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819A - 청소 용구 - Google Patents

청소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819A
KR20150116819A KR1020157018289A KR20157018289A KR20150116819A KR 20150116819 A KR20150116819 A KR 20150116819A KR 1020157018289 A KR1020157018289 A KR 1020157018289A KR 20157018289 A KR20157018289 A KR 20157018289A KR 20150116819 A KR20150116819 A KR 20150116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region
sheet
fibe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카즈 스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청소 효과가 높은 청소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청소 시트(100)와,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구(200)로 이루어지는 청소구(A)에 관한 것이다. 청소 시트(100)는, 청소 대상을 청소 가능한 브러시부(110)와, 기부(120)와, 유지구(200)의 삽입부(130)를 갖고, 브러시부(110)는 제1 접촉 영역(161)과 제2 접촉 영역(162)을 갖고, 제2 접촉 영역(162)은, 두께 방향(Z)에서 제1 접촉 영역(161)보다 낮게 형성된 저위 영역(162A)을 갖고, 저위 영역(162A)은, 인접하는 상기 제1 접촉 영역(161)으로 상기 청소 대상의 진개를 유도할 수 있는 유도 영역(162B)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청소 용구{CLEANING TOOL}
본 발명은 청소 대상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구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7566호 공보에는, 손잡이 삽입부와, 손잡이 삽입부의 상하 각각에 섬유층과 긁어냄용 시트를 마련한 청소용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손잡이 삽입부는, 한쌍의 손잡이 장착용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이 청소용 물품은, 손잡이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7566호에 기재된 청소용 물품의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는,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756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7566호 공보에 기재된 청소용 물품은,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가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길이 교차 방향에서의 섬유층의 섬유 길이가 상이했다. 즉, 섬유층의 청소 길이가 짧은 부분에 있어서는, 청소 효과가 낮을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청소 효과가 높은 청소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청소 시트와,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구를 갖는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청소 시트는, 상기 청소 시트에 상기 유지구를 삽입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길이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길이 교차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길이 교차 방향의 쌍방에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구는,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갖고, 상기 청소 시트는, 상기 길이 방향 상의 단부와, 상기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와, 청소 대상을 청소할 수 있게 구성된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가 접속되는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지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브러시부는, 소정의 섬유 배향 방향을 갖는 복수의 섬유의 집합체인 섬유 집합체와, 상기 청소 대상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과, 접촉 영역에 형성된 제1 접촉 영역과 제2 접촉 영역을 갖고,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1 접촉 영역보다 낮게 형성된 저위 영역을 갖고, 상기 저위 영역은, 인접하는 상기 제1 접촉 영역으로 상기 청소 대상의 진개를 유도할 수 있는 유도 영역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섬유 배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모든 소정 영역에서 상기 섬유 집합체에서의 상기 섬유끼리를 접합하는 제1 섬유 접합부와, 상기 섬유 배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일부의 소정 영역에서 상기 섬유 집합체에서의 상기 섬유끼리를 접합하는 제2 섬유 접합부를 갖고, 상기 섬유는, 상기 제1 섬유 접합부에 접속된 접속 단부와, 상기 접속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인 개방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 영역은, 상기 제1 섬유 접합부와 상기 섬유의 상기 개방 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제1 섬유 접합부와 상기 제2 섬유 접합부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접촉 영역과 상기 섬유의 상기 개방 단부 사이에, 제3 접촉 영역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섬유 집합체의 상기 섬유는, 상기 길이 교차 방향으로 배향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접촉 영역과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기부는, 제1 시트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시트체와 중첩되는 제2 시트체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와 상기 제2 시트체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3 시트체와, 상기 제3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4 시트체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 시트체와 상기 제4 시트체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5 시트체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5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 및 상기 일방측과 대향하는 측인 타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 효과가 높은 청소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 용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청소체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청소체의 각 구성 요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브러시부측에서 본 청소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브러시부측에서 본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브러시부의 각 구성 요소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제2 시트체측에서 본 청소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IX-IX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청소체 홀더를 청소체에 걸어맞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IIX-IIX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 용구의 작용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섬유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섬유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제조 공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제1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2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3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제4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제5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제6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9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의 설명도이다.
(청소 용구의 개략)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의 「청소구」의 일실시형태인 청소 용구(A)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이 청소 용구(A)를 이용하여 청소되는 청소 대상으로는, 단독주택, 맨션, 빌딩, 공장, 차량 등의 실내, 실외, 옥외에서의 피청소면(바닥면, 벽면, 창, 천장면, 외벽면, 가구면, 의류, 커튼, 침구, 조명, 가전제품 등)이나, 인체의 각 구성 부위에서의 피청소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각종 피청소면은, 평면으로서 구성되어도 좋고, 혹은 곡면, 요철면, 단차면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 용구(A)는, 청소체 홀더(200)와 청소체(100)로 구성되어 있다. 청소체 홀더(200)는, 청소체(100)에 착탈 가능하고, 청소체(100)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청소 용구(A)가 본 발명에서의 「청소구」의 일례이다. 이 청소체 홀더(200)가, 본 발명에서의 「유지구」의 일례이다. 이 청소체(100)가, 본 발명에서의 「청소 시트」의 일례이다.
청소체(100)는, 길이 방향(Y)과, 길이 방향(Y)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길이 교차 방향(X)의 쌍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 길이 방향(Y)은, 청소체(100)에 청소체 홀더(200)를 삽입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의해 규정된다. 이 청소체(100)에 청소체 홀더(200)를 삽입하는 방향은, 삽입 방향(Y1)이 된다. 이 삽입 방향(Y1)과 반대의 방향은 발출 방향(Y2)이 된다.
길이 방향(Y) 및 길이 교차 방향(X)의 각각과 교차하는 방향은, 두께 방향(Z)이 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교차」란 「직교」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길이 방향(Y)이, 본 발명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례이다. 이 길이 교차 방향(X)이, 본 발명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의 일례이다. 이 두께 방향(Z)이, 본 발명에서의 「두께 방향」의 일례이다.
청소체(100)에 있어서, 길이 교차 방향(X)의 중심이 되는 점을 길이 교차 방향 중심점(XCP)으로 규정한다. 또, 길이 교차 방향 중심점(XCP)을 형성하기 위한 길이 교차 방향(X)은, 청소체(100) 상에서의 임의의 개소의 길이 교차 방향(X)을 적절히 채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길이 교차 방향 중심점(XCP)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Y)과 평행한 직선을 길이 방향 중심선(YCL)으로 규정한다.
길이 교차 방향 중심점(XCP)으로부터 청소체(100)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향하는 방향을 외측 방향(100D1)으로 규정한다. 또한, 청소체(100)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부터 길이 교차 방향 중심점(XCP)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 방향(100D2)으로 규정한다.
(청소체 홀더의 구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체 홀더(200)는, 핸들부(210) 및 청소체 유지부(220)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핸들부(210)는,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청소시에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부재이다. 핸들부(210)는, 핸들(211)과 핸들 접합부(212)를 갖고 있다. 핸들 접합부(212)는, 청소체 유지부(220)의 연접부(230)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211)은, 핸들 접합부(212)로부터 연장되는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핸들부(210)가, 본 발명에서의 「파지부」의 일례이다. 이 청소체 유지부(220)가, 본 발명에서의 「유지부」의 일례이다.
청소체 유지부(220)는,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고, 청소체(100)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청소체 유지부(220)는, 장척형으로 형성된 2개의 유지 부재(221), 볼록부(260) 및 누름판(270) 등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청소체 유지부(220)는, 폴리프로필렌(PP)이 사용되고 있다. 또, 청소체 유지부(220)는 가요성을 갖는 수지 재료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에스테르계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유지 부재(221)는, 연접부(230)로부터 핸들(211)이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유지 부재(221)는, 연접부(230)와, 선단부(240)와, 연접부(230)로부터 선단부(240)를 향해 연장된 중간부(250)를 갖는다. 2개의 유지 부재(221)의 선단부(240)는 각각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볼록부(260)는, 중간부(250)에서의 외측 방향(100D1)으로 마련된다. 볼록부(260)는, 연접부(230)측에 마련된 제1 볼록부(261)와, 선단부(240)측에 마련된 제2 볼록부(262)로 이루어진다.
누름판(270)은, 연접부(23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누름판(270)은, 한쌍의 유지 부재(221) 사이에, 유지 부재(221)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누름판(270)은, 하측을 향해 볼록 형상이 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판형 부재로서 구성되고, 또한 하면에 걸림 돌기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체의 구성)
다음으로 도 3∼도 8을 참조하면서, 청소체(100)에 관해 설명한다. 청소체(100)는, 청소 대상의 진개 등의 오염물을 포집하는, 오염물 포집 기능을 갖는 시트형의 청소체이다. 도 4,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체(100)는, 평면에서 보아 직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청소체(100)는, 1회 사용을 목적으로 한 일회용 타입의 것이나, 청소 대상의 피청소면으로부터 제거한 쓰레기나 먼지를 유지하면서 복수회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여 교환을 행하는 일회용 타입의 것이어도 좋고, 혹은 세탁 등을 행한 후에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청소체(100)에 있어서, 기부(120)는 제1 시트체(12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기부(120)는,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20A)와, 길이 방향(Y) 상의 단부(120B)와, 한쪽 면(120C)과, 다른쪽 면(120D)을 갖는다. 이 기부(120), 제1 시트체(121), 한쪽 면(120C), 다른쪽 면(120D)이, 본 발명에서의 「기부」, 「제1 시트체」, 「일방측」, 「타방측」의 각각 일례이다.
기부(120)의 한쪽 면(120C)에는, 섬유 집합체(110GF)가 배치된다.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에는, 제2 시트체(122)가 배치된다.
이들 적층된 기부(120), 섬유 집합체(110GF), 제2 시트체(122)는, 모두 청소체(100)의 길이 방향(Y)으로 장척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섬유 집합체(110GF)는, 오염물 포집 기능을 갖는 브러시부(110)를 형성한다. 이 섬유 집합체(110GF)가, 본 발명에 관련된 「섬유 집합체」의 일례이다. 이 브러시부(110)가 본 발명에서의 「브러시부」의 일례이다. 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체(100)와 같이, 기부(120)의 한쪽 면(120C)측에 배치되어 있는 섬유 집합체(110GF)를, 제1 섬유 집합체(110GF1)로 한다.
섬유 집합체(110GF)는, 섬유(110SF)의 집합체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110SF)란, 전형적인 섬유에 의한 단일의 섬유 구조체나, 전형적인 섬유가 길이 방향 및/또는 직경 방향으로 정렬된 섬유 구조체(연사, 방적사, 복수의 장섬유가 부분적으로 접속된 실재 등), 내지 상기 섬유 구조체의 집합체가 된다. 여기서 「전형적인 섬유」란, 실, 직물 등의 구성 단위이고, 굵기에 비해 충분한 길이를 갖는, 가늘고 휘기 쉬운 형태의 것이다. 전형적으로는 긴 연속형의 섬유가 장섬유(필라멘트)가 되고, 짧은 섬유가 단섬유(스테이플)가 된다.
섬유(110SF)는 열가소성 섬유를 일부에 포함하여, 각각의 섬유(110SF)가 융착(「용착」이라고도 함)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섬유 집합체(110GF)는, 소정의 섬유 배향 방향(110D)에서 병렬로 배열됨과 동시에, 두께 방향(Z)으로 적층된 복수의 섬유(110SF)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섬유 배향 방향(110D)은, 길이 교차 방향(X)과 대략 합치된다. 한편, 섬유(110SF)는 유연한 소재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굴곡, 변형된다. 따라서, 섬유(110SF)의 섬유 배향 방향(110D)이란, 제품 설계상의 섬유 배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섬유 집합체(110GF)의 섬유(110SF)는, 중앙 접합부(140)와 용착되는 단부인 접속 단부(110SFA)를 갖는다. 그리고, 섬유(110SF)는, 접속 단부(110SFA)와 반대측의 단부인 개방 단부(110SFB)를 갖는다. 이 개방 단부(110SFB)는 자유단이 된다.
이 접속 단부(110SFA)가, 본 발명에 관련된 「접속 단부」의 일례이다. 이 개방 단부(110SFB)가, 본 발명에 관련된 「개방 단부」의 일례이다.
또, 도 3에 있어서, 섬유 집합체(110GF)는, 3개의 섬유층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섬유층의 수는 필요에 따라 1 또는 복수로 할 수 있다. 이 섬유 집합체(110GF)는, 소정의 평면이나 곡면에 의한 면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입체 형상으로서, 혹은 박육 시트 형상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집합체(110GF)는, 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레이온 등을 재질로 하고, 실용상으로는 토우를 개섬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섬유(필라멘트)의 집합체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코어(core) 부분이 폴리프로필렌(PP) 혹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이고, 이 코어 부분의 외면을 덮는 시스(sheath) 부분이 폴리에틸렌(PE)의 복합 섬유를 이용하여 섬유 집합체(110GF)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섬유 집합체(110GF)를 형성하는 섬유(110SF)의 섬도는, 1∼50 dtex의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10 dtex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섬유 집합체는 대략 동일한 섬도의 섬유로 구성되어도 좋고, 혹은 각 섬유 집합체가 상이한 섬도의 섬유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청소시의 오염물 포집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 집합체(110GF)에는, 오일제가 공급된다. 이 오일제는, 유동 파라핀을 주성분으로 한다.
또한, 청소시의 쓸어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섬유(110SF), 즉 섬도가 높은 섬유(110SF)를 포함하는 섬유 집합체(110GF)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집합체(110GF)는, 권축 섬유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권축 섬유는, 주지된 권축 처리가 부여된 섬유로서 구성되고, 섬유끼리가 얽히기 쉬운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은 권축 섬유를 이용하면, 섬유 집합체(110GF)가 청소체 홀더(200) 장착 전의 상태보다 벌키해져, 더욱 권축 부분에 쓰레기를 받아들이기 쉬운 구조가 된다. 본 구조는, 특히 토우 섬유로부터 형성된 권축 섬유를 이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브러시부(110)를 구성하는 섬유 집합체(110GF)의 섬유(110SF)는, 길이 교차 방향(X)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여기서, 「동일한 길이」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섬유(110SF)로서 권축 섬유를 사용한 경우에는, 개개의 권축 섬유끼리의 권축 상태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개개의 섬유(110SF)의 길이를 비교하면, 완전히 동일한 길이가 아닌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관련된 「동일한 길이」란 어디까지나 「설계상의 동일한 길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설계상의 동일한 길이」에 관해 설명한다. 청소체(100)는, 후술하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기계 방향(M)으로 연속하는 적층된 자재가, 기계 방향(M)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소정의 2개의 영역에서 절단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소정의 2개의 영역이 절단되는 방향이 직선형이며, 또한 평행인 경우에는 「설계상의 동일한 길이」가 된다.
또, 여기서 「직선형」이란 반드시 「완전한 직선」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디자인상 등의 사정에 의해 만곡되어 있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직선」이면 족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시트체(122)는, 길이 방향(Y)에서, 기부(120)보다 짧은 직방 형상의 부직포로 형성된 시트이다.
기부(120)(제1 시트체(121)) 및 제2 시트체(122)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모두 전형적으로는 열용융성 섬유(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의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즉, 이들 기부(120) 및 제2 시트체(122)는, 「부직포 시트」라고도 불린다. 또, 청소시의 쓸어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성이 높은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부직포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합성 섬유가 사용된다. 또한, 부직포의 형태로는, 에어 스루법이나 스펀 본드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한편, 부직포 이외에도, 포백이나, 합성 수지에 의한 필름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부(120)와 제2 시트체(122)는, 청소체(100)의 길이 방향 중심선(YCL)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접합부(140)와, 중앙 접합부(140)의 양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1 접합부(141)에서 용착 접합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120)와, 제2 시트체(122)와, 섬유 집합체(110GF)가, 중앙 접합부(140)에 있어서 용착 접합되어 있다. 또한, 기부(120)와, 제2 시트체(122)와, 일부의 섬유 집합체(110GF)가 제1 접합부(141)에 있어서 용착 접합되어 있다. 또, 길이 방향(Y)에서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141)는 제2 시트체(122)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길이 방향(Y)에서의 양단측에 위치하는 제1 접합부(141)는, 기부(120)와, 일부의 섬유 집합체(110GF)만을 접합한다.
이 중앙 접합부(140)가, 본 발명에 관련된 「제1 섬유 접합부」의 일례이다.
중앙 접합부(140)와, 제1 접합부(141) 사이에 끼워진 영역 중, 기부(120)와 제2 시트체(122) 사이에는,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유지 공간(1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 공간(130)에서의 길이 방향(Y)의 양단에는, 개구부(131) 각각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 공간(130)이, 본 발명에서의 「삽입부」의 일례이다.
또, 바꿔 말하면, 유지 공간(130)은, 길이 교차 방향(X)에서의 한쌍의 제1 접합부(141)끼리의 사이에서의 기부(120)의 소정 영역과, 제2 시트체(122)의 소정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접합부(141)는, 길이 방향(Y)을 대략 따라서 복수 연속하여 형성된다. 한편, 길이 방향(Y)에서 인접하는 제1 용착 접합부(141)가, 반드시 길이 방향(Y)에 일치하여 배치될 필요는 없다. 제1 용착 접합부(141)의 배치 형태는, 디자인성이나, 청소체 유지부(220)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제1 용착 접합부(141)를 연속한 선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부(120)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20A)와, 중앙 접합부(140) 사이에서의 소정 영역에는, 측방 접합부(140A)가 형성된다. 측방 접합부(140A)는, 길이 교차 방향(X)에서는, 기부(120)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20A)와, 제1 용착 접합부(141)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측방 접합부(140A)는, 길이 방향(Y)에서는, 길이 방향(Y)과 평행한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측방 접합부(140A)는, 길이 교차 방향(X)에서 각각 한쌍이 된다.
측방 접합부(140A)는, 기부(120)와, 제2 시트(122)와, 섬유 집합체(110GF)를 접합한다.
또, 측방 접합부(140A)는, 길이 방향(Y)에서 2개소일 필요는 없고, 단일이어도 좋고, 또한 복수여도 좋다. 또한, 길이 방향(Y)에 평행일 필요는 없다.
이 측방 접합부(140A)가, 본 발명에 관련된 「제2 섬유 접합부」의 일례이다.
또, 전술한 중앙 접합부(140), 제1 접합부(141), 측방 접합부(140A)는, 열에 의한 용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된 접합부는, 초음파 용착, 봉제,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한 점착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브러시부(110)는,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을 갖는다. 제2 브러시 영역(112)은, 제1 브러시 영역(111)보다 길게 구성된 돌출 영역(112L)을 갖는다.
제1 브러시 영역(111)은, 길이 교차 방향(X)에서, 측방 접합부(140A)에 의해 접합되어 있지 않은 섬유(110SF)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브러시 영역(112)은, 길이 교차 방향(X)에서, 측방 접합부(140A)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섬유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2 브러시 영역(112)은, 제1 브러시 영역(111)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길게」에 관해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길이 교차 방향(X)에서, 길이 방향 중심선(YCL)과 제1 브러시 영역(111)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11B)를 연결하는 직선 중, 가장 긴 직선을 제1 브러시 영역 길이(111D)로 한다.
길이 교차 방향(X)에서, 길이 방향 중심선(YCL)과 제2 브러시 영역(112)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12B)를 연결하는 직선 중, 가장 긴 직선을 제2 브러시 영역 길이(112D)로 한다.
제2 브러시 영역(112)이, 제1 브러시 영역(111)보다 길다란, 제2 브러시 영역 길이(112D)가, 제1 브러시 영역 길이(111D)보다 긴 것을 의미한다.
또, 제1 브러시 영역(111)보다 긴 영역인 제2 브러시 영역(112)이, 돌출 영역(112L)을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체(100)에 있어서는, 섬유(110SF)가 유연하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경우에는, 섬유(110SF)의 형상이 변화된다. 이 결과, 제2 브러시 영역 길이(112D)가, 제1 브러시 영역 길이(111D)보다 길다는 관계를 구축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돌출 영역(112L)은, 사용자가 청소 용구(A)를 사용할 때에, 소정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제1 브러시 영역 길이(111D)와 제2 브러시 영역 길이(112D)의 관계는, 청소체(100)를 제조한 직후나, 사용자가 제품을 구입하여 청소체(100)를 꺼낸 직후나, 사용자가 청소체(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청소체(100) 자체를 크게 뒤흔들어, 각 섬유(110SF) 사이의 거리를 넓혀 벌키한 상태로 한 직후 등에 형성하면 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체(100)에 있어서는, 제1 브러시 영역(111)은, 길이 방향(Y) 상의 단부(100B)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2 브러시 영역(112)이, 길이 방향(Y) 상의 단부(100B)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고, 또한,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이 각각 하나씩 형성된 구성이어도 좋다.
브러시부(110)는, 청소 대상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160)을 갖는다. 도 6에 기초하여, 접촉 영역(160)을 설명한다.
접촉 영역(160)은, 제1 접촉 영역(161)과, 제2 접촉 영역(162)과, 제3 접촉 영역(163)을 갖는다. 제1 접촉 영역(161)은, 제1 브러시 영역(111)에 형성된다. 제2 접촉 영역(162)은, 제2 브러시 영역(112)에서의 중앙 접합부(140)와 측방 접합부(140A) 사이에 형성된다. 제3 접촉 영역(163)은, 제2 브러시 영역(112)에서의 측방 접합부(140A)와 개방 단부(110SFB) 사이에 형성된다.
이 접촉 영역(160)이 본 발명에 관련된 「접촉 영역」의 일례이다. 이 제1 접촉 영역(161)이 본 발명에 관련된 「제1 접촉 영역」의 일례이다. 이 제2 접촉 영역(162)이 본 발명에 관련된 「제2 접촉 영역」의 일례이다. 이 제3 접촉 영역이 본 발명에 관련된 「제3 접촉 영역」의 일례이다.
제2 접촉 영역(162)은, 두께 방향(Z)에서 제1 접촉 영역(161)보다 낮게 형성된 저위 영역(162A)을 갖는다. 저위 영역(162A)은, 인접하는 제1 접촉 영역(161)으로 청소 대상의 진개를 유도할 수 있는 유도 영역(162B)으로 되어 있다. 이 저위 영역(162A)이 본 발명에 관련된 「저위 영역」의 일례이다. 이 유도 영역(162B)이 본 발명에 관련된 「유도 영역」의 일례이다.
또, 저위 영역(162A)과 유도 영역(162B)은, 제2 접촉 영역(162)과 제3 접촉 영역(163)의 경계인 측방 접합부(140A)를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저위 영역(162A)과 유도 영역(162B)은, 제3 접촉 영역(163)에 형성된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저위 영역(162A)과 유도 영역(162B)은, 제2 접촉 영역(162)과 제3 접촉 영역(163) 사이에 형성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저위 영역(162A)과 유도 영역(162B)은, 제2 접촉 영역(162)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저위 영역(162A)이, 두께 방향(Z)에서, 제2 접촉 영역(162)에서의 제1 접촉 영역(161)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 관해 설명한다.
측방 접합부(140A)는, 접촉 영역(160)과 대향하는 쪽의 영역인 접촉 대향 영역(140A1)과, 접촉 영역(160)측의 영역인 접촉측 영역(140A2)을 갖는다. 이 접촉 대향 영역(140A1)과, 접촉측 영역(140A2) 사이에서의 두께 방향(Z)의 길이에 있어서, 가장 짧은 길이를 제2 접촉 영역 높이(162Z)로 한다.
다음으로, 이 제2 접촉 영역 높이(162Z)를 구한 지점에서의, 측방 접합부(140A)의 접촉 대향 영역(140A1) 상의 점을 높이 측정용 점(140A1P)으로 한다. 높이 측정용 점(140A1P)을 통과하는, 길이 방향(Y)과 평행한 직선을, 높이 측정용 직선(161Y)으로 한다. 이 높이 측정용 직선과, 제1 접촉 영역(161) 사이에서의 두께 방향(Z)의 길이에 있어서, 가장 긴 길이를 제1 접촉 영역 높이(161Z)로 한다.
즉, 두께 방향(Z)에서, 제2 접촉 영역(162)이, 제1 접촉 영역(161)보다 「낮다」란, 제2 접촉 영역 높이(162Z)가, 제1 접촉 영역 높이(161Z)보다 「짧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체(100)에 있어서는, 섬유(110SF)가 유연하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경우에는, 섬유(110SF)의 형상이 변화된다. 이 결과, 제2 접촉 영역 높이(162Z)가, 제1 접촉 영역 높이(161Z)보다 「짧다」라는 관계를 구축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저위 영역(162A)은, 사용자가 청소 용구(A)를 사용할 때에, 소정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접촉 영역 높이(161Z)와 제2 접촉 영역 높이(162Z)의 관계는, 청소체(100)를 제조한 직후나, 사용자가 제품을 구입하여 청소체(100)를 꺼낸 직후나, 사용자가 청소체(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청소체(100) 자체를 크게 뒤흔들어, 각 섬유(110SF) 사이의 거리를 넓혀 벌키한 상태로 한 직후 등에 형성하면 족한 것이다.
따라서, 저위 영역(162A)은, 측방 접합부(140A)의 접촉측 영역(140A2)을 포함하는 영역이 된다. 또한, 유도 영역(162B)은, 저위 영역(162A)에서의 길이 방향(Y)과 평행한 영역이 된다. 유도 영역(162B)을 연장한 경우에는, 제1 접촉 영역(161)의 측부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유도 영역(162B)을 경유한 청소 대상의 진개는, 제1 접촉 영역(161)의 측부 영역(161A)에 포착되기 쉬워진다.
제2 접촉 영역(162)을 형성하는 섬유(110SF)는, 그 양단이 중앙 접합부(140)와, 측방 접합부(140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접촉 영역(162)을 구성하는 섬유(110SF)는, 제1 접촉 영역(161)을 형성하는 섬유(110SF)나, 제3 접촉 영역(163)을 형성하는 섬유(110SF)와 비교하여, 가동폭이 좁은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 용구(A)를 사용한 경우, 예컨대 청소 대상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는 진개에 대하여, 저항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촉 영역(162)은, 청소 대상의 진개에 대하여 저항을 가할 수 있는 저항 영역(162C)이 된다.
청소체(100)는, 스트립(150)을 갖는다. 스트립(150)은, 기부(120)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절취선 사이에 형성된 제1 스트립(151)과, 제2 시트체(122)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에 마련된 복수의 절취선 사이에 형성된 제2 스트립(152)으로 이루어진다. 또, 기부(120) 및 제2 시트체(122)에서의 절취선은, 지그재그형이 된다. 스트립(150)을 지그재그형으로 함으로써, 쓰레기를 걸어서 포착하기 쉬운 청소 기능이 높은 구조가 실현된다. 또, 스트립의 형상에 관해서는, 지그재그형, 직선형, 곡선형 등 중의 단일 종류 혹은 복수 종류의 형상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또, 스트립(150)으로는, 제1 스트립(151) 혹은 제2 스트립(152) 중 어느 하나여도 좋다.
(청소체 홀더와 청소체의 걸어맞춤)
다음으로 도 9, 도 10을 참조하면서, 청소체 홀더(200)와 청소체(100)의 걸어맞춤에 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221)는 각각, 유지 공간(130)에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 부재(221)가 삽입 방향(Y1)을 따라 유지 공간(130)에 삽입됨으로써, 청소체(100)가 청소체 홀더(200)에 유지된다. 한편, 걸어맞춰져 있는 청소체 홀더(200)와 청소체(1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청소체 홀더(200)를, 발출 방향(Y2)을 따라 유지 공간(130)으로부터 발출한다.
청소체 홀더(200)와 청소체(100)의 걸어맞춤 상태에서는, 볼록부(260)는, 인접하는 제1 접합부(141)끼리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청소체 홀더(200)와 청소체(100)의 걸어맞춤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누름판(270)은, 유지 부재(221)와 함께 제2 시트체(122)를 협지한다.
(작용)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 용구(A)의 작용을 설명한다. 청소체(100)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0A)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경우에는, 제2 브러시 영역(112)의 돌출 영역(112L)을 청소 대상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청소체(100)를 길이 방향(Y)을 대략 따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청소 대상의 진개를 긁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돌출 영역(112L)을 복수 형성한 경우에는, 청소 대상에 대하여 복수의 돌출 영역(112L)을 연속하여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층 더 청소 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기초하여, 접촉 영역(160)을 넓게 눌러 대어 청소 작업을 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예컨대, 마루(F) 등을 청소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핸들(211)을 잡고, 청소체(100)의 접촉 영역(160)을 마루(F)에 눌러 댄다. 그리고 사용자는, 마루(F) 위에서 청소체(100)를 움직인다. 이 때, 예컨대 제1 접촉 영역(161)의 표면에서는 미처 포착하지 못한 진개가 발생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이 제1 접촉 영역(161)에서 포착되지 않은 진개는, 사용자의 청소 작업에 의해, 저위 영역(162A)의 유도 영역(162B)으로 이행된다. 그리고, 유도 영역(162B)으로 이행된 진개는, 제2 접촉 영역(162) 혹은 제3 접촉 영역(163)에서 포착된다. 여기서, 또한 제2 접촉 영역(162) 혹은 제3 접촉 영역에서 포착되지 않은 진개는, 제1 접촉 영역(161)의 측부 영역(161A)에서 포착된다.
또, 섬유(110SF)가 유연한 점에서, 강한 압력으로 청소체(100)를 마루(F)에 압박한 경우에는, 저위 영역(162A)과 유도 영역(162B)이 찌부러질 우려가 있다. 한편, 저위 영역(162A)과 유도 영역(162B)이 형성되는 범위 내에서 청소 용구(A)를 사용한 경우, 진개의 포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 본원 발명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마루(F)에 부착되어, 통상의 청소 작업에서의 「터는」 동작으로 포착할 수 없는 진개가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저항 영역(162C)을 이 부착된 진개에 대하여 눌러 대고, 청소 작업을 행한다. 그 결과, 저항 영역(162C)에서의 가동 영역이 적은 섬유(110SF)에 의해, 진개가 마루(F)로부터 박리된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 용구(A)에서는, 돌출 영역(112L)에 의해, 진개의 긁어냄 작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저위 영역(162A) 및 유도 영역(162B)에 의해, 진개가 섬유 집합체(110GF)에 포착되는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저항 영역(162C)에 의해, 청소 대상에 부착된 진개를 청소 대상으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제조 공정)
다음으로, 도 12∼도 20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형태의 청소 용구(A)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구체적인 제조 공정의 설명을 하기 전에, 본 발명에 관련된 섬유 집합체(110GF)를 형성하는 섬유(110SF)의 설명을 한다.
도 12는, 섬유 집합체(110GF)를 형성하는 섬유(110SF)이다. 또, 도 12에 관련된 섬유(110SF)는,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정지 상태를 도시한다. 섬유(110SF)는, 권축 섬유이기 때문에, 복수의 굴곡부(110SFC)를 갖고, 지그재그형으로 되어 있다. 이 굴곡부(110SFC)는 크림프부라고도 불린다.
섬유(110SF)는, 굴곡부(110SFC)를 가짐으로써, 신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3은, 정지 상태의 섬유(110SF)의 양단부에 대하여,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장력)을 가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섬유(110SF)는, 굴곡부(110SFC) 사이의 거리가 이격됨으로써 연장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 외력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섬유(110SF)는, 도 13에 도시한 연장된 상태로부터, 도 12에 도시한 정지 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기부(120)와 섬유 집합체(110GF)는, 신축 탄성률이 상이하다. 즉, 섬유 집합체(110GF)의 신축 탄성률은, 기부(120)의 신축 탄성률보다 높은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섬유 집합체(110GF)의 신축 탄성률은 75.7%이고, 기부(120)의 신축 탄성률은 56.0%이다.
또, 신축 탄성률의 측정에 있어서는, 다음 시험에 의해 행했다.
(1) 섬유 집합체(110GF)의 시험편과, 기부(120)의 시험편을 준비한다. 시험편은, 500 mm의 길이로 한다.
또, 섬유 집합체(110GF)는, 폴리에틸렌(PE)이 시스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코어재인 코어-시스 복합 섬유에 의해 형성된 토우 섬유를 이용했다. 이 토우 섬유는, 섬유 1가닥에 관련된 섬도가 3.5 dtex이다. 섬유 집합체 전체로서의 섬도는 110,000 dtex이다.
또한, 기부(120)는, 폴리에틸렌(PE)이 시스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코어재인 코어-시스 복합 섬유에 의해 형성된 스펀 본드 부직포를 이용했다. 이 부직포는, 평량이 20 g/m2이다. 또한, 폭을 190 mm로 했다.
(2) 시험편 중의 길이 방향에, 소정 길이의 시단과 종단을 나타내는 표시를 한다. 또, 이 표시는 200 mm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의 시단과 종단 사이의 길이를 L0으로 한다. L0은, 즉 200 mm가 된다.
(2) 시험편의 상단을 클립으로 고정한다.
(3) 시험편의 하단에서의 전폭에 하중이 가해지도록, 5 kg의 추를 매단다.
(4) 30초 경과 후에, 시험편 중에 표시한 시단과 종단 사이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L1로 한다.
(5) 추를 제거하고 30초 경과 후에, 시험편에 표시한 시단과 종단 사이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길이를 L2로 한다.
(6) L1과 L2의 차를, L1과 L0의 차로 나누고, 그것에 100을 곱한 수치를, 신축 탄성률로 했다.
(7) 이 시험을 5회 행하고, 평균 수치를 구했다.
도 14는, 제조 공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제조 공정은, 기부(120)와, 제2 시트와, 일부의 섬유 집합체(110GF)가 되는 자재를 적층하는 공정인 제1 공정(S11)과, 제1 공정(S11)에 의해 적층한 자재를 접합하는 공정인 제2 공정(S12)과, 제2 공정(S12)에서 접합한 자재에 일부의 섬유 집합체(110GF)를 적층하는 공정인 제3 공정(S13)과, 제3 공정(S13)에서 적층한 자재를 접합하는 공정인 제4 공정(S14)과, S14에서 접합한 자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공정인 제5 공정(S15)과,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을 형성하는 공정인 제6 공정(S16)으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청소체(100)는, 스트립(150)을 갖는 것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스트립(150)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생략한다.
도 15는, 제1 공정(S11)을 도시한다. 제1 공정(S11)에서는, 기부(120)가 되는 제1 시트체(121)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시트 자재(1211)와, 제2 시트체(122)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시트 자재(1221)와, 제1 섬유 집합체(110GF1)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가 공급된다. 이 결과, 제1 시트 자재(1211)의 일방측에는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가 배치된다. 또한, 제1 시트 자재(1211)의 타방측에는, 제2 시트 자재(1221)가 배치된다.
또, 본 발명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각 자재는 지지 롤(R)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기계 방향(M)으로 이송된다.
또,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의 섬유 배향 방향(110D)은, 기계 방향(M)과 대략 일치한다.
도 16은, 제2 공정(S12)을 도시한다. 제2 공정(S12)에서는, 제2 시트 자재(1221)와, 제1 시트 자재(1211)와,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의 전층이 용착된다. 이 때, 제2 시트 자재(1221)와, 제1 시트 자재(1211)와,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에서의 소정 영역의 2개소가 용착된다. 이 용착된 개소는, 한쌍의 제1 접합부(141)를 형성한다.
도 17은, 제3 공정(S13)을 도시한다. 제3 공정(S13)에서는, 제2 섬유 집합 자재(110GF1B)가 공급된다. 제2 섬유 집합 자재(110GF1B)는,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에서의, 제1 시트 자재(121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 공급된다.
또, 제2 섬유 집합 자재(110GF1B)의 섬유 배향 방향(110D)은, 기계 방향(M)과 대략 일치한다.
도 18은, 제4 공정(S14)을 도시한다. 제4 공정(S14)에서는, 제2 시트 자재(1221)와, 제1 시트 자재(1211)와,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와, 제2 섬유 집합 자재(110GF1B)의 전층이, 열용착에 의해 접합된다. 이 접합 작업에 의해, 중앙 접합부(140)와, 측방 접합부(140A)가 형성된다.
중앙 접합부(140)의 형성에 있어서는, 제1 섬유 집합체(110GF1)에서의 섬유 배향 방향(110D)을 가로지르는 소정 영역의 전부가 접합된다.
측방 접합부(140A)의 형성에 있어서는, 제1 섬유 집합체(110GF1)에서의 섬유 배향 방향(110D)을 가로지르는 소정 영역의 일부가 접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측방 접합부(140A)는, 섬유 배향 방향(110D)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2개소가 용착된다.
또, 중앙 접합부(140)와 측방 접합부(140A)는, 단일의 접합 장치에 의해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접합부(140)와 측방 접합부(140A)는, 거의 동시에 형성된다.
한편, 중앙 접합부(140)를 형성하는 접합 장치와, 측방 접합부(140A)를 접합하는 접합 장치를, 각각 독립된 접합 장치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앙 접합부(140)를 마련한 후에, 측방 접합부(140A)를 마련할 수 있다. 한편, 측방 접합부(140A)를 마련한 후에, 중앙 접합부(140)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 제1 공정(S11)∼제4 공정(S14)에 걸쳐서는,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에 소정의 장력이 부여되고 있다. 구체적인 장력은, 40 N이다.
또, 이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 및 제2 섬유 집합 자재(110GF1B)에 가해진 소정의 장력은, 제조를 용이하게 행하도록, 형상을 안정시키기 위해 가해진다.
또한, 이 장력은, 후술하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섬유 집합체(110GF)의 섬유(110SF)를 수축시켜,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을 형성하기 위해 가해진다.
또, 제1 시트 자재(1211), 제2 시트 자재(1221)에 있어서도, 형상을 안정시키기 위해 장력이 가해진다.
도 19는, 제5 공정(S15)을 도시한다. 제5 공정(S15)에서는, 제2 시트 자재(1221), 제1 시트 자재(1211),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 제2 섬유 집합 자재(110GF1B)를, 소정의 영역에서 절단한다. 이 절단 작업에 의해, 제2 시트 자재(1221), 제1 시트 자재(1211),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 제2 섬유 집합 자재(110GF1B)는, 장력으로부터 해방된다.
도 20은, 제6 공정(S16)을 도시한다. 제6 공정(S16)에서는, 장력으로부터 해방된 제1 섬유 집합 자재(110GF1A)에 상당하는 섬유(110SF)가, 길이 교차 방향(X)에서의 내측 방향(100D2)을 향해 수축된다.
중앙 접합부(140)와, 측방 접합부(140A)의 쌍방에 접속하는 섬유는, 제1 시트체(121)와 제2 시트체(122)와도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시트체(121)와 제2 시트체(122)에 의해, 섬유(110SF)의 수축이 제한된다.
한편, 중앙 접합부(140)에만 접합되어 있는 섬유(110SF)는, 제1 시트체(121)와 제2 시트체(122)와 접속된 섬유(110SF)와 비교하여, 크게 수축된다.
이 결과, 중앙 접합부(140)에만 접합된 섬유(110SF)는, 제1 브러시 영역(111)을 형성한다. 중앙 접합부(140)와 측방 접합부(140A)에 접합된 섬유(110SF)는, 제2 브러시 영역(11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 용구(A)의 청소체(100)가 제조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나 제조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응용이나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 용구(A)에서는, 유지구(200)의 유지 부재(211)가 2개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대응하여 청소체(100)의 유지 공간(130)도 2개 형성되어 있다. 한편, 2개의 유지 부재(211)에 대하여, 단일의 유지 공간(130)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단일의 유지 부재(211)에 대하여, 단일의 유지 공간(130)을 마련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해 설명을 하지만,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청소 용구(A)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과 동시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변형예)
도 21에 기초하여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1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1)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유지 공간(130)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다.
즉, 제1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1)의 유지 공간(130)은, 기부(120)를 구성하는 제1 시트체(121)만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시트체(121)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121A)을 형성한다. 이 접합 시트 영역(121A)에서의 소정 영역을 용착하여, 제2 접합부(14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공간인, 유지 공간(1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제1 변형예의 경우, 중앙 접합부(140)는, 브러시부(110)만을 접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시부(110)와 기부(120)는, 접착제(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접합할 수 있다.
이 제1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1)여도,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제2 변형예)
도 22에 기초하여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2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2)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유지 공간(130)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다.
즉, 제2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2)의 유지 공간(130)은, 기부(120)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제3 시트체(123)와 제4 시트체(124)를 중첩한다. 그리고, 제3 시트체(123)와 제4 시트체(124)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양단부 근방의 영역을, 길이 방향(Y)을 따라 용착하여, 제4 접합부(144)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제3 시트체(123)와 제4 시트체(124) 사이에,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공간인, 유지 공간(1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제2 변형예의 경우, 중앙 접합부(140)는, 브러시부(110)와 기부(120)만을 접합한다. 제3 시트체(123)는, 접착제 등에 의해 기부(120)와 접합되어, 제5 접합부(145)를 형성한다.
이 제2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2)여도,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제3 변형예)
도 23에 기초하여 제3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3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3)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유지 공간(130)의 구성이 상이한 것이다.
즉, 제3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3)의 유지 공간(130)은, 기부(120)와는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즉, 제5 시트체(125)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125A)을 형성한다. 이 접합 시트 영역(125A)에서의 소정 영역을 용착하여, 제6 접합부(146)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공간인, 유지 공간(1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제3 변형예의 경우, 중앙 접합부(140)는, 브러시부(110)와 기부(120)만을 접합한다. 제5 시트(125)는, 접착제 등에 의해 기부(120)와 접합되어, 제7 접합부(147)를 형성한다.
이 제3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3)여도,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제4 변형예)
도 24에 기초하여 제4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4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4)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기부(120)의 한쪽 면(120C)측뿐만 아니라, 다른쪽 면(120D)측에도 브러시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제2 섬유 집합체(110GF2)를, 섬유 배향 방향(110D)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소정 영역에 의해 용착한다. 이 용착에 의해 제8 접합부(148)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섬유 집합체(110GF2)를, 접착제 등에 의해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의 제2 시트체(122)에 접합한다. 이 접합에 의해 제9 용착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청소체(104)가 형성된다.
이 제4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4)여도,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측에도 브러시부(1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2 섬유 집합체(110GF2)를,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돌출 영역(112L)과, 저위 영역(162A)과, 유도 영역(162B)과, 저항 영역(162C)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5 변형예)
도 25에 기초하여 제5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5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5)는, 전술한 제1 변형예에서의 청소체(101)에 비해, 기부(120)의 한쪽 면(120C)측뿐만 아니라, 다른쪽 면(120D)측에도 브러시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유지 공간(130)을 형성하는 제1 시트체(121)에, 제2 섬유 집합체(110GF2)가 접합되는 것이다. 제2 섬유 집합체(110GF2)는, 중앙 영역에서 용착된다. 이 중앙 영역에서의 용착 개소는, 제10 접합부(1410)를 형성한다. 이 제10 접합부(1410)를 갖는 제2 섬유 집합체(110GF2)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등에 의해, 유지 공간(130)을 형성하는 제1 시트체(121)에 접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청소체(105)가 형성된다.
이 제5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5)여도,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측에도 브러시부(1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제1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1)보다,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2 섬유 집합체(110GF2)를,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돌출 영역(112L)과, 저위 영역(162A)과, 유도 영역(162B)과, 저항 영역(162C)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6 변형예)
도 26에 기초하여 제6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6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6)는, 전술한 제2 변형예에서의 청소체(102)에 비해, 기부(120)의 한쪽 면(120C)측뿐만 아니라, 다른쪽 면(120D)측에도 브러시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제2 섬유 집합체(110GF2)와, 제6 시트체(126)를 중앙 영역에서 용착하여, 제11 접합부(14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6 시트체(126)에서의 제2 섬유 집합체(110GF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면과, 제4 시트체(124)를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하여, 제12 접합부(141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청소체(106)가 형성된다.
이 제6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6)여도,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측에도 브러시부(1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제2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2)보다,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2 섬유 집합체(110GF2)를,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돌출 영역(112L)과, 저위 영역(162A)과, 유도 영역(162B)과, 저항 영역(162C)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7 변형예)
도 27에 기초하여 제7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7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7)는, 전술한 제3 변형예에서의 청소체(103)에 비해, 기부(120)의 한쪽 면(120C)측뿐만 아니라, 다른쪽 면(120D)측에도 브러시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제2 섬유 집합체(110GF2)와, 제7 시트체(127)를 중앙 영역에서 용착하여, 제13 접합부(1413)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7 시트체(127)에서의 제2 섬유 집합체(110GF2)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면과, 제5 시트체(125)를 접착제 등에 의해 접합하여, 제14 접합부(1414)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청소체(107)가 형성된다.
이 제7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7)여도,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기부(120)의 다른쪽 면(120D)측에도 브러시부(11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제3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3)보다,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제2 섬유 집합체(110GF2)를,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을 갖는 구성으로 하고, 돌출 영역(112L)과, 저위 영역(162A)과, 유도 영역(162B)과, 저항 영역(162C)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8 변형예)
도 28에 기초하여 제8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8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8)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제2 브러시 영역(112)이, 청소체(108)에서의 길이 방향(Y) 상의 단부(108B)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8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8)여도,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제9 변형예)
도 29에 기초하여, 제9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 제9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9)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에 비해, 브러시부(110)와 기부(120)의 길이가 상이한 것이다. 즉, 길이 방향(Y)에서, 브러시부(110) 쪽이 기부(120)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길이 교차 방향(X)에서, 브러시부(110) 쪽이 기부(120)보다 길다. 이러한 구성은, 예컨대 도 21에서 도시한 제1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1)와 같은 구조의 청소체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즉, 브러시부(110)와 유지 공간(130)을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한다. 그 때, 유지 공간(130)을 형성하는 기부(120)의 크기를 임의의 크기로 한다. 그러한 후에, 브러시부(110)와 기부(120)를 접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9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9)가 형성된다.
이 제9 변형예에 관련된 청소체(109)여도, 제1 브러시 영역(111)과, 제2 브러시 영역(11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청소체(100)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1 브러시 영역(111)이, 청소체(109)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9A)에 형성된다. 또한, 제2 브러시 영역(112)이, 청소체(109)에서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9A)에 형성된다. 따라서, 청소체(109)의 길이 교차 방향(X) 상의 단부(109A)를 청소 대상에 접촉시키는 경우에는, 진개의 포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나 각 변형예에 관련된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한층 더 형태를 추가·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내지 실시예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의 대응에 관해)
청소구(A)는,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의 일례이다. 청소체(100, 101, 10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 시트」의 일례이다. 청소체 홀더(200)는, 본 발명에 관련된 「유지구」의 일례이다. 길이 방향(Y)은, 본 발명에 관련된 「길이 방향」의 일례이다. 길이 교차 방향(X)은, 본 발명에 관련된 「길이 교차 방향」의 일례이다. 두께 방향(Z)은, 본 발명에 관련된 「두께 방향」의 일례이다. 청소체 유지부(220)는, 본 발명에 관련된 「유지부」의 일례이다. 핸들부(210)는, 본 발명에 관련된 「파지부」의 일례이다. 단부(100B)는, 본 발명에 관련된 「길이 방향 상의 단부」의 일례이다. 단부(100A)는, 본 발명에 관련된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의 일례이다. 브러시부(110)는, 본 발명에 관련된 「브러시부」의 일례이다. 기부(120)는, 본 발명에 관련된 「기부」의 일례이다. 유지 공간(13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삽입부」의 일례이다. 섬유 배향 방향(110D)은, 본 발명에 관련된 「섬유 배향 방향」의 일례이다. 섬유 집합체(110GF)는, 본 발명에 관련된 「섬유 집합체」의 일례이다. 접촉 영역(16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접촉 영역」의 일례이다. 제1 접촉 영역(16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1 접촉 영역」의 일례이다. 제2 접촉 영역(162)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2 접촉 영역」의 일례이다. 저위 영역(162A)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저위 영역」의 일례이다. 유도 영역(162B)은, 본 발명에 관련된 「유도 영역」의 일례이다. 중앙 접합부(140)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1 섬유 접합부」의 일례이다. 측방 접합부(140A)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2 섬유 접합부」의 일례이다. 접속 단부(110SFA)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접속 단부」의 일례이다. 개방 단부(110SFB)는, 본 발명에 관련된 「개방 단부」의 일례이다. 제3 접촉 영역(163)은, 본 발명에 관련된 「제3 접촉 영역」의 일례이다. 제1 시트(121)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1 시트체」의 일례이다. 제2 시트체(12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2 시트체」의 일례이다. 제3 시트체(123)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3 시트체」의 일례이다. 제4 시트체(124)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4 시트체」의 일례이다. 제5 시트체(125)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5 시트체」의 일례이다. 제6 시트체(126)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제6 시트체」의 일례이다. 한쪽 면(120C)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일방측」의 일례이다. 다른쪽 면(120D)은, 본 발명에 관련된 「타방측」의 일례이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나 각 변형예에 관련된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더 형태를 추가·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발명의 취지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청소구는, 하기의 양태를 구성할 수 있다.
(양태 1)
청소 시트와,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구를 갖는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청소 시트는, 상기 청소 시트에 상기 유지구를 삽입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길이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길이 교차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길이 교차 방향의 쌍방에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구는,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갖고,
상기 청소 시트는, 상기 길이 방향 상의 단부와, 상기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와, 청소 대상을 청소할 수 있게 구성된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가 접속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지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브러시부는, 소정의 섬유 배향 방향을 갖는 복수의 섬유의 집합체인 섬유 집합체와, 상기 청소 대상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과, 접촉 영역에 형성된 제1 접촉 영역과 제2 접촉 영역을 갖고,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1 접촉 영역보다 낮게 형성된 저위 영역을 갖고,
상기 저위 영역은, 인접하는 상기 제1 접촉 영역에 상기 청소 대상의 진개를 유도할 수 있는 유도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양태 2)
양태 1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섬유 배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모든 소정 영역에서 상기 섬유 집합체에서의 섬유끼리를 접합하는 제1 섬유 접합부와, 상기 섬유 배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일부의 소정 영역에서 상기 섬유 집합체에서의 상기 섬유끼리를 접합하는 제2 섬유 접합부를 갖고,
상기 섬유는, 상기 제1 섬유 접합부에 접속된 접속 단부와, 상기 접속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인 개방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 영역은, 상기 제1 섬유 접합부와 상기 섬유의 상기 개방 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제1 섬유 접합부와 상기 제2 섬유 접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3)
양태 2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영역과 상기 섬유의 상기 개방 단부 사이에, 제3 접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4)
양태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의 상기 섬유는, 상기 길이 교차 방향으로 배향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5)
양태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6)
양태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7)
양태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8)
양태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9)
양태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영역과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0)
양태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제1 시트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1)
양태 10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와 중첩되는 제2 시트체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와, 상기 제2 시트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2)
양태 10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3)
양태 10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3 시트체와, 상기 제3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4 시트체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 시트체와, 상기 제4 시트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4)
양태 10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5 시트체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5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5)
양태 1∼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6)
양태 1∼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 및 타방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양태 17)
양태 1∼16에 기재된 청소구에 있어서, 상기 저위 영역(162A)은, 제2 접촉 영역과 제3 접촉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구.
A : 청소 용구(청소구),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청소 시트(청소체), 100A :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 100B : 길이 방향 상의 단부, 100D1 : 외측 방향, 100D2 : 내측 방향, 110 : 브러시부, 110D : 섬유 배향 방향, 110GF : 섬유 집합체, 110GF1 : 제1 섬유 집합체, 110GF1A : 제1 섬유 집합 자재, 110GF1B : 제2 섬유 집합 자재, 110GF2 : 제2 섬유 집합체, 110SF : 섬유, 110SFA : 접속 단부, 110SFB : 개방 단부, 111 : 제1 브러시 영역, 111A :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 111B : 길이 방향 상의 단부, 111D : 제1 브러시 영역 길이, 112 : 제2 브러시 영역, 112A :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 112B : 길이 방향 상의 단부, 112D : 제2 브러시 영역 길이, 112L : 돌출 영역, 120 : 기부, 120A :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 120B : 길이 방향 상의 단부, 120C : 한쪽 면(일방측), 120D : 다른쪽 면(타방측), 121 : 제1 시트체, 1211 : 제1 시트 자재, 121A : 접합 시트 영역, 122 : 제2 시트체, 1221 : 제2 시트 자재, 123 : 제3 시트체, 124 : 제4 시트체, 125 : 제5 시트체, 126 : 제6 시트체, 127 : 제7 시트체, 130 : 유지 공간(삽입부), 131 : 삽입 개구부, 140 : 중앙 접합부(제1 섬유 접합부), 140A : 측방 접합부(제2 섬유 접합부), 140A1 : 접촉 대향측 영역, 140A1P : 높이 측정용 점, 140A1L : 높이 측정용 직선, 140A2 : 접촉측 영역, 141 : 제1 접합부, 142 : 제2 접합부, 143 : 제3 접합부, 144 : 제4 접합부, 145 : 제5 접합부, 146 : 제6 접합부, 147 : 제7 접합부, 148 : 제8 접합부, 149 : 제9 접합부, 1410 : 제10 접합부, 1411 : 제11 접합부, 1412 : 제12 접합부, 1413 : 제13 접합부, 1414 : 제14 접합부, 1415 : 제15 접합부, 1416 : 제16 접합부, 1417 : 제17 접합부, 1418 : 제18 접합부, 150 : 스트립, 151 : 제1 스트립, 152 : 제2 스트립, 160 : 접촉 영역, 161 : 제1 접촉 영역, 161A : 측부 영역, 161Z : 제1 접촉 영역 높이, 162 : 제2 접촉 영역, 162A : 저위 영역, 162B : 유도 영역, 162C : 저항 영역, 162Z : 제2 접촉 영역 높이, 163 : 제3 접촉 영역, 200 : 유지구(청소체 홀더), 210 : 핸들부(파지부), 211 : 핸들, 212 : 핸들 접합부, 220 : 청소체 유지부(유지부), 221 : 유지 부재, 230 : 연접부, 240 : 선단부, 250 : 중간부, 260 : 볼록부, 261 : 제1 볼록부, 262 : 제2 볼록부, 270 : 누름판, M : 기계 방향, R : 지지 롤, S11 : 제1 공정, S12 : 제2 공정, S13 : 제3 공정, S14 : 제4 공정, S15 : 제5 공정, S16 : 제6 공정, Y : 길이 방향, Y1 : 삽입 방향, Y2 : 발출 방향, YCL : 길이 방향 중심선, X : 길이 교차 방향, XCP : 길이 교차 방향 중심점, Z : 두께 방향

Claims (16)

  1. 청소 시트와,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는 유지구를 갖는 청소 용구에 있어서,
    상기 청소 시트는, 상기 청소 시트에 상기 유지구를 삽입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길이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길이 교차 방향과, 상기 길이 방향 및 상기 길이 교차 방향의 쌍방에 교차하는 방향에 의해 규정되는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지구는, 상기 청소 시트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갖고,
    상기 청소 시트는, 상기 길이 방향 상의 단부와, 상기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와, 청소 대상을 청소할 수 있게 구성된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가 접속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지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상기 브러시부는, 섬유 배향 방향을 갖는 복수의 섬유의 집합체인 섬유 집합체와, 상기 청소 대상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과, 접촉 영역에 형성된 제1 접촉 영역과 제2 접촉 영역을 갖고,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제1 접촉 영역보다 낮게 형성된 저위 영역을 갖고,
    상기 저위 영역은, 인접하는 상기 제1 접촉 영역으로 상기 청소 대상의 진개(塵芥)를 유도할 수 있는 유도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섬유 배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모든 소정 영역에서 상기 섬유 집합체에서의 상기 섬유끼리를 접합하는 제1 섬유 접합부와, 상기 섬유 배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일부의 소정 영역에서 상기 섬유 집합체에서의 상기 섬유끼리를 접합하는 제2 섬유 접합부를 갖고,
    상기 섬유는, 상기 제1 섬유 접합부에 접속된 접속 단부와, 상기 접속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인 개방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 영역은, 상기 제1 섬유 접합부와 상기 섬유의 상기 개방 단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제1 섬유 접합부와 상기 제2 섬유 접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영역과 상기 섬유의 상기 개방 단부 사이에, 제3 접촉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집합체의 상기 섬유는, 상기 길이 교차 방향으로 배향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상기 길이 교차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영역과 상기 제2 접촉 영역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제1 시트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와 중첩되는 제2 시트체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와 상기 제2 시트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3 시트체와, 상기 제3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4 시트체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 시트체와 상기 제4 시트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체에 중첩되는 제5 시트체를 갖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5 시트체에서의 소정의 면끼리를 접촉시켜 접합 시트 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접합 시트 영역에서의 상기 소정의 면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기부의 일방측 및 상기 일방측과 대향하는 측인 타방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 용구.
KR1020157018289A 2013-02-07 2014-01-24 청소 용구 KR20150116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2758A JP6208949B2 (ja) 2013-02-07 2013-02-07 清掃具
JPJP-P-2013-022758 2013-02-07
PCT/JP2014/051586 WO2014123011A1 (ja) 2013-02-07 2014-01-24 清掃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819A true KR20150116819A (ko) 2015-10-16

Family

ID=5129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289A KR20150116819A (ko) 2013-02-07 2014-01-24 청소 용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38262B2 (ko)
EP (1) EP2954821B1 (ko)
JP (1) JP6208949B2 (ko)
KR (1) KR20150116819A (ko)
CN (1) CN104968249B (ko)
MY (1) MY183626A (ko)
TW (1) TWI612930B (ko)
WO (1) WO20141230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8750A1 (ja) * 2018-04-10 2019-10-17 山田菊夫 清掃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7455A (ja) 1997-05-23 2001-12-25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掃除シートとして有用な構造体
US6180214B1 (en) * 1998-01-26 2001-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iping article which exhibits differential wet extensibility characteristics
ATE521270T1 (de) * 2000-07-10 2011-09-15 Uni Charm Corp Gegenstand zum reinigen
IL152340A (en) * 2001-02-23 2007-12-03 Yoshinori Tanaka Cleaning accessory
JP3917565B2 (ja) * 2003-07-15 2007-05-23 山崎産業株式会社 シート状拭材及びその関連技術
US7299518B1 (en) * 2003-11-20 2007-11-27 Paulson Jerome I Vacuum cleaner with magnetic flux field
JP4785369B2 (ja) 2004-11-16 2011-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
JP4495171B2 (ja) * 2004-12-27 2010-06-30 山田 千代恵 清掃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76235B2 (en) * 2005-01-28 2011-07-1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kit including duster and spray
JP4675218B2 (ja) * 2005-11-15 2011-04-20 花王株式会社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37566A (ja) 2005-11-16 2007-06-07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JP4738311B2 (ja) * 2006-06-01 2011-08-03 花王株式会社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6042276A1 (de) * 2006-09-08 2008-03-27 Carl Freudenberg Kg Wischbezug
JP4823105B2 (ja) * 2007-03-05 2011-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及び清掃体
US8650727B2 (en) * 2008-05-27 2014-02-18 Kao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cleaning sheet
JP3148559U (ja) * 2008-12-05 2009-02-19 憲子 藤巻 埃取り掃除具
KR101314285B1 (ko) * 2009-02-13 2013-10-02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청소용 시트
JP5427628B2 (ja) * 2010-02-03 2014-0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体
JP5685093B2 (ja) * 2011-01-20 2015-03-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清掃用物品
TWM433846U (en) 2012-02-22 2012-07-21 Beautistyle Internat Corp Multifunctional cleaning apparatus
JP6228366B2 (ja) * 2013-02-07 2017-1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具
JP6514863B2 (ja) * 2014-08-08 2019-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シートおよび清掃用具
US20180042440A1 (en) * 2015-03-12 2018-02-15 Uni-Charm Corporation Cleaning sheet and clean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68249A (zh) 2015-10-07
JP2014150971A (ja) 2014-08-25
US20150366427A1 (en) 2015-12-24
EP2954821A4 (en) 2016-10-19
EP2954821A1 (en) 2015-12-16
TW201507679A (zh) 2015-03-01
US10238262B2 (en) 2019-03-26
WO2014123011A1 (ja) 2014-08-14
MY183626A (en) 2021-03-03
TWI612930B (zh) 2018-02-01
CN104968249B (zh) 2017-03-15
EP2954821B1 (en) 2021-09-01
JP6208949B2 (ja) 201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3980B2 (ja) 清掃具
TWI618520B (zh) 清掃具
US9668632B2 (en) Cleaning tool
KR20150116819A (ko) 청소 용구
JP6126398B2 (ja) 清掃具
JP6239828B2 (ja) 清掃具
JP6126399B2 (ja) 清掃具および清掃シートの製造方法
JP6346586B2 (ja) 清掃具
JP6195863B2 (ja) 清掃具の製造方法および清掃シートの製造方法
JP5973930B2 (ja) 清掃具
JP5968245B2 (ja) 清掃具および清掃シートの製造方法
TWI616176B (zh) 清掃具
JP2014150965A5 (ko)
WO2014122963A1 (ja) 清掃具
JP201415096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