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903B1 -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 Google Patents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903B1
KR101698903B1 KR1020150081319A KR20150081319A KR101698903B1 KR 101698903 B1 KR101698903 B1 KR 101698903B1 KR 1020150081319 A KR1020150081319 A KR 1020150081319A KR 20150081319 A KR20150081319 A KR 20150081319A KR 101698903 B1 KR101698903 B1 KR 101698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xhaust hole
discharge hole
safety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758A (ko
Inventor
이화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50081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90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2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e.g. rods, le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에 관한 것으로, 가스를 이용한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소화용 기동용기의 용기의 누설 및 방출을 막을 수 있도록,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받아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수단을 개방시키기 위한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에 있어서, 고압의 가스가 저장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입구에 설치되고 용기와 연통된 제1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가스를 안내하는 제2배출공이 일측에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에 설치된 안전관이 제1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안전부와, 상기 제2배출공과 연결되는 작동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바가 제2배출공에 내입된 상태에서 작동바와 동일 축선으로 연결된 지지관을 통해 작동바를 고정시키고 상기 작동몸체 내부에 형성한 토출공이 작동바에 의해 제2배출공과 연통 상태가 결정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신호가 인가되면 시동수단이 지지관을 타격하여 작동바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제2배출공과 토출공이 연통되면서 용기의 가스가 토출공을 통해 소화수단에 입력되도록 하는 시동부로 구성하여, 밸브몸체에 설치된 안전관이 제1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안전부로 인해, 기동 용기를 안정적으로 충전, 교체 및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Actuating device unit valve}
본 발명은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를 이용한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소화용 기동용기의 용기의 누설 및 방출을 막을 수 있고, 가스가 배출되는 부분과 용기를 기동시키기 위한 밸브가 동일 축선에 배치한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연성가스인 탄산가스는 화재의 소화뿐만 아니라 화재시 인화폭발의 예방에도 적당한 것으로서 연소의 3요소 중 하나인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는 질식효과는 물론, 냉각에 의한 소화효과도 있다.
보통 대기 중에는 산소가 21% 차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약15~16%이하로 감소시키면 연소가 계속적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소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소화약제로서의 탄산가스는 오손, 부식, 손상의 우려가 없고 소화 후에도 전혀 흔적이 남지 않으며 기체이기 때문에 어떠한 장소에도 침투 확산되어 소화가 가능하며, 비전도성의 불연성 가스로서 전류가 통하고 있는 장소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자체의 압력으로 배관을 통하여 어느 곳이든 방출할 수 있어 니트로셀룰로스나 활성금속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가연성물질의 소화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약제를 이용한 소화설비는 소화약제를 방호공간에 방출시켜 화재를 소화하는 저장용기를 작동시키는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가 배치되어 있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6021호에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소화설비를 기동하기 위한 용기의 설치 및 교체를 하기 위해 용기를 이동시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용기 내의 가스가 누설 및 방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를 기동시키는 밸브가 가스가 토출되는 방향의 반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져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미감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6021호.(2011년05월13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스를 이용한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소화용 기동용기의 용기의 누설 및 방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스가 배출되는 부분과 용기를 기동시키기 위한 밸브가 동일 축선에 배치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받아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수단을 개방시키기 위한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에 있어서, 고압의 가스가 저장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입구에 설치되고 용기와 연통된 제1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1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가스를 안내하는 제2배출공이 일측에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에 설치된 안전관이 제1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안전부와, 상기 제2배출공과 연결되는 작동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바가 제2배출공에 내입된 상태에서 작동바와 동일 축선으로 연결된 지지관을 통해 작동바를 고정시키고 상기 작동몸체 내부에 형성한 토출공이 작동바에 의해 제2배출공과 연통 상태가 결정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신호가 인가되면 시동수단이 지지관을 타격하여 작동바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제2배출공과 토출공이 연통되면서 용기의 가스가 토출공을 통해 소화수단에 입력되도록 하는 시동부로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전부는, 상기 밸브몸체 상부에 안전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몸체의 내부에는 가압패킹을 포함하는 가압부재가 하부에 설치된 안전관이 삽입되며 상기 안전몸체의 상부에 나사체결된 조절수단을 조작하여 리드이동하면 안전관이 승하강하여 제1배출공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몸체의 측면에 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지지관의 일단은 작동바에 설치되고 지지관의 타단은 지지부재 내측면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동부와 밸브몸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재에 하나 이상의 토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동부는, 상기 지지관의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시동수단의 신호에 의해 지지관을 타격하는 가압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동수단은,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는 가스를 이용한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소화용 기동용기의 누설 및 방출을 막을 수 있도록, 밸브몸체에 설치된 안전관이 제1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안전부로 인해, 기동 용기를 안정적으로 충전, 교체 및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는 가스가 배출되는 부분과 용기를 기동시키기 위한 밸브를 동일 축선에 배치하도록, 밸브몸체의 제2배출공과 연결되는 작동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바가 제2배출공에 내입된 상태에서 작동바와 동일 축선으로 연결된 지지관을 통해 작동바를 고정시키고 상기 작동몸체 내부에 형성한 토출공이 작동바에 의해 제2배출공과 연통 상태가 결정되는 작동부로 인해, 밸브의 구조가 간단해져 좁은 설치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미감도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인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받아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수단 1을 개방시키기 위한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10에 있어서, 보관함 7 내부에는 고압의 가스가 저장된 용기 100와 상기 용기 100의 입구에 설치된 밸브몸체 110와 상기 밸브몸체 110에 설치된 안전부 120와 상기 제2배출공 113과 연결된 작동부 130와 상기 작동부 130에 설치된 시동부 150로 구성한다.
이러한, 용기 100는 소화수단 1의 저장용기밸브(미부호)를 개방시키기 위한 가압용 가스를 저장하는 용기 100로서 내용적이 1ℓ이상으로 액체 가스가 0.6㎏ 이상 충전되어 있음이 바람직 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때, 가스는 이산화탄소, 질소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특히,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10는 수신부(미부호)를 통해 수신된 화재 발생신호에 의해 작동한다. 즉,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10는 용기 100를 개방시켜 고압의 가스가 소화수단 1에 입력되도록 한다. 덧붙여, 소화수단 1의 가스가 방출될 때 가스압력을 제어반 3으로 입력시켜 표시등 5을 점등시킨다.
더불어, 밸브몸체 110는 용기 100의 입구에 설치된다. 이때, 밸브몸체 110는 용기 100의 입구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에 체결한다.
또한, 밸브몸체 110의 하부에는 용기 100와 연통된 제1배출공 111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배출공 111을 통해 배출된 가스를 안내하는 제2배출공 113이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배출공 111은 용기와 동일축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배출공 113은 제1배출공 111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밸브몸체 110의 측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밸브몸체 110의 측면에는 용기 100의 가스 압력을 표시하는 게이지 11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안전부 120는 밸브몸체 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부 120는 제1배출공 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특히, 안전부 120는 안전몸체 121, 안전관 123, 가압부재 125, 조절수단 129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안전몸체 121는 밸브몸체 110의 상부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안전몸체 121의 내부에는 안전관 123이 승하강할 수 있게 삽입된다. 여기서, 안전관 123의 하부에는 가압패킹 127을 포함하는 가압부재 12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패킹 127은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수지 재질이 적합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가압패킹 127이 제1배출공 111의 상부에 밀착되어 제1배출공 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특히, 제1배출공 111의 상부에는 지지턱 115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가압패킹 127의 일부를 변형시켜 밀폐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안전몸체 121의 상부에 조절수단 129이 나사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조절수단 129을 조작하여 리드이동하면 안전관 123이 승하강하여 제1배출공 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10는 가스를 이용한 소화설비를 작동시키는 소화용 기동용기의 가스 누설 및 방출을 막을 수 있도록, 밸브몸체 110에 설치된 안전관 123이 제1배출공 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안전부 120로 인해, 기동 용기를 안정적으로 충전, 교체 및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작동부 130는 안전몸체 121의 제2배출공 113과 연통되게 작동몸체 131를 연결한다. 이러한, 작동몸체 131 내부에는 작동바 133가 제2배출공 113에 내입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작동바 133는 제2배출공 113과 동일축선에 배치되어 있다.
더불어, 작동바 133와 동일 축선으로 연결된 지지관 135을 통해 작동바 133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지지관 135은 주로 유리관이 적합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더불어, 지지관 135은 중간이 힌지 연결된 바형상일 수도 있다. 즉, 가압바 153가 바형상의 지지관 135을 타격하면 지지관 135의 힌지부분이 꺾여서 작동바 133가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작동몸체 131의 측면에 지지부재 139가 설치된다. 더불어, 지지관 135의 일단은 작동바 133에 설치되고 지지관 135의 타단은 지지부재 139 내측면에 지지된다.
즉, 작동바 133의 위치에 따라 작동몸체 131 내부에 형성한 토출공 137이 작동바 133에 의해 제2배출공 113과 연통 상태가 결정된다.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몸체 131가 안전몸체 121에 나사체결로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 140를 통해 안전몸체 121와 작동몸체 131를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때, 연결부재 140에 하나 이상의 토출공 1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연결부재 140와 작동몸체 131 사이에는 지지판(미부호)을 설치하여 일측에 시동부 150를 설치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10는 가스가 배출되는 부분과 용기 100를 기동시키기 위한 밸브 10를 동일 축선에 배치하도록, 밸브몸체 110의 제2배출공 113과 연결되는 작동몸체 131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바 133가 제2배출공 113에 내입된 상태에서 작동바 133와 동일 축선으로 연결된 지지관 135을 통해 작동바 133를 고정시키고 상기 작동몸체 131 내부에 형성한 토출공 137이 작동바 133에 의해 제2배출공 113과 연통 상태가 결정되는 작동부 130로 인해, 밸브 10의 구조가 간단해져 좁은 설치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미감도 상승된다.
한편, 시동부 150는 작동부 130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시동부 150는 지지관 135과 수직방향으로 설치한다.
이러한, 시동부 150에 화재 발생신호가 인가되면 시동수단 151이 지지관 135을 타격한다. 이처럼, 시동부 150가 작동바 133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제2배출공 113과 토출공 137이 연통되면서 용기 100의 가스가 토출공 137을 통해 소화수단 1에 입력되도록 한다.
아울러, 시동부 150는 시동수단 151의 신호에 의해 지지관 135을 타격하는 가압바 15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압바 153는 시동수단 151의 상부에 설치된 시동몸체 155에는 가압바 153가 삽입된다.
더불어, 시동수단 151의 일실시예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는 전자식 또는 모터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10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100의 입구에 안전부 120가 포함된 밸브몸체 121를 설치한다. 이때, 조절수단 120을 풀어서 제1배출공 111을 개방시킨 후 제2배출공 113을 통해 가스를 용기 100에 충전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이 완료된 후 조절수단 120을 회전시키면 가압패킹 127이 지지턱 115에 밀착되어 제1배출공 111을 막는다. 이처럼, 수동으로 밀폐된 용기 100를 보관함 7에 설치한 후 밸브몸체 110의 측면에 작동부 130를 설치한다. 더불어, 작동부 130에 수직방향으로 시동부 150를 설치한다.
나아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용기 100에 설치된 조절수단 120을 풀어서 제1배출공 111을 개방하여 시동 대기상태로 만들어 준다. 이때, 화재 발생신호가 인가되면 시동수단 151이 지지관 135을 타격하여 작동바 133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킨다.
더불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관 135이 파쇄되면 작동바 133가 이동하여 제2배출공 113과 토출공 137이 연통된다. 즉, 용기 100의 가스가 토출공 137을 통해 소화수단 1에 입력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소화수단 3 : 제어반
5 : 표시등 10 :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100 : 용기 110 : 밸브몸체
111 : 제1배출공 113 : 제2배출공
120 : 안전부 121 : 안전몸체
123 : 안전관 125 : 가압부재
127 : 가압패킹 129 : 조절수단
130 : 작동부 131 : 작동몸체
133 : 작동바 135 : 지지관
137 : 토출공 139 : 지지부재
140 : 연결부재 150 : 시동부
151 : 시동수단 153 : 가압바
155 : 시동몸체

Claims (6)

  1. 화재 발생신호를 수신받아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수단을 개방시키기 위한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에 있어서,
    고압의 가스가 저장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입구에 설치되고 용기와 연통된 제1배출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배출공의 상부에는 지지턱을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1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가스를 안내하는 제2배출공이 일측에 형성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에 설치된 안전관이 제1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안전부와,
    상기 제2배출공과 연결되는 작동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바가 제2배출공에 내입된 상태에서 작동바와 동일 축선으로 연결된 지지관을 통해 작동바를 고정시키고 상기 작동몸체 내부에 형성한 토출공이 작동바에 의해 제2배출공과 연통 상태가 결정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신호가 인가되면 시동수단이 지지관을 타격하여 작동바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제2배출공과 토출공이 연통되면서 용기의 가스가 토출공을 통해 소화수단에 입력되도록 하는 시동부로 구성하되,
    상기 안전부는, 상기 밸브몸체 상부에 안전몸체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턱에 의해 변형되는 가압패킹을 포함하는 가압부재가 하부에 설치된 안전관이 삽입되며 상기 안전몸체의 상부에 나사체결된 조절수단을 조작하여 리드이동하면 안전관이 승하강하여 제1배출공을 개폐시키고,
    상기 작동부와 밸브몸체를 연결부재로 연결하되, 상기 연결부재에 하나 이상의 토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몸체의 측면에 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지지관의 일단은 작동바에 설치되고 지지관의 타단은 지지부재 내측면에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부는,
    상기 지지관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시동수단의 신호에 의해 지지관을 타격하는 가압바를 포함하는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6. 삭제
KR1020150081319A 2015-06-09 2015-06-09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KR101698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319A KR101698903B1 (ko) 2015-06-09 2015-06-09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319A KR101698903B1 (ko) 2015-06-09 2015-06-09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758A KR20160144758A (ko) 2016-12-19
KR101698903B1 true KR101698903B1 (ko) 2017-01-23

Family

ID=5773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319A KR101698903B1 (ko) 2015-06-09 2015-06-09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9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125A (ko) * 2019-04-11 2020-10-21 (주) 원일소방이엔지 점검이 용이한 가스계 소화기 밸브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동장치
KR20240019431A (ko) 2022-08-04 2024-02-14 주식회사 엘엔피 주/예비용기 및 전환스위치 내장형 기동용기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872B1 (ko) 2018-09-20 2023-1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황-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223Y1 (ko) * 2003-10-24 2004-01-13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자동소화장치용 밸브구조
KR101260783B1 (ko) * 2012-04-17 2013-05-06 이대규 소화장치용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화설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21B1 (ko) * 2009-04-13 2011-05-23 김경종 소방 설비의 기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223Y1 (ko) * 2003-10-24 2004-01-13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자동소화장치용 밸브구조
KR101260783B1 (ko) * 2012-04-17 2013-05-06 이대규 소화장치용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화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125A (ko) * 2019-04-11 2020-10-21 (주) 원일소방이엔지 점검이 용이한 가스계 소화기 밸브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동장치
KR102245161B1 (ko) * 2019-04-11 2021-04-27 (주) 원일소방이엔지 점검이 용이한 가스계 소화기 밸브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동장치
KR20240019431A (ko) 2022-08-04 2024-02-14 주식회사 엘엔피 주/예비용기 및 전환스위치 내장형 기동용기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758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903B1 (ko) 소화용 기동용기 밸브
KR10129504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CN104126109B (zh) 测试气体关断阀的方法
KR101717083B1 (ko) 압력 챔버 방식의 소공간용 자동소화장치
KR101503705B1 (ko) 양압형 방폭장치
CN209635088U (zh) 一种防火防爆的成品油储罐结构
CN100998913B (zh) 一种变压器排油注氮灭火装置
KR20160134073A (ko) 소화용 기동용기
CN106988638B (zh) 船用气动防火门
KR20090059427A (ko) 이너트 가스를 이용한 캐비닛형 소화장치
CN101566068B (zh) 矿用抑爆设备快速触发装置
CN106310566A (zh) 一种预贮压式燃气型自动灭火装置
JP2009112484A (ja) 放水継手
CN201034241Y (zh) 高压储气瓶防爆充气箱
CN105910715B (zh) 一种明火检测火焰探测器性能的测试装置
KR101106703B1 (ko) 가압가스 누설에 의한 누설 압력상승 방지밸브를 장착한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
CN104623830A (zh) 双箱式二氧化碳灭火装置及方法
KR20170138828A (ko) 배전함용 co2 카트리지 자동 소화기
KR100877358B1 (ko) 가스식 f형 밸브개방기
CN207506883U (zh) 一种厨房自动灭火装置
CN200989452Y (zh) 一种用于变压器灭火装置高压氮气瓶的闭锁阀门
KR102433908B1 (ko) 구형 소화장치
KR20150115439A (ko)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CN103939646A (zh) 一种干式报警阀
RU46939U1 (ru)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