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060A -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060A
KR20150113060A KR1020157022962A KR20157022962A KR20150113060A KR 20150113060 A KR20150113060 A KR 20150113060A KR 1020157022962 A KR1020157022962 A KR 1020157022962A KR 20157022962 A KR20157022962 A KR 20157022962A KR 20150113060 A KR20150113060 A KR 20150113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ctuating device
controllable switch
remote controllabl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서 캇탁
Original Assignee
덴 오토메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8908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11306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덴 오토메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덴 오토메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3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35Hand-held 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e.g. of audio or video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71Bases, casings, or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switch and an electronic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02Movable contacts fixed to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6Lever; Roc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2Remote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많은 가정 및 직장 전기 기기는 파워 서플라이에 연결되어야 한다. 그것들은 파워 서플라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연결하지 않음으로써 켜지고 꺼진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스위치를 작동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은 가정 전기 기기(170)에 전기 파워를 연결하고 연결하지 않도록 구성된 스위치로 무선으로 작동하는 전기 라이트 스위치(331) 또는 플러그 소켓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빌딩, 캠프용 밴 또는 배의 거주 구역 및 흔히 파워에 연결되는 가정의 기기가 있는 다른 장소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장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90) 및 스위치(330)를 켜고 끄기 위하여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액추에이터(100)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1000)이고, 작동 장치는 노출된 스위치를 가지는 하우징(21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액추에이터는, 사용되는 경우,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스위치를 켜거나 끄기 위해 스위치와 맞물린다.

Description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A REMOTE CONTROLLABLE SWITCH OP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스위칭 장치(switch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기 기기의 스위치를 켜고 끄기 위한(for switching an electrical appliance on and off)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가정 또는 오피스 빌딩(domestic or office building), 캠프용 밴(camper van)과 같은 차량(vehicle) 또는 배의 거주 구역(living quarters of a ship) 및 전기 기기가 흔히 발견되는 다른 장소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사용되는 많은 가정 및 직장 전기 기기는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에 연결된다. 그것들은 상기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연결되고 연결되지 않음으로써 켜지고 꺼진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수동 스위치를 작동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수행된다.
수동 스위치는 파워 소켓(power socket)에 연결된 기기(appliance) 또는 라이트를 켜거나 끄기에 유용하다. 가구 또는 어둠에 의해 가려질 때, 사용자는 보통 파워 서플라이가 켜지거나 꺼지는 것을 스위치의 상태(state) 또는 위치(position)로, 보거나 느낄(그들이 시각장애인인 경우) 수 있다. 사람들은 수동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에 익숙하다.
일부 상황에서, 원격으로 스위치를 작동할 수 있는 것은 더 많이 편리하거나, 훨씬 안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트를 끌 때, 어둠 속에서 방을 가로지르는 것보다 원하는 위치에 닿게 되었을 때 그렇게 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다.
대부분의 스위치가 예를 들어, 벽에 영구히 위치되기 때문에, 그것은 오직 한번에 하나씩, 고정된 구역으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제한된 이동의 사람 또는 침대에 누워있는 사람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기계적인 스위치가 이와 같은 사람에게 닿을 수 없는 경우, 라이트는 켜지고 꺼질 수 없다.
또 다른 문제는 일반적으로 취침 전에, 밤에, 사람이 한번에 하나씩 모든 라이트 및 기기를 끄면서 빌딩 및 가옥(house)을 돌아다녀야 하는 큰 가옥에 있다.
선행 기술에서 이용가능한 스위치의 제한 때문에, 기기는 스위치가 켜진 채로 있어 에너지를 낭비하거나, 전기 사고 또는 전기 화재의 위험을 제기한 채로 스위치가 켜진 채로 있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기기는 기기를 켜기 위한 스위치가 어둠 속에서 쉽게 발견되지 않거나 보이지 않거나 또는 타이머 스위치가 돌려졌기 때문에 스위치가 꺼진 채로 있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수동 스위치의 유용성(usefulness)을 유지하고 전술한 문제를 극복하는 스위치 작동 장치가 필요하다.
다수의 특허 명세서는 전술하거나 유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출원되었다.
중국 유틸리티 모델(Chinese utility model) CN 201 585 173(이 엣 알)(Yi et al)은 제어 패널(control panel) 및 원 적외선(far IR: far infra-red) 트랜스미터(transmitter)를 구성하는 무선 라이팅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유사하게는, 국제 특허 명세서 WO 2008 063 283 (스피라)(SPIRA)는 디머 스위치(dimmer switch)와 같은 원격-제어가능한 로드(load) 제어 장치를 구성하는 라이팅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타이머 스위치의 형태로, 원격 제어 라이팅을 이용할 수 있으나; 종종 비용이 부담스러운 전문 파트로 교체되기 위한 라이트 부속품이 다소 요구된다. 타이머 스위치의 또 다른 문제는 타이밍을 미리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임의의 즉각적인 제어가 허용되지 않고 융통성이 없다는(inflexible)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선행 기술과 관련한 문제를 극복하고 전술한 문제를 극복하는 개선된 스위치 작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 device)로부터 제어 신호(control signal)를 수신하는 수신기(receiver) 및 스위치를 켜고 끄기 위하여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하고, 스위치 작동 장치는 노출된 스위치를 가지는 하우징에 장착(retro-fit)되도록 구성되고, 액추에이터는, 사용되는 경우,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스위치를 켜거나 스위치를 끄기 위해 스위치와 맞물리는(engages)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 인터페이스(switched interface)는 기기를 위한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스위치 및 하우징을 구성하여 바람직하게는(advantageously) 작동 장치가 그것을 '온' 또는 '오프'로 전환하기 위해서(to turn it 'On' or 'off') 전기 커넥터에 전기를 연결하거나 연결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스위치를 켜고 끄기 위하여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스위치의 적어도 일 부분은 스위치의 수동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노출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는 수동 작동을 위하여 노출되어 구성된 스위치를 구성하는 하우징(housing)에 장착(retrofit)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파워이고(battery powered) 이상적으로 휴대용(portable)인 스위치 작동 장치에 원격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작동 장치가 이상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적외선 통신 포트(infra-red communication port)가 장착된 모바일 통신 장치(mobile communication devices)는 적절한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원격 제어기(remote controller)로서 동작(act)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모바일 통신 장치는 휴대용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portable digital assistant), 블랙베리(트레이드마크)(Blackberry(Trade Mark)) 모바일 장치, 아이-폰(트레이드마크)(i-Phone(Trade Mark)) 또는 적절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기 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이 가능한 임의의 유사한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는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displaceable) 기계적 스위치, 바람직하게는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거나 위치를 바꿀 수 있는(repositionable) 토글(toggle), 돌릴 수 있는 손잡이(turnable knob) 또는 로커(rocker)의 형태로 제공한다. 이상적으로, 작동 장치는 원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일(one) 위치 및 상태(온 또는 오프)로부터 또 다른 위치 및 상태(온 또는 오프)로 스위치를 이동시킨다(displaces). 그래서 스위치가 원격으로 작동되고 있을 때, 스위치는 회로를 개방하거나 단락하기 위해 이전하거나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displacement) 또는 위치를 바꿈(repositioning)으로써 수동으로 작동할(operable) 수 있는 동일한 스위치(same switch)는 또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원격으로 작동할 수 있다. 스위치의 원격 작동은 물리적으로 스위치 위치를 변경한다(changes). 위치의 변경은 스위치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사용자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추에이터는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를 전환하면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는 그것이 '온' 또는 '오프' 위치에 있음을 볼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는 하우징 또는 스위치 인터페이스의 외부에 연결되거나 고정(clamped)된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 인터페이스 상에 노출된 스위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가 자리(place)에 고정될 때 부분적으로 노출되거나 노출되게 유지한다(remains exposed or partially exposed). 사용자는 스위치를 만지지(touching) 않고 원격으로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위치를 수동으로 이동시키고 만짐으로써 수동으로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를 전환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일부 예에 있어서,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는 스위치 인터페이스에 고정되고 스위치를 커버한다(covers). 창문 또는 라이트를 예로 들면(In this instance a window or a light), 사용자가 그것의 '오프' 및 '온'이 전환됨으로써 스위치가 이동된 것을 볼 수 있도록,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또는 또 다른 지표(indicator)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기기, 페이셔(fasciae), 소켓(sockets) 또는 콘센트(outlets)의 원격 제어를 허용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는 애프터마켓(aftermarket) 또는 제조(manufacture)에서 각각 이러한 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clamp)는 하나와 또 다른 것과 관련되어 사용되는(in use relative one to another)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및 제2 클램프 파트들로 이루어진다. 클램프 파트들은 페이셔(fascia) 또는 스위치 하우징 상에(onto) 클램프 파트들을 어지(urge)하거나 클램프 파트들을 같이 포스(force)하도록 동작하는 스프링 바이어스(spring bias)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장치는 부품(components)이 숨겨지도록 하우징 또는 페이셔에 통합된다.
작동 장치는 스위치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제1 부품 파트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제2 부품 파트는 전기 백 박스(electrical back box)에 고정되며, 이러한 구성(configuration)에서 부품 파트들이 함께 사용되어 고정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에, 제2 파트는 제1 파트에 저항하여 밀기(push against the first part) 위해서 백 박스 안 또는 위에(onto or into) 스크류될(screwed) 수 있고, 제1 파트는 페이셔에 설치되거나 구성한다. 또한, 전기 연결은 제2 파트로부터 또는 통해(from or via the second part)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장치는 페이셔 또는 스위치로 통합되고(integrated), 파트들(parts)은 설치 후 또는 사용될 때 분리할 수 없게 연결되도록 만들어지거나 완전하게(integrally)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실시예에서, 작동 장치는 사전에 설치된 스위치(pre-installed switch)를 작동하기 위하여 장착(retro-fit)하는데 적절하고, 작동 장치는 페이셔가 표준 지역화된 형식(standard localized format)에 사용 가능할 수 있게 유지되도록(remains) 페이셔에 통합되고, 이상적으로 작동 장치는 페이셔의 뒷면(rear face)에 예를 들어, 페이셔의 미관(aesthetics)에 영향을 주지 않게 포함된다.
이상적으로, 액추에이터는 스위치의 상태 또는 위치가 수동으로 반대가 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식으로 스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치는 또 다른 방과 같은 원격 위치로부터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를 통해 작동할 수 있다.
스위칭 장치가 페이셔 뒤에 스위치 하우징으로 내장(integral)될 때, 스위치는 내부적으로(internally)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지만, 수동으로 작동될 때 스위치는 외부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제어 신호는 집 밖일 때 조차 예를 들어, 집에 도착할 때 라이트를 켜도록 작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수백미터까지의 범위로 송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격 제어기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데 기능하거나(function) 작동될 수 있는 기존 하드웨어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기는 일반적인(universal) 제어기에서 또는 '앱(APP)'과 같은 '스마트-폰(smart-phone)'의 기능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작동 장치 및 원격 제어기는 둘 간의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우선 동기화된다(synchronised). 한번 동기화된 작동 장치 및 원격 제어기는 무선 신호의 승인(acceptance) 및 송신에 의해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페이셔는 벽보다 튀어나온 상태이기(be proud of the wall) 위해 그것이 설치된 벽으로부터 돌출된다(project). 그러므로 외부적으로 설치되거나 장착된 실시예를 위하여, 작동 장치 파트들은 피팅(fitting)의 추가적인 수단을 위한 요건 없이 페이셔에 고정하기(clamp or secure) 위하여 페이셔의 측면에 거는 확장된 단부(extended end portions)를 가짐으로써 이상적으로 페이셔의 적어도 일 부분을 브릿지(bridge), 에워싸기(encompass) 또는 커버(cover)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장치는 스위치 또는 스위치들(switch or switches)에 위치되기 위하여 페이셔를 수직으로 횡단한다(traverses). 예를 들어, 장치의 켜짐 또는 꺼짐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버튼은 눌러질 때 눌러짐이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구상된다(envisaged).
바람직하게는, 작동 장치는 싱글 및 더블 페이셔(single and double fasciae)에 피트(fit)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블 스위치를 위한 추가적인 버튼은 제2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싱글 스위치를 위한 작동 장치는 페이셔 위, 아래(더블 어댑터에서와 같은)(as in the double adapter) 및 측면에 피트하기 위하여 확장된 사이드 엣지(extended side edge)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싱글 작동 장치는 오프셋이기 때문에, 싱글 스위치를 커버하기 위하여, 위 및 아래뿐만 아니라 측면을 에워싸고 있는 어댑터는 더 나은 피트 및 정돈된(neater) 외관(appearance)을 제공할 수 있다.
페이셔에 장착된 장치에서, 내장된 배터리(integral battery)는 장치를 제어하는 파워의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전류(electrical current)에 연결하는 실시예는 폴스 프런트(false front)를 포함할 수 있고/또는 장치가 소켓 또는 물리적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장치는 예를 들어, 작동 장치 및 시스템이 스프링 피트 메캐니즘(spring fit mechanism)을 받아들이지 않는 페이셔를 작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페이셔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거나(permanently fastened) 내장되거나(embedded) 또는 인빌트(inbuilt)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동 장치는 예를 들어, 탄력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멤버(resiliently deformable member), 유연한(flexible) 또는 신축성(elastic) 있는 스트랩(strap)에 의해 페이셔 주위에 피트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는 연결 수단(connection means)에 저항하여 오래 계속된 이전(protracted movement) 없이 스위치를 이전하기 위하여 빠르게 이전한다.
바람직하게는, 또한 작동 장치는 배터리를 위한 요건을 축소(reducing) 및 이전하는(removing) 메인 파워로부터 작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장치는 페이셔에 포함되고, 액추에이터는 전기 회로 또는 콘센트에 전류를 연결하거나 연결하지 않기 위해 스위치에 따라 동작한다.
이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예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가 라이트 및 텔레비전을 켜고 끄기 위하여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를 작동하는 방의 도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싱글 파트 내에 구성된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도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스위치를 포함하는 하우징에 고정가능한 두 개의 파트들과 같은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도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페이셔 상에 사용된 작동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제1 예의 등축도(isometric view)를 도시한다;
도 5는 페이셔 상에 사용된 도 4의 제2 실시예의 제1 예의 뒤쪽(rear) 등축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페이셔 상에 사용된 작동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제2 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제2 실시예의 제2 예의 카카스(carcass)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페이셔에 통합된(integrated) 작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뒤쪽 등축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작동 장치의 제2 실시예의 제3 예의 분해 조립(exploded) 등축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원격 제어기의 실시예의 등축도를 도시한다; 및
도 11은 사용된 도 6의 제2 실시예의 제2 예의 뒤쪽 등축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를 도시한 도식도를 도시한다.
사용자(380)는 의자에 앉아 원격 제어기(300)를 잡고 있다. 사용자는 전기가 사용자의 텔레비전(170)에 공급되는 것에 의해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1000)를 켜고 끄는(turn on and off) 두 개의(two)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원격 제어기를 사용한다.
또한, 사용자(380)는 방 안의 라이트(220)에 전기가 공급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1001)를 켜고 끄는데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원격 제어기(300)를 사용한다.
기기 와이어(appliance wire)(130)는 텔레비전(170)에 연결된다. 기기 와이어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1000)의 소켓(socket)으로 연결되는(plugged) 플러그(plug)(120)를 갖는다.
만일 사용자(380)가 원한다면(prefers), 텔레비전에 공급된 전기를 켜고 끄기 위하여 스위치(330)를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스위치(330)는 사용자가 이전할(move)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만일 사용자(380)가 텔레비전(170)에 전기를 켜고 끄기 위하여 원격 제어기(300)를 사용한다면, 스위치(330)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1000) 내부의(within) 액추에이터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전된다.
라이트 와이어(230)는 라이트(220)에 연결된다. 또한, 라이트 와이어(light wire)(230)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1001) 상의(on) 기기 커넥터(appliance connector)에 연결된다.
사용자(380)는 라이트(220)에 공급된 전기를 켜고 끄기 위하여 작동 장치(1001) 상의 스위치(331)를 수동적으로 작동하는 것 또는 라이트에 공급된 전기를 켜고 끄기 위하여 원격 제어기(300)를 사용하는 것 각각의 선택을 갖는다. 만일 사용자가 라이트를 켜거나 끄기 위하여 원격 제어기를 사용하는 것을 선택한다면, 스위치는 작동 장치 내부의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이전된다.
각각의 작동 장치(1000, 1001)는 원격 제어기(300)에 의해 제공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90)를 갖는다. 원격 제어기(300)는 무선(wireless) 신호를 제공하고 수신기(290)는 무선 수신기이다. 수신기의 일부(portion)는 스위치(330, 331)을 켜거나 끄기 위하여 작동 장치에 명령하는(commands) 각각의 전자기 라디오 신호(electromagnetic radio signal), 가시 또는 비가시 라이트 신호(visible or invisible light signal), 또는 가청 또는 불가청 신호(audible or inaudible sound signal)를 또렷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작동 장치의 외부(external)에 있을 수 있다.
작동 장치(1000, 1001)는 빌딩 전기 배선(building electrical wiring)을 위해 사용된 전기 백 박스(electrical back box)(140)에 의해 수신되도록 구성된(dimensioned and arranged) 하우징(210)을 갖는다.
하우징(210)은 그라운드 케이블(200) 및 파워 케이블(260)과 연결되는 메인 파워 커넥터(mains power connector)를 포함한다.
도 2는 작동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도식을 도시한다. 스위치(330)는 페이셔(190)를 통해 돌출된다. 스위치(330)는 페이셔(190)를 통해 돌출된 자리의(where it protrudes) 스위치(330)를 보고 만질 수 있는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사용자는 전기 접점(electrical contacts)(340)을 이전하기 위하여 스위치(330)를 이동시킨다. 접점(340)을 전기 회로(electrical circuit)(180)의 터미널(terminal)과 접촉시킴으로써, 전기 회로(180)는 단락된다(closed). 사용자는 회로(180)를 개방 및 단락하기 위하여(to open and close) 스위치(330)를 이동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회로(180)는 파워 서플라이 커넥터(power supply connector)(260)를 전기 기기 커넥터(electrical appliance connector)(110)에 연결한다. 기기 커넥터(110)는 텔레비전 기기 와이어(130)의 끝에 도 1의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러그(120)를 받아들이기에(receiving) 적절한 소켓이다. 파워 서플라이 커넥터는 파워 케이블(power cable)(260)에 연결된다. 파워 케이블(260)은 빌딩의 메인 전기 배선의 파트(part)이다. 또한, 소켓(110)의 터미널은 회로(180)에 의해 그라운드 케이블(2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파워 서플라이 커넥터(270)는 파워 케이블(260) 및 그라운드 케이블(200)에 작동 장치의 연결을 간단하게 하기(simplify) 위해 구성된다.
사용자가 회로(180)를 단락하기 위해 스위치(330)를 이전하면, 기기 커넥터(110)는 켜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기기 커넥터에 플러그(120)를 갖는 기기(170)는 메인 전기 서플라이(mains electrical supply)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회로(180)를 개방하기 위해 스위치(330)를 이전하면, 기기 커넥터(110)는 파워 케이블(260)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다(disconnected).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1000)는 하우징(210)에 의해 보호되고(protected) 페이셔(190)에 의해 커버된다(covered). 하우징 및 페이셔는 도 2의 분리된 부품으로서 도시되나, 단일 피스(single piece)일 수 있다.
작동 장치(1000)가 빌딩 벽에 설치될 때, 페이셔는 사용자를 향하도록(to face a user) 구성된다.
수신기(290)는 작동 장치가 제어 신호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수신기(290)는 솔레노이드 릴레이(solenoid relay)(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솔레노이드 릴레이는 파워 서플라이 커넥터(270)에 연결되고, 또한 솔레노이드(310)에 연결된다.
솔레노이드(310)는 이동시킬 수 있는 멤버(displaceable member)(160)를 드라이브(drives)하고 따라서 함께 액추에이터(100)이다(together are an actuator 100). 당업자(skilled person)는 액추에이터를 또 다른 타입의 전자석(electro-magnet)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동시킬 수 있는 멤버(160)는 이동시킬 수 있는 멤버가 스위치를 이전할 때 또한 이전하도록 스위치(330)를 홀드한다(holds). 따라서, 스위치(330)는 액추에이터(100)의 작동에 의해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100)는 솔레노이드(310)를 구성하고, 회로(180)는 버튼 또는 로커의 형태로 스위치(330)를 이동시키거나 누르는(depressing) 액추에이터(100)에 의해 개방되고 단락되지만, 전기-기계적 트랜스듀서(electro-mechanical transducers)의 다른 타입이 알려지고 대체될(substituted) 수 있다. 웜 기어(worm gear)를 가진 모터는 또 다른 예이다. 포스(force)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니어(linear) 솔레노이드일 수 있는 솔레노이드(310)에 의해 생성된다. 솔레노이드는 스위치(330)를 누르기(press) 위하여 액추에이터 또는 플런저(plunger)(160)를 이전하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을 생성한다(creates). 일반적으로, 플런저(160)는 들어갈 때 스위치를 아래로 당기고(pull the switch down when retracted) 확장될 때 스위치를 맞물어 밀어 올리기(engage with and push up the switch when extended) 위하여 스위치(330)와 평행하게(parallel) 이전한다.
작동 장치(1000, 2000)의 일부 예에서, 스위치(330)를 켜고 끄기 위하여, 액추에이터를 작동하는 외부 케이싱(exterior casing)(530) 또는 페이셔(190)에 액추에이터 버튼이 있다. 도 4에서, '온' 버튼(250) 및 '오프' 버튼(251)은 도시된다. 또한, 액추에이터 버튼은 페이셔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솔레노이드는 액추에이터 버튼을 누름으로써 수동으로 활성화될(activated)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의 활성화(Activation)는 온으로부터 오프로 스위치를 토글(toggle)하는, 일반적으로 스위치를 누르는 사람의 행동을 모방하는(mimicking) 제어된 리니어 포스(controlled linear force)를 생산한다. 따라서, 수신기(290)을 통한 원격 활성화는 스위치(330)의 사용자의 수동 이동의 동작(the action of a user's manual displacement of the switch)을 모방한다.
이상적으로 솔레노이드(310)는 신호를 작동 장치에 패스하는 원격 제어기(3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신호는 적-외선(infra-red), 단파 무선 주파수(shortwave radio frequency), 무선 연결(wireless connectivity) 또는 블루투스(트레이드 마크)(Bluetooth (Trade Mark))와 같은 상호-기계 운영성(inter-machine operability)에 의해 송신되는 것으로 구상될 수 있다.
도 2를 세심하게 면밀히 보면, 사용자(380)는 무선 '온'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원격 제어기(300)에게 명령함으로써 원격으로 스위치를 켠다는 것이 확실하다(evident). '온'신호는 수신기(290)에 의해 감지되고 해석된다(interpreted). 수신기(290)는 전기적으로 솔레노이드 릴레이(320)에 연결되고, 단락된 위치로 스위치(330)를 이전시키기 위하여 액추에이터(100)를 작동하는 릴레이를 활성화한다. 그러면, 전기 접점(340)은 전기를 기기 커넥터(110)에 연결된 기기(170)에 제공하기 위하여 회로(180)를 단락한다.
또한, 페이셔(190)를 통해 돌출한 곳에 스위치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스위치가 '온' 위치로 이전된 것을 볼 수 있다.
사용자(380)는 무선 '오프'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원격 제어기(300)에게 명령함으로써 원격으로 스위치를 끈다. '오프'신호는 수신기(290)에 의해 감지되고 해석된다. 수신기(290)는 전기적으로 솔레노이드 릴레이(320)에 연결되고 개방 위치로 스위치(330)를 이전시키기 위하여 액추에이터(100)를 작동하는 릴레이를 활성화한다. 이는 기기 커넥터(110)로 흐르는 전기를 막기 위하여 회로(180)로부터 전기 접점(340)을 연결하지 않는다. 또한, 페이셔(190)를 통해 돌출한 곳에 스위치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스위치가 '오프' 위치로 이전된 것을 볼 수 있다.
신호는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있는 신호 해석 회로(signal interpretation circuit)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구성한 수신기(290)에 의해 수신된다. 해석된 신호(interpreted signal)는 스위치(330)를 켜거나 끄는 것과 같은 원하는 응답(desired response)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예에서 원격 제어기(300)는 익숙한 직사각형의 물체(familiar rectangular object) 또는 케이싱(casing)이다. 원격 제어기는 활성화될 때 작동 장치에 송신(transmission)을 송신하기 위하여 갖춰지고(equipped), 배터리의 형태로 자체 파워 서플라이(its own power supply)를 포함하고 있다. 원격 제어기는 핸드헬드(handheld)이거나 벽에 설치될(wall mounted) 수 있는 것으로 구상된다(envisaged). 원격 제어기(300)는 '온'버튼(252) 및 '오프'버튼(253)을 구성한다. 원격 제어기(300)의 또 다른 예에서, 음성 활성화(voice activated)에 의한 마이크(microphone)를 구성한다. 라디오 전파(radio waves)에 의하여 대응하는(corresponding) 버튼이 바람직하게 눌려질 때, 원격 제어기 무선(remote controller wireless)은 대응하는 '온' 또는 '오프' 명령 신호를 송신한다. 해석 회로는 스위치(330)를 돌려 누르는(turn depress) 플런저(160)를 맞물기 위하여 솔레노이드(310)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는(triggering) 신호를 확인하고 해석한다.
원격 제어 스위치 작동 장치(1000)의 대안적인 구성(alternative configuration)에서, 사용자의 음성은 원격 제어기 동작을 한다. 수신기(290)는 가청음 감지기(audible sound detector)이고 해석 회로는 '온' 및 '오프' 단어를 해석한다.
원격 제어기(300)는 동기화 버튼(syncing buttons)(362, 363)을 구성한다. 원격 제어기의 동기화 버튼(sync button)을 누르는 것은 작동 장치의 수신기(290)에 의해 감지된 무선 동기화 신호(wireless sync signal)를 이슈(issue)하는 것을 야기한다.
원격 제어기(300)가 특정한 원격 제어기 스위치 작동 장치(1000, 1001, 2000)를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작동 장치의 동기화 버튼(360)이 눌러지고 동시에(simultaneously) 원격 제어기 상에서 동기화 버튼(362)이 눌러진다. 두 버튼 모두(Both buttons)는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for a predetermined time) 계속 유지된다(held down).
도 2에 도시된 동기화 회로(sync circuit)(370)는 동기화 버튼(360)을 누름으로써 활성화된다. 동기화 회로는 전기적으로 수신기(290)에 연결된다. 동기화 버튼(362)이 눌려지는 동안 작동 장치(1000)의 동기화 버튼(360)을 누르는 것은 작동 장치 및 원격 제어기가 동기화되는 것을(to by synced) 야기한다. 원격 작동 장치(1000) 및 원격 제어기가 동기화될 때, 동기화 회로(370)는 수신기(290)에 의해 셀레노이드 릴레이(320)에 송신되는 '온' 및 '오프' 명령을 허가하고, 그래서 원격 제어기(300)는 스위치(330)를 작동한다. 원격 제어기 및 작동 장치를 언동기화(unsync)하기 위하여, 원격 제어기 및 작동 장치의 비동기화 버튼(361, 363)을 미리 결정된 시간동안 동시에 눌러진다.
만일 또 다른 사용자가 스위치의 위치를 수동적으로 바꾸는(altering) 동안 일 사용자가 원격으로 스위치(330)의 위치를 바꾸면, 액추에이터는 이를 알 것이고(the actuator will recognize this) 스위치(330)를 수동적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에 의해 원격 명령 신호(remote command signal)가 오버 리든(over ridden)되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 이것은 브레이키지(breakage) 등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 액추에이터는 그것에 저항하는 포스를 알고(actuator recognizes the force acting against it) 그러므로 스위치(330)의 임의의 수동으로 강제된 이동을 저항하는 것(resisting any manually imposed moving of the switch 330)을 정지할 수 있다.
기기 커넥터(110), 파워 서플라이 커넥터(270), 회로(180), 전기 접점(340), 스위치(330), 액추에이터(100), 솔레노이드 릴레이(320), 수신기(290), 하우징(210), 페이셔(190) 등등의 구성(arrangement)은 장치의 제1 실시예를 위한 도 2에서와 같이 도시된다. 이들 부품의 구성은 상기 단락(paragraphs)에서 설명되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다른 실시예가 제1로부터 다를 때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인(practical) 다른 실시예에 적용한다.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의 제2 실시예는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다. 도 8은 결합한(in combination) 제1 및 제2 실시예의 하이브리드(hybrid)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2000)의 제2 실시예의 도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스위치 인터페이스(switched interface)(500)의 페이셔에 부착된(attached) 작동 장치(2000)의 제2 실시예의 제1 예를 도시한다. 스위치 인터페이스(500)는 기기 커넥터(100)에 전기 파워(electrical power)를 켜고 끄는 스위치(330)를 구성한다. 도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기기 커넥터는 플러그 소켓(plug socket)이다.
일반적으로 집 및 사무실은 인터페이스의 소켓(110)에 전기를 켜고 끄기 위하여 또는 라이트 와이어(230)에 연결된 기기 커넥터(110)에 전기를 켜고 끄기 위하여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330)를 구성하는 스위치 인터페이스(switch interfaces)(500)로 건설된다(built).
작동 장치(2000)의 제2 실시예는 외부의(external) 실시예이며, 그것이 스위치 인터페이스(500)의 외부(exterior)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2000)의 제2 실시예는 스위치 인터페이스(500)의 페이셔(190) 위에(onto)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일 예에서, 작동 장치(2000)는 제2 파트(20)에 사용되어 고정되는 제1 파트(10)를 구성한다; 여기서, 파트들(10, 20)은 스위치 인터페이스(500)의 하우징의 페이셔(190)에 작동 장치(2000)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동 장치(2000)는 페이셔(190)인 스위치 인터페이스(500)의 하우징의 파트에 장착(retro-fit)하도록 구성된다. 페이셔는 스위치(330)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작동 장치(2000)의 제2 실시예는 스프렁 메캐니즘(sprung mechanism)(150)에 의해 페이셔(190)에 부착된다. 스프렁 메캐니즘에 의해, 제2 파트(20)를 제1 파트(10)에 관련되어 이동시킬 수 있다. 두 파트들 모두(Both parts)는 파트들이 페이셔를 가로지르기 위해 스프링을 늘림(stretching)으로써 잡아 당겨 분리될(be pulled apart) 수 있다. 클램핑 메캐니즘(150) 스프링(50)은 두 개의 파트들(10, 20)을 함께 끌어당김(draws)으로써, 스위치 인터페이스(500) 하우징의 페이셔(190)에 작동 장치(2000)를 고정한다.
작동 장치(2000)의 제2 실시예는 제1 파트(10),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90) 및 스위치(330)를 켜고 끄기 위하여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액추에이터(100)를 포함한다.
스위치(33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노출된다. 작동 장치(2000)가 사용을 위해 페이셔(190)에 고정되면, 액추에이터(100)는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스위치(330)를 끄거나 켜기 위하여 스위치(330)와 맞물리도록 위치된다(located).
스위치 인터페이스(2000) 외부의 사용을 위해 구성된 작동 장치(2000)의 외부의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작동 장치(2000)는 작동 장치(2000)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의 적어도 두 세트(at least two sets of buttons)를 보유하는(houses) 케이싱(530)을 구성한다. 버튼의 일 세트는 원격 제어기(300)를 작동 장치에 동기화할 수 있다. 버튼의 두 번째 세트는 적어도 일 스위치(330)의 수동 작동을 위한 것이다. 케이싱(530)은 스위치(330)의 온 및 오프를 토글(toggle)하기 위해 활성화될 때 모션(motion)을 생산하는 솔레노이드를 보유한다. 케이싱(530)은 수신기(290)에 의해 수신되고 또한, 케이싱(530)에 의해 보유된 신호를 수신하고 해석하기 위하여 인쇄 회로 기판(PCB) 상의(on) 해석 회로를 보유한다.
작동 장치(2000)의 제2 실시예에서, 케이싱(530) 안에(inside)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가 있다.
작동 장치(2000)의 제2 실시예는 스위치(330)를 원격으로 작동하기 위하여 작동 장치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 제어기(300)와 협력한다(cooperates).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2000)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가 한 것처럼(as the first embodiment does) 사용자(380)를 위해 작동한다(works). 도 1의 예(illustration)에서, 사용자는 텔레비전에 전기를 켜고 끄는 것을 작동 장치(1000)의 제1 실시예에 명령한다. 또한, 사용자는 작동 장치(2000)의 제2 실시예에 라디오(510)를 켜고 끄기 위하여 라디오 와이어 플러그(radio wire plug)(520)에 연결된 전기 소켓(electric socket)에 전기를 켜고 끄는 것을 명령한다.
제2 실시예의 케이싱(530) 안의(inside) 이동시킬 수 있는 멤버(160), 솔레노이드(310), 액추에이터(100), 솔레노이드 릴레이(320), 수신기(29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의 파워 케이블(260)보다는 배터리(145)가 액추에이터(100), 수신기(290), 및 솔레노이드에 파워를 제공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다.
이상적으로, 버튼의 두 세트는 작동 장치의 외부에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위치(user accessible locations)의 서로 다른 위치(different locations)에 위치된다. 활성화 버튼은 쉽게 접근 가능하도록 페이셔 보다 위에(above), 작동 장치의 표면(face)에 위치된다. 활성화 컨트롤(controls) 또는 버튼의 일 세트는 작동 장치(1000, 2000)가 원격 제어기(300)와 동기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것은 분명히 구별할 수 있는 작동 장치 사이드(operating device side)에 위치된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활성화 컨트롤은 영구적으로 개방(open)할 수 있거나 동기화(synchronization)가 획득될(achieved) 수 있는 시간 지연 개방 주기(time delay open period)를 갖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컨트롤은 사용되는 경우 숨겨져 있을 수 있다(be hidden in us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장치 및 원격 제어기는 합성 플라스틱(synthetic plastic) 또는 브러쉬드 스테인레스 스틸(brushed stainless steel)과 같은 별개(discrete)이기 위해 페이셔와 유사하거나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예를 통해 설명되었다. 그러므로, 전술한 것은 본 발명의 원리의 실례(illustrative)로서만 고려된다. 또한, 많은 수정(modifications) 및 변경은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발생할 수 있고, 도시되고 설명된 정확한 구조 및 작동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을 원하지 않으며, 그래서, 모든 적절한 수정 및 등가물(equivalents)은 이어지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 의존될(resorted) 수 있다.

Claims (17)

  1.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스위치를 켜고 끄기 위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스위치의 수동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노출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동 작동을 위하여 노출되어 구성된 상기 스위치를 포함하는 하우징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를 전환하면 상기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이동시키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4.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에 있어서,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스위치를 켜고 끄기 위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작동 장치는 노출된 스위치를 가지는 하우징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사용되는 경우,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스위치를 켜거나 상기 스위치를 끄기 위해 상기 스위치와 맞물리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의 수동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서 노출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인 파워 서플라이에 상기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를 연결시키는 파워 서플라이 커넥터
    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7.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기기에 상기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기기 커넥터
    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전기 회로를 개방 회로로 스위치하기 위하여 개방되고, 전기 회로를 단락하기 위하여 단락되도록 구성된 이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인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전기 회로에의 연결을 통하여 상기 파워 서플라이에 의해 제공되는 파워로 상기 '온' 및 상기 '오프' 위치로 상기 스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전기-기계적 장치인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드러내는(reveal) 구멍(aperture)을 가지는 페이셔
    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파트에 고정되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시킬 수 있는 멤버를 가지는 제1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파트들은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와 관련되게 사용되어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파트들을 함께 어지하도록 동작하는 스프링 바이어스로 연결된 상기 파트들을 사용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켓 전면 커버링(socket front covering) 또는 스위치 인터페이스에 고정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는 페이셔에 형성되거나, 내장되거나 또는 인빌트되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로커 스위치인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및
    상기 수신기에 온 및/또는 오프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원격 제어기
    를 포함하는 시스템.
  17.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에서 실질적으로 설명된 장치.
KR1020157022962A 2013-01-25 2014-01-27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KR201501130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01437.8 2013-01-25
GBGB1301437.8A GB201301437D0 (en) 2013-01-25 2013-01-25 A unit for supplying remote control to an electrical switch
PCT/GB2014/000027 WO2014114905A1 (en) 2013-01-25 2014-01-27 A remote controllable switch opera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060A true KR20150113060A (ko) 2015-10-07

Family

ID=4789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962A KR20150113060A (ko) 2013-01-25 2014-01-27 원격 제어가능한 스위치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50364274A1 (ko)
EP (1) EP2948969B2 (ko)
JP (1) JP2016511963A (ko)
KR (1) KR20150113060A (ko)
CN (1) CN105144326A (ko)
AU (1) AU2014208941B2 (ko)
CA (1) CA2897421A1 (ko)
ES (1) ES2652299T3 (ko)
GB (1) GB201301437D0 (ko)
HK (1) HK1211383A1 (ko)
PL (1) PL2948969T3 (ko)
SA (1) SA515360803B1 (ko)
WO (1) WO2014114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6015661D1 (de) 2005-06-28 2010-09-02 Stryker Corp Angetriebenes chirurgisches werkzeug mit kontrollmodul und einem sensor zur fernüberwachung des stromerzeugungsaggregats für das werkzeug
US9589461B1 (en) * 2014-03-29 2017-03-07 Hkc-Us, Llc Battery powered wall mounted remote control for ceiling fans and lights
US20160063824A1 (en) * 2014-08-26 2016-03-03 Paul Fiore Emergency flashing light system
DE202016102066U1 (de) * 2016-04-20 2017-07-24 Z-Wave Europe Gmbh Schaltaktor
WO2018207204A1 (en) * 2017-05-08 2018-11-15 Indian Institute Of Science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AU2018324075A1 (en) * 2017-08-31 2020-02-20 Smith & Nephew, Inc. Computer-controlled remote power module for use with battery-controlled surgical tools
GB201716582D0 (en) * 2017-10-10 2017-11-22 Den Automation Ltd Remote controllable switch
JP6378415B1 (ja) * 2017-11-09 2018-08-22 株式会社インテリックス 解錠装置及び解錠システム
JP6524313B1 (ja) * 2017-11-09 2019-06-05 株式会社インテリックス 解錠装置及び解錠システム
WO2019107376A1 (ja) * 2017-11-28 2019-06-06 Idec株式会社 操作スイッチユニット、遠隔操作端末および操作システム
US10684972B2 (en) 2017-12-29 2020-06-16 Barco Nv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functional devices available to participants of meetings
JP7162834B2 (ja) * 2018-06-04 2022-10-31 株式会社インテリックス 解錠装置及び解錠システム
JP7478560B2 (ja) 2019-03-29 2024-05-07 Idec株式会社 操作支援システム
JP6732352B1 (ja) * 2019-11-12 2020-07-29 中野 健一 遠隔始動装置及びスタートボタン押下装置
JP2021052418A (ja) * 2020-12-12 2021-04-01 Idec株式会社 非常停止スイッチ用ウェアラブル無線端末
CN114284085B (zh) * 2021-12-24 2024-03-0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江门供电局 一种无线遥控不停电传动分合闸装置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8902A (en) 1968-01-22 1971-01-26 Everett R Casey Remote control wiring system
US3997742A (en) 1975-03-14 1976-12-14 Robertshaw Controls Company Automatic timer switch
US4194182A (en) * 1977-08-23 1980-03-18 Martin James L Electrical switch controllable alternatively by an internal timer and by digital information from a remote source
DE8602473U1 (de) * 1986-01-31 1986-07-03 Dieter Gräßlin Feinwerktechnik, 7742 St Georgen Zeitschaltgerät mit fernsteuerbarer Bedienung der Schaltprogramm-Eingabevorrichtung
JP2572145Y2 (ja) 1990-03-30 1998-05-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遠隔操作用スイッチ取付構造
US5397869A (en) * 1992-12-31 1995-03-14 Qesco International (Canada) Ltd. Electrical switch control device
US5719362A (en) 1995-12-28 1998-02-17 Gray, Jr.; Robert C. Timer control device for wall mounted toggle switch
US5905442A (en) 1996-02-07 1999-05-18 Lutron Electronics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determining the status of electrical devices from remote locations
US6753789B1 (en) 1998-10-08 2004-06-22 Gateway, Inc. Remote control panel
US6714106B1 (en) * 2002-01-04 2004-03-30 Reliance Controls Corporation Switch having integral remote actuating device
CN2620913Y (zh) * 2003-04-21 2004-06-16 叶龙 语音控制家电遥控器
GB2412245B (en) * 2004-03-03 2007-01-10 Frank Joseph Prineppi Remotely controlled rocker switches
US8153918B2 (en) * 2005-01-27 2012-04-10 Black & Decker Inc. Automatic light switch with manual override
US7265292B2 (en) 2005-04-18 2007-09-04 Peter Greenfield Weatherproof while-in-use electrical receptacle cover assembly
US20080111491A1 (en) 2006-11-13 2008-05-15 Spira Joel S Radio-frequency lighting control system
US7956496B1 (en) 2007-07-13 2011-06-07 Diane Pasley Electrical timer having multiple preset timing periods
EP2058829B1 (en) * 2007-11-08 2014-03-05 Unified Packet Systems Corp. Wireless switch module
JP2010096433A (ja) * 2008-10-16 2010-04-30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遠隔操作装置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CN201585173U (zh) * 2009-12-15 2010-09-15 中建五局建筑装饰有限公司 新型无线照明开关
US7964989B1 (en) 2010-09-09 2011-06-21 Green Powe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to an electrically powered device
GB2485805B (en) 2010-11-24 2013-06-26 Cp Electronics Ltd A controller for use with a mechanical switch
CN202662515U (zh) * 2012-05-07 2013-01-09 邓志东 可网络通信程控电源开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08941B2 (en) 2017-11-23
US20150364274A1 (en) 2015-12-17
PL2948969T3 (pl) 2018-03-30
AU2014208941A1 (en) 2015-07-23
EP2948969B1 (en) 2017-09-27
SA515360803B1 (ar) 2016-11-06
GB201301437D0 (en) 2013-03-13
WO2014114905A1 (en) 2014-07-31
EP2948969B2 (en) 2020-12-02
EP2948969A1 (en) 2015-12-02
HK1211383A1 (en) 2016-05-20
JP2016511963A (ja) 2016-04-21
ES2652299T3 (es) 2018-02-01
CN105144326A (zh) 2015-12-09
CA2897421A1 (en)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8969B1 (en) A remote controllable switch operating device
US6989760B2 (en) Garage door remote monitoring and actuating system
DK2819550T3 (en) Control unit for furniture adjusting drive and auxiliary device for a control device
JP5096563B2 (ja) 電源装置
US9812265B2 (en) Switching module for a switch, switch, method for indicating an actuation of a swi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US20150189725A1 (en) Faceplate remote control device for use in a load control system
CN105705065A (zh) 电气装置手持式遥控器以及具有手持式遥控器的电动家具驱动器
GB2485805A (en) Switch having controller with sensor
US20150241857A1 (en) Operating unit of a control device of an adjusting drive for furniture
WO2005038151A2 (en) Tank toilet with autoflusher
CA2452003A1 (en) Remote release for a movable barrier arrangement
US11074807B2 (en) Remote three-way switch
US20160156352A1 (en) Modular touch switch
JPH04351816A (ja) 制御用操作スイッチ用の遠隔駆動装置
KR20090114574A (ko) 리모컨으로 작동되는 전등 온/오프 제어 스위치 장치
CN2901450Y (zh) 多路遥控开关
CN2393299Y (zh) 照明遥控开关
CN215378893U (zh) 一种按摩仪的开启控制装置
CN212647297U (zh) 控制开关
CN201017442Y (zh) 方便寻找的遥控器
EP3035467B1 (en) Control device of flush type for at least one electric user appliance
EP2924700B1 (en) Electronic switch assembly and control system comprising such switch assembly
TW200622169A (en) Refrigerator with night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