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003A - 푸시-푸시 카드 리더용 록킹 동작 장치 - Google Patents

푸시-푸시 카드 리더용 록킹 동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003A
KR20150113003A KR1020157021271A KR20157021271A KR20150113003A KR 20150113003 A KR20150113003 A KR 20150113003A KR 1020157021271 A KR1020157021271 A KR 1020157021271A KR 20157021271 A KR20157021271 A KR 20157021271A KR 20150113003 A KR20150113003 A KR 20150113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card
operating
locking mechanism
car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크하르트 스케베
Original Assignee
암페놀-투켈 엘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투켈 엘렉트로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암페놀-투켈 엘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1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2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being of the push-push ki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 메커니즘의 2개의 이격된 동작 섹션 상에서의 동시적인 2개 지점 동작에 의해서 래칭된 슬라이드-인 위치로부터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카드 수용 서랍을 의도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동작 메커니즘을 가지는 동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푸시-푸시 카드 리더용 록킹 동작 장치{ROCKING OPERATING APPARATUS FOR A PUSH-PUSH CARD READER}
본 발명은 제1항에 따른 푸시-푸시 카드 리더용 동작 장치 및 제8항에 따른 동작 장치를 가지는 푸시-푸시 카드 리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푸시-푸시 원리에 따른 카드 리더용 록킹 동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드 수용 서랍(drawer)에 대한 제1 푸시는 슬라이드를 카드의 판독 위치에 상응하는 휴지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2 푸시로 인해 카드 수용 서랍이 그 제거 위치로 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카드 리더와 관련있는 카드 타입은 스마트 카드, 마이크로 SD 카드 및 카드 리더 내에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기타 카드들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작동가능한 서랍의 모든 타입에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푸시-푸시 리더는 제어 곡선부, 특히 심장-형상의 제어 곡선부를 포함하고, 그러한 곡선부는 제1 푸시 이후에 카드를 판독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추가적인 푸시 이후에 카드를 해제(release)하기 위해서 상응하는 카드 수용 서랍을 래칭(latch)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최종적으로 카드가 리더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비-판독 위치로 카드를 안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특히, 예를 들어 SIM/카드 또는 작은 메모리 카드의 크기 보다 작은 카드 크기를 가지는 마이크로 SD 카드 또는 트랜스플래시 카드와 같은 작은 카드 타입을 위한 푸시-푸시 카드 리더는 지속적으로 소형화되고 있다.
그에 따라, 푸시-푸시 카드 리더가 예로서 EP 2 131 305 A2에 개시되어 있고, 그러한 푸시-푸시 카드 리더는 제어 곡선부 도관 및 제어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요소는 탄성 요소에 연결되고 소위 푸시-푸시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상기 출원에서 개시된 푸시-푸시 메커니즘은, 접촉 캐리어 베이스와 관련하여 2개의 높이 차이만을 이용하여 제어 곡선부 도관을 구현할 수 있게 하고 결과적으로 분명하게 납작한 구축 높이를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카드 리더를 위쪽(overhead)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카드의 낙하가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된 소형화의 결과로서, 이러한 타입의 푸시-푸시 카드 리더를 작동시키는 것 또는 그러한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내외로 수용 서랍을 작동시키는 것과 관련한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으로, 제1 푸시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카드 수용 서랍이 의도하지 않게 카드 리더로부터 제거되고, 다른 한편으로, 카드 수용 서랍의 분실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구현예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여기에서 동작 장치는 푸시-푸시 카드 리더 상에 위치되고 동작 장치는 공구에 의해서만 작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로서, 푸시-푸시 카드 접촉 장치가 종래 기술에서 개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개구부가 전방 단부 면에, 그리고 사실상 카드 수용 서랍의 삽입측 전방 단부 면에 제공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뾰족한 물체(pointed object)를 이용하여 동작 장치의 해제, 다시 말해서 작동이 가능하다.
예로서, 개구부를 통해서 동작 장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구부러진 사무용 스테이플(bent office staple)을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래칭된 판독 위치로부터 카드 수용 서랍을 잠금해제(unlock)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구현예의 경우의 단점은, 카드를 삽입하거나 카드를 제거하기 위해서 푸시-푸시 카드 리더를 개방할 필요가 있을 때, 각각의 경우에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특별한 공구 또는 적절하게 가까운 물체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 개시된 소형화된 푸시-푸시 카드 리더에서의 단점은, 단순한 방식으로 카드 수용 서랍을 제거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다른 한편으로, 공구 없이 작동될 수 있는 카드 수용 서랍의 경우의 단점은, 카드 수용 서랍의 전방 단부 면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 서랍이 의도하지 않게 해제된다는 사실이다. 이는 또한, 장치가 예를 들어 바지 주머니 내부와 같은 주머니 내에서 이송되는 경우에 또는 장치가 다른 물체와 의도하지 않게 접촉되는 경우에, 푸시-푸시 카드 판독 장치가 설치된 장치를 이용하는 중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경우에서, 카드 수용 서랍은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고, 이는 카드 수용 서랍의 분실을 유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카드 수용 서랍을 의도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동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한편으로 작동이 공구 없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의도하지 않게, 다시 말해서 예상하지 못하게 카드 수용 서랍이 해제되는 것을 의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제1항의 특징을 가지는 동작 장치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장치를 가지는 푸시-푸시 카드 리더가 제8항에 따라서 제시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는, 2개의 작동 섹션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을 가지는 동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카드 수용 서랍은 2개의 작동 섹션이 푸시에 의해서 동시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만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압력이 동작 장치 상의 임의 개소로 인가되는 경우에 해제가 방지되도록 보장될 수 있는 반면, 힘이 균일하게 이격된 방식으로, 다시 말해서 대칭적인 방식으로 록킹 메커니즘 상으로 가해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 그에 따라, 동작 장치가 록킹 방식으로 편향되지 않고, 오히려 힘의 평형의 결과로서 병진운동(translational) 방식으로 이동되도록 그리고 결과적으로 카드 수용 서랍이 제1 푸시로 작동되도록, 손가락으로 동작 장치를 누르는 것에 의해서 록킹 메커니즘의 탄성 스트립의 각각의 좌측 작동 섹션 및 우측 작동 섹션으로 압력을 동시적으로 인가하는 방식으로 록킹 메커니즘을 의도적으로 사용자가 작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푸시의 결과로서, 카드 수용 서랍이 푸시-푸시 카드 리더로부터 또는 그 래칭된 삽입 위치의 외부로 해제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설명에서, 동작 장치를, 2개 지점 작동 원리에 따라 기능하는 동작 장치로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록킹 동작 장치의 단일 작동 섹션을 누르는 경우에, 록킹 메커니즘은 단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고, 회전 운동의 결과로서, 힘이 병진운동적 이동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카드 수용 서랍의 의도하지 않은 작동이 방지된다.
그에 따라, 발명에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이격된 2개의 작동 섹션에서의 동시적인 2개 지점 작동에 의해서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카드 수용 서랍을 래칭된 삽입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동작 장치가 제공되고, 작동 메커니즘은:
a) 탄성 스트립 및 탄성 스트립이 형성하는 2개의 작동 섹션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 및
b) 비대칭적인 2개 지점 작동의 경우에 록킹 방식으로, 또는 대칭적인 2개 지점 작동의 경우에 카드 수용 서랍을 래칭된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병진운동 방식으로, 반면에, 록킹 메커니즘의 단일 지점 작동의 경우에 카드 수용 서랍이 래칭된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관절화된(articulated) 방식으로 록킹 메커니즘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탄성 스트립을 가지는 록킹 메커니즘이 제공되고, 그러한 록킹 메커니즘은 "어린이를 위한 록커(child's rocker)"와 같은 기능을 한다. 탄성 스트립은 2개의 작동 섹션을 포함한다. 록킹 메커니즘이 관절화된 방식으로 카드 수용 서랍에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으로 록킹 메커니즘을 작동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사용자는 각각의 푸시 또는 힘의 인가를 위한 록킹 운동만을 수행한다. 예로서, 록킹 메커니즘이 그 제1 작동 섹션 상에서 탄성 스트립의 하나의 측부(side)에서만 눌려진다면,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카드 수용 서랍이 작동되지 않고, 록킹 메커니즘이 록커와 같이 기울어진다. 그에 따라, 카드 수용 서랍의 해제가 방지된다. 만약 사용자가 탄성 스트립 상의 록킹 메커니즘의 반대로(opposite) 놓인 단부 및 사실상 그 제2 작동 섹션을 누른다면, 록킹 메커니즘이 차례대로 록킹 방식으로(이때 다른 록킹 방향으로) 해제되고, 카드 수용 서랍의 작동이 유사하게 방지된다.
또한, 하나의 유리한 구현예에서, 푸시-푸시 카드 리더가 정지부를 포함하고, 그러한 정지부에 대해서 탄성 스트립의 중앙의 중간 섹션이 지지된다. 중앙의 중간 섹션이 록커의 지지 지점에 대비될 수 있을 것이고, 그러한 지지 지점 주위에서 록커의 개별적인 아암이 회전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중앙의 중간 섹션을 누르는 경우에, 록킹 메커니즘의 편향이 유사하게 방지될 것을 필요로 한다.
대조적으로, 만약 탄성 스트립의 하나의 작동 섹션뿐만 아니라 탄성 스트립의 제2 작동 섹션 모두가 2개 지점 작동 원리에 따라서 그리고 사실상 힘의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동시에 눌린다면, 전체 카드 수용 서랍이 병진운동 방식으로 이동되고, 종래 기술에서 개시된 통상적인 푸시-푸시 메커니즘이 해제되어 카드 수용 서랍이 그 판독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하나의 유리한 구현예에서, 결합 수단이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부에 연결되도록 록킹 메커니즘의 중앙의 중간 섹션 내에서 구현되는 방식으로 동작 장치가 구현되고, 그러한 결합부는 카드 수용 서랍의 삽입측 전방 면 상에서 구현된다.
결과적으로, 카드 수용 서랍에 대한 록킹 메커니즘의 단순한 기계적 연결의 결과로서, 록킹 메커니즘이 그 중앙의 중간 섹션에서 서랍에 결합되고 록킹 메커니즘이 결과적으로 소정 타입의 중앙 축 주위로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탄성 스트립이 각각의 경우에 중앙의 중간 섹션의 측부 상에서 각각의 작동 섹션을 형성하고, 각각의 작동 섹션으로 비대칭적인 작동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록킹 메커니즘이 유사하게 록킹 방식으로 편향되는 방식으로 동작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유리하고, 그에 의해서 카드 수용 서랍이 또한, 록킹 메커니즘의 비대칭적인 2개 지점 작동의 경우에, 래칭된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해제되지 않는다.
이는, 다른 측부보다 큰 하중이 록커의 일 측부 상에 작용하고, 그에 의해서 평형 상태가 지지 지점 주위에서 형성되지 않고, 오히려 록커가 하나의 방향으로 편향되는 상황과 개략적으로 비교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리한 구현예에서, 동작 장치는, 록킹 메커니즘의 각각의 작동 섹션 상으로 대칭적인 작동력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탄성 스트립이 삽입 방향(S) 및 사실상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삽입 방향(S)으로 선형 방식으로 작동되고, 다시 말해서 카드 수용 서랍이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삽입 방향으로 작동되고, 그에 의해서 카드 수용 서랍이 래칭된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해제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그에 따라, 발명에 따라서, 통상적인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경우에 카드 수용 서랍이 푸시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작동하는 카드 수용 서랍의 사이트(site)에 배열되는 소정 타입의 어댑터(adapter)가 제공된다. 록킹 메커니즘이 제공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수용 서랍의 작동은, 본원에서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해제 이후에만 발생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유리한 구현예에서, 동작 장치는, 중앙의 중간 섹션에 대해서 간격(d1)을 두고 작동 섹션으로 작동력(F1)을 그리고 중앙의 중간 섹션으로부터 간격(d2)을 두고 이격된 다른 작동 섹션으로부터 작동력(F2)을 동시적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삽입 방향(S)을 따라 선형으로 또는 병진운동 방식으로 록킹 메커니즘이 작동되고, 그에 의해서 카드 수용 서랍이 래칭된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해제되는 방식으로, 동작 장치가 구현된다.
탄성 아암으로서 구현된 2개의 작동 섹션을 가지는 탄성 스트립으로 구현된 탄성 클립으로부터 록킹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또한, 탄성 클립이 연결 섹션에 의해서 작동 섹션에 연결되는 2개의 단부측 탄성 아암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탄성 클립이 구현되고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지지 섹션이 탄성 아암의 단부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록킹 메커니즘이 지지 섹션에 의해서 카드 수용 서랍 상에서 탄성적인 방식으로 지지되거나 카드 수용 서랍에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에서, 탄성 및 록킹 방식의 해제를 허용하는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록킹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캐리어, 및 카드를 수용하기 위해서 캐리어 상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카드 수용 장치 그리고 카드 수용 장치 상에서 제1 푸시의 경우에 캐리어 상에서 카드 수용 장치를 잠금하기 위한 그리고 제2 푸시의 경우에 캐리어로부터 카드 수용 장치를 해제하기 위한 푸시-푸시 메커니즘을 가지는 푸시-푸시 카드 리더를 제공하는 것이며, 카드 수용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시-푸시 카드 리더가, 탄성 스트립이 그 중앙의 중간 섹션에 의해서 대항하여 지지되는 정지부를, 그 캐리어 상에 형성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에서, 비록 푸시의 경우에 또는 록킹 메커니즘의 작동의 경우에, 대칭적인 힘이 그 중앙의 중간 섹션의 영역 내에서 결합되지만, 단일 지점 작동만이 발생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고, 그리고 동시에 이러한 타입의 작동의 경우에 카드 수용 서랍이 작동될 수 없도록 보장된다.
전술한 구현예에 대한 조합 및 대안이 유사하게 본 발명의 청구 대상이 된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되는 예시적인 구현예가 제한적인 것이 아니고, 오히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만을 설명한 것임을 주목하여야 한다.
발명에 관한 추가적인 상세 내용은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구현예에 관한 설명에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은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카드 수용 서랍을 의도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동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한편으로 작동이 공구 없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손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의도하지 않게, 다시 말해서 예상하지 못하게 카드 수용 서랍이 해제되는 것을 의도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동작 장치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제1 예시적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2는 후방에서 본, 도 1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대안적인 동작 장치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푸시 카드 리더의 제2의 예시적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장치(10)를 포함하는 푸시-푸시 카드 리더(1)의 제1의 예시적 구현예를 도시한다.
푸시-푸시 카드 리더(1)는 캐리어(3)를 포함하고, 그러한 캐리어 내에는 또는 캐리어 상에는, 캐리어(3)에 대해서 서랍과 같은 작동을 허용하는 카드 수용 장치(2)가 배열된다. 카드 수용 장치(2)는 해제 위치로부터 판독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작동될 수 있다.
푸시-푸시 카드 리더(1)는 잠금 및 해제 장치(4) 및 사실상 푸시-푸시 메커니즘(4)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심장-형상의 곡선 배열체(arrangement)를 가지는 제어 장치가 푸시-푸시 메커니즘(4)으로서 적합하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카드를 삽입하기 위해서 제1 푸시에 의해서 카드 수용 장치를 그 판독 위치로부터 제거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제2 푸시에 의해서 카드를 판독 위치로 다시 반송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다른 통상적인 푸시-푸시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고, 그러한 푸시-푸시 메커니즘(4)은 카드 수용 장치(2)를 판독 위치에서 래칭한다.
카드 수용 장치(2)는 삽입측 전방 면(5) 및 전방 면(5)에 대향하는 후방 측부(6)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카드 수용 장치(2)는, 그 길이방향 측부 상에서, 각각의 길이방향 측부 엣지(7a, 7b)를 포함한다. 카드 수용 장치(2)는 상응하는 푸시-푸시 카드 리더(1)에 적합한 카드를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결합부(11)가 전방 면(5) 상에 위치되어, 동작 장치(10)를 카드 수용 장치(2)로 연결한다.
동작 장치(10)가, 본 예시적 구현예에서, 카드 수용 장치(2)의 전방 면(5)에 대해서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탄성 스트립(12)으로부터, 록킹 메커니즘(14)으로서 형성된다. 탄성 스트립(12)이, 연결 섹션(18a, 18b)에 의해서 탄성 스트립(12)에 각각 연결되는 각각의 우측 측부 및 좌측 측부 탄성 아암(17a, 17b)에 연결된다.
본 예시적 구현예에서, 록킹 메커니즘(14) 및 그에 따른 탄성 스트립(12) 그리고 그 탄성 아암(17a, 17b)이 탄성적 금속 시트로 형성되고 복수 횟수로 굽혀져서 도 1에 도시된 형상을 획득한다.
록킹 메커니즘(14)은 결합 수단(13)에 의해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부(11)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탄성 스트립(12) 또는 록킹 메커니즘(14)이 록커를 형성하고, 록커의 회전 지점은 결합부(11) 및 결합 수단(13)에 의해서 형성된다. 탄성 스트립(12)은, 카드 수용 장치(2)의 삽입 방향(S)으로 결합부(11) 및 결합 수단(13)의 영역 내에 위치되는 중앙의 중간 섹션(16)을 포함한다.
탄성 스트립은 중앙의 중간 섹션(16)에 인접하여 좌측 측부 및 우측 측부 각각에서 작동 섹션(16a, 16b)을 포함한다. 만약 사용자가 예로서 작동 섹션(16a, 16b) 중 하나를 누른다면, 록킹 메커니즘(14)이 록킹 방식으로 편향된다. 만약 사용자가 예로서 탄성 스트립(12)의 좌측 섹션의 도 1내의 작동 섹션(16a)을 누른다면, 탄성 스트립(17a)의 지지 단부(19a)가 카드 수용 장치(2)의 전방 면(5)을 따라서 활주되는 한편, 록킹 메커니즘(14)이 록커와 유사하게 작동되고 대향하여 위치되는 작동 섹션(16b)은 카드 수용 장치(2)의 전방 면(5)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예를 들어 손가락에 의해서, 압력이 작동 섹션(16b)으로 인가된다면, 동일한 것이, 반대되는 운동 방향으로 발생된다.
그에 따라, 동작 장치(10)는, 작동 섹션(16a) 및 작동 섹션(16b)이 동시에 눌린 경우에만 카드 수용 장치(2)의 삽입 방향(S)을 따른 병진운동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2개-지점 작동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록킹 메커니즘(14)은 록킹 방식으로 편향되지 않고, 결합 수단(13) 및 결합부(11)에 의한 힘의 인가에 의한 동기화된 힘에 의해서, 카드 수용 장치(2)는 삽입 방향(S)을 따른 병진운동 이동을 경험하고 그에 따라 푸시-푸시 메커니즘(4)이 해제되어 카드 수용 장치(2)를 해제하는 방식으로 필요 경로(X)를 커버한다.
그에 따라, 경로(X)는 푸시-푸시 메커니즘(4)을 해제하기 위한 필요 작동 경로를 기술한다. 결과적으로, 삽입 방향을 따른 편향이 작동 경로(X)의 편향 보다 작은, 카드 수용 장치(2)의 작동이 실시되는 경우에, 푸시-푸시 메커니즘(4)이 해제되지 않고, 이는, 록킹 메커니즘(14)의 단일 측면의 작용의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결과적으로, 항상 작동 섹션(16a, 16b) 중 하나의 작동 섹션만이 눌리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록킹 메커니즘(14)만이 해제되고 필요한 경우에 카드 수용 장치(2)는 어떠한 경우에도 필요한 작동 경로(X) 보다 현저하게 짧은 최소 경로를 따라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동작 장치(10)의 동시적인 작동, 말하자면 2개 지점 작동의 결과로서만, 푸시-푸시 메커니즘(4)이 해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카드 수용 장치(2)가 제거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다른 한편으로, 탄성 스트립(12)을 따른 임의의 의도하지 않은 단일 지점 작동의 결과로서, 록킹 메커니즘(14)의 기울어짐 또는 록킹 운동만이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카드 수용 장치(2)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가 방지되도록 보장된다.
도 2는, 중앙의 중간 섹션(16)의 푸시의 경우에, 유사하게, 푸시-푸시 메커니즘(4)의 의도하지 않은 작동 및 그에 따른 카드 수용 장치(2)의 해제가 단지 하나의 작동 지점 상에서의 푸시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것이 어떻게 보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명백한 바와 같이, 캐리어(3)가 그 전방 엣지(30)에서 정지부(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지부(20)는, 도 2의 예시적 구현에에서와 같이, 지향점(point)이 정지부(20)를 형성하는 화살표와 유사한 전방 엣지(30)를 캐리어(3)가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지부(20)는 중앙의 중간 섹션(16)의 영역 내에서 탄성 스트립(12)에 대해서 놓이고, 그에 따라 탄성 스트립(12)을 작동시키거나 내측으로 푸시할 수 없다.
그러나, 도 2에 따른 도면에서, 2개의 작동 섹션(16a, 16b)이 눌려지고 그에 따라 2개 지점 작동이 동시적으로 발생된다면, 탄성 클립(15)이 굽혀지고 록킹 메커니즘(14)이 작동되지 않으며, 각각의 경우에 제1 작동 섹션(16a) 및 제2 작동 섹션(16b) 내에서, 탄성 아암(17a, 17b) 또는 그 탄성 아암의 지지 단부(19a, 19b)가 카드 수용 장치(2)의 전방 면(5)을 눌러 작동 경로(X)를 따른 편향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오히려 탄성 스트립(12)의 굽힘 편향이 발생되고, 그에 의해서 푸시-푸시 메커니즘(4)이 해제된다.
그러나, 만약 2개의 작동 섹션(16a, 16b) 중 하나가 해제된다면, 탄성 스트립(12)의 상응하는 부분이 되튀고(spring back) 록킹 메커니즘(14)의 기울어지는 록킹 운동이 발생되며, 그에 따라 푸시-푸시 메커니즘(4)의 편향이 더 이상 발생할 수 없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예시적 구현예를 도시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 동작 장치(10)는, 유사하게, 탄성 스트립(12), 및 연결 섹션(18a, 18b)에 의해서 탄성 스트립(12)에 연결된 2개의 탄성 아암(17a, 17b)을 포함한다. 탄성 아암(17a, 17b)의 단부가 카드 수용 장치(2)의 결합부(11)에 연결된다.
여기에서 도시된 록킹 메커니즘(14)은 도 1 및 도2에 따른 제1의 예시적 구현예의 록킹 메커니즘에 상응하는 동일한 방식으로 록킹하지 않으나, 유사하게, 록킹 운동되고, 2개의 작동 섹션(16a 또는 16b) 중 하나가 눌린다. 만약 이러한 경우에 중앙의 중간 섹션(16)이 눌린다면, 작동 경로(X)를 따른 카드 수용 장치(2)의 충분한 병진운동 이동이 없이, 탄성 스트립(12)만이 굽혀진다. 대조적으로, 탄성 스트립(12)의 굽힘에 의해서, 요구되는 작동 경로(X)가 카드 수용 장치(2)의 삽입 방향(S)을 따라서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푸시-푸시 메커니즘(4)이 해제되는 방식으로, 탄성 아암(17a, 17b)이 어떠한 경우에도 로딩되도록(loaded), 작동 섹션(16a) 및 작동 섹션(16b) 모두를 동시에 누를 필요가 있다.
1 푸시-푸시 카드 리더
2 카드 수용 장치
3 캐리어
4 잠금 및 해제 장치(푸시-푸시 메커니즘)
5 전방 면
6 후방 측부
7a 길이방향 측부 엣지
7b 길이방향 측부 엣지
10 동작 장치
11 결합부
12 탄성 스트립
13 결합 수단
14 록킹 메커니즘
15 탄성 클립
16 중간 섹션
16a 작동 섹션
16b 작동 섹션
17a 탄성 아암
17b 탄성 아암
18a 연결 섹션
18b 연결 섹션
19a 지지 섹션
19b 지지 섹션
20 정지부
30 전방 엣지
S 삽입 방향
X 작동 경로
F1 작동력
F2 작동력
d1 간격
d2 간격

Claims (10)

  1. 서로에 대해서 이격된 작동 메커니즘(10)의 2개의 작동 섹션(16a, 16b)에서의 동시적인 2개 지점 작동에 의해서 푸시-푸시 카드 리더(1)의 카드 수용 서랍(2)을 래칭된 삽입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작동 메커니즘(10)을 가지는 동작 장치로서, 작동 메커니즘(10)이:
    a) 탄성 스트립(12) 및 2개의 작동 섹션(16a, 16b)을 포함하는 록킹 메커니즘(14), 및
    b) 비대칭적인 2개 지점 작동의 경우에 록킹 방식으로, 또는 카드 수용 서랍(2)을 래칭된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작동 섹션(16a, 16b)에서의 대칭적인 2개 지점 작동의 경우에 병진운동 방식으로, 록킹 메커니즘(14)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록킹 메커니즘(14)의 단일 지점 작동의 경우에 카드 수용 서랍(2)이 래칭된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록킹 메커니즘(14)을 관절화된(articulated) 방식으로 카드 수용 서랍(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13)이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부(11)에 연결되도록 록킹 메커니즘(14)의 중앙의 중간 섹션(16) 내에서 구현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카드 수용 서랍(2)의 삽입측 전방 면(5) 상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트립(12)이 각각의 경우에 중앙의 중간 섹션(16)의 측부 상에서 각각의 작동 섹션(16a, 16b)을 형성하고, 각각의 작동 섹션(16a, 16b)으로 비대칭적인 작동력(F1)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록킹 메커니즘(14)이 록킹 방식으로 편향되고, 그에 의해서 카드 수용 서랍(2)의 래칭된 위치로부터의 의도적인 해제가 실행되지 않거나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트립(12)이, 대칭적인 작동력(F1)을 록킹 메커니즘(14)의 각각의 작동 섹션(16a, 16b)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삽입 방향(S)으로 선형 방식으로 작동되고, 그에 의해서 카드 수용 서랍(2)이 래칭된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의 중간 섹션(16)으로부터 간격(d1)을 두고 상기 작동 섹션(16a)으로 작동력(F1)을 그리고 상기 중앙의 중간 섹션(16)으로부터 간격(d1)을 두고 상기 작동 섹션(16b)으로 작동력(F1)을 동시적으로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삽입 방향(S)을 따라 선형으로 또는 병진운동 방식으로 록킹 메커니즘(14)이 작동되고, 그에 의해서 카드 수용 서랍(2)이 래칭된 위치로부터 의도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메커니즘(14)이, 탄성 아암으로서 구현된 2개의 작동 섹션(16a, 16b)을 가지는 탄성 스트립(12)으로 구현되는 탄성 클립(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클립(15)이, 연결 섹션(18a, 18b)에 의해서 작동 섹션(16a, 16b)에 연결되는 2개의 단부측 탄성 아암(17a, 17b)을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지지 섹션(19a)은 상기 탄성 아암의 단부 상에 배열되고, 상기 록킹 메커니즘(14)은 상기 지지 섹션에 의해서 카드 수용 서랍(2) 상에서 탄성적인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장치(10).
  8. 캐리어(3) 및 카드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캐리어(3) 상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카드 수용 장치(2), 그리고 상기 카드 수용 장치(2)의 판독 위치로의 제1 푸시의 경우에 상기 캐리어 상에서 상기 카드 수용 장치(2)를 록킹하기 위한 그리고 제2 푸시의 경우에 상기 캐리어(3)로부터 상기 카드 수용 장치(2)를 해제하기 위한 푸시-푸시 메커니즘(4)을 포함하는 푸시-푸시 카드 리더(1)에 있어서, 상기 카드 수용 장치(2)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동작 장치(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푸시 카드 리더(1).
  9. 제8항에 있어서,
    결합부(11)가 상기 카드 수용 장치(2)의 전방 면에 부착되고, 상기 동작 장치(10)가 결합 수단(13)으로 상기 결합부에 관절화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푸시 카드 리더(1).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3)가 정지부(20)를 형성하고, 상기 정지부에 대해서 상기 탄성 스트립(12)이 그 중앙의 중간 섹션(16)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푸시 카드 리더(1).



KR1020157021271A 2013-01-29 2013-12-07 푸시-푸시 카드 리더용 록킹 동작 장치 KR20150113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01470.0A DE102013001470A1 (de) 2013-01-29 2013-01-29 Wippend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Push-Push-Kartenleser
DE102013001470.0 2013-01-29
PCT/EP2013/003696 WO2014117797A1 (de) 2013-01-29 2013-12-07 Wippend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push-push-kartenle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003A true KR20150113003A (ko) 2015-10-07

Family

ID=4975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271A KR20150113003A (ko) 2013-01-29 2013-12-07 푸시-푸시 카드 리더용 록킹 동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24666A1 (ko)
JP (1) JP2016506058A (ko)
KR (1) KR20150113003A (ko)
CN (1) CN104956379A (ko)
DE (1) DE102013001470A1 (ko)
WO (1) WO20141177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732A (ko) * 2017-01-12 2019-10-07 랜디스+기어 악티엔게젤샤프트 인클로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계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5435B9 (de) * 2014-04-16 2015-12-10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Wippende Push-Push-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Push-Push-Kartenles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3268A3 (de) * 1996-09-20 1999-01-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Kartenlesevorrichtung
ATE226743T1 (de) * 1998-12-31 2002-11-15 Amphenol Tuchel Elect Kartensperre für smart card connector
JP3367447B2 (ja) * 1999-03-08 2003-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Icカードリーダ
FR2852448B1 (fr) * 2003-03-10 2006-01-20 Itt Mfg Enterprises Inc Connecteur pour une carte a circuit(s) integre(s) comportant un chariot porte-carte integre
US6948956B2 (en) * 2003-05-28 2005-09-27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module ejection system
JP4363636B2 (ja) * 2004-03-17 2009-11-1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Icカードリーダ
JP2006302684A (ja) * 2005-04-21 2006-11-02 D D K Ltd カードコネクタ
DE102005020436B3 (de) * 2005-04-29 2006-11-30 Ddm Hopt + Schuler Gmbh & Co. Kg Kartenleser mit Verriegelung
US7258278B2 (en) * 2005-06-01 2007-08-21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module reader
DE102006015006A1 (de) * 2006-03-31 2007-10-1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artenleser nach dem Push-Push-System
DE102007024714A1 (de) * 2006-07-05 2008-01-10 Andreas Peiker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r SIM-Karte
DE102008026593A1 (de) 2008-06-03 2009-12-10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artenleser für Chipkarten, insbesondere für Micro-SD-Karten und Transflash Karten nach dem Push-Push-Prinzip
US8147262B1 (en) * 2011-08-20 2012-04-0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2732A (ko) * 2017-01-12 2019-10-07 랜디스+기어 악티엔게젤샤프트 인클로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계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24666A1 (en) 2015-11-12
JP2016506058A (ja) 2016-02-25
WO2014117797A1 (de) 2014-08-07
CN104956379A (zh) 2015-09-30
DE102013001470A1 (de)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5578A (en) Contacting apparatus for a chip card
US888253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DK169798B1 (da) Læse-skrive-enhed for IC-kort som ekstern hukommelse
JP3573642B2 (ja) Icカードの接触及び解除機構
US8142229B1 (en) Card connector with cam feature for facilitating insertion of a card
EP0704939A2 (en) PC c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expandable ejector
JP2000251025A (ja) Icカードの接触及び解除機構
US8136734B2 (en) Card reader using the push-push system
KR20150113003A (ko) 푸시-푸시 카드 리더용 록킹 동작 장치
US6736318B2 (en) Smart-card reader including mechanical locking means
EP1174957A3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TWI547028B (zh) 卡連接器
US8303322B1 (en) Card connector anti-misinserting a micro SD card
WO2001059240A1 (en) Safety packing for a product to be exhibited
JP2002534748A (ja) スマートカード接続装置用カードロック機構
JP2004330437A (ja) クリップ
JP200405525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TWI476999B (zh) 卡連接器
JP7271088B2 (ja) カードコネクタ
CN100555761C (zh) 卡弹出机构和包括卡弹出机构的卡连接器
TW200845513A (en) Connection device for locking
US20160247046A1 (en) Rocking push-push activation device for a push-push card reader
JP2004241180A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070295819A1 (en) Pushmatic Smart Card Connector
CN104350512A (zh) 具有抽屉的卡接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