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245A -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245A
KR20150113245A KR1020140035807A KR20140035807A KR20150113245A KR 20150113245 A KR20150113245 A KR 20150113245A KR 1020140035807 A KR1020140035807 A KR 1020140035807A KR 20140035807 A KR20140035807 A KR 20140035807A KR 20150113245 A KR20150113245 A KR 2015011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facility
user
information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이권
김은진
이건오
송시원
이만옥
Original Assignee
모젼스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젼스랩(주) filed Critical 모젼스랩(주)
Priority to KR102014003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3245A/ko
Publication of KR2015011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용자단말기에 구비된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추전부스, 예약부스등과 같은 전시공간 위치를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A) 이용자단말기에 실행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단계와; (B) 상기 이용자단말기가 호스트서버로부터 시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알람대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D) 상기 이용자단말기가 인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E) 수신된 상기 인식신호에 포함된 식별데이터(ID)를 통해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개별시설로부터 송출된 인식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수신된 인식신호가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경우, 기 설정된 알람유형에 따라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시설정보는, 전시 공간에 대한 맵정보 및 개별시설에 송출되는 근거리 인식신호의 식별데이터(ID)를 포함하는 개별시설정보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박람회나 전시회 또는 놀이공원과 같은 공공시설에 설치된 각 개별시설에 이용자가 인접한 경우, 이를 기 설정된 진동신호에 의해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이용자의 개별시설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UIDING SYSTEM AND METHOD FOR EXHIBITION USING VIBRATION SIGNAL OF MOBILE DEVICE }
본 발명은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용자단말기에 구비된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추전부스, 예약부스등과 같은 전시공간 위치를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식경제부의 지식경제 기술 혁신 사업 중 '지능형 전시 마케팅을 위한 개인화 마케터'과제(과제번호 : 10035426, 수행기간 : 2010.04.01~2014.03.31)를 수행함에 있어 산출된 결과물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박람회나 전시회 또는 놀이공원 등은 방문객이나 참관객의 수에 따라 시간적/공간적으로 많은 혼잡과 이용에 제약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중에 자신이 방문하고자 하는 시설물(이하 '부스'라 통칭한다)을 또는 이용 예약을 한 부스를 이용자들의 혼잡으로 인하여 지나치거나 인지를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과 더불어, 박람회나 전시회의 웹페이지를 통한 각 부스나 이용물의 컨텐츠를 제공하고 참관객은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93614호를 통해 이용자단말기를 통해 관람일정을 스케줄링하고, 스케줄링된 부스를 전시장 맵정보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길안내를 수행하는 기술을 출원하여 등록한 바 있다.
그러나 출원인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혼잡한 전시공간 내에서 단말기의 경로제공 정보를 지속적으로 주시하여야 하므로 사용 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관람도중 해당 부스를 인식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지 못하고, 나아가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안내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9361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참여자 정보를 통한 추천부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이용예약 및 참여자 관람희망 부스를 설정하여 이에 대한 이용시설의 참여를 위한 스케쥴링을 제공하고, 참여자의 위치에 따라 해당 부스의 인접사항을 인식시키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회 부스안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시 공간의 시설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시설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호스트서버와; 상기 호스트서버로부터 상기 시설정보를 수신하여, 알람대상의 개별시설을 설정하고, 상기 알람대상의 개별시설에서 송출되는 인식신호를 수신하여 이용자에게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이용자 단말기; 그리고 상기 각 개별시설에 구비되어, 상기 개별시설에 대한 식별데이터가 포함된 인식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 인식신호 송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용자단말기는,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개별시설들에 대한 알람대상 설정정보와, 알람대상에 대한 알람유형 설정에 대한 알람유형 설정정보 및 상기 호스트서버로부터 전송된 전시 공간의 시설정보에 대한 시설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 시간, 패턴 및 강도를 각각 달리 출력하는 진동출력부와; 근거리 인식신호송출모듈로부터 송출되는 인식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 그리고 상기 근거리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인식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출력부를 구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설정보는, 전시 공간에 대한 맵정보 및 개별시설에 대한 개별시설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별시설정보는, 개별시설에 송출되는 근거리 인식신호의 식별데이터(ID)가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알람대상의 설정유형, 이용자단말기와 개별시설의 거리 및 이용자단말기의 이동 방향에 대한 개별시설의 위치에 따라 진동신호의 출력시간, 진동패턴 및 진동강도를 달리하도록 설정된 알람유형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단말기와 개별시설의 거리는,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이 수신된 인식신호의 강도를 인식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수신된 인식신호들의 시간별 누적 저장 값과 상기 시설정보에 포함된 맵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용자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단말기는, 자이로센서로 구성되는 이동방향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동방향 감지모듈로부터 감지된 이용자단말기의 이동방향 변화에 대한 누적값으로 보정하여 상기 이용자단말기의 이동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 이용자단말기에 실행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단계와; (B) 상기 이용자단말기가 호스트서버로부터 시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알람대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D) 상기 이용자단말기가 인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E) 수신된 상기 인식신호에 포함된 식별데이터(ID)를 통해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개별시설로부터 송출된 인식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와; (F) 상기 수신된 인식신호가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경우, 기 설정된 알람유형에 따라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시설정보는, 전시 공간에 대한 맵정보 및 개별시설에 송출되는 근거리 인식신호의 식별데이터(ID)를 포함하는 개별시설정보가 포함되는 정보인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알람유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용자단말기에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알람유형은, 알람대상의 설정유형, 이용자단말기와 개별시설의 거리 및 이용자단말기의 이동 방향에 대한 개별시설의 위치에 따라 진동신호의 출력시간, 진동패턴 및 진동강도를 달리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용자단말기와 개별시설의 거리는, 상기 수신된 인식신호의 강도에 따라 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단말기의 이동 방향은, 상기 이용자단말기에 수신된 인식신호들의 시간별 누적 저장 값과 상기 시설정보에 포함된 맵정보를 비교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용자단말기의 이동 방향은, 상기 이용자단말기에 구비된 이동방향 감지모듈로부터 감지된 이용자단말기의 이동방향 변화에 대한 누적값으로 보정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알람유형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알람대상은, 상기 호스트서버가 상기 이용자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이용자정보로부터 추천 개별시설 리스트를 상기 이용자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추천 개별시설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설정보는, 상기 개별업체에서 제공한 업체소개 또는 제품소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F)단계는, 이용자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해당 개별시설의 시설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박람회나 전시회 또는 놀이공원과 같은 공공시설에 설치된 각 개별시설의 이용을 용이하게 스케쥴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개별시설에 이용자가 인접한 경우, 이를 기 설정된 진동신호에 의해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이용자의 개별시설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가 지정 또는 추천된 개별시설을 안내함에 있어, 사용공간의 특성상 감각이 분산되는 시각 또는 청각에 의존하지 않고, 촉각을 통해 안내를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인지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시각 장애인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중 알람대상설정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중 알람유형설정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에 적용되는 알람대상 설정정보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의 실행 모습을 가시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효과, 특징 및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에서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중 알림대상설정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중 알림유형설정의 일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에 적용되는 알람대상 설정정보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의 실행 모습을 가시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놀이공원, 전시회등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시회 참여자(이용자)가 전시회에 참여한 각 개별업체의 홍보부스(개별시설)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은 호스트서버(100), 이용자단말기(200) 및 개별시설에 구비되는 근거리 인식신호 송출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호스트서버(100)는 전시회의 시설정보를 상기 이용자단말기(200)에 제공하고, 이용자단말기(200)로부터 이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이용자에게 맞춤형의 추천 개별시설 리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호스트서버(100)는 상기 이용자단말기(200)로부터 이용예약을 접수하여 이를 저장하고, 각 개별시설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호스트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110)는 시설정보DB(112), 예약정보DB(114) 및 이용자정보DB(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설정보DB(112)는 전시장에 대한 맵정보 뿐만 아니라 각 개별시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데, 상기 개별시설에 대한 정보에는 각 개별시설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인식신호의 식별데이터(ID)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시설정보DB(112)에 포함된 개별시설 정보는 상기 개별업체에서 제공한 정보, 예를 들어 업체소개 및 전자팜플렛, 브로슈어와, 전시회 참여 스케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설정보DB(112)에는 개별시설에 대한 참여제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참여제한정보는 상기 개별시설 및 상기 개별시설에 설치된 다양한 코너들에 대한 참가 가능한 이용자에 대한 제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참여제한정보는 예를 들어, 이용자의 연령제한일 수도 있고, 입장시 구입한 티켓의 종류에 따른 제한 일 수도 있다.
즉, 지금까지 일괄적으로 판매되는 전시회 입장권과 달리, 일반관람권 및 시연참가 입장권 등 참여 가능 정도에 대하여, 각각 다른 입장권을 별도의 금액으로 판매하는 경우, 이용자의 의도에 따라 합리적인 비용으로 전시회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특정 시연 참가 부스에 과도하게 사람들이 몰리는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약정보DB(114)에는 각 개별시설에 대한 이용자들의 예약상황이 저장된다. 즉, 상기 예약정보DB(114)에는 상기 개별업체에서 입력한 각 개별업체의 예약상황을 수신받고, 이용자의 예약신청을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예약정보DB(114)는 새로운 이용자의 예약 신청이 추가되면,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다음 이용자가 예약현황을 바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예약스케쥴은 10분단위, 20분단위, 30분단위 또는 1시간 단위 등 각 개별업체에서 설정한 상담시간에 따라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정보DB(116)에는 상기 이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이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이용자DB에 저장된 이용자 정보와 상기 시설정보DB(112)에 저장된 개별시설정보를 매칭하여 이용자 추천 개별 리스트를 제공한다. 상기 이용자DB에 저장되는 이용자정보는 이후 이용자단말기(200)를 설명함에 있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이용자단말기(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로 다양한 규격의 통신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용자단말기(200)는, 상기 호스트서버(100)에 접속하여 이용자정보를 상기 호스트서버(100)에 제공하고, 상기 호스트서버(100)로부터 시설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하여 알람대상의 개별시설을 설정하고, 나아가 이용예약을 설정할 수 있으며, 전시회 관람시, 개별시설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인식신호를 수신하여 알람대상 시설인 경우 설정된방식에 의해 이용자에게 이를 인지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이용자단말기(200)는 저장부(210), 컨트롤러(220), 이동방향 감지모듈(230), 진동출력부(240) 및 근거리통신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용자단말기(200)의 기능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상기 이용자단만말기에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한다.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시회의 이용 및 각 개별 부스의 이용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각 이용자의 이용자단말기(200)에 설치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전시회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전시회의 설명과 각 개별업체의 설명을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전시회의 일정과 장소 안내, 전시회의 참관신청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참관신청인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각 개별업체의 정보, 예를 들어 업체의 연혁, 개발제품, 상담 및 시연 일정 등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개별업체의 정보는 상기 호스트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서버(100)의 통신부(130)에 의해 상기 이용자단말기(200)에 전송된다.
상기 이용자단말기(20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저장부(210)에는 사용자가 관람을 원하는 개별시설에 대한 리스트인 알람대상 설정정보(212)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알람대상설정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개별시설정보를 리스트형태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중에 알람대상을 선택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상기 이용자정보를 수신한 호스트서버(100)가 사용자별 추천 개별시설정보를 제공하여 설정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알람대상을 설정하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는 호스트서버(100)로부터 이용자정보에 부합하는 개별시설정보를 제공받고 이들 중 관람을 원하는 개별시설을 선택하여 알람대상으로 설정하거나 이와 함께 방문(이용)예약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10)에는 알람유형 설정정보(214)가 저장된다. 상기 알람유형 설정정보는 알람대상에 대하여 알람의 유형(방식)이 설정된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알람유형은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설정유형, 개별시설의 위치 또는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유형이라 함은 해당 개별시설이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카테고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개별시설에 대하여 자동 추천을 받은 것인지, 예약을 설정한 것인지 또는 이벤트가 진행되어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것인지 등의 설정유형을 분류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알람유형의 설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유형, 개별시설의 위치 및 거리가 구별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정유형에 따라 진동신호의 출력시간을 달리 설정하고, 이용자의 진행방향에 따라 진동 패턴을 달리하며, 개별시설과 이용자의 거리에 따라 진동의 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패턴이라 함은 진동의 연속성을 달리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개별시설과 이용자와의 거리는 수신되는 근거리인식신호의 신호강도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알람대상설정정보와 알람유형설정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로 정리될 수 있다.
즉,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개별시설의 고유한 근거리 인식신호의 신호값이 저장되고, 이에 대한 설정유형 및 해당 개별시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시설정보의 위치값이 각각 대응되어 정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방향 감지모듈(230)은 이용자단말기(200)의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자이로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출력부(240)는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컨트롤러(220)의 제어에 따라 진동 시간,패턴 및 강도를 각각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통신모듈(250)은 각 개별시설에 설치된 근거리 인식신호송출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근거리 인식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으로 바람직하게는 신호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개별시설에는 각각 근거리 인식신호 송출모듈(300)이 구비된다. 상기 근거리 인식신호 송출모듈(300)은 각 개별시설의 고유 ID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가 포함된 인식신호를 근거리 통신방법에 의해 송출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블루투스 통식방식에 의한 송신모듈일 수 있다.
상기 이용자단말기(200)의 컨트롤러(220)는 상기 근거리통신모듈(250)로부터 수신되는 근거리인식신호를 상기 알람대상설정정보와 비교하여 알람대상 여부를 판별하고,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개별시설의 근거리인식신호인 경우, 알람유형설정정보에 따라 진동출력부(240)를 통해 진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220)는 진동신호를 출력함에 있어, 이용자의 위치 및 이동 방향을 판단하여, 이동방향에 따라 알람유형을 달리 설정할 수 있는데, 실내의 경우 유대용 단말기의 GPS 모듈로는 위치를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용자단말기(200)는 수신되는 근거리인식신호의 ID를 저장하고, 이를 시설정보에 저장된 맵정보와 매칭시켜 산출된 이용자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자이로센서로 구성되는 이동방향 감지모듈(230)로부터 감지되는 이용자단말기(200)의 이동방향 변화에 대한 누적값으로 보정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이 순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은 먼저 이용자단말기(200)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실행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S100, S120).
이는 상기 전시회의 입구에서 일괄 배포되는 과정을 통해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전시회 웹페이지나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등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전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앱실행과정에서는 상기 이용자단말기(200)가 이용자정보를 상기 호스트서버(100)에 제공하는 과정을 함께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개인정보라 함은 기본적으로 이용자의 연령, 성별 등을 포함하고 나아가 이용자가 입력한 이용자의 관심분야 등의 개인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인정보는 이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어플레케이션에 입력하는 것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이때 이용자는 이름이나 소속기관과 같은 일반적인 정보뿐 아니라, 개인적인 관심분야와 같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용자의 정보는 개별업체에 제공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이용자의 동의절차를 거치거나 또는 일부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용자단말기(200)는 호스트서버(100)로부터 시설정보를 수신한다 (S130). 이때 상기 시설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시장에 대한 맵정보 뿐만 아니라 각 개별시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개별시설에 대한 정보에는 업체소개 및 전자팜플렛, 브로슈어와, 전시회 참여 스케쥴 등과 같이 개별업체에서 제공한 홍보자료 뿐만 아니라, 각 개별시설에 송출되는 근거리 인식신호의 식별데이터(ID)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설정정보에는 개별시설에 대한 참여제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고 있다. 상기 참여제한정보는 상기 개별시설 및 상기 개별시설에 설치된 다양한 코너들에 대한 참가 가능한 이용자에 대한 제한 정보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이용자는 상기 이용자단말기(200)에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대상을 설정한다(S140).
상기 알람대상의 설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가 개별시설 리스트 상에 알람대상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호스트서버(100) 또는 이용자단말기(200)가 이용자정보와 개별시설정보를 비교하여 이용자 성향에 맞는 추천 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이벤트진행, 사은품증정 등 특정 요건을 선택하면, 해당 요건을 만족하는 개별시설을 리스트업하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설정방식이 병합된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용자는 상기 이용자단말기(200)에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유형을 설정한다(S150).
상기 알람유형 설정은 알람대상의 설정유형, 이용자의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진동신호의 출력시간, 진동패턴 및 진동강도를 달리하여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전시회장에 입장하여 관람을 시작하면서, 상기 이용자단말기(200)의 근거리통신모듈(250)은 근거리인식신호 송출모듈(300)이 송신하는 인식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각 개별시설에 구비된 근거리인식신호 송출모듈(300)은 각 개별시설의 식별데이토(ID)를 포함한 인식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출한다.
상기 이용자단말기(200)가 상기 인식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인식신호에 포함된 식별데이터(ID)를 통해 해당 개별시설이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개별시설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160).
그리고 상기 제160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인식신호가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경우, 알람대상의 설정유형을 판별하고(S170), 설정된 상기 알람유형에 따라 진동신호를 통한 알람을 출력한다(S180).
이때, 상기 알람유형은 도 3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이용자단말기(200)는 상기 알람을 출력함과 동시에, 이용자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해당 개별시설의 시설정보을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S190).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인식신호가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인식신호인지 여부를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판별하고, 상기 테이블로부터 해당 개별시설에 대한 시설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위치를 독출하여 해당 시설정보를 불러와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알람신호 및 시설정보의 출력은 상기 인식신호의 수신이 종료될때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될때까지 상기 인식신호의 수신 및 이에 따른 암람출력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200).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전시회의 각 개별업체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전시회의 전시물 이용이나, 놀이공원의 시설물 이용 등 다수의 개별시설이 포함된 이용시설을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용자단말기에 구비된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추전부스, 예약부스등과 같은 전시공간 위치를 안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박람회나 전시회 또는 놀이공원과 같은 공공시설에 설치된 각 개별시설에 이용자가 인접한 경우, 이를 기 설정된 진동신호에 의해 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이용자의 개별시설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호스트 서버 110 : 데이터베이스
112 : 시설정보DB 114 : 예약정보DB
116 : 이용자정보DB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200 : 이용자단말기
210 : 저장부 212 : 알람대상 설정정보
214 : 알람유형 설정정보 216 : 시설정보
220 : 컨트롤러 230 : 이동방향 감지모듈
240 : 진동출력부 250 : 근거리 통신모듈
300 : 근거리 인식신호 송출모듈

Claims (15)

  1. 전시 공간의 시설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시설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호스트서버와;
    상기 호스트서버로부터 상기 시설정보를 수신하여, 알람대상의 개별시설을 설정하고, 상기 알람대상의 개별시설에서 송출되는 인식신호를 수신하여 이용자에게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이용자 단말기; 그리고
    상기 각 개별시설에 구비되어, 상기 개별시설에 대한 식별데이터가 포함된 인식신호를 송신하는 근거리 인식신호 송출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용자단말기는,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개별시설들에 대한 알람대상 설정정보와, 알람대상에 대한 알람유형 설정에 대한 알람유형 설정정보 및 상기 호스트서버로부터 전송된 전시 공간의 시설정보에 대한 시설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진동 시간, 패턴 및 강도를 각각 달리 출력하는 진동출력부와;
    근거리 인식신호송출모듈로부터 송출되는 인식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통신모듈; 그리고
    상기 근거리통신모듈로부터 수신된 인식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출력부를 구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정보는,
    전시 공간에 대한 맵정보 및 개별시설에 대한 개별시설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별시설정보는,
    개별시설에 송출되는 근거리 인식신호의 식별데이터(ID)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알람대상의 설정유형, 이용자단말기와 개별시설의 거리 및 이용자단말기의 이동 방향에 대한 개별시설의 위치에 따라 진동신호의 출력시간, 진동패턴 및 진동강도를 달리하도록 설정된 알람유형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단말기와 개별시설의 거리는,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이 수신된 인식신호의 강도를 인식하여 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수신된 인식신호들의 시간별 누적 저장 값과 상기 시설정보에 포함된 맵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용자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단말기는,
    자이로센서로 구성되는 이동방향 감지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동방향 감지모듈로부터 감지된 이용자단말기의 이동방향 변화에 대한 누적값으로 보정하여 상기 이용자단말기의 이동방향을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7. (A) 이용자단말기에 실행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되는 단계와;
    (B) 상기 이용자단말기가 호스트서버로부터 시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C)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알람대상을 저장하는 단계와;
    (D) 상기 이용자단말기가 인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E) 수신된 상기 인식신호에 포함된 식별데이터(ID)를 통해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개별시설로부터 송출된 인식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수신된 인식신호가 알람대상으로 설정된 경우, 기 설정된 알람유형에 따라 진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고:
    상기 시설정보는,
    전시 공간에 대한 맵정보 및 개별시설에 송출되는 근거리 인식신호의 식별데이터(ID)를 포함하는 개별시설정보가 포함되는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유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이용자단말기에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유형은,
    알람대상의 설정유형, 이용자단말기와 개별시설의 거리 및 이용자단말기의 이동 방향에 대한 개별시설의 위치에 따라 진동신호의 출력시간, 진동패턴 및 진동강도를 달리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이용자단말기와 개별시설의 거리는,
    상기 수신된 인식신호의 강도에 따라 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단말기의 이동 방향은,
    상기 이용자단말기에 수신된 인식신호들의 시간별 누적 저장 값과 상기 시설정보에 포함된 맵정보를 비교하여 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단말기의 이동 방향은,
    상기 이용자단말기에 구비된 이동방향 감지모듈로부터 감지된 이용자단말기의 이동방향 변화에 대한 누적값으로 보정하여 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된 알람유형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14.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대상은,
    상기 호스트서버가 상기 이용자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이용자정보로부터 추천 개별시설 리스트를 상기 이용자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추천 개별시설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정보는,
    상기 개별업체에서 제공한 업체소개 또는 제품소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F)단계는,
    이용자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해당 개별시설의 시설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방법.
KR1020140035807A 2014-03-27 2014-03-27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3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807A KR20150113245A (ko) 2014-03-27 2014-03-27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807A KR20150113245A (ko) 2014-03-27 2014-03-27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245A true KR20150113245A (ko) 2015-10-08

Family

ID=5434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807A KR20150113245A (ko) 2014-03-27 2014-03-27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32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281A (ko) 2017-11-16 2019-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 기반 시각장애인용 실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281A (ko) 2017-11-16 2019-05-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 기반 시각장애인용 실내 길 안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liones et al. Blind MuseumTourer: A system for self-guided tours in museums and blind indoor navigation
CN104426972B (zh) 终端位置分享方法和装置
US94605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rgeted acquisition
KR20160114047A (ko) 무선 비콘 신호들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6643774B (zh) 一种导航路线生成方法及终端
CN104094340A (zh) 可重新配置的个性化车辆显示器
Balata et al. Collaborative navigation of visually impaired
KR101661058B1 (ko) 주차 차량 위치 안내 시스템
JP2015069429A (ja) 情報案内システム、表示装置、サーバ装置、情報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10125469A (ko) 대중 교통 및 공유 모빌리티를 이용한 추천 경로 안내 시스템
US20180168911A1 (en) System For Guiding Blind And Method Thereof
JP576472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96409A (ko) 무선주파수 식별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미션관광 게임방법
JP2002282553A (ja) キャラクタ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キャラクタ画像表示制御装置、記録媒体及び電子ゲーム装置
KR101995480B1 (ko) 차량 운행예약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709884A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KR101488934B1 (ko)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위치기반 미션 수행 서비스 제공방법
KR101223140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스케쥴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케쥴링 방법
JP6563451B2 (ja) 移動支援装置、移動支援システム、移動支援方法及び移動支援プログラム
KR20150113245A (ko) 휴대단말기 진동신호를 이용한 전시 공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266863B1 (ko) 실시간 위치 탐색 기능을 이용한 모바일 리워드 산출 서버 및 방법
KR101446608B1 (ko) 개인인식코드를 이용한 참여자 안내 방법
US20190096108A1 (en) Phase specifying method, phase specify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041571B1 (ko) 사용자에게 현실 공간에 기반한 게임을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22877B1 (ko) 전시물 안내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무선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