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732A -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732A
KR20150112732A KR1020140128175A KR20140128175A KR20150112732A KR 20150112732 A KR20150112732 A KR 20150112732A KR 1020140128175 A KR1020140128175 A KR 1020140128175A KR 20140128175 A KR20140128175 A KR 20140128175A KR 20150112732 A KR20150112732 A KR 20150112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ll
vehicle
unit
information
settlem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309B1 (ko
Inventor
문희택
마영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1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별로 장착된 통행료 정산 단말기를 통해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도로 통행료 과금 구간의 정산 오류를 방지하고, 도로 통행료 과금 작업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설정 오차 범위 이내의 GPS를 통행료 정산 단말기를 적용하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의 외곽선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정확한 차량의 주행 경로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행료 과금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Toll collection system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통행료 정산 단말기(OBU-On Board Unit)를 이용하여, 차량별 도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기술에 있어서, 차량별로 장착된 통행료 정산 단말기를 통해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도로 통행료 과금 구간의 정산 오류를 방지하고, 도로 통행료 과금 작업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건설, 운영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도로 구간별로 주행 차량에 대해 통행료를 징수하는데, 고속도로 등과 같은 유료도로의 통행료 징수방법은 도로 진입 톨게이트에서 선불카드 또는 통행권을 발급받은 후에 진출 톨게이트에서 요금징수원이 수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하거나, 어떤 구간에서는 도로 진입 톨게이트에서 요금징수원이 수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하고 있다. 이는 요금징수를 위하여 톨게이트에 정차하는 차량들로 인한 차량정체가 가중되며, 요금징수원의 배치에 따른 인건비 증가와 선불카드 또는 통행권 발급에 따른 비용지출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통행료 징수에 따른 불편과 교통지체현상의 최소화를 지향하고, 요금징수 전산화를 위한 목적으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을 도입하여, 현재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에서 통행료 자동징수를 위한 무선 송수신 시스템을 설치하여 이 무선 송수신 시스템과 무선통신방식에 의하여 통행료를 자동으로 정산하기 위한 통행료 정산 단말기(On Board Unit; 이하, "OBU"라 한다)를 차량에 탑재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도 자동으로 통행료를 과금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1161838호(2012. 06. 2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합차로제어기 동작에 따른 통행료 과금의 오류를 모니터링하는 기술 등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 OBU를 통한 자동 통행료 과금 시스템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가도로, 분기점, 고속도로 및 국도의 접도 구간 등 위치 정보의 취득 및 기록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통행료 과금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 OBU를 통한 자동 통행료 과금 시스템은 도 8의 (b)와 같이, 차량 주행 시, 일정 간격으로 GPS 정보, 시간, 속도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인트 정보로 저장한 후, 통행료 과금 센터로 전송하며,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한 통행료 과금 센터에서는 차량의 위치에 따른 주행 경로를 분석하여, 과금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OBU를 통한 자동 통행료 과금 시스템의 경우, 차량의 주행 거리가 늘어날수록 OBU에서 저장하는 데이터가 늘어나며, 통행료 과금 센터로 차량 위치 정보를 전송 시, 전송 패킷이 증가하고 주행 차량이 늘어날수록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며, 통행료 과금 센터 또한 차량의 도로 통행료 과금 작업에 따른 부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10-1161838A, 2012. 06. 26, 8쪽 내지 9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의 목적은 설정 오차 범위 이내의 GPS를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 적용하고, 주행 경로의 외곽선 패턴을 벡터 데이터로 추출하여 신뢰성 있는 차량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 경로를 벡터 데이터로 처리하는 통행료 정산 단말기 및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서 차량별 벡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라 통행료를 과금하는 통행료 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행료 정산 단말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네비게이션 수신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로그 기록 정보의 저장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수신부에서 수신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 시간의 주행 기록을 시간적 경과 정보를 포함하여 벡터 데이터로 생성한 후, 궤적 처리하여, 차량의 주행 구간과 과금 구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정산제어부 및 상기 정산제어부와 연결되어, 통행료 과금 서버에 차량의 벡터 데이터를 포함한 주행 구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통행료 과금 서버로부터 도로 통행료 과금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통행료 과금 서버는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로부터 벡터 데이터로 궤적 처리된 차량의 주행 구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구간 정보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정보를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통신부, 상기 서버통신부와 연결되어, 차량별 주행 경로에 따른 통행료 과금 작업을 제어하는 과금제어부, 상기 서버통신부에서 전달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와 과금 경로를 매칭하는 경로매칭부 및 상기 경로매칭부의 매칭 결과에 따라 정상 매칭된 주행 경로의 구간별 도로 통행료를 산정하는 통행료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방법은 (a) 통행료 정산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경로를 벡터 데이터로 기록하는 단계 및 (b) 통행료 과금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벡터 데이터로 차량별 주행 경로의 패턴을 매칭하여 통행료를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단계는 (a-1) 네비게이션 수신부를 이용하여, GPS 또는 GLONASS 정보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a-2) 정산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시간 정보를 적용하여 벡터 데이터로 궤적 처리를 하는 단계, (a-3) 차량의 주행 구간과 과금 구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4) 통신 모뎀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구간 정보를 통행료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서버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로부터 벡터 데이터로 처리된 차량의 주행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2) 경로매칭부를 이용하여, 차량별 주행 경로와 과금 경로의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b-3) 통행료산정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른 도로 통행료를 산정하는 단계 및 (b-4) 서버통신부를 이용하여, 산정된 도로 통행료를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은 설정 오차 범위 이내의 GPS를 통행료 정산 단말기를 적용하고, 벡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의 외곽선 패턴을 추출함으로써, 정확한 차량의 주행 경로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행료 과금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통행료 정산 단말기를 통해 산출된 주행기록 데이터를 통행료 과금 센터에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통행료 과금 센터의 작업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통행료 과금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통행료 정산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주행경로의 벡터 데이터 처리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에 있어서, 통행료 과금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방법에 있어서, S10 단계 및 S20 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방법에 있어서, S70 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8은 종래 도로 통행료 과금 방식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통행료 정산 단말기(10), 노변 기지국(20) 및 통행료 과금 서버(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10)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 경로를 벡터 데이터로 처리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수신부(11), 정산제어부(12), 통신모뎀부(13), 심카드부(14), 근거리전용 통신부(15), 메모리부(16), 전원 공급부(17), 경보음발생부(18) 및 표시부(19)를 포함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수신부(1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tellite System) 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차량의 위치 정보는 상기 정산제어부(12)에 전달된다.
상기 정산제어부(12)는 상기 전원공급부(17)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로그 기록 정보의 저장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수신부(11)에서 수신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 시간의 주행 기록을 시간적 경과 정보를 포함하여 벡터 데이터로 생성한 후, 궤적 처리하여, 차량의 주행 구간과 과금 구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주행 구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운행 경로 상의 위치 정보를 벡터 데이터로 처리하고, 상기 벡터 데이터에 시간 경과 정보를 적용하여, 주행 구간을 궤적 처리하며, 이러한 궤적 처리된 주행 구간 패턴을 과금 도로의 패턴와 매칭하여, 과금 구간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통신모뎀부(13)는 상기 정산제어부(20)와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하여, 슬롯에 장착된 심카드(Sim card)를 지원하며,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통행료 과금 서버(30)에 차량의 벡터 데이터를 포함한 주행 구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통행료 과금 서버(30)로부터 도로 통행료 과금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심카드부(14)는 상기 통신모뎀부(13)에 장착된 심카드를 인식하여, 차량 및 운전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심카드를 통해 차량과 운전자를 식별할 수 있으며, 근거리전용 통신부(15)는 상기 정산제어부(12)와 연결되어, 상기 노변 기지국(20)에 차량의 속도 및 차량의 주행 상태를 전달한다.
상기 무선통신 모듈부(155)는 상기 정산제어부(20)와 연결되어, 등록된 차량 및 사용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외부에 전달하고,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정산제어부에 전달하고, 경찰 통제를 위해 차량의 주행 이력을 외부에 전달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모듈부(155)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2진 CDMA(Binary CDMA), 적외선 및 고주파/저주파 RF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전원공급부(17)는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1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7)의 최초 구동 및 전원 차단 동작에 따라 로그 기록 정보가 생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원공급부(17)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171), 상기 배터리부(171)의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부(172) 및 상기 충전 장치부(172)와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소켓부(173)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음발생부(18)는 상기 정산 제어부(20)와 연결되어, 도로 통행료 과금 상황의 발생, 전원 공급 차단 상황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황 발생을 외부에 알리며, 상기 표시부(19)는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10)의 구동 상태, 도로 통행료 과금 상황을 외부에 표시한다.
상기 통행료 과금 서버(30)는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서 차량별 벡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라 통행료를 과금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행료 과금 서버(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통신부(31), 과금제어부(32), 경로매칭부(33), 통행료산정부(34) 및 주행경로 재확인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통신부(31)는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10)로부터 벡터 데이터로 궤적 처리된 차량의 주행 구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과금제어부(32)에 전달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구간 정보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정보를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10)에 전송하며, 상기 과금제어부(32)는 상기 서버통신부(31)에서 전달된 차량별 주행 경로에 따른 통행료 과금 작업을 제어한다.
상기 경로매칭부(33)는 상기 과금제어부(3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서버통신부(31)에서 전달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와 과금 경로의 패턴을 매칭하며, 상기 통행료산정부(34)는 상기 경로매칭부(33)의 매칭 결과에 따라 정상 매칭된 주행 경로의 구간별 도로 통행료를 산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경로 매칭부(33)는 종래의 버추얼 포인트(virtual point)를 분석한 주행 경로 추출이 아닌 벡터 데이터에 의한 주행 구간 패턴을 비교하는 작업으로 진행되므로 과금 오류 발생을 방지하고, 과금 작업의 부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며, 도로 통행료 산정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행료 과금 서버(30)는 주행경로 재확인부(3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행경로 재확인부(35)는 상기 과금제어부(32)와 연결되어, GPS 또는 GLONASS 오차 발생이 잦은 구간에 관하여 주행 경로를 재확인하며, 이러한 주행경로의 재확인 작업을 통해 오차 발생이 잦은 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금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을 이용한 도로 통행료 과금 방법의 전체 흐름도로,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10)의 전원을 공급 시, 로그 기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0),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경로를 벡터 데이터로 기록하는 단계(S20) 및 상기 통행료 과금 서버(30)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상기 벡터 데이터로 차량별 주행 경로의 패턴을 매칭하여 통행료를 과금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도 6은 상기 S10 단계 및 S20 단계의 상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전원공급부(17)를 이용하여, 통행료 정산 단말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1)를 수행하고, 상기 메모리부(16)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에 따른 로그 기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3)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네비게이션 수신부(11)에서 수신된 GPS 또는 GLONASS 정보로 비과금 도로 운행을 확인하는 단계(S21)를 수행하며, 지속적으로 GPS 또는 GLONASS 정보를 수신하여, 과금 도로의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를 수행한다.
상기 S23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수신부(11)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되면 정산제어부(12)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시간 정보를 적용하여 벡터 데이터로 궤적 처리를 하고, 궤적 처리된 차량의 주행 구간과 과금 구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말하며, S23 단계를 통해 과금 도로의 운행이 확인되면, 상기 메모리부(16)에 과금 로그 정보를 하는 단계(S25)를 수행하며, 이후, 정산제어부(12)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가 과금 도로 경로를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6)를 수행하고, 상기 S26 단계에서 차량이 과금 도로 경로를 이탈하였다면 차량의 주행 구간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을 계산하는 단계(S27)를 수행하고, 상기 통신 모뎀부(13)를 이용하여, 계산된 도로 통행료 과금 정보, 차량 주행 정보 및 로그 기록 정보를 상기 통행료 과금 서버(30)에 전달하는 단계(S29)를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S30 단계의 상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서버통신부(31)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10)로부터 벡터 데이터로 처리된 차량의 주행 경로 정보 및 통행료 과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1)를 수행하고, 상기 경로매칭부(33)를 이용하여, 차량별 주행 경로와 과금 경로의 패턴을 확인(S32)하고, 상기 차량별 주행 경로와 과금 경로의 패턴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3)를 수행한다.
상기 S33 단계에서 차량의 주행 경로와 과금 경로의 패턴이 서로 일치할 경우, 상기 통행료산정부(34)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른 도로 통행료를 산정하는 단계(S34)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가 GPS 또는 GLONASS 오차 발생이 잦은 구간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35)를 수행하고, 상기 S35 단계에서 차량의 주행 경로가 오차 발생이 잦은 구간이라 판단될 경우, 상기 주행 경로 재확인부(35)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경로와 과금 경로의 패턴을 재확인하는 단계(S36)를 더 수행하고, 상기 S35 단계에서 차량의 주행 경로가 오차 발생이 잦은 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서버통신부(31)를 이용하여, 산정된 도로 통행료를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S37)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적용 시, 설정 오차 범위 이내의 GPS를 통행료 정산 단말기를 적용하고, 벡터 데이터로 궤적 처리된 차량의 주행 경로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통행료 과금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통행료 정산 단말기를 통해 산출된 주행기록 데이터를 통행료 과금 센터에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통행료 과금 센터의 작업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통행료 과금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1 : 과금도로 3 : 비과금도로
4 : 오차 발생 구간 5 : 버츄얼 포인트
7 : 벡터 데이터 10 : 통행료 정산 단말기
11 : 네비게이션 수신부 12 : 정산제어부
13 : 통신모뎀부 14 : 심카드부
15 : 근거리전용 통신부 16 : 메모리부
17 : 전원 공급부 18 : 경보음발생부
19 : 표시부 20 : 노변 기지국
30 : 통행료 과금 서버 31 : 서버통신부
32 : 과금제어부 33 : 경로매칭부
34 : 통행료 산정부 35 : 주행경로 재확인부

Claims (14)

  1.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 경로를 벡터 데이터로 처리하는 통행료 정산 단말기 및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서 차량별 벡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라 통행료를 과금하는 통행료 과금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네비게이션 수신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로그 기록 정보의 저장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수신부에서 수신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일정 시간의 주행 기록을 시간적 경과 정보를 포함하여 벡터 데이터로 생성한 후, 궤적 처리하여, 차량의 주행 구간과 과금 구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정산제어부 및
    상기 정산제어부와 연결되어, 통행료 과금 서버에 차량의 벡터 데이터를 포함한 주행 구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통행료 과금 서버로부터 도로 통행료 과금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는,
    상기 정산제어부와 연결되어, 차량 및 사용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등록하는 심 카드부;
    상기 정산제어부와 연결되어, 노변 기지국에 차량의 속도 및 차량의 주행 상태를 전달하는 근거리전용 통신부 및
    상기 정산제어부와 연결되어, 등록된 차량 및 사용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외부에 전달하고, 도로 구간의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정산제어부에 전달하고, 경찰 통제를 위해 차량의 주행 이력을 외부에 전달하는 무선통신 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는,
    상기 정산제어부와 연결되어, 차량 및 사용자 정보, 로그 기록 정보, 차량 주행 이력 정보 및 도로 통행료 정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의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충전장치부 및
    상기 충전장치부와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소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는,
    상기 정산제어부와 연결되어, 도로 통행료 과금 상황의 발생, 외부 단속 단말기의 접근 상황 발생, 전원 공급 차단 상황 발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황 발생을 외부에 알리는 경보음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는,
    상기 정산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의 구동 상태, 도로 통행료 과금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과금 서버는,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로부터 벡터 데이터로 궤적 처리된 차량의 주행 구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구간 정보에 따른 도로 통행료 과금 정보를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통신부;
    상기 서버통신부와 연결되어, 차량별 주행 경로에 따른 통행료 과금 작업을 제어하는 과금제어부;
    상기 서버통신부에서 전달된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와 과금 경로를 매칭하는 경로매칭부 및
    상기 경로매칭부의 매칭 결과에 따라 정상 매칭된 주행 경로의 구간별 도로 통행료를 산정하는 통행료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료 과금 서버는
    상기 과금제어부와 연결되어, GPS 또는 GLONASS 오차 발생이 잦은 구간에 관하여 주행 경로를 재확인하는 주행경로 재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10. (a) 통행료 정산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경로를 벡터 데이터로 기록하는 단계 및
    (b) 통행료 과금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벡터 데이터로 차량별 주행 경로의 패턴을 매칭하여 통행료를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네비게이션 수신부를 이용하여, GPS 또는 GLONASS 정보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a-2) 정산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에 시간 정보를 적용하여 벡터 데이터로 궤적 처리를 하는 단계;
    (a-3) 차량의 주행 구간과 과금 구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a-4) 통신 모뎀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구간 정보를 통행료 과금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서버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통행료 정산 단말기로부터 벡터 데이터로 처리된 차량의 주행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2) 경로매칭부를 이용하여, 차량별 주행 경로와 과금 경로의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b-3) 통행료산정부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른 도로 통행료를 산정하는 단계 및
    (b-4) 서버통신부를 이용하여, 산정된 도로 통행료를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 이후에,
    (b-5) 주행 경로 재확인부를 이용하여, GPS 또는 GLONASS 오차 발생이 잦은 구간에 관하여 주행 경로를 재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c) 전원공급부를 이용하여, 통행료 정산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d) 메모리부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에 따른 로그 기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통행료 과금 방법.
KR1020140128175A 2014-03-27 2014-09-25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7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5820 2014-03-27
KR1020140035820 2014-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732A true KR20150112732A (ko) 2015-10-07
KR101617309B1 KR101617309B1 (ko) 2016-05-02

Family

ID=54343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175A KR101617309B1 (ko) 2014-03-27 2014-09-25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3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9394A (zh) * 2018-11-15 2019-04-02 安徽信果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微信小程序的高速路口自助缴费方法
CN110895836A (zh) * 2018-09-12 2020-03-20 北京聚利科技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与系统、标识设备与车载设备
CN112685520A (zh) * 2020-12-22 2021-04-20 北京中交兴路信息科技有限公司 根据车辆轨迹判断车辆进出收费站的方法及装置
CN114639180A (zh) * 2022-03-25 2022-06-17 广西交科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微服务的高速公路计费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8954B2 (ja) * 2010-06-15 2014-08-27 株式会社東芝 料金算出システムおよび料金算出方法
KR101077943B1 (ko) 2011-02-10 2011-10-28 박성욱 도로 통행료 정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5836A (zh) * 2018-09-12 2020-03-20 北京聚利科技股份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与系统、标识设备与车载设备
CN109559394A (zh) * 2018-11-15 2019-04-02 安徽信果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微信小程序的高速路口自助缴费方法
CN112685520A (zh) * 2020-12-22 2021-04-20 北京中交兴路信息科技有限公司 根据车辆轨迹判断车辆进出收费站的方法及装置
CN114639180A (zh) * 2022-03-25 2022-06-17 广西交科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微服务的高速公路计费装置及系统
CN114639180B (zh) * 2022-03-25 2023-11-28 广西交科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微服务的高速公路计费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7309B1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5884B1 (en) Mobile object charging system and mobile object charging method by mobile object charging system
US9460429B2 (en) GPS-based toll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368109B1 (ko) 요금 징수 시스템
KR101617309B1 (ko) 도로 통행료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654562A (zh) 一种用于高速公路不停车收费的系统和方法
KR101364330B1 (ko) 차량 탑재기 및 요금 징수 시스템
CN102354405A (zh) 车辆驾驶服务终端系统及其工作方法
CN105336009A (zh) 一种基于卫星定位的高速公路收费系统
CN108230746A (zh) 一种基于北斗+rtk高精度定位的路侧停车管理系统
KR19990035920A (ko) 차량의 이동거리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933345A (zh) 用于通信和行进跟踪的装置
CN107578482A (zh) 基于物联网技术的快速高速公路不停车收费系统及方法
CN110599612B (zh) 高速公路不停车自动收费的方法、设备、存储介质
CN105654757A (zh) 路面信息获取方法及系统
KR20140140689A (ko) 위치정보기반의 가상요금소 설정 및 통행료 지불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33958A (ko) 주행차량 충전 및 과금 시스템
KR101077943B1 (ko) 도로 통행료 정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SG174162A1 (en) Charging system, charging method, controller and program
CN203444645U (zh) 一种应用于高速公路的车辆行驶路径识别装置
AU2007264484A1 (en) Toll collection system
JP2010015454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KR101024786B1 (ko) 차량 탑재기
CN103473821A (zh) 道路交通收费方法、装置及系统
KR101568611B1 (ko) 도로 통행료 회피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RU2417447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отклонений геообъе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