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244A -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및 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및 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244A
KR20150114244A KR1020140038597A KR20140038597A KR20150114244A KR 20150114244 A KR20150114244 A KR 20150114244A KR 1020140038597 A KR1020140038597 A KR 1020140038597A KR 20140038597 A KR20140038597 A KR 20140038597A KR 20150114244 A KR20150114244 A KR 20150114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acent
recessed portion
bodies
connection port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철
Original Assignee
(주)에어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박스 filed Critical (주)에어박스
Priority to KR1020140038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4244A/ko
Publication of KR2015011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및 그 조립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은, 상면이 평평한 다면체 구조의 부체 및 이웃하는 두 개의 부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부체는, 상면 각 가장자리 중앙부에 형성되는 요홈부와, 상면과 직교하는 부체의 측면과 요홈부를 직선상으로 잇는 절개부를 갖고, 연결부재는 요홈부에 정착되는 부분과 절개부를 경유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두 개의 부체를 서로 연결하도록 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및 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조립방법{Floating unit for assembly type floating bridge and assembly methods of the same}
본 발명은 수상 부유식 부교 설치를 위한 부체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체적의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부체들을 서로 인접하게 상호 연결시켜 하나의 부교를 형성시키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교(floating bridge)는 주로 통행을 목적으로 저수지, 호수, 강 등의 수상에 설치된다. 최근의 경우에는 신도시 등이 건설되는 과정에서도 도심에 인공적인 호수 등을 건설하고, 그 수상에 부교 등과 같은 다양한 조경 시설물을 설치하여 시민들로 하여금 더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부교는 수중의 말뚝을 박듯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와 그 지주들 사이를 연결하는 상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판은 지주에 완전히 고정 설치되어 수면 변화에는 상관없이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구성되거나, 지주에 지탱되기는 하되 수면의 변화에 따라서 그 높이가 변하는 형태로 구성되기도 한다.
종래의 상기와 같은 부교는, 수중에 지주를 설치함에 있어 물막이 및 물빼기 공사 등이 요구되는 등 부교 설치에 상당한 인력과 장비가 소요됨은 물론 공기가 길어 단기간 설치가 어렵다. 따라서 설치에 상당히 많은 비용이 들고, 특히 지주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수중 생태계를 파괴하여 수중의 동식물에 악영향을 끼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전술한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정 체적을 갖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유닛을 원하는 형태로 미리 조립한 후, 크레인 또는 견인선 등의 장비를 동원하여 지상에서 미리 제작된 조립식 부교를 수상으로 이동시키고 적절한 고정수단으로 지상 또는 수중 바닥 측에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조립식 부유형 수상구조물이 제안된 바 있다(하기 선행문헌번호 참조).
그러나 상기 조립식 부유형 수상구조물은 조립 시 부교 유닛들의 조립방향을 일일이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부분적인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가장자리나 모서리에 위치한 부교 유닛이 아닌 이상 교체 부위 주변의 부교 유닛들을 전부 들어 내 분해한 후 해당 유닛을 교체해야 하는 등 유지 보수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10363호 (공개일자 2009. 12. 1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마모, 파손, 변형 등으로 부분적인 교체가 요구될 경우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교체가 요구되는 해당 부분만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이 평평한 다면체 구조의 부체 및 이웃하는 두 개의 부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체는, 상기 상면 각 가장자리 중앙부에 형성되는 요홈부와, 상기 상면과 직교하는 부체의 측면과 상기 요홈부를 직선상으로 잇는 절개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요홈부에 정착되는 부분과 상기 절개부를 경유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두 개의 부체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체는 평면이 삼각이상 다각형인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다면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체는 각 부체의 측면이 서로 접하는 형태로 가로 세로로 연속 배열되어 하나의 부교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홈부는 부체의 수직방향 높이에 대해 1/4 ~ 1/3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부체의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어 정착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 연결구가 정착되는 요홈부와 대응되는 다른 부체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정착되는 제2 연결구와, 직선상으로 일치된 이웃하는 두 부체의 절개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를 잇는 스트랩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적용된 부체의 상기 요홈부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이며,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 가능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의 양단에 두께 보강부가 구비되며, 상기 두께 보강부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에 각각 인서트되는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요홈부 내연에 형성되는 돌부와, 연결부재 조립 시 상기 돌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1, 제2 연결구 외연에 상기 돌부와 맞물리는 형태로 마련되는 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2 연결구에 형성되는 공구장착 홈 또는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은, 부체의 측면과 다른 측면이 수직으로 만나는 상면 모서리 주변을 따라 상기 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연속되는 결속홈과, 인접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 부체의 상기 결속홈에 동시에 끼워져 이웃하는 둘 이상의 부체의 모서리 부분을 하나로 묶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속홈은 아래로 갈수록 상기 모서리 측을 향하는 경사지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일 측면에 따른 부체의 요홈부와 다른 부체의 요홈부가 서로 접하는 부체의 측면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배치를 이루도록 부체들을 인접 배치하는 단계;
부체의 요홈부와 이웃하는 다른 부체의 요홈부에 연결부재를 조립하여 이웃하는 부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조립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탄성밴드를 이용해 인접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의 부체들의 모서리 부분을 하나로 묶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에 따르면, 부체 간 조립에 있어 특정 조립 방향에 구애됨이 없이 조립이 가능하다는 시공상의 장점이 있고, 부체들의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 배치를 달리함으로써 설치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부교를 구현할 수 있으며, 연결구조가 단순해 분해 조립이 용이하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마모, 파손, 변형 등으로 부분적인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라도, 해당 파트에 조립된 연결부재를 분리한 후 교체가 필요한 부분만을 들어내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주변부 전체를 들어 내거나 분리하지 않고도 교체가 요구되는 해당 부분만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유지 보수 측면에서의 유리함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을 이루는 부체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을 이루는 연결부재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인접 배치된 부체들의 모서리 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을 통해 구현되는 부교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을 이루는 부체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을 이루는 연결부재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체 유닛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은, 상면이 평평한 일정 체적의 다면체 바람직하게는, 육면체 형상의 부체(1)와, 부체(1) 간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2)를 포함한다. 부체(1)는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인접 배치된 부체(1)들을 상기 연결부재(2)가 상호 연결시킨다.
부체(1)는 발포 수지 재질의 다면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수지를 고온 환경에서 가압하여 다면체 형태로 압축 성형하는 발포수지 압축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발포수지 압축성형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체(1)는 각 부체(1)의 측면이 서로 접하는 형태로 가로 세로로 연속 배열되어 하나의 부교를 형성하게 된다. 부체(1) 간 상호 연결을 위해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상기 부체(1)는, 부체(1) 상면의 각 가장자리 중앙부에 형성되는 요홈부(12)와, 상기 상면과 직교하는 부체(1)의 측면과 상기 요홈부(12)를 직선상으로 잇는 절개부(14)를 구비한 구성일 수 있다.
요홈부(12)는 부체(1)의 수직방향 높이에 대해 1/4 ~ 1/3 깊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절개부(14)는 상기 연결부재(2)를 구성하는 후술하게 될 스트랩(22)이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얇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홈부(12)는 도면과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단면이 원형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 이상 다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부체(1)가 육면체인 경우 상기 요홈부(12)는, 부체(1)의 상면 각 가장자리 즉, 상부 네 개의 변 중앙에 해당 변으로부터 소정거리(절개부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 이격된 위치에 소정의 깊이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총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요홈부(12) 내연에는 요홈부(12)의 상단 개구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돌부(16, 도 7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2)는 상기 요홈부(12)에 정착되는 부분과 절개부(14)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이, 상기 요홈부(12)에 삽입되어 정착되는 제1 연결구(20)와, 상기 제1 연결구(20)가 정착되는 요홈부(12)와 대응되는 다른 부체(1)의 요홈부(12)에 삽입되어 정착되는 제2 연결구(24), 그리고 제1 연결구(20)와 제2 연결구(24)를 잇는 스트랩(22)으로 된 구성일 수 있다.
제1 연결구(20)와 제2 연결구(24)는 상기 요홈부(12)에 삽입 가능한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예시와 같이 요홈부(12)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원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요홈부(12)가 삼각 이상 다각 단면 형태로 형성된 경우라면, 여기에 삽입 가능한 삼각 이상 다각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연결구(20)와 제2 연결구(24)는 상기 부체(1)와 마찬가지로, 발포 수지 바람직하게는, 발포폴리프로필렌(EPP)을 고온 환경에 가압하여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압축 성형하는 발포수지 압축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부체(1) 간 연결이 주 목적이기 때문에 부체(1) 간 견고한 연결을 도모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재질 선택에 있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스트랩(strap, 22)은 부체(1) 간 연결 시 직선상으로 일치되는 이웃하는 두 부체(1)의 절개부(14)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연결구(20)가 정착된 부체(1)와 제2 연결구(24)가 정착된 부체(1)를 실질적으로 상호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트랩(22)은 연결부재(2) 제작 시 양 단 일부가 각각 제1 연결구(20)와 제2 연결구(24)에 인서트 성형됨으로써 평행한 두 개의 연결구를 연결시킨다.
인서트된 부분이 연결구로부터 임의 이탈되지 않도록, 인서트되는 부분인 상기 스트랩(22)의 양단에는 두께 보강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두께 보강부(220)는 인서트 성형 시 각 연결구(20)(24)의 내측 부분과 접하는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컨대, 양단부를 둥글게 말아 커링부를 형성시키는 형태로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스트랩(22)은 제1, 제2 연결구(20)(24)를 잇는 길이방향으로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유연하게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계열의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계 용융 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제1 연결구(20)와 제2 연결구(24) 사이로 노출되는 스트랩(22)의 길이(L1)가 두 부체(1)의 마주하는 측면이 접하도록 직렬 배치된 때 직선상으로 일치하는 절개부(14)의 길이(L2)에 정확히 대응된다면 부체(1)들 간 틈새 발생 없는 긴밀한 연결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출 스트랩(22)의 길이는 두 부체(1)가 맞닿았을 때 일치하는 절개부(14)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면부호 18은 부체(1)의 상면 모서리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결속홈을 가리키며, 3은 인접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 부체(1)의 상기 결속홈(18)에 동시에 끼워져 이웃하는 둘 이상의 부체(1)의 모서리 부분을 하나로 묶는 탄성밴드를 가리킨다. 상기 결속홈(18)과 탄성밴드(3)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인접 배치된 부체들의 모서리 연결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속홈(18)은 부체(1)의 측면과 다른 측면이 수직으로 만나는 부체(1)의 상면 모서리 주변을 따라 상기 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연속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밴드(3)는 측면이 서로 접하는 형태로 인접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 부체(1)의 상기 결속홈(18)에 동시에 끼워져 이웃하는 둘 이상의 부체(1)의 모서리 부분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한다.
수면 요동에 따라 부체(1)들이 위아래로 움직이더라도 결속홈(18)으로부터 탄성밴드(3)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결속홈(18)은 도 5와 같이 아래로 갈수록 모서리 측을 향해 경사진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밴드(3)는 서로 인접한 둘 이상 부체(1) 모서리의 결속홈(18)에 동시에 끼워져 탄성 연결할 수 있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링형 밴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요홈부(12)에는 그 내연에 앞서도 간단하게 언급했듯이 요홈부(12) 중앙을 향해 일정 높이로 팽출되는 돌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2) 조립 시 상기 돌부(16)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1, 제2 연결구(20)(24) 외연에는 상기 돌부(16)와 맞물림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요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돌부(16)는 내연을 따라 연속되는 환형 또는 중간 중간 끊어진 단속적인 환형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홈부(12)에 결합된 연결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부(202)는 상기 돌부(16)가 유격 없이 맞물릴 수 있는 형태라면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연결부재(2) 조립 시 상호 맞물리는 상기 돌부(16)와 요부(202)에 의하여, 요홈부(12)에 한번 끼워진 연결구(20)(24)는 유지 보수를 위해 작업자가 임의로 분리해내지 않는 이상 이탈되지 않고 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면 요동에 따라 부교가 위아래로 심하게 출렁거리더라도 부체(1)들은 서로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한 채 수면 요동에 따라 움직이게 된다.
도면부호 210은 유지 보수를 위해 부체(1)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를 분리할 경우를 대비해 각 연결구에 형성되는 공구장착 홈 또는 홀을 가리킨다. 즉 부체(1) 간 분리에 있어서는 전용공구를 상기 공구장착 홈 내지는 홀에 체결한 후 소정의 힘으로 위로 당겨 해당 연결부재(2)를 부체(1)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다.
공구장착 홈 또는 홀(210)은 상기 제1, 제2 연결구(20)(24)의 상면에서 일정 깊이로 홈을 내고 그 내연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연결구 상면에서 하면으로 이어지는 관통홀을 내어 전용공구가 드나들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공구에 따라 이와 결합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을 이용해 부교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부체 유닛의 조립에 연계해 앞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체 유닛을 이용해 부교를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먼저, 부체(1)의 요홈부(12)와 다른 부체(1)의 요홈부(12)가 서로 접하는 부체(1)의 측면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배치를 이루도록 부체(1)들을 가로 세로로 인접 배치한 후, 부체(1)의 요홈부(12)와 이웃하는 다른 부체(1)의 요홈부(12)에 연결부재(2)를 조립하여 이웃하는 부체(1)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그런 다음, 인접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의 부체(1)들의 모서리 주변부를 따라 하나로 연속되는 결속홈(18)에 탄성밴드(3)를 끼워 이웃하는 부체(1)들이 모서리가 하나의 탄성밴드(3)를 통해 서로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부교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부체(1)들의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 배치를 달리하는 것으로 해당 환경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부교 구현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육면체 형상의 부체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도 8과 도 9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의 도시와 같이, 상기 부체는 육면체 형상뿐만 아니라, 삼각 또는 삼각 이상 다각형 평면을 가진 다면체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변형 예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에 따르면, 부체 간 조립에 있어 특정 조립 방향에 구애됨이 없이 조립이 가능하다는 시공상의 장점이 있고, 부체들의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 배치를 달리함으로써 설치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부교를 구현할 수 있으며, 연결구조가 단순해 분해 조립이 용이하다는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마모, 파손, 변형 등으로 부분적인 교체가 요구되는 경우라도, 해당 파트에 조립된 연결부재를 분리한 후 교체가 필요한 부분만을 들어내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교체가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주변부 전체를 들어 내거나 분리하지 않고도 교체가 요구되는 해당 부분만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는 유지 보수 측면에서의 유리함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부체(浮體) 2 : 연결부재
3 : 탄성밴드 12 : 요홈부
14 : 절개부 16 : 돌부
18 : 결속홈 20 : 제1 연결구
22 : 스트랩(strap) 24 : 제2 연결구
202 : 요부 210 : 공구체결 홈 또는 홀
220 : 두께 보강부

Claims (13)

  1. 상면이 평평한 일정 체적을 가진 다면체 구조의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된 부체; 및
    상호 인접하는 부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체는,
    상기 상면 각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요홈부와, 상기 상면과 직교하는 부체의 측면과 상기 요홈부를 직선상으로 잇는 절개부를 갖고,
    상기 연결부재는 요홈부에 정착되는 부분과 상기 절개부를 경유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이웃하는 두 개의 부체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는 평면이 삼각이상 다각형인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다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는 각 부체의 측면이 서로 접하는 형태로 가로 세로로 연속 배열되어 하나의 부교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부체의 수직방향 높이에 대해 1/4 ~ 1/3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부체의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어 정착되는 제1 연결구와;
    상기 제1 연결구가 정착되는 요홈부와 대응되는 다른 부체의 요홈부에 삽입되어 정착되는 제2 연결구와;
    직선상으로 일치된 이웃하는 두 부체의 절개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를 잇는 스트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이며,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 가능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재질의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양단에 두께 보강부가 구비되며,
    상기 두께 보강부는 상기 제1 연결구와 제2 연결구에 각각 인서트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 내연에 형성되는 돌부와;
    연결부재 조립 시 상기 돌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1, 제2 연결구 외연에 상기 돌부와 맞물리는 형태로 마련되는 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9. 제 5 항에 있어서,
    제1, 제2 연결구에 형성되는 공구장착 홈 또는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10. 제 1 항에 있어서
    부체의 측면과 다른 측면이 수직으로 만나는 상면 모서리 주변을 따라 상기 측면에서 다른 측면으로 연속되는 결속홈과;
    인접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 부체의 상기 결속홈에 동시에 끼워져 이웃하는 둘 이상의 부체의 모서리 부분을 하나로 묶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은 아래로 갈수록 상기 모서리 측을 향하는 경사진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12. 제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부체의 요홈부와 다른 부체의 요홈부가 서로 접하는 부체의 측면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배치를 이루도록 부체들을 인접 배치하는 단계;
    부체의 요홈부와 이웃하는 다른 부체의 요홈부에 연결부재를 조립하여 이웃하는 부체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조립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탄성밴드를 이용해 인접 배치된 적어도 둘 이상의 부체들의 모서리 부분을 하나로 묶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조립방법.
KR1020140038597A 2014-04-01 2014-04-01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및 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조립방법 KR20150114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597A KR20150114244A (ko) 2014-04-01 2014-04-01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및 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597A KR20150114244A (ko) 2014-04-01 2014-04-01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및 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244A true KR20150114244A (ko) 2015-10-12

Family

ID=5434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597A KR20150114244A (ko) 2014-04-01 2014-04-01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및 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42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9713A1 (en) * 2022-10-27 2024-05-02 Prem, Archana Portable floating unit with customizable leng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9713A1 (en) * 2022-10-27 2024-05-02 Prem, Archana Portable floating unit with customizable lengt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113B1 (ko) 솔라 패널용 플로트 및 이들의 연결체
US9181697B2 (en) Floor tile having a latch and loop structure
US8993098B2 (en) Two-shot injection molded floor tile with vent hole
US20120255624A1 (en) Drainage body
US8973322B2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KR20170035128A (ko)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US20160333566A1 (en) Cell for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US20130095291A1 (en) Floor tile with overmold crush rings
JP5313012B2 (ja) デッキ材及びデッキ
KR20150114244A (ko)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 및 그 조립식 부교용 부체 유닛의 조립방법
KR101239000B1 (ko) 사석이 제거된 방파제구조물
KR100834259B1 (ko) 콘크리트와 강재를 일체화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및이를 구비한 대형 인공어초
KR20150096596A (ko) 옹벽 축조용 블록
AU2013269711B2 (en) Ducting chamber ring and module, a ducted chambe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modular chamber system
JP2012011992A (ja) アルミ構造柱による浮島造成工法
KR20170128782A (ko) 방파제 구조물
JP2015166521A (ja) 垂直導水管
JP6231519B2 (ja) 構築用組みブロック
JP2005016084A (ja) 雨水貯留/貯留浸透槽
JP5972102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
KR102008237B1 (ko) 벽면 점검 기능을 가지는 벽체 배수판
CN203394026U (zh) 组合式建筑模板
KR101025326B1 (ko) 축대용 블록
KR20170059642A (ko) 수상 부유 구조물
JP2020183646A (ja) 止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