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317A -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317A
KR20150120317A KR1020150054532A KR20150054532A KR20150120317A KR 20150120317 A KR20150120317 A KR 20150120317A KR 1020150054532 A KR1020150054532 A KR 1020150054532A KR 20150054532 A KR20150054532 A KR 20150054532A KR 20150120317 A KR20150120317 A KR 20150120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s
image
target
target area
image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2727B1 (ko
Inventor
준웨이 져우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2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1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8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for extended depth of field imaging
    • H04N23/959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for extended depth of field imaging by adjusting depth of field during image capture, e.g. maximising or setting range based on scene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6Bracketing for image capture at varying focusing conditions
    • H04N5/225
    • H04N5/232
    • H04N5/235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1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computational phot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 a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refocusing, and relate to the field of image processing technologies, so as to reduce costs of implementing refocus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며, 이미지 처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비용을 감축시킨다.
The method provid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quiring at least two images that are of a to-be-photographed object and have different depths of field; acquiring an instruction operation that is performed by a user on a partial area of one of the at least two images; determining a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peration; acquiring definition of the target area in the at least two images; and generating a target image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target area in the at least two image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방법은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 시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시행에 따라 목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및 전자 기기{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REFOCUSING}
본 발명은 이미지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사진촬영 프로세스에서는, 적절한 초점을 선택함으로써 사진의 장식 값(ornamental value)을 높일 수 있다. 현재, 초점을 선택하는 방식은: 공통 포커싱 방식 및 리포커싱 방식을 포함한다. 공통 포커싱 방식은 초점이 사진촬영 프로세스 중에 결정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 자동 초점, 수동 초점, 다중 초점 등을 포함하며; 리포커싱 방식은 초점이 사진촬영 후 결정되는 것인데, 즉 사진촬영은 먼저 수행되고 포커싱이 나중에 수행되는 것이다.
현재,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은: 사진 내의 각각의 픽셀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깊이 정보에 따라,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깊이 정보로 영역 내의 흐릿한 프로세싱(blurring processing)을 수행하여 리포커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카메라 간의 시차(parallax)를 사용하여 깊이 정보를 계산하거나, 레이저/적외선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깊이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카메라가 필요하거나 레이저/적외선 측정 장치가 필요하고, 이는 불가피하게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비용을 높이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여,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기술적 솔루션이 사용된다:
제1 관점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전자 기기에 적용되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 시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시행에 따라 목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definition)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화질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K≥1이고, K는 정수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화질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화질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다, 및 상기 화질은 사전설정된 값 범위 내에 있다 중 어느 하나임 - ;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이미지를 상기 목표 이미지로서 사용하는 단계; 및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K=1일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리포커싱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포커싱 모드는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 또는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고화질을 가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저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리포커싱 모드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명령 시행에 따라 목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이 얼굴 영역일 때, 상기 얼굴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 내에 있는 포인트가 중심인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필드 깊이 범위 내에서,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를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고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초점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초점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커버하는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1 관점 및 제1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내지 제5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 시행을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에 대해 글로벌 등록(global registration)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제2 관점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미지 획득 유닛;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 시행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명령 시행 획득 유닛;
상기 명령 시행에 따라 목표 영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유닛;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화질 획득 유닛;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유닛
을 포함한다.
제2 관점에 따라,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생성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화질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 여기서 K≥1이고, K는 정수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화질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화질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다, 및 상기 화질은 사전설정된 값 범위 내에 있다 중 어느 하나임 - ;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이미지를 상기 목표 이미지로서 사용하며; 그리고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K=1일 때, 상기 전자 기기는:
리포커싱 모드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드 획득 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포커싱 모드는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 또는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고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저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리포커싱 모드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또는 제2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3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이 얼굴 영역일 때, 상기 얼굴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 내에 있는 포인트가 중심인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필드 깊이 범위 획득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필드 깊이 범위 내에서,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의 제4 가능한 실시 방식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이미지 획득 유닛은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를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드 깊이 범위 획득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고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초점을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초점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커버하는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관점 및 제2 관점의 제1 가능한 실시 방식 내지 제5 가능한 실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6 가능한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에 대해 글로벌 등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글로벌 등록 유닛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및 전자 기기에서, 전자 기기는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의 목표 영역(즉, 리포커싱 영역)의 화질에 따라 리포커싱을 수행한다. 이 방법에서, 전자 기기는 여러 대의 카메라 또는 레이저/적외선 측정 기기를 구비함이 없이 리포커싱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종래기술에 비해 리포커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다른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장치에 대한 구조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다른 장치에 대한 구조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다른 장치에 대한 구조적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및/또는"은 관련 피사체 간의 연합 관계만을 설명하며,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이하의 3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A만 존재하고, A 및 B 모두가 존재하며, B만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호 "/"는 일반적으로 연합된 피사체가 관계를 맺고 있거나 "또는"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복수"는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는 2 이상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방법은 전자 기기에 적용되며 이하를 포함한다:
101.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전자 기기"란 카메라, 스마트폰, 모바일 컴퓨터, 태블릿, 개인휴대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과 같이, 사진을 촬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전자 기기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카메라는 단일의 카메라일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가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이미지는 카메라 렌즈의 위치 또는 카메라 내의 이미지 센서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모터는 카메라 렌즈가 이동하는 위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고, 제어 프로세스에서,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적어도 2개의 이미지가 획득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렌즈들의 각각의 이동에 있어서 공간 크기 및 이동 방향(전진 방향 및 후진 방향을 포함한다)은 제한되지 않는다.
여러 사용자의 요건을 충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단계 101 이전에,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A: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depth-of-field range)를 획득한다. 이 경우, 단계 101은: 상기 필드 깊이 범위 내에서,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의 필드 깊이는 "필드 깊이 범위" 내에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필드 깊이 범위"를 수 개의 부분집합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부분집합은 필드 깊이이고, 따라서 각각의 필드 깊이 내의 이미지가 획득된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단계 A의 실시 방식은 제한되지 않는다. 2가지 선택 방식을 이하에 열거한다:
방식 1: 단계 A 이전에, 방법은: 사진촬영될 피사체를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A는: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고 기준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초점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초점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커버하는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초점"이란 이미지 내에 있으면서 사용자가 리포커싱을 수행하려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영역을 말한다. "적어도 2개의 초점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커버하는 필드 깊이 범위"는 적어도 2개의 초점에 대응하는 피사체 중에서 렌즈에 가장 가까운 피사체와 렌즈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피사체 간의 필드 깊이일 수 있다.
방식 2: 전자 기기에 하나 이상의 필드 깊이 모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각각의 필드 깊이 모드는 하나의 필드 깊이 범위에 대응한다. 이 경우, 단계 A는: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목표 필드 깊이 모드를 획득하고, 이 목표 필드 깊이 모드에 대응하는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며, 이 목표 필드 깊이 모드에 대응하는 필드 깊이 범위를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로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필드 깊이 모드"에 관한 설명에 대해서는 실시예 2를 참조하라.
102.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 시행을 획득한다.
예시적으로,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일 수 있다. "부분 영역"이란 사용자가 명령 시행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명령하는 영역을 말한다. "명령 시행"은 예를 들어, 클릭/더블-클릭/누름 및 유지하기와 같이, 사용자가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예를 들어, 스크린)에 대해 수행하는 시행일 수 있으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일 수도 있다. ""명령 시행"이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인 시나리오에서, 전자 기기에 눈 추적 유닛(eye tracking unit)이 구성될 수 있으며, 눈 추적 유닛은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 및 그 시선이 스크린상에 떨어지는 위치를 포착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명령 시행을 전자 기기에 발부할 수 있으며, 상이한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도 있고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이한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다"를 이하의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위해 사용한다.
단계 102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이미지의 부분 영역에 대해 명령 시행을 수행한다.
103. 명령 시행에 따라 목표 영역을 결정한다.
예시적으로, "목표 영역"이란 이미지 내의 영역 범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은 목표 영역을 포함한다. 상이한 이미지는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기 때문에, 각각의 상이한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목표 이미지의 화질은 상이하다. 각각의 명령 시행은 하나의 목표 영역에 대응하고, 상이한 명령 시행에 대응하는 목표 영역은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도 있고 중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이한 명령 시행에 대응하는 목표 영역이 중첩하지 않는다"를 이하의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위해 사용한다. 목표 영역의 수가 하나일 때,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단일점 리포커싱을 실시하는 데 사용되며; 목표 영역의 수가 적어도 2일 때,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다중점 리포커싱을 실시하는 데 사용된다.
단계 103은 구체적으로: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을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이 얼굴 영역일 때, 상기 얼굴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 내에 있는 포인트가 중심인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계 103은: 명령 시생이 수행되는 영역이 얼굴 영역이 아닌 다른 피사체의 영역일 때, 그 다른 피사체가 점유하는 영역을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의 이미지 사전배치, 좌표 위치 등을 일치시켜 각각의 이미지 내의 목표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단계 102 이전에,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이미지에 대해 글로벌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4.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definition)을 획득한다.
예시적으로, 단계 104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 내의 목표 영역이 결정되고; 각각의 이미지 내의 목표 영역의 화질이 획득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목표 영역의 화질을 획득하는 특정한 실시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기술의 방법 중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5.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105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화질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K≥1이고, K는 정수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화질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화질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다, 및 상기 화질은 사전설정된 값 범위 내에 있다 중 어느 하나임 - ;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이미지를 상기 목표 이미지로서 사용하는 단계; 및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K=1일 때, 단계 105 이전에, 상기 방법은: 리포커싱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포커싱 모드는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 또는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고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저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단계 105는: 상기 리포커싱 모드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 105 이후에, 방법은: 목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또는 목표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목표 이미지를 자동으로 표시하고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목표 이미지를 자동으로 표시하고 사용자 명령 하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발부된 목표 이미지의 성능 지시자, 예를 들어, 해상도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기기는 사용자의 개인적인 요건을 충족하도록 목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에서, 전자 기기는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의 목표 영역(즉, 리포커싱 영역)의 화질에 따라 리포커싱을 수행한다. 이 방법에서, 전자 기기는 여러 대의 카메라 또는 레이저/적외선 측정 기기를 구비함이 없이 리포커싱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종래기술에 비해 리포커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상이한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들이 중첩하지 않고 상이한 명령 시행에 대응하는 목표 영역들이 중첩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201.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발부된 필드 깊이 모드를 획득하며, 상기 필드 깊이 모드는: 풀 포커스 모드, 매크로 모드, 초상화 및 풍경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 내의 사전설정된 필드 깊이 모드는: 풀 포커스 모드, 매크로 모드, 및 초상화 및 풍경 모드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에서, 필드 깊이 모드는 또한 다른 모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전술한 모드 중 하나 이상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201은 다음과 같이 실행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스크린상에 플로팅 기능 바(floating function bar)를 표시하며, 상기 플로팅 기능 바는 풀 포커스 모드 탭, 매크로 모드 탭, 초상화 및 풍경 모드 탭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전술한 탭을 촉발하여 전자 기기가 사용자에 의해 발부된 필드 깊이 모드를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201은 다음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전자 기기는 디폴트 필드 깊이 모드를 획득한다.
202. 필드 깊이 모드에 대응하는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1) 단계 201에서 획득된 필드 깊이 모드가 풀 포커스 모드일 때, 단계 202에서 "필드 깊이 모드에 대응하는 필드 깊이 범위"는 0-무한 범위 내의 필드 깊이(즉, 완전한 필드 깊이)일 수 있다.
(2) 단계 201에서 획득된 필드 깊이 모드가 매크로 모드일 때, 단계 202에서 "필드 깊이 모드에 대응하는 필드 깊이 범위"는 매크로 범위 내의 필드 깊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작은 피사체(예를 들어 작은 화분 풍경 및 작은 장난감)의 클로즈업으로 촬영하는 데 적절할 수 있다. 매크로 범위는 0-50cm일 수 있으며, 당연히 다른 값 범위도 가능하다.
(3) 단계 201에서 획득된 필드 깊이 모드가 초상화 및 풍경 모드일 때, 단계 202에서 "필드 깊이 모드에 대응하는 필드 깊이 범위"는 초상화 및 풍경 범위를 커버하는 필드 깊이일 수 있다. 이 경우, 초상화 및 풍경을 사진촬영하는 데 적절하다. 초상화 및 풍경 범위는 50cm-무한일 수 있고, 당연히 다른 값 범위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이한 필드 깊이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상이한 장식 효과를 가지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개인적인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진촬영될 피사체에 따라 필드 깊이 모드를 적절하게 선택하며, 이에 따라 단계 203에서 획득된 R개의 이미지에 리던던트 이미지(redundant image)가 포함되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으며, 여기서 리던던트 이미지란 필드 깊이 내에 사진촬영될 피사체가 없다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필드 깊이 범위가 0-무한이지만, 필드 깊이 범위 0-50cm 내에 사진촬영될 피사체가 없다. 이 경우, 전자 기기에 의해 획득되고 필드 깊이를 가지는 이미지는 리던던트 이미지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드 깊이 모드를 초상화 및 풍경 모드로서 선택할 수 있다.
203. 필드 깊이 범위 내에서,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R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며, 여기서 R은 정수이고, R=2이다.
204. R개의 이미지 각각에 대해 글로벌 등록을 수행한다.
예시적으로, 전자 기기는 종래기술의 글로벌 등록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이미지 그룹 내의 이미지에 대해 글로벌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204가 수행된 후, R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의 이미지 사전배치가 일관적이고, 각각의 이미지의 동일한 위치 내의 포인트의 좌표는 동일하다. 예를 들어, R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 내의 중심점의 좌표는 동일하고, R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 내의 좌상 정점(upper-left vertex)의 좌표는 동일하고, R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 내의 우상 정점(upper-right vertex)의 좌표는 동일하며, 등등이다.
205: R개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206: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고 이미지의 M개의 영역에 대해 수행되는 M개의 명령 시행을 획득하고, 여기서 M은 정수이고, M=1이다.
예시적으로, 이 프로세스에서, 사용자는 전자 기기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줌 브라우징 방식으로 브라우징하여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줌 브라우징 방식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조할 수 있다.
207. M개의 명령 시행에 따라 M개의 목표 영역을 획득한다.
예시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M개의 목표 영역은 목표 영역 1, 목표 영역 2,..., 목표 영역 i,... 및 목표 영역 M으로 표시되며, 여기서 1=i=M이고, i는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단계 207은 구체적으로 이하의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207.1. M개의 명령 시행에서의 i번째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이 얼굴 영역인지를 순차적으로 검출한다.
예이면, 단계 207.2가 수행되고, 아니오이면, 단계 207.3이 수행된다.
207.2. 얼굴 영역을 i번째 목표 영역으로 사용한다.
207.3. 포인트가 중심인 영역을 i번째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고, 여기서 포인트는 i번째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 내에 있다. 이 경우, 목표 영역의 크기는 16x16 픽셀일 수 있고, 당연히 다른 값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얼굴 인식 모드를 작동가능/작동불능으로 선택하는 탭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탭은 단계 201에서 설명된 "플로팅 기능 바"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당연히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얼굴 인식 모드를 필요에 따라 작동가능 또는 작동불능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촬영될 피사체가 얼굴을 포함하면, 얼굴 인식 모드를 작동가능으로 선택하여 전자 기기의 리포커싱 정확도를 높이고; 사진촬영될 피사체가 얼굴을 포함하지 않으면, 얼굴 인식 모드를 작동불능으로 선택하여 전자 기기가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킨다. 전자 기기는 얼굴 인식 모드를 디폴트로 작동가능으로 할 수 있고, 이 경우를 본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위한 예로 사용한다.
208. R개의 이미지에 포함된 목표 영역의 화질을 개별적으로 획득한다.
예시적으로, R개의 이미지 각각은 목표 영역 1, 목표 영역 2,..., 목표 영역 i,..., 및 목표 영역 M을 포함하고, R개의 이미지는 총 MxR 목표 영역을 포함한다. r번째 이미지에 포함된 목표 영역 i는 목표 영역 ir로 표시되고, 여기서 1=r=R이고, r은 정수이다. R개의 이미지에 포함된 MxR 목표 영역이 표 1에 열거되어 있다.
하나의 이미지 내의 목표 영역 R개의 이미지에 포함된 목표 영역
목표 영역 1 목표 영역 11, 목표 영역 12,..., 목표 영역 1R
목표 영역 2 목표 영역 21, 목표 영역 22,..., 목표 영역 2R
...... ......
목표 영역 i 목표 영역 i1, 목표 영역 i2,..., 목표 영역 iR
...... ......
목표 영역 M 목표 영역 M1, 목표 영역 M2,..., 목표 영역 MR
단계 205에 표시된 이미지 내의 목표 영역 1의 위치는 목표 영역 1(x1, y1)이고, 여기서 X11=x1=X12 및 Y11=y1=Y12이다. R개의 이미지 각각의 동일한 위치 내의 포인트의 좌표는 동일하기 때문에, 다른 R-1개의 이미지 내의 목표 영역 1의 위치도 (x1, y1)이다. 즉, i번째 이미지 내의 목표 영역 i1의 위치도 (x1, y1)이다.
단계 205에 표시된 이미지가 이미지 그룹 내의 b번째 이미지이면, 목표 영역 ib 및 목표 영역 i는 동일한 이미지 내의 동일한 영역이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209.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리포커싱 모드를 획득하며, 여기서 리포커싱 모드는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clear refocusing mode) 또는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blurred refocusing mode)를 포함한다.
획득된 리포커싱 모드가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이면, 단계 210가 수행되고, 획득된 리포커싱 모드가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이면, 단계 211가 수행된다.
예시적으로, 단계 209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 탭 및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 탭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이러한 탭들은 단계 201에서 언급된 "플로팅 기능 바"에 배치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독립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당연히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 또는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209 및 단계 201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즉, 단계 201에서, 전자 기기는 필드 깊이 모드 및 리포커싱 모드 모두를 획득한다.
210. R개의 이미지 내의 각각의 그룹의 대응하는 목표 영역 중 최고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한다.
표 1에서 제2 열의 제2 행으로부터의 각각의 행에 포함되어 있는 목표 영역이 한 그룹의 "대응하는 영역"이다. 표 1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총 M개 그룹의 대응하는 영역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계 210은: 각각의 그룹의 대응하는 목표 영역 중 최고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를 개별적으로 획득하고; 그 획득된 이미지들이 동일한 이미지이면, 그 이미지를 목표 이미지로 사용하며; 그 획득된 이미지들이 동일한 이미지가 아니면, 그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목표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 합성은 종래기술의 방식 중 임의의 하나의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개 그룹의 대응하는 목표 영역 중 최고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들이 각각 목표 영역 1b, 목표 영역 2b,.... 및 목표 영역 Mb이면, R개의 이미지 내의 b번째 이미지를 목표 이미지로 사용한다.
다른 예에서, M개 그룹의 대응하는 목표 영역 중 최고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들이 각각 목표 영역 11, 목표 영역 23, 목표 영역 33, 목표 영역 46,.... 및 목표 영역 Mb이면, R개의 이미지 내의 제1, 제3, 제6,...제b 이미지를 합성하여 목표 이미지를 생성한다.
단계 210이 수행된 후, 단계 212가 수행된다.
211. R개의 이미지 내의 각각의 그룹의 대응하는 목표 영역 중 최저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한다.
당업자라면 전술한 단계 210의 특정한 실행 방식에 따라 단계 211의 특정한 실행 방식을 유추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212. 목표 이미지를 표시하고 저장한다.
단계 212가 수행된 후, 리포커싱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선택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201 내지 202는 이하의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201'. 전자 기기는 사진촬영될 피사체를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예시적으로, 이미지는 전술한 "R개의 이미지" 중 하나일 수도 있고 전술한 "R개의 이미지" 중 하나가 아닐 수도 있다.
202'.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고 기준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초점 및 적어도 2개의 초점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커버하는 필드 깊이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에서,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이 필드 깊이 범위 내에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 내의 목표 영역(즉, 리포커싱 영역)의 화질을 획득하여 리포커싱을 수행한다. 이 방법에서, 전자 기기는 여러 대의 카메라 또는 레이저/적외선 측정 기기를 구성함이 없이 리포커싱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종래기술에 비해 리포커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필드 깊이 모드가 획득되고 이 필드 깊이 모드에 대응하는 필드 깊이 범위가 획득되어 사용자의 개인적인 요건을 충족시키며, 이에 의해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실시예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전자 기기(4)를 도시하고 있으며, 전자 기기(4)는 도 1에 도시된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미지 획득 유닛(41);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 시행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명령 시행 획득 유닛(42);
상기 명령 시행에 따라 목표 영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유닛(43);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화질 획득 유닛(44);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유닛(45)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생성 유닛(45)은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화질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 여기서 K≥1이고, K는 정수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화질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화질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다, 및 상기 화질은 사전설정된 값 범위 내에 있다 중 어느 하나임 - ;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이미지를 상기 목표 이미지로서 사용하며;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K=1일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4)는:
리포커싱 모드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드 획득 유닛(46)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포커싱 모드는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 또는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고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저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생성 유닛(45)은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커싱 모드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결정 유닛(43)은 구체적으로: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이 얼굴 영역일 때, 상기 얼굴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 내에 있는 포인트가 중심인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4)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필드 깊이 범위 획득 유닛(47)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유닛(41)은, 상기 필드 깊이 범위 내에서,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이미지 획득 유닛(41)은 사진촬영될 피사체를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드 깊이 범위 획득 유닛(47)은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고 기준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초점을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초점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커버하는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4)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에 대해 글로벌 등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글로벌 등록 유닛(48)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기기는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의 목표 영역(즉, 리포커싱 영역)의 화질에 따라 리포커싱을 수행한다. 이 방법에서, 전자 기기는 여러 대의 카메라 또는 레이저/적외선 측정 기기를 구비함이 없이 리포커싱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종래기술에 비해 리포커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전자 기기(6)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전자 기기(6)는 도 1에 도시된 리포커싱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메모리(61) 및 프로세서(62)를 포함한다.
메모리(61)는 한 그룹의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코드는 프로세서(62)가 이하의 동작: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 시행을 획득하고;
상기 명령 시행에 따라 목표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definition)을 획득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2)는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화질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 여기서 K≥1이고, K는 정수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화질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화질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다, 및 상기 화질은 사전설정된 값 범위 내에 있다 중 어느 하나임 - ;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이미지를 상기 목표 이미지로서 사용하며; 그리고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K=1일 때, 프로세서(62)는 리포커싱 모드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리포커싱 모드는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 또는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고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저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리포커싱 모드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2)는 구체적으로: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이 얼굴 영역일 때, 상기 얼굴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 내에 있는 포인트가 중심인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2)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세서(62)는 구체적으로, 상기 필드 깊이 범위 내에서,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2)는 사진촬영될 피사체를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62)는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고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초점을 획득하며; 그리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초점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커버하는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2)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에 대해 글로벌 등록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자 기기는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의 각각의 이미지의 목표 영역(즉, 리포커싱 영역)의 화질에 따라 리포커싱을 수행한다. 이 방법에서, 전자 기기는 여러 대의 카메라 또는 레이저/적외선 측정 기기를 구비함이 없이 리포커싱을 실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종래기술에 비해 리포커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설명을 쉽고 간략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에 대한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수 개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단지 일종의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의 실행 동안 다른 분할 방식으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를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의 특징은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커플링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식, 기계식 또는 다른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별도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별개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도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실제의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실시예의 솔루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거나,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실현되어 독립 제품으로 시판되거나 사용되면, 이 통합 유닛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필수적 기술적 솔루션 또는,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솔루션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된 방법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이것은 퍼스널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이 될 수 있다)에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플래시 디스크, 휴대형 하드디스크, 리드-온리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수정, 또는 기술적 특징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등가의 대체는 대응하는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러한 변형 또는 대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전자 기기에 적용되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 시행(instruction operation)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명령 시행에 따라 목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definition)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화질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K≥1이고, K는 정수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화질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화질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다, 및 상기 화질은 사전설정된 값 범위 내에 있다 중 어느 하나임 - ;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이미지를 상기 목표 이미지로서 사용하는 단계; 및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K=1일 때,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리포커싱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포커싱 모드는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clear refocusing mode) 또는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blurred refocusing mode)를 포함하고, 상기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고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저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리포커싱 모드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시행에 따라 목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이 얼굴 영역일 때, 상기 얼굴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 내에 있는 포인트가 중심인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depth-of-field range)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필드 깊이 범위 내에서,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를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고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초점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초점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커버하는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 시행을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에 대해 글로벌 등록(global registration)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8.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전자 기기로서,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이미지 획득 유닛;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적인 영역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 시행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명령 시행 획득 유닛;
    상기 명령 시행에 따라 목표 영역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결정 유닛;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을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화질 획득 유닛;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생성 유닛
    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로부터, 상기 목표 영역의 화질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 여기서 K≥1이고, K는 정수이며,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은: 상기 화질은 제1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화질은 제2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다, 및 상기 화질은 사전설정된 값 범위 내에 있다 중 어느 하나임 - ;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이미지를 상기 목표 이미지로서 사용하며; 그리고
    K>1일 때, 상기 미리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는 K개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상기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K=1일 때, 상기 전자 기기는,
    리포커싱 모드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드 획득 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포커싱 모드는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 또는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깨끗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고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흐릿한 리포커싱 모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중 최저화질을 가지는 목표 영역의 이미지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전자 기기에 명령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생성 유닛은 상기 리포커싱 모드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각각에서의 목표 영역의 화질에 따라 목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 기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이 얼굴 영역일 때, 상기 얼굴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시행이 수행되는 영역 내에 있는 포인트가 중심인 영역을 상기 목표 영역으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 기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는,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의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필드 깊이 범위 획득 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유닛은, 상기 필드 깊이 범위 내에서,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이면서 상이한 필드 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유닛은 상기 사진촬영될 피사체를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드 깊이 범위 획득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부되고 상기 기준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2개의 초점을 획득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초점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커버하는 필드 깊이 범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자 기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에 대해 글로벌 등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글로벌 등록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50054532A 2014-04-17 2015-04-17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1612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153998.9A CN103973978B (zh) 2014-04-17 2014-04-17 一种实现重对焦的方法和电子设备
CN201410153998.9 2014-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317A true KR20150120317A (ko) 2015-10-27
KR101612727B1 KR101612727B1 (ko) 2016-04-15

Family

ID=5124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532A KR101612727B1 (ko) 2014-04-17 2015-04-17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304545A1 (ko)
EP (1) EP2940655A1 (ko)
JP (1) JP6047807B2 (ko)
KR (1) KR101612727B1 (ko)
CN (1) CN10397397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55A (ko) 2017-12-20 2019-06-28 (주)이더블유비엠 평면이미지의 리포커싱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190096237A (ko) * 2018-02-08 2019-08-19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메모지 촬영 및 서버 공유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1010A (zh) * 2014-08-18 2016-03-30 惠州友华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景深获取装置及其获取的方法
CN104394308B (zh) * 2014-11-28 2017-11-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双摄像头以不同视角拍照的方法和终端
CN104333703A (zh) * 2014-11-28 2015-02-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使用双摄像头拍照的方法和终端
CN106303202A (zh) * 2015-06-09 2017-01-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图像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5187722B (zh) * 2015-09-15 2018-12-2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景深调节方法、装置及终端
JP6700813B2 (ja) * 2016-01-29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611174A (zh) * 2016-02-29 2016-05-2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及电子装置
CN105812656B (zh) * 2016-02-29 2019-05-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及电子装置
CN106161945A (zh) * 2016-08-01 2016-11-23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拍照处理方法和装置
US10382665B2 (en) * 2016-12-30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 focus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CN106791684A (zh) * 2016-12-31 2017-05-31 深圳市乐信兴业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跟踪方法及相关装置与系统、以及移动终端
US11348269B1 (en) * 2017-07-27 2022-05-31 AI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data to construct a floor plan
US10482619B2 (en) * 2017-07-27 2019-11-19 AI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data to construct a floor plan
CN107749944A (zh) * 2017-09-22 2018-03-02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装置
CN108111749B (zh) * 2017-12-06 2020-02-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和装置
CN108419009B (zh) * 2018-02-02 2020-11-03 成都西纬科技有限公司 图像清晰度增强方法和装置
WO2021114194A1 (zh) * 2019-12-12 2021-06-1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拍摄方法、拍摄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532881B (zh) * 2020-11-26 2022-07-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2672055A (zh) * 2020-12-25 2021-04-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方法、装置及设备
CN112954204B (zh) * 2021-02-04 2022-09-0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拍照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N113873160B (zh) * 2021-09-30 2024-03-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15567783B (zh) * 2022-08-29 2023-10-24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8899A (ja) * 2000-11-16 2002-05-31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3143461A (ja) * 2001-11-01 2003-05-16 Seiko Epson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US7653298B2 (en) * 2005-03-03 2010-01-26 Fujifilm Corporation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method, image capturing program, image recording output system and image recording output method
JP4777087B2 (ja) * 2005-03-03 2011-09-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記録出力システム、画像記録出力方法
JP4802884B2 (ja) * 2006-06-19 2011-10-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画像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35302B2 (ja) * 2006-11-02 2012-05-23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およびプログラム
US8559705B2 (en) * 2006-12-01 2013-10-15 Lytro, Inc. Interactive refocusing of electronic images
WO2010065344A1 (en) * 2008-11-25 2010-06-10 Refocus Imaging, Inc. System of and method for video refocusing
JP5748579B2 (ja) * 2011-06-30 2015-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合成装置、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501834B2 (en) * 2011-08-18 2016-11-22 Qualcomm Technologies, Inc. Image capture for later refocusing or focus-manipulation
JP5822613B2 (ja) * 2011-09-12 2015-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30329068A1 (en) * 2012-06-08 2013-12-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6207202B2 (ja) 2012-06-08 2017-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GB2503656B (en) * 2012-06-28 2014-10-15 Canon Kk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light field images
KR101487516B1 (ko) * 2012-09-28 2015-01-30 주식회사 팬택 연속 자동 초점을 이용한 멀티 초점 이미지 캡처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455A (ko) 2017-12-20 2019-06-28 (주)이더블유비엠 평면이미지의 리포커싱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190096237A (ko) * 2018-02-08 2019-08-19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메모지 촬영 및 서버 공유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73978A (zh) 2014-08-06
JP2015208001A (ja) 2015-11-19
KR101612727B1 (ko) 2016-04-15
US20150304545A1 (en) 2015-10-22
JP6047807B2 (ja) 2016-12-21
CN103973978B (zh) 2018-06-26
EP2940655A1 (en)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727B1 (ko) 리포커싱을 실행하는 방법 및 전자 기기
JP6730690B2 (ja) シーン内に存在する不要なオブジェクトの除去に基づくシーンの画像の動的生成
JP6292867B2 (ja) 合成イメージを撮影する撮影装置及びその方法
CN108076278B (zh) 一种自动对焦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8315443B2 (en) Viewpoint detector based on skin color area and face area
TWI538512B (zh) 調整對焦位置的方法及電子裝置
WO201616878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iltering image data to reduce noise and/or generating an image
KR20160121569A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미지 처리 장치
US20160050349A1 (en) Panoramic video
CN107787463B (zh) 优化对焦堆栈的捕获
CN105245790A (zh) 一种补光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2335167B1 (ko)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촬영 방법
US20160050366A1 (en) Panoramic video
US201602928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Digital Imaging
CN113870213A (zh) 图像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JP5889022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788254A (zh) 辅助对焦方法、装置及系统
CN105467741B (zh) 一种全景拍照方法及终端
WO2021031210A1 (zh) 视频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6089742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9834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64571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13014820A (zh) 一种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3014791B (zh) 图像生成方法及装置
JP201610380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