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194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194A
KR20150115194A KR1020140039837A KR20140039837A KR20150115194A KR 20150115194 A KR20150115194 A KR 20150115194A KR 1020140039837 A KR1020140039837 A KR 1020140039837A KR 20140039837 A KR20140039837 A KR 20140039837A KR 20150115194 A KR20150115194 A KR 20150115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cavity
guides
cov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4503B1 (ko
Inventor
위재혁
양인규
김영수
김양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9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503B1/ko
Priority to US14/338,817 priority patent/US9534791B2/en
Priority to EP22185104.1A priority patent/EP4108991A1/en
Priority to EP18176412.7A priority patent/EP3401604B1/en
Priority to EP14185183.2A priority patent/EP2927602B1/en
Priority to EP20168390.1A priority patent/EP3712506B1/en
Publication of KR2015011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2Stoves
    • F24C3/025Stoves of the close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화염을 발생하며,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부를 구비하는 버너; 및 상기 캐비티를 관통한 상기 공급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홀이 구비되는 노즐 홀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열원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조리기기의 일 예로, 오븐 레인지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오븐실 및 가스를 연소시켜서 상기 오븐실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버너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3997호(공개일 2010.02.10.)에는 오븐 레인지가 개시된다.
상기 오븐 레인지는, 오븐실을 형성하는 바닥면의 하방에 버너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챔버에 상기 오븐실의 내부의 음식물을 대류가열시키기 위한 하부 버너가 설치된다.
선행문헌의 오븐 레인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잇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버너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버너챔버로부터 상기 오븐실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오븐실 및 버너챔버가 서로 연통된다. 그런데 상기 버너챔버는 상기 오븐실의 하방에 구비되므로, 상기 오븐실의 바닥면 일부가 개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오븐실의 바닥면 일부가 개구되면, 상기 오븐실에서 음식물을 조리 또는 상기 오븐실의 내외부로 음식물을 출납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 등이 상기 오븐실과 버너챔버의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버너챔버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찌꺼기 등에 의하여 제품이 오염될 우려가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오븐실의 바닥면 일부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바닥면의 개구에 의해서 오븐실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오븐실의 하방에 하부 버너가 설치되므로, 버너 설치 공간 만큼 캐비티 용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븐실의 하방에 하부 버너가 위치되므로, 조리기기를 분해하기 전에는 하부 버너를 조리실의 외부로 꺼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실의 공간이 증가될 수 있으며, 버너가 조리실의 외부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화염을 발생하며,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부를 구비하는 버너; 및 상기 캐비티를 관통한 상기 공급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홀이 구비되는 노즐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너의 일부는 상기 캐비티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노즐 홀더는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홀더는 상기 캐비티를 관통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를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즐 홀더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와 접촉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홀더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가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면,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 사이의 거리 보다 크다.
또한, 상기 가스 배출홀과 인접한 부분의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의 외측 단부 간의 거리 보다 짧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에는 상기 캐비티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홀더는 상기 가스 배출홀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는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감싼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복수의 제1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가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면,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며,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부가 구비되는 버너; 및 상기 버너의 공급부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배출홀을 구비하는 노즐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너는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노즐 홀더는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며,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부가 구비되는 버너; 및 상기 버너의 공급부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배출홀과, 상기 공급부와 상기 가스 배출홀의 정렬을 위한 가이드를 구비하는 노즐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너는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노즐 홀더는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노즐 홀더는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버너는 캐비티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버너의 관리를 위하여 상기 버너를 상기 조리실의 외부로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노즐 홀더와 상기 버너가 체결되지 않더라도 상기 공급부의 복수의 제1가이드가 상기 노즐 홀더의 복수의 제2가이드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 홀더의 수용홈에 수용되므로, 상기 버너의 공급부와 상기 홀더 바디의 가스 분사홀이 정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버너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버너 기구의 제1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8은 도 5의 버너 기구의 제2커버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홀더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노즐 홀더에 버너의 공급부가 정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가 캐비티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서 제2도어가 분리된 상태의 조리기기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오븐부(oven unit: 20)와, 쿡탑부(cook-top unit: 60)와, 드로워부(drawer unit: 40) 및 컨트롤부(control unit: 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1)는 아우터 케이스(outer case: 11)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1)는 상기 오븐부(20)와 상기 드로어부(40)의 양측면 및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조리기기(1)의 종류에 따라 상기 쿡탑부(60) 및 드로워부(40)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쿡탑부(60), 오븐부(20) 및 드로워부(40)는 각각 상기 조리기기(1)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조리기기(1)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쿡탑부(60)는 다수의 쿡탑 버너(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쿡탑 버너(61)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 또는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상기 쿡탑부(60)의 전단부에는, 다수의 쿡탑 버너(61)를 조작하는 조작부(62)가 배치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쿡탑부(60)는, 하나 이상의 전기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히터는 상기 쿡탑부(6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쿡탑부(60)를 구성하는 가열원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오븐부(20)는,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실(22)을 형성하는 캐비티(cavity: 21)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티(21)는 일 예로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븐부(20)는, 상기 조리실(22)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버너 어셈블리(burner assembly: 23)와, 상부 버너(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와 상기 상부 버너(24)는 동시에 작동할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이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버너(24)는 상기 조리실(22) 내에서 음식물의 상방에서 열을 음식물로 제공하고, 상기 버너 어셈블리(23)는 상기 조리실(22) 내에서 음식물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버너(24)는 일 예로 상기 캐비티(21)의 상측벽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버너 어셈블리(23)는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븐부(20)는, 상기 조리실(22)을 개폐하는 도어(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5)는 상기 조리기기(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예로 상기 도어(25)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방식으로 상기 조리실(22)을 개폐하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25)의 작동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도어(25)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도어(25)의 회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도어 핸들(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부(40)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 등을 소정의 온도로 보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로워부(40)에는 용기가 수납되는 드로워(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41)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상기 조리기기(1)에 인입되거나 상기 조리기기(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41)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 구체적으로는, 상기 쿡탑부(60), 오븐부(20) 및 드로워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조리기기(1)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버너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21)는, 양측벽(31)과, 바닥벽(32)과, 상측벽(33)과, 후측벽(3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방"은 상기 조리기기(1)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상기 조리기기(1)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22) 내에서 "전방"은 상기 오븐부(20)의 도어(25)를 향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을 향하는 방향임을 밝혀둔다.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캐비티(21)의 하방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캐비티(21)의 바닥벽(32)에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32a)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캐비티(21)의 용량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는, 버너 기구(burner device: 100)와, 상기 버너 기구를 커버하는 어셈블리 커버(assebly cover: 190)와, 팬(fan: 210)과, 팬 모터(fan motor: 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기구(100)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기기 위한 버너(110)와, 상기 버너(110)를 커버하는 버너 커버(burner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는 상기 버너(110)가 관통하기 위한 버너 홀(3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버너(110)는 상기 조리실(22)에 위치되고, 일부가 상기 버너 홀(36)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캐비티(21)의 상측벽(33)에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홀(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홀(34)이 상기 상측벽(33)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버너 커버(130)는, 제1커버(140)와, 제2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커버(140)는 상기 버너(110)의 앞쪽에서 상기 버너(110)를 커버하고, 상기 제2커버(140)는 상기 버너(110)의 뒷쪽에서 상기 버너(110)를 커버한다.
상기 버너 기구(100)는, 상기 버너(110)로 공급된 혼합가스의 점화를 위한 점화부(189)와, 화염 안정화를 위한 스테빌라이져(stabilizer: 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부(189)는 일 예로 상기 버너(11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테빌라이져(180)는, 상기 제2커버(16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점화부(189)의 일부는 상기 제2커버(160) 및 상기 캐비티(21)의 상측벽(33)을 관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점화부(189)는 상기 제1커버(140) 또는 제2커버(16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버너 기구(100)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팬 모터(212)는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팬(210)은 상기 조리실(22)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팬 모터(212)의 축(213)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을 관통하여 상기 팬(210)에 결합된다. 상기 팬 모터(212)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 마운트(motor mount에 의해서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 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상기 버너 기구(100)를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 등이 상기 버너 기구(10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전면 플레이트(191)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에서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193)와, 상기 연장부(193)에서 절곡되는 접촉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에는 상기 조리실(22)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19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93)에는 상기 버너 기구(10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22)로 토출시키는 공기 토출구(194)가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공기 토출구(194)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에 형성되거나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와 상기 연장부(193) 각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촉부(195)는 상기 버너 기구(10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95)에는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19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하단은 상기 캐비티(21)의 바닥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와 연장부(193) 및 접촉부(195)의 하단은 상기 캐비티(21)의 바닥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와 연장부(193)가 상기 캐비티(21)의 바닥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상기 캐비티(21) 하측벽(32)의 함몰부(32a)와 상기 후측벽(35) 사이에서 상기 캐비티(21)의 하측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는 상기 버너(110)로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 홀더(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홀더(220)는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캐비티(21)의 외측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열재에 상기 노즐 홀더(22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노즐 홀더(220)는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을 관통한 상기 버너(110)와 정렬되어 상기 버너(110)로 가스를 분사한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는 버너 리플렉터(200: burner reflec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리플렉터(200)는 팬(210)이 관통하기 위한 개구(202)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 리플렉터(200)는 상기 조리실(22) 내에서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버너 리플렉터(200)는, 상기 버너 커버(130)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리플렉터(200)는 상기 버너(110)의 열기를 상기 조리실(22)로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버너 기구의 제1커버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버너 커버(130)는 가스가 연소되기 위한 연소 챔버(C)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소 챔버(C)에 상기 버너(110)가 위치된다.
상기 버너 커버(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커버(140) 및 제2커버(1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버(140)는, 제1플레이트(141)와,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148)와, 상기 제1연장부(148)에서 절곡되는 제1체결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를 통하여 흡입된 상기 조리실(22)의 공기가 통과하는 제1개구(142)가 형성된다.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는 그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흡입구(192)는 다수의 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다수의 홀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192)의 전체적인 윤곽은 일 예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기 흡입구(192)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제1커버(140)의 제1개구(142)를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구(142)의 직경은 상기 공기 흡입구(192)의 윤곽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상기 제1개구(142)의 하방에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강도 보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제1보강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1보강부(144)는 가로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일 예로 다수의 제1보강부(144)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개시되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보강부(144)의 개수 및 배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보강부(14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다수의 제1보강부(144)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보강부(144)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보강부(144)가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상기 도어(25)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일부가 포밍될 수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강부(144)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강부(144)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와 이격되고,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제1플레이트(141)가 열에 의해서 팽창하는 경우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와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보강부(144)에 의해서,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열 변형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플레이트(141)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제1보강부(144)가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접촉함에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추가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다수의 제1보강부(144) 중 일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하나 이상의 제1보강부(144)가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상기 제1개구(142)의 둘레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제2보강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142)는 일 예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보강부(153)는 상기 제1개구(142)를 감싸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개구(142)의 형상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고, 상기 제2보강부(153)의 형상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2보강부(153)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보강부(153)가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상기 도어(25)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일부가 포밍될 수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보강부(153)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보강부(153)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와 이격되고,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제1플레이트(141)가 열에 의해서 팽창하는 경우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제1개구(142)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 방향의 변화없이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제1개구(142)로 유동하므로 상기 조리실(22) 내에서의 공기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는 상기 연소 챔버(C)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143)를 구비하는 제1삽입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143)은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상기 제1보강부(144)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6에는 일 예로 다수의 제1유입홀(143)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도시되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유입홀(143)의 개수, 배치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커버(140)의 제1삽입부(151)는 상기 캐비티(21)의 하측벽(32)을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143)은 상기 캐비티(2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21) 외측의 공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143)을 통하여 상기 연소 챔버(C)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는 상기 연소 챔버(C)로 공급된 공기를 상기 버너(110)에서 생성된 화염 측으로 가이드하여, 공기와 화염 간의 접촉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에어 가이드(air guide: 1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146)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가이드(146)가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서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141)의 일부가 포밍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146)는 곡선부(146a)의 일단 또는 양단에 형성되는 직선부(146b, 146c)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에어 가이드(146)가 곡선부(146a)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에어 가이드(146)의 곡선부(146a)는 일 예로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잇다. 상기 곡선부(146a)의 반경은 상기 제2보강부(153)의 반경 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곡선부(146a)의 일부는 상기 제2보강부(153)와 상기 제1보강부(14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후술할 것이나, 상기 곡선부(146a)의 곡률 반경은, 상기 버너(110)의 내주면의 곡률 반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146)에 의해서 상기 버너(110)의 화염 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146)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플레이트(14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146)가 공기의 유동을 원활히 가이드하기 위하여 단면은 곡선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체결부(149)에는 상기 제2커버(160)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체결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버너 기구의 제2커버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커버(160)는, 제2플레이트(161)와,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166)와, 상기 제2연장부(166)에서 절곡되는 제2체결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는 상기 연소 챔버(C)에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개구(1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16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개구(162)의 직경은 상기 제1개구(142)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는 상기 버너(110)가 체결되기 위한 버너 체결홀(17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는 상기 버너(110)가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는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 상기 버너(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11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가 상기 버너(11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161)의 일부가 성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는 상기 버너(110)와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는, 상기 버너(110)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110)와 인접할 수 있고, 상기 버너(11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제2플레이트(161)가 변형되는 경우에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가 상기 버너(110)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경우든,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에 의해서 상기 버너(110)가 상기 제2플레이트(161)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164)가 구비됨에 따라서 상기 제2플레이트(161)의 열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버너(110)가 상기 제2커버(160)에 설치되고, 상기 제2커버(160)에 상기 제1커버(14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110)는 상기 제1커버(140)의 제1플레이트(141) 및 상기 제2플레이트(161)와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상기 캐비티(21)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제1플레이트(141)와 상기 버너(110) 사이 및 상기 제2플레이트(161)와 상기 버너(110) 사이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 다수의 돌출부(164)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돌출부(164)는 상기 버너(110)가 상기 제2커버(161)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110)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져(180)가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테빌라이져 체결홀(16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169)에는 상기 제1체결부(149)의 제1체결홀(150)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홀(169)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각각에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커버의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커버의 제2연장부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커버(160)는 상기 캐비티(21)의 하측벽(32)을 관통하는 제2삽입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167)에는 하나 이상의 제2유입홀(167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유입홀(167a)은 상기 캐비티(21)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21) 외측의 공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유입홀(167a)을 통하여 상기 연소 챔버(C)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140)가 상기 제2커버(16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버(140)의 제1삽입부(151)는 상기 제2커버(160)의 제2삽입부(167)와 이격될 수 잇다.
도 8에는 일 예로 다수의 제2유입홀(167a)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도시되나,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유입홀(167a)의 개수, 배치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커버(14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1유입홀(143)과 상기 제2커버(16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유입홀(167a)에 의해서 상기 캐비티(21) 외측의 공기가 상기 연소 챔버(C)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60)는 상기 제2커버(160)를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설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설치부(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168)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부(168)에 의해서 상기 제2커버(160)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플레이트(161)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168)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 사이 공간에 상기 팬(210)이 배치된다. 즉, 상기 팬(210)은 상기 버너 커버(130)가 형성되는 연소 챔버(C)의 외부의 별도의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2커버(160)는 상기 버너(11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버너 관통부(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관통부(171)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버너 관통부(171)가 상기 제2플레이트(16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161)가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관통부(171)에는 버너 관통홀(1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관통홀(172)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형성되는 버너 홀(36)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버(160)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 관통부(171)는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버너 커버(130)의 제2개구(162)를 통과한 가열공기는 상기 제2커버(160)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 사이 공간을 유동한 후에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토출구(194)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22)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제2커버(160)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 관통부(171)는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과 접촉함에 따라서, 가열공기가 상기 버너 관통홀(172)을 통하여 상기 연소 챔버(C)로 재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열공기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의 버너 홀(36)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21)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110)는 개구된 루프(opened loop) 형태의 버너 튜브(burner tube: 111)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버너 튜브(111)는 비 원형(non-annul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버너 튜브(111)는, "U"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튜브(111)의 제1단부(111a)에는 가스와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부(120)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 튜브(111)의 제2단부(111a)는 막혀있다.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버너 튜브(111)의 제1단부(111a)에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부(120)를 통하여 공급된 가스와 공기는 상기 제1단부(111a)에서 유동 방향이 변환된 후에 상기 버너 튜브(111)를 따라 제2단부(111b) 측으로 유동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급부(120)를 통하여 공급된 가스 및 공기는 상기 버너 튜브(111) 내에서 일 방향으로만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버너 튜브(111)는 전체적으로 곡선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단부(111a)와 상기 제2단부(111b) 중 하나 이상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버너 튜브(111)는, 내주면(inner periphery: 111)과 외주면(outer periphery: 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튜브(111)의 내주면(112)에는 다수의 가스 배출홀(gas outlet hole: 114, 115)이 구비된다. 다수의 가스 배출홀(114, 115)은 다수 열로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열(row)"은 상기 버너 튜브(111)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가스 배출홀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기 다수 열의 가스 배출홀(114, 115)은, 다수의 제1가스 배출홀(114)과 다수의 제2가스 배출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는 일 예로 2열의 가스 배출홀(114, 115)이 상기 버너 튜브(111)의 내주면(112)에 구비되나, 본 발명에서 가스 배출홀의 열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즉, 1열의 가스 배출홀이 상기 버너 튜브(111)의 내주면(111)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한 열의 가스 배출홀(114, 115)은 상기 버너 튜브(11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어느 한 열의 가스 배출홀(114)은 다른 한 열의 가스 배출홀(115)와 이격된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인접하는 두 열의 가스 배출홀(114, 115)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인접하는 두 열의 가스 배출홀(114, 115)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어느 한 열의 인접하는 가스 배출홀(114) 사이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다른 한 열의 가스 배출홀(11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너 튜브(111)의 내주면(112)의 최소 곡률 반경은 상기 제1커버(140)의 에어 가이드(146)의 곡선부(146a)의 최대 곡률 반경 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너 튜브(111)의 내주면(112)의 최소 곡률 반경은, 상기 제2커버(160)의 제2개구(162)의 반경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개구(162)가 비원형인 경우에는 상기 버너 튜브(111)의 내주면(112)의 최소 곡률 반경은 상기 제2개구(162)의 최대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버너 튜브(111)에는 상기 버너 튜브(111)를 상기 제2커버(160)에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브라켓(bracket: 125, 126)이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브라켓(125, 126) 중 일 브라켓(126)은 상기 버너 튜브(110)의 제2단부(111b)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라켓(125, 126)은 일 예로 상기 제2커버(160)에 스크류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브라켓(125, 126)과 상기 제2커버(160)의 결합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다수의 브라켓(125, 126)이 상기 제2커버(16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버너 튜브(111)는 상기 제2커버(160)의 제2플레이트(161)와 이격된다.
상기 버너 튜브(111)는 상기 점화부(189)를 설치하기 위한 점화부 서포터(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점화부 서포터(127)는 상기 버너 튜브(110)에서 상기 공급부(1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점화부 서포터(127)는 상기 점화부(189)와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1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노즐 홀더(220)와의 정렬을 위한 복수의 제1가이드(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121, 122)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캐비티(21) 외측의 공기는 복수의 제1가이드(121, 122)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상기 노즐 홀더(220)에서 분사된 가스와 함께 상기 공급부(12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제2커버(160)의 버너 관통홀(172)과 상기 캐비티(21) 후측벽(35)의 버너 홀(36)을 관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노즐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노즐 홀더에 버너의 공급부가 정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 홀더(220)는,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홀더 바디(holder body: 221)와, 상기 홀더 바디(221)의 일측에 구비되는 가스 유입부(222)와, 상기 버너(110)의 공급부(120)와 상기 홀더 바디(221)의 정렬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제2가이드(224, 2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바디(221)에는 가스 분사홀(221a)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224, 225)는 서로 이격되며, 외측 단부에서 상기 홀더 바디(221) 측으로 갈수록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가스 배출홀(221a)과 인접한 부분의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224, 225)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224, 225)의 외측 단부 간의 거리 보다 짧은 조리기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224, 225) 각각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버너(110)의 공급부(120)의 복수의 제1가이드(121, 122)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 보다 크다.
이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224, 225)의 거리가 상기 홀더 바디(221) 측으로 가까워지도록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공급부(120)의 제1가이드(121, 122)가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224, 225) 사이로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더 바디(221)에는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121, 122)의 단부가 수용되는 수용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121, 122)의 단부가 상기 수용홈(22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121, 122)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224, 225)에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홀더 바디(221)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 가스 배출홀(22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121, 122)가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121, 122)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121, 122) 각각에는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226)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226)는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121, 122)에서 절곡된다. 상기 체결부(226)는 체결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227)와,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22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노즐 홀더(220)는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체결되고, 상기 버너(110)는 상기 제2커버(160)에 체결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버너(110)의 관리를 위하여 상기 버너(110)를 상기 조리실(22)의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홀더(220)와 상기 버너(110)가 체결되지 않더라도 상기 공급부(120)의 복수의 제1가이드(121, 122)가 상기 노즐 홀더(220)의 복수의 제2가이드(224, 225)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노즐 홀더(220)의 수용홈(223)에 수용되므로, 상기 버너(110)의 공급부(120)와 상기 홀더 바디(221)의 가스 분사홀(221a)이 정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버너(110)의 공급부(120)와 상기 홀더 바디(221)의 가스 분사홀(221a)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224, 225)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가스 분사홀(221a)에서 가스가 상기 버너(110)의 공급부(120)로 분사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부(120)와 상기 노즐 홀더(220) 주변의 공기가 상기 공급부(120)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공급부에 복수의 제1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 홀더에 복수의 제2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공급부에 하나의 제1가이드가 구비되고, 노즐 홀더에 하나의 제2가이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노즐 홀더(220)가 상기 조리실(22) 내에서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설치되고, 상기 버너가 상기 버너 커버(13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노즐 홀더(220)의 일부분, 즉, 상기 가스배출홀이 형성되는 노즐 홀더 부분은 상기 캐비티(2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가스를 상기 공급부(120)로 분사하는 과정에서 캐비티(21)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버너(110)를 상기 조리실(22) 외부로 꺼낼 수 있으며, 상기 버너(110)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공급부(120)와 상기 노즐 홀더(220)의 가스 배출홀(221a)의 정렬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가 캐비티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티(21)의 바닥벽(32)에는 상기 버너 커버(130)의 삽입부(151, 167)가 관통하는 관통홀(3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버너 커버(130)의 삽입부(151, 167)가 상기 관통홀(32b)을 관통함에 따라서 상기 삽입부(151, 167)는 상기 캐비티(21)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커버(140)의 제1삽입부(151)와 상기 제2커버(160)의 제2삽입부(167)는 서로 이격되어 제3유입홀(167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팬(210)은 상기 연소 챔버(C) 외부 공간인 배기 유로(P1)에 배치된다. 상기 배기 유로(P1)는 상기 버너 커버(130)의 외면과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또는 버너 리플렉터)와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버너(110)의 내주면에 다수의 가스 배출홀(114, 115)이 형성되고, 상기 팬(210)은 상기 연소 챔버(C)와 독립적인 배기 유로(P1)에 상기 팬(210)이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버너(110)의 화염에 의해서 상기 팬(210)이 가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버너(110)의 화염과 공기가 접촉하여 가열된 후에 상기 팬(210) 측으로 유동함에 따라서 상기 화염의 열기에 의해서 상기 공기가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100)가 작동 시작하면, 상기 노즐 홀더(220)의 가스 분사홀(221a)에서 상기 버너(110)의 공급부(120)로 가스가 분사된다. 그러면, 상기 공급부(120) 주변의 공기(A1)(캐비티 외측의 공기임)가 가스와 함께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공급부(120) 주변의 공기(A1)는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되는 가스 주변이 저압으로 형성됨에 따라 압력 차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된다(자연 급기 방식임).
따라서, 자연 급기 방식으로 공기가 상기 공급부(210)로 공급되는 경우, 가스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상기 공급부(120)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너(110)에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의 불완전 연소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불완전 연소에 의한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버너 커버(130)의 삽입부(151, 167)가 상기 캐비티(21)의 바닥벽(32)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21)의 외측에 위치하고, 다수의 유입홀(143, 167, 167b)이 상기 캐비티(21)의 외측에 위치됨에 따라서 상기 연소 챔버(C)로 상기 버너(110)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한 추가 공기(A2)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추가 공기(A2)는 상기 버너(110)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버너(110)는 상기 제1커버(140)의 제1플레이트(141)와 상기 제2커버(160)의 제2플레이트(161)와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연소 챔버(C)의 공기는 상기 버너(110)와 상기 제1플레이트(141) 사이 공간 및 상기 버너(110)와 상기 제2플레이트(161) 사이 공간을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소 챔버(C) 내의 공기는 상기 버너(110)에 형성된 제1가스 배출홀(114)과 제2가스 배출홀(115) 측으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140)에 에어 가이드(146)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추가 공기(A2)가 상기 에어 가이드(146)에 의해서 제1가스 배출홀(114) 측으로 안내되므로, 추가 공기(A2)가 상기 제1가스 배출홀(114) 측으로 충분히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너(110)로 혼합가스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점화부(189)에 의해서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상기 버너(110)에서 화염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팬 모터(212)가 온되어 상기 팬(210)이 회전된다.
상기 팬(210)이 회전되면, 상기 조리실(22) 내의 공기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를 통하여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버너(110)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버너(240)에서 발생된 화염에 의해서 가열된 후에 상기 스테빌라이져(180)의 개구(184)를 통하여 상기 연소 챔버(C)에서 배출된다.
상기 연소 챔버(C)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커버(160)와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 사이의 배출 유로(P1)를 유동한 후에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배출구(194)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22)로 배출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버너 커버(130)가 독립적인 연소 챔버(C)를 형성하고, 상기 버너 커버(130)에 의해서 상기 연소 챔버(C)와 상기 배출 유로(P1)가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 유로(P1)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연소 챔버(C)로 재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가 상기 캐비티의 내에서 상기 캐비티의 후측벽에 설치되는 것이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버너 어셈블리가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티의 후측 벽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가 상기 캐비티의 양측벽 중 일 측벽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버너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조리실(22)의 내측에서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상기 버너 리플렉터(200)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버너 리플렉터(200) 체결 전후에 관계 없이 상기 노즐 홀더(220)를 상기 캐비티(20)의 외측에서 상기 후측벽(35)에 체결한다.
그 다음, 상기 팬(210)을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의 전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팬(210)에 상기 팬 모터(212)를 결합시킨다.
그 다음, 상기 제2커버(160)에 스테빌라이져(18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커버(160)를 상기 조리실(22)의 내측에서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체결한다. 그 다음, 상기 제2커버(160)에 상기 버너(110)를 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제2커버(160)에 상기 제2커버(14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를 상기 조리실(22) 내에서 상기 캐비티(21)의 후측벽(35)에 결합시키면 상기 버너 어셈블리(23)의 조립은 완료된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버너 커버(130)가 두 개의 커버로 구성되어 연소 챔버(C)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커버가 연소 챔버(C)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즉, 상기 연소 챔버(C)와 상기 배기 유로(P1)가 구획될 수 있는 한 상기 버너 커버(130)의 형태 및 버너 커버를 구성하는 커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위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버너 커버의 후방에 팬이 배치되어 버너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팬 측으로 유동하나, 이와 달리 상기 버너 커버의 전방에 팬이 배치되어 팬을 지난 공기를 상기 버너가 가열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에 상기 팬은 축방향으로 유동된 공기를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팬일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 상기 팬은 축방향으로 유동된 공기를 축 방향으로 토출하는 팬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서 제2도어가 분리된 상태의 조리기기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오븐부의 개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2)는, 복수의 오븐부(300, 4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오븐부(300, 400)는, 제1오븐부(300)와, 상기 제1오븐부(30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오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븐부(300, 400)는 각각 도어(310, 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븐부(300, 400) 중 하나 이상에는 버너 어셈블리(430)가 구비된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430)의 구조는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버너 어셈블리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에는 일 예로 상기 제2오븐부(400)에 버너 어셈블리(430)가 구비되나, 상기 버너 어셈블리(430)가 상기 제1오븐부(30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의 오븐부(300, 400) 각각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1: 조리기기 21: 캐비티
23: 버너 어셈블리 110: 버너
120: 공급부 121, 122: 제1가이드
220: 노즐 홀더

Claims (14)

  1.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화염을 발생하며,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부를 구비하는 버너; 및
    상기 캐비티를 관통한 상기 공급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홀이 구비되는 노즐 홀더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의 일부는 상기 캐비티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노즐 홀더는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홀더는 상기 캐비티를 관통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를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홀더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와 접촉하는 조리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 홀더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가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면,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 사이에 위치되는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의 외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 사이의 거리 보다 큰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홀과 인접한 부분의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제2가이드의 외측 단부 간의 거리 보다 짧은 조리기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가이드에는 상기 캐비티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체결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홀더는 상기 가스 배출홀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는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감싸는 조리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복수의 제1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가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면, 상기 복수의 제1가이드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되는 조리기기.
  12.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며,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부가 구비되는 버너; 및
    상기 버너의 공급부의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버너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배출홀을 구비하는 노즐 홀더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3.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며, 가스와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부가 구비되는 버너; 및
    상기 버너의 공급부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배출홀과, 상기 공급부와 상기 가스 배출홀의 정렬을 위한 가이드를 구비하는 노즐 홀더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노즐 홀더는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KR1020140039837A 2014-04-03 2014-04-03 조리기기 KR101564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837A KR101564503B1 (ko) 2014-04-03 2014-04-03 조리기기
US14/338,817 US9534791B2 (en) 2014-04-03 2014-07-23 Cooking appliance
EP22185104.1A EP4108991A1 (en) 2014-04-03 2014-09-17 Cooking appliance
EP18176412.7A EP3401604B1 (en) 2014-04-03 2014-09-17 Cooking appliance
EP14185183.2A EP2927602B1 (en) 2014-04-03 2014-09-17 Cooking appliance
EP20168390.1A EP3712506B1 (en) 2014-04-03 2014-09-17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837A KR101564503B1 (ko) 2014-04-03 2014-04-03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194A true KR20150115194A (ko) 2015-10-14
KR101564503B1 KR101564503B1 (ko) 2015-10-29

Family

ID=5161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837A KR101564503B1 (ko) 2014-04-03 2014-04-03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34791B2 (ko)
EP (4) EP2927602B1 (ko)
KR (1) KR101564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832B1 (ko) * 2015-01-05 2021-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오븐
KR101672634B1 (ko) 2015-05-26 201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707749B1 (ko) * 2015-09-21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N105299702A (zh) * 2015-11-18 2016-02-03 中山乐宜嘉家居设备有限公司 一种聚能自动补充二次空气的燃气灶具
KR101847288B1 (ko) 2016-09-19 2018-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904660B1 (ko) * 2017-06-05 2018-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20200386410A1 (en) * 2019-06-04 2020-12-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n appliance having combined radiant and convection broil
CA3153065A1 (en) 2019-07-15 2021-01-21 Sharkninja Operating Llc Multiple compartment countertop coo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82A (en) 1922-07-12 1923-08-02 Radiation Ltd Improved gas burner
FR2079466A5 (ko) * 1970-02-02 1971-11-12 Capic Caillarec Ets
US3698377A (en) * 1971-05-07 1972-10-17 Hoover Co Gas-fired forced convection ovens
JPS5892731A (ja) 1981-11-25 1983-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強制熱風循環式ガスオ−ブン
JPS5952135A (ja) * 1983-08-01 1984-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強制熱循環式ガスオ−ブン
US4648377A (en) * 1986-05-01 1987-03-10 Hobart Corporation Gas convection oven and heat exchanger therefor
IT1220754B (it) 1988-06-01 1990-06-21 Zanussi Grandi Impianti Spa Forno di cottura a gas a convezione forzata
US4867132A (en) 1988-11-23 1989-09-19 Garland Commercial Industries, Inc. Gas fired convection oven with improved air delivery and heat exchange structure
GB2286455B (en) 1994-02-10 1998-01-14 Stoves Plc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gaseous fuel burner assemblies and to appliances incorporating such burner assemblies
US5897142A (en) * 1996-12-19 1999-04-27 Itt Automotive, Inc. Push-to-release quick connector
WO2003040626A1 (en) 2001-09-21 2003-05-15 Wayne/Scott Fetzer Company Convection oven with gas burner
KR100776446B1 (ko) * 2006-12-20 200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조리기기 및 그 가열조리기기의 버너 시스템
KR101816308B1 (ko) * 2011-04-19 201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789826B1 (ko) 2011-04-25 201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08991A1 (en) 2022-12-28
EP2927602B1 (en) 2018-06-13
EP3712506B1 (en) 2022-09-07
US9534791B2 (en) 2017-01-03
EP3401604A1 (en) 2018-11-14
EP3401604B1 (en) 2020-05-13
EP3712506A1 (en) 2020-09-23
US20150285510A1 (en) 2015-10-08
KR101564503B1 (ko) 2015-10-29
EP2927602A1 (en)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505B1 (ko) 조리기기
KR101564503B1 (ko) 조리기기
KR101564504B1 (ko) 조리기기, 버너 및 버너 어셈블리
KR101707749B1 (ko) 조리기기
US20210190312A1 (en) Cooking device
KR101713402B1 (ko) 조리기기
US20230375189A1 (en) Cooking device
KR101672634B1 (ko) 조리기기
KR101671109B1 (ko) 조리기기
KR101623634B1 (ko) 조리기기
KR101663888B1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