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175A - 장력 조절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장력 조절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175A
KR20150113175A KR1020157023783A KR20157023783A KR20150113175A KR 20150113175 A KR20150113175 A KR 20150113175A KR 1020157023783 A KR1020157023783 A KR 1020157023783A KR 20157023783 A KR20157023783 A KR 20157023783A KR 20150113175 A KR20150113175 A KR 20150113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arm
assembly
electrostatic discharge
discharge me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1156B1 (ko
Inventor
민춘 하오
홍량 후
후아빈 조우
Original Assignee
게이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이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게이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13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Torsio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트랜스미션 장비를 위한 장력 조절 디바이스(100)가 개시된다. 장력 조절 디바이스(100)는, 고정 조립체(6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윙 아암(10), 및 인장 조립체(20)를 포함하며, 인장 조립체(20)는 스윙 아암(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윙 아암(10)에는 스윙 아암 샤프트(11)가 마련되며, 스윙 아암 샤프트(11)에는 구멍(12)이 형성되고, 고정 조립체(60)는 구멍(12) 내에서 조립되며, 고정 조립체(60) 및 구멍(12) 사이에 베어링 조립체(62)가 배치되고, 고정 조립체(60)의 일 단부 부분에는 제1 밀봉 커버(63)가 배치되며, 제1 밀봉 커버(63)와 스윙 아암 샤프트(11) 사이에는 정전기 방전 부재(65)가 배치되고,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와 각각 접촉하게 되어 정전기 방전 경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장력 조절 디바이스(100)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는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력 조절 디바이스{TENSION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장력 조절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장력 조절 디바이스는 트랜스미션 장비에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밸트 또는 체인과 같은, 트랜스미션 장비의 트랜스미션 요소는 통상적으로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인장 휠에 대해 인접하며, 이에 따라 트랜스미션 요소는 트랜스미션 장비의 작동 중에 인장 휠을 통해 팽팽해지게 된다. 장력 조절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스윙 아암 및 인장 조립체를 포함하며, 스윙 아암은 고정 조립체를 통해 고정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 베이스는 예컨대 엔진의 마운트 또는 실린더 본체일 수 있다.
중국 특허 CN100441912C는 보조 기계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를 위한 장력 조절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력 조절 디바이스는 장기간 동안 베어링 인장 휠로서 풀리의 스윙 중심의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장력 조절 디바이스에는 고정 샤프트에 대해 스윙 가능한 풀리 아암이 마련된다. 슬라이딩 베어링이 풀리 아암과 고정 샤프트 사이에 배치된다.
위 중국 특허는 장력 조절 디바이스에서의 밀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스윙 아암은 고정 베이스에 대해 빈번하게 스윙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트랜스미션 장비의 트랜스미션 요소는 인장 휠을 통해 빈번하게 팽팽하게 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경우에 장력 조절 디바이스에서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 사실상, 슬라이딩 베어링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자체 윤활을 갖추고 있다. 플라스틱 재료는 전기 절연성이며, 이에 따라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풀리 아암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할 수 없으므로, 정전기는 축적되어 전기 스파크를 초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구리와 같은 전도성 재료로 슬라이딩 베어링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슬라이딩 베어링의 표면에는 플라스틱 재료가 마련되며 자체 윤활이 갖추어져 슬라이딩 베어링의 윤활을 보장한다. 따라서,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풀리 아암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정전기가 축적되고 화재 위험과 같은 사고 또는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전기 스파크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장력 조절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작동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도록, 정전기 방전 경로가 장력 조절 디바이스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전기 방전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정전기 방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정전기 방전 부재는 장력 조절 디바이스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마찰을 작게 유지하면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작동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며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은 특히 그 수명 동안 탈착되기 어렵거나 심지어는 탈착될 수 없는 장력 조절 디바이스에 적합하다. 정전기 방전 부재로 인해, 유지보수 및 교체의 비용은 절감될 수 있으며,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작동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은,
고정 조립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윙 아암; 및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인장 조립체
를 포함하는 장력 조절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러한 장력 조절 디바이스에서,
스윙 아암에는 스윙 아암 샤프트가 마련되며, 스윙 아암 샤프트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고정 조립체는 상기 구멍 내에서 조립되며, 고정 조립체와 구멍 사이에 베어링 조립체가 배치되고, 고정 조립체의 일 단부 부분에는 제1 밀봉 커버가 배치되며, 제1 밀봉 커버와 스윙 아암 샤프트 사이에는 정전기 방전 부재가 배치되고, 정전기 방전 부재는 제1 시일 부재 및 스윙 아암 샤프트에 각각 접촉하여 정전기 방전 경로를 형성한다. 실제로, 정전기 방전 경로에서의 구성요소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즉 스윙 아암 샤프트, 정전기 방전 부재, 제1 밀봉 커버, 고정 샤프트 및 볼트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이상의 해법에 의해, 장력 조절 디바이스에는 정전기 방전 경로가 형성되어,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며, 이에 따라 장력 조절 디바이스는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는, 점, 선 또는 부분적인 표면을 통해 제1 밀봉 커버 및 스윙 아암 샤프트와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전기 방전 부재와 제1 밀봉 커버 및 스윙 아암 샤프트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작은 접촉 면적으로 인해, 마찰이 작게 나타나며, 이에 따라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정상 작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마모가 감소될 수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의 수명이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는, 제1 밀봉 커버 및 스윙 아암 샤프트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예를 들면, 정전기 방전 부재는 탄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전기 방전 부재는 축방향 마찰이 최소가 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는, 파형 스프링, 코일 스프링 또는 접시 스프링(Belleville spring)이다. 파형 스프링이 바람직하거나, 또는 대안으로 정전기 방전 부재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파형 스프링은 산 부분(peak portion) 및 골 부분(valley portion)을 갖도록 형성되며, 여기서 산 부분 및 골 부분은 각각 제1 밀봉 커버 및 스윙 아암 샤프트와 접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파형 스프링은 전기 전도성 금속과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는, 복수 개의 중첩된 파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파형 스프링은 적어도 3개의 접촉 위치를 통해 제1 밀봉 커버와 접촉하며, 및/또는 파형 스프링은 적어도 3개의 접촉 위치를 통해 스윙 아암 샤프트와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하게는, 마모와 정전기의 제거 사이의 균형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밀봉 커버는 스윙 아암 샤프트와 떨어져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밀봉 커버의 마모가 방지되어,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수명이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 조립체는 정전기 방전 부재와 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정전기 방전 부재의 마모가 감소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조립체의 다른 단부 부분에 제2 밀봉 커버가 배치되며, 베어링 조립체는 제1 밀봉 커버에 이웃하는 제1 슬라이딩 베어링 및 제2 밀봉 커버에 이웃하는 제2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하고, 제2 밀봉 커버에 이웃하는 제2 슬라이딩 베어링의 단부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플랜지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샤프트의 양 단부에는 고정 샤프트 보스 부분(fixing shaft boss portion)이 형성되며, 제1 밀봉 커버 및 제2 밀봉 커버는 고정 샤프트의 양 단부에서 밀폐식으로 고정 샤프트 보스 부분을 덮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력 조절 디바이스는 장력 조절 조립체를 더 포함하며, 장력 조절 조립체의 일 단부는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장력 조절 조립체의 다른 단부는 고정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조립체는 패스너와 일체로 마련되는 고정 샤프트를 포함하며, 제1 밀봉 커버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패스너는 스윙 아암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볼트 또는 리벳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조립체는 고정 샤프트 및 패스너를 포함하며, 패스너는 제1 밀봉 커버를 통해 그리고 고정 샤프트에서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스윙 아암을 고정시키고, 패스너는 볼트 또는 리벳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 조립체는 전기 절연성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는 고정 샤프트를 둘러싸거나, 또는 정전기 방전 부재는 고정 샤프트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별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전기 방전 경로가 장력 조절 디바이스 내에 형성될 수 있어,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가 제거되는 반면, 정전기 방전 부재는 작은 마모 및 긴 수명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완전히 분명해질 것이며,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 전체는 함께 본 발명의 명세서를 형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 장비의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상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 장비의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하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트랜스미션 장비를 위한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 장비의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는 예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내용은 단지 예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한계를 정의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션 장비를 위한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상부도, 하부도 및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장력 조절 디바이스(100)는 고정 베이스(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장착되며, 이 고정 베이스는 예컨대 엔진의 마운트 또는 실린더 본체일 수 있다.
장력 조절 디바이스(100)는 2개의 부품, 즉 스윙 아암(10) 및 인장 조립체(20)를 포함한다. 스윙 아암(10)은 고정 조립체(6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예를 들면, 스윙 아암(10)은 고정 조립체(60)를 통해 고정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인장 조립체(20)는 스윙 아암(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장력 조절 디바이스(100)는 장력 조절 조립체(30)를 더 포함하며, 장력 조절 조립체의 일 단부는 스윙 아암(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장력 조절 조립체의 다른 단부는 고정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장력 조절 조립체(30)는 당업계에서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널리 알려진 유압 자동식 텐셔너 또는 공압 자동식 텐셔너가 채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윙 아암(10)은 고정 조립체(60)를 통해 고정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스윙 아암(10)은 고정 조립체(60)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고정 베이스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인장 조립체(20)에는, 볼트(22)를 통해 스윙 아암(10)에 고정되는 인장 휠(21)이 마련되며, 이에 따라 인장 휠(21)은 볼트(22)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트랜스미션 장비의 트랜스미션 요소는 인장 휠(21)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인장 휠(21)에 의해 팽팽하게 된다. 트랜스미션 장비의 작동 중에, 장력 조절 조립체(30)는 인장 조립체(20) 및 스윙 아암(10)을 위한 트랜스미션 장비의 트랜스미션 요소를 조절하도록 기능한다. 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스윙 아암(10)에는 스윙 아암 샤프트(11)가 마련되며, 분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윙 아암 샤프트(11)는 스윙 아암(10)의 대향측들로부터 연장된다. 관통 구멍(12)이 스윙 아암 샤프트(11)에 형성된다. 고정 조립체(60)는 관통 구멍(12)을 통해 연장되어 스윙 아암(10)을 고정 베이스에 고정시킨다.
고정 조립체(60)는 관통 구멍(12) 내에 조립되며, 베어링 조립체(62)가 고정 조립체(60)와 관통 구멍(12)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조립체(60)에는 고정 샤프트(61)가 마련되며, 이 고정 샤프트는 베어링 조립체(62)를 통해 관통 구멍(12) 내에 조립된다. 특히, 고정 샤프트(61)는 관통 구멍(12) 내에 조립되며, 베어링 조립체(62)는 고정 샤프트(61)와 관통 구멍(12)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밀봉 커버(63) 및 제2 밀봉 커버(64)가 각각 고정 조립체(60)의 양 단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밀봉 커버(63) 및 제2 밀봉 커버(64)는 고정 샤프트(61)의 양 단부에 위치설정된다. 제1 밀봉 커버(63) 및 제2 밀봉 커버(64)가 긴밀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 샤프트(61)의 양 단부에는 고정 샤프트 보스 부분(612)이 형성되며, 제1 밀봉 커버(63) 및 제2 밀봉 커버(64)는 고정 샤프트(61)의 양 단부에서 밀폐식으로 고정 샤프트 보스 부분(612)을 덮고, 이에 따라 고정 조립체(60)와 스윙 아암(10) 사이의 접합부에 대한 밀봉이 달성되어 먼지와 같은 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베어링 조립체의 윤활을 보장하기 위해 슬라이딩 베어링은 통상적으로 절연 재료로 형성되며 자체 윤활을 갖춘다. 대안으로, 자체 윤활을 갖춘 절연 재료가 베어링 조립체의 표면 상에 코팅되며, 이에 따라 베어링 조립체가 절연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스윙 아암 샤프트(11)가 제1 밀봉 커버(63)와 접촉하고 있다면, 장력 조절 디바이스(100)의 작동 중에, 스윙 아암 샤프트(11)는 빈번하게 제1 밀봉 커버(63)에 대해 이동하게 되며, 이는 스윙 아암 샤프트(11) 및 제1 밀봉 커버(63)의 마모를 초래하고, 특히 제1 밀봉 커버(63)의 마모를 초래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윙 아암 샤프트(11)는 제1 밀봉 커버(63)와 떨어져 있으며, 즉, 스윙 아암 샤프트(11)는 제1 밀봉 커버(63)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제1 밀봉 커버(63)의 마모를 방지하고 장력 조절 디바이스(100)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정전기는 스윙 아암 샤프트(11)로부터 제1 밀봉 커버(63)로 전달될 수 없으며, 이는 정진기의 축적을 초래한다. 실제로, 양 밀봉 커버는 스윙 아암 샤프트(11)와 접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 조립체(62)는 제1 밀봉 커버(63)에 이웃하는 제1 슬라이딩 베어링(621) 및 제2 밀봉 커버(64)에 이웃하는 제2 슬라이딩 베어링(622)을 포함한다. 실제로, 제2 밀봉 커버(64) 및 제2 슬라이딩 베어링(622)은 제1 밀봉 커버(63) 및 제1 슬라이딩 베어링(621)보다 고정 베이스에 더욱 근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제2 밀봉 커버(64)에 이웃하는 제2 슬라이딩 베어링(622)의 단부에는 베어링 플랜지(623)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플랜지(623)는 축방향으로 제2 밀봉 커버(64)와 스윙 아암 샤프트(11)를 절연시키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제2 밀봉 커버(64)와 스윙 아암 샤프트(11)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조립체(60)는 패스너(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더 포함하며, 이 패스너는 제1 밀봉 커버(63) 및 고정 샤프트(61) 내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스윙 아암(10)을 고정시킨다. 특히,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패스너는 제1 밀봉 커버(63), 제2 밀봉 커버(64) 및 고정 샤프트(61) 내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스윙 아암(10)을 고정 베이스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스윙 아암(10)은 고정 베이스에 대해 자유롭게 스윙 또는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력 조절의 요건에 적합하게 된다. 패스너는 볼트, 리벳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패스너일 수 있다.
대안으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조립체(60)의 고정 샤프트(61)는 패스너와 일체로 마련되며 제1 밀봉 커버(63)를 통해 연장된다. 패스너는 고정 베이스에 대해 스윙 아암(10)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스윙 아암(10)은 고정 베이스에 대해 자유롭게 스윙 또는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력 조절의 요건에 적합하게 된다. 패스너는 볼트, 리벳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패스너일 수 있다.
장력 조절 디바이스(100)의 작동 중에, 베어링 조립체(62)를 통해 고정 샤프트(61)에 대해 스윙 아암(10)이 빈번하게 스윙 또는 회전함으로 인해, 이들 사이에서 정전기가 발생된다. 이러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밀봉 커버(63)와 스윙 아암 샤프트(11) 사이에 정전기 방전 부재(65)가 배치되며,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에 각각 접촉하게 되어 정전기 방전 경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65)로 인해, 베어링 조립체(62)를 통해 고정 샤프트(61)에 대해 스윙 아암(10)이 스윙 또는 회전하는 동안 발생되는 정전기는 스윙 아암 샤프트(11), 정전기 방전 부재(65)를 통해 제1 밀봉 커버(63)로 전달될 수 있으며, 또한 고정 샤프트(61), 패스너 그리고 다음으로 고정 베이스(엔진의 마운트 또는 실린더 본체)를 통해 전달될 수 있어, 정전기가 제거되도록 한다.
이상의 정전기 방전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정전기 방전 경로에서의 구성요소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즉 스윙 아암 샤프트(11), 정전기 방전 부재(65), 제1 밀봉 커버(63), 고정 샤프트(61) 및 패스너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이 재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것일 수 있다.
정전기 방전 부재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베어링 조립체는 정전기 방전 부재와 떨어져 있으며, 즉, 베어링 조립체는 정전기 방전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단지 스윙 아암 샤프트(11) 하고만 접촉하게 된다.
더욱이, 정전기 방전 부재의 마모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정전기 방전 부재(65)와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 사이의 접촉 면적은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점, 선 또는 부분적인 표면을 통해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와 각각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마찰이 감소될 수 있으며, 정전기 방전 부재의 수명은 연장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정전기 방전 부재(65)의 표면 중 단지 일부만이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와 접촉하게 되기 때문이다. 정잔기 방전 부재(65)는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어, 정전기 방전 경로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추가적으로, 점 접촉, 선 접촉 또는 부분적인 표면 접촉의 경우에 있어서, 작은 접촉 면적으로 인해, 정전기 방전 부재(65)와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 사이에서 형성되는 저항도 역시 작고, 이에 따라 제1 밀봉 커버(63)와 스윙 아암 샤프트(11) 사이의 상대 회전이 용이하게 되며, 장력 조절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장력 조절 디바이스(100)의 작동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고정 샤프트(61)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고정 샤프트(61)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별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구성요소는 예컨대 개스킷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탄성을 나타내며, 밀봉 커버 및 스윙 아암 샤프트 사이에 탄성적으로 그리고 전도성 있게 배치된다. 정전기 방전 부재는 단지 작은 축방향 힘을 통해서 위 3개의 구성요소를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전기 접속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파형 스프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또한 코일 스프링 또는 접시 스프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형 스프링은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에 대해 이웃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탄성을 나타내며, 이들과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정전기 방전 부재(65)는, 축방향 힘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파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파형 스프링은 전기 전도성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전기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전기를 제거하는 동안 충분한 탄성을 보장한다.
파형 스프링은 산 부분 및 골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며, 실제로, 산 부분 및 골 부분은 각각 접, 선, 또는 부분적인 표면을 통해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와 접촉하게 된다. 접 접촉, 선 접촉 또는 부분적인 표면 접촉은, 산 부분 및 골 부분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형 스프링은 복수 개의 산 부분 및 복수 개의 골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파형 스프링과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 사이에는 여러 개의 접촉 위치가 존재한다. 점 접촉, 선 접촉, 또는 부분적인 표면 접촉은, 독립적으로 이러한 접촉 위치들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접촉 위치의 개수는 산 부분 및 골 부분의 개수와 동일해야 할 필요가 없으며, 즉 일부 산 부분 또는 골 부분은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술한 구조는 파형 스프링과 제1 밀봉 커버(63) 및 스윙 아암 샤프트(11)에 대한 다양한 용례와 관련하여 적합하게 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파형 스프링은 적어도 3개의 접촉 위치를 통해 제1 밀봉 커버(63)와 접촉하며, 및/또는 파형 스프링은 적어도 3개의 접촉 위치를 통해 스윙 아암 샤프트(11)와 접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하게는, 마모와 정전기의 제거 사이의 균형이 달성될 수 있다. 물론, 접촉 위치의 개수는 임의의 적절한 개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개시내용은 예시적 예와 함께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로써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당업자라면 변형, 대체 및/또는 변경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속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Claims (15)

  1. 고정 조립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윙 아암; 및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인장 조립체
    를 포함하는 장력 조절 디바이스로서,
    스윙 아암에는 스윙 아암 샤프트가 마련되며, 스윙 아암 샤프트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고정 조립체는 상기 구멍 내에서 조립되며, 고정 조립체와 구멍 사이에 베어링 조립체가 배치되고, 고정 조립체의 일 단부 부분에는 제1 밀봉 커버가 배치되며, 제1 밀봉 커버와 스윙 아암 샤프트 사이에는 정전기 방전 부재가 배치되고, 정전기 방전 부재는 제1 밀봉 커버 및 스윙 아암 샤프트에 각각 접촉하여 정전기 방전 경로를 형성하는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는, 제1 밀봉 커버 및 스윙 아암 샤프트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는, 파형 스프링, 코일 스프링 또는 접시 스프링(Belleville spring)인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파형 스프링은 산 부분(peak portion) 및 골 부분(valley portion)을 갖도록 형성되며, 산 부분 및 골 부분은 제1 밀봉 커버 및 스윙 아암 샤프트와 각각 접촉하는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파형 스프링은 전기 전도성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6. 제3항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는, 복수 개의 중첩된 파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파형 스프링은 적어도 3개의 접촉 위치를 통해 제1 밀봉 커버와 접촉하며, 및/또는 파형 스프링은 적어도 3개의 접촉 위치를 통해 스윙 아암 샤프트와 접촉하는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제1 밀봉 커버는 스윙 아암 샤프트와 떨어져 있는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조립체는 정전기 방전 부재와 떨어져 있는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조립체의 다른 단부 부분에 제2 밀봉 커버가 배치되며, 베어링 조립체는 제1 밀봉 커버에 이웃하는 제1 슬라이딩 베어링 및 제2 밀봉 커버에 이웃하는 제2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하고, 제2 밀봉 커버에 이웃하는 제2 슬라이딩 베어링의 단부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플랜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장력 조절 조립체
    를 더 포함하며, 장력 조절 조립체의 일 단부는 스윙 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장력 조절 조립체의 다른 단부는 고정 조립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조립체는 패스너와 일체로 마련되는 고정 샤프트를 포함하며, 제1 밀봉 커버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패스너는 스윙 아암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볼트 또는 리벳인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조립체는 고정 샤프트 및 패스너를 포함하며, 패스너는 제1 밀봉 커버를 통해 그리고 고정 샤프트에서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스윙 아암을 고정시키고, 상기 패스너는 볼트 또는 리벳인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조립체는 전기 절연성인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정전기 방전 부재가 고정 샤프트를 둘러싸거나, 또는 정전기 방전 부재는 고정 샤프트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별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인 장력 조절 디바이스.
KR1020157023783A 2013-02-07 2014-01-28 장력 조절 디바이스 KR101751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048410.9 2013-02-07
CN201310048410.9A CN103982608B (zh) 2013-02-07 2013-02-07 张力调节装置
PCT/CN2014/071653 WO2014121719A1 (zh) 2013-02-07 2014-01-28 张力调节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175A true KR20150113175A (ko) 2015-10-07
KR101751156B1 KR101751156B1 (ko) 2017-06-26

Family

ID=5127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783A KR101751156B1 (ko) 2013-02-07 2014-01-28 장력 조절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50354675A1 (ko)
EP (1) EP2955415B1 (ko)
JP (1) JP6130930B2 (ko)
KR (1) KR101751156B1 (ko)
CN (1) CN103982608B (ko)
AU (1) AU2014214390B2 (ko)
BR (1) BR112015019018A2 (ko)
CA (1) CA2900128C (ko)
ES (1) ES2687472T3 (ko)
MX (1) MX368594B (ko)
RU (1) RU2609250C1 (ko)
WO (1) WO2014121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3094B1 (en) * 2013-11-18 2018-10-10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Supercharger for engine
JP6281501B2 (ja) * 2015-01-29 2018-0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輪支持装置
US9618099B2 (en) * 2015-07-13 2017-04-11 Gates Corporation Tensioner with secondary damping
JP6659454B2 (ja) * 2016-05-13 2020-03-04 Ntn株式会社 オートテンショナ
CN107100973A (zh) * 2017-05-12 2017-08-29 柳工无锡路面机械有限公司 一种轮胎压路机传动链自动张紧装置及其张紧方法
US10876606B2 (en) * 2018-03-13 2020-12-29 Gates Corporation Orbital tensioner
CN108412989A (zh) * 2018-04-24 2018-08-17 联禾厚普(太仓)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张紧摆臂
CN109099123A (zh) * 2018-09-13 2018-12-28 浙江庆源车业部件有限公司 双杆式防尘液压张紧器
CN109442012A (zh) * 2018-10-30 2019-03-08 德清县德盛纺织品有限公司 凸轮开口装置的同步带调节机构
CN115835464B (zh) * 2023-02-23 2023-05-02 成都思越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小车防静电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3263B2 (ja) * 1988-04-01 1999-05-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オートテンシヨナ
EP0695114B1 (en) * 1994-01-13 2004-05-19 Noboru Horiguchi Static electricity eliminator
KR970029363A (ko) * 1995-11-30 1997-06-26 배순훈 헤드드럼의 방전장치
JP3163258B2 (ja) * 1996-09-17 2001-05-08 株式会社オティックス オートテンショナ用レバーアーム
JP4590622B2 (ja) * 2000-01-18 2010-12-01 極東産機株式会社 自動壁紙糊付機
US6575860B2 (en) * 2001-02-28 2003-06-10 Dayco Products, Llc Belt tensioner for a power transmission belt system
AR037180A1 (es) * 2001-11-01 2004-10-27 Gates Corp Disposicion amortiguadora para la transmision por correa para accesorios que incluye un motor/generador
JP2003214508A (ja) * 2002-01-18 2003-07-30 Ntn Corp ベルト張力調整装置
JP4393745B2 (ja) * 2002-03-04 2010-01-06 Ntn株式会社 ベルトの張力調整装置におけるテンションプーリの退避方法
DE10216354A1 (de) * 2002-04-13 2003-10-23 Ina Schaeffler Kg Spannvorrichtung
US7371199B2 (en) * 2003-09-13 2008-05-13 Dayco Products, Llc One-way clutched damper for automatic belt tensioner
JP4540974B2 (ja) * 2003-12-16 2010-09-08 Ntn株式会社 補機駆動用ベルトの張力調整装置
JP2005221036A (ja) * 2004-02-06 2005-08-18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エンジンのベルト張力調整装置
JP2005282807A (ja) * 2004-03-30 2005-10-13 Jatco Ltd 皿バネ
US7887445B2 (en) * 2005-01-20 2011-02-15 Dayco Products, Llc Belt tensioner
US20090131208A1 (en) * 2005-04-08 2009-05-21 Hawryluck Chris D Tensioner With Molded Arm
DE102005031593A1 (de) * 2005-07-06 2007-01-11 Schaeffler Kg Abdichtung für das Lagerauge eines Spannsystems
US7320262B2 (en) * 2005-11-03 2008-01-22 The Gates Corporation Tensioner
DE102006047095B4 (de) * 2006-10-05 2021-05-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JP4976220B2 (ja) * 2007-07-17 2012-07-18 Ntn株式会社 オートテンショナ
DE102007049906A1 (de) * 2007-10-18 2009-04-23 Schaeffler Kg Übertragungselement, insbesondere Riemenscheibe oder Rolle für einen Zugmitteltrieb
JP5497526B2 (ja) * 2009-04-23 2014-05-21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竜野株式会社 軸受構造
US8568259B2 (en) * 2009-09-11 2013-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accessory drive with belt tensioner and same plane idler
CN201963819U (zh) * 2011-01-27 2011-09-07 泉州奇星机械有限公司 一种发动机皮带涨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14390B2 (en) 2016-02-18
JP2016509174A (ja) 2016-03-24
EP2955415A4 (en) 2017-02-22
MX368594B (es) 2019-10-08
CA2900128A1 (en) 2014-08-14
KR101751156B1 (ko) 2017-06-26
US20150354675A1 (en) 2015-12-10
ES2687472T3 (es) 2018-10-25
BR112015019018A2 (pt) 2017-07-18
JP6130930B2 (ja) 2017-05-17
EP2955415B1 (en) 2018-07-18
MX2015010116A (es) 2016-06-14
EP2955415A1 (en) 2015-12-16
CN103982608A (zh) 2014-08-13
RU2609250C1 (ru) 2017-01-31
AU2014214390A1 (en) 2015-08-27
CA2900128C (en) 2017-11-21
WO2014121719A1 (zh) 2014-08-14
CN103982608B (zh)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156B1 (ko) 장력 조절 디바이스
KR101719440B1 (ko) 텐셔너
CN101165996B (zh) 电机垫圈
EP1552189B1 (en) Belt tensioner with integral damping
US9377090B2 (en) Compact tensioner with sustainable damping
KR20020035046A (ko) 전기전자기기의 힌지장치
CN107923498B (zh) 皮带张紧器
US20170353087A1 (en) System for grounding bearings of rotary electric machines, and corresponding electric machine
KR20130038240A (ko) 개선된 시일 요소 접착 이음매를 가지는 저 토크 샤프트 시일
EP3615844B1 (en) Belt driven system
KR101176595B1 (ko) 엘리베이터용 리미트스위치
US8403780B2 (en) Tensioner
RU154884U1 (ru) Выключатель путевой
KR20090063007A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단자
CN216923078U (zh) 可释放静电的张紧器
CN109356855B (zh) 一种制冷设备及其压缩机
KR101236837B1 (ko) 밀봉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풍력 발전기
US20230140725A1 (en) Bearing pivot tensioner assembly
JP2006029536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CN220791856U (zh) 一种刹车盘的全浮动连接结构及刹车盘
US11933355B2 (en) Ball joint
JP2019100542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CN114688169A (zh) 密封组件及密封结构
CN114876964A (zh) 密封组件及滚动轴承
KR19990028725U (ko) 발전기 풀리의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