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640A -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640A
KR20150116640A KR1020140041762A KR20140041762A KR20150116640A KR 20150116640 A KR20150116640 A KR 20150116640A KR 1020140041762 A KR1020140041762 A KR 1020140041762A KR 20140041762 A KR20140041762 A KR 20140041762A KR 20150116640 A KR20150116640 A KR 20150116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hargeable battery
cover
charging
battery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508B1 (ko
Inventor
엄영준
전재한
Original Assignee
엄영준
전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준, 전재한 filed Critical 엄영준
Priority to KR102014004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50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01M13/003Enclosures for fumigation, e.g. containers, bag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케이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와 분리ㆍ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측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삽입ㆍ장착되는 훈증매트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배터리를 가지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AC전원 또는 일회용 배터리를 단일의 공급 전원으로 사용하던 종래기술과 달리, 케이싱 일측에 충전식배터리와 상기 충전식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AC충전기 및 충전잭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AC충전기를 통하여 충전과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사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APPARATUS FOR HEATING ELECTRONIC MOSQUITO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모기향 훈증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식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AC충전기에 연결하여 충전과 사용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패널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야외에서 태양광에 의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발열부에 세라믹히터를 적용함으로써, 훈증메트에 대한 열전도율을 높힘과 동시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용성을 극대화시키고, 디스플레이패널을 활용하여 배터리 잔량과 훈증메트 교체시기의 표시는 물론, 타이머 설정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타이머 작동을 구현함으로써, 안전성까지도 제고시킬 수 있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모기향 훈증기는 매트형의 고체모기약이나 용기에 장입된 액체모기약이 전기통전에 의한 전열히터의 일정 전열에 의해 가열되어 휘산되면서 주변의 모기가 퇴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전자모기향 훈증기는 매트형의 고체모기약을 사용하는 경우에 날마다 고체모기약을 교환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는 데 반해, 액체모기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체모기약이 모기약용기에 장입된 상태로 가열휘산되면서 보관될 수 있으므로 날마다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장기간의 사용이 가능하면서 휘산 효율도 매우 양호하다는 장점이 있어 점차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액체전자모기향 훈증기는 매트형 전자모기향의 경우와 같이 바닥에 놓아 사용되는 스탠드형과 함께 벽면의 콘센트에 접속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벽걸이형이 있으며, 벽걸이형의 경우에는 몸체 일측에 설치돌출된 플러그를 벽면의 콘센트에 바로 끼워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어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스텐드형에 비해 외관미가 좋고 취급이 다소 간단하다는 이점은 있으나, 설치위치가 벽면상의 콘센트 부위로 극히 한정된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정말 필요한 장소에 두고 사용하기에 구조적으로 제약이 있다는 불편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9904호에서는, "전열히터(30)에 의해 가열되면서 휘산되는 액체모기약이 장입된 모기약용기(300)를 몸체 상단에 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장소에 관계없이 상기 모기약용기(300)가 항상 수직방향을 유지하면서 상기 모기약용기(300)에 장입된 액체모기약이 구조적으로 양호하게 휘산될 수 있도록 하고자, 상기 몸체의 상부구조인 스탠드(20) 상측의 전방 및 상방이 개구되어 내측 양쪽에 결합돌기(23)가 돌출형성되면서 상기 스탠드(20)의 전방부위(24)는 후방만곡되고, 아울러 케이스(200)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결합구(50) 양측에 상기 스탠드의 결합돌기(23)와 안내이동가능하게 끼움조립되는 장공형태의 안내홈(51)이 요홈형성되면서 후방만곡된 상기 스탠드(20)의 전방부위(24)에 누름삽입되어 밀착고정되는 삽입단턱(52)이 상기 결합구(5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케이스(200)에는 모기약용기(300)를 일정온도로 가열휘산시키는 전열히터(30)가 내장되면서 그 상측과 하측에 각각 통기공(41)(42)이 관통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몸체의 하부구조인 상부베이스(15)와 결합고정되어 코드인출공(14)을 통해 전원코드(12)가 인입출되는 하부베이스(10)의 저부 일측에 걸이홈(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전자모기향 훈증기"가 제안되었다.
그리고, 전자모기향 훈증기는 110V 또는 22V의 AC전원으로 전열판을 가열시켜 전자모기향(매트)이 훈증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그 사용처가 110V 또는 22V의 AC전원이 공급되는 가정 등에 한전되어 AC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야외에서는 그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5536호에서는, "케이스(3)의 내측 바닥에 기판(5)이 배치되고, 상기 기판(5)의 상부에 파워 트랜지스터(TR1)가 배치되며, 상기 파워 트랜지스터(TR1)의 상부면에 전자 모기향 매트(25)가 놓여지는 전열판(7)이 배치되고, 상기 전열판(7) 상부에 전자 모기향 매트를 고정하기 위한 그릴(9)이 케이스(3)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 후면벽에 리프 스위치(SW1)가 구비되어 전자 모기향 매트(25)에 전열판에 배치될 때 상기 전자 모기향 매트(25)에 의해 턴온되고, 상기 케이스(3)의 측면에는 커넥터(11)가 구비되어, 가요성관(13)을 가진 커넥터 잭(15)에 의해 배터리 수납 케이스(21)에 내장된 배터리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도 불구하고, 실용성을 극대화시키고, 야외에서 태양광에 의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까지도 제고시킬 수 있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9904호(1999년11월23일 등록)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5536호(2002년05월01일 등록)
본 발명은, 실용성을 극대화시키고, 야외에서 태양광에 의하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까지도 제고시킬 수 있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케이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와 분리ㆍ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측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삽입ㆍ장착되는 훈증매트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배터리를 가지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는, 상기 케이싱 일측에 구비되는 충전잭레셉터클; 및 상기 충전잭레셉터클에 탈착ㆍ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잭에는 AC충전기 또는 태양전지패널 둘 중의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부는 세라믹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히터로부터 훈증매트에 열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 일측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이 장착되며, 상기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 일측에는 커버가 회동되어 개폐ㆍ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부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결합홈에 안착되면서, 동시에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결합홈에 훈증매트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결합홈에 훈증매트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닫힘에 따라, 상기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이 카운트되고, 카운트되는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이, 설정된 범위 이내로 줄어드는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하다는 '잔량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운용방법은, 충전식배터리에 전원이 충전되는 단계; 커버가 열린상태에서 훈증메트가 장착된 후, 상기 커버가 닫히는 단계; 전원스위치가 온(ON)되는 단계;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카운트되는 단계; 카운트된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단계;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소진됨에 따라, AC충전기 또는 태양전지패널을 통하여 상기 충전식배터리가 충전되는 단계; 및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사용이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운트된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설정된 범위 이내로 줄어드는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하다는 '잔량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가 닫힘에 따라 타이머가 작동되어,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카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AC전원 또는 일회용 배터리를 단일의 공급 전원으로 사용하던 종래기술과 달리, 케이싱 일측에 충전식배터리와 상기 충전식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AC충전기 및 충전잭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AC충전기를 통하여 충전과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사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케이싱 일측에 충전잭레셉터클을 구비하고, 상기 충전잭레셉터클에 결합되는 충전잭에 태양전지패널이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야외에서 태양광에 의하여 충전과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케이싱 일측에 구비되는 발열부에 세라믹히터를 적용함으로써, 훈증매트에 대한 열전도율을 높힘과 동시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실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케이싱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활용하여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 잔량과 훈증매트의 교체시기 표시는 물론, 타이머 설정에 따른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타이머 작동을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까지도 제고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에 있어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에 있어서, 전원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주요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에 있어서, 각 모드별 충전방법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8a는 외부 AC전원을 이용하는 경우이고, 도 8b는 외부 태양광발전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주요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 도 3,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10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케이스(112),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12)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11)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1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110) 내측에는 발열부(120), 베이스부재(130). 회로기판(144), 그리고 충전식배터리(141)을 포함하는 전원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110) 일측에는 전원스위치(142), 충전잭레셉터클(145)이 구비되며, 상기 충전잭레셉터클(145)에는 충전잭(143)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충전잭(143)에는 AC충전기(C) 또는 태양전지패널(S)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 2, 도 3,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구성요소 및 이들간의 결합관계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이하에서 좀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10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케이스(112),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12)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11)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10); 상기 케이싱(110) 내측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삽입ㆍ장착되는 훈증매트(M)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120); 상기 발열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배터리(141)를 가지는 전원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10) 일측에 구비되는 충전잭레셉터클(145); 및 상기 충전잭레셉터클(145)에 탈착ㆍ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잭(14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잭(143)에는 AC충전기(C) 또는 태양전지패널(S) 둘 중의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열부(120)는 세라믹히터(123)를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히터(123)로부터 훈증매트(M)에 열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0) 일측에는 디스플레이패널(150)이 장착되며, 상기 충전식배터리(141)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5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111) 일측에는 커버(113)가 회동되어 개폐ㆍ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커버(113)는 상부케이스(111)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결합홈(111b)에 안착되면서, 동시에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커버결합홈(111b)에 훈증매트(M)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커버(113)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커버결합홈(111b)에 훈증매트(M)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커버(113)가 닫힘에 따라, 상기 충전식배터리(141)의 배터리 잔량이 카운트되고, 카운트되는 충전식배터리(141)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50)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식배터리(141)의 배터리 잔량이, 설정된 범위 이내로 줄어드는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하다는 '잔량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된다.
또한, 미설명부호 플레이트커버(121)와 히팅플레이트(122)는 상기 세라믹히터(123)와 함께 발열부(120)를 구성하고, 베이스부재(130)는 상부베이스(131)와 하부베이스(1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에 있어서,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3)의 일측에 구비되는 케이스결합돌기(113a)가 상부케이스(111)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결합홈(111b)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안착홈(111a) 상측면에 훈증매트(M)가 놓여지고, 전원스위치(142)가 온(ON)됨에 따라, 상기 세라믹히터(123)가 발열됨에 따라, 상기 훈증매트(M)에 포함되어 있는 약제가 커버(113) 일측에 관통구비되는 다수개의 통풍구(113b)를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어, 전자모기향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12) 일측 전방에는 전면보호패널(114)가 장착되어 있어,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LCD 액정과 같은 디스플레이패널(150)의 전면부를 보호하게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에 있어서, 전원부를 중심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에 있어서, 각 모드별 충전방법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 8a는 외부 AC전원을 이용하는 경우이고, 도 8b는 외부 태양광발전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40)는, 충전식배터리(141), 전원스위치(142), 충전잭(143), 회로기판(144), 그리고 충전잭레셉터클(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잭레셉터클(145)에는 충전잭(143)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충전기(C)를 통하여 충전과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사용을 동시에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충전잭레셉터클(145)에 결합되는 충전잭(143)에 태양전지패널(S)이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야외에서 태양광에 의하여 충전과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100)는, 상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2)로 구성되는 케이싱(110) 내측에는 세라믹히터(123), 타이머(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는 회로기판(144), 디스플레이패널(150), 그리고 충전식배터리(141)를 배치시키고, AC충전기(C) 또는 태양전지패널(S)이 연결되는 충전잭(143)이 충전잭레셉터클(145)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충전식배터리(141)가 충전되고, 전원스위치(142)가 온(ON)됨에 따라 상기 세라믹히터(123)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하여 상부케이스(111) 일측에 장착된 훈증매트(M)가 발열되어 전자모기향 훈증기 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커버(113)가 개폐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별도의 감지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커버(113)가 닫힘에 따라 타이머가 작동되어, 충전식배터리(141)의 배터리잔량이 카운트된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운용방법은, 충전식베터리(141)에 전원이 충전되는 단계(S110); 커버(113)가 열린상태에서 훈증메트(M)가 장착된 후, 상기 커버(113)가 닫히는 단계(S120); 전원스위치(142)가 온(ON)되는 단계(S130); 충전식배터리(141)의 배터리잔량이 카운트되는 단계(S140); 카운트된 충전식배터리(141)의 배터리잔량이 디스플레이패널(150)에 표시되는 단계(S150); 충전식배터리(141)의 배터리잔량이 소진됨에 따라, AC충전기(C) 또는 태양전지패널(S)을 통하여 충전식배터리(141)가 충전되는 단계(S160); 및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사용이 종료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운용방법은, 카운트된 충전식배터리(141)의 배터리잔량이 설정된 범위 이내로 줄어드는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하다는 '잔량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패널(150)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운용방법은, 상기 커버(113)가 닫힘에 따라 타이머가 작동되어, 충전식배터리(141)의 배터리잔량이 카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AC전원 또는 일회용 배터리를 단일의 공급 전원으로 사용하던 종래기술과 달리, 케이싱(110) 일측에 충전식배터리(141)와 상기 충전식배터리(14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AC충전기(C) 및 충전잭(143)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AC충전기(C)를 통하여 충전과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사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케이싱(110) 일측에 충전잭레셉터클(145)을 구비하고, 상기 충전잭레셉터클(145)에 결합되는 충전잭(143)에 태양전지패널(S)이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야외에서 태양광에 의하여 충전과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케이싱(110) 일측에 구비되는 발열부(120)에 세라믹히터(123)를 적용함으로써, 훈증매트(M)에 대한 열전도율을 높힘과 동시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실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에 따르면, 케이싱(110)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패널(150)을 활용하여 충전식배터리(141)의 배터리 잔량과 훈증매트(M)의 교체시기 표시는 물론, 타이머 설정에 따른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타이머 작동을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100)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까지도 제고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
110 : 케이싱 111 : 상부케이스
111a : 커버안착홈 111b : 커버결합홈
112 : 하부케이스 113 : 커버
113a : 케이스결합돌기 113b : 통풍구
114 : 전면보호패널 120 : 발열부
121 : 플레이트커버 122 : 히팅플레이트
123 : 세라믹히터 130 : 베이스부재
131 : 상부베이스 132 : 하부베이스
140 : 전원부 141 : 충전식배터리
142 : 전원스위치 143 : 충전잭
144 : 회로기판 145 : 충전잭레셉터클
150 ; 디스플레이패널 C : AC충전기
M : 훈증매트 S : 태양전지패널

Claims (12)

  1.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케이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와 분리ㆍ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측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삽입ㆍ장착되는 훈증매트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배터리를 가지는 전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일측에 구비되는 충전잭레셉터클; 및
    상기 충전잭레셉터클에 탈착ㆍ가능하게 결합되는 충전잭;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잭에는 AC충전기 또는 태양전지패널 둘 중의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세라믹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히터로부터 훈증매트에 열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일측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이 장착되며,
    상기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을 구성하는 상부케이스 일측에는 커버가 회동되어 개폐ㆍ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부케이스 일측에 구비되는 커버결합홈에 안착되면서, 동시에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결합홈에 훈증매트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결합홈에 훈증매트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닫힘에 따라, 상기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이 카운트되고, 카운트되는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 잔량이, 설정된 범위 이내로 줄어드는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하다는 '잔량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
  10. 충전식배터리에 전원이 충전되는 단계;
    커버가 열린상태에서 훈증메트가 장착된 후, 상기 커버가 닫히는 단계;
    전원스위치가 온(ON)되는 단계;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카운트되는 단계;
    카운트된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단계;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소진됨에 따라, AC충전기 또는 태양전지패널을 통하여 상기 충전식배터리가 충전되는 단계; 및
    본 발명의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사용이 종료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운용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카운트된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설정된 범위 이내로 줄어드는 경우에는, 충전이 필요하다는 '잔량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운용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닫힘에 따라 타이머가 작동되어, 충전식배터리의 배터리잔량이 카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모기향 훈증기의 운용방법.
KR1020140041762A 2014-04-08 2014-04-08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 KR101597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762A KR101597508B1 (ko) 2014-04-08 2014-04-08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762A KR101597508B1 (ko) 2014-04-08 2014-04-08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640A true KR20150116640A (ko) 2015-10-16
KR101597508B1 KR101597508B1 (ko) 2016-02-25

Family

ID=5436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762A KR101597508B1 (ko) 2014-04-08 2014-04-08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4553A (ko) * 2017-07-04 2019-01-14 황설리 집게형 훈증기
KR20200093834A (ko) 2019-01-29 2020-08-06 한규수 와류연소형 모기향 연소농도 조절 확산기
KR20200094010A (ko) 2019-01-29 2020-08-06 한규수 와류연소형 모기향 연소농도 조절 확산기
KR20200093841A (ko) 2019-01-29 2020-08-06 한규수 모기향 와류연소형 농도조절 확산기
KR20200093890A (ko) 2019-01-29 2020-08-06 한규수 와류연소형 모기향 연소농도 조절 확산기
KR20200093810A (ko) 2019-01-29 2020-08-06 한규수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희석 확산기
KR20200093822A (ko) 2019-01-29 2020-08-06 한규수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KR20200103427A (ko) 2019-02-25 2020-09-02 한규수 와류연소형 모기향 연소농도 조절 확산기
KR20200103371A (ko) 2019-02-25 2020-09-02 한규수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KR102542517B1 (ko) * 2021-08-10 2023-06-12 주식회사 허브야 향 농도를 선택 사용 가능한 방향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890A (ja) * 2000-07-11 2002-01-29 Satoshi Fukada 交直流両用携帯電気蚊取り器
JP2004187651A (ja) * 2002-02-22 2004-07-08 Dainippon Jochugiku Co Ltd 薬剤揮散装置
KR100874095B1 (ko) * 2007-06-08 2008-12-16 정경희 휴대용 모기향 훈증기
KR20110083330A (ko) *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휴대용 전기 가열식 훈증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890A (ja) * 2000-07-11 2002-01-29 Satoshi Fukada 交直流両用携帯電気蚊取り器
JP2004187651A (ja) * 2002-02-22 2004-07-08 Dainippon Jochugiku Co Ltd 薬剤揮散装置
KR100874095B1 (ko) * 2007-06-08 2008-12-16 정경희 휴대용 모기향 훈증기
KR20110083330A (ko) *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휴대용 전기 가열식 훈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508B1 (ko)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508B1 (ko)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
ES2334067T3 (es) Aparato de cocina de gas.
WO2010105463A1 (zh) 一种长时工作发热鞋
KR100760218B1 (ko) 충전 가능한 전기 손난로 및 이동형 보조전원의 기능을갖는 전기 손난로
JP2015008617A (ja) ガス器具
KR101825433B1 (ko)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손난로
KR20110083330A (ko) 휴대용 전기 가열식 훈증기
WO2023280167A1 (zh) 双面双向加热驱蚊装置
CN105918295A (zh) 智能移动电蚊香
KR20160001966U (ko) 충전기능을 갖는 모기 매트 훈증기
CN206836028U (zh) 一种便携式可充电电蚊香
CN108433192A (zh) 一种电子烟
US20150245415A1 (en) Foot warmer and assembling foot warmer system
CN217591881U (zh) 电加热可充电驱蚊装置
KR20120031567A (ko) 전립봉
KR100960593B1 (ko) 휴대용 온풍난로
JP2017519645A (ja) 加熱可能なピンセットおよびこのピンセットの充電装置
CN211485211U (zh) 一种具有补水、充电及氛围灯功能的暖手宝
US20130008882A1 (en) Mouse warmer
CN211797166U (zh) 一种多功能暖手宝
CN209899234U (zh) 一种小型便携式湿纸巾加热器
RU197847U1 (ru) Чехол для защиты мобильной электроники от пониженных температур
CN217306780U (zh) 干烧雾化装置
CN212662327U (zh) 充电式便携挥发器
CN211157523U (zh) 一种便携式陶瓷香薰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