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630A - 차량용 송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송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630A
KR20150113630A KR1020140037858A KR20140037858A KR20150113630A KR 20150113630 A KR20150113630 A KR 20150113630A KR 1020140037858 A KR1020140037858 A KR 1020140037858A KR 20140037858 A KR20140037858 A KR 20140037858A KR 20150113630 A KR20150113630 A KR 20150113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body contact
heat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김학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4003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3630A/ko
Priority to PCT/KR2014/007407 priority patent/WO2015152470A1/ko
Publication of KR20150113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21Devices in the floor or side wall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28Devices in the interior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n ai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송풍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는, 차량의 공조 유닛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가 이송되고,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제1 공기 이송부 및 차량 내부의 신체 접촉부에 마련되고, 제1 공기 이송부와 유체 연통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신체 접촉부에서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제2 공기 이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송풍 장치{BLOWER FOR VEHICL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풍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송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에는 에어컨 및 히터가 장착되어 차량 실내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에어컨 및 히터로부터 공급되는 냉기 또는 온기는 차량 실내 전체로 확산되어 차량 실내 전체를 냉각 또는 온열 분위기로 만들게 된다. 그러나, 차량 실내 전체의 냉각 또는 온열 분위기를 유지하려면 전력 소모가 많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8466호(2013.07.2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42946호(2013.12.18)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실내에서 탑승자가 신체를 접촉하는 부위로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할 수 있는 차량용 송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는, 차량의 공조 유닛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가 이송되고, 상기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제1 공기 이송부;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신체 접촉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공기 이송부와 유체 연통되어 상기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신체 접촉부에서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제2 공기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는, 상기 신체 접촉부의 내부에서 상기 신체 접촉부의 표면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에어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신체 접촉부를 감싸며 마련되고, 상기 냉기 또는 온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신체 접촉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신체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신체 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공기 이송부와 상기 제2 공기 이송부의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공기 이송부와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를 연통시키는 유체 연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접촉부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되는 저장고 장치의 커버 및 기어봉의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신체 접촉부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되는 저장고 장치의 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저장고 장치의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기 이송부와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1 공기 이송부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저장고 장치의 내부로 배출하는 유체 연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제1 공기 이송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공기 이송부의 공기 이동 방향을 상기 제2 공기 이송부 측으로 전환시키는 공기 방향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는,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마련되고,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부 및 상기 히팅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열 방지부를 포함하는 열 교환 모듈; 및 상기 열 교환 모듈과 유체 연통되고, 차량 내부의 신체 접촉부 또는 상기 신체 접촉부와 인접한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열 교환 모듈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신체 접촉부 또는 상기 신체 접촉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제2 공기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신체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신체 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열 교환 모듈과 상기 제2 공기 이송부의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열 교환 모듈과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를 연통시키는 유체 연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 모듈은, 상기 히팅부와 접촉하고 상기 히팅부에 의해 가열되는 열 교환부; 및 상기 열 교환부의 일측에서 상기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유체 연통부로 불어 보내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 모듈은, 차량의 공조 유닛에서 1차 열 교환된 공기를 유입하여 2차 열 교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는, 상기 신체 접촉부의 내부에서 상기 신체 접촉부의 표면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에어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신체 접촉부에 마련되고, 상기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신체 접촉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접촉부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되는 저장고 장치의 커버 및 기어봉의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 모듈의 내부는, 산화 알루미나, 산화 마그네슘, 산화 나트륨, 산화 지르코늄, 산화 칼륨, 그라핀, 및 CNT(Carbone Nano Tub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 모듈은, 상기 차량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는, 상기 열 교환 된 공기를 도어 유리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 모듈은, 상기 차량의 사이드 미러 내부 또는 상기 사이드 미러와 인접한 차량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열 교환 모듈과 유체 연통되고, 상기 열 교환 된 공기를 상기 사이드 미러 측으로 배출하는 공기 이송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 모듈은, 상기 차량의 암레스트 내부 또는 상기 암레스트 인근의 차량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는, 상기 열 교환 된 공기를 상기 차량 내 탑승자의 일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는, 상기 차량 내에 마련되는 이온 발생기와 유체 연통되고, 상기 이온 발생기에서 발생시킨 이온을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신체 접촉부에 차량의 공조 유닛과 연결된 제1 공기 이송부(또는 차량 내부 구조물에 마련된 열 교환 모듈)와 연통되는 제2 공기 이송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공기 이송부 내부에서 이송되는 냉기/온기(또는 열 교환 모듈에서 발생시킨 냉기/온기)를 신체 접촉부의 표면에서 차량 실내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신체 접촉부에 접촉하는 탑승자의 신체 부위에 냉기 또는 온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차량의 공조 유닛과 연결된 제1 공기 이송부 내의 냉기 또는 온기는 차량 실내로 직접 배출되지 않고 제2 공기 이송부를 통해 신체 접촉부에서만 배출되도록 하면, 사용자가 접촉하는 부위에서 냉기 또는 온기가 전달되어 사용자가 시원함이나 따뜻함을 바로 느낄 수 있으며, 차량 실내 전체를 냉각 또는 온열 분위기로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에 있어서, 열 교환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에 있어서, 열 교환 모듈이 차량 도어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송풍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송풍 장치(100)는 제1 공기 이송부(102), 제2 공기 이송부(104), 유체 연통부(106), 신체 접촉부(108), 및 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 이송부(102)는 차량의 공조 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제1 공기 이송부(102)는 차량의 공조 장치(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제1 공기 이송부(102)는 차량의 공조 장치(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가 이송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제1 공기 이송부(102)는 차량의 앞 좌석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마련되는 센터 터널(5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센터 터널(50)의 후단에는 제1 공기 이송부(102)를 통해 이송된 냉기 또는 온기가 배출되는 에어 배출구(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 이송부(104)는 신체 접촉부(108)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접촉부(108)는 차량 실내에서 신체가 접촉하는 부위(또는 구조물)를 말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공기 이송부(104)는 신체 접촉부(108)와 인접한 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공기 이송부(104)는 제1 공기 이송부(102)와 유체 연통되어 차량의 공조 장치(미도시)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를 신체 접촉부(108)에서 차량 실내로 배출할 수 있다. 제2 공기 이송부(104)는 제1 신체 접촉부(108-1) 내에 마련되는 제2-1 공기 이송부(104-1) 및 제2 신체 접촉부(108-2) 내에 마련되는 제2-2 공기 이송부(10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체 접촉부(108-1)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기어봉의 손잡이부일 수 있다. 제1 신체 접촉부(108-1)는 센터 터널(5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신체 접촉부(108-1)의 하부에 제1 공기 이송부(102)가 마련될 수 있다. 운전자는 기어 조작 등을 하는 경우 제1 신체 접촉부(108-1)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신체 접촉부(108-2)는 차량 내에 장착되는 저장고 장치(예를 들어, 센터 콘솔 또는 암레스트 등)의 커버일 수 있다. 제2 신체 접촉부(108-2)가 센터 콘솔의 커버인 경우, 제2 신체 접촉부(108-2)는 센터 터널(5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신체 접촉부(108-2)의 하부에 제1 공기 이송부(102)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 내 탑승자는 팔을 기대거나 저장고 장치의 커버를 개폐할 때 제2 신체 접촉부(108-2)에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신체 접촉부(108)가 기어봉의 손잡이부(108-1) 및 저장고 장치의 커버(108-2)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신체 접촉부(108)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체 접촉부(108)는 그 이외의 다양한 차량 실내 구조물(예를 들어, 차량 도어 손잡이, 도어 암레스트, 대시보드, 헤드레스트, 핸들, 좌석 시트 등)이 될 수 있다.
제1 신체 접촉부(108-1)의 하부에는 제1 지지부(110-1)가 형성되어 제1 신체 접촉부(108-1)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110-1)는 기어봉의 몸체일 수 있다. 제2-1 공기 이송부(104-1)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제1 지지부(110-1)에 마련되는 제1 유체 연통부(106-1)에 의해 제1 공기 이송부(102)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제1 유체 연통부(106-1)의 일단은 제1 공기 이송부(102)와 연통되고, 제1 유체 연통부(106-1)의 타단은 제2-1 공기 이송부(104-1)와 연통된다. 제2-1 공기 이송부(104-1)는 제1 지지부(110-1) 내에서 제1 신체 접촉부(108-1)의 표면에 이르기까지 복수 개로 분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 이송부(102) 내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제1 유체 연통부(106-1) 및 제2-1 공기 이송부(104-1)를 경유하여 제1 신체 접촉부(108-1)에서 차량 실내로 배출되게 된다.
제2 신체 접촉부(108-2)의 하부에는 제2 지지부(110-2)가 형성되어 제2 신체 접촉부(108-2)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부(110-2)는 저장고 장치의 몸체일 수 있다. 제2 신체 접촉부(108-2)는 제2 지지부(110-2)의 커버로서, 제2 신체 접촉부(108-2)의 일측은 제2 지지부(110-2)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2 신체 접촉부(108-2)의 일측은 힌지(151)에 의해 제2 지지부(11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2 공기 이송부(104-2)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제2 지지부(110-2)에 마련되는 제2 유체 연통부(106-2)에 의해 제1 공기 이송부(102)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제2 유체 연통부(106-2)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제2 지지부(110-2)의 하우징부(케이스부)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체 연통부(106-2)의 일단은 제1 공기 이송부(102)와 연통되고, 제2 유체 연통부(106-2)의 타단은 제2-2 공기 이송부(104-2)와 연통된다. 제2 유체 연통부(106-2)의 타단은 힌지(151) 내부에서 제2-2 공기 이송부(104-2)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체 연통부(106-2)는 제2 지지부(110-2)의 내부 공간(예를 들어, 저장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 이송부(102) 내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제2 유체 연통부(106-2)를 통해 제2 지지부(110-2)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별도의 냉각 및 가열 수단이 없어도 제2 지지부(110-2)의 내부 공간을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제2-2 공기 이송부(104-2)는 제2 신체 접촉부(108-2)의 내부에서 제2 신체 접촉부(108-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2-2 공기 이송부(104-2)는 제2 신체 접촉부(108-2)의 내부에서 제2 신체 접촉부(108-2)의 표면까지 연장되는 복수 개의 에어 배출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 이송부(102) 내의 냉기 또는 온기가 제2 유체 연통부(106-2) 및 제2-2 공기 이송부(104-2)를 경유하여 복수 개의 에어 배출구(121)를 통해 제2 신체 접촉부(108-2)에서 차량 실내로 배출되게 된다. 복수 개의 에어 배출구(121)는 미세 구멍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기 이송부(102) 내의 냉기 또는 온기는 차량 실내로 직접 배출되지 않고 제2 공기 이송부(104)를 통해 신체 접촉부(108)에서만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접촉하는 부위에서 냉기 또는 온기가 전달되어 사용자가 시원함이나 따뜻함을 바로 느낄 수 있으며, 차량 실내 전체를 냉각 또는 온열 분위기로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공기 이송부(102)의 내부에는 제1 공기 이송부(102) 내의 공기 이동 방향을 유체 연통부(106)로 전환시킬 수 있는 공기 방향 전환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방향 전환부(미도시)는 제1 공기 이송부(102) 및 유체 연통부(106)가 유체 연통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유체 연통되는 부분을 개폐 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방향 전환부(미도시)는 유체 연통되는 부분이 개방되었을 때, 제1 공기 이송부(102) 내의 공기를 유체 연통부(106)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 방향 전환부(미도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방향 전환 레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송풍 장치(100)는 음이온 및 양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미도시)는 제2 공기 이송부(104)와 유체 연통되어 제2 공기 이송부(104)를 통해 이온을 차량 내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미도시)는 제1 공기 이송부(102) 또는 유체 연통부(106) 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신체 접촉부(108)에 제1 공기 이송부(102)와 연통되는 제2 공기 이송부(104)를 마련함으로써, 제1 공기 이송부(102)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신체 접촉부(108)의 표면에서 차량 실내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신체 접촉부(108)에 접촉하는 탑승자의 신체 부위에 냉기 또는 온기가 전달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송풍 장치(100)는 신체 접촉부 커버(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접촉부 커버(112)는 신체 접촉부(108)의 표면에서 냉기 또는 온기가 배출될 때, 냉기 또는 온기가 탑승자의 신체 부위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신체 접촉부 커버(112)는 제1 신체 접촉부 커버(112-1) 및 제2 신체 접촉부 커버(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체 접촉부 커버(112-1)는 제1 신체 접촉부(108-1)를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신체 접촉부 커버(112-1)의 테두리(가장자리)에는 탄성 부재(예를 들어, 고무줄)가 결합되어 제1 신체 접촉부 커버(112-1)가 제1 신체 접촉부(108-1)에 탄성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신체 접촉부 커버(112-1)와 제1 신체 접촉부(108-1) 사이에는 제1 신체 접촉부(108-1)의 표면에서 배출된 냉기 또는 온기가 유동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신체 접촉부 커버(112-1)에는 상기 냉기 또는 온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출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1 배출홀(123)이 제1 신체 접촉부 커버(112-1)의 전 영역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신체 접촉부 커버(112-2)는 제2 신체 접촉부(108-2)를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신체 접촉부 커버(112-2)의 테두리(가장자리)에는 탄성 부재(예를 들어, 고무줄)가 결합되어 제2 신체 접촉부 커버(112-2)가 제2 신체 접촉부(108-2)에 탄성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신체 접촉부 커버(112-2)와 제2 신체 접촉부(108-2) 사이에는 제2 신체 접촉부(108-2)의 표면에서 배출된 냉기 또는 온기가 유동할 수 있는 소정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신체 접촉부 커버(112-2)에는 상기 냉기 또는 온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출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2 배출홀(125)이 제2 신체 접촉부 커버(112-2)의 전 영역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신체 접촉부 커버(112-1) 및 제2 신체 접촉부 커버(112-2)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천 재질 또는 스펀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체 접촉부(108)를 감싸며 신체 접촉부 커버(112)를 마련함으로써, 냉기 또는 온기가 탑승자의 신체 부위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한 탑승자의 불괘감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고, 탑승자의 신체 부위에 적절한 온도의 냉기 또는 온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송풍 장치(100)는 열 교환 모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 교환 모듈(114)은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교환 모듈(114)은 센터 터널 내부, 차량 좌석 내부, 대시보드 내부, 차량 도어 내부, 사이드 미러 내부 또는 사이드 미러와 인접한 차량 내부, 핸들 내부, 룸미러 내부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 모듈(114)은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히팅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세라믹 히터, 열선, 열전 소자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열 교환 모듈(114)은 히팅부(미도시)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열 방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열 교환 모듈(114)은 제1 공기 이송부(102)와 연통되어 제1 공기 이송부(102) 내의 냉기 또는 온기(즉, 차량의 공조 유닛에서 1차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를 유입한 후, 1차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를 2차 열 교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교환 모듈(114)은 1차 열 교환된 냉기를 열전 소자 등을 통해 2차 열 교환하여 그 온도를 더 낮출 수 있다. 또한, 열 교환 모듈(114)은 1차 열 교환된 온기를 열전 소자 또는 히터 또는 열선 등을 통해 2차 열 교환하여 그 온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제1 유체 연통부(106-1)는 제2-1 공기 이송부(104-1)와 열 교환 모듈(114) 사이에 마련되어 제2-1 공기 이송부(104-1)와 열 교환 모듈(114)을 유체 연통시킬 수 있다. 즉, 제1 유체 연통부(106-1)의 양단이 각각 열 교환 모듈(114) 및 제2-1 공기 이송부(104-1)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유체 연통부(106-1)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제1 지지부(110-1)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열 교환 모듈(114)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가 제1 유체 연통부(106-1) 및 제2-1 공기 이송부(104-1)를 경유하여 제1 신체 접촉부(108-1)에서 차량 실내로 배출되게 된다.
제2 유체 연통부(106-2)는 제2-2 공기 이송부(104-2)와 열 교환 모듈(114) 사이에 마련되어 제2-2 공기 이송부(104-2)와 열 교환 모듈(114)을 유체 연통시킬 수 있다. 즉, 제2 유체 연통부(106-2)의 양단이 각각 열 교환 모듈(114) 및 제2-2 공기 이송부(104-2)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유체 연통부(106-2)의 적어도 일부 구간은 제2 지지부(110-2)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열 교환 모듈(114)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가 제2 유체 연통부(106-2) 및 제2-2 공기 이송부(104-2)를 경유하여 제2 신체 접촉부(108-2)에서 차량 실내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열 교환 모듈(114)은 이온 발생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열 교환 모듈(114)에서 이온을 포함하는 냉기 또는 온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온을 포함하는 냉기 또는 온기가 제2 공기 이송부(104)를 통해 차량 실내로 배출되어 차량 내부를 정화시키게 된다.
여기서는, 열 교환 모듈(114)이 제2 공기 이송부(104)와 연통되어 열 교환 모듈(114)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온기가 신체 접촉부(108)에서 차량 실내로 배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 교환 모듈(114)은 제2 공기 이송부(104)를 통해 신체 접촉부(108)와 인접한 위치(즉, 차량 실내 구조물 중 탑승자와 인접한 위치)에서 냉기 또는 온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할 수도 있다. 즉, 제2 공기 이송부(104)는 신체 접촉부(108)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열 교환 모듈(114)에서 발생한 냉기 또는 온기를 차량 실내로 배출할 수도 있다. 이때, 냉기 또는 온기는 탑승자의 신체 일측(예를 들어, 탑승자의 신체 중 차량 실내 구조물과 접촉하지 않는 부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 접촉부(108)가 암레스트(앞 좌석 암레스트 및 뒷 좌석 암레스트)의 커버인 경우, 열 교환 모듈(114)은 암레스트 내부 또는 암레스트 인근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열 교환 모듈(114)에서 발생시킨 냉기 또는 온기를 암레스트의 커버(즉, 신체 접촉부(108))에서 차량 실내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열 교환 모듈(114)에서 발생시킨 냉기 또는 온기를 암레스트의 커버(즉, 신체 접촉부(108))와 인접한 위치 예를 들어, 암레스트의 측면 또는 후면 등에 마련된 제2 공기 이송부(104)를 통해 차량 내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에 있어서, 열 교환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열 교환 모듈(114)은 케이스(131), 히팅부(133), 열 교환부(135), 및 송풍팬(137)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31)는 내부에 수납 공간(131-a)을 구비한다. 케이스(131)는 예를 들어,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13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케이스(131)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기둥 형상인 경우를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131)는 전면 플레이트(131-1), 전면 플레이트(131-1)의 후방에서 전면 플레이트(131-1)와 대향하여 형성되는 배면 플레이트(131-2), 전면 플레이트(131-1) 및 배면 플레이트(131-2)의 상단을 각각 연결하며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131-3), 및 전면 플레이트(131-1) 및 배면 플레이트(131-2)의 하단을 각각 연결하며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131-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31)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31)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구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31)는 압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케이스(131)의 전체 또는 일부는 방열 향상을 위한 표면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케이스(131)의 양단은 각각 제1 유체 연통부(106-1) 및 제2 유체 연통부(106-2)와 연통될 수 있다.
히팅부(133)는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히팅부(133)로는 예를 들어, 세라믹 히터, 열전 소자, 열선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팅부(133)로 열전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열 교환 모듈(114)은 온기 뿐만 아니라 냉기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히팅부(133)는 케이스(131)의 수납 공간(131a)에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열 교환부(135)는 히팅부(133)와 함께 케이스(131)의 수납 공간(131-a)에 수납될 수 있다. 열 교환부(135)는 히팅부(133)의 일측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133)에서 발생하는 열이 열 교환부(135)로 전달되게 된다. 열 교환부(135)에는 복수 개의 열 교환핀(135-1)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열 교환부(135)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31), 히팅부(133), 및 열 교환부(135)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는 산화 알루미나, 산화 마그네슘, 산화 나트륨, 산화 지르코늄, 산화 칼륨, 그라핀, 및 CNT(Carbone Nano Tub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팅부(133)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물질로 표면 처리된 부분에서 원 적외선으로 파장이 변경되어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히팅부(133)에서 발생한 열이 먼 거리까지 잘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송풍팬(137)은 케이스(131)의 수납 공간(131-a)에 수납될 수 있다. 송풍팬(137)은 열 교환부(135)의 온기를 제1 유체 연통부(106-1) 및 제2 유체 연통부(106-2)로 불어보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는, 1개의 송풍팬(137)을 도시하였지만, 제1 유체 연통부(106-1)로 온기를 불어보내기 위한 송풍팬과 제2 유체 연통부(106-2)로 온기를 불어보내기 위한 송풍팬이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1개의 송풍팬(137)의 모터 방향을 변경시켜 제1 유체 연통부(106-1) 또는 제2 유체 연통부(106-2)로 선택적으로 온기를 불어보낼 수도 있다.
열 교환 모듈(114)은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 유입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입 수단(미도시)은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31)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공기 유입 수단(미도시)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131)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팬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기 유입 수단(미도시)은 차량 내부 공기를 케이스(131) 내부로 유입시킬 수도 있고, 제1 공기 이송부(102) 내의 공기를 케이스(131) 내부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한편, 열 교환 모듈(114)에는 이온 발생기, 살균기, 공기 청정기, 휘산기, 및 해충 퇴치기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히팅부(133) 및 열 교환부(135)는 케이스(131)의 압출 성형 시 케이스(13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 교환 모듈(114)은 열 교환부(135)가 이상 온도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열 방지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열 방지부(미도시)는 열 교환부(135)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히팅부(133)의 동작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송풍 장치에서, 열 교환 모듈이 차량 도어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열 교환 모듈(114)은 차량 도어(6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교환 모듈(114)은 도어 트림(61) 내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 암레스트(63)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어 암레스트(63)는 탑승자의 신체 부위가 접촉하는 부위로 도어 암레스트(63)에는 제2 공기 이송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기 이송부(미도시)는 유체 연통부(미도시)를 통해 열 교환 모듈(114)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공기 이송부(미도시)는 도어 암레스트(63)의 내부에서 도어 암레스트(63)의 표면까지 이르는 복수 개의 에어 배출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열 교환 모듈(114)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는 제2 공기 이송부(미도시)에서 복수 개의 에어 배출구(121)를 통해 차량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는, 에어 배출구(121)가 도어 암레스트(63)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 배출구(121)는 도어 암레스트(63)의 전 영역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공기 이송부(미도시)는 도어 암레스트(63)와 인접한 도어 트림(61)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제2 공기 이송부(미도시)는 열 교환 모듈(114)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를 도어 유리(65)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어 유리(65)와 인접한 부분의 도어 트림(61)에는 열 교환 모듈(114)에서 발생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배출되는 에어 배출구(12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 유리(65)에 발생한 성에(또는 김서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열 교환 모듈(114)은 차량의 사이드 미러 내부 또는 사이드 미러와 인접한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사이드 미러로 냉기 또는 온기를 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열 교환 모듈(114)은 별도의 공기 이송 유로를 통해 사이드 미러로 냉기 또는 온기를 배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이드 미러에 발생한 성에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열 교환 모듈(114)은 차량 내부의 룸 미러 내에 장착되어 룸 미러에서 차량 내부로 냉기 또는 온기를 배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량 내부의 높은 위치에서 냉기 또는 온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용 송풍 장치
102 : 제1 공기 이송부
104 : 제2 공기 이송부
104-1 : 제2-1 공기 이송부
104-2 : 제2-2 공기 이송부
106 : 유체 연통부
106-1 : 제1 유체 연통부
106-2 : 제2 유체 연통부
108 : 신체 접촉부
108-1 : 제1 신체 접촉부
108-2 : 제2 신체 접촉부
110 : 지지부
110-1 : 제1 지지부
110-2 : 제2 지지부
112 : 신체 접촉부 커버
112-1 : 제1 신체 접촉부 커버
112-2 : 제2 신체 접촉부 커버
114 : 열 교환 모듈
121 : 에어 배출구
123 : 제1 배출홀
125 : 제2 배출홀
131 : 케이스
131-a : 수납 공간
131-1 : 전면 플레이트
131-2 : 배면 플레이트
131-3 : 상부 플레이트
131-4 : 하부 플레이트
133 : 히팅부
135 : 열 교환부
135-1 : 열 교환핀
137 : 송풍팬
151 : 힌지

Claims (19)

  1. 차량의 공조 유닛에서 열 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가 이송되고, 상기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제1 공기 이송부;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신체 접촉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공기 이송부와 유체 연통되어 상기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신체 접촉부에서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제2 공기 이송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는,
    상기 신체 접촉부의 내부에서 상기 신체 접촉부의 표면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에어 배출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신체 접촉부를 감싸며 마련되고, 상기 냉기 또는 온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신체 접촉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신체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신체 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공기 이송부와 상기 제2 공기 이송부의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공기 이송부와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를 연통시키는 유체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접촉부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되는 저장고 장치의 커버 및 기어봉의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차량용 송풍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접촉부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되는 저장고 장치의 커버에 마련되고,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저장고 장치의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기 이송부와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를 연통시키며, 상기 제1 공기 이송부 내의 냉기 또는 온기를 상기 저장고 장치의 내부로 배출하는 유체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제1 공기 이송부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공기 이송부의 공기 이동 방향을 상기 제2 공기 이송부 측으로 전환시키는 공기 방향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8. 차량 내부 구조물 내에 마련되고, 열을 발생시키는 히팅부 및 상기 히팅부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열 방지부를 포함하는 열 교환 모듈; 및
    상기 열 교환 모듈과 유체 연통되고, 차량 내부의 신체 접촉부 또는 상기 신체 접촉부와 인접한 부분에 마련되며, 상기 열 교환 모듈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신체 접촉부 또는 상기 신체 접촉부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제2 공기 이송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신체 접촉부의 하부에서 상기 신체 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열 교환 모듈과 상기 제2 공기 이송부의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이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고, 상기 열 교환 모듈과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를 연통시키는 유체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모듈은,
    상기 히팅부와 접촉하고 상기 히팅부에 의해 가열되는 열 교환부; 및
    상기 열 교환부의 일측에서 상기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유체 연통부로 불어 보내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모듈은,
    차량의 공조 유닛에서 1차 열 교환된 공기를 유입하여 2차 열 교환시키는, 차량용 송풍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는,
    상기 신체 접촉부의 내부에서 상기 신체 접촉부의 표면에 이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복수 개의 에어 배출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신체 접촉부에 마련되고, 상기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신체 접촉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신체 접촉부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되는 저장고 장치의 커버 및 기어봉의 손잡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차량용 송풍 장치.
  15.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모듈의 내부는,
    산화 알루미나, 산화 마그네슘, 산화 나트륨, 산화 지르코늄, 산화 칼륨, 그라핀, 및 CNT(Carbone Nano Tub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이 표면 처리되는, 차량용 송풍 장치.
  16.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모듈은, 상기 차량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는, 상기 열 교환 된 공기를 도어 유리 측으로 배출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17.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모듈은, 상기 차량의 사이드 미러 내부 또는 상기 사이드 미러와 인접한 차량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차량용 송풍 장치는, 상기 열 교환 모듈과 유체 연통되고, 상기 열 교환 된 공기를 상기 사이드 미러 측으로 배출하는 공기 이송 유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18.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모듈은, 상기 차량의 암레스트 내부 또는 상기 암레스트 인근의 차량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는, 상기 열 교환 된 공기를 상기 차량 내 탑승자의 일측으로 배출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1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이송부는,
    상기 차량 내에 마련되는 이온 발생기와 유체 연통되고, 상기 이온 발생기에서 발생시킨 이온을 상기 차량의 실내로 배출하는, 차량용 송풍 장치.
KR1020140037858A 2014-03-31 2014-03-31 차량용 송풍 장치 KR201501136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858A KR20150113630A (ko) 2014-03-31 2014-03-31 차량용 송풍 장치
PCT/KR2014/007407 WO2015152470A1 (ko) 2014-03-31 2014-08-08 열 교환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냉온 송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858A KR20150113630A (ko) 2014-03-31 2014-03-31 차량용 송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630A true KR20150113630A (ko) 2015-10-08

Family

ID=54346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858A KR20150113630A (ko) 2014-03-31 2014-03-31 차량용 송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36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8805A (zh) * 2018-04-28 2018-10-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空气净化装置、控制方法、装置及车辆
EP3778272A1 (en) 2019-08-13 2021-02-17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Vehicle interior panel with thermoelectric air conditioning
KR20230163747A (ko) * 2022-05-24 2023-12-01 심재만 속도저항 감소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미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8805A (zh) * 2018-04-28 2018-10-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空气净化装置、控制方法、装置及车辆
EP3778272A1 (en) 2019-08-13 2021-02-17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Vehicle interior panel with thermoelectric air conditioning
US11712941B2 (en) 2019-08-13 2023-08-01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Vehicle interior panel with thermoelectric air conditioning
KR20230163747A (ko) * 2022-05-24 2023-12-01 심재만 속도저항 감소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미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499B1 (ko) 공기 조화가 가능한 차량 시트
CN106515526B (zh) 具有加热器的座椅
US10160354B2 (en) Vehicle air-conditioning seat
WO2018049159A1 (en) Vehicle zonal microclimate system
US20080248736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60014336A (ko) 공기 청정 기능 및 송풍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암레스트 장치, 차량용 시트 장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및 차량용 오버 헤드 콘솔 장치
KR20150113630A (ko) 차량용 송풍 장치
KR20240085905A (ko) 차량 시트 공조장치
KR101344526B1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JP4647363B2 (ja) 自動車用シート
WO2020194839A1 (ja) 車両用近接空調ユニット
JP6128373B2 (ja) 車両用暖房装置及び暖房付き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モジュール
CN109747373B (zh) 车辆用空调装置
JP3748312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9908447B2 (en) Seat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KR1019784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617675B2 (ja) 車両用暖房装置
KR20160139841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160139839A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
KR20200031351A (ko) 차량용 송풍 시스템
JPH08175157A (ja) バス用空調装置
KR101684140B1 (ko) 쿠션형 냉난방장치
JP2002306276A (ja) 座席用空調装置
KR2010000696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시트 냉난방장치
KR20180116017A (ko) 차량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된 냉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