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522A - 사물함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522A
KR20150112522A KR1020140036881A KR20140036881A KR20150112522A KR 20150112522 A KR20150112522 A KR 20150112522A KR 1020140036881 A KR1020140036881 A KR 1020140036881A KR 20140036881 A KR20140036881 A KR 20140036881A KR 20150112522 A KR20150112522 A KR 20150112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ever
rotation
lo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9991B1 (ko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4003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99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Abstract

사물함 잠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물함 잠금장치는: 도어에 구비되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레버부와, 작동레버부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사물함의 걸림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걸쇠 및 도어의 닫힘시 작동레버부를 최초위치로 복원하여 걸쇠와 걸림부를 결합시키는 자동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함 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CABINET}
본 발명은 사물함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닫힘 시 자동잠금이 가능한 사물함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사물함이란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함으로써, 대중이 모이는 독서실, 학교 목욕탕, 스포츠센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도어에 이름표를 넣을 수 있는 이름표함과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와 사물함의 도어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석과 금속판으로 형성된 고정부와, 또한 사물함을 자물쇠에 의해 잠글 수 있도록 자물쇠걸편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사물함은 이름표, 손잡이, 고정부, 자물쇠 걸편을 별도의 부품으로 각각 설치해야 하므로써 사물함을 조립함에 있어 많은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저하되었으며 다양한 부품으로 인하여 사물함의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자물쇠의 키를 분실할 경우에는 도어의 개방을 위해 자물쇠걸편을 해체해야만 분리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415061호(등록일:2006.04.28)에는 "매립형 사물함 손잡이"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닫힘과 연동되어 자동으로 잠금 가능한 사물함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는: 도어에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레버부와, 상기 작동레버부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사물함의 걸림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걸쇠 및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작동레버부를 최초위치로 복원하여 상기 걸쇠와 상기 걸림부를 결합시키는 자동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부는 상기 본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회전레버와 상기 걸쇠를 연결하는 작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쇠는 상기 회전레버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작동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레버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고, 상기 걸쇠와 결합되는 편심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회전레버에 형성되는 잠금홀과, 상기 걸쇠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내에 수용되며, 상기 잠금홀과 대응되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잠금편과, 상기 잠금홀과 상기 연결홀에 결합되는 자물쇠 및 상기 자물쇠의 분리시에만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잠금부는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열림위치를 고정하고, 선택적으로 고정해제하는 자동작동부 및 상기 자동작동키부에 의한 고정해제 시 상기 작동플레이트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동작동부는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후면에 구비되는 걸림홈부와,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어 일측은 상기 걸림부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되는 위치고정작동바 및 상기 위치고정작동바를 상기 작동플레이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작동바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원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원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작동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복원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는 자물쇠의 분리 시에만 걸림쇠의 작동이 가능하고, 걸림쇠가 슬라이드방식이 아닌 회동방식에 의해 잠금되므로 외력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어 사물함의 잠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레버의 회전이 작동플레이트를 회전시키고, 작동플레이트에 편심되게 형성되는 편심축이 걸쇠를 회동시킴으로, 회전레버의 작은 힘으로 걸쇠를 회동시킬 수 있어 개폐작동이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닫힘 시 자동잠금부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잠금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를 도어에 결합하는 배면커버와 전면커버가 간단한 조립구조에 의해 분리 가능하여 파손된 해당부품만 교체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정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구속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자동잠금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자동잠금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작동레버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는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정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배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구속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자동잠금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자동잠금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작동레버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100)는 본체(110), 작동레버부(120), 걸쇠(130) 및 구속부(14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도어(20)의 설치공에 구비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10)는 도어(20)와 유사한 두께로 형성되고, 전면이 도어(20)의 전면보다 함몰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설치케이스(112)와, 설치케이스(112)의 후측에 구비되어 도어(20)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케이스(114)로 이루어진다.
작동레버부(12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걸쇠(130)는 작동레버부(12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사물함(10)의 걸림부(30)와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작동레버부(12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레버(122)와 회전레버(122)와 걸쇠(130)를 연결하는 작동플레이트(124)를 포함한다.
설치케이스(112)의 중앙은 개구되어 형성되고, 개구를 통해 회전레버(122)는 설치케이스(112)의 전면으로 돌출되고, 작동플레이트(124)는 설치케이스(112)의 후면에 구비된다. 회전레버(122)와 작동플레이트(124)는 후크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걸쇠(130)는 작동플레이트(124)에 결합되며, 측면으로 굴절되어 걸림부(30)측으로 연장된다.
걸쇠(130)의 후면에는 회전블럭(135)이 결합되고, 후면케이스(114)의 중심축(115)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회전레버(122)의 회전 시 작동플레이트(124)는 물론, 걸쇠(130)도 중심축(11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레버(122)는 중심축(115)의 동일선상의 전방에 위치된다.
걸쇠(130)는 회전레버(122)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작동플레이트(124)는 회전레버(12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고, 걸쇠(130)와 결합되는 편심축(125)이 구비된다. 즉, 걸쇠(130)는 회전레버(122)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동되되, 회전레버(12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편심축(125)에 결합되므로써, 걸쇠(130)의 회동시 회전레버(122)의 작은 힘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후면프레임에는 걸쇠(130)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는 제한홀부(116)가 형성된다. 제한홀부(116)는 후면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90도 개구되어 걸쇠(130)의 회동을 안내함은 물론, 회동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속부(140)는 작동레버부(1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으로서, 회전레버(122)에 형성되는 잠금홀(142)과, 걸쇠(130)에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레버(122) 내에 수용되며, 잠금홀(142)과 대응되는 연결홀(145)이 형성되는 잠금편(144)과, 잠금홀(142)과 연결홀(145)에 결합되는 자물쇠(146) 및 자물쇠(146)의 분리시에만 회전레버(122)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방지부(150)를 포함한다.
회전방지부(15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122)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돌기(152)와, 회전방지돌기(152)가 삽입되도록 본체(110)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홀부(154) 및 회전레버(122)와 본체(11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56)를 포함한다. 즉, 본체(110)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회전방지돌기(152)가 회전방지홀부(154)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회전레버(122)가 회전되지 않으며, 탄성부재(156)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방지돌기(152)가 회전방지홀부(154)로부터 이탈되면, 회전레버(122)는 회전될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152)와 회전방지홀부(154)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탄성부재(156)는 회전방지돌기(152)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100)는 도어(20)의 닫힘 시 작동레버부(120)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자동잠금부(160)를 포함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자동잠금부(160)는 작동플레이트(124)의 열림위치를 고정하고 선택적으로 고정해제하는 자동작동부(170) 및 자동작동부(170)에 의한 고정해제 시 작동플레이트(124)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부(180)를 포함한다.
자동작동부(170)는 작동플레이트(124)의 후면에 구비되는 걸림홈부(172)와, 본체(110)에 힌지 연결되어 일측은 걸림부(30)와 접촉되고, 타측은 걸림홈부(172)에 결합되는 위치고정작동바(174) 및 위치고정작동바(174)를 작동플레이트(124)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작동바탄성부재(178)를 포함한다. 걸림홈부(172)는 작동플레이트(124)의 후면에 직각으로 함몰 형성되고, 위치고정작동바(174)는 본체(110)에 힌지 연결되어 양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며, 걸림홈부(172)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바(175)와, 걸림부(30)측으로 연장되는 해제바(176)로 이루어진다. 해제바(176)는 걸림부(30)와 접촉되도록 넓은 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작동바탄성부재(178)에 의해 위치고정작동바(174)의 고정바(175)측이 가압되므로 작동플레이트(124)의 후면을 가압하는 상태이고, 이에 따라 회전레버(122)의 회전에 의해 작동플레이트(124)가 회전되면, 고정바(175)가 걸림홈부(172)에 수용되어 걸리게 되며 작동플레이트(124)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걸쇠(130)의 개방상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복원부(180)는 본체(110)에 구비되는 레일부(182)와, 레일부(18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원탄성부재(185)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작동플레이트(124)와 연결되는 복원이동체(184)를 포함한다. 즉, 회전레버(122)의 회전에 의해 작동플레이트(124)가 회전되어 도어(20)의 개방상태에서는 작동플레이트(124)의 회전운동에 의해 복원이동체(184)가 레일부(18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복원탄성부재(185)가 수축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어(20)의 닫힘 시 해제바(176)가 걸림부(30)에 접촉되어 고정바(175)가 걸림홈부(172)로부터 이탈되어 고정해제되면 복원탄성부재(185)에 의해 복원이동체(184)는 레일부(18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복원되고, 복원이동체(184)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작동플레이트(124)는 최초위치로 복원되므로 걸쇠(130)가 회동되어 자동 잠금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의 전면에는 전면커버(190)가 구비되고, 전면커버(190)에는 본체(110)측으로 돌출되어 본체(110)와 나사 체결되는 보스(192)가 형성된다. 보스(190)는 동일한 간격으로 사방에 구비되며, 설치케이스(112)에 삽입된 상태로 후면케이스(114)에 결합된다. 이러한 전면커버(190)에는 인식부(19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보스(192)가 동일한 간격으로 사방에 구비됨에 따라 인식부(194)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케이스(112)를 기준으로 설치케이스(112)의 전측에는 회전레버(122)가 위치되고, 설치케이스(112)의 후측에는 작동플레이트(124)가 위치되어 설치케이스(112)의 개구를 통해 상호 후크결합된다. 이때, 설치케이스(112)와 회전레버(122)의 회전방지돌기(152)에는 탄성부재(156)가 결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걸쇠(130)를 결합한다. 걸쇠(130)에는 일체로 형성되는 잠금편(144)이 구비되고, 잠금편(144)은 회전레버(122)의 내부로 수용된다. 이때, 잠금편(144)의 연결홀(145)과 회전레버(122)의 잠금홀(142)을 상호 대응된다. 그리고, 걸쇠(130)는 작동플레이트(124)의 편심축(125)에 결합된다.
이후, 후면케이스(114)에 자동잠금부(160)가 결합된다. 자동잠금부(160)는 자동작동부(170)와 복원부(180)로 이루어지는데, 자동작동부(170)인 위치고정작동바(174)는 후면케이스(114)에 힌지 연결되고, 고정바(175)측으로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작동바탄성부재(178)가 구비된다. 그리고, 레일부(182)에 복원이동체(184)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원탄성부재(185)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설치케이스(112)와 후면케이스(114)를 결합한다. 즉, 걸쇠(130)는 회전블럭(135)에 의해 후면케이스(114)의 중심축(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원이동체(184)는 작동플레이트(124)와 힌지 연결된다. 중심축(115)과 회전레버(122)의 중심은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어(20)의 설치공에 설치케이스(112)가 삽입되고, 후면케이스(114)는 도어(20)의 후면에 나사 결합되며, 전면커버(190)가 보스(192)에 의해 설치케이스(112)를 관통하여 후면케이스(114)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이후, 도어(20)의 개방을 살펴보면, 최초 회전레버(122)의 잠금홀(142)과 잠금편(144)의 연결홀(145)을 통해 자물쇠(146)가 결합됨으로써, 도어(20)는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레버(122)의 회전방지돌기(152)가 본체(110)의 회전방지홀부(154)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회전레버(122)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열쇠를 이용하여 자물쇠(146)를 잠금홀(142)과 연결홀(145)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회전방지돌기(152)에 구비되어 회전레버(122)를 설치케이스(112)로부터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6)에 의해 회전레버(122)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회전방지돌기(152)가 회전방지홀부(154)로부터 이탈되므로써, 회전레버(122)는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도 5참조).
상기한 상태에서 회전레버(122)를 회전시키면, 회전레버(122)와 함께 잠금편(144)이 중심축(115)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되므로 걸쇠(130)가 회동되므로써, 걸림부(30)로부터 이탈되어 도어(2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회전레버(122)의 회전에 의해 작동플레이트(124) 또한 회전되는데, 작동플레이트(124)의 편심축(125)에 연결된 걸쇠(130)는 보다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다. 즉, 회전레버(122)를 회전시키는 작은 힘으로 걸쇠(13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후, 도어(20)의 닫힘 시 자동잠금을 살펴보면, 도 6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의 개방을 위해 회전레버(122)의 회전시 작동플레이트(124) 또한 회전되므로 작동플레이트(124)의 회전은 복원이동체(184)를 이동시키게 되고, 복원이동체(184)의 이동에 의해 복원탄성부재(185)는 수축되게 된다.
그리고, 위치고정작동바(174)가 작동바탄성부재(178)에 의해 고정바(175)측으로 가압력이 작용하는 상태이므로 작동플레이트(124)의 회전에 의해 고정바(175)가 걸림홈부(172)에 수용되어 걸리게 되므로써, 작동플레이트(124)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작동플레이트(124)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걸쇠(130)의 개방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물함(10)의 사용을 완료하고 도어(20)를 닫게 되면, 위치고정작동바(174)의 해제바(176)는 걸림부(30)에 접촉되게 되어 위치고정작동바(174)를 회동시키면, 고정바(175)가 걸림홈부(172)로부터 이탈되어 작동플레이트(124)의 위치고정이 해제된다. 작동플레이트(124)의 위치고정해제에 의해 복원이동체(184)는 복원탄성부재(185)에 의해 레일부(182)를 따라 이동되므로써, 작동플레이트(124)를 최초위치로 복원한다. 그리고, 작동플레이트(124)와 편심축(125)에 의해 연결된 걸쇠(130) 또한 최초위치로 복원되어 걸림부(30)와 결합되어 도어(20)를 자동잠금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전레버(122)를 눌러 회전방지돌기(152)와 회전방지홀부(154)를 결합한 후 자물쇠(146)를 잠금홀(142)과 연결홀(145)에 결합함으로써, 도어(20)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 잠금장치에 의하면, 자물쇠의 분리 시에만 걸림쇠의 작동이 가능하고, 걸림쇠가 슬라이드방식이 아닌 회동방식에 의해 잠금되므로 외력에 의해 의도되지 않은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사물함의 잠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도어의 닫힘 시 자동잠금부에 의해 도어를 자동을 잠금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사물함 잠금장치 110 : 본체
112 : 설치케이스 114 : 후면케이스
115 : 중심축 116 : 제한홀부
120 : 작동레버부 122 : 회전레버
124 : 작동플레이트 125 : 편심축
130 : 걸쇠 135 : 회전블럭
140 : 구속부 142 : 잠금홀
144 : 잠금편 145 : 연결홀
146 : 자물쇠 150 : 회전방지부
152 : 회전방지돌기 154 : 회전방지홀부
156 : 탄성부재 160 : 자동잠금부
170 : 자동작동부 172 : 걸림홈부
174 : 위치고정작동바 175 : 고정바
176 : 해제바 178 : 작동바탄성부재
180 : 복원부 182 : 레일부
184 : 복원이동체 185 : 복원탄성부재
190 : 전면커버 192 : 보스
194 : 인식부

Claims (8)

  1. 도어에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작동레버부;
    상기 작동레버부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사물함의 걸림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걸쇠; 및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작동레버부를 최초위치로 복원하여 상기 걸쇠와 상기 걸림부를 결합시키는 자동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부는 상기 본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회전레버와 상기 걸쇠를 연결하는 작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상기 회전레버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작동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레버의 중심축으로부터 편심되고, 상기 걸쇠와 결합되는 편심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회전레버에 형성되는 잠금홀;
    상기 걸쇠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버의 내에 수용되며, 상기 잠금홀과 대응되는 연결홀이 형성되는 잠금편;
    상기 잠금홀과 상기 연결홀에 결합되는 자물쇠; 및
    상기 자물쇠의 분리시에만 상기 회전레버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잠금부는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열림위치를 고정하고, 선택적으로 고정해제하는 자동작동부; 및
    상기 자동작동키부에 의한 고정해제 시 상기 작동플레이트를 최초위치로 복원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작동부는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후면에 구비되는 걸림홈부;
    상기 본체에 힌지 연결되어 일측은 상기 걸림부와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되는 위치고정작동바; 및
    상기 위치고정작동바를 상기 작동플레이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작동바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복원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상기 작동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복원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 잠금장치.
KR1020140036881A 2014-03-28 2014-03-28 사물함 잠금장치 KR101569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881A KR101569991B1 (ko) 2014-03-28 2014-03-28 사물함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881A KR101569991B1 (ko) 2014-03-28 2014-03-28 사물함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22A true KR20150112522A (ko) 2015-10-07
KR101569991B1 KR101569991B1 (ko) 2015-11-18

Family

ID=54343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881A KR101569991B1 (ko) 2014-03-28 2014-03-28 사물함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2871A (zh) * 2019-01-23 2019-03-12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电蒸箱门体锁合结构及电蒸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811B1 (ko) * 2011-12-09 2012-06-29 장근대 다이얼식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2871A (zh) * 2019-01-23 2019-03-12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电蒸箱门体锁合结构及电蒸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991B1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2443B2 (en) Lockable case
TWI578880B (zh) 扣合機構及可攜式電子裝置
KR10145003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2005247232A (ja) リッド開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小物入れ装置
KR100575157B1 (ko) 컴퓨터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1332705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569991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1569990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1853837B1 (ko) 도어록 장치
US8022299B2 (en) Rotatory emergency stop cover with plug-in unit
KR101557260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1513168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20190028581A (ko) 푸쉬풀 도어 잠금장치
JP2011021442A (ja) 箱体の扉ロック装置
KR102276666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JP6407777B2 (ja) ラッチハンドル装置
KR101686769B1 (ko) 사물함 잠금장치
JP2015187346A (ja) 収納家具の引手装置
KR10145892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JP3119790B2 (ja) 両開戸の施錠装置
KR20180026192A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KR101893327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KR101429876B1 (ko) 복합캐비넷 잠금장치
US7383706B1 (en) Structure of a safety lock for traveling luggage c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