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510B1 -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510B1
KR101384510B1 KR1020130136114A KR20130136114A KR101384510B1 KR 101384510 B1 KR101384510 B1 KR 101384510B1 KR 1020130136114 A KR1020130136114 A KR 1020130136114A KR 20130136114 A KR20130136114 A KR 20130136114A KR 101384510 B1 KR101384510 B1 KR 10138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inger
temperature control
solution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한
태호 윤
Original Assignee
태호 윤
김정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호 윤, 김정한 filed Critical 태호 윤
Priority to KR1020130136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4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6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related to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거액 및 혈액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저온의 링거액으로 인한 부작용을 차단하고,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는 링거 호스를 감싸면서 결합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의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발열부와 상기 온도조절부를 연결하는 전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injection of ringer's solution and blood}
본 발명은 링거 호스를 통과하는 링거액 또는 혈액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저온의 링거액이나 혈액 투여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되는 링거액, 수액, 혈액 등은 제조 또는 채혈되는 시점부터 사용되는 시점까지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링거액은 사용할 때까지 보관 중에 세균 번식 등에 의해 변질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하여 저온에서 냉장 보관되는 것이 보통인데, 이 경우 냉장 보관된 링거액이 환자에게 투여되면 저온의 링거액이 환자의 혈액을 타고 체내로 들어오기 때문에 체온저하, 저림, 통증 등 다양한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응급환자나 수술환자처럼 짧은 시간 내에 다량의 혈액이나 링거액이 투여되는 경우에 저온 상태의 혈액 또는 링거액을 이용하게 되면 환자의 급격한 체온 저하로 인하여 쇼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수술시 대량 수혈이 필요한 경우에는 투여 전에 미리 링거액 또는 혈액을 가온하여 투여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응급 현장에서는 미리 링거액이나 혈액 등을 가온해 놓을 수가 없을 뿐 아니라, 미리 가온시켜 보관한다 하더라도 보관 시간이 매우 짧고 세균번식 등에 의해 쉽게 변성되기 때문에 실제로 현장에서 실시하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링거액을 가온하는 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나, 종래의 링거액 가온 장치는 대부분 크기가 크기 때문에 환자가 이동하면서 사용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링거액 가온 장치는 링거액을 가열하는 발열부와 발열부를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하나의 바디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링거 호스에서 링거액이 가온되는 위치와 환자에게 투여되는 위치가 상당한 간격 이격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링거액 가온 장치를 투여되는 위치를 최대한 환자와 가까이 한다 하더라도 되면 링거액 가온 장치의 크기 때문에 환자의 손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에게 투여되기 전 링거액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저온 링거액에 의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기가 작고 분리가 가능하여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링거 호스를 감싸면서 결합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발열부와 상기 온도조절부를 연결하는 전선부를 포함하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열부는 상기 링거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링거 호스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C'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열부는 일측 개방부로 노출되는 링거 호스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방부를 덮은 보호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발열부는 일측에 상기 링거 호스를 통과하는 링거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조절부의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신호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발열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링거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링거 호스를 통과하는 링거액이 특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어 부작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고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온도조절부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온도조절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온도조절부는 일측에 상기 전원공급선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함입 형성되는 연결포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온도조절부는 상기 배터리와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전원램프와, 상기 컨트롤러가 작동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램프와, 상기 링거액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온도설정스위치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온도조절부는 바디와, 상기 바디가 링거거치프레임 또는 침대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의 단면이 'C'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바디의 일면에 형성되어 일체를 이루되 일면에서 돌출되며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제1고정유닛과, 일측에 상기 제1고정유닛의 걸림돌기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방이 개방된 형태의 걸림홈을 가지며 타측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고정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에 의하면, 발열부에 의해 링거액이 가온됨으로써 저온 링거액과 혈액에 의한 부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에 의하면, 발열부와 온도조절부가 서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에 의하면, 온도조절부가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의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의 발열부의 확대도.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의 온도조절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의 온도조절부의 결합관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는 발열부(100), 온도조절부(200), 전선부(300)를 포함하며, 전원공급선(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100)는 링거호스(1)내의 혈액 또는 링거액에 열을 공급하는 부재로서, 내부에 히터(110)가 내장된다. 발열부(100)는 링거호스(1)를 감싸면서 결합되는데, 링거호스(1)는 발열부(100)를 관통하여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발열부(100)는 링거호스(1)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단면이 'C'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링거호스(1)는 발열부(100)의 측면 개방부를 통해 용이하게 결합, 분리될 수 있다.
발열부(100)에 내장되는 히터(1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열선이 사용될 수 있으며, 히터(110)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12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열부(100)가 링거주사와 가까이 있더라도 불편하지 않게 손을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100)의 한가지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부(100)는 히터(110), 커버(120), 보호덮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히터(110)는 일반적으로 전기가 통과할 때 많은 양의 열을 발생시키는 PV선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타 열선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소재는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커버(120)는 히터(110)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히터(1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120)는 히터(110)를 외부와 밀폐시킴으로써 히터(11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히터(110)의 전기가 외부로 누전되지 않도록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커버(120)는 조립되었을 때, 'C'형태를 유지하면서도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링거호스(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연성이 있으면서도 전기적으로 절연체인 실리콘 또는 카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덮개(130)는 커버(120)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링거호스(1)가 커버(120)에 끼워지는 경우에 링거호스(1)의 커버(120)의 개방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링거호스(1)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거호스(1)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열부(100)에서 링거주사와 가까운 쪽의 단부에는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가 내장될 수 있으며, 온도센서는 링거호스(1)를 통과하는 혈액 또는 링거액의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측정된 온도 신호는 전선부(300)를 통해 온도조절부(200)로 전달되며 온도조절부(200)는 전달된 신호를 기초로 링거액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발열부(100)의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링거액의 온도를 조절한다.
온도조절부(200)는 링거액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온도조절부(200)는 바디(210),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전원스위치(290), 온도설정스위치(220), 전원램프(230), 작동램프(240), 온도표시창(250), 온도도달표시창(280), 고정수단(270)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200)는 발열부(10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온도조절부(200)와 발열부(100)는 전선부(300)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교적 크기가 큰 온도조절부(200)가 링거호스(1)와 이격됨으로써 불편하지 않게 손을 움직일 수 있다.
바디(210)는 온도조절부(200)의 외형을 이루는 부재로서, 육면체 또는 원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컨트롤러와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210)에는 발열부(100)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링거액의 온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내장된다. 컨트롤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와 온도조절부(200)에 미리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링거액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발열부(100)에 전원을 인가하고 링거액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발열부(100)에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링거액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컨트롤러는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가 약 40도 이상임이 감지되면 이를 발열부(100)가 과열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발열부(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강제로 차단함으로써 온도조절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는 경고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발열부(100)가 과열된 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다.
바디(210)에는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으며, 배터리는 외부의 건전지 교환식일 수 있으며, 외부의 전원을 받아 직접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식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 별도의 전원 코드의 연결 없이도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온도조절장치를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디(21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디(210)에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충전표시수단을 통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바디(210)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선(4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공급선(400)은 바디(210)와 일체를 이룰 수 있지만, 휴대의 용이성을 위하여 탈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선(400)이 탈착식인 경우에 바디(210)의 일측에는 전원공급선(40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해 전원포트(260)가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선(400)은 전원포트(260)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가전장치에 사용되는 8자코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휴대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마이크로5핀 형태의 코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디(210)의 전면에는 링거액의 목표 온도를 설정함과 동시에 온도조절부(2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원스위치(290), 전원램프(230), 작동램프(240), 온도설정스위치(220), 온도표시창(250), 온도도달표시창(280)이 장착된다.
전원스위치(29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10)의 전면에 배치되며, 일측으로 이동시 온도조절부(200)의 전원을 ON 시키고 타측으로 이동시 온도조절부(200)의 전원을 OFF 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원램프(230)는 전원공급선(400)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경우에 연결 상태를 표시하는 부재로서, 전원이 연결되면 램프가 켜지고 전원이 분리되면 램프가 꺼짐으로써 전원연결상태를 표시한다.
작동램프(240)는 온도조절부(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부재로서, 온도조절부(200)가 작동되면 램프가 켜지고 작동이 중지되면 램프가 꺼짐으로써 작동상태를 표시한다.
온도설정스위치(2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회전식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위치의 바닥면의 숫자를 보고 스위치를 회전시킴으로써 링거액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온도는 컨트롤러가 발열부(1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이얼회전식 스위치에는 온도가 설정된 후에 다이얼이 의도하지 않게 돌아가는 것이 방지되기 위하여 잠금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이얼의 내측 하방에 톱니모양의 잠금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이얼을 회전시켜 온도를 설정한 후에 다이얼의 가운데 부분을 눌러 다이얼을 잠금플레이트에 결합고정시키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다이얼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이얼의 가운데 부분을 다시 눌러 잠금플레이트에서 이탈시킬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이얼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잠금수단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설정스위치(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회전식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지만, 다른 예로서 디지털로 온도를 설정하는 방식의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온도상승버튼, 온도하강버튼 및 목표온도를 표시하는 설정온도표시창을 포함하여, 온도상승 또는 온도하강버튼을 누름으로써 링거액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온도표시창(250)은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표시하는 부재로서, 사용자는 현재 링거 호스(1)를 통과하는 링거액의 온도를 온도표시창(250)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링거액이 적정온도에 도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온도도달표시창(280)은 LED 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링거액이 적정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LED 램프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사용자가 링거액의 온도도달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고정수단(270)은 온도조절부(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사용자의 침대 또는 링거액 거치수단의 프레임에 결합됨으로써 온도조절부(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수단(270)은 바디(210)의 일측에 배치되어 바디(210)와 일체를 이룰 수 있으며, 휴대의 용이성을 위하여 탈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270)의 일측은 침대프레임 또는 링거액이 거치되는 프레임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C'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고정수단(270)의 측면 개방부를 통해 프레임이 끼워짐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온도조절부(200)를 탈착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고정수단(270)에 프레임이 끼워질 때 어느 정도의 힘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수단(270)은 온도조절부(200)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270)의 결합 및 탈거를 위하여 온도조절부(200)의 바디(210)의 일면에는 결합홈(2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수단(270)의 타측에는 결합돌기(27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홈(212) 및 결합돌기(27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고정수단(270)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결합돌기(272)를 결합홈(212)에 삽입시킨 후 다시 고정수단(270)을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고정수단(270)은 온도조절부(200)의 바디(2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유닛(270)은 프레임(2)에 고정시킨 상태로 바디(210)만 결합,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용이하게 온도조절부(200)를 휴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고정유닛(270)이 바디(210)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되었으나, 고정유닛(270)의 결합돌기(272)와 바디(210)의 결합홈(212)의 형태가 서로 반대로 구성되어 바디(210)가 고정유닛(270)에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 결합되는 구성 뿐만 아니라 래치 결합이나 밸크로 결합등과 같이 바디(210)과 고정유닛(270)이 결합되는 형태는 일반적으로 고하중이 아닌 물체가 고정되기 위한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선(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2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온도조절부(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선(400)의 일측은 220V용 전원코드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플러그의 형태를 가지며, 타측은 8자코드 또는 마이크로5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은 교류 220V 또는 110V인데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링거액 온도조절장치가 적용되는 분야의 특성상 발열부(100)에 교류전류가 인가되면, 교류전류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가 혈액과 환자에게 좋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전원공급선(400)에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컨버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버터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력을 직류 24V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컨버터에서의 전력 변환에 대한 구성에 관하여는 일반적인 가정용 전자기기, 예를 들면 노트북 등에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거액 온도조절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 혈액 또는 링거액을 투여할 수 있는데 이때, 링거액이 통과하는 링거 호스(1)를 발열부(100)의 측면 개방부를 통해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온도조절부(200)의 온도설정스위치(220)를 돌려 적정온도, 예를 들면 체온에 맞도록 36.5도, 로 조절한다. 이때, 사용자는 온도표시창(250)을 통해 현재의 링거액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온도표시창(250)에 표시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에 다다르면 사용자는 링거호스(1)의 투입을 조절하는 장치를 개방함으로써 적정온도의 링거액을 투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용무를 위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바디(210)의 일측에 배치된 고정수단(270)의 결합돌기(272)로부터 바디(210)를 분리할 수 있으며, 이때 바디(210)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온도조절부(200)의 작동 중지를 염려하지 않고 용이하게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 : 링거 호스 2 : 프레임
100 : 발열부 110 : 히터
120 :커버 130 : 보호덮개
200 : 온도조절부 210 : 바디
220 : 온도설정스위치 230 : 전원램프
240 : 작동램프 250 : 온도표시창
260 : 전원포트 270 : 고정수단
280 : 온도도달표시창 300 : 전선부
400 : 전원공급선

Claims (11)

  1. 링거 호스를 감싸면서 결합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발열부와 상기 온도조절부를 연결하는 전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는 상기 링거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링거 호스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C'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일측 개방부로 노출되는 링거 호스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방부를 덮는 보호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일측에 상기 링거 호스를 통과하는 링거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조절부의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신호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발열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링거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5. 링거 호스를 감싸면서 결합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발열부와 상기 온도조절부를 연결하는 전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는 일측에 상기 링거 호스를 통과하는 링거액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조절부의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온도신호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발열부에 전원을 인가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발열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링거액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링거 호스를 통과하는 링거액이 특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어 부작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부에 인가되는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6. 링거 호스를 감싸면서 결합되며 히터가 내장되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발열온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가 내장되는 온도조절부; 및
    상기 발열부와 상기 온도조절부를 연결하는 전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조절부에는 상기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일측에 상기 전원공급선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함입 형성되는 연결포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외부의 전원이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전원램프와, 상기 컨트롤러가 작동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램프와, 상기 링거액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온도설정스위치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바디와, 상기 바디가 링거거치프레임 또는 침대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의 단면이 'C'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 장치.
  11. 삭제
KR1020130136114A 2013-11-11 2013-11-11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KR101384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114A KR101384510B1 (ko) 2013-11-11 2013-11-11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114A KR101384510B1 (ko) 2013-11-11 2013-11-11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510B1 true KR101384510B1 (ko) 2014-04-10

Family

ID=5065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114A KR101384510B1 (ko) 2013-11-11 2013-11-11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5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590A (ko) 2020-04-14 2021-10-22 이승준 링거포켓
KR20230173991A (ko) 2022-06-20 2023-12-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환자를 위한 이중관 수액 온도 유지장치
KR20240000703A (ko) 2022-06-24 2024-01-0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Uv필터를 구비한 살균 마스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440A (ko) * 2002-12-21 2004-06-26 군 박 탈착 가능한 의료용 수액 정온기
JP2007143572A (ja) 2005-11-24 2007-06-14 Cleanly Instrument:Kk 点滴液加温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440A (ko) * 2002-12-21 2004-06-26 군 박 탈착 가능한 의료용 수액 정온기
JP2007143572A (ja) 2005-11-24 2007-06-14 Cleanly Instrument:Kk 点滴液加温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7590A (ko) 2020-04-14 2021-10-22 이승준 링거포켓
KR20230173991A (ko) 2022-06-20 2023-12-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환자를 위한 이중관 수액 온도 유지장치
KR20240000703A (ko) 2022-06-24 2024-01-0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Uv필터를 구비한 살균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907895A (zh) 用於與加壓包覆件使用之振動與發熱設備
KR101384510B1 (ko) 링거액 및 혈액 투여를 위한 온도조절장치
KR101597508B1 (ko) 전자모기향 훈증기 및 그 운용방법
CN204767064U (zh) 一种理疗装置
KR101174831B1 (ko) 쑥뜸 장치
CN204106760U (zh) 一种输液用加热器
KR101546634B1 (ko) 휴대용 온열 레이저 찜질기
KR101324463B1 (ko) 청진기 워머
CN209751343U (zh) 一种智能化加热理疗装置
KR20180001053U (ko) 온열 목도리
CN211674828U (zh) 一种暖宫宝热磁腰带
CN113648129A (zh) 一种坐式康复理疗仪
CN209984567U (zh) 中药眼部熏蒸盒
KR200419836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침낭
CN206880912U (zh) 一种透明温度可调节式输液管用加热器
CN201091636Y (zh) 远红外蓄热腰带
CN203090125U (zh) 输液加热器
CN213283707U (zh) 一种具有移动电源的石墨烯发热片理疗枕
CN217391000U (zh) 恒温热敷包
CN212140886U (zh) 一种乳腺外科术后上肢水肿恢复装置
CN209966412U (zh) 便携式耦合剂加热装置
CN210301368U (zh) 一种用于妇产科的磁热护理器
CN219835969U (zh) 一种外科护理用输液加热装置
KR101296074B1 (ko) 목 및 어깨용 온열 찜질기
KR101375134B1 (ko) 찜질용 안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