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3822A -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 Google Patents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3822A
KR20200093822A KR1020190011016A KR20190011016A KR20200093822A KR 20200093822 A KR20200093822 A KR 20200093822A KR 1020190011016 A KR1020190011016 A KR 1020190011016A KR 20190011016 A KR20190011016 A KR 20190011016A KR 20200093822 A KR20200093822 A KR 20200093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vortex
unit
mosquito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수
Original Assignee
한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규수 filed Critical 한규수
Priority to KR102019001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3822A/ko
Publication of KR2020009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61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 A01M1/207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using a heat source combined with a fa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3/00Fumigators; Apparatus for distributing gases
    • A01M13/003Enclosures for fumigation, e.g. containers, bags or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통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복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면에는 코일형 모기향이 고정되고 상면은 개방된 원통체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는 중심에서 테두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면와류흡입구가 방사형으로 복수 형성되고, 이들 각 하면와류흡입구의 각 일단에는 내부 중심을 향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하면 와류날개가 돌출 형성된 연소유닛;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전,후면이 개방된 관 형상의 부재로, 일측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작용을 하는 송풍유닛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확장되는 확관부가 구비된 배기유닛; 상기 배기유닛의 일단 외주면을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모기향 연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유입된 모기향 연기가 상기 배기유닛의 내부로 기압차에 의해 빨려 들어갈 수 있게 하는 복수의 노즐이 마련된 희석챔버; 상기 연결관의 측부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밸브관 및 이 밸브관에 설치되어 회전 조작을 받아 통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회전 조절판을 구비한 농도조절유닛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모기향의 연소를 위한 공기의 흡입시 와류를 일으킬 수 있도록 유도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간소한 조작만으로도 외부 공기와 연소된 모기향 연기를 혼합하여 연소가스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모기 분포도에 따라 적절한 연소가스의 농도 선택을 통해 안전한 사용환경의 조성과 모기의 방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즉, 연소된 모기향은 기압차에 의해 배기유닛의 내부로 유도되어 외부 공기와 혼합시킴으로써 모기향 연기속에 포함된 화학성분의 농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는 연소유닛과 배기유닛의 중간부분에 위치한 조절손잡이를 회전 조작하는 간소한 조작만으로 외부의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환경에 맞게 연소가스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결과적으로 모기향 연기에 포함된 인체에 해로운 성분을 최소화하여 과도한 노출로 인한 폐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송풍유닛을 이용한 비교적 넓은 공간에 대한 균일한 농도의 모기향 연기를 확산 분포시킬 수 있으므로 모기 퇴치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Mosquito-Repellent Combustion diffuser}
본 발명은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기향의 연소를 위한 공기의 흡입시 와류를 일으킬 수 있도록 유도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고, 아울러 사용자의 간소한 조작만으로도 외부 공기와 연소된 모기향 연기를 혼합하여 연소가스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모기 분포도에 따라 적절한 연소가스의 농도 선택을 통해 안전한 사용환경의 조성과 모기의 방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인한 온실효과와 기후 변화 그리고 친환경 정책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기온과 환경이 따뜻하고 온화하게 변함에 따라 최근 들어서는 이른 봄을 시작으로 겨울까지 모기가 출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사람들의 생활방식이 도시화되고 밀집화되면서 온수 탱크같은 저수시설과 지하 주차장의 배수구처럼 겨울에도 외부에 비해 기온이 따뜻하고 얼지 않는 '물웅덩이'가 유지됨에 따라 이곳에서 성충 상태로 겨울을 나는 모기들도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본뇌염을 옮기는 빨간집 모기의 경우 국내에서 지난 2000년에는 5월 초에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나, 2013년에는 4월 중순에 최초 발견이 보고되었을 정도로 출현시기가 앞당겨지고 있고, 심지어 추위가 한창인 12월에도 모기가 관찰되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최근 모기의 출현시기는 더 빠르고 더 길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모기는 주로 인적이 드문 산이나 강 또는 개천 주변 등의 야외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으며, 가축이나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은 물론이고 말라리아, 뎅기열, 일본뇌염 지카 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감염병의 매개체인 만큼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소득수준의 향상과 주5일제 정착의 영향으로 캠핑이나 낚시를 비롯한 다양한 야외 레저 활동을 즐기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으며, 일례로 캠핑 인구의 경우 2018년도 약 600만명으로 집계되었고, 낚시 인구의 경우에는 2018년도 약 700만명으로 집계되었고, 이러한 레저활동 인구의 증가에 따라 모기로 인한 피해를 입는 사람들 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모기 살충 관련 제품이 상품호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대표적인 모기 살충 방법으로는 크게 살충제를 직접 공기 중에 분사하거나 모기향을 연소시키는 화학적 방제법과, 미꾸라지 등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법 그리고 유인제나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모기를 유인하여 고전압에 의한 쇼크로 살충시키거나 흡입팬으로 흡입하여 포집시키는 물리적 방제법, 끝으로 물웅덩이를 없애거나 모기의 유충이 살 수 없도록 주위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적 방제법 등이 있다.
이러한 살충 방법 중 캠핑이나 낚시 등과 같은 야외 활동시에는 즉시 방제가 가능한 화학적 방제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에어로졸식 살충제를 활동 공간 주변에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살포하거나 또는 코일형 모기향을 여러 개 피워 놓고 있는 실정이나, 에어로졸식 살충제의 경우 지속시간이 짧고 제한적이어서 반복하여 살포하여야 하므로 자칫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안전상의 폐해가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코일형 모기향의 경우 폐쇄된 공간이나 실내에서는 비교적 방제효과가 우수하나 야외의 경우 연기가 활동 공간내에 머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연소 농도 역시 균일하지 못함에 따라 그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으나, 액상 살충제에 비하여 모기향의 사용이 간편하고 지속시간이 길고 경제적이어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코일형 모기향은 모기향 받침대에 꽂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불을 붙임으로써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훈연식으로 예전에는 제충국을 주원료로 사용하였으나 근래에는 모기의 신경을 마비시켜 죽게 만드는 에어로졸식 살충제 성분과 동일한 디 시스-트랜스 알레트린을 사용하며, 이런 독성성분은 독성성분은 연기에 섞여 있으므로 신경독이 작용하기 전에 모기가 도망칠 시간이 충분하므로, 결과적으로 밀폐된 공간이 아니라면 모기를 살충시키는 용도보다는 기피 용도로 작용한다.
코일형 모기향 한 개를 실내에서 다 태웠을 경우 담배 75~137개비를 피웠을 때 발생하는 것과 같은 양의 ‘미세분진’과 51개비 담배 분량의 ‘포름알데하이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모기향이 꺼지지 않고 오랫동안 탈 수 있도록 첨가된 보조 성분들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매우 자극적이고 인간에게 여러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기향 근처에 있는 사람은 ‘비스클로로메틸에테르(BCME)’라는 매우 강력한 폐암 유발물질에 노출되는 것과 같은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모기향 연소과정에서 배출된 미세분진(PM2.5)은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침투하여 단기적으로는 천식 등의 호흡기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암 발생 가능성을 높이며, 포름알데히드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발암성 물질로 분류돼 있어,최근에는 밀폐된 장소나 임산부, 유아나 노약자가 있는 경우에는 모기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부득이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기에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한편, 모기향은 실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독성 물질 노출에 의한 폐해를 줄일 수는 있으나 모기향의 연기가 사용자의 활동 공간 주변으로 균일하게 확산 분포되지 못하고 공기의 흐름에 의해 쉽게 흩어지거나 엉뚱한 방향으로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모기를 퇴치하는데 그 효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폐단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많은 양의 모기향을 피워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모기향에 포함된 화학 성분에 과도하게 노출될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이외에도 화재 발생의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677호를 통해 ‘모기향 연소케이스’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청구항 1에는 ‘상부가 개방되며, 모기향을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바닥면에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용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며, 배연공이 형성되는 케이스덮개; 상기 케이스덮개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케이스덮개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연공으로 외부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갓; 및 상기 수용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어 안착된 모기향을 탄성적으로 하향 가압하여 모기향을 거치시키는 탄성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향 연소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9768호를 통해 ‘모기향 케이스에 있어서, 모기향을 고정시키는 향고정침이 형성된 베이스; 모기향 연기가 배출되는 배출공과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공기유입공의 개방영역을 조절가능하게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모기향의 연소 속도를 조절하는 공기량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모기향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모기향 케이스는 자연 연소되는 모기향의 통로를 조절하여 연소속도를 조절하는 구성이나, 연소 농도의 조절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활동공간에 균일하게 확산 분포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5677호, '모기향 연소케이스' 공개특허 제10-2012-0019768호, '연소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기향 케이스' 등록특허 제10-1187825호, '모기향 연소기' 등록특허 제10-1597508호,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기향의 연소를 위한 연소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하여 연소효율을 높임과 아울러 사용자의 간소한 조작만으로도 외부 공기와 연소된 모기향 연기를 혼합하여 희석시킴으로써 연소가스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게 하여 주변 환경의 모기 분포도에 따라 적절한 연소가스의 농도를 선택할 수 있는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모기향 연기에 포함된 화학성분으로 인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사용과 모기퇴치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희석 확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통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복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면에는 코일형 모기향이 고정되고 상면은 개방된 원통체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는 중심에서 테두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면와류흡입구가 방사형으로 복수 형성되고, 이들 각 하면와류흡입구의 각 일단에는 내부 중심을 향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하면 와류날개가 돌출 형성된 연소유닛;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전,후면이 개방된 관 형상의 부재로, 일측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작용을 하는 송풍유닛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확장되는 확관부가 구비된 배기유닛; 상기 배기유닛의 일단 외주면을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모기향 연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유입된 모기향 연기가 상기 배기유닛의 내부로 기압차에 의해 빨려 들어갈 수 있게 하는 복수의 노즐이 마련된 희석챔버; 상기 연결관의 측부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밸브관 및 이 밸브관에 설치되어 회전 조작을 받아 통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회전 조절판을 구비한 농도조절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면이 개폐 커버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연소유닛이 설치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본체케이스 및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반출창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유닛은 상면이 개방된 연소케이스 및 이 연소케이스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반출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차폐판부 및 이 차폐판부의 외측 일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모기향 꽂이는 자석을 구비하여 금속재로 된 연소케이스에 자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연소유닛은 내부 중심에 모기향이 안착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연소케이스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측면흡입구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연소케이스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측면와류흡입구 및 이 측면와류흡입구의 각 일단에 마련되어 내부 중심을 향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와류날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희석 확산기는 모기향의 연소를 위한 공기의 흡입시 와류를 일으킬 수 있도록 유도하여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간소한 조작만으로도 외부 공기와 연소된 모기향 연기를 혼합하여 연소가스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의 모기 분포도에 따라 적절한 연소가스의 농도 선택을 통해 안전한 사용환경의 조성과 모기의 방충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즉, 연소된 모기향은 기압차에 의해 배기유닛의 내부로 유도되어 외부 공기와 혼합시킴으로써 모기향 연기속에 포함된 화학성분의 농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는 연소유닛과 배기유닛의 중간부분에 위치한 조절손잡이를 회전 조작하는 간소한 조작만으로 외부의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환경에 맞게 연소가스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결과적으로 모기향 연기에 포함된 인체에 해로운 성분을 최소화하여 과도한 노출로 인한 폐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송풍유닛을 이용한 비교적 넓은 공간에 대한 균일한 농도의 모기향 연기를 확산 분포시킬 수 있으므로 모기 퇴치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를 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의 본체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의 배기유닛을 나타낸 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에서 배기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의 연소유닛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0의 다른 여러 실시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를 정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내부에 모기향을 연소시키기 위한 공간인 연소유닛(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미도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의 지지다리(13)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고 일측면에는 반출창(10w)이 구비된 본체유닛(10)과, 이 본체유닛(10)의 상부에 가로로 배치되는 원통형의 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전면에는 연소된 모기향 연기와 외부 공기를 혼합하여 희석된 저농도의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확관부(32)가 연결된 하우징(31) 및 희석챔버(33)로 이루어진 배기유닛(30)과, 본체유닛(10)과 배기유닛(30)을 연결하는 연결관(17) 사이에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받아 외부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요소인 농도조절유닛(40)으로 이루어진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희석 확산기(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를 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내부에 모기향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실을 구비한 것으로 복수개의 다리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내부에 연소유닛(미도시)이 구비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일측면에 연소유닛(20)의 반출과 반입을 위한 반출창(10w)이 마련된 본체유닛(10)과, 이 본체유닛(10)의 상부 중심에 내부의 수용공간(미도시)과 연결되는 연결관(17)과, 이 연결관(17)의 상부에 가로로 배치되는 전,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배기유닛(30)과, 상기 배기유닛(30) 후단측에 설치되어 송풍작용을 하는 팬모터(5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확관부(32)측으로 송풍을 하는 송풍유닛(50)과, 상기 배기유닛(30)의 일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결관(17)과 연결되어 수용공간(10s) 내부에 구비되는 연소유닛(미도시)에서 연소된 모기향 연기를 상기 배기유닛(30)의 내부로 안내하는 희석챔버(33)와, 상기 연결관(17)의 일측에 연결되는 밸브관(18)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받아 개폐량을 조절하는 농도조절유닛(40)으로 이루어진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하부에 구비되어 원통체 형상을 갖는 본체유닛(10)과, 이 본체유닛(10)의 상부에 가로로 배치되어 전,후면이 개방된 원통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전,후면에는 이물질의 유입과 안전을 위한 흡기그릴(31a)과 배기그릴(31b)이 각각 구비되는 배기유닛(30)과, 상기 배기유닛(30)의 일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희석챔버(33)와, 상기 본체유닛(10)과 배기유닛(30)을 연결하는 연결관(17)에 일단이 연결되는 밸브관(18) 그리고 밸브관(18)에 설치되어 그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요소인 농도조절유닛(40)으로 이루어진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희석 확산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원통체 형상으로 제공되어 그 내부에는 연소유닛(20)이 위치되는 수용공간(10s)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연소유닛(20)의 투입과 반출을 위한 반출창(10w)이 형성되며, 지면에서 일정높이에 위치되게 복수의 지지다리(13)로 지지되고, 하부면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2)가 형성된 본체유닛(10)과, 상기 수용공간(10s)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바닥면으로는 복수의 하면와류흡입구(23)와 하면 와류날개(22)가 형성되어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와류작용을 유도하는 연소유닛(20)과. 상기 본체유닛(10)의 상부를 차폐하는 커버(15)의 중심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연결관(17) 및 이 연결관(17)의 상부가 연결되는 것으로 가로로 배치되는 원통관 형상으로 제공되어 후면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송풍 작용을 하는 팬모터(51)가 구비되 송풍유닛(50)이 설치되고, 전면측에는 점진적으로 지름이 확장된 확관부(32)가 구비된 배기유닛(30)과, 상기 연결관(17)의 상단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배기유닛(30)의 일단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면서 상기 배기유닛(30)의 내부로 모기향 연기가 기압차에 의해 빨려 들어갈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인 복수개의 노즐을 형성한 희석챔버(33)와, 상기 연결관(17)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밸브관(18) 및 이 밸브관(18)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회전조작을 받아 회전되는 조절판(41)을 구비한 농도조절유닛(40)으로 이루어진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의 본체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도어 내부에는 연소유닛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0s)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연소유닛을 수용공간(10s)의 내부로 반입 또는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반출창(10w)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다리(13)그 구비되고, 상면은 커버(15)에 의해 차폐되되 그 중심에는 수용공간(10s)과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연결관(17)이 수직하게 배치되고, 이 연결관(17)의 측부로를 농도조절유닛이 설치되는 밸브관(18)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본체유닛(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희석 확산기에서 본체유닛과 연소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는 상부면이 커버(15)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모기향(100)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유닛(20)이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공간(10s)을 제공하는 본체 케이스(11) 및 이 케이스(10)의 하부측 테두리에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것으로 이 본체 케이스(11)의 하면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다리(13)와,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11)의 바닥면 테두리를 따라 고리 형상을 갖도록 제공되어 외부로부터 모기향(100)의 연소를 위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12)로 이루어진 본체유닛(10)과. 상기 본체유닛(10)의 수용공간(10s)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원통체 형상을 갖되 측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와류흡입구(23)가 마련되고, 이들 각 와류흡입구(23)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내부 중심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굽힘된 와류날개(22)가 제공된 연소유닛(20) 그리고 상기 연소유닛(20)의 내부 중앙에 자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되 모기향(100)을 꽂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모기향 꽂이(70)가 도시되어 있다.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의 배기유닛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면에는 전,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관형 부재인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의 일단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17)에 연결되어 모기향 연기를 흡입하여 하우징(31)의 내부로 토출하도록 복수의 노즐(33a)이 형성된 희석챔버(33)와, 상기 하우징(31)의 선단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와 모기향 연기를 희석하여 확산 배출되게 유도하는 확관부(32)로 이루어진 배기유닛(30)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배기유닛(30)을 구성하는 상기 하우징(31)의 흡기그릴(31a)이 위치하는 후단측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배기그릴(31b)측으로 송풍작용을 하는 송풍유닛(50)이 설치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에서 배기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는 전,후면이 개방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일측에는 흡기그릴(31a)이 구비된 원통형의 관형상을 갖는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의 일단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연소가스를 확산 배출하도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확장되는 나팔관 형상을 갖는 확관부(32)와, 상기 하우징(31)의 외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연결관(17)에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공급받아 하우징(31)의 내부로 공급하는 복수의 노즐(33a)이 형성된 희석챔버(33)와, 상기 하우징(31)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제흡입하여 하우징(31)의 내부를 빠르게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희석챔버(33)내의 연소가스가 기압차에 의해 상기 노즐(33a)을 통해 하우징(31)의 내부로 빨려들어가 배출될 수 있도로 하는 팬모터(51)와 송풍날개(53)로 이루어진 송풍유닛(5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에 따른 연소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연소유닛에 모기향이 설치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면에는 바닥면에는 코일형 모기향(100)이 고정되고 상면은 개방된 원통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바닥면에는 중심에서 외곽측을 향하여 길게 관통 형성된 하면와류흡입구(23)가 방사형으로 복수 형성되고, 이들 각 하면와류흡입구(23)의 각 일단에는 내부 중심을 향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하면 와류날개(22)가 돌출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지지구조물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유닛(10)의 반출창(10w)을 차폐하도록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차폐판부(27) 및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반출시키거나 또는 투입시킬 수 있도록 돌출된 손잡이(28)로 이루어진 연소유닛(2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면와류흡입구(23)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직선형 구멍을 형성되거나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하면와류흡입구가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하면와류흡입구(23)의 각 일측에 마련된 하면 와류날개(22)는 연소케이스를 금속재로 성형하는 경우 상기 하면와류흡입구(23)에 프레스공정을 통해 떼어낸 일부를 연소케이스(21)의 내부측을 향하여 굽힘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합성수지재인 경우에는 사출공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하면 와류날개(22)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소케이스(21)의 내부를 향하여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며 끝단부는 톱니 형상을 갖도록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소케이스(21)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모기향 꽂이(70)와 위치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소유닛(20)을 구성하는 하면 와류날개(22)의 방향은 와류 형성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형 모기향(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타들어가는 형태인 경우 해당 방향으로 공기가 유도될 수 있도록 하면 와류날개(22)의 방향과 각도를 가져야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례에 따른 연소유닛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앞서 설명한 도 10에 나타낸 연소유닛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례에서의 연소유닛(20)은 연소케이스(21)의 바닥면에 형성된 하면 와류날개(22)의 끝단부가 톱니 형상이 아닌 일자형으로 형성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에서 연소유닛(20)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도 10에 나타낸 연소유닛의 구성에서 측면에 등간격을 두고 연소케이스(2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측면흡입구(24)가 관통 형성된 구성을 포함하는 연소유닛(2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소유닛(20)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연소유닛(20)을 구성하는 연소케이스(21)의 측면을 통해 유입되는 흡입공기가 와류를 일으킬 수 있도록 측면와류흡입구(26)와 측면와류날개(25)가 형성된 연소케이스(21)를 포함하느 연소유닛(20)이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는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원통체 형상을 갖는 본체유닛(10)과, 이 본체유닛(10)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모기향(100)을 연소시키는 연소유닛(20)과, 상기 연소유닛(20)의 상부에 구비되어 기압차를 발생시켜 연소유닛(20)에서 연소된 모기향 연기를 외부 공기와 희석하여 확산 배출시키는 배기유닛(30)과, 배기유닛(30)을 통해 확산 배출되는 연소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농도조절유닛(40) 그리고 상기 배기유닛(30)의 일측에 제공되어 공기를 강제송풍시키는 송풍유닛(50)으로 구성된다.
본체유닛(10)은 내부에 수용공간(10s)을 제공하도록 통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본체 케이스(11)와, 이 본체 케이스(11)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또는 일체로 구비되는 커버(15)와, 상기 본체 케이스(11)의 하부측에 복수개 구비되어 이 본체 케이스(11)의 하면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다리(13)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1)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2)가 형성되며, 이러한 흡입구(12)는 후술할 연소유닛(20)과 위치 간섭되지 않도록 다양한 위치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본체 케이스(11)의 하면 테두리측에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제안하였으며,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메쉬망 형태로 마감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흡입구(12)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면 그 위치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되어도 무방하며, 일례로 측면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거나, 또는 송풍팬을 부가 설치하여 강제 급기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케이스(11)는 일측면에 내부의 수용공간(10s)에 구비되는 연소유닛(20)을 반출하거나 또는 반입시킬 수 있도록 반출창(10w)이 형성된다.
연소유닛(20)은 상기 본체유닛(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면에는 코일형 모기향(100)이 고정되는 모기향 꽂이(70)가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연소유닛(20)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체 형상을 갖는 연소케이스(21)와, 이 연소케이스(21)의 바닥면에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하면와류흡입구(23) 그리고 이들 와류흡입구(23)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연소케이스(21)의 내부를 향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일으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하면 와류날개(22)로 구성된다.
이때의 상기 하면와류흡입구(23)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소케이스(21)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모기향 꽂이(7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연소케이스(21)의 중심부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면 와류날개(22)의 끝단부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1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매끄러운 직선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면 와류날개(22)의 방향은 와류의 생성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형 모기향(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타들어 가는 형태인 경우 상기 하면와류흡입구(23)가 반시계 방향으로 개방되는 형태를 갖도록 하면 와류날개(22)가 구비되며, 이때의 하면 와류날개(22)는 바람직하게 10~60도 미만의 개방각도를 갖는 것을 제안한다.
배기유닛(30)은 상기 본체유닛(10)의 상부에 가로로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관형 부재인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의 일단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결관(17)에 연결되어 모기향 연기를 흡입하여 하우징(31)의 내부로 안내하는 희석챔버(33)와, 상기 하우징(31)의 선단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와 모기향 연기를 희석하여 확산 배출되게 유도하는 확관부(32)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1)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후면측에는 공기 흡입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기그릴(31a)이 구비되고, 전면측에는 외부 공기와 모기향 연기를 혼합하여 된 연소가스가 넓은 면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나팔관 형상을 갖는 확관부(32)가 구비된다.
상기 확관부(32)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부주의로 손가락이나 물건 등을 넣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배기그릴(31b)이 설치된다.
상기 희석챔버(33)는 상기 하우징(31)의 일단 외면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0s)에서 연소된 모기향 연기가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채워진 모기향 연기는 상기 하우징(31)의 내부로 빨려 들어갈 수 있도록 복수의 노즐(33a)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배기유닛(30)에서 상기 노즐(33a)은 연결관(17)에서 멀어질 수록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관통 구멍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연소가스가 균일하게 빨려들어갈 수 있도록 학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연결관(17)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기 희석챔버(33)는 상기 연결관(17)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연소가스를 확산 분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상기 연결관(17)의 상부에 연결된 희석챔버(33)는 정,역 구동모터와 기어교합 구조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농도조절유닛(40)은 상기 연결관(17)의 측부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연결관(17)측으로 유입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는 밸브관(18)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조작력을 받는 조절손잡이(45)와, 이 조절손잡이(45)에 연결된 힌지축(43) 그리고 이 힌지축(43)에 일체로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에 의해 개폐량을 조절하는 조절판(41)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절판(41)은 상기 원통형상의 밸브관(18)을 차폐하는 원판형상의 부재로, 그 중심은 힌지축(43)에 의해 밸브관(18)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조절판(41)은 상기 힌지축(4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밸브관(18)의 개폐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힌지축(43)은 상기 조절판(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요소이다. 이러한 힌지축(43)은 그 양단이 상기 밸브관(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조절손잡이(45)는 상기 힌지축(43)의 일단에 일체로 제공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조작을 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농도조절유닛(40)은 사용자가 조절손잡이(45)를 손으로 잡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조절판(41)이 상기 밸브관(18)내에서 회전되어 개폐량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농도조절유닛(40)은 조절판(41)을 이용한 구조외에도 밸브관(18)의 지름을 가변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면 공지의 다양한 밸브구조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송풍유닛(50)은 상기 하우징(31)의 후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징(31)의 선단부측에 위치한 확관부(32)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요소로, 크게 전원을 공급받아 송풍날개(53)를 고속 회전시키는 팬모터(5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송풍유닛(50)은 송풍날개(53)가 고속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하우징(31)의 내부로 고속/고압의 공기를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희석챔버(33) 내의 공간에 채워져 있던 모기향 연기는 기압차에 의해 노즐(33a)을 통해 하우징(31)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하우징(31) 내부로 빨려 들어간 모기향 연기는 송풍유닛(50)의 송풍작용으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 희석되어 상기 확관부(32)를 통해 외부로 확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유닛(10)을 구성하는 본체케이스(11)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연소유닛(20)을 분리시킨다. 이는 연소유닛(20)을 구성하는 연소케이스(21)의 차폐판부(27)에 제공된 손잡이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서랍형태로 상기 연소유닛(20)이 연소케이스(21)의 반출창(10w)을 통해 외부로 꺼내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연소케이스(21)의 중심부에 자석 부착식인 모기향 꽂이(70)를 꺼내어 코일형 모기향(100)을 끼움 고정시킨 뒤 이를 상기 연소케이스(21)의 중심 바닥에 부착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코일형 모기향(100)의 끝단에 불을 붙여 연기가 발생하는지 확인한 뒤 상기 본체 케이스(11)의 반출창(10w)으로 연소케이스(21)를 조립하여 차폐판부(27)가 반출창(10w)을 완전히 차폐하도록 한다.
이어서 배기유닛(30)의 일측에 제공된 스위치(미부호)를 온(ON)시키면 송풍유닛(50)을 구성하는 팬모터(51)가 구동됨에 따라 송풍날개(53)가 회전하게 되고, 이 송풍날개(53)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31)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확관부(3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본체유닛(10)의 본체케이스(11)내에 구비된 연소유닛(20)에서 연소된 모기향 연기는 연결관(17)을 통해 희석챔버(33)로 이동되며, 이 희석챔버(33)로 이동된 모기향 연기는 노즐(33a)을 통해 하우징(31)의 내부로 기압차에 의해 빨려 들어가게 되어 결과적으로 송풍유닛(50)의 송풍작용에 의해 흡입된 공기와 혼합 희석되어 확관부(32)를 통해 확산 분포된다.
한편, 사용자가 연소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농도조절유닛(40)을 구성하는 조절손잡이(4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소정각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연결관(17)과 연결된 밸브관(18)의 개방량이 조절됨에 따라 상기 송풍팬(11)에 의해 하우징(31)의 내부에 발생하는 기압차에 의해 희석챔버(33)와 연결된 연결관(17) 및 밸브관(18) 내에 흡입압이 작용하게 되고, 이 흡입압에 의해 결과적으로 밸브관(18)의 개방정도에 따라 외부 공기의 흡입량이 조절된다.
즉, 상기 밸브관(18)의 개방량이 최대인 경우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희석챔버(33)로 이동되는 연소가스의 농도는 낮아지게 되며, 반대로 상기 밸브관(18)의 개방량을 최소로 조절한 경우에는 연소유닛(20)에서 연소된 연소가스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높은 농도의 연소가스가 희석챔버(33)를 통해 상기 배기유닛(30)을 구성하는 하우징(31)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되어 확산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는 수용공간(10s)에서 연소된 모기향의 연기를 기압차를 이용하여 외부 공기와 균일하게 혼합하여 저농도로 희석된 상태에서 확산 배출시키므로, 모기향에 포함된 화학성분의 과도한 노출로 인한 안전상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가 농도조절유닛(40)을 구성하는 조절손잡이(45)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모기의 분포에 따른 연소가스의 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모기 퇴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희석 확산기 10 : 본체유닛
10s : 수용공간 10w : 반출창
11 : 본체케이스 12 : 흡입구
13 : 지지다리 15 : 커버
17 : 연결관 18 : 밸브관
20 : 연소유닛 21 : 연소케이스
22 : 하면 와류날개 23 : 하면와류흡입구
24 : 측면흡입구 25 : 측면와류날개
26 : 측면와류흡입구 27 : 차폐판부
28 : 손잡이 30 : 배기유닛
31 : 하우징 31a : 흡기그릴
31b : 배기그릴 32 : 확관부
33 : 희석챔버 33a : 노즐
40 : 농도조절유닛 41 : 조절판
43 : 힌지축 45 : 조절손잡이
50 : 송풍유닛 51 : 팬모터
53 : 팬날개 60 : 연소조절팬
70 : 모기향 꽂이 100 : 코일형 모기향 코향

Claims (3)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통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복수의 지지다리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면에는 코일형 모기향이 고정되고 상면은 개방된 원통체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는 중심에서 테두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면와류흡입구가 방사형으로 복수 형성되고, 이들 각 하면와류흡입구의 각 일단에는 내부 중심을 향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하면 와류날개가 돌출 형성된 연소유닛;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전,후면이 개방된 관 형상의 부재로, 일측에는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작용을 하는 송풍유닛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점진적으로 지름이 확장되는 확관부가 구비된 배기유닛;
    상기 배기유닛의 일단 외주면을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소유닛의 상부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모기향 연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유입된 모기향 연기가 상기 배기유닛의 내부로 기압차에 의해 빨려 들어갈 수 있게 하는 복수의 노즐이 마련된 희석챔버;
    상기 연결관의 측부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밸브관 및 이 밸브관에 설치되어 회전 조작을 받아 통로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회전 조절판을 구비한 농도조절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희석 확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면이 개폐 커버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연소유닛이 설치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본체케이스 및 상기 본체케이스의 일측면에 관통 형성된 반출창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유닛은 상면이 개방된 연소케이스 및 이 연소케이스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반출창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 차폐판부 및 이 차폐판부의 외측 일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모기향 꽂이는 자석을 구비하여 금속재로 된 연소케이스에 자력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유닛은 내부 중심에 모기향이 안착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연소케이스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는 측면흡입구가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연소케이스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관통 형성된 측면와류흡입구 및 이 측면와류흡입구의 각 일단에 마련되어 내부 중심을 향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와류날개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KR1020190011016A 2019-01-29 2019-01-29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KR20200093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016A KR20200093822A (ko) 2019-01-29 2019-01-29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016A KR20200093822A (ko) 2019-01-29 2019-01-29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822A true KR20200093822A (ko) 2020-08-06

Family

ID=7204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016A KR20200093822A (ko) 2019-01-29 2019-01-29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38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2587A (zh) * 2021-01-28 2021-05-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气体浓度的调节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77Y1 (ko) 2009-03-24 2011-09-19 오정균 모기향 연소케이스
KR20120019768A (ko) 2010-08-26 2012-03-07 김가영 연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기향 케이스
KR101187825B1 (ko) 2010-06-17 2012-10-05 오병주 모기향 연소기
KR101597508B1 (ko) 2014-04-08 2016-02-25 엄영준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77Y1 (ko) 2009-03-24 2011-09-19 오정균 모기향 연소케이스
KR101187825B1 (ko) 2010-06-17 2012-10-05 오병주 모기향 연소기
KR20120019768A (ko) 2010-08-26 2012-03-07 김가영 연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모기향 케이스
KR101597508B1 (ko) 2014-04-08 2016-02-25 엄영준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62587A (zh) * 2021-01-28 2021-05-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气体浓度的调节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7549B2 (en) System for trapping flying insect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939308B1 (ko) 날벌레 포획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제조방법
US7234268B2 (en) Bug killing device
US20080236028A1 (en) Flying insect trapping system
US20070039236A1 (en) Insect trap
WO2007135687A2 (en) Devices for trapping insects
US20040237382A1 (en) Trap with improved flow regulator
AU2002356537A1 (en) System for trapping flying insect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817140B1 (en) Trap with flush valve
US7024815B1 (en) Lamp plus-insect exterminator
KR20200093822A (ko)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KR101544961B1 (ko) 해충 퇴치기
KR20200103427A (ko) 와류연소형 모기향 연소농도 조절 확산기
KR20200093810A (ko)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희석 확산기
KR20200103371A (ko) 모기향 와류연소 유도형 농도조절 확산기
KR20200093805A (ko) 모기향 연소농도 희석 확산기
KR20200093890A (ko) 와류연소형 모기향 연소농도 조절 확산기
KR20200093841A (ko) 모기향 와류연소형 농도조절 확산기
KR20200094010A (ko) 와류연소형 모기향 연소농도 조절 확산기
KR20200093834A (ko) 와류연소형 모기향 연소농도 조절 확산기
TWI257289B (en) Electronine insect killer
US20220132823A1 (en) Combined Personal Comfort Device and Pest Control Device for Flying Insects
JP2003125692A (ja) 害虫駆除装置
TWM619675U (zh) 多功能吸風式捕蟲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