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973A - 버클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버클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17973A KR20150117973A KR1020140043836A KR20140043836A KR20150117973A KR 20150117973 A KR20150117973 A KR 20150117973A KR 1020140043836 A KR1020140043836 A KR 1020140043836A KR 20140043836 A KR20140043836 A KR 20140043836A KR 20150117973 A KR20150117973 A KR 201501179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le
- connecting member
- electronic device
- band
- wea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6—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abutting each other or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1—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overlapping each other and fastened by an action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strap)와,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버클 및 상기 버클과 상기 착용부를 연결시켜주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하여, 강성 및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조립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장치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어, 버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자 장치는 동일하거나 좀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점차 소형화되고 슬림화되어 휴대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전자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수납되어 휴대하기도 하지만, 손목에 착용하거나, 인체의 두부(head portion), 팔 또는 손목 등에 착용하기도 한다.
인체 또는 각종 구조물에 착용 가능한(wearble) 장치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와, 본체에서 일정 길이로 인출되도록 배치되어 인체 또는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착용부(stra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장치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타 전자 장치에 종속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타 전자 장치에 종속되어 사용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의한 통신 방식이 채택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으로 인하여 타 전자 장치의 번거롭고 빈번한 사용을 절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용은 점점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웨어러블 장치는 인체나 구조물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취부(착용)되기 때문에 디자인적 설계가 중요하며, 인체에 착용할 경우, 착용감 역시 중요한 요소로 대두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를 지지하며, 인체에 착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는 착용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버클(buckl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클은 높은 강성을 가지며,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작동 신뢰성을 회복해야 하는 반면, 버클과 연결된 착용부는 인체에 취부되는 부분으로써, 디자인적 심미감 및 착용감이 우수해야한다. 따라서, 대체적으로 이러한 착용부는 연성 재질을 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강성 재질의 버클과 연성 재질의 착용부를 직접 연결할 경우, 결합 부분의 강성이 취약하여, 착용 도중 또는 착용 후, 움직임에 따라 버클과 착용부간의 유격이 발생하거나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버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연성 재질의 착용부(strap)에 강성 재질의 버클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버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조립부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는 버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강성, 디자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면서도 조립성이 향상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버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버클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strap)와,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버클 및 상기 버클과 상기 착용부를 연결시켜주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strap)와,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버클과, 상기 버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착용부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 고정폴 및 상기 버클과 상기 착용부를 연결시켜주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는 상기 착용부에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는 상기 착용부의 일단에 형성된 밴드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밴드 삽입부 및 상기 밴드 삽입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클에 형성된 버클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버클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강성 및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조립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연결 부재에 의해 버클이 착용부(strap)와 조립되면서도 장치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버클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버클 부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에 연결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에 연결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설치된 착용부에 버클 바디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설치된 착용부에 버클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설치된 착용부에 버클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투시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설치된 착용부에 버클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에 의해 착용부와 버클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에 형성되는 살빼기 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에 설치된 버클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버클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버클 부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에 연결 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에 연결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설치된 착용부에 버클 바디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설치된 착용부에 버클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설치된 착용부에 버클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투시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설치된 착용부에 버클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에 의해 착용부와 버클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에 형성되는 살빼기 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에 설치된 버클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 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 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제2,”“첫 째,”또는“둘 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 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 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의복, 전자팔찌, 전자목걸이, 전자앱세서리(appcessory), 전자문신, 또는 스마트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전자장비(예: 선박용항법장치 및 자이로콤파스 등), 항공전자기기(avionics), 보안기기, 차량용헤드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싸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1을 포함하는 네트워크환경 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 101은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디스플레이 150, 통신인터페이스 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110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 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2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 요소들(예: 상기 메모리 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예: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은, 예를 들면, 커널 131, 미들웨어 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33 또는 어플리케이션 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널 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 131은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서 상기 전자 장치 101의 개별 구성 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가 상기 커널 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 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 133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가 상기 커널 131 또는 상기 미들웨어 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 장치 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 101과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 온/턴 오프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을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전자 장치 101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106 또는 전자 장치 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 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으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상기 프로세서 120을 통하여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 162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네트워크 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 134,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133, 상기 미들웨어 132, 커널 1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 1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는 본체(main body)와 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strap)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착용부에 의해 인체 또는 특정 구조물에 착용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인체의 손목, 팔, 두부(頭部)(head portion) 등 다양한 위치에 착용 또는 패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인체가 아니더라도, 특정 구조물 등에 착용부에 의해 고정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거나, 타 전자 장치와 연계되어 사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에 의해 타 전자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출력 정보를 타 전자 장치로 출력시키거나, 타 전자 장치의 출력 정보를 수신하여 대신 출력하거나, 타 전자 장치와 동시에 출력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스피커 장치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출력되거나, 진동 등에 의하여 촉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모듈은 WiFi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전자 장치가 아니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일반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 및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버클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전자 장치가 아니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착용부 및 착용부의 단부에 적용되는 버클을 포함하는 다양한 일반 장치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설명에 따라서, 착용부, 스트랩, 밴드 등으로 기술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체를 외부 물체에 고정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체로써 동일한 구성 요소이며, 서로 대체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1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인체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와치 타입(watch type) 웨어러블 전자 장치(wearable electronic device) 1 및 이에 포함되는 버클 4를 개시하고 이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도 1b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 1은 본체(main body) 2와 본체 2를 지지하는 착용부 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 3은 일체로 형성되며, 본체 2를 중심으로 제1착용부 31과 제2착용부 32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 3는 일체가 아닌 적어도 두 개의 분할된 착용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전자 장치 1은 본체 2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착용부와 본체 2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착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2에는 디스플레이 21이 설치될 수 있고, 착용부 3 중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예: 제1착용부 31)에는 버클(buckle) 4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21은 데이터 입출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2에는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부품들은 카메라 장치, 스피커 장치, 마이크 장치, 각종 물리적 키 버튼들 및 각종 센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장치는 인체 상태 및 주변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예: 조도 센서, 심박수 검출 센서, 온도 센서, 지문 인식 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착용부 31의 단부에는 버클 4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4는 착용부 3에 고정되는 버클 바디 41과, 버클 바디 41에서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 42 및 제2링크 43과, 제2링크 43에 고정되는 밴드 고정폴 4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 42와 제2링크 43은 힌지 결합부 433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2링크 43은 버클 바디 41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링크 42, 43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 1을 사용할 때 좀더 견고하고 유리한 착용 동작을 유도할 수 있으며,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고정폴 431은 제2링크 43의 단부에 설치된 밴드 안내부 432의 안내를 받은 제2착용부 32에 형성된 복수의 장착홀 321에 관통되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제1착용부 31과 제2착용부 32를 연결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착용부 31의 내측에는 제1착용부 31의 면보다 낮은 면을 갖는 제1살빼기 홈 313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제1살빼기 홈 313은 제1, 2링크 42, 43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방식으로 안내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착용시 장치를 슬림하게 보이게 할 수 있다.
이하, 제1살빼기 홈 및 제2살빼기 홈(도 2의 314)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1의 버클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1의 버클 부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 1은 착용부 3 중 제1착용부 31의 단부에 버클 4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4와 제1착용부 31은 외면이 일치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성의 제1착용부 31 및 강성의 버클 4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착용부 3의 유동에 따른 버클 4와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4의 버클 바디 41에는 제1링크 42 및 제2링크 43이 설치될 수 있다. 제1링크 42의 일단은 버클 바디 4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링크 42의 타단은 제2링크 43의 일단과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링크 43의 타단에는 제2착용부 32를 수용하기 위한 밴드 관통구 43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링크 43에는 밴드 고정폴 431이 돌출 형성되어, 밴드 수용구 4321을 통해 관통된 제2착용부 32에 형성된 다수의 장착홀 321 중 하나의 장착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제1착용부 31과 제2착용부 32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 42 및 제2링크 43은 힌지 결합부 433을 기준으로 버클 바디 41에서 전개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4는 버클 부분에서 반대편을 연결하는 스냅 핏(snap fit), 후크 동작 구조 등의 일반 체결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 3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 1은 착용부 3 중 제1착용부 31의 일단에 설치되어 제1착용부 31과 제2착용부 32를 연결시켜주는 버클 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4와 제1착용부 31은 직접 결합되지 않으며, 별도의 연결 부재(도 4a의 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는 일단이 제1착용부 31에 결합되며, 타단은 버클 4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연결 부재 5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착용부 3은 제1착용부 31 및 제2착용부 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 3은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 3은 실리콘, 우레탄, 러버 및 해당 재질의 합성 재질 등 연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착용부 31의 단부에는 버클 인입부 311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버클 인입부 311은 제1착용부 31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착용부 31과 버클 인입부 311사이에는 단차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착용부 31의 버클 인입부 311가 버클 바디 4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때, 버클 바디 41의 외면과 제1착용부 31의 외면은 단차에 의해 서로 일치하는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디자인적 미려함을 배가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착용부 31은 연결 부재(도 4a의 5)와 인서트 사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인입부 311은 제1착용부 31과 연결 부재를 인서트 사출할 때, 함께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의 면과 버클 인입부 311은 외면이 일치하는 방식으로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착용부 31의 버클 인입부 311에는 후술될 연결 부재(도 4a의 5)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밴드 삽입홈 312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삽입홈 312는 연결 부재 5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밴드 삽입홈 312에 삽입된 연결 부재 5의 면과 버클 인입부 311은 외면이 일치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버클 바디 41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버클 바디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바디 41은 금속 재질로 다이캐스팅 또는 가공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강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바디 41에는 후술될 연결 부재 5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버클 삽입홈 4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착용부 31의 버클 인입부 311에 돌출된 연결 부재 5의 일부가 버클 바디 41의 버클 삽입홈 41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때, 버클 4의 외면과 제1착용부 31의 외면은 서로 일치하는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역시 디자인적 미려함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 5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4b를 참조하면, 연결 부재 5는 합성 수지 재질(PC)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연결 부재 5는 금속 재질 등 버클 4와 착용부 3을 연결시켜줄 수 있는 강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는 제1착용부 31의 버클 인입부 311에 형성된 밴드 삽입홈 312에 삽입되기 위한 밴드 삽입부 51과 버클 4의 버클 바디 41에 형성된 버클 삽입홈 411에 삽입되기 위한 버클 삽입부 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삽입부 51 및 버클 삽입부 5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삽입부 51 및 버클 삽입부 52의 경계 부분은 단차를 갖는 단차부 53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삽입부 51의 단면이 버클 삽입부 52의 단면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밴드 삽입부 51이 제1착용부 31의 밴드 삽입홈 312에 삽입되었을 때, 버클 삽입부 52의 외면이 제1착용부 31의 버클 인입부 311의 외면과 일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의 밴드 삽입부 51은 일정 간격을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된 관통홀 5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삽입부 51에 형성된 관통홀 511은 밴드 삽입부 51를 제1착용부 31의 밴드 삽입홈 312에 결합할 때,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보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의 버클 삽입부 52는 역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된 관통홀 52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삽입부 52에 형성된 관통홀 521은 버클 삽입부 52를 버클 4의 버클 삽입홈 411에 결합할 때,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보조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의 버클 삽입부 52에는 버클 장착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에어 가이드 리세스(air guide recess) 52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가이드 리세스 522는 연결 부재 5의 버클 삽입부 52가 버클 바디 41의 버클 삽입홈 411에 본딩 방식으로 고정될 때, 공기 압축으로 인한 본딩재(도 6d의 5211)의 외부 누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 가이드 리세스 522는 연결 부재 5의 버클 삽입부 52가 버클 바디 41의 버클 삽입홈 411에 삽입될 경우, 압축 공기를 외부로 누설시킴으로써 조립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 3에 연결 부재 5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 3에 연결 부재 5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착용부 31은 연결 부재(도 4a의 5)와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인입부 311은 제1착용부 31과 연결 부재를 인서트 사출할 때, 함께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의 면과 버클 인입부 311은 외면이 일치하는 방식으로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서트 사출 시, 밴드 삽입부 51의 관통홀 511에 제1착용부 31이 충진됨으로써 연결 부재 5는 제1착용부 31에서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삽입부 51의 관통홀 511은 관통되는 방식이 아닌 홈(recess)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홈은 연결 부재 5의 밴드 삽입부 51의 일면 및 일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는 제1착용부 31의 버클 인입부 311에 형성된 밴드 삽입홈 312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와 제1착용부 31은 인서트 사출 이외에도 억지 끼움, 본딩, 초음파 융착, 열 융착, 열압착, 라미네이팅, 리벳팅, 스크류 체결, 이중 사출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의 밴드 삽입부 51이 제1착용부 31에 결합이 완료되면, 버클 인입부 311의 외면과 제1착용부 31에서 노출된 연결 부재 5의 버클 삽입부 52의 외면이 일치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버클 바디 41의 버클 삽입홈 411은 제1착용부 31의 버클 인입부 311 및 연결 부재 5의 버클 삽입부 52를 모두 수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 5가 설치된 착용부 3에 버클 바디 41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 5가 설치된 착용부 3에 버클 바디 41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제1착용부 31에 결합되고 돌출된 연결 부재 5의 버클 삽입부 52는 버클 바디 41의 버클 삽입홈 41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바디 41의 버클 삽입홈 411은 제1착용부 31의 버클 인입부 311 및 연결 부재 5의 버클 삽입부 52를 모두 수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의 버클 삽입부 52는 버클 바디 41의 버클 삽입홈 411에 본딩, 스크류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바디 41이 제1착용부 31에 본딩 방식으로 고정될 경우, 이러한 관통홀 521은 본딩재(도 6d의 5211)를 수용함으로써 착용부 3과 버클 4와의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4가 착용부에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고정될 경우, 이러한 관통홀 521은 버클 4의 외부에서 인입되는 스크류가 관통되거나 체결되는 체결구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역시 착용부 3과 버클 4와의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4는 착용부 3에 본딩 방식 및 스크류 체결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삽입부 52에 형성된 관통홀 521 역시 홈(recess)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 5가 설치된 착용부 3에 버클 바디 41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투시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 5가 설치된 착용부 3에 버클 바디 41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면, 버클 바디 41이 제1착용부 31에 결합되면, 연결 부재 5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버클 바디 41과 제1착용부 31가 서로 접촉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착용부 31에 버클 바디 41이 결합되면, 제1착용부 31의 외면과 버클 바디 41의 외면이 일치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에 의해 제1착용부 31에 버클 바디 41이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연결 부재 5의 밴드 삽입부 51에 형성된 관통홀 511에는 인서트 사출로 인하여 착용부 재질(예: 레진, 우레탄, 러버, 실리콘 등)이 충진됨으로써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5에 의해 제1착용부 31에 버클 바디 41이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연결 부재 5의 버클 삽입부 52에 형성된 관통홀 521에는 본딩재 5211이 충진됨으로써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바디 41의 버클 삽입홈 411은 제1착용부 31의 버클 인입부 311 및 연결 부재 5의 버클 삽입부 52를 모두 수용함으로써 역시 결속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에 의해 착용부와 버클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착용부 72 및 버클 71은 연결 부재 7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73과 착용부 72 및 연결 부재 73와 버클 71은 인서트 사출, 억지 끼움, 본딩, 초음파 융착, 열 융착, 열압착, 라미네이팅, 리벳팅, 스크류 체결, 이중 사출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73은 착용부 72에 결합되는 밴드 삽입부 731 및 버클 71에 삽입되는 버클 삽입부 732는 별도의 단차에 의해 단차가 지도록 형성되지 않으며, 외면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착용부 72의 버클 인입부 721이 버클 71의 버클 삽입홈 711에 안내되기 위하여, 버클 삽입홈 711에는 단차부 71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착용부 75 및 버클 74는 연결 부재 76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76과 착용부 75 및 연결 부재 76과 버클 74는 상술한 인서트 사출, 본딩, 스크류 체결, 억지 끼움, 융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76은 착용부 75에 결합되는 밴드 삽입부 761 및 버클 74에 삽입되는 버클 삽입부 762가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74는 버클의 버클 수용홈 741이 착용부 75의 버클 인입부 761 및 연결 부재 76의 버클 삽입부 762를 모두 수용하는 방식으로 착용부 75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인입부 751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 7511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돌기 7511은 버클 삽입홈의 내면에 가압을 받으면서 접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삽입홈 741은 내면에 걸림 돌기 7511를 수용하기 위한 걸림홈 74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걸림 돌기는 연결 부재의 버클 삽입부 762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대응하는 버클 삽입홈 741의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홈은 버클 74와 착용부 75의 결합력 보조함과 동시에, 본딩재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착용부 78 및 버클 77은 연결 부재 79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79와 착용부 78 및 연결 부재 79와 버클 77은 상술한 인서트 사출, 본딩, 스크류 체결, 억지 끼움, 융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79는 착용부 78에 결합되는 밴드 삽입부 791 및 버클 77에 삽입되는 버클 삽입부 792가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77은 버클의 버클 수용홈 771이 착용부 78의 버클 인입부 781 및 연결 부재 79의 버클 삽입부 792를 모두 수용하는 방식으로 착용부 78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인입부 781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7811이 홈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 7811은 버클 77과 착용부 78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본딩재의 외부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 3에 형성되는 살빼기 홈들 313, 314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착용부 31의 내측면으로 적어도 하나의 살빼기 홈 313, 314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 3은 버클 4와 가까운 부분에 제1살빼기 홈 3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도 1b의 2)와 가까운 부분에 제2살빼기 홈 314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살빼기 홈 313은 제1링크 42 및 제2링크 4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전자 장치(도 1b의 1)를 손목에 착용하였을 때,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부 3의 제2살빼기 홈 314 부분은 본체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대체적으로 폭 및 두께가 증가하기 때문에 착용부 3의 단부보다 유연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살빼기 홈 314는 착용부 3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감소시켜 유연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 31에 설치된 버클 90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9a를 참고하면, 착용부 31에 결합된 버클 90은 버클 바디 91에 제1링크 93 및 제2링크 9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 93은 버클 바디 91의 외면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 암 91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제2링크 92는 제1링크 93의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링크 92의 단부에는 밴드 안내 공간 941 및 밴드 고정폴 943을 포함하는 밴드 안내부 94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버클 바디 91의 외측(예: 양측면)에는 누름 돌기 913이 돌출될 수 있으며, 누름 돌기 913의 누름 동작에 따라서 버클 바디 91의 링크들 92, 93이 설치된 면에 배치되는 로커 9131이 유동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커 9131은 밴드 안내 공간 941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편 942에 걸려 링크들 92, 93이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링크 93과 제2링크 92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걸림편 942가 로커 9131에 걸려 단속되며, 누름 돌기 913의 누름 동작에 의해 로커 9131이 이동하여 걸림편 942의 단속을 해제시킬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착용부 31에 설치된 버클 95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착용부 31에 결합된 버클 95는 버클 바디 96과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 97과, 제1링크 97의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 98 및 제2링크 98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1링크 97과 제2링크 98이 폴딩(folding)될 때, 제1링크 97의 힌지 결합 부분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 9813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 9812를 갖는 밴드 안내부 98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안내부 981은 밴드 안내 공간 981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착용부 31가 밴드 안내 공간 9811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링크 98에는 한 상의 밴드 고정폴 982, 98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밴드 고정폴 982, 983에 의해 착용부 31은 손목에 착용된 상태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는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밴드 고정폴 982, 983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 1000의 블록도이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 100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101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1014, 메모리 1020, 통신 모듈 1030, 센서 모듈 1040, 사용자 입력 모듈(또는 입력 모듈) 1050, 디스플레이 1060, 인터페이스 1070, 오디오 모듈 1080, 카메라 모듈 1091, 전력관리 모듈 1095, 배터리 1096, 인디케이터 1097 또는 모터 10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10(예: 프로세서 120)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1011 또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 10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AP 1011 및 CP 1013이 프로세서 1010 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AP 1011 와 CP 1013는 서로 다른 IC 패키지들 내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 1011 및 CP 1013는 하나의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AP 1011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AP 1011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AP 1011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10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P 1013는 전자 장치 1000(예: 전자 장치 101)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링크를 관리하고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P 1013는,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CP 1013는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CP 1013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101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CP 1013는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또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 등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CP 1013은 통신 모듈 1030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CP 1013, 전력관리 모듈 1095 또는 메모리1020 등의 구성요소들이 AP 1011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 1011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CP 1013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 1011 또는 CP 1013는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AP 1011 또는 CP 1013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SIM 카드 101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SIM 카드 101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020(예: 메모리 130)는 내장 메모리 1022 또는 외장 메모리 102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 102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내장 메모리 102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외장 메모리 102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 102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 1000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0은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 1030(예: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무선 통신 모듈 1031 또는 RF 모듈 1034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 1031은, 예를 들면, WiFi 1033, BT(bluetooth) 1035, GPS 1037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103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모듈 1031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 1031은 전자 장치 1000를 네트워크(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와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LAN card) 또는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모듈 1034은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RF 모듈 1034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 1034은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 10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10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 10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1040A, 자이로 센서 1040B, 기압 센서 1040C, 마그네틱 센서 1040D, 가속도 센서 1040E, 그립 센서 1040F, 근접 센서 1040G, color 센서 10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1040I, 온/습도 센서 1040J, 조도 센서 10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1040M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 10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 10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 10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10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1054, 키(key) 10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10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 1052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 1052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터치 패널 1052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 1052는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 10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키 10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키패드, 또는 터치키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10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 장치에서 마이크(예: 마이크 10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0은 통신 모듈 1030을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네트워크,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1060(예: 디스플레이 150)은 패널 1062, 홀로그램 1064, 또는 프로젝터 1066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1062는,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패널 1062는,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 1062는 터치 패널 10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1064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 10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 10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1060은 패널 1062, 홀로그램 1064, 또는 프로젝터 10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10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1072, USB(universal serial bus) 1074, 광통신(optical communication) 단자 1076 또는 D-sub(D-subminiature) 10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10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10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미도시)), SD(secure Digital)/MMC(multi-media card)(미도시)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10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 10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10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1082, 리시버 1084, 이어폰 1086 또는 마이크 10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10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 1095은 전자 장치 10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력 관리 모듈 10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 10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 1096는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10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자(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1097는 전자 장치 1000 혹은 그 일부(예: AP 1011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 10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 1000은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웨어러블 장치로써 와치 타입(watch type) 전자 장치를 도시하였고, 이에 대한 착용부로써, 전자 장치의 본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를 도시하고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착용 가능한 다양한 방식의 장치에 구비되는 다양한 방식의 착용부에 적용될 수도 있다.
1: 웨어러블 전자 장치
2: 본체
3: 착용부(strap) 4: 버클
5: 연결 부재
3: 착용부(strap) 4: 버클
5: 연결 부재
Claims (20)
-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strap);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버클; 및
상기 버클과 상기 착용부를 연결시켜주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착용부의 일단에 형성된 밴드 삽입홈에 결합되는 밴드 삽입부; 및
상기 밴드 삽입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클에 형성된 버클 삽입홈에 결합되는 버클 삽입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삽입홈은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서 상기 착용부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버클 인입부에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버클 인입부의 외면과 상기 버클 삽입부의 외면이 일치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버클 삽입홈은 상기 착용부의 버클 인입부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버클 삽입부를 모두 수용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버클 인입부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버클 삽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버클 삽입홈의 대응 위치에 상기 걸림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착용부와 버클의 결합력을 보조함과 동시에 본딩시 본딩재의 누설을 방지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버클 인입부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버클 삽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 형상의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착용부와 버클의 결합력을 보조함과 동시에 본딩시 본딩재의 누설을 방지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밴드 삽입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착용부의 밴드 삽입홈에 결합될 때, 본딩재를 수용하거나, 착용부의 일부가 유입되거나, 스크류가 체결되어 결합력을 보조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상기 버클 삽입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버클의 버클 삽입홈에 결합될 때, 본딩재를 수용하거나, 착용부의 일부가 유입되거나, 스크류가 체결되어 결합력을 보조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밴드 삽입부 또는 버튼 삽입부에는 장착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에어 가이드 리세스(air guide recess)가 형성되어 결합시 압축 공기를 배출하고 결합력을 강화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착용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버클에 삽입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적용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의 외면과 상기 버클의 외면을 상당히 일치하며, 유격이 없도록 결합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착용부 및 상기 버클에 인서트 사출, 억지 끼움, 본딩, 초음파 융착, 열 융착, 열압착, 라미네이팅, 리벳팅, 스크류 체결, 이중 사출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러버, 실리콘,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은 다이캐스팅 공정에 의해 제조된 금속 재질, PC 중 적어도 하나의 강성 재질로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장치, 스피커 장치, 마이크 장치,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키 버튼,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치, 인터페이스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실장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착용부(strap);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버클;
상기 버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착용부에 형성된 장착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밴드 고정폴; 및
상기 버클과 상기 착용부를 연결시켜주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착용부의 일단에 형성된 밴드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밴드 삽입부; 및
상기 밴드 삽입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클에 형성된 버클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버클 삽입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삽입홈은 상기 착용부의 단부에서 상기 착용부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버클 인입부에 형성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의 버클 삽입홈은 상기 착용부의 버클 인입부 및 상기 연결 부재의 버클 삽입부를 모두 수용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3836A KR102201921B1 (ko) | 2014-04-11 | 2014-04-11 | 버클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US14/683,553 US9993050B2 (en) | 2014-04-11 | 2015-04-10 |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buck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3836A KR102201921B1 (ko) | 2014-04-11 | 2014-04-11 | 버클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7973A true KR20150117973A (ko) | 2015-10-21 |
KR102201921B1 KR102201921B1 (ko) | 2021-01-12 |
Family
ID=5426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3836A KR102201921B1 (ko) | 2014-04-11 | 2014-04-11 | 버클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993050B2 (ko) |
KR (1) | KR10220192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4192A (ko) * | 2016-03-07 | 2017-09-15 | 만드로 주식회사 |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의수 |
KR20200022797A (ko) | 2018-08-23 | 2020-03-04 | 전자부품연구원 | 자성체를 이용한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
KR102344037B1 (ko) * | 2020-11-23 | 2021-12-28 | 이재현 | 웨어러블 디바이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2305B1 (ko) * | 2013-09-02 | 2020-05-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웨어러블 전자 장치 |
USD757583S1 (en) * | 2014-06-11 | 2016-05-31 | Garmin Switzerland Gmbh | Fitness device |
EP3067678B1 (en) * | 2015-03-12 | 2019-10-09 | STBL Medical Research AG | Method for producing a strain gauge device |
JP6172341B2 (ja) * | 2016-01-04 | 2017-08-02 |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 生体情報測定装置 |
US9609921B1 (en) | 2016-03-04 | 2017-04-04 | Feinstein Patents, Llc | Self-fitting, self-adjusting, automatically adjusting and/or automatically fitting magnetic clasp |
CN105815896B (zh) * | 2016-03-29 | 2017-09-1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智能手环、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TWI636744B (zh) * | 2017-01-18 | 2018-10-01 | 杏泓科技服務有限公司 | Drain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
USD830343S1 (en) | 2017-04-06 | 2018-10-09 | Bose Corporation | Portable loudspeaker |
US10117009B1 (en) | 2017-04-06 | 2018-10-30 | Bose Corporation | Portable loudspeakers |
US10096232B1 (en) | 2017-10-26 | 2018-10-09 | USA Innovations, Inc. | Portable security alarm device |
CN109892755B (zh) * | 2019-02-25 | 2023-12-15 | 努比亚技术有限公司 | 一种表链和穿戴设备 |
CN114081251B (zh) * | 2021-12-20 | 2024-06-18 | 华为技术有限公司 | 可穿戴设备 |
CN219835275U (zh) | 2023-05-04 | 2023-10-17 | 深圳市亚飞工业科技有限公司 | 一种磁吸扣件及可穿戴设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00310A (ja) * | 2010-06-18 | 2012-01-05 | Casio Computer Co Ltd | 時計バンドおよび腕時計 |
US20130219960A1 (en) * | 2012-02-24 | 2013-08-29 | Matthieu Gabriel Marie GERARD-GODDET | Wrist-wearable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76616A (en) * | 1966-06-06 | 1968-04-09 | Kaczorowski John | In-line buckle |
US3585744A (en) * | 1969-04-14 | 1971-06-22 | Kreisler Mfg | Calendar watchband |
US4468134A (en) * | 1982-06-10 | 1984-08-28 | Timex Corporation | Watch bezel/lens/rocker switch assembly |
US4757486A (en) * | 1986-10-06 | 1988-07-12 | Bulova Watch Co., Inc. | Watch case and bracelet assembly having a soldered look |
US5812500A (en) * | 1994-11-15 | 1998-09-22 | Webb, Jr.; Tracy | Sports watch band |
GB2328139B (en) * | 1995-01-13 | 1999-06-16 | Radley Smith Philip John | Bracelet |
JPH08238116A (ja) * | 1995-03-07 | 1996-09-17 | Casio Comput Co Ltd | バンド取付構造 |
US6556222B1 (en) * | 2000-06-30 | 2003-04-2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Bezel based input mechanism and user interface for a smart watch |
US20040057340A1 (en) * | 2002-04-10 | 2004-03-25 | Joy Charles-Erickson | Personal, medical & financial risk management device |
TWI235588B (en) * | 2003-01-30 | 2005-07-01 | Casio Computer Co Ltd | Wrist-worn communications apparatus |
US7480967B2 (en) * | 2004-04-01 | 2009-01-27 | Fossil, Inc. | Removable fasten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
AT9011U1 (de) * | 2005-09-26 | 2007-04-15 | Hirsch Armbaender | Vorrichtung zum anschluss eines bandes an einen weiteren teil |
US20070200716A1 (en) * | 2006-02-24 | 2007-08-30 | Concord Camera Corp. | Personal safety alarm device and method |
US20090274015A1 (en) * | 2007-09-28 | 2009-11-05 | Advance Watch Company, Ltd, D/B/A, Geneva Watch Group | Watch having a watch strap with a multi-prong closure tongue |
JP5153837B2 (ja) * | 2009-09-01 | 2013-02-27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バンド、腕時計及びバンドの製造方法 |
CH702061A1 (fr) | 2009-10-26 | 2011-04-29 | Thi Technologies Horlogeres Ind S A | Fermoir extensible pour bracelet. |
US8240011B2 (en) * | 2010-02-17 | 2012-08-14 | Paul Hartzband | Device for fastening interchangeable watchstraps with sliding lock mechanism |
US8824245B2 (en) * | 2010-10-25 | 2014-09-02 | Advance Watch Company, Ltd. | Touch screen watch |
CH705796B1 (fr) * | 2011-11-22 | 2017-10-31 | Hublot Sa Genève | Dispositif de liaison amovible d'un bracelet. |
KR102066716B1 (ko) * | 2013-06-20 | 2020-01-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KR102242979B1 (ko) * | 2014-02-22 | 2021-04-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곡형 본체 및 이를 구비한 웨어러블 장치 |
-
2014
- 2014-04-11 KR KR1020140043836A patent/KR10220192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4-10 US US14/683,553 patent/US999305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00310A (ja) * | 2010-06-18 | 2012-01-05 | Casio Computer Co Ltd | 時計バンドおよび腕時計 |
US20130219960A1 (en) * | 2012-02-24 | 2013-08-29 | Matthieu Gabriel Marie GERARD-GODDET | Wrist-wearable devic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04192A (ko) * | 2016-03-07 | 2017-09-15 | 만드로 주식회사 |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의수 |
KR20200022797A (ko) | 2018-08-23 | 2020-03-04 | 전자부품연구원 | 자성체를 이용한 탈부착 가능 웨어러블 장치 |
KR102344037B1 (ko) * | 2020-11-23 | 2021-12-28 | 이재현 | 웨어러블 디바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1921B1 (ko) | 2021-01-12 |
US20150289607A1 (en) | 2015-10-15 |
US9993050B2 (en) | 2018-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1921B1 (ko) | 버클을 갖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 |
KR102232279B1 (ko) | 전자 장치를 위한 크래들 | |
KR102174752B1 (ko) |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
EP3363319B1 (en) | Band mounting structur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107800456B (zh) | 带构件以及包括该带构件的可穿戴电子装置 | |
KR102202228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142574B1 (ko) | 신체 장착형 장치 | |
KR102318095B1 (ko) | 신체 착용형 전자 장치 | |
KR102031874B1 (ko) | 구도 정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 | |
KR20160024627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수면 모니터링 방법 | |
KR20160026581A (ko) |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160052253A (ko) |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160009910A (ko) |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 |
KR20150082043A (ko) |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 |
US10001751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tatable annular member | |
KR20150112436A (ko) | 입력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 |
KR102267534B1 (ko) |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 |
KR20150142360A (ko) | 보호 커버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 |
AU2015230143B2 (en) | Method of providing antenna by using component in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therefor | |
KR20150082042A (ko) |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 |
KR20150123028A (ko) | 프레임 결합 구조 및 그것이 적용된 전자 장치 | |
KR20150109110A (ko) |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장치 | |
KR20150082044A (ko) |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160133154A (ko) | 전자 장치 및 그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
KR20150120842A (ko) | 줌 렌즈를 갖는 전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