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608A -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 - Google Patents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608A
KR20150113608A KR1020140037811A KR20140037811A KR20150113608A KR 20150113608 A KR20150113608 A KR 20150113608A KR 1020140037811 A KR1020140037811 A KR 1020140037811A KR 20140037811 A KR20140037811 A KR 20140037811A KR 20150113608 A KR20150113608 A KR 2015011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nsfer unit
protrusion
water purifi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290B1 (ko
Inventor
박정철
노용연
김도한
박시준
송민섭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29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소음 방지 및 얼음 이송 기능을 개선한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201)은 제빙 장치(100)로부터 공급 받은 얼음(I)을 이송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회전 축(210), 회전 축(210)을 나선형으로 감싸며 회전 축(210)에 부착된 스크루 날개(230), 및 회전 축(210)의 표면을 기준으로, 스크루 날개(230)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회전 축(210)의 표면에서 돌출한 형상을 가지는 돌기(2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ICE TRANSFER UNIT AND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소음 방지 및 얼음 이송 기능을 개선한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얼음을 제공하기 위해 얼음 정수기는 내부에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 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해서 얼음 정수기는 제빙 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얼음을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얼음 저장고를 구비해야 한다.
얼음 정수기는, 제빙 장치로 얼음을 만든 다음에 이를 얼음 저장고에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얼음을 요청하면 얼음 저장고 내의 얼음을 얼음 배출구로 이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조를 가진다.
종래의 얼음 정수기에서는 얼음을 만들고 이송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얼음이 국소 지점에 몰려서 이송되는 문제가 있었다. 얼음이 몰려서 이송되면, 얼음 배출구에서 얼음이 배출될 시 한번에 너무 많은 양의 얼음이 배출되므로 문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얼음 이송 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이송되는 얼음이 국소 지점에 몰리지 않고 가지런하게 배열된 상태로 이송되게 할 수 있는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은 제빙 장치로부터 공급 받은 얼음을 이송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회전 축, 회전 축을 나선형으로 감싸며 회전 축에 부착된 스크루 날개, 및 회전 축의 표면을 기준으로, 스크루 날개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회전 축의 표면에서 돌출한 형상을 가지는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얼음 이송 유닛을 이용하여 얼음을 이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는 회전 축, 스크루 날개, 및 회전 축의 표면을 기준으로, 스크루 날개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회전 축의 표면에서 돌출한 형상을 가지는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얼음 정수기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이송되는 얼음이 국소 지점에 몰리지 않고 가지런히 배열된 상태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을 이용하여 얼음을 이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201)을 간략히 설명한다. 얼음 이송 유닛(201)은 회전축(210), 스크루 날개(230), 및 돌기(250)를 포함한다.
회전 축(210)은 얼음을 이송할 때 회전하는 축이다. 회전 축(210)은 모터 등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축(210)에는 스크루 날개(230)가 회전 축(210)을 나선형으로 감싸며 부착된다. 스크루 날개(230)는 휘어진 판형상의 부재로서, 곡면을 이루며 나선형으로 회전 축(210)에 부착된다. 스크루 날개(230)의 일측이 회전 축(210)을 나선형으로 따라가며 부착된다. 회전 축(210)이 회전 시, 회전 축(210)에 부착된 스크루 날개(230)도 회전 축(210)을 따라서 회전한다.
돌기(250)는 회전 축(210)의 표면에서 돌출한 형상을 가진다. 이때, 돌기(250)는 회전 축(210)의 표면을 기준으로 스크루 날개(23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진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 축(210)의 표면을 기준으로 측정한 돌기(250)의 높이를 h1, 같은 기준으로 측정한 스크루 날개(230)의 높이를 h2라고 하면, h2 보다 h1이 작은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얼음 이송 유닛이 얼음을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을 이용하여 얼음을 이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빙 장치(100)는 냉각부(130) 및 저장부(120)를 포함한다. 냉각부(130)는 핑거(131)와 핑거(131)가 장착된 베이스(133)를 포함하고, 저장부(120)는 트레이(121) 및 가이드(123)를 포함한다. 제빙 장치(100)는 냉각부(130) 및 저장부(120)를 이용하여 얼음(I)을 만들고 얼음 이송 장치(200)로 얼음(I)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얼음 이송 장치(200)로 공급된 얼음(I)은 얼음 저장부(140)의 내부로 떨어진다.
얼음 이송 장치(200)는 얼음 저장부(140), 얼음 이송 유닛(201), 모터(151), 얼음 배출구(161)를 포함한다. 얼음 이송 장치(200)는 제빙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얼음(I)을 얼음 배출구(161)를 향하여 E방향으로 이송한다. 얼음 이송 유닛(201)은 바로 이 과정에서 얼음(I)을 E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E방향으로 이송되어 얼음 배출구(161)에 도달한 얼음(I)은 정수기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얼음 정수기 내에서 정수된 정수수는 트레이(121)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때 트레이(121)는 제1 위치(A)에 위치한다. 미리 정해진 정량의 정수수가 트레이(121)로 공급되면 냉각부(130)의 핑거(131)는 트레이(121)의 정수수에 침지된 채로 트레이(121)의 정수수를 냉각시킨다. 이 결과로 트레이(121)의 정수수는 냉각되어 얼음(I)이 되면서 핑거(131)에 매달린다.
이 때, 얼음(I)에 열을 가하는 가열부(미도시)가 얼음(I)에 열을 가하여 얼음(I)을 일부 녹인다. 그 결과 얼음(I)은 핑거(1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가열부는 얼음(I)에 열을 가하기 위해 고온의 가스나 히터를 활용할 수 있다. 또는 가열부는 0℃보다 높은 온도의 물을 활용할 수도 있다.
얼음(I)이 핑거(131)로부터 분리된 이후, 트레이(121)가 회전하여 제2 위치(B)로 이동한다. 이렇게 트레이(121)가 회전 이동하면 트레이(121)에 담겨 있던 얼음(I)은 얼음 저장부(140)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얼음(I)이 얼음 저장부(140)의 내부를 향하여 중력에 의하여 떨어져 내려 간다.
트레이(121)의 저장물(얼음 및 잔수)을 얼음 저장부(140)로 정확히 공급하기 위해 저장부(120)는 저장물(얼음 및 잔수)을 얼음 저장부(140)로 안내하는 가이드(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100)로부터 얼음(I)을 공급받은 후, 얼음 저장부(140)는 공급받은 얼음(I)을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에게 얼음(I)을 제공하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스크루 날개(230)를 가지는 얼음 이송 유닛(201)이 회전하며 얼음(I)을 이송한다. 얼음 이송 유닛(201)의 회전에는 모터(151)가 사용될 수 있다. 얼음 이송 유닛(201)의 회전에 따라 얼음(I)은 E방향으로 이송된다. 이후 얼음 배출구(161)까지 이송된 얼음(I)은 얼음 배출구(161)를 통하여 배출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201)을 더 상세히 추가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과정 중에서, 핑거(131)로부터 분리된 얼음(I)이 제2 위치(B)로 이동하는 트레이(121)에 의해서 얼음 저장부(140)로 이동하고, 얼음 저장부(140)의 내부를 향하여 중력에 의하여 떨어져 내리는 과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201)은 돌기(250)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얼음(I)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250)가 없다면 얼음(I)은 회전 축(210)에 바로 부딪히면서 큰 소음을 내게 될 것이다. 그러나 돌기(250)가 있는 경우 얼음(I)은 돌기(250)에 먼저 부딪히고 다시 연달아 회전 축(210)에 부딪힐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충격량이 완화될 수 있다. 충격량이 완화 되면 소음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소음의 크기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얼음(I)의 형상이 파손 없이 더 잘 보존될 수도 있다.
한편, 얼음 이송 유닛(201)에서 돌기(250)는 회전 축(210)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250)는 회전 축(210)에서 서로 대응 되는 위치에서 서로 마주 보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도 1을 참조하면, 돌기(250)는 회전 축(210)의 둘레 방향(S)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돌기(250)가 회전 축의 둘레 방향(S)으로 n개 배치되는 경우, 회전 축의 둘레 방향(S)은 전체 각도가 360도 이므로, 360/n도의 등 간격으로 돌기(25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즉, n이 3인 경우 돌기(250)는 120도 간격으로 배치 되고, n이 4인 경우 돌기(250)는 9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등 간격으로 돌기(250)가 배치되는 일 예를 들었지만, 돌기(250)는 반드시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회전 축의 둘레 방향(S)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기(250)가 회전 축의 둘레 방향(S)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 얼음 이송 유닛(201)이 회전하여 돌기(250)가 회전 축의 둘레 방향(S)으로 회전하더라도, 소음 방지라는 돌기(250)의 효과는 여전히 유지 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회전 축(210)의 회전으로 얼음이 E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201)은 돌기(250)를 구비함으로 인하여, 이송되는 얼음(I)이 국소 지점에 몰리지 않고 가지런하게 배열된 상태로 이송되게 할 수 있다.
돌기(250)는 도 1에서 도시되는 회전 축의 길이 방향(L)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돌기(250)를 마디로 하여 얼음들(I)이 양 갈래로 가지런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송되는 얼음(I)은 국소 지점에 몰리지 않고 가지런하게 배열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돌기(250)는 회전 축(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단부(251)가 둥근 모양일 수 있다. 여기서 둥근 형상이 반드시 원형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돌기(250)의 단부(251)는 곡면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모양의 둥근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기(250)의 단부(251)가 둥근 형상을 가지게 되면 얼음이 돌기(250)에 부딪혔을 때, 얼음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이 현저히 방지될 수 있다. .
또, 돌기(250)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는 외부 힘에 의해 변형을 일으킨 물체가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을 가지는 물체일 수 있다.
돌기(250)가 탄성체를 포함하는 경우 돌기(250)에 부딪히는 얼음의 충격은 더욱 완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은 파손 없이 더 효과적으로 보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201)을 포함할 수 있다.
얼음 정수기는 얼음 이송 유닛(201)을 구비하는 얼음 이송 장치(200)를 이용하여 제빙 장치(100)로부터 공급된 얼음(I)을 얼음 배출구(161)를 향하여 이송할 수 있다. 얼음 이송 유닛(201)은 이 과정에서 얼음(I)을 얼음 배출구(161) 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얼음 배출구(161)에 도달한 얼음(I)은 정수기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얼음 이송 유닛(201)을 이용하여 얼음을 이송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 2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은 전술한 실시예 1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과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달리 관통홀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참고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한 (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301)에서, 돌기(350)는 관통홀(35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353)은 돌기(350)의 표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53)은 돌기(350)의 일측 표면과 타측 표면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도 5에서는 돌기(350)의 표면 상에 관통홀(353)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기(350)에 관통홀(353)이 형성되는 경우, 얼음 이송 유닛(301)의 무게는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얼음 이송 유닛(301)의 경량화에 도움이 된다.
한편, 관통홀(353)은 도 1에서 도시된 회전 축의 둘레 방향(S)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관통홀(353)의 입구와 출구를 잇는 선이 회전 축의 둘레 방향(S)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관통홀(353)이 회전 축의 둘레 방향(S)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 돌기(350)의 존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얼음 이송 유닛(301)의 회전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100: 제빙 장치
120: 저장부
121: 트레이
123: 가이드
130: 냉각부
131: 핑거
133: 베이스
140: 얼음 저장부
151: 모터
161: 얼음 배출구
200: 얼음 이송 장치
201: 얼음 이송 유닛
210: 회전 축
230: 스크루 날개
250, 350: 돌기
353: 관통홀
I: 얼음
L: 회전 축의 길이 방향
S: 회전 축의 둘레 방향

Claims (9)

  1. 제빙 장치(100)로부터 공급 받은 얼음(I)을 이송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회전 축(210);
    상기 회전 축(210)을 나선형으로 감싸며 상기 회전 축(210)에 부착된 스크루 날개(230); 및
    상기 회전 축(210)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스크루 날개(230)의 높이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 축(210)의 표면에서 돌출한 형상을 가지는 돌기(250)를 포함하는 얼음 이송 유닛(20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250)는 상기 회전 축(210)의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이송 유닛(201).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250)는 회전 축의 둘레 방향(S)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이송 유닛(201).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250)는 회전 축의 길이 방향(L)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이송 유닛(201).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250)는 상기 회전 축(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의 단부(251)가 둥근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이송 유닛(201).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250)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이송 유닛(201).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350)는 표면에 관통홀(3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이송 유닛(301).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353)은 회전 축의 둘레 방향(S)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이송 유닛(301).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얼음 이송 유닛을 이용하여 얼음을 이송하는 얼음 정수기.
KR1020140037811A 2014-03-31 2014-03-31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 KR102249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811A KR102249290B1 (ko) 2014-03-31 2014-03-31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811A KR102249290B1 (ko) 2014-03-31 2014-03-31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608A true KR20150113608A (ko) 2015-10-08
KR102249290B1 KR102249290B1 (ko) 2021-05-07

Family

ID=5434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811A KR102249290B1 (ko) 2014-03-31 2014-03-31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170B1 (ko) * 2021-02-15 2021-08-12 김진일 얼음이 배출되는 싱크대용 수도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583A (en) * 1988-04-25 1990-11-13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Storage bin-type ice dispenser
US5372208A (en) * 1992-08-28 1994-12-13 Gold Star Manufacturing, Inc. Tube section having slots for sampling
JP2002035721A (ja) * 2000-07-26 2002-02-05 Seiwa Denko Kk 有機廃棄物の分解処理装置
KR100820816B1 (ko) * 2006-10-24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30031A (ko) * 2011-09-16 2013-03-26 정휘동 탈빙 소음 저감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583A (en) * 1988-04-25 1990-11-13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Storage bin-type ice dispenser
US5372208A (en) * 1992-08-28 1994-12-13 Gold Star Manufacturing, Inc. Tube section having slots for sampling
JP2002035721A (ja) * 2000-07-26 2002-02-05 Seiwa Denko Kk 有機廃棄物の分解処理装置
KR100820816B1 (ko) * 2006-10-24 2008-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얼음취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30031A (ko) * 2011-09-16 2013-03-26 정휘동 탈빙 소음 저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170B1 (ko) * 2021-02-15 2021-08-12 김진일 얼음이 배출되는 싱크대용 수도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290B1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33804A1 (ja) 冷凍冷蔵庫の製氷装置
EP2584293A3 (en) Ice bucket for unlaying ice curdling
BRPI0711712A2 (pt) aparelho para preparar leite para lactente a partir de água de fórmula seca
KR20150113608A (ko) 얼음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얼음 정수기
KR101585609B1 (ko) 제빙기용 얼음취출장치
RU2017132976A (ru) Приготовление и сохранение легкосыпучего замороженного дополняющего продукта
CN103332427B (zh) 一种电池补给装置
KR101731024B1 (ko) 정수기의 얼음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US1075041A (en) Ball-slinger.
BRPI0813067B1 (pt) Sistema e método de distribuição de gelo
KR101443984B1 (ko) 얼음 정수기
US20090241583A1 (en) Auger Chiller with Sloped Unloader
KR20140144359A (ko) 얼음정수기
KR20160149571A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WO2009061065A3 (en) Apparatus for storing f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726686B (zh) 具有制冰器的冷却或冷冻装置
KR101732165B1 (ko) 아이스 트레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아이스 트레이 및 아이스 트레이 제조 방법
US20140262152A1 (en) Poultry Chiller with Multi-Blade Long-Pitch Auger
JP2020529575A (ja) 効率的な透明角氷の製造
TWM498632U (zh) 乾冰清洗設備
KR20090030689A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MY195914A (en) Ice-Making System
KR102316928B1 (ko) 제빙기
JP2016065645A (ja) 製氷機
JP2005098528A (ja) 袋詰め食品の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