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611A -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611A
KR20150113611A KR1020140037814A KR20140037814A KR20150113611A KR 20150113611 A KR20150113611 A KR 20150113611A KR 1020140037814 A KR1020140037814 A KR 1020140037814A KR 20140037814 A KR20140037814 A KR 20140037814A KR 20150113611 A KR20150113611 A KR 20150113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unit
ice
water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108B1 (ko
Inventor
김형곤
모병선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10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필터부로부터 얼음 생성을 위한 정수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 내의 정수수를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부, 냉각부에 인접하게 마련된 유로를 따라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수수를 흘려보내 정수수를 냉각시키는 냉수 생성부, 냉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저장부, 냉수 저장부의 냉수를 냉수 생성부의 유로로 공급하는 펌프부, 및 펌프부를 제어하여 냉수 저장부의 냉수가 소정 유량이나 소정 범위 내의 유량으로 냉수 생성부의 유로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AND ICE MAKING DEVICE}
본 발명은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냉수를 생성하는 유로로 물을 대체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얼음을 제공하기 위해 얼음 정수기는 내부에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 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해서 얼음 정수기는 제빙 수단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을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를 구비해야 한다. 즉,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얼음 정수기는 제빙 수단으로 얼음을 만든 다음에 이를 얼음 저장고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얼음을 요청하면 얼음 저장고 내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제빙 수단은 얼음 생성을 위해 낮은 온도까지 내려가기 때문에 제비 수단을 이용하여 물을 냉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빙 수단에 인접하게 마련된 유로를 따라 물을 흘려보내 물을 냉각하는 기술을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다. 다만 물이 유로로 너무 많게 공급되면 물이 유로에서 넘칠 수 있고, 물이 유로로 너무 적게 공급되면 물의 직접 낙하에 따른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은 일정한 유량으로 유로로 공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냉수를 생성하는 유로로 물을 대체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필터부로부터 얼음 생성을 위한 정수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 내의 정수수를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부, 냉각부에 인접하게 마련된 유로를 따라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수수를 흘려보내 정수수를 냉각시키는 냉수 생성부, 냉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저장부, 냉수 저장부의 냉수를 냉수 생성부의 유로로 공급하는 펌프부, 및 펌프부를 제어하여 냉수 저장부의 냉수가 소정 유량이나 소정 범위 내의 유량으로 냉수 생성부의 유로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생성 장치는,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 내의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부, 냉각부에 인접하게 마련된 유로를 따라 물을 흘려보내 물을 냉각시키는 냉수 생성부, 냉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저장부, 냉수 저장부의 냉수를 냉수 생성부의 유로로 공급하는 펌프부, 및 펌프부를 제어하여 냉수 저장부의 냉수가 소정 유량이나 소정 범위 내의 유량으로 냉수 생성부의 유로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는 제어부를 통해 펌프부를 제어하여 냉수 생성부의 유로로 냉수를 대체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고, 펌프부의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펌프부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유량 제어를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저장부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저장부와 냉각부를 단순하게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냉각부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냉각부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에서 얼음과 냉수의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기본적으로 필터부(110), 저장부(120), 냉각부(130), 냉수 생성부(160), 냉수 저장부 (170), 펌프부(2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기본 구성
먼저 필터부(110)를 살펴본다. 필터부(110)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은 다음에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수를 생성한다. 필터부(110)는 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10)는 선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후카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110)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대표적으로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가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120)를 살펴본다. 저장부(120)는 필터부(110)로부터 공급 받은 정수수를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필터부(110)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정수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필터부(110)로부터 직접 정수수를 공급받을 수도 있고, 필터부(110)에 의해 생성된 정수수를 저장하는 탱크로부터 정수수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120)는 후술할 보조 탱크부(150)로부터 공급받은 정수수를 저장할 수도 있다(도 1의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 참조). 저장부(120)의 정수수는 후술할 냉각부(130)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이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저장부(120)를 상술한다.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저장부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다. 저장부(12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트레이(121)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121)는 내부에 정수수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121)는 정수수를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2)를 가질 수 있다. 배출구(122)는 트레이(121)의 내측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122)로부터 정수수가 배출되면 배출구(122)의 높이만큼 정수수가 트레이(121)에 저장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이를 통해 정수수의 정량 저장을 확인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정량 공급을 위해 배출구(122)에서 정수수가 배출될 때까지 트레이(121)로 정수수를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냉각부(130)를 살펴본다. 냉각부(130)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해 저장부(120) 내의 정수수를 냉각시킨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냉각부(13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저장부와 냉각부를 단순하게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냉각부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냉각부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냉각부(130)는 트레이(121)의 정수수에 침지되어 트레이(121)의 정수수를 냉각시키는 핑거(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핑거(131)는 냉매를 통해 트레이(121)의 정수수를 냉각시킨다. 즉, 핑거(131) 내의 냉매가 증발되면 이에 의해 트레이(121)의 정수수가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으로 트레이(121)의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되어 핑거(131)에 매달릴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냉각부(130)는 핑거(131)로 냉매를 안내하기 위해 베이스(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2)는 핑거(131)의 상측에서 핑거(131)에 연결되어 핑거(131)로 냉매를 안내한다. 냉매는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을 반복적으로 겪으면서 얼음 생성에 필요한 냉열을 제공한다. 냉매에 의한 냉열의 제공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매우 자명한 기술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트레이(121)의 작동을 설명한다. 냉각부(130)가 생성한 얼음은 후술할 얼음 저장부(14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공급을 위해 트레이(121)는 제1 위치(A, 제빙 위치)와 제2 위치(B, 배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이와 같은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 동기 모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A)는 트레이(121)로 정수수가 공급되고 얼음이 생성되는 위치이다. 제2 위치는 트레이(121)의 저장물(얼음과 잔수)이 트레이(121)의 외부로 배출되는 위치이다. 트레이(121)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면 트레이(121)의 저장물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트레이(121)의 저장물을 얼음 저장부(140)로 공급하기 위해 저장부(120)는 저장물을 얼음 저장부(140)로 안내하는 가이드(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3, 6 참조).
그런데 후술할 냉수 생성부(160)가 후술할 냉수 저장부(170)의 상측에 위치하면 냉수 생성부(160)에서 냉수를 그대로 낙하시키는 것으로 냉수를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정수수는 후술할 유로(도 4의 화살표 참조)를 따라 흐른 다음에 그대로 낙하하여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냉수 생성부(160)의 하측에 트레이(121)가 위치하면 냉수가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냉수가 냉수 생성부(160)에서 배출될 때 트레이(121)는 제3 위치(C)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후술할 유로의 말단을 트레이(121)의 외측으로 연장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냉수 생성부(160)를 살펴본다. 냉수 생성부(160)는 필터부(110)에 의해 생성된 정수수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공급받은 다음에 이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냉수 생성부(160)는 냉각부(130)를 통해 정수수를 냉각한다. 이를 위해 냉수 생성부(160)는 냉각부(130)에 인접하게 마련된 유로(도 4의 화살표 참조)를 따라 정수수를 흘려보낸다.
냉각부(130)는 얼음 생성을 위해 매우 낮은 온도까지 내려간다. 이에 따라 정수수가 유로를 따라 냉각부(130)에 인접하게 흐르면 열교환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으면 냉수 생성을 위한 구성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얼음 정수기를 매우 콤팩트하게 만들 수 있다. 냉각부(130)는 얼음 생성 시뿐만 아니라 냉수 생성 시에도 냉매 작동을 위해 압축기를 가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는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U자 형상의 베이스(132)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으면 정수수가 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양측의 핑거(131)와 베이스(132)로부터 냉열을 제공받기 때문에 정수수의 냉각에 유리하다. 유로는 정수수의 자연적인 흐름을 위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정수수는 유로를 따라 흐른 이후에 유로에 인접한 본체 내벽을 따라 흘러내려 후술할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에서 바로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되면 낙하에 따른 소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로의 말단에서 본체 내벽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수는 유로의 말단에서 본체 내벽까지 닿을 수 있도록 소정 유속으로 유로를 따라 흐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정수수는 소정 유량 이상으로 유로를 따라서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수 저장부(170)의 냉수가 소정 온도 이하로 유지되기 위해 다시 유로로 공급될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냉수 저장부(170)를 살펴본다. 냉수 저장부(170)는 냉수 생성부 (160)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냉수 저장부(17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얼음 저장부(140)와 구별되게 냉수를 저장한다. 즉, 냉각부(130)에 의해 생성된 얼음(잔수를 포함한다)은 얼음 저장부(140)로 공급되고, 냉수 생성부(160)에 의해 생성된 냉수는 냉수 저장부(170)로 공급된다. 냉수 저장부(170)의 냉수는 후술할 바와 같이 냉수 생성부(160)로 다시 공급되어 냉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수 저장부(170)의 냉수는 일정하게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펌프부(200)를 살펴본다. 펌프부(200)는 냉수 저장부(170)의 냉수를 냉수 생성부(160)의 유로로 공급한다. 펌프부(200)는 모터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펌프로 마련될 수 있다. 펌프부(200)는 냉수 저장부(170)의 냉수를 소정 온도 이하로 낮추기 위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냉수 저장부(170)의 냉수를 냉수 생성부(160)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수의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감지되면, 냉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펌프부(20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냉수를 냉수 저장부 (170)에서 냉수 생성부(160)의 유로로 순환시킬 수 있다. 이때 냉각부(130)의 압축기는 냉각을 위해 가동될 필요가 있다.
또는 펌프부(200)는 탈빙(脫氷)을 위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냉수 저장부 (170)의 냉수를 냉수 생성부(160)로 공급할 수 있다. 얼음이 생성되면 후술할 얼음 저장부(140)로 얼음을 공급하기 위해서 핑거(131)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얼음이 너무 크게 생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이전의 탈빙 작동에서 탈빙되지 않은 얼음을 중심으로 얼음이 추가로 생성되는 경우나, 또는 인접한 핑거들(131)에서 얼음이 서로 달라붙어 함께 생성되는 경우에는 얼음이 바로 탈빙되기 어렵다. 따라서 냉수 저장부(170)의 냉수를 냉수 생성부(160)의 유로로 흘려보내 열전달을 통해 핑거(131)의 얼음을 녹일 수 있다. 냉수도 0 ℃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어부를 살펴본다. 제어부는 냉수 저장부(170)의 냉수가 소정 유량이나 소정 범위 내의 유량으로 냉수 생성부(160)의 유로로 공급되도록 펌프부(200)를 제어한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술한다.
제어부에 의한 제어
냉수 저장부(170)의 냉수는 냉각이 필요할 때나 탈빙이 필요할 때 냉수 생성부(16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런데 냉수가 냉수 저장부(170)에서 유로로 너무 많게 공급되면 냉수가 유로에서 넘칠 수 있다. 그리고 냉수가 냉수 저장부(170)에서 유로로 너무 적게 공급되면 냉수가 유로의 말단에서 본체 내벽까지 다다르지 못해 직접 낙하에 따른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부(200)는 일정한 유량으로 냉수를 냉수 생성부(160)의 유로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는 펌프부(200)를 제어하여 냉수 저장부(170)에서 냉수 생성부(160)의 유로로 냉수가 소정 유량이나 소정 범위 내의 유량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펌프부(200)에 포함된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펌프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미도시)는 냉수를 압송(壓送)하기 위해 작동된다.
그런데 모터가 많은 양을 압송하면 모터에 큰 전류가 흐르고, 모터가 적은 양을 압송하면 모터에 작은 전류가 흐른다. 이는 모터에 큰 전류가 흐르면 모터가 많은 양을 압송하고 있고, 모터에 작은 전류가 흐르면 모터가 적은 양을 압송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다시 모터에 소정 전류나 소정 범위 내의 전류가 흐르면 모터가 소정 양이나 소정 범위 내의 양을 압송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이에 기초하여 펌프부(20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펌프부(200)의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소정 값이나 소정 범위 내의 값이 되도록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커지면 모터로 인가되는 전압을 낮추고,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이 낮아지면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높인다. 이를 통해 제어부는 펌프부(200)가 미리 정해진 양의 냉수를 유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파워만 펌프부(200)의 모터에 제공함으로써 (거의) 일정한 유량의 냉수를 유로로 공급할 수 있다. 참고로, 제어에 필요한 전류값은 실험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도관 내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유량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펌프부(2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냉수 저장부(170)에서 유로로 냉수를 공급하는 도관(C3) 중에 유량 센서가 설치되면, 냉수 생성부(160)의 유로로 공급되는 냉수의 유량을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유량 센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펌프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유량 센서가 감지한 유량이 커지면 펌프부(200)의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낮추고, 유량 센서가 감지한 유량이 작아지면 펌프부(200)의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제어는 유량 센서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어부에 의한 제어는 얼음 정수기 이외의 얼음 생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에서 얼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얼음 생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얼음의 생성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먼저 원수가 필터부(110)로 공급된다. 원수는 필터부(110)에서 정수되어 정수수가 된다. 정수수는 트레이(121, 저장부)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때 트레이(121)는 제1 위치에 위치한다. 미리 정해진 정량의 정수수가 트레이(121)로 공급되면 냉각부(130)의 핑거(131)는 트레이(121)의 정수수에 침지된 채로 트레이(121)의 정수수를 냉각시킨다. 이의 결과로 트레이(121)의 정수수는 냉각되어 얼음이 되면서 핑거(131)에 매달린다(도 3 참조). 이와 같은 얼음을 후술할 얼음 저장부(140)로 공급하기 위해 얼음을 탈빙시킬 필요가 있다. 즉, 트레이(121)를 제2 위치로 회전시키기 전에 얼음을 핑거(131)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얼음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는 얼음에 열을 가하여 얼음을 녹임으로써 핑거(131)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킬 수 있다. 가열부는 얼음에 열을 가하기 위해 고온의 가스나 히터를 활용할 수 있다. 또는 가열부는 0 ℃보다 높은 온도의 물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가열부는 필터부(110)에 의해 생성된 정수수나, 후술할 온수 생성부(180)에 의해 생성된 온수를 탈빙에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열부는 얼음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가 얼음에 인접하게 설치되면 가열부는 직접적으로 얼음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또는 가열부는 냉각부(130)의 베이스(132)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으면 가열부의 열이 베이스(132)에서 핑거(131)로, 그리고 핑거(131)에서 얼음으로 전달되어 핑거(131)에 매달린 얼음을 녹일 수 있다. 또는 가열부 없이 얼음을 녹여 탈빙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냉각부(130)의 작동이 멈춘 다음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얼음은 자연적으로 녹아 탈빙될 것이다. 위와 같은 탈빙 작동들에 의해 얼음이 탈빙되면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트레이(12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한다. 이와 같은 회전으로 트레이(121) 내의 얼음과 잔수(殘水)는 얼음 저장부 (140)로 공급된다.
추가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듯이 얼음 저장부(140), 보조 탱크부(150), 및 온수 생성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얼음 저장부(140)를 살펴본다. 얼음 저장부(140)는 냉각부(130)에 의해 저장부(120)에서 생성된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얼음 저장부(140)는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기 위해 얼음 이송부(191)를 구비한다. 얼음 이송부(19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스크루(screw)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얼음 저장부(140)는 모터 (192)에 의한 얼음 이송부(191)의 회전에 따라 얼음을 배출문(193)까지 이송시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 탱크부(150)를 살펴본다. 보조 탱크부(150)는 얼음 저장부 (140)의 정수수를 집수하여 배출한다. 얼음 저장부(140)는 저장부(120)로부터 얼음과 함께 잔수(殘水, 결국 정수수)도 공급받는다. 그리고 얼음 저장부(140)에는 해빙 (解氷)으로 인한 정수수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얼음 저장부(140)의 정수수는 보조 탱크부(150)에 집수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또는 얼음 저장부(140)의 정수수는 보조 탱크부(150)에 집수된 다음에 저장부(120)로 회수될 수 있다(도 1의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 참조). 이와 같이 회수되면 정수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참고로, 보조 탱크부(150)는 얼음 저장부(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배출구(122)로부터 배출된 정수수도 보조 탱크부 (150)에 집수된 다음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탱크부(150)에 마련된 저수위 센서를 그대로 활용하여 배출구(122)에서 배출된 정수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온수 생성부(180)를 살펴본다. 온수 생성부(180)는 필터부(110)에서 정수수를 공급받은 다음에 이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다. 온수 생성부(180)는 필터부(110)에서 공급받은 정수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는 순간온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순간온수 모듈은 직수식 정수기(정수수를 저장하는 탱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 정수기)에 적합하다.
즉, 순간온수 모듈은 필요할 때마다 필터부(110)로부터 정수수를 공급받은 다음에 이를 단시간 동안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순간온수 모듈이 구비되면 온수가 저장되는 온수 저장부가 불필요해진다. 참고로, 필터부(110)의 정수수는 선택적으로 저장부(120), 냉수 생성부(160) 및 온수 생성부(18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관 중에 4방 밸브가 구비되거나, 또는 도관마다 밸브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110: 필터부 120: 저장부
121: 트레이 122: 배출구
130: 냉각부 131: 핑거
132: 베이스 140: 얼음 저장부
150: 보조 탱크부 160: 냉수 생성부
170: 냉수 저장부 180: 온수 생성부
200: 펌프부

Claims (10)

  1.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수를 생성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로부터 얼음 생성을 위한 정수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정수수를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 인접하게 마련된 유로를 따라 상기 필터부에 의해 생성된 정수수를 흘려보내 상기 정수수를 냉각시키는 냉수 생성부;
    상기 냉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저장부;
    상기 냉수 저장부의 상기 냉수를 상기 냉수 생성부의 상기 유로로 공급하는 펌프부; 및
    상기 펌프부를 제어하여 상기 냉수 저장부의 상기 냉수가 소정 유량이나 소정 범위 내의 유량으로 상기 냉수 생성부의 상기 유로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부에 포함된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값이 소정 값이나 소정 범위 내의 값이 되도록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값이 커지면 상기 전압을 낮추고 상기 전류값이 낮아지면 상기 전압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수 저장부에서 상기 유로로 상기 냉수를 공급하는 도관 중에 설치되어 상기 도관 내의 상기 냉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감지부가 감지한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량 감지부가 감지한 유량이 커지면 상기 펌프부의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낮추고, 상기 유량 감지부가 감지한 유량이 작아지면 상기 펌프부의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수 저장부의 상기 냉수가 소정 온도 이상이면, 상기 냉수 저장부의 상기 냉수가 상기 냉수 생성부의 상기 유로로 공급되도록 상기 펌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정수수를 저장하는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트레이의 정수수에 침지되어 냉매를 통해 상기 얼음을 생성하는 핑거와, 상기 핑거의 상측에서 상기 핑거에 연결되어 상기 핑거로 상기 냉매를 안내하는 U 자 형상의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는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9.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 내의 상기 물을 냉각시켜 상기 얼음을 생성하는 냉각부;
    상기 냉각부에 인접하게 마련된 유로를 따라 상기 물을 흘려보내 상기 물을 냉각시키는 냉수 생성부;
    상기 냉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저장부;
    상기 냉수 저장부의 상기 냉수를 상기 냉수 생성부의 상기 유로로 공급하는 펌프부; 및
    상기 펌프부를 제어하여 상기 냉수 저장부의 상기 냉수가 소정 유량이나 소정 범위 내의 유량으로 상기 냉수 생성부의 상기 유로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부에 포함된 모터에서 측정된 전류값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생성 장치.
KR1020140037814A 2014-03-31 2014-03-31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KR10226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814A KR102267108B1 (ko) 2014-03-31 2014-03-31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814A KR102267108B1 (ko) 2014-03-31 2014-03-31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022A Division KR20210029168A (ko) 2021-02-18 2021-02-18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611A true KR20150113611A (ko) 2015-10-08
KR102267108B1 KR102267108B1 (ko) 2021-06-22

Family

ID=5434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814A KR102267108B1 (ko) 2014-03-31 2014-03-31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108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889A (ko) * 1996-10-30 1998-07-25 배순훈 냉장고용 자동제빙기의 급수기 제어장치
JP2002098453A (ja) * 2000-09-22 2002-04-05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の異常対処方法
JP2002286336A (ja) * 2001-03-28 2002-10-03 Sanyo Electric Co Ltd セルタイプ製氷機
KR100389417B1 (ko) * 2000-12-30 2003-06-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자동제빙기의 제어장치
KR20040050285A (ko) * 2002-12-10 2004-06-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JP2004293824A (ja) * 2003-03-25 2004-10-21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KR20080006427U (ko) * 2007-06-18 2008-12-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KR101164158B1 (ko) * 2009-08-13 2012-07-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정수기
KR20120137745A (ko) * 2011-06-13 2012-12-24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침지형 제빙유닛과 이를 이용한 얼음 제조방법
KR20130114930A (ko) * 2012-04-10 2013-10-21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트레이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정수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889A (ko) * 1996-10-30 1998-07-25 배순훈 냉장고용 자동제빙기의 급수기 제어장치
JP2002098453A (ja) * 2000-09-22 2002-04-05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の異常対処方法
KR100389417B1 (ko) * 2000-12-30 2003-06-2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자동제빙기의 제어장치
JP2002286336A (ja) * 2001-03-28 2002-10-03 Sanyo Electric Co Ltd セルタイプ製氷機
KR20040050285A (ko) * 2002-12-10 2004-06-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JP2004293824A (ja) * 2003-03-25 2004-10-21 Hoshizaki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
KR20080006427U (ko) * 2007-06-18 2008-12-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KR101164158B1 (ko) * 2009-08-13 2012-07-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얼음정수기
KR20120137745A (ko) * 2011-06-13 2012-12-24 코리아나까조 주식회사 침지형 제빙유닛과 이를 이용한 얼음 제조방법
KR20130114930A (ko) * 2012-04-10 2013-10-21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용 트레이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108B1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00B1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US10464802B2 (en) Cold water generating apparatus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KR100795293B1 (ko) 알칼리 얼음 제조 기능을 구비한 냉온 얼음 정수기
TW200521380A (en) Steam generating apparatus and heating cooker therewith
KR20080003217A (ko) 과냉각 장치
KR20110056025A (ko) 제빙 장치
KR101110673B1 (ko) 냉온 정수기
KR100995151B1 (ko) 투명얼음 제빙장치
KR20150015562A (ko) 얼음 정수기
KR20120105662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443984B1 (ko) 얼음 정수기
KR20150113611A (ko)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KR20140144575A (ko)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102172642B1 (ko) 얼음 정수기
KR20210029168A (ko)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KR20150114162A (ko)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KR20090099908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232975B1 (ko) 얼음 정수기, 이의 제어 방법, 및 얼음 생성 장치
KR102162772B1 (ko) 얼음 정수기
KR102243208B1 (ko)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KR102170139B1 (ko) 제빙기 및 제빙방법
KR101948001B1 (ko) 얼음 정수기
KR102262388B1 (ko) 얼음 정수기 및 저장 유닛
KR20130036414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37147B1 (ko) 제빙기 살균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