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566A - 3d 프린팅 복합기 - Google Patents

3d 프린팅 복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566A
KR20150115566A KR1020140040837A KR20140040837A KR20150115566A KR 20150115566 A KR20150115566 A KR 20150115566A KR 1020140040837 A KR1020140040837 A KR 1020140040837A KR 20140040837 A KR20140040837 A KR 20140040837A KR 20150115566 A KR20150115566 A KR 20150115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edestal
machine
conveying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 비케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케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 비케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40040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5566A/ko
Publication of KR20150115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어와 레이어 사이를 매끄럽게 하여 모다 정밀도가 높은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는 3D 프린팅 복합기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3D 프린팅 복합기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거치대; 상기 받침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 거치대를 향해 증착 물질을 배출하여 물건을 생성시키는 노즐; 및 상기 받침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건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D 프린팅 복합기{3D-printing complex machine}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물건을 만들어 내는 3D 프린팅 복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터(3D printer)는 컴퓨터에 미리 입력된 설계 값에 따라 인쇄하는 방식으로 여러 층을 쌓아가며 3차원 입체 물건을 만들어 내는 장치이다. 이러한 3D 프린터의 개발로,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 물건 주문이 들어오면 그 자리에서 만들어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 날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기존의 3D 프린터는 입체적으로 그려진 물건을 마치 미분하듯이 잘게 잘라 분석하고, 아주 얇은 막(레이어)을 한 층씩 쌓아, 즉 물건의 바닥부터 꼭대기까지 여러번 증착하여 물건을 완성하고 있다. 여기서, 3D 프린터에 들어가는 재료로는 주로 파우더, 액체, 실의 형태 등이 사용된다.
하지만, 3D 프린터는 물건을 만들어 내기기 위해 여러 개의 레이어가 증착되어야 하므로 레이어와 레이어 사이가 매끄럽지 못하고 단차진 형태를 가지게 되어 물건의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레이어와 레이어 사이를 매끄럽게 하여 보다 정밀도가 높은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는 3D 프린팅 복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거치대; 상기 받침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 거치대를 향해 증착 물질을 배출하여 물건을 생성시키는 노즐; 및 상기 받침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건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기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은 노즐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대해 X, Y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노즐 이송 유닛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전후 이송부; 상기 노즐 전후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상하 이송부; 및 상기 노즐 상하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좌우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기는 연마기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대해 X, Y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연마기 이송 유닛은,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마기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마기 좌우 이송부; 상기 연마기 좌우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마기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마기 상하 이송부; 및 상기 연마기 상하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마기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마기 전후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거치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노즐은 노즐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대해 X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노즐 이송 유닛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전후 이송부; 및 상기 노즐 전후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좌우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기는 연마기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대해 X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연마기 이송 유닛은,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마기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마기 좌우 이송부; 및 상기 연마기 좌우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마기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마기 전후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예로, 상기 노즐 전후 이송부는 상기 받침대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마기 좌우 이송부는 상기 받침대의 정면 또는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노즐 전후 이송부는 상기 받침대의 평면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연마기 좌우 이송부는 상기 받침대의 평면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는, 상기 회전 거치대에 구비되어 상기 물건을 파지하는 물건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는,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되 상기 물건을 가운데 두고 상기 연마기와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물건을 지지하는 물건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건 지지대는 상기 물건을 향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와, 회전 거치대와, 노즐과, 그리고 연마기를 제공하므로, 노즐을 통해 복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진 물건을 생성시킬 수 있음과 함께 연마기를 통해 물건을 이루는 레이어와 레이어 사이를 매끄럽게 하여 보다 정밀도가 높은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잘라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D 프린팅 복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회전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 4의 V-V선을 따라 잘라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3D 프린팅 복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 1의 II-II선을 따라 잘라 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3D 프린팅 복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0)와, 회전 거치대(120)와, 노즐(130)과, 그리고 연마기(140)를 포함한다.
받침대(110)는 3D 프린팅 복합기의 전체 뼈대 역할을 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받침대(110)의 중심부에는 회전 거치대(12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케이스(미도시)가 구비될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의 내측면과 바닥면이 복합기의 뼈대 역할을 하는 받침대로 사용될 수 있다.
회전 거치대(120)는 받침대(110)의 중심부의 설치홈(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회전 거치대(120)에는 노즐(130)로부터 분사되는 증착 물질이 증착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기(140)가 받침대(110)의 정면부에 구비되므로 증착이 완료된 물건(P)의 정면을 우선 연마하고, 이 후 회전 거치대(120)를 회전시켜 물건(P)의 위치를 돌려 가면서 물건의 측면과 배면을 순차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거치대(120)를 통해 물건(P)의 위치를 돌려 줄 수 있으므로, 연마기(140)에 로봇 팔과 같은 크고 복잡하고 고가의 구성을 취하지 않더라도, 비용 및 공간 대비 효과적으로 물건(P)의 전체의 면을 연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거치대(120)는 회전 거치대 회전부(121)(일 예로, 모터)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노즐(130)은 받침대(11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 거치대(120)를 향해 증착 물질을 배출하여 물건(P)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노즐(130)은, 노즐 이송 유닛(150)에 의해 받침대(110)에 대해 X, Y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 이송 유닛(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전후 이송부(151), 노즐 상하 이송부(152), 그리고 노즐 좌우 이송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전후 이송부(151)는, 받침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노즐(130)을 Y축 방향[즉, 받침대(1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받침대(110)에 전후 방향으로 놓이는 노즐 전후 안내 부재(151a)와, 노즐 전후 안내 부재(151a)를 따라 이동되는 노즐 수직 부재(151b)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상하 이송부(152)는, 노즐 수직 부재(151b)에 구비되어 노즐(130)을 Z축 방향[즉, 받침대(1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노즐 수직 부재(151b)에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노즐 상하 안내 부재(152a)와, 노즐 상하 안내 부재(152a)를 따라 이동되는 노즐 수평 부재(152b)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좌우 이송부(153)는, 노즐 수평 부재(152b)에 구비되어 노즐(130)을 X축 방향[즉, 받침대(1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노즐 수평 부재(152b)에 좌우 방향으로 놓이는 노즐 좌우 안내 부재(153a)와, 노즐 좌우 안내 부재(153a)를 따라 이동되며 노즐(130)을 고정하는 노즐 고정 부재(153b)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노즐 전후 이송부(151), 노즐 상하 이송부(152), 그리고 노즐 좌우 이송부(153) 각각은 LM(linear motion) 가이드 또는 볼-스크류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연마기(140)는 받침대(11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완성된 물건(P)의 표면을 단차 없이 매끄럽게 연마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기(140)의 단부에는 연마 공구가 결합되며 연마 공구를 고속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물건(P)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게 된다. 특히, 연마기(140)는, 연마기 이송 유닛(160)에 의해 받침대(110)에 대해 X, Y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마기 이송 유닛(1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기 좌우 이송부(161), 연마기 상하 이송부(162), 그리고 연마기 전후 이송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기 좌우 이송부(161)는, 받침대(1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연마기(140)를 X축 방향[즉, 받침대(1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받침대(110)에 좌우 방향으로 놓이는 연마기 좌우 안내 부재(161a)와, 연마기 좌우 안내 부재(161a)를 따라 이동되는 연마기 수직 부재(161b)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기 상하 이송부(162)는, 연마기 수직 부재(161b)에 구비되어 연마기(140)를 Z축 방향[즉, 받침대(11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연마기 수직 부재(161b)에 상하 방향으로 놓이는 연마기 상하 안내 부재(162a)와, 연마기 상하 안내 부재(162a)를 따라 이동되는 연마기 수평 부재(162b)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기 전후 이송부(163)는 연마기 수평 부재(162b)에 구비되어 연마기(140)를 Y축 방향[즉, 받침대(1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연마기 수평 부재(162b)에 전후 방향으로 놓이는 연마기 전후 안내 부재(163a)와, 연마기 전후 안내 부재(163a)를 따라 이동되며 연마기(140)를 고정하는 연마기 고정 부재(163b)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연마기 좌우 이송부(161), 연마기 상하 이송부(162), 그리고 연마기 전후 이송부(163) 각각은 LM(linear motion) 가이드 또는 볼-스크류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연마기(140)와 노즐(130)이 이동 중에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노즐 전후 이송부(151)는 받침대(110)의 우측면(또는 좌측면)에 구비될 수 있고, 연마기 좌우 이송부(161)는 받침대(110)의 정면(또는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연마기(140)와 노즐(130)이 이동 중에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노즐 전후 이송부(151)는 받침대(110)의 평면의 옆부분에 구비될 수 있고, 연마기 좌우 이송부(161)는 받침대(110)의 평면의 앞부분(또는 뒷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거치대(120)에 구비되어 완성된 물건(P)을 파지하는 물건 파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물건 파지부(170)는 물건(P)이 증착되는 동안에는 파지를 해제한 상태에 있다가, 물건(P)이 완성되어 연마기(140)를 사용할 시점이 되면 물건(P)을 파지한다. 그 이유는, 물건 파지부(170)가 물건(P)이 증착되는 중에 물건(P)을 파지할 경우 아직 건조되지 않은 물건(P)이 망가질 수 있고, 증착되는 동안에는 물건(P)을 파지하지 않아도 물건(P)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연마기(140)가 물건(P)의 표면을 연마하는 동안에는 물건(P)에 미는 힘이 발생되므로 물건 파지부(170)를 통해 물건(P)을 단단히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물건 파지부(1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171)(claw)와, 회전 거치대(120)에 형성되어 클로(171)를 반경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슬릿(172)(slit)과, 그리고 클로(171)를 이동시키는 클로 이송기(173,174)를 포함할 수 있다. 클로 이송기(173,17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171)의 저면에 구비되는 랙(173)(rack)과, 랙(173)과 맞물리는 피니언(174)(pinion)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피니언(174)의 정역 방향 회전으로 랙(173)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클로(171)에 의해 물건(P)이 파지되거나 그 파지가 해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건 파지부(170)는, 진공흡착, 에어척, 콜릿척(collet chuck)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클로(171)들이 연동하여 동시에 움직이는 연동척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 지지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건 지지대(180)는 받침대(110)에 구비되며 물건(P)을 가운데 두고 연마기(140)와 대향되게 구비되어 물건(P)을 지지한다. 특히, 물건 지지대(180)는 물건(P)을 향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건 지지대(180)의 전후 이동은 볼-스크류 또는 랙-피니언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건 지지대(180)를 더 구비하는 이유는, 물건 파지부(170)를 통해 물건(P)의 하단이 고정되더라도 연마기(140)의 고속 회전에 의해 물건(P)에 미치는 힘이 물건(P)의 상반부에 전단력 및 휨 모멘트로 가해지므로 이 힘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만들고자 하는 물건(P)에 대한 치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설계 값을 컴퓨터(10)의 해당 소프트웨어에 입력한다.
컴퓨터(10)에서는 입력된 설계 값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0)로 보낸다.
제어 신호를 받은 제어부(20)는 노즐 전후 이송부(151), 노즐 상하 이송부(152), 노즐 좌우 이송부(153)를 제어하면서 노즐(130)을 X, Y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0)는 노즐 분사 구동부(131)를 함께 구동시켜 노즐(130)을 통해 회전 거치대(120)에 증착 물질이 분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설계 값에 따라 반복하는 동안 여러 겹의 층이 쌓이면서 3차원 물건(P)이 완성된다.
물건(P)이 완성되면, 필요에 따라 일정 시간 건조 과정을 거칠 수 있다. 건조가 완료되면, 제어부(20)는 물건 파지부(170)에 의해 물건(P)이 파지되도록 제어 신호를 보내고, 연마기 좌우 이송부(161), 연마기 상하 이송부(162), 연마기 전후 이송부(163)를 제어 하면서 연마기(140)를 X, Y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0)는 연마기(140)의 주축[연마기(140)의 연마 공구가 맞물리는 곳]을 회전시키는 연마기 주축 회전부(도 3의 141)를 함께 회전시켜 연마기(140)를 통해 물건(P)의 표면이 매끄럽게 연마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진행되는 동안 제어부(20)는 회전 거치대 회전부(121)에 제어 신호를 보내 회전 거치대(120)를 설정 각도씩 회전시켜 가며 물건(P)의 전체의 면이 매끄럽게 연마되도록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거치대(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과, 이에 따라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언급된 노즐 상하 이송부(152)와 연마기 상하 이송부(162)가 제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위 특징 위주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회전 거치대(220)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거치대(220)는 회전 거치대 상하 이송부(230)에 이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거치대 상하 이송부(230)는 회전 거치대 회전부(121)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랙(231)과, 랙(231)에 맞물리는 피니언(23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회전 거치대(220)의 상하 방향 이동은 볼-스크류 등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거치대(2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 추가됨 따라,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언급된 노즐 상하 이송부(152)와 연마기 상하 이송부(162)를 제거시킬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을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비해 단순화시킬 수 있다.
노즐 이송 유닛(2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전후 이송부(251)와 노즐 좌우 이송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전후 이송부(251)는, 받침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노즐(130)을 Y축 방향[즉, 받침대(1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받침대(110)에 전후 방향으로 놓이는 노즐 전후 안내 부재(251a)와, 노즐 전후 안내 부재(251a)를 따라 이동되는 노즐 수직 부재(251b)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좌우 이송부(252)는, 노즐 수직 부재(251b)에 구비되어 노즐(130)을 X축 방향[즉, 받침대(1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노즐 수직 부재(251b)에 구비되며 좌우 방향으로 놓이는 노즐 좌우 안내 부재(252a)를 가지는 노즐 수평 부재(252b)와, 노즐 좌우 안내 부재(252a)를 따라 이동되며 노즐(130)을 고정하는 노즐 고정 부재(252c)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노즐 전후 이송부(251)와 노즐 좌우 이송부(252) 각각은 LM(linear motion) 가이드 또는 볼-스크류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연마기 이송 유닛(2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기 좌우 이송부(261)와 연마기 전후 이송부(262)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기 좌우 이송부(261)는, 받침대(1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연마기(140)를 X축 방향[즉, 받침대(1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받침대(110)에 좌우 방향으로 놓이는 연마기 좌우 안내 부재(261a)와, 연마기 좌우 안내 부재(261a)를 따라 이동되는 연마기 수직 부재(261b)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기 전후 이송부(262)는 연마기 수직 부재(261b)에 구비되어 연마기(140)를 Y축 방향[즉, 받침대(1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연마기 수직 부재(261b)에 구비되며 전후 방향으로 놓이는 연마기 전후 안내 부재(262a)를 가지는 연마기 수평 부재(262b)와, 연마기 전후 안내 부재(262a)를 따라 이동되며 연마기(140)를 고정하는 연마기 고정 부재(262c)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연마기 좌우 이송부(261)와 연마기 전후 이송부(262) 각각은 LM(linear motion) 가이드 또는 볼-스크류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D 프린팅 복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받침대(110)와, 회전 거치대(120, 220)와, 노즐(130)과, 그리고 연마기(140)를 제공하므로, 노즐(130)을 통해 복수의 레이어로 이루어진 물건을 생성시킬 수 있음과 함께 연마기(140)를 통해 물건(P)을 이루는 레이어와 레이어 사이를 매끄럽게 하여 보다 정밀도가 높은 물건(P)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컴퓨터 20: 제어부
P: 물건 110: 받침대
120, 220: 회전 거치대 121: 회전 거치대 회전부
130: 노즐 131: 노즐 분사 구동부
140: 연마기 141: 연마기 주축 회전부
150, 250: 노즐 이송 유닛 151, 251: 노즐 전후 이송부
152: 노즐 상하 이송부 153, 252: 노즐 좌우 이송부
160, 260: 연마기 이송 유닛 161, 261: 연마기 좌우 이송부
162: 연마기 상하 이송부 163, 262: 연마기 전후 이송부
170: 물건 파지부 180: 물건 지지대

Claims (10)

  1.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 거치대;
    상기 받침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회전 거치대를 향해 증착 물질을 배출하여 물건을 생성시키는 노즐; 및
    상기 받침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물건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기
    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복합기.
  2. 제1항에서,
    상기 노즐은 노즐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대해 X, Y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노즐 이송 유닛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전후 이송부;
    상기 노즐 전후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상하 이송부; 및
    상기 노즐 상하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좌우 이송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복합기.
  3. 제2항에서,
    상기 연마기는 연마기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대해 X, Y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마기 이송 유닛은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마기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마기 좌우 이송부;
    상기 연마기 좌우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마기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마기 상하 이송부; 및
    상기 연마기 상하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마기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마기 전후 이송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복합기.
  4. 제1항에서,
    상기 회전 거치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노즐은 노즐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대해 X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노즐 이송 유닛은,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전후 이송부; 및
    상기 노즐 전후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좌우 이송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복합기.
  5. 제4항에서,
    상기 연마기는 연마기 이송 유닛에 의해 상기 받침대에 대해 X 및 Y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마기 이송 유닛은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연마기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마기 좌우 이송부; 및
    상기 연마기 좌우 이송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마기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연마기 전후 이송부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복합기.
  6. 제3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노즐 전후 이송부는 상기 받침대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연마기 좌우 이송부는 상기 받침대의 정면 또는 배면에 구비되는 3D 프린팅 복합기.
  7. 제3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노즐 전후 이송부는 상기 받침대의 평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마기 좌우 이송부는 상기 받침대의 평면의 타측에 구비되는 3D 프린팅 복합기.
  8. 제1항에서,
    상기 회전 거치대에 구비되어 상기 물건을 파지하는 물건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3D 프린팅 복합기.
  9. 제8항에서,
    상기 받침대에 구비되되 상기 물건을 가운데 두고 상기 연마기와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물건을 지지하는 물건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3D 프린팅 복합기.
  10. 제9항에서,
    상기 물건 지지대는 상기 물건을 향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3D 프린팅 복합기.
KR1020140040837A 2014-04-05 2014-04-05 3d 프린팅 복합기 KR20150115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837A KR20150115566A (ko) 2014-04-05 2014-04-05 3d 프린팅 복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837A KR20150115566A (ko) 2014-04-05 2014-04-05 3d 프린팅 복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566A true KR20150115566A (ko) 2015-10-14

Family

ID=5435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837A KR20150115566A (ko) 2014-04-05 2014-04-05 3d 프린팅 복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55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7439A (zh) * 2018-03-01 2018-08-24 辽宁聚高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3d打印和切割联合加工方法
KR102122701B1 (ko) * 2020-03-03 2020-06-2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절삭부가 결합된 3차원 프린터
KR102151129B1 (ko) * 2020-02-17 2020-09-02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삭부가 결합된 3차원 프린터
KR102205928B1 (ko) * 2020-06-05 2021-01-22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형 3차원 프린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7439A (zh) * 2018-03-01 2018-08-24 辽宁聚高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精度3d打印和切割联合加工方法
KR102151129B1 (ko) * 2020-02-17 2020-09-02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삭부가 결합된 3차원 프린터
WO2021167198A1 (ko) * 2020-02-17 2021-08-26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삭부가 결합된 3차원 프린터
KR102122701B1 (ko) * 2020-03-03 2020-06-2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절삭부가 결합된 3차원 프린터
WO2021177533A1 (ko) * 2020-03-03 2021-09-10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삭부가 결합된 3차원 프린터
KR102205928B1 (ko) * 2020-06-05 2021-01-22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형 3차원 프린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5566A (ko) 3d 프린팅 복합기
TWI657889B (zh) Machine tool and its control device
CN106061712B (zh) 一种用于研磨通过增材制造定制的工件的机器
US201600162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surface finishing of workpieces
US20160346894A1 (en) Dual-spindle grinding machine
US10543580B2 (en) Grinding apparatus and grinding method
JP2004136420A (ja) 磨きユニット付きnc加工機
JP5743817B2 (ja) 加工装置
US20120312133A1 (en) Free form cutting machine
KR20150117723A (ko) 마무리 가공 공구부를 구비한 3d 프린터
JP2016112680A (ja) 2つのワークピースの創成研削のための研削工具を有する研削盤
JP2009522125A (ja) ワーク・ピースの研磨装置
JP2016080501A (ja) ねじ軸となるワークの有効径インプロセス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5812196B2 (ja) 旋削機械
US20140364038A1 (en) Cylindrical lapping
EP2687325A1 (en) Lathe control system
KR101460485B1 (ko) 홈 가공기
JP2016093851A (ja) 研削装置
JP2007083351A (ja) 研削盤
CN212330572U (zh) 一种自动打磨设备
JPS61241051A (ja) 円筒研削盤
KR101463803B1 (ko) 마이크로 서피스 텍스쳐링 가공 장치 및 방법
CN108394051B (zh) 制造方法、工件保持装置及加工装置
JP5789171B2 (ja) 方形ワークの三面取り研削方法
JP2001062717A (ja) 研削盤の砥石台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