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439A -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 Google Patents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439A
KR20150115439A KR1020140040496A KR20140040496A KR20150115439A KR 20150115439 A KR20150115439 A KR 20150115439A KR 1020140040496 A KR1020140040496 A KR 1020140040496A KR 20140040496 A KR20140040496 A KR 20140040496A KR 20150115439 A KR20150115439 A KR 20150115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rod
gas injection
piston
valve body
bon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617B1 (ko
Inventor
강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연
Priority to KR102014004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61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바디(10)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12)과, 하우징(112)의 일측 내면에 일정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가스주입로(113)가 마련되는 본넷(110)과; 상기 본넷(110)의 가스주입로(113)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스주입단(20)과; 구동로드(122)와, 구동로드(122)의 중간 수직높이에 장착되는 헤드(124)가 구비되는 구동체(120)와; 구동로드(122)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는 제1피스톤(130)과; 가동단(142)과, 가동단(142)에 고정결합되는 조작핸들(146)이 마련되는 보조개폐기(140)와; 구동로드(122)를 감싸는 제1탄성수단(150)과; 밸브바디(10)의 내측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는 스템(170)과; 스템(170)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는 제2피스톤(180)과; 스템(170)을 감싸는 제2탄성수단(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A main valve for fire extinguishing in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으로 마련되는 밸브 유로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고압 저장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소화 가스를 화재가 발생한 공간으로 신속히 배출시켜 화재를 완전하게 진압할 수 있는 메인 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박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발생구역에 과량의 이산화탄소를 신속히 분사하여 발화 원인 중의 하나인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컨테이너 선박의 선창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 4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밸브(1)와, 고압의 이산화탄소가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붐베(2)와, 각각의 붐베(2)와 메인 밸브(1)를 연결하는 연결관(3)과, 일측은 선박 내부의 각 공간으로 분지되며 타측은 메인 밸브(1)와 연결되는 소화 배관(4)이 필요하다.
만일, 선박의 내부 곳곳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를 통해 선박 내부의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장치가 메인 밸브(1)를 즉각적으로 작동시켜 메인 밸브(1)의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붐베(2)에 저장되어 있는 다량의 이산화탄소를 소화 배관(4)을 통해 선박 내부의 화재 현장으로 송출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신속한 화재 진압을 위해서는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메인 밸브가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밸브 유로를 개방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종래 사용되는 메인 밸브의 일례가 도 5에 개시되어 있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종래 메인 밸브(10)는,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2)와, 소화 밸브(10)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해 메인 밸브(10)의 유로 중심부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구동로드(20)와, 구동로드(20)를 수직으로 승하강시키기 위해 메인 밸브의 상측에 마련되는 작동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구동로드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통상적으로 유압실린더 또는 구동모터와 같은 동력원과 이들 동력원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구동로드로 전달하는 링크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구동로드를 작동시키는 수단을 이렇게 여러 가지 장치의 조합으로 구성하는 경우 그 구성이 너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럴 경우, 조합을 이루는 개별 장치 중의 어느 하나라도 오작동하면 메인 밸브의 작동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메인 밸브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을 해야 등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실1991-0000988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671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8545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의 밸브 유로 개폐수단이 마련되어 화재 발생시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메인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는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선박의 각 구획 공간으로 분지되는 소화 배관(4)과 연결되는 배출구(16)가 마련되는 밸브바디(10)로 이루어지는 선박용 소화 밸브로서, 내부에는 가이드공간(111)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내면에 나사산(117)이 형성되는 고정단(116)이 마련되어 밸브바디(10)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12)과, 하우징(112)의 일측 내면에 일정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되 그 일측부위는 가이드공간(111)과 연통되는 가스주입로(113)가 마련되는 본넷(110)과; 상기 본넷(110)의 가스주입로(113)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스주입단(20)과; 일측단부에는 걸림단(126)이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단부는 본넷(110)의 가이드공간(111)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일정길이의 구동로드(122)와, 구동로드(122)의 중간 부위에 장착되는 헤드(124)가 구비되는 구동체(120)와; 구동로드(122)의 타측단부에 장착되어 가스주입로(113)를 통해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제1피스톤(130)과; 중앙부위를 통해 구동로드(122)가 관통삽입되며 외면에는 나사산(143)이 형성되어 본넷(110)의 고정단(116)과 치합되는 가동단(142)과, 일측부위는 가동단(142)과 접하며 타측부위는 구동로드(122)의 걸림단(126)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가동단(142)에 고정결합되는 조작핸들(146)이 마련되는 보조개폐기(140)와; 헤드(124)와 제1피스톤(130) 사이에 위치하며 구동로드(122)를 감싸는 제1탄성수단(150)과; 일측단부는 구동로드(122)와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측단부는 밸브바디(10)의 내측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는 스템(170)과; 스템(170)의 타측단부에 장착되어 밸브바디(10)의 내부유로를 개폐하는 제2피스톤(180)과; 일측부위는 제1피스톤(180)과 접하며 스템(170)을 감싸는 제2탄성수단(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피스톤(180)의 모서리부위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단(18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면에는 수직단(181)의 승하강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단(18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넷(110)의 하우징(112) 상부 일측에는, 일측 단부부위가 하우징(112)의 가이드공간(111)으로 돌출되는 리미트스위치(166)와, 리미트스위치(166)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밸브바디(10)의 유로 개폐여부를 외부에 알리는 경보수단이 구비된 장착된 본체(162)로 이루어지는 작동경보기(1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스주입단(20) 하부에는, 일측부위가 가스주입로(113)와 연통되도록 가스주입로(113)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스배출단(3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 진압을 위해 밸브 유로를 개방함에 있어 고압의 가스를 유입시켜 밸브 유로를 자동으로 1차 개방시키되, 장치의 오작동으로 밸브 유로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하여 밸브 유로를 강제로 2차 개방할 수 있도록 이중의 개폐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화재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밸브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도 2a 및 도 2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밸브의 자동 개방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밸브의 강제 개방 단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선박의 화재 진압을 위한 개략적인 소화 설비 구성도.
도 5는 종래 메인 밸브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밸브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밸브바디(10)와, 본넷(110)과, 구동체(120) 및 제1피스톤(130)과, 보조개폐기(140)와, 제1, 2탄성수단(150, 190)과, 스템(170) 및 제2피스톤(180)과, 작동경보기(160), 그리고 가스주입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화 밸브를 제안한다. 이하 이들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밸브바디(10)의 양측 각각에는 유입구(12)와 배출구(16)가 마련된다.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유입구(12)는 연결관(3)에 의해 고압의 이산화탄소가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붐베(2)와 연결되며, 배출구(16)는 선박 내부의 각 공간으로 분지되는 소화 배관(4)과 연결된다. 유입구(12) 및 배출구(16)는 밸브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에 의해 연통된다.
본넷(110)은 내부에 가이드공간(111)이 형성되어 밸브바디(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12)과, 가스주입로(113)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12)의 상측에는 내면에 나사산(117)이 형성되는 고정단(116)이 마련된다. 가스주입로(113)는 하우징(112)의 일측 내면에 일정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며, 그 일측부위는 가이드공간(111)과 연통된다. 가스주입로에 있어 가이드공간과 연통되는 부위(114)는, 후술할 제1피스톤(130)의 비작동상태의 위치(도 2a에 개시된 제1피스톤의 위치)보다 낮은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체(120)는 구동로드(122)와 헤드(124)로 이루어진다. 일정길이를 가지는 구동로드(122)의 일측단부에는 걸림단(126)이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단부는 가이드공간(111)에 수직하게 삽입된다. 걸림단(126)은 너트와 같은 수단으로 이루어져 구동로드의 일측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헤드(124)는 후술할 작동경보기(160)의 단부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구동로드(122)의 중간 수직높이에 구동로드와 일체형으로 장착된다.
제1피스톤(130)은 구동로드(122)의 타측단부에 장착되며, 구동로드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공간(111)을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한다. 제1피스톤의 승강은 가스주입로(113)를 통해 순차적으로 주입되는 고압의 가스에 의해 이루어진다.
가스주입단(20)은 본넷(110)의 가스주입로(113)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에 따라 가스주입단(20)의 일측부위는 가스주입로(113)와 연통된다. 가스주입단(20)을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가스는 미도시된 별도의 밸브를 통해 이루어진다. 별도의 밸브는 선박 내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선원들의 대피를 위해 메인 밸브의 작동을 일정시간 늦추기 위한 수단으로서 딜레이 밸브(delay valve)라고도 불리운다.
또한, 가스주입단(20)의 하부에는 가스배출단(30)이 마련될 수 있다. 가스배출단(30)은 가스주입단(20)과 유사하게 가스주입로(113)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일측부위가 가스주입로(113)와 연통된다. 가스배출단(30)은 가스주입단(20)을 통해 필요 이상의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이를 외부로 적절하게 배출시키거나, 메인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화재가 진압된 경우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보조개폐기(140)는 가동단(142)과 조작핸들(1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동단(142)의 외면에는 나사산(143)이 형성되며, 그 중앙부위에는 구동로드(122)가 관통삽입된다. 가동단의 나사산(143)은 본넷의 고정단(116)에 마련되는 나사산(117)과 치합된다. 가동단(142)에 구동로드(122)가 관통삽입됨에 있어, 구동로드(122)는 가동단(14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핸들(146)은 가동단(142)에 고정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가동단(142)을 강제상승시키는 수단이다. 구동로드(122)가 중앙부위를 통해 관통삽입되며, 일측부위는 가동단(142)의 상단부위와 접하고, 타측부위는 구동로드(122)의 걸림단(126)과 일정간격 h만큼 이격된다. 가동단(142)의 경우와 동일하게, 조작핸들(146)에 구동로드(122)가 관통삽입됨에 있어, 구동로드(122)는 조작핸들(146)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탄성수단(150)은 구동로드(122)를 감싸며, 구동로드(122)의 작동에 따라 제1피스톤(130)이 승강함에 있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제1탄성수단(150)은 헤드(124)와 제1피스톤(130) 사이에 위치한다. 제1탄성수단은 통상적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템(170)은 그 일측단부가 구동로드(122)와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측단부는 밸브바디(10)의 내부 유로로 수직하게 삽입된다. 이에 따라 구동로드(122)가 승하강하면 스템(170)도 함께 연동되어 승하강하게 된다.
제2피스톤(180)은 밸브바디(10)의 내부유로를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스템(170)의 타측단부에 장착된다. 제2피스톤(180)의 모서리부위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단(18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수직단(181)의 승하강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밸브바디(10)의 내면에는 가이드단(184)이 마련될 수 있다. 수직단(181)의 내면은 가이드단(184)의 외면과 접하게 된다.
제2탄성수단(190)은 스템(170)을 감싸며, 스템(170)의 작동에 따라 제2피스톤(180)이 승강함에 있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제2탄성수단(180)의 일측부위는 제2피스톤(180)과 접한다. 제2탄성수단은 통상적인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경보기(160)는 가스주입단(20)을 통해 고압가스가 순차적으로 유입되어 구동로드(122)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밸브바디(10)의 유로가 개방되어 고압의 이산화탄소가 선박 내부의 각 공간으로 공급) 이를 외부에 알리는 수단이다. 작동경보기(16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술한 보조개폐기를 이용하여 밸브바디의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
작동경보기(160)는 리미트스위치(166)와, 경보수단(164)과, 본체(1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미트스위치(166)의 일측 단부부위는 하우징(112)의 가이드공간(111)으로 돌출되어 승강하는 헤드(124)와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헤드(124)가 리미트스위치(166)와 접하면서 계속 승강하면, 리미트스위치(166)는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을 가압하며 뒤로 밀리면서 접점을 연결하여 경보수단(164)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리미트스위치의 구성 및 작동은 관련업계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보수단(164)은 리미트스위치(166)의 작동에 따라 외부로 경보상황을 알리는 수단으로서 경보등이나 경보벨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62)는 리미트스위치(166) 및 경보수단(164)의 작동에 필요한 수단이 구비되는 부분으로서 별도의 브라켓 등에 매개되어 본넷(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미설명도면부호 182, 14 각각은 제2피스톤시트 및 유로시트로서, 제2피스톤(180)이 밸브바디 내부 유로를 폐쇄한 상태에서 더욱 긴밀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2피스톤시트(182)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첨부된 도 2a 및 도 2b, 도 3a 내지 도 3c, 그리고 도 4 각각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선박의 내부 곳곳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를 통해 선박 내부의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장치가 고압의 가스를 미도시된 딜레이 밸브로 유입시킨다. 제어장치가 메인 밸브를 즉각 작동시키지 않고 딜레이 밸브를 먼저 작동시키는 것은 선박 내부에 있는 선원들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키기 위함이다. 고압 가스는 일정시간을 지체한 상태에서 딜레이 밸브를 빠져나와, 딜레이 밸브와 연결되어 있는 가스유입단(20), 가스주입로(113), 연통부위(114)를 순차적으로 지나 제1피스톤(130)의 하부 공간으로 유입된다(도 2a).
고압 가스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 고압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1피스톤(130)은 서서히 승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로드(122) 및 헤드(124)도 함께 승강한다. 한편, 스템(170)의 일측단부는 구동로드(122)에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로드(122)가 승강하면 스템(170) 및 제2피스톤(180) 각각은 구동로드를 따라 동일한 수직높이만큼 승강한다. 그 결과, 밸브바디(10)의 내부 유로는 조금씩 개방된다.
뒤이어 제1피스톤(130)이 지속적으로 승강하면 헤드(124)가 리미트스위치(166)의 일측단부와 접하게 되며, 그 상태에서 헤드(124)가 상방으로 더 승강하면 리미트스위치(166)는 헤드(124)에 의해 본체(162) 내부로 완전히 밀려들어가 접점을 연결하며, 헤드(124)도 그 상측부위가 가동단(142)의 하측부위와 접하면서 헤드의 승강운동은 중지된다. 이때, 밸브바디(10)의 내부 유로는 도 2b와 같이 적정 수준으로 개방된다.
그 결과, 붐베(2)에 저장되어 있던 고압의 이산화탄소는 밸브바디(10), 소화 배관(4)을 거쳐 화재 현장으로 다량 송출되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리미트스위치(166)의 접점 연결에 의해 경보수단(164)이 작동하면서 메인 밸브의 정상적인 개방상태를 외부로 알리게 된다. 이 상태는 제1피스톤(130)이 가스유입단(20)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고압의 가스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계속된다.
이때, 가동단(142)과 조작핸들(146) 각각의 중앙부위를 관통하는 구동로드(122)는 이들 각각과 독립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로드(122)가 일정수직높이만큼 승강할 때 가동단(142)과 조작핸들(146)의 위치변동은 없다. 즉, 구동로드(122)는 가동단(142)과 조작핸들(146) 각각의 중앙관통부를 통해 그 자체만이 단독으로 일정수직높이만큼 승강한다. 다만, 그 승강의 정도는 도 1의 이격간격 h보다 크지 않아야 됨은 자명하다.
화재가 진압되면 제어장치의 전달신호에 따라 딜레이 밸브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되고, 가스주입단(20)을 통한 고압의 가스 공급은 중단된다. 고압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면, 제1피스톤(130)을 지지하고 있던 잔여 가스는 가스배출단(30)을 통해 배기됨에 따라 제1피스톤(130)은 제1탄성수단(150)의 복원력에 의해 서서히 하강한다. 그 결과, 리미트스위치(166)의 일측단부는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접점이 단절되어 경보수단(164)의 작동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밸브바디(10)의 내부 유로는 제2피스톤(180)에 의해 폐쇄되면서 밸브바디를 통한 고압의 이산화탄소 송출이 중단되는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였음에 불구하고, 제어장치의 오작동으로 딜레이 밸브를 작동시킬 수 없거나, 제어장치로부터 신호는 정상적으로 전달되었으나 딜레이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딜레이 밸브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고압의 가스가 가스유입단(20)으로 공급되고 있으나 장치의 결함으로 인해 구동로드(122)가 제때 승강하지 않으면 화재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게 된다.
만일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경보수단(164)이 작동하지 않는데, 이때는 밸브바디(10)의 내부 유로가 도 3a와 같이 제2피스톤(18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조개폐기(140)를 인위적으로 작동시켜서 화재를 진압할 필요가 있다. 보조개폐기(140)의 작동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경보수단(164)이 작동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조작핸들(146)을 일방향으로 반복 회전시킨다. 조작핸들(146)은 가동단(142)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조작핸들(146) 및 가동단(142) 각각의 중앙부위를 관통하는 구동로드(122)는 이들과 개별적으로 승하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조작핸들(146)을 반복 회전시키더라도 구동로드(122)는 함께 승강하지 않고 원래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는 도 3b와 같이 조작핸들(146)의 타측부위가 구동로드(122)의 일측단부에 마련되는 걸림단(126)과 접할 때까지 유지된다. 즉, 조작핸들(146)이 가동단(142)과 함께 일정수직높이만큼 승강하더라도 구동로드(122)는 이들과 함께 승강하지 않아 밸브바디(10)의 내부 유로는 제2피스톤(18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조작핸들(126)을 일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조작핸들(146)의 타측부위와 걸림단(126)은 긴밀하게 밀착되고, 이들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걸림단(126)은 조작핸들(126)과 함께 서서히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로드(122)가 서서히 승강하게 된다. 구동로드(122)의 승강은 스템(170)을 통한 제2피스톤(180)의 승강으로 이어지며, 그 결과 밸브바디(10)의 내부 유로가 서서히 개방되는 것이다.
이후 이어지는 조작핸들(126)의 지속적인 회전에 따라 제2피스톤(180)은 도 3c와 같이 밸브바디(10)의 내부 유로를 적정 수준으로 개방하게 되고, 붐베(2)에 저장되어 있던 고압의 이산화탄소는 이를 통해 화재 현장으로 신속히 송출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밸브의 유로를 개방함에 있어 고압의 가스를 유입시켜 밸브 유로를 자동으로 개방시키되, 장치의 오작동으로 밸브 유로가 정상적으로 개방되지 않으면 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밸브 유로를 강제로 개방하는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화재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밸브 바디 20 : 가스유입단
30 : 가스배출단 110 : 본넷
120 : 구동체 130 : 제1피스톤
140 : 보조개폐기 150 : 제1탄성수단
160 : 작동경보기 170 : 스템
180 : 제2피스톤 190 : 제2탄성수단

Claims (4)

  1. 일측에는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마련되며, 타측에는 선박의 각 구획 공간으로 분지되는 소화 배관(4)과 연결되는 배출구(16)가 마련되는 밸브바디(10)로 이루어지는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로서,
    내부에는 가이드공간(111)이 형성되며 상측에는 내면에 나사산(117)이 형성되는 고정단(116)이 마련되어 밸브바디(10)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112)과, 하우징(112)의 일측 내면에 일정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되 그 일측부위는 가이드공간(111)과 연통되는 가스주입로(113)가 마련되는 본넷(110)과;
    상기 본넷(110)의 가스주입로(113)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스주입단(20)과;
    일측단부에는 걸림단(126)이 마련되며 연장되는 타측단부는 본넷(110)의 가이드공간(111)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일정길이의 구동로드(122)와, 구동로드(122)의 중간 부위에 장착되는 헤드(124)가 구비되는 구동체(120)와;
    구동로드(122)의 타측단부에 장착되어 가스주입로(113)를 통해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제1피스톤(130)과;
    중앙부위를 통해 구동로드(122)가 관통삽입되며 외면에는 나사산(143)이 형성되어 본넷(110)의 고정단(116)과 치합되는 가동단(142)과, 중앙부위를 통해 구동로드(122)가 관통삽입되며 일측부위는 가동단(142)과 접하며 타측부위는 구동로드(122)의 걸림단(126)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가동단(142)에 고정결합되는 조작핸들(146)이 마련되는 보조개폐기(140)와;
    헤드(124)와 제1피스톤(130) 사이에 위치하며 구동로드(122)를 감싸는 제1탄성수단(150)과;
    일측단부는 구동로드(122)와 고정결합되며 연장되는 타측단부는 밸브바디(10)의 내측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는 스템(170)과;
    스템(170)의 타측단부에 장착되어 밸브바디(10)의 내부유로를 개폐하는 제2피스톤(180)과;
    일측부위는 제1피스톤(180)과 접하며 스템(170)을 감싸는 제2탄성수단(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톤(180)의 모서리부위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수직단(18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면에는 수직단(181)의 승하강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단(184)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본넷(110)의 하우징(112) 상부 일측에는, 일측 단부부위가 하우징(112)의 가이드공간(111)으로 돌출되는 리미트스위치(166)와, 리미트스위치(166)에서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밸브바디(10)의 유로 개폐여부를 외부에 알리는 경보수단(164)이 구비된 본체(162)로 이루어지는 작동경보기(16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주입단(20) 하부에는, 일측부위가 가스주입로(113)와 연통되도록 가스주입로(113)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스배출단(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KR1020140040496A 2014-04-04 2014-04-04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KR101590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96A KR101590617B1 (ko) 2014-04-04 2014-04-04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496A KR101590617B1 (ko) 2014-04-04 2014-04-04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439A true KR20150115439A (ko) 2015-10-14
KR101590617B1 KR101590617B1 (ko) 2016-02-01

Family

ID=5435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496A KR101590617B1 (ko) 2014-04-04 2014-04-04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713A (zh) * 2016-02-29 2016-06-15 浙江海洋学院 一种滚塑游艇的灭火装置
KR102162374B1 (ko) * 2020-01-10 2020-10-06 이혜인 스프링클러 설비용 건식습식 겸용 밸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988A (ko) 1989-06-21 1991-01-30 김병문 폴리아크론을 주제로한 젤리상보냉제
KR100267121B1 (ko) 1997-11-21 2000-11-01 구자홍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메일 수신 확인 방법
JP2008208977A (ja) * 2007-02-28 2008-09-11 Ckd Corp 制御弁
US20110277985A1 (en) * 2009-02-04 2011-11-17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Drive sleeve and sealing mechanism for non-rising stem gate valve
KR101185459B1 (ko) 2010-10-07 2012-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소화 시스템
JP5457467B2 (ja) * 2009-02-04 2014-04-02 フィッシャー コントロール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用手動オーバーライド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988A (ko) 1989-06-21 1991-01-30 김병문 폴리아크론을 주제로한 젤리상보냉제
KR100267121B1 (ko) 1997-11-21 2000-11-01 구자홍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이-메일 수신 확인 방법
JP2008208977A (ja) * 2007-02-28 2008-09-11 Ckd Corp 制御弁
US20110277985A1 (en) * 2009-02-04 2011-11-17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Drive sleeve and sealing mechanism for non-rising stem gate valve
JP5457467B2 (ja) * 2009-02-04 2014-04-02 フィッシャー コントロールズ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用手動オーバーライド装置
KR101185459B1 (ko) 2010-10-07 2012-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소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7713A (zh) * 2016-02-29 2016-06-15 浙江海洋学院 一种滚塑游艇的灭火装置
KR102162374B1 (ko) * 2020-01-10 2020-10-06 이혜인 스프링클러 설비용 건식습식 겸용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617B1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7152T3 (es) Sistema de supresión del riesgo de incendios de gas inerte con auto-modulación
US6708771B2 (en) Low pressure electro-pneumatic and gate actuator
EP1969271B2 (en) Pressure gas release valve for fire suppression
US201001932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onversion of Sprinkler System
US20130199625A1 (en) Flushing hydrant
KR101590617B1 (ko)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US20140238708A1 (en) High rate discharge (hrd) valve opening mechanism for a fire and explosion protection
US10371322B2 (en) Pressurized gas vessel port assembly
KR20040098747A (ko) 소화기의 자동 소화 시스템
JP6546444B2 (ja) ガス系消火設備及び圧力調整器
KR20160144758A (ko)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KR101384253B1 (ko) 소 공간용 소화장치
KR101106703B1 (ko) 가압가스 누설에 의한 누설 압력상승 방지밸브를 장착한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
MXPA04004887A (es) ENSAMBLE DE VáLVULA SENSIBLE A LA TEMPERATURA.
CN1262322C (zh) 二氧化碳自动灭火系统
KR101875551B1 (ko) 초고압 압축가스 개폐장치
KR102043164B1 (ko) 화재진압 기동시스템
CN202017768U (zh) 一种自动灭火器的电磁阀
KR20210008761A (ko) 이중 챔버 소화기
KR101491837B1 (ko) 지연 밸브
CN209137833U (zh) 一种七氟丙烷灭火设备
CN117989364A (zh) 一种具有防复位功能的预作用阀组件及其雨淋阀系统
CN212914336U (zh) 一种分布式消防气体灭火系统
JP4546153B2 (ja) 自動弁装置
JP2009017997A (ja) 流水検知装置および一斉開放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