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308B1 - 날벌레 포획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날벌레 포획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308B1
KR100939308B1 KR1020047004919A KR20047004919A KR100939308B1 KR 100939308 B1 KR100939308 B1 KR 100939308B1 KR 1020047004919 A KR1020047004919 A KR 1020047004919A KR 20047004919 A KR20047004919 A KR 20047004919A KR 100939308 B1 KR100939308 B1 KR 100939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fuel
exhaust gas
combustion chamber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902A (ko
Inventor
듀랜드엠마에이
팔롬보마이클제이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바이오피직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32734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3930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바이오피직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메리칸 바이오피직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5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3Attracting insects by the simulation of a living being, i.e. emission of carbon dioxide, heat, sound waves or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9/00Subject-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6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fly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5/00Catching insects in fields, gardens, or forests by movable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91/00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D91/02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use in particular heating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연성 연료를 포함하는 연료공급부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날벌레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상에서 지지되는 벌레 포획 챔버;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상에서 지지되는 연소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연료공급부와 연결하기 위한 주입포트, 배기포트 및 상기 주입포트를 상기 배기포트와 연통시키는 연소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포트는 연소챔버내에서 배기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료공급부로부터 나온 연료를, 그 내부에서의 연속적인 연소를 위해 상기 연소챔버내로 유동시킨다.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연소챔버내에 배치되는 촉매요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촉매요소는 상기 연소챔버내에서 발생되는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포트를 향하여 그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선형인 복수의 세장형 도관을 지닌 촉매몸체를 가진다. 상기 촉매몸체는 작업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세장형 도관을 통해 흐를 때 상기 배기가스내의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키는 촉매적으로 활성인 재료를 포함한다. 벌레 입구는 날벌레들이 상기 벌레 입구를 통해 벌레 포획 챔버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챔버와 연통된다. 상기 벌레 입구와 연통되는 진공장치는 상기 벌레 입구를 통해 배기구로 유인된 벌레들을 벌레 포획 챔버안으로 끌어들이도록 구성 및 배치된다.

Description

날벌레 포획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제조방법{SYSTEM FOR TRAPPING FLYING INSECT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유동물로부터 나오는 이산화탄소에 의해 유인되는 모기, 노-시-움(no-see-ums) 및 여타 벌레와 같은 날벌레를 포획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매 해 모기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은 3백만 건이 넘는 사망과 3억 건이 넘는 임상 사례(clinical case)를 야기한다. 상기 모기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의 치료와 관련된 전세계적인 비용은 수십억 달러에 이른다고 추정된다. 많은 지역에서, 모기는 말라리아, 황열병(yellow fever), 뎅기열(dengue fever), 뇌염,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수면병, 필라리아증, 발진티푸스 및 전염병과 같은 쇠약화의 원인이 되는 질병의 주 전염원이다. 사람에게 병과 죽음을 야기시키는 것 외에도, 모기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들은 가축관련 질병으로 축산업계에 경제적인 손실을 발생시키는 주된 원인이다. 또한, 모기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들은 여행을 통한 수입에 의존하는 지역에서는 끊임 없는 관심의 대상이 된다. 특히, 상기 지역에서의 상기 질병들의 존재는 여행 목적지로 상기 지역을 선택하려는 여행자들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여행과 세계 무역의 증가에 따라, 상기 질병들의 일부는 미대륙과 그 밖의 지역에서 주요한 보건상의 문제가 될 것이다. 예를 들어, 대중 뿐만 아니라, 말과 동물의 보건에 대해 위협을 보여준, 유럽과 북 아메리카의 온대 지역(temperate region)에서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의 출현은 이러한 예견을 뒷받침한다. 이는 인간 및 말에게는 뇌염(뇌의 염증)을, 그리고 가축 및 야생 조류들에게는 떼죽음을 초래할 수 있다.
1995년에, 캘리포니아 및 뉴저지에서 말라리아 풍토병의 사례들에 대한 기록이 있고, 뎅기열의 몇몇 사례들이 텍사스의 남부에서 진단되었다. 1996년 9월, 로드 아일랜드에서는, 이스턴 에퀸 뇌염(Eastern Equine Encephalitis)을 가져왔던 유례 없는 수의 모기들이 발견되었다. 시험 결과들을 통해, 포획된 100마리의 모기들 중 한마리가 30% 내지 60%의 치사율을 갖는 상기 희귀하고 치명적인 바이러스를 옮기고 있었다는 것이 드러났다. 로드 아일랜드에서의 이러한 상황은 정부가 비상사태를 선포할 정도로 매우 심각한 것이었다. 1997년 플로리다에서는, 세인트 루이스의 뇌염 발발과 함께 유사한 상황이 발생되었다.
뎅기열은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특히 위험한 모기 전염성 질병이며,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곧 말라리아를 밀어내고 모기를 매개로 하는 가장 주요한 바이러스 질병이 될 수도 있다. 뎅기열의 전체적인 분포는 말라리아의 분포와 비교하여, 대략 25억으로 추산되는 인구가 전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있는 영역에 살고 있다. 매 해, 수백만의 사례들이 발생하며, 최대 수십만의 뎅그 출혈 열(dengue hemorrhagic fever:DHF) 사례들이 진단된다. DHF의 치사율(case-fatality rate)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5% 정도이며, 가장 치명적인 사례들은 아이들에게서 발생된다.
최근까지, 서반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뎅기열이 알려져 있지 않았다. 1970년대에는, 쿠바와 카리브 해의 다른 지역들을 뎅기열이 휩쓸고 지나갔다. 1981년에는, 쿠바에서 출혈열이 수반되는 제2혈청형이 발생했다. 상기 제2유행병은 30만 이상의 출혈열 사례와 1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야기하였으며, 그 중 대부분은 어린이들이었다. 1986년까지, 남아메리카의 다른 나라들과 멕시코는 뎅기열에 있어 현격한 증가를 보이기 시작했다. 1998년 여름에는 바베이도스의 섬에서 새로운 발병이 나타났다.
아메리카의 본토와 관련해서는, 1995년 중앙 아메리카에서 처음 8달 동안 352의 출혈열 사례들을 포함하여 거의 24,000 건의 뎅기열 사례들이 보고되었다. 엘살바도르는 1995년에 자국내에서의 상기 질병의 광범위한 확산으로 인하여 국가 비상사태를 선언하였다. 멕시코에서도 1995년에 대략 2,000 건의 사례들이 보고되었으며, 그 중 34명은 출혈열을 가지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PAHO(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은 아메리카내에 거의 200,000 건의 뎅기열 사례들과 5,500 건 이상의 뎅기 출혈열 사례들이 존재했다고 보고하였다. 도 1a는 2000년도의 뎅기열의 세계적인 분포를, 도 1b는 아메리카내에서 보고된 뎅기열 사례들의 최근 증가추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곤충학자들은 뎅기열이 미국으로 전파될 징조가 커지는데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우려는 부분적으로는 최근 출현한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로 알려진 모기종의 존재에 기인한 것이다. 흰줄숲모기(그것의 밝은 줄무늬와 공격적으로 무는 특성으로 인해 "범 모기(tiger mosquito)"라 칭해지기도 함)는 미국에서는 1985년 텍사스의 해리스 카운티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역사적으로, 범 모기는 아시아에서 뎅기열의 주된 전염원이 되어 왔다. 하지만, 미국내 범 모기의 출현은 일본으로부터의 중고 타이어의 선적물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991년에, 플로리다의 올랜도에 있는 월트 디즈니 월드 서쪽 12마일 지점의 타이어 더미에서 발견된 범 모기의 그룹들 중에서 이스턴 에퀸 뇌염 바이러스가 발견되었다.
1996년 2월 현재, 24개 주에서 범 모기의 입증된 개체군이 발견되었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이제 범 모기가 네브라스카 및 뉴저지의 오하이오와 같은 보다 북쪽의 주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흰줄숲모기와 달리, 범 모기의 알들은 매우 추운 겨울에도 살아남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범 모기는 미국의 거의 모든 지역으로 질병을 옮길 가능성이 크다. 이미 범 모기는 벌레에 물리는 횟수가 분 당 25회에 이르는 일리노이의 플라스키 카운티(Pulaski County)에서 성가시고 위협적인 존재가 되었다. 미국의 중앙 지역에서는, 이러한 종들이 라 크로스(La Crosse) 뇌염의 전염, 흔히 치명적인 질병과 관련되어 왔다.
미국내에서의 상기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병들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1c 내지 1f가 제공된다. 도 1c는 1964년에서 1997년 사이에 미국에서 확인되고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인간 라 크로스 뇌염 사례들의 분포를 예시하고 있다. 도 1d는 1964년에서 1998년 사이에 미국내 인간 세이트 루이스(St. Louis) 뇌염 사례들의 분포를, 도 1e는 1964년에서 1997년 사이에 미국내에서 확인되었거나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인간 웨스턴 에퀸 뇌염(Western Equine Encephalitis) 사례들의 분포를, 그리고 도 1f는 1964년에서 1997년 사이에 미국내에서 확인되었거나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인간 이스턴 에퀸 뇌염 사례들의 분포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이들 질병의 분포는 미국 전체에 걸쳐 퍼져 있기 때문에, 상기 질병들의 추가 확산과 관련해 현재 사회적인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과거에도 모기 개체군을 제어하고 퇴치하는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들의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의 설명을 통해 명백히 알 수 있겠지만, 상기 방법들 각각은 그 자체로는 실행불가능하거나 효과가 없는 현저한 단점들을 갖는다.
모기 개체군을 억제시키는 잘 알려진 한가지 방법은 DDT 및 말라티온(Malathion)과 같은 화학 살충제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2종류의 모기 살충제, 즉 성충제거제 및 유충제거제가 구입가능하다. 성충제거제는 성충단계로 발전된 모기를 죽이는데 사용되는 화학제이다. 출몰지역에는 주로 항공기나 자동차를 통해 분사가 이루어진다. 분사된 화학제의 효능은, 통상적으로 바람, 기온, 습도 및 시간, 사용되는 화학제에 대한 특정 모기의 내성, 그리고 특정 화학제의 기본적인 효능에 따라 좌우된다. 성충제거제는 강수, 조수 범람(tidal flooding) 또는 여타 주기적인 산란 부화 자극(trigger)에 의하여 유발되는 각 성충의 발생에 대해 적용되어야 하며, 단지 반나절의 기간 동안만 통상적 효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화학제들은 성충 모기와의 최대한의 접촉이 예상되는 시간에 적용되어야 한다.
한편, 유충제거제는 유충들이 성충 모기가 되기 이전에 상기 유충들을 죽이기 위하여 수원지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유충제거제는 다음의 3가지 종류, 즉 (1) 유충들이 호흡하는 것을 차단하여 그들을 익사시키도록 수면에 적용되는 오일, (2) 유충들을 공격하여 그들을 죽이는 BTI(bacillus thuringiensis israelensis)와 같은 박테리아, 또는 (3) 유충들이 성충 단계로 성장하는 것을 막는 화학적 벌레 성장 조절제(예를 들어, 메소프렌(methoprene)) 중 하나의 형태를 취한다. 하지만, 유충제거제는 여러가지 이유로 특별히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유충제거제들은 짧은 효능주기를 가지며, 미처 성장하지 못한 모기들이 특정 성장 단계에 있을 때 물에 적용되어야만 한다. 또한, 트리-홀 브리더(tree-hole breeder), 루트-스웜프 브리더(root-swamp breeder) 및 캐테일-마시 브리더(cattail-marsh breeder)와 같은 몇몇의 모기종들은 유충들이 표면으로 나오지 않거나(예를 들어, 캐테일-마시 모기) 수원지가 유충제를 경제적으로 적용시키기에는 매우 난해한 장소에 자리하고 있기(예를 들어, 트리 홀 모기) 때문에, 유충들로 쉽게 제어되지 않는다. 또한,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를 옮기는 지하집모기(Culex Pippiens)는 도랑, 지하 배수로, 화병, 조류 수욕대 등 인간 주변에 살면서 번식한다. 이는 이러한 영역들을 효과적으로 겨냥하는 것이 어려움에 따라 살충제의 분사를 실행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은 그들의 집과 너무 가까운 곳에 화학살충제를 사용하는 것을 꺼린다.
그들의 주장된 효능 또는 그 결핍과는 무관하게, 화학 살충제의 사용은 미국에서나 세계적으로 현저히 감소되어 왔다. 이러한 감소의 주된 이유는 살충제의 사용과 관련된 잠재적인 건강상의 위험에 대한 높아진 대중의 관심에 기인한다. 특히, DDT와 같은 특정 화학제에 의해 나타나는 장기간 건강의 위험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이 미국 및 다른 나라의 많은 지역에서 모기제어를 위해 화학제를 사용하는 것을 억제시켜 왔다. 또한, 모기들 사이에서 증가되는 살충제에 대한 내성이 종래에 사용되던 화학제의 유효성을 저감시키고, 따라서, 화학 살충제의 예상되는 잇점들이 대중 건강의 위험을 담보로 할 만큼 뛰어나지 못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어느 정도까지는, 천적 역시 모기 개체군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특정 물고기 및 (약충 및 성충 모두로서의) 잠자리는 모기의 유충 및 성충을 잡아먹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특정 박쥐나 조류들 역시 모기들을 잡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몇몇 사람들, 특히 화학 살충제의 사용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모기 개체군을 제어하는 환경적으로 안전한 수단으로써 천적들에 의존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안타깝게도, 모기 개체군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데 천적을 사용한 과거의 노력들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예를 들어, 1920년대에 남부의 도시 3곳에서는 대형 박쥐 타워 3개를 건립하여 그들 타워에 살고 있는 박쥐들이 모기 개체군을 제어할 것이라는 높은 기대를 가진 적이 있다. 하지만, 상기 타워들은 그 지방의 모기 개체군을 적절히 제어하는데 있어 효과적이지 못했다. 박쥐들의 윗속 내용물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모기들은 그들의 음식원 중 1% 미만을 구성하고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많은 사람들은 그들 개인 또는 특정 영역으로부터 모기의 접근을 막는 방충제(repellents)에 의존한다. 상기 방충제들은 그들의 속성상 모기 개체군을 실제적으로 제어하지는 못하며, 그 대신, 상기 방충제를 채택한 사람들에게 단순히 일시적인 구제효과만을 제공할 뿐이다. 방충제들은 국부적(topical)이거나 또는 공중에 국한될 수 있으며(aerial), 특히 로션, 분사, 오일(즉, 스킨-쏘-소프트(Skin-So-Soft)), 코일 및 캔들(예를 들어, 시트로넬라)을 포함하는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가장 일반화된 방충제들(로션, 분사 및 오일)은 옷이나 신체에 사용되는 것들이다. 본질적으로, 상기 방충제들 중 대부분이 실제로는 모기를 "퇴치"시키지 못하며, 일부 방충제들은 단순히 모기들이 그것의 숙주에게 이끌리는 인자들(이산화탄소, 습도, 온기 및 락트산)을 엄폐할 뿐이다. 이들 방충제들은 상당히 저렴하긴 하나, 흔히 자극적인 향기를 가지며, 미끈거리며(greasy), 한정된 기간동안만 유효하다. 또한, DEET 또는 에틸 헥사네디올(ethyl hexanediol)을 포함하는 방충제들이 실제로는 일정 시간이 지난후에 모기를 유인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따라서, 방호 기간이 지난경우에는 그들을 씻어내거나 새 방충제를 다시 적용시키는 식으로 방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편함 이외에도, 많은 방충제들은, 그들이 사용될 때 장기간에 걸친 잠재적인 건강상의 위험에 대한 면밀한 주의가 있어야 한다. 많은 곤충학자들이 이용가능한 최고의 방충제라고 여기는 DEET는 30년에 걸쳐 시판되어왔고, 여러 잘 알려진 상용 분사 및 로션의 주성분이다. DEET의 장기간에 걸친 확산에도 불구하고, 미 환경보호청(EPA)은 DEET가 암, 기형 및 생식능력의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믿고 있다. 실제로, EPA는 사용자들 중 소수가 DEET에 민감할 수도 있다고 1990년 8월의 소비자 게시물에 공표하였다. 특히, 소아에게 반복적으로 바르게 되면, 때때로 두통, 감정변화, 정신착란, 구토, 근육경련, 경기 또는 인사불성을 야기할 수도 있다.
모기 코일은 모기를 퇴치시키는 수단으로서 여러 해 동안 판매되어 왔다. 상기 코일들은 방충 연기를 내뿜기 위해 태워진다. 대략 20년 전에 제조된 제품으로는 상품명 Raid Mosquito Coils이 있었고, 화학제 알레트린(Allethrin)이 포함된다. 최근 제품으로는, 상품명 OFF Yard & Patio Bug Barriers이 있었으며, 화학 제 에스비오스린(Esbiothrin)이 포함된다. 상기 제품들은 모기의 활동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구제효과는 제공할 수 있으나, 일정 지역내의 모기의 수를 줄이는 것은 아니며, 그 부근으로 연기 및 화학성분들을 방출한다. 또한, 가장 약한 바람에서도 상기 연기 및 화학성분들이 넓은 영역에 걸쳐 확산됨에 따라 강도가 약화되고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들의 잠재적인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많은 사람들은 모기를 퇴치하는데 있어 그것이 캔들, 플랜트, 방향 또는 여타 메커니즘의 형태인지에 따라 시트로넬라의 잇점을 과대 선전하였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시트로넬라를 기반으로 한 제품들은 캔들이 보호 영역 주위의 3피트 일대에 배치될 때에만, 모기 퇴치에 있어 그저 보통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처리는 보호 영역 주위에서 연소 중인 보통의 캔들보다 조금 더 효과적일 뿐이었다. 실제로, 캔들을 연소시키는 것은 공기중에 이산화탄소의 양을 증가시켜 상기 영역내의 모기의 수를 줄이기 보다는 넓은 영역으로 보다 많은 모기들을 끌어들일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점에도 불구하고, 시트로넬라 기반의 제품에 대한 현재의 시장은 꽤 크다.
1970년대 후반에 도입되었으며, "버그 재퍼(bug zapper)"라 칭해지는 잘 알려진 "흑광(black-light)" 감전장치는 초기에는 상업적으로 성공하였다. 모기를 잡는데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비효율적이지만, 버그 재퍼는 매년 200백만 이상의 유통량으로 팔려나간다. 모기를 잡는데 있어서 상기 장치가 무능하다는 것은 학술적 연구 및 많은 버그 재퍼 소유자들의 개인적인 경험에서 증명되어 왔다. 특히, 감전장치들은, 그들이 대다수의 모기들을 유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기를 잡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장치들은 대다수의 모기들의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 단지 빛에 이끌리는 벌레만을 유인한다.
미국특허 제6,145,243호("'243 특허")는 본 출원의 양수인, American Biophysics Corporation of East Greenwich, RI에 의하여 개발된 벌레 포획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243 특허의 장치는 상기 장치의 입구를 향하여 모기나 기타 날벌레를 유인하기 위해 이산화탄소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장치의 기본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팬은,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상기 입구를 통해 포획 챔버내로 유인된 벌레들을 끌어들인다. 포획 챔버는 상기 모기들이 탈수되는 폐기가능한 메쉬 백(disposable mesh bag)을 포함한다. 상기 백이 채워지게 되면, 상기 백은 제거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상기 '243특허에 개시된 장치는 American Biophysics Corporation에 상업적인 성공을 가져다 주었으나, 본 출원의 발명인에 의한 보다 나은 제품의 개발을 위한 노력으로 상기 '243 특허의 장치의 제조비용을 줄이고 작동효율을 높이는 것과 관련된 여러가지 개선안이 나왔다. 상기 개선안들의 결과로서, 본 출원의 장치의 비용구조가 절감되어, 보통의 소비자가 보다 폭넓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었다. 보다 많은 소비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상기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상기 기술의 폭넓은 사용에 있어서의 부가적인 영향은 모기 및 기타 날벌레 개체군을 보다 잘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벌레 전염성 질병들의 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으로 돌아가면, 본 발명의 제1형태는 유익한 촉매요소를 갖는 날벌레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가연성 연료를 포함하는 연료공급부가 이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상에 놓인 벌레 포획챔버; 및 지지프레임상에 놓이는 연소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장치는 연료공급부와의 연결을 위한 주입포트, 배기포트 및 상기 주입포트와 상기 배기포트를 연통시키는 연소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포트는 연료공급부로부터 나온 연료가 연속적인 연소를 위해 연소챔버 내로 유입되게 하여 연소챔버 내에 배기가스를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소장치는 연소챔버내에 배치된 촉매요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촉매요소는 연소챔버내에서 생성된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포트를 향해 유동할 수 있게 하는 본질적으로 선형인, 복수의 세장형 도관(elongated conduct)을 갖는 촉매 몸체를 갖는다. 상기 촉매 몸체는, 작동중에 상기 배기가스가 세장형 도관들을 통해 유동할 때, 배기가스 내의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키는 촉매 활성 재료를 포함한다.
배기구(exhaust outlet)는 프레임상에 놓이며 연소장치의 배기포트와 연통된다. 상기 배기포트는 배기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에 유인된 벌레들이 상기 배기구를 향하여 날아오도록 상기 배기가스가 배기구를 통해 바깥쪽으로 유동하게 한다. 벌레 입구는 날벌레들이 상기 벌레 입구를 통하여 포획 챔버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벌레 포획 챔버와 연통된다. 상기 벌레 입구와 연통된 진공장치는 상기 벌레 입구를 통해 배기구에 유인된 벌레들을 벌레 포획 챔버 안으로 빨아들이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의 장점은 촉매 몸체에 본질적으로 선형인 복수의 세장형 도관을 구비시킨 것에 있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243 특허에 개시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 보다 개선된 촉매 전환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243특허에서, 촉매요소는 한정된 공간내에 느슨하게 포획된, 일련의 촉매 코팅 구체에 대해 제공되었다. 상기 구조의 문제는 촉매 전환 작용의 일관성이 대량생산 기반에서는 달성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즉, 촉매 전환의 유효성이 장치들간에 따라 다른 경향이 있다. 이는, 구체를 사용하면 그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상당한 양의 난류를 야기할 뿐 아니라, 구체의 느슨한 패키으로 인해, 배기가스에 노출된 촉매의 표면적의 양의 불일치를 가져온다. 일산화탄소의 레벨이 상기 '243 특허에 개시된 장치의 상업적 실시예에서 최소치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연료와 공기 혼합물의 더 정밀한 조정이 요구되었다. 상술된 촉매요소를 사용하면, 장치들간의 촉매 전환에 있어 향상된 일관성을 가져오기 때문에 상기 '243 특허에 따른 장치의 구조를 능가하는 개선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러한 개선은 그것이 연료/공기 혼합물을 정밀히 조정할 필요성을 줄이거나 심지어는 그 필요성을 없애줌으로써 비용의 절감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상기 형태의 바람직한 특징에 있어,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촉매요소 상류의 연소챔버내에 배치된 난류저감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난류저감구조체는 촉매 몸체의 도관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복수의 어퍼처를 가진다. 상기 어퍼처들은 주입포트로부터 나온 연료의 유동을 직선화시킴으로써 연료내의 난류를 줄여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연소작동의 일관성을 향상시키는데 바람직하다. 특히, 큰 난류유동에 있어, 불연소된 상태로 연소챔버를 통과하는 연료의 "포켓(pockets)"이 생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생성된 배기가스내의 불연소된 연료가 벌레 퇴치에 이용될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난류저감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유동 난류가 줄어들어, 배기가스 내의 불연소된 연료의 양을 최소화시키거나 없애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의 상기 제1형태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서, 난류저감구조체는 촉매 불활성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난류저감구조체의 어퍼처들은 주입포트로부터의 연료의 유동을 직선화시키도록 형성된 본질적으로 선형인 복수의 세장형 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의 도관들은 상술된 이유들로 인해 바람직한 연소지점으로 연료의 일반적인 층류의 유동을 전달시키기에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특징으로, 난류저감구조체는 주입포트와 난류저감구조체의 촉매 불활성몸체 사이의 연소챔버내에 배치된 확산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더 바람직한 특징에서, 상기 난류저감구조체의 어퍼처들은 주입포트로부터 나온 연료의 유동을 초기에 직선화시키는 확산기를 통해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한다. 이 확산기 플레이트의 장점은, 상기 불활성 몸체에 도달하기 이전에, 연료 유동의 초기 난류 저감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상기 바람직한 특징들은 본 발명의 상기 제1형태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의 상기 제1형태에 따라 구성된 장치 내에 통합될 수 있거나 통합될 수 없는 바람직한 특징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2형태는 유익한 열 교환/연소장치를 갖는 날벌레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가연성 연료를 포함하는 연료공급부가 이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상에 놓이는 벌레 포획 챔버; 및 연소/열교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열교환 장치는 1 쌍의 이분체를 포함하고, 각각의 이분체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 부분 연소챔버부 및 부분 열교환기부를 갖는다. 상기 각 부분 연소챔버부는 그 내부에 부분 연소챔버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분 열교환기부는 그 내부에 부분 열교환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a) 상기 장치의 연소챔버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분 연소챔버부들이 결합되고, 상기 연소챔버부를 통해 연장되는 연소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분 연소챔버들이 결합되며, (b) 열교환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분 열교환기부들이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기부를 통해 연장되는 열교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분 열교환 경로들이 결합되도록, 상기 연소/열교환 장치의 1쌍의 이분체가 함께 결합된다. 상기 연소챔버는 연속적인 연소를 위해 연소챔버내로 연료를 유동시켜 연소챔버내에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생성시킬 수 있도록 연료공급부에 연결된 주입포트를 구비한다. 열교환 경로는 연소챔버와 연통되고, 배기가스가 열교환 경로를 통해 배기포트로 유동할 수 있도록 주입포트와 반대쪽에 배기포트를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기부는, 연소챔버로부터 흘러나온 배기가스가 열교환 경로를 따라 배기포트로 유동하고, 연소/열교환 장치 이분체의 열전도재료의 전도를 통해 열교환 경로를 따라 상기 가스가 유동하게 됨에 따라 배기가스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구성된다.
배기구는 프레임상에 놓이고 연소/열교환 장치의 배기포트와 연통된다. 이는, 배기가스내의 이산화탄소에 유인된 벌레들은 배기구를 향하여 날아가도록 배기가스가 바깥쪽으로 유동하게 한다. 벌레 입구는 날벌레들이 벌레 입구를 통하여 포획 챔버에 들어갈 수 있도록 벌레 포획 챔버와 연통된다. 벌레 입구와 연통되는 진공 장치는 벌레 입구를 통해 배기구로 유인된 벌레들을 벌레 포획 챔버안으로 빨아들이도록 구성 및 배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형태의 장점은 상술된 것과 같은 1쌍의 이분체들을 포함하는 연소/열교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조립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본 구성은 상기 '243특허에 개시된 장치와 비교하여, 제조시 요구되는 부품의 개수 및 조립시간을 줄여준다. 상기 '243특허에 개시된 장치는, 효과적으로 기능하긴 하나 많은 개수의 부품을 가지며, 그 조립 단계들은 상대적으로 시간을 소모적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연소/열교환 장치를 제공하면, 부품의 수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조립시간도 단축되어, 상기 장치의 전체적인 비용구조가 낮아지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첨부 도면 및 청구항들을 통해 보다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2000년에 전 세계에 걸친 뎅기열의 분포를 나타낸 도,
도 1b는 아메리카 내 뎅기열 발생의 최근의 증가에 대한 비교도,
도 1c는 아메리카 내에서 1964에서 1997년 사이에 확인되었거나 추정되는 인간 라크라스뇌염 사례들의 분포를 나타낸 도,
도 1d는 미국내에서 1964에서 1998년 사이에 확인되었거나 추정되는 인간 세인트 루이스 뇌염 사례들의 분포를 나타낸 도,
도 1e는 미국내에서 1964에서 1997년 사이에 확인되었거나 추정되는 인간 웨스턴 에퀸 뇌염 사례들의 분포를 나타낸 도,
도 1f는 미국내에서 1964에서 1997년 사이에 확인되었거나 추정되는 인간 이스턴 에퀸 뇌염 사례들의 분포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장치의 하우징 탑 쉘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장치의 하우징에서 상기 탑 쉘(top shell)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하우징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분해도,
도 7은 도 1의 장치에 사용되는 연소/열교환 장치의 분해도,
도 8은 외부로부터 취해진 도 7의 연소/열교환 장치의 우측 이분체의 사시도,
도 9는 내부로부터 취해진 도 7의 연소/열교환 장치의 우측 이분체의 사시도,
도 10은 외부로부터 취해진 도 7의 연소/열교환 장치의 좌측 이분체의 사시도,
도 11은 도 12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연소/열교환 장치에 사용되는 슬리브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의 라인 B-B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슬리브에 사용되는 확산기 플레이트의 끝단면도,
도 14a는 도 14의 라인 C-C를 따라 취한 확산기 플레이트의 단면도,
도 14b는 도 14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연소/열교환 장치내의 구성요소들의 레이아웃의 개략도,
도 16은 도 1의 장치의 출구노즐과 그와 연관된 구성요소들의 분해도,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제어기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는 전체적으로 참조부호 10으로 표기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예시적 날벌레 포획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장치(10)는 바베큐 그릴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형태의 프로판 탱크(12)와 같은 가연성 연료의 공급을 이용하도록 설계된다.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상기 장치(10)의 일반적인 기능은, 증가된 이산화탄소를 함유한 배기가스를 방출하여, 이산화탄소에 유인된 모기와 여타 살을 무는 벌레들을 유인하는 것이다. 이 때, 장치에 의해 생성된 내부로 지향된 공기의 흐름은 상기 포획된 벌레들을 상기 장치 내의 포획 챔버 내로 잡아들이거나 흡수하여, 상기 벌레들은 포획되고 독물을 이용하거나 탈수/아사에 의해 퇴치된다. 대안적으로, 벌레의 연구분야에 종사하는 사용자는 포획된 벌레들을 죽이는 대신 생체 검사의 목적으로, 죽기 이전에 상기 장치(10)로부터 그들을 꺼낼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의도한 특정한 벌레 포획 목적과는 무관하게, 상기 장치(10)의 전반적인 기능은 날벌레들을 유인하여 포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렇듯 넓고 포괄적인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운용되는 방법의 특징들을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장치(10)는 전체적으로 참조부호 14로 표기된 지지프레임 구조체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 구조체(14)는 한 세트의 다리(leg:17) 상에 지지되는 하우징(16)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6)을 지지하는데 2개의 다리(17)가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 지지프레임 구조체(14)는 본 명세서에서 후술될 작동 구성요소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여하한의 구조 또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세발장치(tripod arrangement)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또한 그 전문이 본 출원서에 인용 참조되고 있는 상술된 미국특허 제6,145,243호에 나타낸 것과 같은 휠들(15)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 구조체(14)는, 도 2 및 상기 '243 특허에 또한 나타나 있듯이, 프로판 탱크(12)와 상기 장치(10)가 하나의 유닛으로서 함께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프로판 탱크(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덱크(supporting deck: 19)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6)은 저부 쉘(18)과 그것에 장착된 상부 쉘(20)을 포함한다. 상기 쉘(18,20)은 통상적인 체결구, 접착제, 스냅-피트 관계(snap-fit relation) 또는 여느 다른 적절한 방식을 이용하여 함께 결합 및 고정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들 쉘(18,20)은 플라스틱으로 몰딩되나, 일반적으로, 상기 쉘(18,20) 및 하우징(16)은 어떠한 재료로도 만들어질 수 있으며 어떠한 형상, 구성 및 구조도 취할 수 있다.
관상 취입노즐(22)은 저부 쉘(18)로부터 하향 돌출되며, 그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취입노즐(22)은 체결구에 의해 부착되거나 스냅-피팅됨에 따라, 취입노즐(22)의 일부를 형성하는 플레어 하단부(flared lower end:24)를 가진다. 플레어 하단부(24)는 벌레 유입구(26)를 형성한다. 이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분명히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진공이 취입노즐(22)에 적용되며, 상기 장치(10)에 의해 방출된 이산화탄소에 유인된 벌레들은 포획용 벌레 유입구(26)안으로 빨려 들어갈 것이다. 이에 따라, 제공된 상기 벌레 유입구(26) 및 취입노즐(22)은 여느 적절한 방식으로 지지프레임 구조체(14)상에 지지되며, 예시되고 설명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구조일 뿐이다. 따라서, 여타 구조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출구노즐(28)은 취입노즐(22)내에 동심으로(concentrically) 장착된다. 상기 출구노즐(28)은 그의 하단부에 배기구(30)을 제공한다. 출구노즐(28) 및 그의 배기구(30)의 역할은,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를 유동하게 하는 것이다. 하향 유동하는 배기가스가 지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배기 가스는 상기 지면을 따라 상기 장치(10)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유동한다. 상기 장치(10)로부터 나온 이산화탄소에 유인된 모기 및 여타 벌레들은 이 방사된 이산화탄소 흐름을 감지하고, 그 기둥을 따라 그 소스, 즉 배기구(30)까지 쫓아갈 수 있다. 개시된 구조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출구노즐(28)은 취입노즐(22)과 동심을 이루기 때문에, 유인된 벌레들은 이산화탄소를 따라 그 소스(즉 배기구(30))까지 쫓아감으로써, 배기구(30)에 도달할 때에는 벌레 유입구(26)에 바로 인접하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유인된 벌레들은 취입노즐(22) 및 그 벌레 유입구(26)와 연통된, 진공 장치 또는 팬에 의해 생성된 내부로 지향된 공기 흐름 또는 진공구역내로 직접 날아감에 따라, 상기 장치(10)안으로 빨려 들어가 그 안에서 포획된다. 진공취입 및 배기가스 유출의 각 유동은 도 3에서 유입 및 유출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개시된 구조의 상기 형태에 있어서 보다 세부적인 사항들 및 변형례들에 관해서는 상술된 '243 특허를 참조하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그 전문이 인용 참조되는 1996년 9월 17일에 출원된 미국특허 제6,286,249호를 참조할 수 있다.
하우징(16)의 상부 쉘(20)은 하우징 벽에 형성된 액세스 개구부(34)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로 이동될 수 있는 액세스 도어(3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개폐되는 액세스 개구부(34) 및 액세스 도어(32)는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상기 도어(32)는, 개구부(34)의 상부 에지에 인접한 상부 쉘(20)에 형성된 개구부(도시 안됨)내로 그것의 상단부에서 피봇 핀(36)을 삽입함으로써 그것의 개폐 동작을 촉진하기 위하여 상부 쉘(20)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의 보다 광범위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도어(32)는 전체적으로 하우징(1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거나, 개폐 동작을 위해 여느 적절한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실제로, 도어(32)를 제공하는 것이 불필요하거나, 편의를 위해 외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어(32)와 개구부(34)의 주변부 사이를 밀봉시키기 위하여 개구부(34)의 주변부를 따라 가변 개스킷(38)이 부착된다. 액세스 도어(32) 및 그와 관련된 개구부(34)의 역할은 사용자가 하우징(16)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후술되겠지만, 메쉬 백(40)의 내부가 벌레 포획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메쉬 백(40)은 하우징(16) 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메쉬 백(40)에 의해 형성된 챔버는 진공에 의해 빨려들어간 벌레들이 탈수되고 죽게될 상기 메쉬 백(40) 내에 포획되도록 벌레 유입구(26)와 연통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메쉬 백(40)의 재료는 벌레 퇴치의 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살충성분으로 처리될 수도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은 아니다. 액세스 도어(32) 및 그와 관련된 개구부(34)는, 제거/교체의 목적으로, 사용자들이 필요에 따라 메쉬 백(4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우징(16)의 내부로의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른 대안으로서, 메쉬 백(40) 대신 플라스틱 박스 또는 여느 다른 적정 구조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도어(32)는 제거/교체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메쉬 백(40)을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다. 특히, 투명한 재료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메쉬 백(40)이 벌레의 전체 수용량에 도달했는지 또는 거의 도달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보다 광범위한 형태에서는, 도어(32)가 투명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가 도어(32) 및 그와 관련된 개구부(34)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메쉬 백(40)과 상부 쉘(20)이 제거된 하우징(16) 내부의 구성요소들의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구성요소들의 분해도이다. 이들 내부 구성요소들은 전체적으로 참조부호 50으로 표기된 연소/열교환 장치, 팬 플리넘(fan plenum:52),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팬(54) 및 파티션 구조체(59)를 포함한다. 저부 쉘(18)은 연소/열교환 장치(50)를 장착하기 위하여 비교적 편평한 영역을 형성하는, 일체로 몰딩된 일련의 리브(58)를 포함한다. 또한, 저부 쉘(18)은 1쌍의 개구부(60,62)를 포함한다. 개구부(60)는, 가연성 연료, 바람직하게는 프로판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절호스(64)가 그 내부에 삽입되고 연소/열교환 장치(5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62)는, (그 원단부에 표준 아웃렛 플러그(68)가 도시된) 전력공급코드(66)가 제어기(70)에 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어기(70)는 파티션 구조체(59)의 최상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 구조체는 메쉬 백(40)이 팬(54)과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제공되는 그리드 배리어(grid barrier) 또는 배플(baffle: 57)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벌레 유입구(26)로부터 메쉬 백(40)까지 연속적인 유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쉬 백(40)과 취입노즐(22) 사이에 도관(56)이 연통된다. 또한, 연소/열교환 장치(50) 위를 지나는 공기가 상기 장치(10)로부터 배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터(61)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는 금속 메쉬 직물로 구성되지만, 보다 광범위하게는, 여느 적절한 필터링 방법을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연소/열교환 장치(50)는, 각각 강철(steel) 또는 여느 다른 금속과 같이 열전도 재료로 형성되는 1쌍의 이분체(72,74)를 포함한다. 상기 이분체들(72,74)은 나사가공된 캡 스크루(76)와 같은 일련의 체결구에 의하여 서로 체결된다. 대안적으로, 용접이나 다른 체결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분체(72,74)는 각각 강철로 주조되지만, 여느 적절한 열전도 재료 또는 성형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각 이분체(72,74)는, 각각 부분 연소챔버(82,84)(부분 챔버(82)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를 형성하는 부분 연소챔버부(78,80)와, 각각 부분 열교환 경로(90,92)(부분 경로(92)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를 형성하는 부분 열교환기부(86,88)를 구비한다. 조립시, 2개의 이분체들(72,74)은, (a) 상기 장치(50)의 연소챔버부(94)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분 연소챔버부들(78,80)이 결합되고, 연소챔버부(94)를 통해 연장되는, 전체적으로 참조부호 96으로 표기되는 연소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분 연소챔버들(82,84)이 결합되며 (b) 열교환기부(98)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분 열교환기부들(86,88)이 결합되고, 연소챔버(96)과 연통되는, 전체적으로 100으로 표기되는 열교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분 열교환 경로들(90,92)이 결합되도록 상기 2개의 이분체(72,74)가 함께 결합된다.
연소챔버(96)는 주입포트(102)를 가진다. 연료노즐(104)은 주입포트(102)내에 수용된다. 상기 노즐(104)은 통상적인 형태로 되어 있고, 45도 정도의 분사 각도를 갖는다. 상기 분사 노즐(104)은 세장형 튜브(108)에 의하여 연소/열교환 장치(50)의 후방부상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매니폴드(solenoid namifold: 106)(도 5에 도시됨)와 연통된다. (도 6에 도시된) 조절기(64)의 군단부(proximad end)는 솔레노이드 매니폴드(106)에 연결되고, 상기 매니폴드는 연료 공급부(즉, 프로판 탱크(12))와 노즐(104)간에 유체 연통을 생성하여 가연성 연료를 노즐(104)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연소챔버(96)로 상기 연료를 전달한다.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노즐(104)로의 전달을 위하여 매니폴드(106)를 통해 연료가 흐르도록 하기 위한 개방위치와, 상기 매니폴드(106)를 통해 연료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여 노즐(104)로 흐르는 것을 막는 폐쇄위치 사이로 이동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그것의 폐쇄위치를 향하여 밸프를 편향시키는 스프링(도시 안됨)을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10)는 제어기(70)와 전기적으로 연통되고, 통상적으로 상기 제어기(70)는 솔레노이드 밸브(110)를 활성화(energize)시키기 위하여 전기신호를 전달하고, 전력 코드(66)가 전력 공급부내로 플러깅될 때 상기 밸브(11)를 그것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킨다. 특정 작동 조건 하에서, 본 명세서에서 후술되는 제어체계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기(70)는 노즐(104) 및 연소챔버(96)로의 추가적인 연료의 유동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스프링이 상기 밸브(110)를 그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게 하기 위하여 상술된 전기신호를 차단할 것이다.
솔레노이드 밸브(110)의 사용은 바람직한 특징이며, 제한하려는 의도로 한 것은 아니다.
도 11 내지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챔버(96)는 그 내부에 관상 슬리브(112)가 장착된다. 비교적 얇은 확산기 플레이트(114)는 노즐(104)과 인접한 그 단부에서 슬리브(112)내에 장착된다. 상기 확산기 플레이트(114)는 그를 통해 펀치가공된 복수의 어퍼처(116)를 가지며, 이는 도 14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상기 어퍼처(116)들의 펀치가공은 (연료 유동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114)의 하류측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플랜지(114a)를 형성한다. 코팅되지 않은, 촉매적으로 불활성의 세라믹 모노리스(monolith:118)는 슬리브(112) 내에서 확산기 플레이트(114)로부터 하류측에 그로부터 이격된 관계로 위치된다. 상기 세라믹 모노리스(118)는 그것의 길이를 통해 형성되는 본질적으로 선형인 일련의 세장형 도관(120)을 가진다. 상기 도관(120)들은 도 13에 가장 잘 나타나 있고,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400개가 존재하나, 다른 개수가 사용될 수 있다. 끝으로, 슬리브(112)내에는 세라믹 모노리스(118)로부터 이격된 관계로 촉매요소(122)가 위치된다. 상기 촉매요소(122)는 세라믹으로 형성되고 백금과 같은 촉매적으로 활성인 재료로 코팅된 모노리스 촉매 몸체(124)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24)는 모노리스(118)와 유사한 방식으로 그 길이를 통해 형성된, 본질적으로 선형인 복수의 세장형 도관을 가진다. 다른 개수의 도관이 사용될 수도 있지만,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촉매 몸체내에 100개의 도관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관들의 분포는 세라믹 모노리스(118)의 것과 유사하다.
관상의 슬리브(112) 벽은 그를 통해 형성되고 촉매몸체(124)와 세라믹 모노리스(118) 사이에 위치되는 점화기 수용구멍(126)을 가진다. 조립시, 함께 결합되기 이전에, 확산기 플레이트(114), 모노리스(118) 및 촉매몸체(124)가 그 안에 미리 조립된 슬리브(112)가 부분 연소챔버들(82,84) 중 하나에 위치된다. 부분 연소챔버부(78,80)들 각각은, 함께 결합될 때 점화기 수용구멍을 형성하는, 그 상부 에지상에 형성된 부분 점화기 수용구멍(128)을 가진다. 점화기(134)가 상기 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촉매몸체(124)와 모노리스(11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슬리브(112)의 점화기 수용구멍(126)은 부분 구멍(128,130)에 의하여 형성된 점화기 수용구멍과 정렬된다. 상기 점화기(134)는 제어기(7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에 의하여 전력을 동력화하며, 모노리스(118)와 촉매몸체(124) 사이에서 유동하는 연료/공기 혼합물을 점화시키는 스파크를 생성한다. 작동시, 연료/공기 혼합물이 촉매몸체(124)로 계속 유동함에 따라, 연료/공기 혼합물이 계속적으로 연소될 것이다. 이러한 구역을 연소지점이라 칭한다. 상기 연소지점은 모노리스(118)와 확산기 플레이트(114)의 하류에 자리한다.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작동시, 촉매몸체(124)는 전달된 연료/공기 혼합물의 연속적인 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온도로 상승된다. 즉, 그 작동 온도에서, 촉매몸체(124)는 연료/공기 혼합물을 태우기에 충분히 고온이기 때문에, 촉매몸체(124)를 상승된 온도로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연소시, 촉매적으로 활성인 재료는 결과적인 배기가스내의 여하한의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상기 연소는 촉매(24)와 함께 발생되거나 촉매몸체(124) 전에서 발생될 수 있다.
연소작업은 다음과 같이 일어나며, 도 15를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연료(즉, 프로판)는 연소챔버(96)의 상류 단부로 분사되며, 가압된 공기는 연료와의 혼합을 위해 챔버(96)의 상류 단부로 밀려들어 간다. 공기가 공급되는 방식은, 가압된 공기가 팬(54)으로부터 얻어지기 때문에 팬(54)과 열교환기부(98)의 기능 및 작동을 기준으로 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는 연료와 공기의 난류 혼합물을 생성한다. 이 점에서, 난류는 연료롸 공기를 서로 확실하게 혼합시키기에 바람직하다. 하지만, 연소지점에서는 난류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확산기 플레이트(114)는 난류를 줄임으로써 초기에 유동을 "직선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혼합물이 상기 플레이트(114)를 통하여 형성되는 어퍼처(116)를 통하여 하류로 유동하면, 어퍼처들, 특히 그로부터 하류로 연장되는 플랜지들이 하류방향으로의 혼합물의 유동을 "정렬"시키고 그 난류를 줄여주어 상기 유동이 보다 더 층류화되도록 한다. 상기 혼합물이 계속해서 하류로 유동하면, 상기 혼합물은 세라믹 모노리스(118)의 도관(120)으로 들어간다. 상기 도관(120)들의 본질적으로 선형인 세장형 구조는 본질적으로 모든 난류를 제거하고 연소지점에 본질적으로 보다 층류에 가까운 연료/공기 혼합물을 제공한다. 연료와 공기는 심한 난류상태에 있는 동안 상류에서 확실히 혼합되었기 때문에, 모노리스(118)에 의해 연소지점으로 전달되는 혼합물은 본질적으로 균질하다. 균질한 혼합물과 층류인 유동은 연소시 모든 연료가 확실히 연소될 수 있도록 하기에 바람직하다. 특히, 균질한 유동은 연소지점에 존재하는 모든 연료와 공기가 균일하게 연소되도록 하며, 층류 유동은 혼합물이 연소시 심한 난류상태로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될 때 채 타지 않은 연료가 배기가스와 함께 통과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는, 연료의 존재는 날벌레들을 유인하는데 있어 효과적이지 못하며 사실상 날벌레들이 싫어하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궁극의 배기가스내의 연료의 존재를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연료 혼합물은 가열된 배기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연소에 의해 태워진다. 상기 배기가스는 특히 이산화탄소와 약간의 일산화탄소를 포함한다. 배기가스가 촉매몸체(124)를 통해 유동하면, 촉매적으로 활성인 재료가 반응을 일으켜 상기 가스내에 존재하는 일산화탄소가 이산화탄소로 전환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촉매전환이라 칭하는, 상기 반응의 부산물로는 상기 배기가스내의 (증기형태의) 수분의 생성이 있다. 상기 반응이 일어나는 방식은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반응을 제공하는 이유는, 일산화탄소가 모기 및 기타 날벌레들을 배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배기가스내에 일산화탄소의 존재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수분의 존재로 인한 결과적인 배기가스는 통상적으로 습윤한 포유동물의 호흡 배출물과 더욱 흡사할 것이기 때문에, 촉매전환 반응의 결과인 배기가스 내의 수분의 존재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유리한 측면이 있다. 복수의 세장형 도관을 갖는 촉매몸체(124)의 사용은 가열된 배기가스를 코팅된 촉매적으로 활성인 재료에 더 많이 노출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플레이트(114) 및 모노리스(118)는 난류저감구조체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말할 수 있다. 상기 난류저감구조체는, 도관(120)들로 구성된 복수의 어퍼처, 및 촉매몸체(124)의 도관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 예시된 실시예의 어퍼처(116)를 갖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처들은 상기 주입포트로부터 나온 연료의 유동을 직선화시켜 연소지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연료내의 난류를 저감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모노리스(118) 및 촉매몸체(124)와 슬리브(112)의 내부면 사이에는 절연재료(130)가 제공된다.
연소챔버(96)는 열교환 경로(100)로 개방되는 슬리브(112)로부터 하류의 배기포트(136)를 가진다. 배기가스는 상기 열교환 경로(100)를 통해 연소/열교환 장치(50)의 배기구(138)로 유동한다. 상기 가스가 상기 경로(100)을 따라 유동하면, 열교환기부(98)의 열전도 재료로 열을 전달한다. 상기 열교환기부(98)는 복수의 수직방향 개구부(142)에 의하여 분리되는, 수직방향으로 지향된 복수의 열교환 핀을 포함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가스로부터 전달되는 열은 상기 핀들(140)로 전도되고, 상기 팬(54)은 상기 개구부(142)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도록 한다. 상기 개구부(142)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핀(140)을 냉각시키고 배기가스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흡수한다. 선택적으로, 배기포트(138)로 나갈 때의 배기가스의 온도는 거의 주변 온도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15℉를 넘지 않아야 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배기가스의 온도는 주변보다 5 내지 15℉를 넘지 않아야 한다.결과적으로, 본 공정의 최종 생성물은 포유동물의 호흡 배출물과 가장 유사한 배기가스이다 - 이는 이산화탄소와 물의 존재로부터 수분을 함유하며, 포유동물의 호흡시에 전형적인, 상기 주변의 온도나 그보다 약간 상회하는 온도를 갖는다.- 또한, 촉매전환 반응은 일산화탄소의 존재를 최소화하거나 소멸시킨다. 따라서, 결과적인 배기가스는, 포유동물의 조직이나 피를 먹고 살며 그들의 먹이를 찾기 위해 포유동물의 호흡을 "향해 가는(home in on)" 모기 및 기타 날벌레들을 유인하는데 있어 뛰어나다.
이제 팬(54)의 기능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팬(54)은 상술된 바와 같이 코드(66)에 의해 전달된 전력에 의해 동력화되는 제어기(70)에 의해 전달된 전기신호에 의해 동력화된다. 외부 전원에 연결하기 위해 전력코드(66)를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은 아니며, 상술된 '243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팬(54) 및 여느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은, 배터리, 솔라 패널(solar panel) 또는 연소과정을 통한 열에너지의 전기에너지로의 전환과 같은 다른 소스들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팬 플리넘(52)은 일련의 체결구 또는 접착제 또는 스냅 피트 피처와 같은 다른 적정한 부착수단에 의하여 연소/열교환 장치(50)에 장착된다. 상기 팬 플리넘(52)은 기본적으로 상기 장치(50)의 일 측면을 둘러싸며, 팬(54)의 부착을 위해 장착지점을 제공한다. 도 6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팬 플리넘(52) 내의 대형 원형 개구부(144)는 도관(56) 및 메쉬 백(40)용 개구부(34)를 통해 벌레 유입구(26)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는 팬(54)이, 상기 팬(54)으로부터 상기 개구부(144)를 통해 연소/열교환 장치(150)의 개구부(142)로, 그리고 필터(61) 밖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팬(54)들은 핀(140)을 냉각시키고 벌레 유입구(26)내로 벌레들을 빨아들이는 진공을 생성하는 두 가지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진공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어떠한 장치도 사용될 수 있으며, 단일 팬(54)의 제공은 적절한 진공장치의 일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더더욱 광범위한 형태에서는, 상기 장치가 진공을 생성하고 연소챔버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동일한 장치가 사용될 필요는 없다.
팬 플리넘(52)의 전방부상에는, 연소/열교환 장치(50)상의 대응되는 공기공급부(148) 위에 결합되는 공기공급부(146)(또한, 도 6에 도시됨)가 있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공급부(148)는 연소챔버(96)의 상부와 연통되는 상부 개구부(150)를 가진다. 또한,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공급부(148)는 연소챔버(96)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부 개구부(152)를 가진다. 하부 개구부(152)는 (도 1에 도시된) 개구부(142a)를 통해 (팬(54)에 의해 흡인된 공기유동에 비해) 상기 장치(50)의 하류측으로 개방되어, 필터(61)와 연통된다. 상부 개구부(150)는 그 공기공급부(148)를 통해 상기 장치(50)의 상류측으로 개방되어, 팬 플리넘(52) 및 팬(54)과 연통된다. 상기 구조의 결과로서, 팬(54)은 개구부(150,152)를 통해 챔버(96)를 통하여 주변공기를 유입함으로써 주변공기가 상기 연소챔버(96)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점에서, 이와 같이 가압된 주변 공기는 상술된 처리에 따른 연소를 위하여 노즐(104)에 의해 전달된 연료와 혼합된다.
도 16은 제거가능성이 필수적인 특징은 아니지만 예시된 구조에 있어 제거가능한 출구노즐(28)을 예시하고 있다. 출구노즐(28)의 상단부는 러그들(156)을 수용하는 본질적으로 L자형상인 1쌍의 L-자형 슬롯(154)을 가진다. 상기 러그 수용슬롯(154)들은 상기 출구노즐(28)이 연소/열교환 장치(50)용 배기구 포트(138)의 내주부 상에 제공된 러그(156)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러그(156)는 도 9 및 10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상기 출구노즐(28)은, 상기 슬롯(154)들의 개방 단부를 러그(156)와 정렬시키고, 상기 러그(156)가 상기 슬롯(154)의 저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노즐을 축선방향 윗쪽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출구노즐(2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착된다.
벌레유인부(160)는 출구노즐(28)의 하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벌레유인부(160)는 하우징(162) 및 상기 하우징(162)의 개방된 하단부를 폐쇄시키는 캡(164)을 포함한다. 상기 캡(164)은 상기 캡(164)을 하우징(162)내에 해제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스냅-인(snap-in) 요소(165)를 갖는다. 하우징의 내측에 사용되는 유인제(attractant)는 옥테놀(octenol) 또는 모기 및 여타 날벌레를 유인하는 것을 돕는 포유동물의 냄새와 흡사한 여타 재료일 수 있다. 하우징(162)은 상기 유인제가 배기가스와 혼합되고 상기 배기 유동의 일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개구부(166)를 가진다. 상기 하우징(162)은 상기 취입노즐(22) 상의 개구부들(170)과 정렬된 1쌍의 내부 나사부들(168)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162)을 해제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나사부(168)내에는 1쌍의 스크루(172)가 삽입된다. 사용자가 원할 때에는, 하우징 내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출구노즐(28)을 제거하고 캡(164)을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유인제가 제거되거나 필요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이제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예시적 흐름도를 참조하여, 제어기(7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2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날벌레 포획장치(10)가 켜지면, 단계 204에서 제어기(70)는 팬(54)을 켜고 팬 상에서 진단 체크(diagnostic check)를 수행한다. 팬의 진단 체크가 실패하거나 팬(54)이 켜지지 않는다면, 제어기(70)는 상기 장치(10)을 멈추고 팬(54)에 에러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일단 팬(54)이 켜지고, 팬에 대한 진단 검사가 통과되면, 제어기(70)는 단계 2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0을 기다리고, 단계 208에서 솔레노이드(110)를 개방시키고, 점화기(134)를 켜고, 상기 시스템의 나머지 진단 검사를 수행한다. 상기 시스템의 나머지의 진단 검사는, 예를 들어 점화기, 서미스터, 솔레노이드, 버그 백 스위치 등이 검사를 포함한다. 즉, 단계 208에서 진단 검사가 실패하면, 단계 222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테스트가 실패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다음으로, 제어기(70)는 단계 210에서 상기 시스템의 온도를 체크하고, 단계 2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7분내에 온도 T1에 도달되면,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한다. 하지만, 7분내에 상기 온도 T1에 도달하지 않는다면, 상기 프로세스는 팬(54)이 시간2 동안 켜진채 유지되고, 솔레노이드(110)가 폐쇄되고, 점화기(134)가 폐쇄되고, 기능 중의 시스템이 시간2 동안 사용될 수 없으며, 상기 제어기(70)가 탱크내에 가스가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 224로 계속 진행된다. 단계 212에서의 온도 체크가 통과되면, 단계 2146에서 점화기가 꺼지고, 단계 216에서 상기 시스템의 온도가 다시 체크된다. 온도 T2가 시간4내에 도달되면, 상기 프로세스는 제어기가 정상모드로 작동되고 주기적으로 온도를 점검하는 단계 218로 계속 진행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어기가 탱크(12)내에 가스가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 224에서 상술된 작업을 진행한다.
정상 작동모드(218)하에서, 제어기는 상기 온도가 T2와 T3 사이에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그렇다면, 상기 시스템은 계속해서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장치(10)은 도 18을 참조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온도유지 처리에 들어간다.
도 18은 상기 시스템의 온도가 T2와 T3 사이에 있지 않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2가지 가능한 상황들을 나타내고 있다. 첫번째 경우(228)는 상기 시스템의 온도가 T3를 상회하여 증가한다는 경우이다. 이 상황에서, 제어기(70)는 단계 230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간2 동안에 솔레노이드를 끌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2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10)가 켜지고, 점화기(134)가 켜지며, 제어기가 시스템의 온도를 체크한다. (단계 2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일 상기 시스템의 온도가 시간1 내에서 T1까지 높아지지 않는다면, 단계 224와 관련해 상술된 바와 같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상기 가스 탱크가 비어 있다는 것을 알릴 것이다. 만일 온도가 T1까지 높아진다면, 단계 236에 의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점화기(134)가 꺼지고, 제어기(70)가 온도를 체크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단계 238에 의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의 온도가 시간3 내에서 T2에 도달하지 않는다면, 가스 탱크(12)가 비어 있다는 것을 알리는 작업단계(224)가 진행된다. 제 때에 온도 T2에 도달한다면, 제어기는 온도 T3가 시간4 동안 도달되지 않았는지(단계 240로서 나타냄)를 확인하고, 상기 시스템을 정상 작동모드(218)로 복귀시킨다. 하지만, 온도가 T4 내에서 T3을 상회하도록 높아진다면, 팬은 시간2 동안 켜진채 유지되고, 솔레노이드(110)가 폐쇄되며,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상기 온도가 너무 높다는 것을 알릴 것이다.
두번째 경우(244)는 장치(10)의 온도가 T2보다 낮을 때이다. 이 경우에는, 단계 2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화기(134)가 켜지고, 제어기(70)가 상기 장치(10)의 온도를 체크한다. 단계 248에서, 상기 시스템의 온도가 높아지고 있다면, 제어기(70)는 상기 시스템을 정상 작동모드(218)로 복귀시킨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기(7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상기 가스 탱크(12)가 비어 있다는 것을 알린다.
도 19는 상기 시스템을 끄기 위한 예시적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 3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치(10)이 꺼져 있는 경우, 제어기(70)는 시간2 동안 상기 팬(54)을 켜진채로 놓아두며, 솔레노이드(110)를 폐쇄시키고, 점화기(134)를 폐쇄시키며, 단계 3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2 동안 제기능을 하지 않게 한다.
상술된 온도들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T1, T2 및 T3에 대해 각각 600℉, 800℉ 및 1000℉이다. 상기 시간과 관련해서는, 시간0, 시간1, 시간2, 시간3 및 시간4는 각각 3분, 2분, 5분, 4분 및 5분이다. 위에서 주어진 온도와 시간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상기 값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여하한의 값이 상기 시간 및 온도에 대하여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광범위하게 말하자면, 제어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술된 기능들은 몇가지 예상되는 제어기(70) 작동방법들 중 일 예로서 의도되었다. 일반적으로, 제어기(70)는 상기 장치(10)을 작동시켜야 하고, 상기 작동은 앞서 설명되었으나, 도 17 내지 19에 나타낸 각 단계들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상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능 및 구조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제한의 의도는 없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항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모든 변경, 첨부, 치환 및 등가물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Claims (53)

  1. 가연성 연료를 포함하는 연료공급부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날벌레 포획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놓인 벌레 포획 챔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놓인 연소 장치 - 상기 연소 장치는 배기포트, 상기 연료공급부와 연결하기 위한 주입포트, 및 상기 주입포트를 상기 배기포트와 연통시키는 연소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포트는 상기 연소챔버내에 배기가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공급부로부터 나온 연료를 상기 연소 챔버 내에서의 연속적인 연소를 위해 상기 연소챔버내로 유동하게 할 수 있음-;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연소챔버내에 배치된 촉매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촉매요소는 상기 연소챔버내에서 생성된 상기 배기가스가 선형인 복수의 세장형 도관을 통해 상기 배기포트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선형인 복수의 세장형 도관을 갖는 촉매몸체를 가지며, 상기 촉매몸체는 작동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세장형 도관을 통해 유동할 때 상기 배기가스 내의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키는 촉매적으로 활성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상에서 놓인 배기구 - 상기 배기구는 상기 연소장치의 상기 배기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배기가스 내의 이산화탄소에 유인된 벌레들이 배기구를 향하여 날아가도록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유동하게 하도록 구성됨-;
    날벌레들이 벌레 입구를 통해 상기 벌레 포획 챔버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벌레 포획 챔버와 연통된 상기 벌레 입구; 및
    상기 벌레 입구와 연통된 진공장치 - 상기 진공장치는 상기 벌레 입구를 통해 상기 배기구로 유인된 벌레들을 상기 벌레 포획 챔버내로 끌어들이도록 구성되고 배치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촉매요소 상류의 상기 연소챔버내에 배치된 난류저감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류저감구조체는 상기 촉매몸체의 상기 세장형 도관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된 복수의 어퍼처를 가지며, 상기 어퍼처들은 상기 연료 내의 난류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주입포트로부터의 연료의 유동을 직선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저감구조체는 촉매적으로 불활성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처들은 상기 주입포트로부터의 상기 연료의 유동을 직선화하기 위하여 그를 통해 형성된 선형인 복수의 세장형 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저감구조체는 상기 주입포트와 상기 촉매적으로 불활성인 몸체 사이의 상기 연소챔버내에 위치된 확산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처들은 상기 확산기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멍들은 상기 주입포트로부터의 상기 연료의 유동을 초기에 직선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적으로 불활성인 몸체는 세라믹 모노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몸체 상에 코팅되는 백금에 의하여 상기 촉매적으로 활성인 재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촉매요소 및 상기 난류저감구조체는 상기 슬리브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절연 재료로 내부적으로 라이닝되는(이어지는: lining)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촉매요소, 상기 촉매적으로 불활성인 몸체 및 상기 확산기 플레이트는 상기 슬리브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절연재료로 내부적으로 라이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를 대략 주변온도까지 낮추기 위한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장치는 단일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장치.
  16. 날벌레 포획시스템에 있어서,
    가연성 연료를 포함하는 연료공급부;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놓인 벌레 포획 챔버;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놓인 연소장치 - 상기 연소장치는 배기포트, 상기 연료공급부와의 연결을 위한 주입포트, 및 상기 주입포트를 상기 배기포트와 연통시키는 연소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포트는 상기 연소챔버 내에 배기가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공급부로부터 나온 연료를, 상기 연소 챔버 내에서의 연속적인 연소를 위해 상기 연소챔버내로 유동하게 할 수 있음-;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연소챔버 내에 배치된 촉매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촉매요소는 상기 연소챔버내에서 생성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포트를 향하여 선형인 복수의 세장형 도관을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선형인 복수의 세장형 도관을 갖는 촉매몸체를 가지며, 상기 촉매몸체는 작업시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세장형 도관을 통해 흐를 때 상기 배기가스내의 일산화탄소를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키는 촉매적으로 활성인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놓인 배기구 - 상기 배기구는 상기 연소장치의 상기 배기포트와 연통되고, 상기 상기 배기가스내의 이산화탄소에 유인된 벌레들이 배기구를 향하여 날아가도록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바깥쪽으로 유동하게 하도록 구성됨-;
    날벌레들이 벌레 입구를 통해 상기 벌레 포획 챔버로 들어가도록, 상기 벌레 포획 챔버와 연통된 상기 벌레 입구; 및
    상기 벌레 입구와 연통된 진공 장치 - 상기 진공 장치는 상기 벌레 입구를 통해 상기 배기구에 유인된 벌레들을 상기 벌레 포획 챔버내로 끌어들이도록 구성되고 배치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촉매요소 상류의 상기 연소챔버내에 배치된 난류저감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류저감구조체는 상기 촉매몸체의 상기 세장형 도관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복수의 어퍼처를 가지며, 상기 어퍼처들은 상기 주입포트로부터의 연료의 유동을 직선화하여 상기 연료내의 난류를 저감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저감구조체는 촉매적으로 불활성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처들은 상기 주입포트로부터의 상기 연료의 유동을 직선화하기 위하여 그를 통해 형성된 선형인 복수의 세장형 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저감구조체는 상기 주입포트와 상기 촉매적으로 불활성인 몸체 사이의 상기 연소챔버내에 위치된 확산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퍼처들은 상기 확산기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멍들은 상기 주입포트로부터의 상기 연료의 유동을 초기에 직선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적으로 불활성인 몸체는 세라믹 모노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 벌레 포획시스템.
  22. 삭제
  23. 제17항에 있어서,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촉매요소 및 상기 난류저감구조체는 상기 슬리브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절연 재료로 내부적으로 라이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26. 제19항에 있어서,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촉매요소, 상기 촉매적으로 불활성인 몸체 및 상기 확산기 플레이트는 상기 슬리브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절연재료로 내부적으로 라이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를 대략 주변온도까지 낮추기 위한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3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연료는 프로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3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장치는 단일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벌레 포획시스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KR1020047004919A 2001-10-04 2002-10-03 날벌레 포획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제조방법 KR100939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672201P 2001-10-04 2001-10-04
US60/326,722 2001-10-04
PCT/US2002/031550 WO2003028448A2 (en) 2001-10-04 2002-10-03 System for trapping flying insect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876A Division KR100978590B1 (ko) 2001-10-04 2002-10-03 날벌레 포획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902A KR20040050902A (ko) 2004-06-17
KR100939308B1 true KR100939308B1 (ko) 2010-01-28

Family

ID=232734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876A KR100978590B1 (ko) 2001-10-04 2002-10-03 날벌레 포획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제조방법
KR1020047004919A KR100939308B1 (ko) 2001-10-04 2002-10-03 날벌레 포획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876A KR100978590B1 (ko) 2001-10-04 2002-10-03 날벌레 포획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6840005B2 (ko)
EP (1) EP1432304B1 (ko)
JP (1) JP4317748B2 (ko)
KR (2) KR100978590B1 (ko)
CN (1) CN1299570C (ko)
AT (2) ATE404053T1 (ko)
AU (2) AU2002356537B2 (ko)
BR (1) BR0213059B1 (ko)
CA (1) CA2460876C (ko)
DE (2) DE60228339D1 (ko)
DK (1) DK1432304T3 (ko)
ES (2) ES2261780T3 (ko)
MX (1) MXPA04003053A (ko)
PT (1) PT1432304E (ko)
WO (1) WO200302844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6249B1 (en) 1996-09-17 2001-09-11 American Biophysics Corp. Counterflow insect trap
US6925752B1 (en) * 2001-02-15 2005-08-09 Armatron International, Inc. Insect lure and trap system
PT1432304E (pt) * 2001-10-04 2006-09-29 American Biophysics Corp Sistema para apanhar insectos voadores.
US8067469B2 (en) 2002-05-08 2011-11-29 Woodstream Corporation System for trapping flying insects with attractant lures
CN101536683A (zh) 2002-05-08 2009-09-23 伍德斯特里姆公司 利用引诱剂诱捕飞虫的系统
AU2003287146A1 (en) 2002-10-18 2004-05-13 American Biophysics Corp. System for trapping flying insect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3983166B2 (ja) * 2002-12-26 2007-09-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面光源並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6779296B1 (en) * 2003-02-07 2004-08-24 The Coleman Company, Inc. Mosquito trapping apparatus utilizing cooled carbon dioxide
US20040237382A1 (en) * 2003-05-27 2004-12-02 Durand Emma Amelia Trap with improved flow regulator
US6817140B1 (en) * 2003-05-27 2004-11-16 Emma Amelia Durand Trap with flush valve
US20040255507A1 (en) * 2003-06-19 2004-12-23 Cpd Associates, Inc. Tank retention sling
US20050066570A1 (en) * 2003-09-25 2005-03-31 The Coleman Company, Inc. Gas tip and gas tip holder for a mosquito trap
US7234268B2 (en) * 2003-12-16 2007-06-26 Welch Tommy D Bug killing device
GB0401982D0 (en) * 2004-01-30 2004-03-03 Rentokil Initial Plc Insect control device
US7281351B2 (en) * 2004-03-19 2007-10-16 Woodstream Corporation Device for trapping flying insects
US20050223625A1 (en) * 2004-03-26 2005-10-13 Jerry Whitlow System and method for insect abatement using gas attractant emitter
US20050252075A1 (en) * 2004-05-11 2005-11-17 Blue Rhino Global Sourcing, Llc Wave shaped screen for insect trap
US7293387B2 (en) 2004-06-08 2007-11-13 Woodstream Corporation Attractant system for mounting to an insect trapping apparatus
US20080134570A1 (en) * 2004-06-08 2008-06-12 Woodstream Corporaton Attractant system for mounting to an insect trapping apparatus
US20060117646A1 (en) * 2004-12-02 2006-06-08 Jian Dai Insect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191560B2 (en) * 2005-01-12 2007-03-20 David Harris Flying insect trap
US7363745B2 (en) * 2005-04-29 2008-04-29 Liao Yi-Shawn Pest trapping device
US7293388B2 (en) * 2005-05-13 2007-11-13 Armatron International, Inc. Adaptive control system
WO2007005968A1 (en) 2005-07-06 2007-01-11 American Biophysics Corporation Insect trapping apparatus with fog generator
CN100361573C (zh) * 2005-07-30 2008-01-16 宋锡宝 一种食蚊机
EP2034822A4 (en) * 2006-06-07 2014-04-23 Woodstream Corp INSECT ATTRAKTANZ COMPOSITION
US8973299B2 (en) * 2006-06-15 2015-03-10 Woodstream Corporation Flying insect trapping device and flying insect trapping system
WO2008121969A1 (en) * 2007-03-30 2008-10-09 Kaz, Incorporated Flow restrictor
US8141291B2 (en) * 2007-03-30 2012-03-27 Woodstream Corporation Mosquito trap with improved airflow
AU2008243253B2 (en) * 2007-11-13 2013-05-23 Bantix Worldwide Pty Ltd Insect trap
CN101785449A (zh) * 2010-03-17 2010-07-28 上海大学 气流式捕蚊器
US8753110B2 (en) 2010-05-20 2014-06-17 Woodstream Corporation Vented propane combustion chamber for insect attractant engine
JP5807736B2 (ja) * 2010-11-16 2015-11-10 石井 義之 蚊の習性と重力を利用した蚊捕獲装置
US8756857B2 (en) 2011-01-14 2014-06-24 Technologies Holdings Corp. Hydronic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pest control
US8720109B2 (en) 2011-01-25 2014-05-13 Technologies Holdings Corp. Portable heating system for pest control
US8479439B2 (en) * 2011-04-06 2013-07-09 Technologies Holding Corp. Self-contained heating unit for thermal pest control
US20140075824A1 (en) * 2012-09-14 2014-03-20 Woodstream Corporation Wi-fi enabled insect trapping apparatus
CN104427866A (zh) * 2013-06-12 2015-03-18 慕克萨实验室私人有限公司 杀蚊装置
CN104719268A (zh) * 2015-01-28 2015-06-24 刘宪雄 一种捕蚊方法及用于该方法中的引诱剂装置
WO2017078546A1 (en) * 2015-11-05 2017-05-11 Redmayne John Michael A trap
CA3113921A1 (en) * 2018-10-26 2020-04-30 Human Centered And Bio-Inspired Ideas For Daily Life S.R.L. In Sigla Hubilife S.R.L. Bio-robotic device for luring and killing hematophagous arthropods
BR102018072956B1 (pt) * 2018-11-08 2024-02-20 Livefarm Tecnologia Agropecuaria Ltda Adaptador para automação de dispositivos de detecção, contagem remota, automática e ininterrupta de pragas-alvo e controlador perimetral de lepidópteros
CN112293367A (zh) * 2020-10-23 2021-02-02 高庆刚 一种农业用杀虫灯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5243A (en) * 1996-09-17 2000-11-14 American Biophysics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producing CO2 gas for trapping insect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3368A (en) * 1927-11-04 1928-11-27 Effie May Cherry Mosquito and insect trap
FR717903A (fr) 1931-05-29 1932-01-16 Dispositif pour capturer et pour détruire les insectes
US2893161A (en) * 1958-04-10 1959-07-07 Frank S Reid Suction-blower type illuminated insect trap
US3196577A (en) * 1962-04-09 1965-07-27 Dublin Entpr Inc Insect exterminator
US3852042A (en) * 1973-01-29 1974-12-03 Universal Oil Prod Co Catalytic converter with exhaust gas modulating chamber for preventing damage to catalyst substrate
US4421095A (en) * 1981-09-28 1983-12-20 Philipp Kreis Gmbh & Co. Room heating apparatus for small spaces
US4608774A (en) * 1983-03-11 1986-09-02 Sherman Daniel A Construction for roach traps
US4785573A (en) * 1983-05-26 1988-11-22 Millard Lance L Portable electronic insect controller
US4519776A (en) * 1983-07-08 1985-05-28 Armatron International, Inc. Apparatus for attracting insects
US4506473A (en) * 1983-11-14 1985-03-26 John G. Mills, II Carbon dioxide generator insect attractant
EP0249958A3 (en) * 1986-06-20 1988-11-09 Michael W. Briese Insect trap
JPS6414128A (en) 1987-07-09 1989-01-18 Asahi Glass Co Ltd Sealing composition
JPH0683894B2 (ja) 1988-08-31 1994-10-26 横田機械株式会社 自動半田付け装置
CA2026945C (en) * 1990-10-04 2000-10-03 Jose M. Dieguez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ation and delivery of insect attractant based on carbon dioxide
US5417009A (en) * 1991-01-18 1995-05-23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House fly, horn fly, and mosquito repellents and apparatus useful in testing efficacy of same
US5205065A (en) * 1991-01-18 1993-04-27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Use of ketone, alcohol and schiff base-containing compositions for repelling blood feeding arthrop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pellency and attractancy of semio-chemicals against and for blood feeding arthropods
US5177961A (en) * 1991-06-26 1993-01-12 W. R. Grace & Co.-Conn. Upstream collimator for electrically heatable catalytic converter
US5255468A (en) * 1991-07-26 1993-10-26 Bugvac U.S.A., Inc. Insect attracting and capturing apparatus
US5189830A (en) * 1991-08-26 1993-03-02 Janette Zuckerman Tick trap
US5157865A (en) * 1991-10-03 1992-10-27 Chang Che Yuan Cantilever type mosquito catcher
US5167090A (en) * 1991-11-21 1992-12-01 Cody Patton J Flying insect killer apparatus
US5355973A (en) * 1992-06-02 1994-10-18 Donaldson Company, Inc. Muffler with catalytic converter arrangement; and method
US5205064A (en) * 1992-08-19 1993-04-27 James Nolen & Company Device for attracting and destroying insects
US5311697A (en) * 1992-12-29 1994-05-17 Cavanaugh Martin P Apparatus for reducing the population of flying insects
US5301458A (en) * 1993-05-03 1994-04-12 Armatron International, Inc. Insect killer
US5329725A (en) * 1993-06-07 1994-07-19 Bible Donald W Bug light and bag apparatus
FR2717223B1 (fr) * 1994-03-08 1996-04-19 Renault Dispositif d'échappement pour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US5595018A (en) * 1995-02-28 1997-01-21 Wilbanks; Alvin D. Mosquito killing system
US6050025A (en) * 1995-02-28 2000-04-18 Wilbanks; Alvin D. Infrared insect/mosquito killing system
US5651211A (en) * 1995-05-12 1997-07-29 Regan; Harold R. Wall mounted trap for flies and insects
GB9513259D0 (en) * 1995-06-29 1995-09-06 Univ Southampton Insect trap device
US5647164A (en) * 1995-08-09 1997-07-15 Yates; William Insect trap
US5657576A (en) * 1995-11-13 1997-08-19 James Nicosia Insec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5669176A (en) * 1995-11-15 1997-09-23 American Biophysics Corp. Insect trap including methanol fuel cell for generating carbon dioxide and water vapor as attractants
US6286249B1 (en) * 1996-09-17 2001-09-11 American Biophysics Corp. Counterflow insect trap
DE19961133C1 (de) * 1999-12-17 2001-04-26 Truma Geraetetechnik Gmbh & Co Rauchgas-Wärmetauscher
ITPD20010179A1 (it) 2001-07-17 2003-01-17 Askoll Holding Srl Gruppo di raccordo tubi con blocco di sicurezza per filtri esterni per acquari.
PT1432304E (pt) * 2001-10-04 2006-09-29 American Biophysics Corp Sistema para apanhar insectos voadores.
US6655080B2 (en) * 2002-02-19 2003-12-02 Lentek International, Inc. Insect trapping apparatus with laminar air flow
US6662489B2 (en) * 2002-02-19 2003-12-16 Lentek International, Inc. Insect trapping apparatus
US6718685B2 (en) * 2002-05-08 2004-04-13 Cpd Associates, Inc. Insect trap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5243A (en) * 1996-09-17 2000-11-14 American Biophysics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producing CO2 gas for trapping inse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2304B1 (en) 2006-05-17
BR0213059B1 (pt) 2012-06-26
US20040244276A1 (en) 2004-12-09
US6840005B2 (en) 2005-01-11
ATE404053T1 (de) 2008-08-15
KR100978590B1 (ko) 2010-08-27
ES2313134T3 (es) 2009-03-01
AU2008246208A1 (en) 2008-12-04
ES2261780T3 (es) 2006-11-16
JP4317748B2 (ja) 2009-08-19
PT1432304E (pt) 2006-09-29
AU2008246208B2 (en) 2011-11-17
JP2005536979A (ja) 2005-12-08
EP1432304A2 (en) 2004-06-30
MXPA04003053A (es) 2005-06-20
ATE326135T1 (de) 2006-06-15
DE60211538T2 (de) 2006-11-16
KR20090125853A (ko) 2009-12-07
US20030084604A1 (en) 2003-05-08
CN1564656A (zh) 2005-01-12
AU2002356537B2 (en) 2008-08-14
DK1432304T3 (da) 2006-09-18
BR0213059A (pt) 2005-08-30
WO2003028448A2 (en) 2003-04-10
CN1299570C (zh) 2007-02-14
WO2003028448A3 (en) 2003-10-30
CA2460876A1 (en) 2003-04-10
KR20040050902A (ko) 2004-06-17
DE60211538D1 (de) 2006-06-22
CA2460876C (en) 2009-08-25
DE60228339D1 (de) 2008-09-25
US6892492B2 (en) 200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308B1 (ko) 날벌레 포획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 제조방법
AU2002356537A1 (en) System for trapping flying insect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40237382A1 (en) Trap with improved flow regulator
US8347549B2 (en) System for trapping flying insect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CA2526373C (en) Trap with flush valve
US20050022442A1 (en) Mosquito trapping apparatus utilizing cooled carbon dioxide
EP1537780B1 (en) Device for trapping flying insects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