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997A - 경로 정보 교환 방법, 통신 노드,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통신 노드의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경로 정보 교환 방법, 통신 노드, 통신 시스템, 및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통신 노드의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997A
KR20150118997A KR1020157024389A KR20157024389A KR20150118997A KR 20150118997 A KR20150118997 A KR 20150118997A KR 1020157024389 A KR1020157024389 A KR 1020157024389A KR 20157024389 A KR20157024389 A KR 20157024389A KR 20150118997 A KR20150118997 A KR 20150118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ode
routing
routing domain
commun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657B1 (ko
Inventor
히로후미 우에다
노리히토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02Topology update or discovery
    • H04L45/04Interdomain routing, e.g. hierarchical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46Cluster bui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64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an overlay routing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32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for defining a routing cluster member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의 과제는, 다른 라우팅 도메인간에 있어서의 경로 정보의 교환에 대하여, 계층 구조를 구축하는 단계에 있어서 낭비적인 경로 정보의 교환을 삭감하면서도, 네트워크의 분단(partition)을 허용하는 경로 인식의 로버스트성(robustness)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은,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고,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한다.

Description

경로 정보 교환 방법, 통신 노드,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노드의 프로그램{PATH INFORMATION EXCHANGE METHOD, COMMUNICATION NOD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NODE PROGRAM}
본 발명은 경로 정보 교환 방법, 통신 노드,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노드의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가 없는 벽지나 재해시에 있어서의 통신 수단으로서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ANET: Mobile Ad-Hoc Networks)가 주목받고 있으며,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와 같이 광범위하면서 다수의 통신 단말이 참가하는 대규모 환경에서의 운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MANET는, 통신 노드(통신 단말)끼리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직접 통신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각각의 통신 단말의 통신 전파에 의해 통신 간섭이 발생하여, 이용 가능한 통신 대역은 제한된다. 또한, 통신 단말의 이동이나 장해물에 의한 전파차단에 의해 통신 전파가 도달하지 않게 됨으로써 통신 단말간의 통신 링크가 빈번하게 도중에 끊어지거나, 네트워크가 분단(分斷)되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같은,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간, 또는 노드간의 접속성이 불안정할 경우라도, 엔드간에서 데이터를 고신뢰로 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WO2009-078427호 공보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는 다수의 통신 단말에 의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어서, 통신에 필요한 목적지 통신 단말까지의 통신 경로를 나타내는 경로 정보는 방대한 양이 된다. 또한, 각각의 통신 단말이 방대한 경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통신 단말이 사용가능한 대역을 더욱 좁히게 되어버린다.
또한, 상기와 같은 광범위하면서 다수인 노드에 의해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이용 가능한 통신 대역이 좁은 대역이면서 네트워크가 분단되는 환경에서는, 경로 정보의 관리 방법에 대하여,
조건 1. 경로 정보의 증가를 막는 스케일러블성(scalability),
조건 2. 네트워크의 분단을 허용하는 경로 인식의 로버스트성(robustness),
이 있을 것이 요청된다.
그러나, 기존의 MANET 및 DTN(Delay-Tolerant Network) 라우팅에서는, 조건 1과 조건 2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곤란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른 라우팅 도메인간에 있어서의 경로 정보의 교환에 대하여, 계층 구조를 구축하는 단계에서 낭비적인 경로 정보의 교환을 삭감하면서도, 네트워크의 분단을 허용하는 경로 인식의 로버스트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경로 정보 교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경로 정보 교환 방법으로서, 통신 노드는,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통신 시스템으로서,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광고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통신 노드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노드를,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되는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광고 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본 발명의 효과는,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를 구축하는 단계에서, 다른 라우팅 도메인간에 있어서의 경로 정보의 낭비적인 교환을 삭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원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원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원에 있어서의 라우팅 도메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원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원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원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원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원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원의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경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경로 제어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경로 제어 메시지의 계층 어드레스의 최상위 계층을 나타내는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경로 제어 메시지의 말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계층 레벨을 채용한 경로 제어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자(自)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원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의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원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의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원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의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원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의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원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의 상태 천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인식하고 있는 계층 어드레스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원에 있어서의 전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 DTN 기술에 있어서, 경로 정보의 교환을 실시하는 타이밍으로서, 다른 라우팅 도메인을 검출했을 때가, DTN 기술에 있어서의 경로 정보의 교환을 실시할 타이밍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하, 이 타이밍의 일례를 설명한다.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통신 단말이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동일한 계층 구조)에 소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MANET 기술의 계층화 라우팅에 근거하여, 도 1에 나타내는 계층 구조를 구축하고, 관리 단말(CH)은, 관리 범위(CA) 내의 다른 통신 단말을 관리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통신 단말의 목적지를 1개의 관리 단말에 집약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리 단말(CH)은 자(自)단말이 위치하는 계층 정보(계층 어드레스(AD100))를 관리 범위(CA) 내에 정기적으로 경로 정보로서 광고함으로써, 경로 정보의 스케일러블화를 행한다. 반대로, 통신 단말이 서로 다른 라우팅 도메인(다른 계층 구조)에 소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DTN 기술의 DTN 라우팅에 있어서의 경로 정보 교환 방법을 이용하여,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라우팅 도메인(다른 계층 구조)에의 경로를 다른 통신 단말에 광고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위의 통신 단말에 광고되어 있는 계층 어드레스(AD100)의 최상위 계층의 통신 단말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비교함으로써 라우팅 도메인이 다름을 검출하고, DTN 기술에 근거하는 경로 정보의 교환을 실시하는 타이밍을 판단한다. 이에 따라, 자(自)통신 단말과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MANET 기술을 사용하고, 다른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DTN 기술의 경로 정보 교환을 실시할 타이밍이라고 판단하여 행한다. 그 결과,
조건 1. 경로 정보의 증가를 막는 스케일러블성, 및
조건 2. 네트워크의 분단을 허용하는 경로 인식의 로버스트성,
의 양립을 실현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의 방법에서는 네트워크의 계층 구조의 구축이 수렴하고 있는 것, 바꿔 말하면, 라우팅 도메인의 변화가 안정되어 있는 것이 전제가 된다. 그 때문에, 계층 구조를 구축하고 있는 단계에 있어서는, 상기 방법에서는 경로 정보의 교환에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다른 라우팅 도메인"을 검출하는 것에 사용하는 계층 어드레스(AD100)는, 계층 구조를 구축 도중의 단계에서는, 일시적인 최상위의 관리 단말이 몇 번이나 발생, 변화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몇 번이나 변화되는 것이 고려된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계층 구조의 구축을 시작한 단계에서는, 상위의 관리 단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관리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AD100)에는, 각각의 관리 단말의 식별자가 들어간 것만이 된다. 그 후에,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계층 구조의 구축 도중에 일시적으로 최상위 관리 단말이 된 통신 단말(단말(CHa)과 단말(CHc))의 계층 어드레스에 의해, 그것들의 통신 단말의 하위 계층의 통신 단말(CHh∼CHl)의 계층 어드레스가 변경된다.
그리고, 완전한 트리 구조의 계층을 만들기 위해서, 계층 구조의 구축이 더 진행되고, 전술한 통신 단말의 상위 관리 단말(CHa과 CHc) 중에서 최상위 관리 단말이 결정된다(도 6). 도 6에서는, 새롭게 최상위 관리 단말이 된 통신 단말(CHa)에 의해, 그 계층 구조의 계층 어드레스는 새롭게 갱신되며, 도 5에서 일시적으로 최상위 관리 단말이었던 통신 단말(CHc)이 관리하는 계층 어드레스는 달라지게 되어서, 통신 단말(CHc)에 종속된 관리 단말(도 6의 섀도우 부분들)의 계층 어드레스도 변경되게 된다.
도 5에서 일시적으로 최상위 관리 단말이었던 통신 단말(CHc)의 계층 어드레스는, 관리 단말(CHc)의 상위의 관리 단말(CHa)의 식별자를 더한 "A-C"로 변화된다. 그리고, 통신 단말(CHc)이 갱신된 자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를 광고했을 때에, 종속된 통신 단말(CHj∼CHl) 중, 예를 들면 통신 단말(CHj)은, 지금까지 인식하고 있었던 자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 "C-J"의 최상위 계층을 나타내는 부분 "C"의 식별자와, 새롭게 수신하는 계층 어드레스 "A-C"의 최상위 계층을 나타내는 부분 "A"의 식별자가 다른 것을 검출한다.
그 결과, 상위의 관리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가 갱신되었을 때에, 그 관리 단말의 하위의 계층에 위치하는 관리 단말은, 상위의 관리 단말이 광고하는 새로운 계층 어드레스를, 지금까지 자단말이 인식하고 있었던 계층 어드레스와 다른 것, 즉, 다른 라우팅 도메인으로부터의 메시지로서 판단해 버려, DTN 기술을 사용한 경로 정보 교환을 실행해버리게 된다.
실제로는, 자통신 단말이 소속하는 계층 구조의 계층 어드레스가 갱신됐을 뿐이며, 최종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개의 계층 구조(라우팅 도메인)로 수렴한다. 그 때문에, DTN 기술을 사용한 경로 정보를 교환할 필요는 없다. 상기의 계층 구조의 갱신은, 계층 구조가 최상위의 관리 단말을 정점으로 한 트리 구조가 구축될 때까지, 새로운 계층이 생성될 때마다 몇 번이고 되풀이되는 처리이며, 그 때마다, 낭비적인 경로 정보 교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하, 이 낭비가 되어버리는 경로 정보의 교환을 막는 방법을 기재한다.
[구성의 설명]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통신 단말과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 기능부(A11)와, 통신 단말(노드)의 보유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A12)와, 목적지 통신 단말과 통신을 행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제어하는 경로 제어부(A13)를 구비한 복수의 통신 단말(A1)을 포함한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 기능부(A11)가 행하는 무선통신(L1)에 의해 서로를 접속하여,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ANET)를 구축함으로써, 복수의 MANET를 포함하는 환경이 만들어진다. 이 때, 네트워크 내의 통신 단말은, 이동 상태 혹은 정지한 상태이어도 된다.
또한, 각각의 통신 단말은, 도 10에 나타내는 MANET의 경로 제어 기술인 경로 정보를 집약하여 삭감하는 계층화 라우팅에 근거하는 계층 구조의 구축과 경로 관리를 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클러스터링(clustering)은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가 접속되어 있는 범위를 1개의 라우팅 도메인으로 해서, 각 계층의 관리 단말(CH)마다에 고유한 계층 정보(계층 어드레스(AD100))가 할당되어 있다. 이 계층 어드레스(AD100)는,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계층 구조에 따른 생성 규칙에 기반하여 생성되며, 계층 구조 내의 각 계층의 계층 어드레스(AD100)에는, 당해 계층을 관리하는 상위 관리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또한, 계층 어드레스의 말미에 자통신 단말의 고유값(식별자)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자신의 계층 어드레스가 얻어지며, 이 자신의 계층 어드레스는 최상위 계층의 관리 단말로부터 최하위의 단말을 향해 재귀적으로 생성된다(도 2). 그러므로, 이것은 계층 구조 내의 각 계층의 상하 관계를 나타내는 식별자의 역할도 한다.
계층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관리 단말(CH)은, 자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를, 그 계층의 계층 정보로서 경로 제어 메시지(D100)에 기재하고,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h)로서 근린의 통신 단말에게 통지한다. 이에 따라, 계층 구조의 구축/유지와 계층 구조 내의 경로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통신 단말은 다른 통신 단말과 통신을 행할 때는, 계층 어드레스에 근거한 라우팅을 행한다.
계층화 라우팅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통신 단말(CHh)은, 목적지 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A-C-L)를 기초로, 자통신 단말이 보유하는 경로 정보(RT100) 중에서 최장 일치하는 계층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 엔트리를 선택하고, 그 정보의 송신원 통신 단말에게 정보를 전송한다. 이 절차를 전송 경로가 되는 통신 단말에서 재귀적으로 되풀이함으로써, 목적지 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를 가진 통신 단말에 정보가 도착할 수가 있다.
무선통신 기능부(A11)는 무선통신부(A111)를 구비하고 있다.
무선통신부(A111)는, 정보 관리부(A12)나 경로 정보 광고부(A134)로부터 받은 경로 제어 메시지(계층 어드레스(AD100)가 기재되거나, 자(自)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RT100m), 다른 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RT100d)가 기재), 다른 통신 단말의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다른 통신 단말로부터, 그것들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무선통신부(A111)는, 다른 통신 단말로부터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수신한 때에, 경로 제어부(A13)의 경로 제어 판단부(A130)와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주고받는 기능도 갖는다.
정보 관리부(A12)는, 경로 정보 기억부(A121)를 구비하고 있다.
경로 정보 기억부(A121)는, 경로 제어부(A13)의 DTN 경로 제어부(A132)로부터 받은 다른 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d)나 다른 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RT100d) 및, MANET 경로 제어부(A133)로부터 받은 자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m)와 자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RT100m)를 기억하는 기능을 가지며, 또한 경로 제어 판단부(A130), DTN 경로 제어부(A132), MANET 경로 제어부(A133)와 경로 정보 광고부(A134)로부터, 경로 정보의 판독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해당하는 경로 정보나 경로 제어 메시지를 응답하는 기능을 갖는다.
경로 제어부(A13)는, 경로 제어 판단부(A130), 도메인 식별부(A131), DTN 경로 제어부(A132), MANET 경로 제어부(A133), 경로 정보 광고부(A134)를 구비하고 있다.
경로 제어부(A130)는, 무선통신부(A11)로부터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받고, 당해 경로 제어 메시지(D100)가 다른 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AD100)가 기재된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인지 또는 다른 통신 단말의 DTN 경로 제어부(A132)가 송신한 다른 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RT100d)가 기재된 경로 제어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고,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DTN 경로 제어부(A132) 및 MANET 경로 제어부(A133)에 각각 분배하며, 실행해야 할 경로 제어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경로 제어 판단부(A130)가 행하는,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의 식별은, 여러가지 방법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간에서 교환되는 경로 제어 메시지의 메시지 타입 필드에, 계층 어드레스가 기재된 경우와 경로 정보가 기재된 경우의 식별자를 기재함으로써, 계층 어드레스가 기재된 것인지, 경로 정보가 기재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경로 제어 판단부(A130)는, 경로 제어 메시지 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 어드레스가 1개이면 계층 어드레스가 기재된 경로 제어 메시지(D100h)로, 2개 이상 기재되어 있으면 경로 정보(RT100d)의 통지 메시지로 판단할 수도 있다.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도메인 식별부(A131)에 통지하고, 자신의 계층 구조(자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것인지, 다른 계층 구조(타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자신의 계층 구조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m)인 경우에는, MANET 경로 제어부(A133)만으로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전송한다. 다른 계층 구조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d)인 경우에는, DTN 경로 제어부(A132) 및 MANET 경로 제어부(A133)의 양쪽에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전송하며, DTN 경로 제어부(A132)에 있어서 경로 제어의 처리와, MANET 경로 제어부(A133)에 있어서 계층 구조 구축의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또한,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경로 정보인 경우에는, DTN 경로 제어부(A132)에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전송한다.
도메인 식별부(A131)는, 경로 제어 판단부(A130)로부터 다른 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가 기재된 경로 제어 메시지(D100h)를 받으면, 그것이 자신의 계층 구조(자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m)인지, 다른 계층 구조(타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d)인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도메인 식별부(A131)는, 경로 정보 기억부(A121)로부터, 자라우팅 도메인의 계층 정보(자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AD100n)) 및, 자통신 단말이 인식하고 있는 다른 통신 단말의 계층 정보(계층 어드레스 그룹(AD110))을 판독하고, 상기 2개의 계층 정보와 경로 제어부(A130)로부터 받은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의 계층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자통신 단말이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가 자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m)인지, 타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d)인지를 식별한다.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에는, 도 2와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 어드레스(AD100)의 말미 부분에는, 당해 메시지의 송신원 통신 단말의 고유값(식별자)(AD100s)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그것의 선두 부분에는, 현재의 계층 구조를 관리하고 있는 최상위 관리 단말의 고유값(식별자)(AD100t)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의 식별을 행한다.
우선, 계층 어드레스의 최상위 계층을 나타내는 부분(계층 어드레스의 선두부의 식별자(AD100t))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자에 대해서, 도메인 식별부(A131)는, 수신한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에 기재된 계층 어드레스와 자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AD100n)의 당해 장소를 비교한다(도 12).
도 12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1)와 같이, 최상위 계층을 나타내는 부분의 식별자가 서로 일치한 경우에는, 양쪽 통신 단말의 계층 구조를 관리하는 최상위 관리 단말이 서로 같기 때문에, 수신한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와 자통신 단말은, 같은 계층 구조에 속하는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도메인 식별부(A131)는, 수신한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h)는 자통신 단말의 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것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도 12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2)와 같이, 식별자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메인 식별부(A131)는 다음 판단을 행한다.
전술의 판단에서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메인 식별부(A131)는, 계층 어드레스의 말미 부분에 기재되어 있는 식별자(AD100s)에 대해서,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에 기재의 계층 어드레스와 자통신 단말이 인식하고 있는 다른 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 그룹(AD110)의 당해 장소를 비교한다(도 13).
도 13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2)와 같이, 말미 부분에 기재의 식별자가 서로 일치한 경우에는, 수신한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h)는, 자통신 단말에게 기지(旣知)의 통신 단말이 송신한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 즉, 갱신된 당해 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로서 인식하고, 그 경로 제어 메시지(D100h)가 자통신 단말의 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메시지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도 13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3)와 같이, 식별자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통신 단말에게 미지의 통신 단말이 송신한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이기 때문에, 도메인 식별부(A131)는, 다른 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메시지라고 판단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메인 식별부(A131)는,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식별함으로써,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가 자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것인지, 특히, 그것이 특정한 통신 단말에 관한 갱신 정보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의 예에서 설명한 식별 방법은, 특별하게 순서가 결정되어 있지 않으며, 순서가 변경되거나, 혹은 개별적으로 판정이 행해지거나, 결과만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경로 정보의 교환을 삭감하기 위해서, 새로운 판정을 더해도 된다.
미지(未知)의 통신 단말로부터의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로서 판정된 메시지에 대하여, 추가의 판정 조건을 더 마련함으로써, 다른 라우팅 도메인으로부터의 메시지로 판정되는 상황을 삭감하고, 경로 정보의 교환을 삭감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계층 어드레스(AD100)뿐만 아니라, 계층 구조의 계층의 깊이에 착안해서 판단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계층 어드레스의 통지 방법으로서는, 계층관리 단말이 위치하는 계층 어드레스만을 통지하는 것이 아니고, 자단말이 최하층의 계층으로부터 무슨 계층째(계층 레벨(HL100))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지를 통지하는 방법이 고려되며, 이 계층 레벨을 이용한 판정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도메인 식별부(A131)는, 이 계층 레벨(HL100)에 근거한 판단을 또한 행함으로써, 타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인지의 여부 판정을 더 행해도 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경로 제어 메시지(D103)로부터는, 계층 레벨을 이용함으로써,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가 사용되고 있는 계층 구조는, 적어도 식별자 D와 식별자 E를 가지는 2대의 계층관리 단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판명된다. 또한, 그 메시지 송신원 단말은 식별자 E를 가지는 통신 단말인 것도 인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메인 식별부(A131)는, 복수의 통신 단말에 의해 MANET가 구축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경로 정보의 교환을 실시하기 위해, 다른 라우팅 도메인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4)로부터는,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기재된 정보로부터, 계층 구조가 1계층을 가지며 또한, 그 메시지 송신원 단말이 계층의 최상위에 있는 것이 판명된다. 이것으로부터, 메시지 송신원 단말은 단독, 또는 독립 통신 단말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통신 링크가 단절된 환경에서 라우팅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DTN 기술의 경로 정보 교환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도메인 식별부(A131)는, 다른 라우팅 도메인으로 판정하고, 경로 정보의 교환을 실시할 수 있다.
경로 제어 메시지(D105)로부터는,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기재된 정보에 의해, 계층 구조가 4계층을 가지며 또한, 그 메시지 송신원 단말이 계층의 최상위에 있는 것이 판명된다. 이것으로부터, 규모가 큰 MANET가 구축되어 있는 것이 판명된다. 그러나, 최상위의 관리 단말은, 계층 구조 구축의 단계에서는, 몇 번이라도 교체 발생되는 것이 고려된다. 그 때문에, 최상위의 관리 단말이 송신하는 경로 제어 메시지에 의거하여 경로 정보를 교환할 경우에는, 낭비적인 경로 정보의 교환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는 자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m)인 것으로 도메인 식별부(A131)가 판정하고, DTN 기술에 근거한 경로 정보 교환을 억제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경로 제어 메시지(D105)와 같은 경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규모가 큰 MANET가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통신 단말로부터 경로 제어 메시지(D103)와 같은 메시지를 도메인 식별부(A131)가 수신하게 되고, 그때에 경로 정보의 교환을 실시하면, 필요한 경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DTN 경로 제어부(A132)는, 경로 제어 판단부(A130)로부터 자통신 단말이 소속하는 라우팅 도메인 이외의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d), 또는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RT100d)를 받으면, 타라우팅 도메인에의 경로 정보로서 경로 엔트리를 신규로 추가하거나, 또는, 동일한 타라우팅 도메인, 경로 엔트리가 경로표 내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엔트리를 갱신하여, 경로 정보 기억부(A121)에 경로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DTN 경로 제어부(A132)는, 경로 정보 기억부(A121)로부터, 지금까지 인식하고 있는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경로 정보에 대하여 경로 제어 판단부(130)로부터 받은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d) 및 경로 정보(RT100d)를, 전술의 경로 제어 메시지 및 경로표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 어드레스(AD100)와 송신원 통신 단말(송신원 IP 어드레스)을 경로 정보로서,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에 추기(追記)하거나, 혹은, 이미 있는 경로 엔트리를 갱신한 후, 경로 정보 기억부(A121)에 기억한다.
이때,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의 갱신은, 여러가지 방법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자통신 단말의 라우팅 도메인(MANET) 내의 통신 단말에의 경로 와는 달리, 통신 요구가 발생했을 때에 반드시 통신 가능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기존의 DTN 기술에 있어서의 경로표의 관리 방법과 마찬가지로,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는, 목적지 계층 어드레스, 전송처가 되는 다음 홉(hop)의 통신 단말, 및 다음 홉의 통신 단말로부터 목적지 통신 단말에의 도달 확률을 기재하고, 다른 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를 수신했을 때의 송신원 통신 단말을, 당해 라우팅 도메인에 기재의 통신 단말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장 가능한 통신 단말로서 관리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리고, 통신 단말은, 타라우팅 도메인에의 통신에 대하여는, 자통신 단말로부터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단말이 나타날 때까지는, 전송 데이터를 보유함으로써, 타라우팅 도메인간에서의 통신을 실현한다. 또한, 목적지 통신 단말에의 도달 확률뿐만 아니라, 지금까지의 전송 홉수, 경로 엔트리의 유효 기한, 등록 시간의 정보를 추가하여, 경로 제어를 더 정확하게 관리해도 된다.
또한, 경로 정보 판단부(A130)로부터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d)를 수신했을 때, DTN 경로 제어부(A132)는, 받은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d) 및 경로 정보(RT100d)를, 지금까지 기록하고 있었던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제어 메시지, 또는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와 비교하여, 다른 통신 단말에 광고해야 할 경로 정보나 경로 제어 메시지를 자통신 단말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지를 판단하고, 광고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 및 경로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라우팅 도메인과는 다른 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를 보유하고 있거나, 또는 갱신 일시가 새로운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DTN 경로 제어부(A132)는, 자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에 더해서, 그것들의 경로 정보를 광고 정보(D200)로서 경로 정보 광고부(A131)에 보내고, 다른 통신 단말에 광고한다.
그때, 기록하고 있었던 경로 제어 메시지, 혹은, 경로 정보를 그대로 광고하거나, 상기 정보가 기재된 경로 제어 메시지는, MANET 경로 제어부(A133)가 행하는 계층 구조의 구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계층 구조의 구축에 사용하는 경로 제어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상기 메시지 타입 필드에 설정하고, 송신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한, 기록하고 있었던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제어 메시지나, 경로 정보를 재송신하는 때에는, 기재되어 있는 경로 정보의 신뢰도(도달 확률)를 자통신 단말이 수신한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에 의거하여 감산한 것을 포함해서 광고하는 것이 고려된다. 한편,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 및, 자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DTN 기술의 경로 관리 방법과 마찬가지로, 당해정보를 전회(前回) 갱신한 시간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의거하여, 경로의 도달 확률을 추기하거나, 또는 수정을 행하고, 광고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타통신 단말에 광고해야 할 정보의 판단은, 여러가지 방법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정보 교환량을 삭감하는 것이 의도되는 경우, 자통신 단말이 소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제어 메시지, 또는 경로 정보만을 광고하는 방법이나, 받은 경로 제어 메시지의 라우팅 도메인과는 다른 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를 모두 전송하는 것이 아니고, 경로 정보의 신뢰도(도달 확률)에 근거하여, 유효하다고 생각되는 도달 확률이 60% 이상인 것을 적어도 1개 이상 선택하여 전송하는 것이 고려된다.
한편, 많은 경로를 인식하기 위해서, 경로 정보 기억부(A121)가 보유하는 정보 중, 받은 경로 제어 정보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제어 메시지나 경로 정보를 모두 광고 정보(D200)로 하여도 된다.
MANET 경로 제어부(A133)는, 경로 제어 판단부(A130)로부터 받는 경로 제어 메시지(D100)에 의거하여, 라우팅 도메인 내의 계층 구조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의 계층 구조에 근거하는 경로 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통신 단말의 계층 구조의 정보인 계층 어드레스(AD100)가 변경되었을 때에, 다른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새로운 계층 어드레스가 기재된 경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 경로 제어 메시지(D100)의 송신은, 경로 정보 광고부(A134)에 광고 정보로서 송신하는 경로 제어 메시지(D100)와 그 광고 요구를 보내는 것으로, MANET 경로 제어부(A133)에 의해서 행해진다.
또한, MANET 경로 제어부(A133)는, 경로 제어 판단부(A130)로부터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받으면, 자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RT100m)를 갱신하거나, 또는, 경로 제어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는 경로 정보를 새롭게 추가하여, 갱신된 경로 정보를 경로 정보 기억부(A121)에 기억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MANET 경로 제어부(A133)는, 경로 정보 기억부(A121)로부터 자통신 단말이 소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를 판독하고, 당해 경로 정보의 경로 엔트리에 대하여, 경로 제어 판단부(A130)로부터 받은 경로 제어 메시지에 기재된 계층 어드레스와 같은 것이 있으면, 당해 경로표의 엔트리를 갱신하고, 없는 경우에는 신규로 추가함으로써, 도 16에 나타내는 자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RT100m)를 관리한다.
이때, 경로 엔트리의 신구(新舊)의 식별, 최단경로의 엔트리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도 16의 정보에 더하여, 엔트리의 작성 일시나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의 시퀸스 넘버, 전송 홉 수 등을 추가해도 된다. 이것들의 정보에 의해, 유효한 MANET의 경로를 더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로표가 갱신되었을 때, 갱신된 자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는, 경로 정보 기억부(A121)에 전송되어, 기억된다. 또한, 경로 정보의 갱신이 발생하여, 자 통신 단말이 소속하는 라우팅 도메인 내의 다른 통신 단말에 갱신된 경로 정보를 광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MANET 경로 제어부(A133)가, 경로 정보 광고부(A134)에 광고 정보(D200)로서, 갱신된 경로 정보와 광고 요구를 보낼 수도 있다.
경로 정보 광고부(A134)는, 정기적으로 라우팅 도메인 내에서 경로를 인식하기 위해서,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무선통신부(A111)를 통해서 다른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기능 및, DTN 경로 제어부(A132)와 MANET 경로 제어부(A133)로부터 광고 정보(D200)의 그 광고 요구를 받으면, 당해 광고 정보를 포함한 경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무선통신부(A111)를 통해서 다른 통신 단말에 광고한다. 그때, 경로 제어 메시지에 기재되어 있는 정보가, DTN 경로 제어부(A132)에 의한 타라우팅 도메인에의 경로 정보만의 통지, 또는, 계층 어드레스가 기재된 경로 제어 메시지, 또는 경로 정보인 것이 판명되도록, 당해 경로 제어 메시지의 메시지 타입 필드에 각각의 식별자를 기재해도 된다.
다른 통신 단말에의 광고 정보는, DTN 경로 제어부(A132)와 MANET 경로 제어부(A133)로부터 지시된 정보를, 경로 정보 기억부(A121)로부터 경로 정보 광고부(A134)가 판독하고, 무선통신부(A111)를 통해서 다른 통신 단말에 광고해도 된다.
[동작의 설명]
다음으로, 도 17∼도 2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낭비적인 경로 정보의 교환을 삭감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통신 단말(CHa), 통신 단말(CHc), 통신 단말(CHh∼CH1)은, 통신 단말간에서 송신 데이터를 중계, 멀티 홉 전송함으로써 통신 단말간에서 통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MANET 기술의 계층화 라우팅의 처리에 따라 계층 구조를 구축하는 도중의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7에서는, 일시적인 최상위 관리 단말로서, 통신 단말(CHa)과 통신 단말(CHc)이 존재하고, 각각의 양쪽 관리 단말이 관리하는 단말로서 하위 계층의 다른 관리 단말이 존재하며, 그것들의 관리 단말에 의해, 어느 계층의 관리 단말로도 되지 않고 있는 단말(A1)이 관리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원래라면 다수의 통신 단말, 다른 라우팅 도메인에서의 다른 계층 구조 등이 존재하지만,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생략하여 간략화하고 있다. 또한, DTN 기술을 사용한 경로 정보의 교환이 발생하는 상황도 다수 존재하지만, 그 상황에 대해서도 1개의 상황에 언급하고, 다른 교환은 생략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상황에 있어서, 도 17에 나타내는 계층 구조의 상태로부터 계층 구조의 구축이 더 진행되어, 최상위 관리 단말이 단말(CHa)로 결정되어(도 18), 계층 구조 내의 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가 갱신되고(도 19), 그때에, 각각의 통신 단말이 계층 어드레스의 갱신을 판단하고, DTN 기술을 사용한 경로 정보의 교환을 억제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20, 도 2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기재된 통신 단말(CHa), 통신 단말(CHc), 단말(CHh∼CHl)은, 자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AD100)를 기재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정기적으로 송신함으로써, MANET 내의 경로 정보를 파악하면서, 계층 구조의 구축을 진행한다. 일시적으로 최상위 관리 단말이 되어 있는 통신 단말(CHa)과 통신 단말(CHc)은, 서로가 송신하는 경로 제어 메시지(D100)에 근거하여, 양쪽 통신 단말 중에서, 상위의 관리 단말이 되는 통신 단말을 더 선택하고, 도 18에 나타내는 계층 구조로 현재의 계층 구조를 변경시킨다.
도 18에서는, 최상위 관리 단말이 통신 단말(CHa)로 결정되고, 최상위 관리 단말로 선택되지 않은 통신 단말(CHc)은, 통신 단말(CHa)이 송신하는 경로 제어 메시지에 기재된 계층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자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를 "C"에서 "A-C"로 갱신한다. 그 후에, 통신 단말(CHc)이, 새로운 계층 어드레스를 기재한 경로 제어 메시지를 정기적으로 송신하기 시작함으로써, 주위의 통신 단말에 자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를 알린다.
통신 단말(CHc)의 하위 계층의 관리 단말인 통신 단말(CHj∼CHl), 및 자통신 단말(CHc)은, 통신 단말(CHc)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를 수신가능한 범위에 존재하기 때문에, 계층 어드레스 "A-C"가 기재된 당해 경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당해 경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단말 중, 통신 단말(CHj)을 예로 하여 경로 정보 교환의 스텝을 설명한다.
통신 단말(CHj)은, 통신 단말(CHc)로부터, 계층 어드레스 "A-C"가 기재된 경로 정보 메시지(D100)를 수신하면, 도 20에 나타내는 스텝 S100의 처리를 시작한다.
스텝 S100에서는, 통신 단말(CHj)은 경로 제어 판단부(A130)를 사용하여,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는 계층 어드레스가 기재된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인지, 경로 정보만이 기재된 경로 정보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경로 정보만의 기재이었던 경우에는, 스텝 S102d로 진행되고, 통신 단말(CHj)은, DTN 경로 제어부(A132)를 사용하여, 경로 정보의 갱신 처리를 행한다. 그때, 갱신 정보의 광고가 필요하면, 스텝 S103의 경로 정보 광고처리를 행하고, 경로 정보 교환처리를 종료한다.
계층 어드레스가 기재된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이었던 경우에는, 스텝 S101로 진행되고,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h)는, 자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m)인지, 타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d)인지의 도메인 식별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01에서는, 도 21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하여,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의 도메인을 식별한다. 스텝 S101에서는, 통신 단말(CHj)이, 우선 도 21에 나타낸 스텝 S101a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01a에서는, 통신 단말(CHj)이,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 어드레스(AD100) 및, 자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 내의 최상위 계층을 나타내는 부분의 식별자(TAD100)를 비교한다.
식별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스텝 S101c의 처리로 진행되어, 자신의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m)라는 식별 결과를 경로 제어 판단부(A130)에 통지하고, S101의 처리를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CHc)로부터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h)(계층 어드레스(A-C))를 수신했을 때의 통신 단말(CHj)의 계층 어드레스(AD100)는 "C-J"이며, 최상위 부분의 식별자(AD100t)가 "C"와 "A"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다음 스텝 S10lb의 처리를 시작한다.
스텝 S10lb에서는,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 어드레스(AD100) 및 자통신 단말이 인식하고 있는 다른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AD110)(도 22)에 있어서, 계층 어드레스(AD100)의 송신원 통신 단말의 계층을 나타내는 부분의 식별자(AD100s)를 비교한다.
식별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스텝 S101c의 처리로 진행되고, 자신의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m)라는 식별 결과를 경로 제어 판단부(A130)에 통지하여, S101의 처리를 종료한다.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스텝 S101d의 처리를 시작한다. 스텝 S101d에서, 통신 단말(CHj)은, 수신한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D100h)는 다른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d)라는 식별 결과를 경로 제어 판단부(A130)에 통지하여, S101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신 단말(CHj)이, 계층 레벨에 근거한 판정 처리를 더 행하여, DTN 기술을 사용한 경로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것으로 되는 타라우팅 도메인의 판정을 더 제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 어드레스(AD100)의 송신원 통신 단말의 계층을 나타내는 식별자(AD100s)는, "C"이며, 이 식별자는, 도 22에 나타낸 단말(CHj)이 인식하고 있는 다른 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 그룹(AD110) 내의 계층 어드레스 "C"와 일치하기 때문에, 자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m)로 판정하고, S101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1의 처리가 종료하면, 스텝 S101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스텝 S102m과 S102d 중의 어느 것의 처리를 시작한다. 스텝 102d의 처리는, 전술한 내용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텝 S101에 있어서, 자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D100m)로 판정되었으므로, 다음에 스텝 S102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02의 처리에서는, 경로 제어부(A130)로부터 받은 경로 제어 메시지(D100h)와, 계층 정보 기억부(A121)로부터 자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RT100m)를 판독하고, 경로 정보의 갱신, 또는, 계층관리를 행한다. 만일 갱신 정보의 광고가 필요한 경우에는, 스텝 S103의 처리를 행하고, 필요없는 경우에는, 경로 정보의 교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3에서는, 통신 단말(CHj)은, 경로 정보 광고부(A134)를 사용하여, MANET 경로 제어부(A133)로부터 받은 광고 정보(D200)를 다른 통신 단말에 광고한다. 그 후에, 경로 정보 교환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도 20의 스텝 S101에 있어서, 도 21에 나타낸 도메인 식별의 처리 S101을 행함으로써, DTN 기술을 사용한 경로 정보의 교환 시작 조건인 "다른 라우팅 도메인으로부터의 경로 제어 메시지"라고 하는 판정을 삭감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경로 정보의 교환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계층 구조를 구축하는 단계에서, 다른 라우팅 도메인간에 있어서의 경로 정보의 낭비적인 교환을 삭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른 통신 단말로부터 광고된 계층 정보가, 자통신 단말이 소속하는 계층 구조인 자라우팅 도메인에 관한 갱신 정보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적절한 경로 정보의 교환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기 1)
경로 정보 교환 방법으로서,
통신 노드는,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 교환 방법.
(부기 2)
상기 통신 노드는,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의 결과,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지 않는, 부기 1에 기재된 경로 정보 교환 방법.
(부기 3)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의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서로 일치한 경우에,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부기 1 또는 부기 2에 기재된 경로 정보 교환 방법.
(부기 4)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일치한 경우에,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부기 1∼3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로 정보 교환 방법.
(부기 5)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및 상기 통신 노드가 위치하는 계층의 깊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노드가 위치하는 계층이 최상위 계층인지가 판정되고, 판정의 결과, 최상위 계층인 경우는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부기 1∼4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로 정보 교환 방법.
(부기 6)
상기 계층 정보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관리하는 통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식별자와 상위의 관리 노드의 계층 정보를 포함하고, 최상위의 관리 노드로부터 하위의 관리 노드를 향해 재귀적으로 생성되는, 부기 1∼5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로 정보 교환 방법.
(부기 7)
상기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는, 각 계층을 관리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를 포함하며, 최상위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정점으로 한 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부기 1∼6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경로 정보 교환 방법.
(부기 8)
통신 노드로서,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광고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노드.
(부기 9)
상기 통신 노드는,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의 결과,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지 않는, 부기 8에 기재된 통신 노드.
(부기 10)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의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서로 일치한 경우에,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부기 8 또는 부기 9에 기재된 통신 노드.
(부기 11)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일치한 경우에,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부기 8∼10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노드.
(부기 12)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및 상기 통신 노드가 위치하는 계층의 깊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노드가 위치하는 계층이 최상위 계층인지가 판정되고, 판정의 결과, 최상위 계층인 경우는,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부기 8∼11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노드.
(부기 13)
상기 계층 정보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관리하는 통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식별자와 상위의 관리 노드의 계층 정보를 포함하고, 최상위의 관리 노드로부터 하위의 관리 노드를 향해 재귀적으로 생성되는, 부기 8∼12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노드.
(부기 14)
상기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는, 각 계층을 관리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를 포함하며, 최상위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정점으로 한 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부기 8∼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노드.
(부기 15)
통신 시스템이며,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광고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부기 16)
상기 통신 노드는,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의 결과,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지 않는, 부기 15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부기 17)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의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서로 일치한 경우에,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부기 15 또는 부기 16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부기 18)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일치한 경우에,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부기 15∼17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부기 19)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및 상기 통신 노드가 위치하는 계층의 깊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노드가 위치하는 계층이 최상위 계층인지가 판정되고, 판정의 결과, 최상위 계층인 경우는,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부기 15∼18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부기 20)
상기 계층 정보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관리하는 통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식별자와 상위의 관리 노드의 계층 정보를 포함하고, 최상위의 관리 노드로부터 하위의 관리 노드를 향해 재귀적으로 생성되는, 부기 15∼19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부기 21)
상기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는, 각 계층을 관리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를 포함하며, 최상위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정점으로 한 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부기 15∼20 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통신 시스템.
(부기 22)
통신 노드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노드를,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광고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본 출원은, 2013년 3월 5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원2013-042876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A1 통신 단말
A11 무선통신 기능부
A111 무선통신부
A12 정보 관리부
A121 경로 정보 기억부
A13 경로 제어부
A130 경로 제어 판단부
A131 도메인 식별부
A132 DTN 경로 제어부
A133 MANET 경로 제어부
A134 경로 정보 광고부
L1 무선통신
CH, CHa, CHc, CHh∼CHl 관리 단말
CA 관리 범위
AD100 계층 어드레스
AD100s 계층 어드레스내의 송신원 단말식별자
AD100t 계층 어드레스내의 최상위 계층을 나타내는 식별자
AD100n 자단말의 계층 어드레스
AD110 인식하고 있는 다른 통신 단말의 계층 어드레스 그룹
HL100 계층 레벨
D100∼D105 경로 제어 메시지
D100m 자계층 구조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
D100d 타계층 구조에 관한 경로 제어 메시지
D100h 계층 어드레스 기재의 경로 제어 메시지
D200 광고 정보
RT100 경로 정보
RT100m 자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
RT100d 타라우팅 도메인의 경로 정보

Claims (10)

  1. 경로 정보 교환 방법으로서,
    통신 노드는,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自)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 교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노드는,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의 결과,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지 않는, 경로 정보 교환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의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서로 일치한 경우에,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경로 정보 교환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일치한 경우에,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경로 정보 교환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도메인의 식별에서는, 상기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및 상기 통신 노드가 위치하는 계층의 깊이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노드가 위치하는 계층이 최상위 계층인지가 판정되고, 판정의 결과, 최상위 계층인 경우는, 서로 같은 라우팅 도메인이라고 판정되는, 경로 정보 교환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 정보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관리하는 통신 노드에 있어서, 상기 노드의 식별자와 상위의 관리 노드의 계층 정보를 포함하고, 최상위의 관리 노드로부터 하위의 관리 노드를 향해 재귀적으로 생성되는, 경로 정보 교환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는, 각 계층을 관리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를 포함하며, 최상위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정점으로 한 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 교환 방법.
  8. 통신 노드로서,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광고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노드.
  9. 통신 시스템으로서,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광고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 통신 노드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노드를,
    인접하는 통신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계층 정보 및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계층 정보에 기재되어 있는, 계층화된 네트워크 구조의 각 계층을 관리하는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관리 통신 노드 식별자 중, 최상위 계층의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송신원 통신 노드를 나타내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같은지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 및
    상기 인접하는 통신 노드가 속하는 라우팅 도메인이 자통신 노드의 라우팅 도메인과 다른 경우에, 자통신 노드가 보유하는 경로 정보를 광고하는 광고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
KR1020157024389A 2013-03-05 2014-03-04 경로 정보 교환 방법, 통신 노드,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노드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1780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42876 2013-03-05
JP2013042876 2013-03-05
PCT/JP2014/055367 WO2014136740A1 (ja) 2013-03-05 2014-03-04 経路情報交換方法、通信ノード、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ノードの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997A true KR20150118997A (ko) 2015-10-23
KR101780657B1 KR101780657B1 (ko) 2017-09-21

Family

ID=51491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389A KR101780657B1 (ko) 2013-03-05 2014-03-04 경로 정보 교환 방법, 통신 노드,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노드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60158B2 (ko)
EP (1) EP2966812B1 (ko)
JP (1) JP6217743B2 (ko)
KR (1) KR101780657B1 (ko)
CN (1) CN105009524B (ko)
WO (1) WO2014136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324A (ko) * 2013-06-24 2015-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우팅 방법 및 그 장치
CN113556796A (zh) * 2020-04-24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配置路由域标识的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5444B2 (ja) 1996-07-17 2003-09-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メッセージの経路選択方法
JP2985940B2 (ja) * 1996-11-08 1999-12-06 日本電気株式会社 障害回復装置
US6845091B2 (en) * 2000-03-16 2005-01-18 Sri International Mobile ad hoc extensions for the internet
US7698463B2 (en) * 2000-09-12 2010-04-13 Sri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disseminating topology and link-state information to routing nodes in a mobile ad hoc network
ATE489790T1 (de) * 2002-02-01 2010-12-15 Tellabs Operation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in mehrschichtiges netzwerk in sonet/sdh
US7177295B1 (en) * 2002-03-08 2007-02-13 Scientific Research Corporation Wireless routing protocol for ad-hoc networks
US7190678B2 (en) * 2002-10-28 2007-03-13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for router attachments between roaming mobile routers in a clustered network
FR2870418B1 (fr) * 2004-05-17 2006-08-18 Alcatel Sa Routage au sein d'un reseau de communication mobile
US7428221B2 (en) 2004-06-01 2008-09-23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for providing network prefix information from attached mobile routers to a clusterhead in a tree-based ad hoc mobile network
US7366111B2 (en) * 2005-04-08 2008-04-29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for providing optimized connections between peer routers in a tree-based ad hoc mobile network
JP4803066B2 (ja) * 2007-02-21 2011-10-26 日本電気株式会社 ル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ノード
CN101436980B (zh) * 2007-11-12 2012-11-14 中国科学院计算机网络信息中心 泛洪法生成数据包转发表的方法
JP5347972B2 (ja) 2007-12-17 2013-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経路制御方法およびノード
WO2013076912A1 (ja) 2011-11-21 2013-05-30 日本電気株式会社 経路情報交換方法、通信端末および経路情報交換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66812B1 (en) 2020-09-09
US20150381471A1 (en) 2015-12-31
JPWO2014136740A1 (ja) 2017-02-09
CN105009524A (zh) 2015-10-28
US9860158B2 (en) 2018-01-02
WO2014136740A1 (ja) 2014-09-12
EP2966812A1 (en) 2016-01-13
KR101780657B1 (ko) 2017-09-21
EP2966812A4 (en) 2016-09-07
JP6217743B2 (ja) 2017-10-25
CN105009524B (zh)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4252C (zh) 用于移动路由器之间拓扑更新的部署
US77828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dynamic auto-summarization of internet protocol reachable addresses
US20130010615A1 (en) Rapid network formation for low-power and lossy networks
US9451529B2 (en) Route information exchange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route information exchange program
EP21985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routing between a tactical network and a satellite network
EP2425608B1 (en) Method and system to enable a hybrid routing protocol
CN101682579B (zh) 用于运行按照网状类型、尤其是根据标准IEEE802.11s由多个网络节点构成的网络的方法
KR20050043019A (ko) 애드혹 네트워크의 리더 선출방법
CN101521895A (zh) 无线自组织网络中用于构建多跳路由转发的方法
JP2008011448A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ノード、経路制御方法、及び経路制御プログラム
JP2007325261A (ja) 経路確立方法
CN108259283B (zh) 基于广域网Mesh技术的无线设备通信方法及系统
CN103260211A (zh) 一种改进的aomdv路由方法
US1119722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uting messages through wireless networks
Zhou et al. Cluster-based inter-domain routing (CIDR) protocol for MANETs
Trindade et al. Routing on large scale mobile ad hoc networks using bloom filters
KR101780657B1 (ko) 경로 정보 교환 방법, 통신 노드,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노드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WO2007144836A2 (en) Method for selecting relay in wireless broadcast ad hoc networks
KR100779049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경로 설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JP4978217B2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Yamada et al. Redundant TC message senders in OLSR
Ait-Salem et al. A hybrid multiagent routing approach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JPWO2012132013A1 (ja) ノード、リンク形成方法およびリンク形成プログラム
Alapati et al. Efficient route identification method for secure packets transfer in MANET
CN101582847A (zh) 路由振荡检测方法及自治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