형상과는 관계 없이,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들(102, 103, 104, 105) 중의 어느 것이나 혹은 임플란트(100)에 있어서 골 조직에의 삽입을 위한 다른 부분이, 그 안에서의 골 성장을 조장하도록 러프닝 혹은 텍스처링될 수 있다. 러프닝 또는 텍스처링을 해내는 데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스, 예컨대 산 에칭 혹은 입자 블래스팅 등의 제거 프로세스, 또는 히드록시 아파타이트, 단백질, 혹은 성장 인자의 퇴적 등의 첨가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임플란트(100) 자체가 임의의 적절한 물질, 예컨대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도 1e의 예시적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2개의 나사 형성 영역(102, 104)과 2개의 무나사 영역(103, 105)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a, 도 4b를 참조해 보면,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400)는, 외주 중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각각 연장되어 있는, 단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402)과 단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4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한 사용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103, 105)이 턱뼈(10)의 협측 표면(11) 및 설측 표면(13)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103, 105)과 협측 표면(11) 및 설측 표면(13)과의 사이에 골 조직을 위한 추가적인 공간을 제공하도록, 임플란트(100)가 환자의 턱뼈(10) 내에 배향될 수 있다(도 2a 참조). 이러한 배향은 골의 소실을 억제하고 임플란트의 지지를 조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 그 이유는 협측 표면(11) 및/또는 설측 표면(13)과 임플란트(100)의 사이에 추가적인 골 조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른 예시적인 사용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102, 104)이 협측 표면(11) 및 설측 표면(13)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임플란트(100)가 턱뼈(10) 내에 배향될 수 있고, 그 결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103, 105)은 이웃하는 치아(12, 14)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임플란트(100)와 치아(12, 14)의 사이에 추가적인 공간을 제공한다(도 2b 참조). 치아(12, 14) 사이의 거리가 매우 좁은 경우에 상기한 배향이 바람직할 수 있고, 골의 소실뿐만 아니라 임플란트의 불안정 및 이웃하는 치아(12, 14)의 뿌리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배향은 치유두의 형성을 허용하도록 임플란트(100)와 각 치아(12, 14) 사이에 1.5 ㎜의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100)는 치과용 보철물이 부착될 수 있는 어버트먼트(200)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통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d, 도 1e, 도 3a, 도 3b 참조). 내부 통로(110)는 어버트먼트(200)를 임플란트(100)에 부착하도록 나사(220)를 수용하는 암나사 형성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과 관련하여, 어버트먼트(200)는 나사(220)를 수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통로(110)는, 임플란트(110)의 접촉 단부(108)에 인접한 내부 통로(110)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112, 114)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 통로(110)에 있어서 각각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112, 114)의 사이에 있는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 평면 표면(116, 118)을 포함할 수 있다(도 1d, 도 1e 참조).
어버트먼트(200)의 연결 단부(206)에는 연결부(210)가 마련될 수 있고, 이 연결부는 임플란트(100)의 내부 통로(110)의 원뿔대형 영역(112, 114) 및 평면 표면(116, 118)의 형상에 맞춰진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도 3a, 도 3b 참조). 예컨대 연결부(210)는, 임플란트(100)의 원뿔대형 영역(112, 114) 및 평면 표면(116, 118)에 각각 맞춰진 원뿔대형 연결 영역(202, 204) 및 비원뿔대형 연결 영역(203, 205)을 제공하도록, 연결부(210)의 외주 중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고 대향하는 둘레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202, 204)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표면(116, 118)은, 예컨대 원뿔 축에 평행한 평면(502)과 원뿔(501)을 교차시킴으로써 형성된 원뿔 섹션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도 5 참조), 이 경우에 평면과 원뿔면 사이에서의 원뿔 섹션의 경계는 쌍곡선(503)이다. 따라서, 원뿔대형 연결 영역(202, 204)과 비원뿔대형 연결 영역(203, 205) 사이의 경계는 쌍곡선의 형태일 수 있다. 원뿔대형 연결 영역(202, 204)은 모스(Morse) 테이퍼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비원뿔대형 연결 영역(203, 205)은 어버트먼트(200)의 종축에 평행한 평면 표면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평면 표면(116, 118)은 어버트먼트(200)의 종축에 대해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원뿔대형 영역(202, 204)은, 임플란트(100)와 어버트먼트(200) 사이의 잠재적인 미소 간극을 이동시켜, 뼈와 결합 조직의 계면에의 혈액 공급이 보다 잘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미적 결과를 최대화하는 것을 통하여, 치간 유두를 보존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 스위칭/시프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이점과 그 밖의 이점은 전술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는 명백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넓은 독창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해 변경 또는 수정을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을 당업자라면 인정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특정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개진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 내에 있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8)

  1. 환자의 턱뼈에의 삽입과 임플란트의 부위에서의 골 소실 억제를 위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근위 접촉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까지 연장되는 종축을 갖고, 연관된 상기 종축에 수직한 외주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종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의 외주 중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
    상기 샤프트의 외주 중에서 상기 제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위치에 있는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 및
    상기 샤프트의 근위 접촉 단부로부터 상기 샤프트의 종축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내부 통로로서, 상기 샤프트의 근위 접촉 단부에 인접한 내부 통로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원뿔대형 영역을 포함하여 원뿔대형 연결 영역과 비원뿔대형 연결 영역이 마련되는 것인 내부 통로
    를 포함하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샤프트의 근위 접촉 단부에 인접해 있고 상기 종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절두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샤프트의 근위 접촉 단부에 인접한 내부 통로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은 내부 통로의 대향하는 둘레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 사이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평면 표면을 포함하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의 외주 중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은, 샤프트의 외주 둘레에 있어서 종축을 가로질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종축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샤프트의 외주 중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은, 상기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의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외주 둘레에 있어서 종축을 가로질러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은, 종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제1 직경을 따라 측정되는 제1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은, 상기 평면에서 제2 직경을 따라 측정되는 제2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작은 것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평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나사 영역은 그 안에서의 골 성장을 조장하도록 텍스처링되어 있는 것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축을 내포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과 교차하는 평면에서, 상기 샤프트는 종축을 따라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테이퍼져 있는 것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종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절두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 형성 영역은, 상기 원위 단부에 인접한 둘레부의 전역에서 연속적으로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13. 치과용 임플란트에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로서, 종축 및 연관된 상기 종축에 수직한 외주를 갖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버트먼트는 원위 연결 단부를 가지며, 연결 단부의 외주 중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1 원뿔대형 영역이 상기 연결 단부에 구비되어, 원뿔대형 연결 영역과 비원뿔대형 연결 영역이 마련되는 것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뿔대형 연결 영역은 상기 종축에 평행한 평면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원뿔대형 연결 영역은 상기 종축에 대해 경사져 있는 평면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부의 외주 중의 일부 둘레부에 걸쳐서만 연장되어 있는 제2 원뿔대형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은 외주의 대향하는 둘레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원뿔대형 영역 사이 각각에서 상기 외주의 대향하는 둘레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평면 표면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종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절두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인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KR1020157025674A 2013-02-22 2014-02-18 골 소실의 방지를 위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KR102262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67958P 2013-02-22 2013-02-22
US61/767,958 2013-02-22
PCT/US2014/016862 WO2014130438A1 (en) 2013-02-22 2014-02-18 Endosseous dental implant and abutment for prevention of bone lo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468A true KR20150120468A (ko) 2015-10-27
KR102262184B1 KR102262184B1 (ko) 2021-06-10

Family

ID=5138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674A KR102262184B1 (ko) 2013-02-22 2014-02-18 골 소실의 방지를 위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98305B2 (ko)
EP (1) EP2958515B1 (ko)
KR (1) KR102262184B1 (ko)
BR (1) BR112015019945B1 (ko)
ES (1) ES2739293T3 (ko)
HK (1) HK1219407A1 (ko)
IL (1) IL240391B (ko)
TW (1) TWI583359B (ko)
WO (1) WO20141304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760466T3 (da) 2011-09-30 2019-06-17 Allergan Pharmaceuticals Int Ltd In-vivo-syntese af elastisk fiber
KR101594095B1 (ko) * 2014-03-05 2016-02-15 주식회사 이비아이 혈액 수용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US10292792B2 (en) 2014-08-29 2019-05-21 Nobel Biocare Services Ag Restoration dental implant and method
US11090138B2 (en) * 2014-08-29 2021-08-17 Fereidoun Daftary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CN107847301B (zh) * 2015-03-11 2021-09-28 费瑞杜恩·达夫塔里 修复牙科植入体系统和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8838A (en) * 1992-10-28 1996-12-31 Astra Aktiebolag Fixture for use in a dental implant system
WO2005065571A1 (en) * 2003-12-30 2005-07-21 Ioannis Corcolis Dental implant
US20070037123A1 (en) 2000-10-26 2007-02-15 Mansueto Robert F High-strength dental-implant w/curvilinear-indexing and tool-free delivery-system
US20080299516A1 (en) 2005-04-12 2008-12-04 Eduardo Anitua Aldecoa Dental Implant, Pieces to be Connected to a Dental Implant, and the Internal Connection Between the Dental Implant and Each Piece
KR20100022050A (ko) * 2007-05-16 2010-02-26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세라믹 일체형 치과 임플란트
US20120270179A1 (en) * 2010-10-20 2012-10-25 Astra Tech Ab Method of providing a patient-specific dental fixture-mating arrangement
WO2012143475A1 (en) * 2011-04-20 2012-10-26 Astra Tech Ab A set of dental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2342A (en) * 1944-08-04 1946-06-18 Phillips Screw Co Screw
US4202244A (en) * 1978-07-26 1980-05-13 Technofast, Inc. Recessed head screw
US4344757A (en) 1979-05-17 1982-08-17 Robert Streel Implant a geometry variable
CA1248371A (en) * 1985-05-17 1989-01-10 Robin D. Listrom Fixture for attaching prosthesis to bone
SE455371C (sv) * 1987-04-22 1990-01-11 Astra Meditec Ab Anordning foer infaestning av en tandprotes
US5076788A (en) * 1988-10-05 1991-12-31 Core-Vent Corporation Grooved, cylindrical dental implant anchoring means
FR2682283B1 (fr) * 1991-10-10 1994-01-28 Gerard Scortecci Implant dentaire a penetration verticale, concu pour s'adapter aux differents degres de durete de l'os.
US5695336A (en) 1992-03-03 1997-12-09 Implant Innovations, Inc. Dental implant fixture for anchorage in cortical bone
US5873721A (en) 1993-12-23 1999-02-23 Adt Advanced Dental Technologies, Ltd.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US5927979A (en) * 1994-12-15 1999-07-27 Biohorizons Implants Systems, Inc. Abutment-mount system for dental implants
US5810590A (en) 1995-01-30 1998-09-22 Fried; Paula S. Dental implants and methods for extending service life
US5782919A (en) * 1995-03-27 1998-07-21 Sdgi Holdings, Inc. Interbody fusion device and method for restoration of normal spinal anatomy
US6174167B1 (en) 1998-12-01 2001-01-16 Woehrle Peter S. Bioroot endosseous implant
US6663388B1 (en) 1998-12-28 2003-12-16 Institut Straumann Ag Connection between a dental implant and an abutment
WO2001026579A1 (en) * 1999-10-14 2001-04-19 Schroering Robert L Dental implant having a dual-textured exterior surface
WO2002000133A1 (en) * 2000-06-28 2002-01-03 Albert Zickmann Dental implant
US7137817B2 (en) * 2000-12-22 2006-11-21 Quantum Bioengineering, Ltd. Implant fixation device
US6824386B2 (en) * 2001-11-01 2004-11-30 Astra Tech Ab Components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DE10251469B4 (de) * 2002-11-05 2007-07-12 Gebr. Brasseler Gmbh & Co. Kg Zahnimplantat
US20060154205A1 (en) 2005-01-12 2006-07-13 Dynamic Implants Dental implants with improved loading properties
US7677891B2 (en) 2005-02-01 2010-03-16 Implant Direct Int'l, Inc. Tapered endosseous dental implants with external multiple lead threads
US7785107B2 (en) 2005-02-01 2010-08-31 Niznick Gerald A Multi-functional fixture mount
US7699613B2 (en) 2005-02-11 2010-04-20 Niznick Gerald A One-piece, screw-receiving, externally-threaded endosseous dental implants and related transfer components, comfort caps and abutments
US7396231B2 (en) 2005-03-07 2008-07-08 Niznick Gerald A Flared implant extender for endosseous dental implants
DE102005013200B4 (de) * 2005-03-16 2014-05-28 Peter A. Ehrl Zweiteiliges Zahnimplantat aus Keramik
FR2922750B1 (fr) * 2007-10-31 2010-10-29 Tekka Implant dentaire a connecteur tronconique femelle
DE102011001403A1 (de) * 2011-03-18 2012-09-20 Frank-Peter Spahn Zahnimplant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oder zur Bearbeitung eines Zahnimplantats
EP2502600A1 (de) * 2011-03-21 2012-09-26 Biodenta Swiss AG Dental-Implantatsystem
US20120288826A1 (en) * 2011-05-11 2012-11-15 Fitton Iii Russell P Dental Implants and Methods for Their Insertion into Patients
RU2612487C2 (ru) 2011-06-02 2017-03-09 Мис Имплантс Текнолоджис Лтд.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DE202012103424U1 (de) 2011-12-09 2013-03-11 Epiphanostics GmbH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8838A (en) * 1992-10-28 1996-12-31 Astra Aktiebolag Fixture for use in a dental implant system
US20070037123A1 (en) 2000-10-26 2007-02-15 Mansueto Robert F High-strength dental-implant w/curvilinear-indexing and tool-free delivery-system
WO2005065571A1 (en) * 2003-12-30 2005-07-21 Ioannis Corcolis Dental implant
US20080299516A1 (en) 2005-04-12 2008-12-04 Eduardo Anitua Aldecoa Dental Implant, Pieces to be Connected to a Dental Implant, and the Internal Connection Between the Dental Implant and Each Piece
KR20100022050A (ko) * 2007-05-16 2010-02-26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세라믹 일체형 치과 임플란트
US20120270179A1 (en) * 2010-10-20 2012-10-25 Astra Tech Ab Method of providing a patient-specific dental fixture-mating arrangement
WO2012143475A1 (en) * 2011-04-20 2012-10-26 Astra Tech Ab A set of dental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8515A1 (en) 2015-12-30
WO2014130438A1 (en) 2014-08-28
ES2739293T3 (es) 2020-01-30
HK1219407A1 (zh) 2017-04-07
BR112015019945A2 (pt) 2017-07-18
EP2958515A4 (en) 2016-10-12
IL240391A0 (en) 2015-09-24
US20140242546A1 (en) 2014-08-28
TW201503875A (zh) 2015-02-01
TWI583359B (zh) 2017-05-21
US9498305B2 (en) 2016-11-22
BR112015019945B1 (pt) 2020-11-03
KR102262184B1 (ko) 2021-06-10
IL240391B (en) 2019-09-26
EP2958515B1 (en) 2019-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1238B2 (en) Dental implant
US20200229904A1 (en) Dental implant
JP4278305B2 (ja) インプラント
US8758012B2 (en) Compact dental implant
ES2687256T3 (es) Implante autorroscante
JP2005270682A (ja) マイクロねじ山を設けた固定体
KR20150120468A (ko) 골 소실의 방지를 위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KR100929987B1 (ko) 임플란트
WO2015026256A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имплантат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GB2473482A (en) Jaw bone implant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ES2894288T3 (es) Implante dental con rosca progresiva
JP2015006247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
IL309459A (en) Improved dental implant
IL254999B1 (en) Improved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