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745A - 케이블 타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745A
KR20150119745A KR1020140045555A KR20140045555A KR20150119745A KR 20150119745 A KR20150119745 A KR 20150119745A KR 1020140045555 A KR1020140045555 A KR 1020140045555A KR 20140045555 A KR20140045555 A KR 20140045555A KR 20150119745 A KR20150119745 A KR 20150119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ie
locking
inflow groove
groov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027B1 (ko
Inventor
임준혁
Original Assignee
임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준혁 filed Critical 임준혁
Priority to KR1020140045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02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절단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타이는 몸체부와 록킹부를 포함한다. 몸체부는 내부에 유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 홈의 입구측에 적어도 한 쌍의 걸림턱이 형성된다. 록킹부는 상기 몸체부에 일단이 연장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부재들이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유입 홈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턱과 맞물려 진입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타이{Cable Tie}
본 발명은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부의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유입 홈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 홈으로 록킹부를 삽입시켜 여러 개의 케이블들을 하나의 다발로 묶어줌으로써 별도의 절단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타이는 여러 개의 케이블들을 하나로 묶어서 정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고정하기를 원하는 물체에 결선하여 물체를 특정 지점에 고정하는데도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케이블 타이(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1)와 상기 헤드부(11)로부터 연장된 벨트부(1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헤드부(11)에는 벨트부(12)를 끼울 수 있는 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홀 내부에는 벨트부(12)에 형성된 걸림부(13)를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 타이(1)는 헤드부(11)의 홀로 벨트부(12)의 걸림부(13)가 관통하여 묶음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을 묶고 나면 벨트부(12)의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별도의 절단도구를 이용하여 벨트부(12)의 돌출된 부분을 절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벨트부(12)를 절단하고 난 후에는 그 절단면이 날카로워 작업자들이 다른 작업을 하는 도중 절단면에 손이 접촉되어 상처를 입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3-0101683 (2013.09.16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별도의 절단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절단면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타이는 내부에 유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 홈의 입구측에 적어도 한 쌍의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일단이 연장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부재들이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유입 홈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턱과 맞물려 진입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록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의 유입 홈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 홈으로 록킹부를 삽입시켜 여러 개의 케이블들을 하나의 다발로 묶어줌으로써,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고 난 후 종래와 같이 케이블 타이의 끝단을 절단시키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케이블 타이를 사용한 후 절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묶으려는 케이블들의 개수가 많아 케이블 타이의 길이가 모자랄 경우에도, 여러 개의 케이블 타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케이블 타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있어서, 두 개의 케이블 타이를 연결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타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케이블 타이의 단면도이며, 도 4는 케이블 타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케이블 타이(100)는 여러 개의 케이블(10)들을 묶어서 하나의 다발로 정리하거나, 고정하기를 원하는 물체에 결선하여 물체를 특정 지점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타이(100)는 몸체부(110)와, 록킹부(12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케이블(10)들을 감싸주어 지지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의 유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삼각기둥이나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몸체부(110)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케이블(10)들을 정리하는 용도뿐 아니라 공예재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
몸체부(110)는 자유롭게 굽혀질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입 홈의 입구측에 적어도 한 쌍의 걸림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111)의 개수 및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자의 필요에 달라질 수 있다.
록킹부(120)는 몸체부(110)의 유입 홈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일단이 몸체부(110)에 연장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부재(121)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록킹부(120)는 몸체부(110)의 유입 홈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록킹부(120)의 단면적 지름이 유입 홈의 단면적 지름과 같거나 작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몸체부(110)와 같이 자유롭게 굽혀질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재(121)는 직각 삼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걸림턱(111)은 록킹부(120)의 삽입방향으로 빗변을 형성하고 그 반대측에 직각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록킹부(120)의 타단이 몸체부(110)의 유입 홈에 삽입되면 걸림부재(121)가 걸림턱(111)과 맞물리게 되어 록킹부(120)가 진입은 가능하나 진입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는 것이다.
또한, 걸림부재(121)들은 한 방향으로 걸림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록킹부(120)의 고정을 위한 것으로, 만약 걸림부재(121)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빗변이 형성되면 록킹부(120)의 걸림부재(121) 중 어느 하나가 걸림턱(111)과 체결되지 않게 되어 몸체부(1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록킹부(120)의 타단이 몸체부(110)의 유입 홈에 삽입되어 걸림턱(111)과 맞물림에 따라 케이블 타이(1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고리형태를 취하게 되어 복수의 케이블(10)들을 하나의 다발로 묶어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타이(100)의 몸체부(110) 내부에 걸림턱(111)이 형성된 유입 홈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 홈으로 록킹부(120)를 삽입시켜 여러 개의 케이블(10)들을 하나의 다발로 묶어줌으로써, 케이블 타이(100)를 사용하고 난 후 종래와 같이 케이블 타이(100)의 끝단을 절단시키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케이블 타이(100)를 사용한 후 절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날카로운 절단면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유입 홈은 사각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걸림턱(111)은 상기 유입 홈의 각 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턱(111)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안정적인 체결을 위해 적어도 각 단면에 한 쌍 이상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록킹부(120)는 유입 홈과 대응되는 사각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걸림부재(121)는 록킹부(120)의 각 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체부(110)의 유입 홈과 록킹부(120)를 사각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의 각 단면에 걸림턱(111)과 걸림부재(121)들을 각각 형성함에 따라, 록킹부(120)의 각 단면에 형성된 모든 걸림부재(121)들이 걸림턱(111)과 맞물리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록킹부(1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타이(100)의 유입 홈에 따로 구비된 케이블 타이(100)의 록킹부(120)를 삽입시키면 두 개의 케이블 타이(100)가 서로 연결되어 길이가 연장된다. 이에 따라, 묶으려는 케이블(10)들의 개수가 많아 케이블 타이(100)의 길이가 모자랄 경우에도 여러 개의 케이블 타이(100)들을 서로 연결하면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케이블
100.. 케이블 타이
110.. 몸체부
111.. 걸림턱
120.. 록킹부
121.. 걸림 돌기

Claims (3)

  1. 내부에 유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 홈의 입구측에 적어도 한 쌍의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일단이 연장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부재들이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유입 홈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턱과 맞물려 진입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록킹부;
    를 포함하는 케이블 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홈은 사각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유입 홈의 각 단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사각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록킹부의 각 단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타이.
KR1020140045555A 2014-04-16 2014-04-16 케이블 타이 KR101599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555A KR101599027B1 (ko) 2014-04-16 2014-04-16 케이블 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555A KR101599027B1 (ko) 2014-04-16 2014-04-16 케이블 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745A true KR20150119745A (ko) 2015-10-26
KR101599027B1 KR101599027B1 (ko) 2016-03-08

Family

ID=5442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555A KR101599027B1 (ko) 2014-04-16 2014-04-16 케이블 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0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233A (ja) * 1997-09-01 1999-03-23 Sumitomo Wiring Syst Ltd 結束バンド
KR200211367Y1 (ko) * 2000-06-20 2001-01-15 김규식 타이 랩
JP2008151245A (ja) * 2006-12-16 2008-07-03 Kaneko Denki Kk 結束バンド並びにその固定方法及び固定治具
KR20100124432A (ko) * 2009-05-19 2010-11-29 신익환 케이블타이
KR20130101683A (ko) 2012-03-06 2013-09-16 최정환 케이블 타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233A (ja) * 1997-09-01 1999-03-23 Sumitomo Wiring Syst Ltd 結束バンド
KR200211367Y1 (ko) * 2000-06-20 2001-01-15 김규식 타이 랩
JP2008151245A (ja) * 2006-12-16 2008-07-03 Kaneko Denki Kk 結束バンド並びにその固定方法及び固定治具
KR20100124432A (ko) * 2009-05-19 2010-11-29 신익환 케이블타이
KR20130101683A (ko) 2012-03-06 2013-09-16 최정환 케이블 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027B1 (ko)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387B1 (en) Reusable cable tie
KR101540995B1 (ko) 길이연장이 가능한 볼 타입 케이블 타이
EP3503325A1 (en) Wire harness module
US10975998B2 (en) Safety plate
KR101599027B1 (ko) 케이블 타이
EP2974977A1 (en) In-line cable tie with flexible head
KR101509080B1 (ko) 십자형 케이블타이
EP3254575B1 (en) Wig fastening tool and wig using same
JP2017209018A (ja) 腕金用営巣防止具
JP3194639U (ja) スリットチューブ
JPWO2015198965A1 (ja) 結束バンド
JP2016023447A (ja) シートの折畳み方法、鳩目引掛け具、及び折畳み状態保持具
JP2010006426A (ja) 結束具
JP6098475B2 (ja) クランプ
EP3696446B1 (en) Wedge clamp and steel wire
KR102156666B1 (ko) 자동차용 박스의 케이블 고정장치
JP6819992B2 (ja) 連結具を備える仕切り
KR200485555Y1 (ko) 케이블타이
KR20220069538A (ko) 체결과 풀림이 용이한 타이
KR101161478B1 (ko) 재사용 케이블 타이
KR101416271B1 (ko) 호스 고정용 클램프
JP6526610B2 (ja) くさびクランプ
KR20220161662A (ko) 체결과 풀림이 용이한 재사용 가능한 타이
KR100863691B1 (ko)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JP2016116809A (ja) 結束バンド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