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983A - 저 반사율 눈부심 광학장치 - Google Patents

저 반사율 눈부심 광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983A
KR20150113983A KR1020157023850A KR20157023850A KR20150113983A KR 20150113983 A KR20150113983 A KR 20150113983A KR 1020157023850 A KR1020157023850 A KR 1020157023850A KR 20157023850 A KR20157023850 A KR 20157023850A KR 20150113983 A KR20150113983 A KR 20150113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ssembly
auxiliary
optical senso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844B1 (ko
Inventor
마이클 에프. 리소프스키
대니 엘. 주니어 미니키
헨리 에이. 루텐
Original Assignee
젠텍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텍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젠텍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13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8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cell of electrically changeable optical characteristic, e.g. liquid-crystal or electrochromic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2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sensors o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차량으로부터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사용하는 백미러 조립체가 개시된다. 일 예에서, 백미러 조립체는 부분 투과성 코팅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및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인접한 광 센서를 포함한다. 백미러 조립체는 또한 보조 광학장치를 포함한다. 보조 광학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향해 외측으로 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광 센서를 향해 내측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갖는다. 수직 홈(flute)들은 제 1 면을 따라 균일하게 연장되어 있고 수평 홈들은 균일하게 제 2 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보조 광학장치는 광 센서의 시야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저 반사율 눈부심 광학장치{LOW REFLECTANCE GLARE OPTIC}
관련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35 U.S.C. 119(e) 하에, 2013년 3월 15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789,90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 참고로 원용된다.
배경기술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용 백미러 조립체용 눈부심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백미러 조립체용 보조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용 백미러 조립체용 눈부심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백미러 조립체용 보조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으로부터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사용하는 백미러 조립체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백미러 조립체는 부분 투과성 코팅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인접한 광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백미러 조립체는 또한 보조 광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향해 외측으로 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광 센서를 향해 내측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갖는다. 수직 홈(flute)들은 제 1 면을 따라 균일하게 연장되어 있고 수평 홈들은 균일하게 제 2 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광 센서의 시야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차량으로부터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백미러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백미러 조립체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기판은 부분 투과성 코팅을 포함한다. 상기 조립체는 상기 제 2 기판에 근접 배치된 광 센서 및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광 센서 사이에 배치된 보조 광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제 2 기판을 향해 외측으로 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광 센서를 향해 내측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갖는다.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광 센서에 의해 수신된 광의 시야를 제어하고,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제 2 기판을 향해 외측 방향으로 30% 미만의 반사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백미러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조립체는 차량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백미러 요소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차량으로부터 후방 시야를 제공한다. 상기 백미러 요소는 내부에 형성된 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포함한다. 광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근접한 하우징 내에 더 배치되어 있고, 창과 정렬된 감각표면을 갖는다. 상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광 센서 사이에 배치된 보조 광학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향해 외측으로 향하는 제 1 면과 상기 광 센서를 향해 내측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갖는다. 상기 제 1 면은 복수의 수직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은 복수의 수평 홈들을 포함한다.
하기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을 연구하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이들과 다른 측면들, 목적들, 및 특징들을 이해하고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 조립체의 보조 광학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 조립체의 보조 광학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선 2-2을 따라 보조 광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선 3-3을 따라 보조 광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선 1-1을 따라 백미러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 조립체의 보조 광학장치의 부분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명료함을 위해 숨겨진 광 센서를 도시한 보조 광학장치의 부분 후방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센서를 도시한 보조 광학장치의 부분 후방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센서의 보조 광학장치의 상세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광학장치의 홈 부분의 표면 윤곽의 그래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0b-10d에 도시된 시야의 강도를 보여주는 강도 범위 막대의 그래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센서의 제1 시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센서의 제2 시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센서의 제3 시야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설명할 목적으로, 용어 "상부", "하부", "우측", "좌측", "후방", "전방", "수직", "수평", 및 그들의 파생어들은 도 1에서 배향된 것처럼 대략 중력 또는 수평선에 대하여 본 발명과 관련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달리 명백히 특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다양한 대안적인 배향을 가정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고 하기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장치들 및 공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개념들에 대한 단순히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관한 특정 치수들 및 다른 물리적 특성들은 청구범위들이 명백히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 한 한정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그것의 모든 형태인, 결합, 결합하다, 결합된 등에서) 용어 "결합"은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전기적 또는 기계적) 두 개의 구성성분의 연결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결은 본래 고정적일 수도 있고 본래 동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은(전기적 또는 기계적) 두 개의 구성성분, 및 서로와 또는 두 개의 구성성분과 하나의 단일체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임의의 추가 중간 부재들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래 영구적일 수도 있고 본래 제거가능하거나 해제가능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차량에 사용하는 백미러 조립체(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차량의 탑승자 또는 운전자에게 차량으로부터의 후방 시야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백미러 조립체(10)는 부분 투과성 코팅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12) 및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에 근접한 광 센서(14)를 포함한다. 보조 광학장치(16)는 조립체(10)에 추가로 배치된다. 보조 광학장치(16)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을 향해 외측으로 향하는 제 1 면(18)과 상기 광 센서(14)를 향해 내측으로 향하는 제 2 면(20)을 갖는다. 복수의 수직 홈(22)은 제 1 면(18)에 근접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수평 홈(24)은 제 2 면(20)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보조 광학장치(16)의 수직 홈(22) 및 수평 홈(24)은 광 센서(14)의 시야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백미러 조립체는 하우징(32)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32)은 때때로 "채널 장착부" 또는 "다이 캐스트 편(die cast piece)"으로도 알려진, 백미러 장치 장착부(3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차량의 내부에 구현될 경우, 백미러 장치 장착부는 차량의 탑승자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차량의 승객 칸 안으로 조립체(10)가 투사하는 캔틸레버 방식으로 백미러 조립체(10)를 조정 가능하게 지원한다. 본 발명의 백미러 조립체(10)는 프리즘형 거울, 전기변색성 거울, 비디오 기반 디스플레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백미러 장치와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장착부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보조 광학장치(16)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12) 뒤의 하우징(32) 내에 배치된다. 창(36)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에 형성되고, 광이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을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창(36)은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임의의 형태의 개구, 구멍, 또는 부분 투과성 표면을 통해 광이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광은 후미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헤드라이트로부터 방출된 광에 대응하는 눈부심 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조 광학장치는 창(36)을 통과하는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창 및/또는 보조 광학장치(16)는 하나 이상의 부분 투과성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일부 구현예에서는 박막 적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필름 형의 감광 필터는 창(36)의 적어도 한 표면 상에 통합될 수도 있다. 감광 필터는 열가소성 재료를 성형하는 주입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고 창(36)을 통과하는 광의 동적 범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창(36) 및 적외선(IR)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더욱 제어하는 것도 유사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IR 필터 및 감광 필터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의 표면에 인쇄되거나 보조 광학장치(16)에 성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소개된 하나 이상의 부분 투과성 필터 및 여러 다른 요소를 참조함에 있어서, 미국 특허번호 제6,447,123호, 제6,193,378호 및 출원번호 제09/602,919호가 본 명세서에서 그 전문이 원용된다. 창(36)은 복수의 표면 적층 층을 비롯한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에 형성되어 있다. 표면 적층 층은, 백금족 금속(PGM)(즉, 이리듐, 오스뮴, 팔라듐, 백금, 로듐, 및 루테늄)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구성에서, 보조 광학장치(16) 및 광 센서(14)에 충돌하는 광선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12), 제 1 면 적층 및 제 2 면 적층을 통과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광은, 전기 광학 매체, 그리고, 최종적으로 제 2 기판을 더 통과할 수 있다. 백금족 금속은 제 3 표면 전도성 전극에 연속성을 부여함에 따라, 창(36)과 관련된 전기 광학 매체의 착색 변화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 IR 필터는 광 센서(14)에 도달하는 IR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필터는 IR 광선을 흡수하는 전기 변색 종을 갖는 전기 변색 요소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다양한 필터는 가시광 스펙트럼의 범위에 걸쳐 센서(14)에 광을 제공하기 위해 조합될 수도 있다.
이제 도 2a와 2b를 참조하면, 보조 광학장치(16)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보조 광학장치(16)는 제 1 면(18)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평면 구조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보조 광학장치(16)는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형 구성을 갖는 외주부(38)를 포함한다. 비록 다이아몬드 구성이 특정 구현예에서 설명되어 있지만, 외주부(38)는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원형, 다각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브래킷 또는 스냅(39)은 제 2 면(20)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보조 광학장치(16)를 기저부 판 또는 지지 구조부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복수의 스냅(39)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 광학장치(16)를 인쇄 회로 기판(PCB)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 1 면(18)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을 향해 외측으로 향하는 전방면을 포함한다. 복수의 수직 홈(22)은 전방면(18) 상에 형성되어 있다. 수직 홈(22)들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을 향해 전방면(18)으로부터 외측으로 투사하는 자유형 만곡 윤곽 표면을 갖는 반-원통 형태를 포함한다. 수직 홈(22)들은 전방면(18)을 가로 질러 연장됨으로써 창(36)을 통해 투사된 광이 수직 홈(22)들에 의해 수신된다. 수직 홈(22)들은 전방면(18)을 가로 질러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고, 창(36)과 정렬함으로써 본체부(40)로 투과된 광이 수직 홈(22)들에 의해 수신된다. 수직 홈(22)들에 의해 수신된 광은 보조 광학장치의 본체부(40)를 통해 수평 홈(24)들을 통해 외측으로 투과된다.
제 2 면(20)은 광 센서(14)를 향해 내측으로 향하는 후방면(20)을 포함한다. 복수의 수평 홈(24)들은 후방면(20)에 형성되어 있다. 수평 홈(24)들의 각각은 광 센서(14)를 향해 후방면(20)으로부터 외측으로 투사하는 곡선 윤곽 표면을 갖는 반-원통 형태를 포함한다. 수평 홈(24)들은 후방면(20)을 가로 질러 연장됨으로써 본체부(40)를 통해 투과된 광이 광 센서(14)를 향해 방출된다. 수평 홈(24)들은 후방면(20)을 가로 질러 균일하게 배치되고, 광 센서(14)와 정렬됨으로써 본체부(40)를 통해 투과된 광이 광 센서의 감각표면에 걸쳐 수평 홈(24)들에 의해 투사된다.
도 4 및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광 센서(14)는 수평 홈(24)들에 대해 위치됨으로써 수평 홈들에서 방출된 광은 광 센서(14)의 감각표면을 가로 질러 수신된다. 보조 광학장치(16)는 상기 외주(38)의 최상부(44)와 최하부(46)를 따라 안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4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리브(42)들은 후방면으로부터 광 센서(14)를 향해 내측으로 연장하고 보조 광학장치를 보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냅(39)들이 기판이나 지지 구조에 결합하기 위해 예비 로딩된다.
수직 홈(22)들과 수평 홈(24)들의 조합 방향은 수직 홈(22)들에 의해 수신된 광이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통해 외측으로 한정 반사를 유도해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볼 때 반사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되도록 구성된다. 수직 및 수평 홈(22, 24)들의 신규한 구성은 보조 광학장치(16)의 반사율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보조 광학장치의 반사율은 35% 미만으로 감소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반사율은 30% 미만 또는 심지어 10% 미만으로 감소된다. 이러한 예들에서,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12)를 보는 사람를 향해 외측으로 다시 수신된 광의 감소된 비율만을 반사한다.
보조 광학장치(16)의 제한된 반사율은 창(36)과 보조 광학장치(16) 근접해서 반사에서 실질적으로 그림자 또는 불연속이 없는 균일한 백미러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판은 전기변색성 미러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포함한다. 전기변색성 미러 조립체에서 구현되는 경우, 보조 광학장치는 전기변색성 미러 조립체의 거울달린 표면의 반사율의 변화없이 균일한 거울에 비치는 디스플레이를 다시 보는 사람에게 반사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보조 광학장치(16)의 반사율은 35% 미만으로 설명되지만, 일부 예에서 보조 광학장치(16)는 20% 미만의 반사율을 갖는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보조 광학장치(16)는 10% 미만 또는 5% 미만으로 반사율이 감소된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디스플레이, 예를 들면 미러 디스플레이 또는 비디오 디스플레이의 균일성은, 보조 광학장치, 예를 들어, 보조 광학장치(16)에 근접한 시각적으로 분명한 임의의 흐리고, 불연속적이고, 또는 어두운 부분이 없이 균일하게 보는 사람에게 디스플레이된다. 수직 및 수평 홈(22, 24)들의 특정 형상을 포함하는 보조 광학장치(16)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광학장치(16)의 반사율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몇몇 구현예들에서, 수직 홈(22)들 및 수평 홈(24)들이 균일한 중합체 및 광 투과성 재료로부터 보조 광학장치(16)의 전방면 및 후방면(18, 20)에 형성되어 있다. 보조 광학장치(16)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 임의의 다양한 중합체 재료로부터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원용되는 미국특허 제8,614,845호에서 찾을 수 있다. 수직 홈(22)들 및 수평 홈(24)들은 보조 광학장치(16)의 전방면 및 후방면(18, 20)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수직 홈(22)들 및 수평 홈(24)들은 하나 이상의 보조 광학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광학 조립체에 대응할 수도 있다. 수직 및 수평 홈들을 포함한 다양한 부품들의 조합이 조합되어서 본원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보조 광학장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선 2-2 및 3-3를 따라 절단한 보조 광학장치의 단면도인,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각각 수직 및 수평 홈(22, 24)들에 대해 추가적인 세부 사항을 보여주도록 예시된다. 명확화를 위해, 숫자들과 기호로 참조한 각각의 요소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소개된 다른 유사한 요소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보조 광학장치(16)의 수직 홈(22)들은 복수의 스냅(39)에 대하여 도시되고, 절개부 E에 더욱 예시되고 있다. 수직 홈(22)들의 각각은 반 원통부(62) 및 곡면 윤곽(64)을 형성한다. 수직 홈(22)들은 각진 골(66)에서 교차하는 접선부를 더 포함한다. 곡면 윤곽(64)은 반 원통부(62)의 제 1 기저부 반경(68)에 대응한다. 반 원통부(62)는 반 원통부(62)의 각도 호의 범위를 나타내는 제 1 아크 각(70)을 더 포함한다. 이 구현에서, 제 1 기저부 반경(68)은 약 0.25mm며, 제 1 아크 각(70)은 약 78도이다.
수평 홈(24)들은 복수의 보강 리브(42)에 대하여 도시되고, 절개부 D에 더욱 예시되고 있다. 수평 홈(24)들의 각각은 반 원통부(72) 및 곡면 윤곽(74)을 포함한다. 수평 홈(24)들의 각각은 각진 골(76)에서 더욱 교차한다. 곡면 윤곽(74)은 반 원통부(72)의 제 2 기저부 반경(78)에 대응한다. 반 원통부(72)는 반 원통부의 호의 각도 범위를 나타내는 제 2 아크 각(80)을 더 포함한다. 이 구현에서, 제 2 기저부 반경(78)은 약 0.55mm며, 제 2 아크 각(80)은 약 34.7도이다.
다양한 반경과 아크의 특정 치수를 설명하지만, 여기에서 논의된 치수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이들이 적용되는 특정 응용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 1 기저부 반경(68)은 길이가 적어도 100%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 1 기저부 반경(68)은 50nm 내지 10mm로 변할 수도 있다. 제 2 기저부 반경(78)은 또한 길이가 적어도 100%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 2 기저부 반경은 100nm 내지 20mm로 변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에서, 제 2 기저부 반경(78)은 제 1 기저부 반경(68) 보다 크다. 또한, 제 1 기저부 반경(68) 대 제 2 기저부 반경(78)의 비율은 대략 1 내지 10로 다양할 수도 있고, 일부 경우에는, 1.1 내지 3.1로 다양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호 아크 각(70, 80)은 적어도 100% 다를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 1 아크 각(70)은 20 내지 120도까지 다양할 수도 있다. 제 2 아크 각(80)은 10 내지 90도까지 다양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반경(68, 78) 및 제 1 및 제 2 아크 각(70, 80) 각각은 보조 광학장치(16)의 특정 구현예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수직 및 수평 홈(22, 24)의 구체적인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기판(12), 광 센서(14) 및 그들 사이에서의 보조 광학장치(16)의 관계의 특정 형상에 기초하여 다양할 수도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백미러 조립체의 단면도가 단면 선 1-1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34)은 제 1 기판(102) 및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에 대응하는 제 2 기판(104)에 인접해 있다. 배면판(106)은 보조 광학장치(16)의 전방면(18)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있는 하우징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들에서, 보조 광학장치(16)는 복수의 스냅(39)에 의해 PCB(108)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관점에서, 복수의 스냅(39)의 각각은 절단 선 1-1에 걸쳐 단면 절개에 의해 숨겨져 있다. 광 센서(14)는 PCB(108)에 결합되어 있고 PCB(108)의 하나 이상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통하고 있다. 광 센서(14)의 지지 구조는 또한 단면 절개에 의해 숨겨져 있다.
창(36)은 광이 제 1 기판(102)과 제 2 기판(104)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기판(102) 및 제 2 기판(104)을 투과한 광은 보조 광학장치(16)의 전방면(18)의 수직 홈(22)들에 의해 수신되고, 본체부(40)를 통해서 후방면(20)에 투과된다. 그런 다음 광은 후방면(20)의 수평 홈(24)들로부터 방출되고 광 센서(14)의 감각표면(110)에 의해 수신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배면판(106)의 정면도는 보조 광학장치(16)를 포함하여 도시되어 있다. 보조 광학장치(16)는 외주부(38)의 윤곽을 보완하는 개구(122)에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은 보조 광학장치(16)의 수직 홈(22)들을 보여주기 위해 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현에서, 제 1 기저부 반경(68) 및 제 1 아크 각(70)을 포함하여 반 원통부(62)의 형상은 수평 시야(124)가 차량의 정상적인 순방향 운전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연장되고 전방면(18)으로부터 연장되는 표면 법선 벡터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수평 시야(124)의 제 1 각(126)은 차량의 좌현 측을 향해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수평 시야(124)의 제 2 각(128)은 차량의 우현 측을 향해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 1 각(126)은 전방면(18)으로부터 연장되는 표면 법선 벡터로부터 약 35도이다. 제 2 각(128)은 전방면(18)으로부터 연장되는 표면 법선 벡터로부터 약 35도이다. 제 1 및 제 2 각(126, 128)은 약 70도의 총 수평 시야를 지정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제 1 및 제 2 각(126, 128)은 동일한 각도에 대응한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에서 제 1 각(126)은 제 2 각(128)이 아닌 다른 각도에 대응할 수도 있다. 수평 시야(124)의 제 1 각(126)과 제 2 각(128)이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수평 시야(124)의 제 1 각(126)과 제 2 각(128)은 일반적으로 25도를 초과할 수도 있으며, 일부 구현예에서 30도를 넘을 수도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제 1 각과 제 2 각은 약 35도 이상일 수도 있다.
수평 시야(124)는 눈부심 광이 차량의 후방부, 예를 들면, 후방 유리창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평 시야(124)의 제 1 및 제 2 각(126, 128)은 특정 응용예에 대한 특정 설계 기준에 대한 특정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이 구현에서 총 수평 시야(124)가 차량에 관하여 후방으로 대략 70도이지만, 수평 시야는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시야는 10 내지 180도 범위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배면판(106)과 보조 광학장치(16)의 배면이 명확성을 위해 하우징(32), PCB(108), 광 센서(14) 및 후방 장치 장착부(34)의 다른 다양한 부품들이 숨겨진 채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스냅(39)과 복수의 배플(42)이 후방면(20)으로부터 개구(122)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수평 홈(24)들은 후방면(20) 상에 배치되어 있고, 광 센서(14)를 향해 광을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현예에서, 제 2 반경(78)과 제 1 아크 각(80)을 포함하여 반 원통부(72)의 형상이 수직 시야(142)가 전면(18)으로부터 연장되는 표면 법선 벡터에 대응하는 차량의 정상적인 순방향 운전 방향에 대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수직 시야(142)의 제 1 각(144)은 제 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수직 시야(142)의 제 2각(146)은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 1 각(144)은 전방면(18)으로부터 연장되는 정상 표면 벡터로부터 약 15도 위에 있다. 제 2 각(146)은 전방면(18)으로부터 연장되는 정상 표면 벡터로부터 약 15도 아래에 있다. 제 1 및 제 2 각(144, 146)은 약 30도의 총 수직 시야를 지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 1 및 제 2 각(144, 146)은 동일한 각도에 대응한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 1 각(144)은 제 2 각(146)이 아닌 다른 각도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시야가 일반적으로 곡면 윤곽(64, 74)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수직 시야(142)의 제 1 각(144)과 제 2 각(146)이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수직 시야의 제 1 각과 제 2 각은 일반적으로 5도를 초과할 수도 있으며, 일부 구현예에서 10도를 넘을 수도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 1 각과 제 2 각의 각도는 약 15도 이상일 수도 있다.
수직 시야(142)는 눈부심 광이 차량의 후방부, 예를 들면, 후방 유리창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직 시야의 제 1 및 제 2 각(144, 146)은 특정 응용예에 대한 특정 설계 기준에 대한 특정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이 구현예에서 총 수직 시야(142)가 차량에 관하여 후방으로 대략 30도이지만, 수직 시야(142)는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직 시야는 10 내지 180도 범위일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수직 시야는 25 또는 20도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배면판(106), 보조 광학장치(16), 광 센서(14)의 배면이 명확성을 위해 하우징(32), PCB(108), 및 후방 장치 장착부(34)의 다른 다양한 부품들이 숨겨진 채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스냅(39)이 개구(122)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보강 리브(42)가 복수의 수직 홈(24)들을 갖는 보조 광학장치(16)의 배면(20)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광 센서(14)의 감각표면은 감각표면이 수평 홈(24)들과 정렬되도록 배향되어 있다. 후방면(20)을 가로 질러 균일하게 배치된 수평 홈(24)들의 배열은 보조 광학장치(16)의 본체부(40)로부터의 광을 투사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백미러 조립체(10)는 광이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을 통해, 보조 광학장치(16)를 통해 투과되고, 수평 홈(24)들로부터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광 센서(14)는 수평 홈(24)들로부터 방출된 광이 광 센서(14)에 의해 수신되도록 배열된다. 수평 홈(24)들로부터 방출된 광은 광이 보조 광학장치(16)로부터 투사된 시야에 걸쳐 균일하게 수신되고 검출되는지 보장하기 위해 광 센서(14)의 감각표면을 가로 질러 수신된다. 이 구성에서, 광 센서(14)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에 입사되는 광의 양을 측정해서 후행 차량으로부터 투사된 눈부심 광을 모니터링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본원에서 논의된 백미러 조립체(10)의 다양한 구현예는 광범위한 응용예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광 센서(14)는 LCD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하나의 기판(12) 위에 입사하는 광에 반응하여 거울의 반사면 사이의 명암 비를 증가시키는 전기변색성 조광(electrochromic dimming)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광 센서(14)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12)에 입사된 광에 반응하여, 예를 들면, LCD 디스플레이의 명암이나 밝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록 특정 구현예들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지만,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신규한 특징과 배열이 다양한 백미러 감지, 반사, 및/또는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도록 유연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조 광학장치(16)의 시야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도 10a-10d에 입증되고 있다.
도 8은 광 센서(14)와 보조 광학장치(16)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보조 광학장치(16)의 후방면(20)은 광 센서(14)의 감각표면(152)로부터 거리 D 만큼 이격되어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거리 D는 약 0.1mm 내지 약 10mm로 다양할 수 있다. 몇몇 구현예에서, 거리 D는 5mm 미만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거리 D는 백미러 조립체(10)의 전체 깊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한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거리 D는 2㎜ 미만이고, 특정 구현예에서 거리 D는 약 0.5mm(약 0.52mm)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반 원통부(62)의 곡면 윤곽(64), 반 원통부(72)의 곡면 윤곽(74), 및 다른 윤곽(164)은 평면 상에 겹쳐진 상태로 나타낸다. 곡면 윤곽(64)은 보조 광학장치(16)의 복수의 수직 홈(22)들의 각각에 대응한다. 곡면 윤곽(74)은 보조 광학장치(16)의 복수의 수평 홈(24)들의 각각에 대응한다. 예시 윤곽(164)은 보조 광학장치(16)의 시야와 표면 반사율에 대한 곡면 윤곽(74)의 상대적인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보여지고 있다.
보조 광학장치(16)의 제 2 면(20) 상의 곡면 윤곽으로 구현될 때 예시 윤곽(164)은 상대적으로 넓은 시야를 생성하지만 높은 표면 반사율(약 40%)을 갖는다. 예시 윤곽(164)은 곡면 윤곽(64)에 비해 수직 홈들의 반 원통부의 작은 반경을 갖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곡면 윤곽(64)은 윤곽(74)의 반경과 예시 윤곽(164)의 반경 사이의 반경을 갖지만, 보조 광학장치(16)의 제 1 면(18) 상에 배치될 때 실질적으로 균일한 시야를 갖는다. 곡면 윤곽(64)은 반사된 어떤 광도 다시 후방 시각 장치를 보는 사람에게 산란시킨다. 윤곽(74)은 세 개의 윤곽(64, 74, 164)의 최소 시야를 갖지만, 보조 광학장치(16)의 제 2 면(20) 상에 위치할 때 허용 가능한 수직 시야를 제공하고 후방 시각 장치를 보는 사람에게 전체적으로 낮은 반사율을 생산한다.
비록 특정 곡면 윤곽(64)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고 있지만, 개시된 보조 광학장치(16)의 수직 홈(22)들이 곡면 윤곽(64)과 다른 표면 윤곽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시 윤곽(164)과 윤곽(74)을 포함하여 다양한 구현예들은 일부가 본 명세서에 소개된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들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논의된다. 본 발명은 예시 윤곽(164)에 비해 적어도 상당히 제한된 표면 반사율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원에 논의된 다양한 구현예들은 보는 사람에게 균일한 외관을 생성하고 보는 사람에게 보조 광학장치(16)의 반사율로 인한 산란(distraction)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면을 갖는 백미러 조립체(10)를 제공한다.
이제 도 10a-10d를 참조하면 예시 윤곽(164), 곡면 윤곽(74), 및 곡면 윤곽(64)에 대응하는 시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는 도 10a-10d에 설명되는 각각의 시야에 대응하는 음영을 갖는 복수의 범위(174)를 갖는 참조 막대(172)의 예시이다. 참조 막대(172)의 최상부(176)는 밝은 음영(178)으로 표현되는 높은 광 강도에 대응한다. 참조 막대(172)의 최하부(180)는 어두운 음영(182)으로 표현되는 낮은 광 강도에 대응한다. 참조 막대(172)의 음영을 갖는 복수의 범위(174)를 비교하여, 보조 광학장치(16)로부터 광 센서(14)에 의해 수신된 광은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시야의 변화를 보여주기 위해 비교될 수 있다.
도 10b는 보조 광학장치(16)의 제 1 면(18) 상의 수평 배열된 곡면 윤곽(74) 및 제 2 면(20) 상의 수직 배열된 윤곽(164)에 대응하는 제 1 시야(182)를 예시한다. 음영을 갖는 복수의 범위(174)의 밝은 음영(178) 영역들은 상대적으로 균일하고 넓은 시야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 배열에서 윤곽(74, 164)을 사용하는 광학 시스템에 대응하는 표면 반사율은 높다(약 40%의 반사율). 도 10c는 보조 광학장치(16)의 제 1 면(18) 상의 수직 배열된 윤곽(164) 및 제 2 면(20) 상의 수평 배열된 윤곽(74)을 이용하는 제 2 예시 광학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 2 시야(184)를 예시한다. 밝은 음영(178) 영역들은 도 10b에 도시된 것들에 비해 눈에 띄게 감소되고 상당히 좁다. 밝은 음영(178)의 제한된 영역들은 제 1 시야(182)에 대해 필적할만큼 불충분한 시야를 예시한다. 제 2 예시 광학 시스템의 제 2 시야(184)가 감소된 표면 반사율을 제공하지만, 제 2 시야(184)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도 10d는 유사하게 제 1 면(18) 상에 수직 배열로 사용되는 곡면 윤곽(64) 및 제 2 면(20)에서 사용되는 수평 배열된 표면 윤곽(74)에 대응하는 제 3 시야(186)를 구비한 제 3 예시 광학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시야(182)와 유사하게, 제 3 시야(186)는 밝은 음영(178) 영역들에 의해 입증된 광범위하고 균일한 시야를 포함한다. 또한, 제 3 예시 광학 시스템에 대응하는 표면의 반사율은 약 4%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보조 광학장치의 제 1 면(18)에 대응하는 표면 반사율은 35% 미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보조 광학장치의 표면 반사율은 25% 미만일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보조 광학장치의 표면 반사율은 10% 미만으로 추가 감소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곡면 윤곽(64)을 참조하여 이전에 설명한 구현예에서, 보조 광학장치(16)의 표면 반사율은 5% 미만이다. 본원에서 논의된 백미러 조립체(10)의 보조 광학장치(16)의 감소된 표면 반사율은 균일하게 보이도록 백미러 조립체의 표시를 제공한다. 감소된 표면 반사율은 보조 광학장치에 대응하는 그림자 또는 불일치의 감소된 가시성을 제공한다.
본원에 기재된 박막 적층체는 중합체계 필름(30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압출 또는 성형,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단일 층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층,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631,089호 참조)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다층 필름 적층체 (예컨대,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을 가지면서 교번하는 층의 적층체)이며, 이 층들의 일부는 광학적 이방성(예를 들어, 복굴절성)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필름(302)은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폴리술폰, 폴리싸이클릭 올레핀, PVC, 또는 약 1.3 내지 약 1.8의 굴절 지수를 갖는 공칭을 갖는 것들과 같은 시판되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교번하는 굴절률 층들의 적층체는 동시에 다른 편광 상태를 갖는 광의 투과율을 최적화하면서 소정의 편광을 갖는 광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방성 층은 한 실시예에서, 직교 편광을 갖는 두 개의 성분으로 입사광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미국특허 제5,422,756호에 개시된 것과 유사한 프리즘 타입으로 미세 구조화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필름(302)은 각각, 한번 편광시 높고 낮은 굴절률을 가지고 직교 편광시 다른 높고 낮은 굴절률을 갖는, 적어도 두 가지 유형의 복수의 교번하는 중합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질 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폴리에스테르의 교번하는 층들을 포함하여, 이러한 필름의 한 예는, WO95/17303에서 설명되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다층 중합체 필름(302)은 예를 들면 선택된 방향으로 이와 달리 등방성 중합체 필름을 연신하여 실현된, 공간적으로 배향된 구조를 갖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재된 보조 광학장치는 미국특허 출원번호 제13/764,971호, 미국특허 출원공개번호 제2013/0032704호 및 제2012/0330504호, 뿐만 아니라 미국특허번호 제7,543,946호에 개시되고 청구된 개념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은 예컨대 미국특허 제8,201,800호; 제8,210,695호; 미국특허 출원번호 제13/600,496호; 제13/527,375호; 제13/431,657호; 제13/402,701호; 제12/187,019호, 및 미국특허 가출원번호 제61/709,716호; 제61/707,676호; 및 제61/704,869호에 설명한 것과 같은 장착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원에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미국특허번호 제8,264,761호; 미국특허 출원번호 제13/567,363호; 제13/405,697호; 제13/402,701호; 및 제13/171,950호, 및 미국특허 가출원번호 제61/707,625호; 및 제61/590,259호에 설명한 것과 같은 패키징 백미러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원에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미국특허번호 제8,201,800호; 제8, 210,695호; 및 미국특허 출원번호 제13/271,745호에 설명한 것과 같은 베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원에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기술된 본 발명의 구성 및 다른 부품들은 임의의 특정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개시된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은 단지 예시임을 유의해야 한다. 본 혁신 기술의 단지 몇몇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검토하는 당업자라면 인용된 기술적 사상의 신규한 교시 및 이점을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예를 들어, 다양한 요소들의 크기, 치수, 구조, 모양 및 비율, 파라미터 값, 장착 배열, 재료의 사용, 색상, 배향 등의 변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요소들은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부분으로 도시된 요소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인터페이스들의 동작은 반전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변화될 수도 있으며, 구조 및/또는 부재 또는 연결기 또는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길이 또는 폭은 변화될 수 있고, 구성 요소들 사이에 제공된 조정 위치들의 성질 또는 부호가 변경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요소들 및/또는 조립체들은 임의의 광범위한 색상, 질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충분한 강도나 내구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광범위한 재료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변형은 본 혁신 기술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기타 치환, 변형, 변화, 및 생략은 본 혁신 기술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계, 작동 상태 및 배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설명된 프로세스 내의 임의의 설명된 프로세스 또는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개시된 프로세스 또는 단계와 결합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예시적인 구조들 및 프로세스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및 수정이 전술한 구조 및 방법에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또한 그러한 개념이 하기 청구항들이 그들의 언어로 명시적으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기 청구항들에 의해 커버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차량으로부터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사용하는 백미러 조립체로,
    부분 투과성 코팅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인접한 광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향해 외측으로 향하는 제 1 면;
    상기 제 1 면에 근접한 복수의 수직 홈;
    상기 광 센서를 향해 내측으로 향하는 제 2 면; 및
    상기 제 2 면에 근접한 복수의 수평 홈을 포함하는 보조 광학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광 센서의 시야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제한된 반사율을 갖도록 구성된 것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홈들은 상기 제 1 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홈들은 상기 제 2 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홈들의 각각은 제 1 곡면 윤곽을 포함하는,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 윤곽은 제 1 기저부 반경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저부 반경은 0.01m 내지 5mm 범위를 갖는,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홈들의 각각은 제 2 곡면 윤곽을 포함하는,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곡면 윤곽은 제 2 기저부 반경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기저부 반경은 0.1m 내지 10mm 범위를 갖는, 조립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직 홈들은 수평 평면을 따라 제 1 면에 법선 방향으로 30도 보다 크게 연장되어 있는 수평 시야에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평 홈들은 수직 평면을 따라 제 1 면에 법선 방향으로 10도 보다 크게 연장되어 있는 수직 시야에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조립체.
  10. 차량으로부터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백미러 조립체로,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부분 투과성 코팅;
    상기 제 2 기판에 근접 배치된 광 센서;
    상기 제 2 기판과 상기 광 센서 사이에 배치된 보조 광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제 2 기판을 향해 외측으로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광 센서를 향해 내측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광 센서에 의해 수신된 광의 시야를 제어하고,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제 2 기판을 향해 외측 방향으로 30% 미만의 반사율을 포함하는,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은 복수의 아크 형 홈을 포함하는, 조립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크 형 홈은 상기 제 1 면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조립체.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은 복수의 아크 형 홈을 포함하는, 조립체.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크 형 홈은 상기 제 2 면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조립체.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제 2 기판을 향해 외측 방향으로 15% 미만의 반사율을 포함하는, 조립체.
  16.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백미러 조립체로,
    상기 차량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
    상기 차량으로부터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기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 내부에 형성된 창을 포함하는, 백미러 요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에 근접하고, 상기 창과 정렬된 감각표면을 갖는 광 센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과 상기 광 센서 사이에 배치된 보조 광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향해 외측으로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광 센서를 향해 내측으로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면은 복수의 수직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은 복수의 수평 홈들을 포함하는,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홈들의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판을 향해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곡면을 갖는 모양의 반 원통형인, 조립체.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홈들의 각각은 상기 광 센서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곡면을 갖는 모양의 반 원통형인, 조립체.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은 2mm 미만만큼 상기 광 센서와 분리되어 있는, 조립체.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광학장치는 상기 백미러 조립체에 상기 보조 광학장치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광 센서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장착 스냅을 더 포함하는, 조립체.
KR1020157023850A 2013-03-15 2014-02-20 저 반사율 눈부심 광학장치 KR101721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89903P 2013-03-15 2013-03-15
US61/789,903 2013-03-15
PCT/US2014/017382 WO2014149335A1 (en) 2013-03-15 2014-02-20 Low reflectance glare opt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983A true KR20150113983A (ko) 2015-10-08
KR101721844B1 KR101721844B1 (ko) 2017-03-31

Family

ID=51526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850A KR101721844B1 (ko) 2013-03-15 2014-02-20 저 반사율 눈부심 광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34311B2 (ko)
EP (1) EP2969654B1 (ko)
JP (2) JP2016510710A (ko)
KR (1) KR101721844B1 (ko)
CN (1) CN105073501B (ko)
WO (1) WO2014149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4310B2 (en) * 2015-11-11 2019-06-18 Kramden Enterprises, LLC Glare reducer
USD845851S1 (en) * 2016-03-31 2019-04-16 Gentex Corporation Rearview device
USD817238S1 (en) * 2016-04-29 2018-05-08 Gentex Corporation Rearview device
CN108501815A (zh) * 2018-03-16 2018-09-07 武汉理工大学 一种防眩目后视镜系统及控制方法
USD881769S1 (en) 2018-03-27 2020-04-21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irror
JP7281615B2 (ja) * 2019-01-25 2023-05-26 美里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ミラー
WO2020157726A1 (en) 2019-02-01 2020-08-06 Gentex Corporation Active infrared illumination for enhancing rear vision from a vehicle
US20240067092A1 (en) * 2022-08-26 2024-02-29 Gentex Corporation Rearview assembly with illumin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0962A (en) * 1993-02-26 1998-06-02 Donnelly Corporation Automatic rearview mirror system using a photosensor array
US7543946B2 (en) * 2002-01-10 2009-06-09 Gentex Corporation Dimmable rearview assembly having a glare sensor
KR20120099671A (ko) * 2009-10-07 2012-09-11 마그나 미러스 오브 아메리카 인크. 무프레임 내부 후사경 조립체
US20130032704A1 (en) * 2011-08-05 2013-02-07 Fish Jr Richard T Optical assembly for a light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2028U (ko) * 1988-05-23 1989-12-06
US5631089A (en) 1991-07-30 1997-05-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eparation of glass/plastic laminates having improved optical quality
US5422756A (en) 1992-05-18 1995-06-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acklighting system using a retroreflecting polarizer
CA2177714C (en) 1993-12-21 2005-08-09 Andrew J. Ouderkirk Multilayered optical film
US6193378B1 (en) * 1999-06-25 2001-02-27 Gentex Corporation Electrochromic device having a self-cleaning hydrophilic coating
US8004741B2 (en) 2004-02-27 2011-08-23 Gentex Corporation Vehicular rearview mirror elements and assemblies incorporating these elements
CN101535087B (zh) * 2005-11-01 2013-05-15 唐纳利公司 具有显示装置的内部后视镜
JP2008168705A (ja) * 2007-01-10 2008-07-24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US8201800B2 (en) 2008-08-06 2012-06-19 Gentex Corporation Two ball mount with wiring passage
US8210695B2 (en) 2009-04-30 2012-07-03 Gentex Corporation Channeled mirror mount
US7864400B1 (en) 2009-06-22 2011-01-04 Gentex Corporation Vehicle rearview mirror with spotter mirror
US8620523B2 (en) 2011-06-24 2013-12-31 Gentex Corporation Rearview assembly with multiple ambient light sens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0962A (en) * 1993-02-26 1998-06-02 Donnelly Corporation Automatic rearview mirror system using a photosensor array
US7543946B2 (en) * 2002-01-10 2009-06-09 Gentex Corporation Dimmable rearview assembly having a glare sensor
KR20120099671A (ko) * 2009-10-07 2012-09-11 마그나 미러스 오브 아메리카 인크. 무프레임 내부 후사경 조립체
US20130032704A1 (en) * 2011-08-05 2013-02-07 Fish Jr Richard T Optical assembly for a light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10710A (ja) 2016-04-11
WO2014149335A1 (en) 2014-09-25
EP2969654A1 (en) 2016-01-20
EP2969654B1 (en) 2019-04-03
JP6716529B2 (ja) 2020-07-01
JP2018076062A (ja) 2018-05-17
EP2969654A4 (en) 2016-03-16
KR101721844B1 (ko) 2017-03-31
CN105073501A (zh) 2015-11-18
CN105073501B (zh) 2017-09-12
US9434311B2 (en) 2016-09-06
US20140268350A1 (en)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1844B1 (ko) 저 반사율 눈부심 광학장치
JP5577038B2 (ja) 高輝度ディスプレイを含む車両リアビューアセンブリ
US8836888B2 (en) Modular light source/electronics and automotive rearview assemblies using the same
AU2018292146B2 (en) Screen for a free viewing mode and a restricted viewing mode
US8941924B2 (en) Head-up display device
EP1597613B1 (en) Mirror with built in display
EP2062779B1 (en) Light-emitting display device-equipped rear-view mirror
KR20180027590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7107715B (zh) 一种用于具有风挡和仪表的车辆中的平视显示器组件和系统
EP3692413B1 (en) Switchable polarized displays
KR20150130328A (ko) 디스플레이 미러 어셈블리
WO2017105926A1 (en) Mirror including reflective backlit display
US8596839B2 (en) Lighting element for homogenous appearance
CN113966645A (zh) 具有投影区的车辆复合玻璃窗单元
US11932170B2 (en) Switchable mirror and display
US20230302996A1 (en) Full display mirror assembly with through bezel infrared illumination
JP2009056966A (ja) 車載用ミラー
CN116520577A (zh) 抬头显示模组及车辆
CN107249936A (zh) 低成本光学膜叠
MXPA01003932A (en) Electrochromic mirror incorporating a third surface reflector
JP2008081081A (ja) 車両用の死角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