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562A - 얼음 정수기 - Google Patents
얼음 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5562A KR20150015562A KR1020130090004A KR20130090004A KR20150015562A KR 20150015562 A KR20150015562 A KR 20150015562A KR 1020130090004 A KR1020130090004 A KR 1020130090004A KR 20130090004 A KR20130090004 A KR 20130090004A KR 20150015562 A KR20150015562 A KR 201500155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water
- purified water
- generating unit
- genera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정수를 생성하는 정수 생성부, 및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를 포함하며, 얼음 생성부는 정수 생성부에서 탈빙수로서 공급한 정수를 통해 얼음을 녹여서 탈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정수를 생성하는 정수 생성부,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 및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생성부를 포함하며, 얼음 생성부는 온수 생성부에서 탈빙수로서 공급한 온수를 통해 얼음을 녹여서 탈빙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소음이나 과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이 좋으며 탈빙을 위한 열원을 별도로 갖출 필요가 없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얼음을 제공하기 위해 얼음 정수기는 내부에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 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해서 얼음 정수기는 제빙 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을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를 구비하여야 한다. 즉,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얼음 정수기는 제빙 장치로 얼음을 만든 다음에 이를 얼음 저장고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얼음을 요청하면 얼음 저장고 내의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제빙 장치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얼음 저장고로 공급하려면 제빙 장치로부터 얼음을 탈빙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가스나 히터를 이용해 왔다. 즉, 탈빙을 위해 제빙 장치로 뜨거운 가스를 공급하거나 또는 제빙 장치에 히터를 설치한 다음에 이를 통해 제빙 장치로 열을 공급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가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소음으로 인한 문제가 있고, 히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과열이나 내구성으로 인한 문제가 있다. 또한 가스나 히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탈빙을 위한 열원(예를 들어, 히터나 가스를 가열하는 설비)을 별도로 갖춰야 한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소음이나 과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이 좋으며 탈빙을 위한 열원을 별도로 갖출 필요가 없는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정수를 생성하는 정수 생성부, 및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를 포함하며, 얼음 생성부는 정수 생성부에서 탈빙수로서 공급한 정수를 통해 얼음을 녹여서 탈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정수를 생성하는 정수 생성부,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 및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생성부를 포함하며, 얼음 생성부는 온수 생성부에서 탈빙수로서 공급한 온수를 통해 얼음을 녹여서 탈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탈빙을 위한 열원으로서 얼음 정수기에 원래 구비되는 정수 생성부나 온수 생성부를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탈빙을 위한 열원을 별도로 갖출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정수나 온수의 흐름으로 얼음을 탈빙시키기 때문에 가스가 배출될 때처럼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매우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히터와 같은 발열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과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도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생성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4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유로부와 얼음 생성부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유로부와 얼음 생성부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에서 얼음과 냉수의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얼음 생성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도 4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유로부와 얼음 생성부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얼음 정수기의 유로부와 얼음 생성부를 아래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얼음 정수기에서 얼음과 냉수의 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정수 생성부(110), 얼음 생성부(120), 얼음 저장부(130), 냉수 생성부(140) 및 냉수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우선 이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정수 생성부(110)에 대해 살펴본다. 정수 생성부(110)는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정수 생성부(110)는 필요에 따라 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정수 생성부(110)는 선카본 필터, 멤브레인 필터, 후카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정수 생성부(110)는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전기 탈이온 방식은 EDI(Electro Deionization), CEDI (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와 같은 방식을 말한다.
다음으로 얼음 생성부(120)에 대해 살펴본다. 얼음 생성부(120)는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냉각을 위해 얼음 생성부(120)는 냉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냉매를 순차적으로 압축, 응축, 팽창시킨 다음에 정수와 열교환을 시켜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얼음 생성부(120)는 얼음의 생성을 위해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정수 생성부(110)나 후술할 얼음 저장부(130)로부터 (또는 얼음 저장부의 보조 탱크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얼음 생성부(120)는 얼음 저장부(13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것을 우선시할 수 있다. 즉, 얼음 생성부(120)는 얼음 저장부(130)로부터 일차적으로 정수를 공급받고, 이차적으로 정수 생성부(11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례로, 얼음 저장부(130)에 200ml의 정수가 저장되어 있다면, 얼음 생성부(120)는 250ml의 정수를 공급받기 위해, 얼음 저장부(130)로부터 200ml의 정수를, 그리고 정수 생성부(110)로부터 50ml의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얼음 생성부(120)가 이와 같이 정수를 공급받으면 얼음의 생성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얼음 저장부(130)의 정수가 정수 생성부(110)의 정수보다 온도가 낮기 때문이다. 다만, 얼음 생성부(120)가 얼음 저장부(130)로부터 먼저 정수를 공급받을 필요는 없다. 즉, 얼음 생성부(120)가 정수 생성부(110)로부터 50ml의 정수를 먼저 공급받아도 무방하다. 참고로, 얼음 저장부(130)의 정수도 결국은 정수 생성부(110)가 생성한 정수이다.
한편, 얼음 생성부(120)는 생성된 얼음을 탈빙(脫氷)시키기 위해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정수 생성부(110)에서 탈빙수(脫氷水)로서 공급한 정수를 이용할 수 있다. 정수 생성부(110)에서 원수를 정수하면 정수가 생성된다. 따라서 정수는 원수와 동일하게 통상 0℃보다 높은 온도를 가진다. (별도로 가열 또는 냉각을 하지 않으면 정수는 상온에 가까운 온도를 가질 것이다.) 이의 결과로 정수는 얼음을 녹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얼음 생성부(120)는 이에 기초하여 얼음을 탈빙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 얼음 생성부(120)는 얼음을 녹이기 위해 얼음을 정수와 열교환 시킨다(도 1의 HE 참조). 이와 같은 열교환으로 얼음은 부분적으로 녹으면서 얼음 생성부(120)로부터 탈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수 생성부(110)는 탈빙이 필요할 때 얼음 생성부(120)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탈빙수는 이와 같이 탈빙을 위해 사용되는 물을 지칭한다.
다음으로 얼음 저장부(130)에 대해 살펴본다. 얼음 저장부(130)는 얼음 생성부(120)로부터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얼음 저장부(130)는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기 위해 얼음 이송부(160)를 구비한다. 얼음 이송부(160)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스크루(screw)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얼음 저장부(130)는 모터(161)에 의한 얼음 이송부(160)의 회전에 따라 얼음을 배출구(162)까지 이송시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얼음 저장부(130)는 얼음과 함께 정수도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얼음 저장부(130)는 얼음 생성부(120)로부터 얼음과 함께 공급받은 잔수(殘水)를 저장한다. 또한 얼음 저장부(130)는 해빙(解氷)으로 인한 정수를 저장한다. (얼음은 얼음 저장부에서 자연스럽게 녹는다.) 이와 같은 정수의 저장을 위해 얼음 저장부(130)는 보조 탱크(131)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보조 탱크(131)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얼음 저장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보조 탱크(1311)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얼음 저장부(130)와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얼음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수는 정수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정수보다 온도가 낮다. 얼음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수는 얼음 생성부(120)에 의해 냉각된 정수(즉, 잔수이거나 해빙으로 인한 정수)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냉수 생성부(140)에 대해 살펴본다. 냉수 생성부(14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한다. 정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열은 후술할 바와 같이 얼음 생성부(12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냉수 생성부(140)는 냉수를 생성하기 위해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정수 생성부(110)나 후술할 냉수 저장부(15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냉수 생성부(140)는 냉수 저장부(15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것을 우선시할 수 있다.
즉, 냉수 생성부(140)는 앞서 살펴본 얼음 생성부(120)와 유사하게 냉수 저장부(150)로부터 일차적으로 정수(냉수)를 공급받고 이차적으로 정수 생성부(110)로부터 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냉수 생성부(140)가 이와 같이 정수를 공급받으면 냉수의 생성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냉수 저장부의 냉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냉수 저장부(150)의 정수(즉, 냉수)가 정수 생성부(110)의 정수보다 온도가 낮기 때문이다. 참고로, 냉수 저장부(150)의 냉수도 결국은 정수 생성부(110)가 생성한 정수이다.
마지막으로 냉수 저장부(150)에 대해 살펴본다. 냉수 저장부(150)는 냉수 생성부(140)로부터 냉수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이때 냉수 저장부(150)는 얼음 저장부(130)와 구별되게 냉수를 저장한다. 즉,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얼음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얼음(잔수를 포함한다)은 얼음 저장부(130)로 공급되고 냉수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냉수는 냉수 저장부(150)로 공급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얼음 생성부(120)에 대해 상술한다. 얼음 생성부(120)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정수를 저장하는 트레이(121), 및 트레이(121)의 정수에 침지되어 얼음을 생성시키는 핑거(122)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얼음 생성부(120)는 핑거(122)에 흐르는 냉매를 통해 정수를 냉각시킨다. 즉, 핑거(122)가 트레이(121)의 정수에 침지되면, 냉매의 증발로 인해 정수가 냉각되면서 핑거(122)에 얼음이 매달린다. 그리고 얼음 생성부(120)는 핑거(122)로 냉매를 안내하기 위해 핑거(122)의 상측에서 핑거(122)에 연결되는 베이스(123, 도 4와 도 5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냉매는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을 순차적으로 거치며 계속 순환된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유로부에 대해 상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얼음 생성부(12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탈빙수를 통한 해빙으로 핑거(122)에 매달린 얼음을 탈빙시킨다. 이를 위해 탈빙수는 핑거(122)에 인접하게 흐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핑거(122)에 인접하게 탈빙수를 흘려 보내기 위한 구성이 바로 유로부(170)이다. 즉, 유로부(170)는 핑거(122)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탈빙수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유로부(170)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부(170)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는 유로부는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인접하게'는 열교환을 통해 탈빙수로 얼음을 녹일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거리를 의미한다. 이는 탈빙수의 온도나 유량, 또는 탈빙에 소요되는 시간과 같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베이스(123)는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핑거(122)의 상측에서 U 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유로부(170)는 베이스(123)의 사이에서 베이스(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부(170)가 마련되면 탈빙수가 보다 효율적으로 얼음과 열교환을 할 수 있다.
한편, 얼음 생성부(12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냉매를 통해 얼음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얼음 생성부(120)는 매우 낮은 온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본 실시예에서 냉수 생성부(140)는 이와 같은 얼음 생성부(120)의 낮은 온도를 통해 냉수를 생성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냉수 생성부(140)는 정수를 얼음 생성부(120)에 인접하게 흘려 보내면서 얼음 생성부(120)의 냉매를 통해 정수를 냉각시킨다. 이를 위해 냉수 생성부(140)는 전술한 유로부(170)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유로부(170)는 냉매가 흐르는 핑거(122), 또는 핑거(122)와 베이스(123)에 인접하게 설치되므로, 정수가 유로부(170)를 따라 흐르면 냉매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결국, 유로부(170)는 탈빙이 필요할 때, 또는 냉수가 필요할 때 정수가 흐르는 유로로서 함께 활용될 수 있다. 참고로, 이와 같이 유로부(170)를 함께 활용할 경우, 도 1에서 탈빙을 위한 정수의 흐름과 냉수 생성을 위한 정수의 흐름이 동일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르게 탈빙을 위한 유로와 냉수 생성을 위한 유로를 별도로 마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트레이(121)의 회전에 대해 상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 생성부(120)가 생성한 얼음은 얼음 저장부(130)로 공급되고, 냉수 생성부(140)가 생성한 냉수는 냉수 저장부(15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공급을 위해 트레이(121)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1 위치(A, 저장 위치)와 얼음이 배출되는 제2 위치(B, 배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A)는 트레이(121)로 정수가 공급되고 얼음이 생성되는 위치이다. 그리고 제2 위치는 트레이(121)의 저장물(얼음과 잔수)이 트레이(121)의 외부로 배출되는 위치이다. 즉, 트레이(121)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면, 트레이(121)의 저장물은 트레이(12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냉수 생성부(140,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부호 170의 유로부가 냉수 생성부로서 역할한다)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냉수 저장부(150)의 상측에 위치하면 냉수 생성부(140)로부터 냉수를 그대로 낙하시키는 것으로 냉수를 냉수 저장부(150)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냉수 생성부(140)의 하측에 트레이(121)가 위치하면 냉수가 냉수 저장부(150)로 공급되기 어렵다. 따라서 냉수가 냉수 생성부(140)로부터 배출될 때 트레이(121)는 제3 위치(C)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유로부(170)의 말단을 트레이(121)의 외측까지 연장시킬 수도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탈빙을 위한 열원으로서 정수 생성부를 그대로 활용한다. (그리고 후술할 실시예 2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탈빙을 위한 열원으로서 온수 생성부를 그대로 활용한다.) 따라서 탈빙을 위한 열원을 별도로 갖출 필요가 없다. 또한 정수(또는 후술할 온수)의 흐름으로 얼음을 탈빙시키기 때문에 가스가 배출될 때처럼 소음이 발생할 여지가 적다. 더욱이 히터와 같은 발열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과열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여지도 적다. 뿐만 아니라, 유로부는 단순한 유로이므로 내구성도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얼음 정수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온수 생성부(180)를 이용하여 탈빙수로서 얼음 생성부(120)로 온수를 제공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온수 생성부(180)를 통해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 다음에,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얼음 생성부(120)에 제공한다. 온수는 정수에 비해 온도가 높기 때문에 얼음 생성부(120)로 온수를 제공하면 보다 빠르게 핑거(122)로부터 얼음을 탈빙시킬 수 있다. 이때 탈빙을 위한 온수는 탈빙을 위한 정수와 동일하게 유로부(170)를 따라 흐르면서 핑거(122)의 얼음을 부분적으로 녹일 수 있다.
한편, 온수 생성부(180)는 정수를 공급받아 순간적으로 가열하는 순간온수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순간온수 모듈은 일반적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순간온수 모듈을 사용하면 온수를 생성하기 위해 별도로 온수 탱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즉, 순간온수 모듈을 사용하면 온수 탱크에 정수를 저장한 다음에 이를 계속적으로 가열할 필요가 없고, 필요할 때마다 정수를 공급받아 가열하면 된다. 또한 순간온수 모듈을 사용하면 외부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 온수를 흘려 보낼 수 있기 때문에, 펌프를 별도로 설치하여 온수를 흘려 보낼 필요도 없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순간온수 모듈은 온수의 생성을 위해 복수 개의 발열 히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발열 히터를 구비하면, 복수 개의 발열 히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온수의 온도를 탈빙에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당 0,5L의 정수가 공급될 때, 제1 히터만 작동하면 45℃의 온수가 생성될 수 있고, 제2 히터만 작동하면 55℃의 온수가 생성될 수 있고, 제1 히터와 제2 히터가 함께 작동하면 80~90℃의 온수가 생성될 있도록 2개의 히터를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요한 온도에 따라 제1 히터만 작동시키거나, 제2 히터만 작동시키거나, 또는 제1 히터와 제2 히터를 함께 작동시켜 온수의 온도를 탈빙에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110: 정수 생성부 120: 얼음 생성부
121: 트레이 122: 핑거
123: 베이스 130: 얼음 저장부
131: 보조 탱크 140: 냉수 생성부
150: 냉수 저장부 160: 얼음 이송부
170: 유로부 180: 온수 생성부
121: 트레이 122: 핑거
123: 베이스 130: 얼음 저장부
131: 보조 탱크 140: 냉수 생성부
150: 냉수 저장부 160: 얼음 이송부
170: 유로부 180: 온수 생성부
Claims (13)
- 정수를 생성하는 정수 생성부, 및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정수 생성부에서 탈빙수(脫氷水)로서 공급한 정수를 통해 상기 얼음을 녹여서 탈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정수를 생성하는 정수 생성부,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 생성부, 및 상기 정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온수 생성부에서 탈빙수(脫氷水)로서 공급한 온수를 통해 상기 얼음을 녹여서 탈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의 정수에 침지되어 냉매를 통해 상기 얼음을 생성시키는 핑거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핑거에 인접하게 흐르는 탈빙수를 통해 상기 핑거에 생성된 얼음을 탈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핑거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탈빙수를 안내하는 유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핑거의 상측에서 상기 핑거에 연결되어 상기 핑거로 상기 냉매를 안내하는 U 자 형상의 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베이스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수 생성부는 상기 유로부를 따라 상기 정수를 흘려 보내면서 상기 냉매를 통해 상기 정수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온수 생성부는 상기 정수를 공급받아 순간적으로 가열하는 순간온수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순간온수 모듈은 복수 개의 발열 히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온수의 온도를 탈빙에 적합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부로부터 상기 얼음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얼음의 생성을 위해 상기 정수 생성부나 상기 얼음 저장부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얼음 생성부는 상기 얼음의 생성을 위해 일차적으로 상기 얼음 저장부로부터 정수를 공급받고 이차적으로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냉수 생성부로부터 상기 냉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냉수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수 생성부는 상기 냉수의 생성을 위해 상기 정수 생성부나 상기 냉수 저장부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냉수 생성부는 상기 냉수의 생성을 위해 일차적으로 상기 냉수 저장부로부터 정수를 공급받고 이차적으로 상기 정수 생성부로부터 정수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0004A KR20150015562A (ko) | 2013-07-30 | 2013-07-30 | 얼음 정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0004A KR20150015562A (ko) | 2013-07-30 | 2013-07-30 | 얼음 정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562A true KR20150015562A (ko) | 2015-02-11 |
Family
ID=5257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0004A KR20150015562A (ko) | 2013-07-30 | 2013-07-30 | 얼음 정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15562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2479A (ko) * | 2015-06-02 | 2016-12-13 | 코웨이 주식회사 |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
KR20160142478A (ko) * | 2015-06-02 | 2016-12-13 | 코웨이 주식회사 |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
KR20160142445A (ko) * | 2015-06-02 | 2016-12-13 | 코웨이 주식회사 |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
KR20180079961A (ko) * | 2017-01-03 | 2018-07-11 | 코웨이 주식회사 | 침지부재에 형성된 살얼음 제거 방법 |
CN109114810A (zh) * | 2018-08-07 | 2019-01-0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热水机除冰装置和方法 |
KR20190106277A (ko) * | 2018-03-08 | 2019-09-18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정수기 |
WO2022131631A1 (ko) * | 2020-12-17 | 2022-06-23 | 코웨이 주식회사 |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
-
2013
- 2013-07-30 KR KR1020130090004A patent/KR2015001556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2479A (ko) * | 2015-06-02 | 2016-12-13 | 코웨이 주식회사 |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
KR20160142478A (ko) * | 2015-06-02 | 2016-12-13 | 코웨이 주식회사 |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
KR20160142445A (ko) * | 2015-06-02 | 2016-12-13 | 코웨이 주식회사 |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얼음 정수기 |
KR20180079961A (ko) * | 2017-01-03 | 2018-07-11 | 코웨이 주식회사 | 침지부재에 형성된 살얼음 제거 방법 |
KR20190106277A (ko) * | 2018-03-08 | 2019-09-18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정수기 |
CN109114810A (zh) * | 2018-08-07 | 2019-01-0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热水机除冰装置和方法 |
WO2022131631A1 (ko) * | 2020-12-17 | 2022-06-23 | 코웨이 주식회사 | 유수식 증발기, 이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및 정수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15562A (ko) | 얼음 정수기 | |
KR100982700B1 (ko) |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 |
CN107917564B (zh) | 冷水产生设备和具有该设备的净水器 | |
KR20110017148A (ko) | 얼음정수기 | |
JP2008528916A (ja) | パルス電熱および熱格納氷分離装置ならびに方法 | |
KR20110056025A (ko) | 제빙 장치 | |
KR20140006488A (ko) | 제빙용 증발기 | |
KR102339583B1 (ko) |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
KR101443984B1 (ko) | 얼음 정수기 | |
KR102186818B1 (ko) | 제빙기 | |
KR20120105662A (ko) |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 |
KR20130095974A (ko) | 히터가 구비된 제빙기용 냉매파이프 | |
KR20100110663A (ko) | 정수 장치 | |
KR102475151B1 (ko) | 제빙기 | |
KR20110069248A (ko) | 얼음 정수기 | |
KR102172642B1 (ko) | 얼음 정수기 | |
KR101948000B1 (ko) | 얼음 정수기 | |
KR101647651B1 (ko) | 제빙기 | |
KR20110054759A (ko) | 제빙기 | |
KR101948001B1 (ko) | 얼음 정수기 | |
KR102262828B1 (ko) | 이너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정수기 | |
KR102603491B1 (ko) | 제빙기용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 |
KR102262388B1 (ko) | 얼음 정수기 및 저장 유닛 | |
KR102162772B1 (ko) | 얼음 정수기 | |
KR102243208B1 (ko) | 얼음 정수기 및 얼음 생성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